KR20190083117A - 전원 단자 모듈 - Google Patents

전원 단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117A
KR20190083117A KR1020180000667A KR20180000667A KR20190083117A KR 20190083117 A KR20190083117 A KR 20190083117A KR 1020180000667 A KR1020180000667 A KR 1020180000667A KR 20180000667 A KR20180000667 A KR 20180000667A KR 20190083117 A KR20190083117 A KR 20190083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power terminal
coupled
electrically connecte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174B1 (ko
Inventor
전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0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1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실시예는 전원 단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전원 단자 모듈은, 바디;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부하단자;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제1 전원단자 및 제2 전원단자; 상기 부하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버스바;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기판; 일단은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버스바; 및 일단은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스바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이 제1 전원단자와 결합하며, 상기 제3 버스바는 일부가 상기 바디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전원 단자 모듈{Power terminal module}
본 실시예는 전원 단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전기장치로는 엔진전기장치(시동장치, 점화장치, 충전장치)와 등화장치가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차량이 보다 전자제어화 됨으로써 샤시 전기장치를 포함한 대부분의 시스템들이 전기전자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램프, 오디오, 히터, 에어컨 등의 각종 전장품들은 자동차 정지시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주행시에는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통상의 전원 전압으로 14V계 전원 시스템의 발전용량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정보기술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자동차의 편의성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신기술(모터식 파워 스티어링, 인터넷 등)들이 차량에 접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현 자동차 시스템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신기술의 개발이 계속될 전망이다.
소프트 또는 하드 타입의 구분없이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HEV)은 전장부하(12V) 공급을 위한 DC-DC 컨버터(Low Voltage DC-DC Converte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반 가솔린 차량의 발전기(알터네이터) 역할을 하는 디씨디씨 컨버터는 메인 배터리(보통 144V 이상의 고전압 배터리)의 고전압을 다운시켜 전장부하용 전압 12V를 공급하고 있다.
디씨디씨 컨버터(DC-DC Converter)라 함은, 어떤 전압의 직류전원에서 다른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자회로 장치를 말하며, 텔레비전 수상기, 자동차의 전장품 등 다양한 영역에 사용되고 있다.
전원 단자 모듈은, 배터리로부터 인가된 전원의 전압을 다른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성들로 인가한다. 즉, 고전압을 다운시켜 전장 부하로 인가되기 위한 저전압으로 변환하는데 그 역할이 있다.
전원 단자 모듈은 바디와,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는, 부하, 제어기판, 배터리에 각각 연결되도록 다수로 구성되어, 바디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를 통해 인가된 전원의 전압을 제어기판을 통해 저전압으로 변환되어, 부하에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수의 버스바의 상호 간 결합이 단순히 볼트만을 이용해 이루어지므로, 각 구성 배치에 조립 공차가 발생되고, 부품 간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 조립 시 버스바 일단의 체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타단을 체결하여야 하는데, 버스바의 정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수단이 존재하지 않아 생산 효율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부품 간 체결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원 단자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단자 모듈은 전원 단자 모듈은, 바디;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부하단자;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제1 전원단자 및 제2 전원단자; 상기 부하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버스바;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기판; 일단은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버스바; 및 일단은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스바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이 제1 전원단자와 결합하며, 상기 제3 버스바는 일부가 상기 바디 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배터리와 버스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일단이 버스바에 후크 결합되므로, 버스바와 연결부 간에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연결부의 일단을 후크 결합을 통해 버스바의 고정시킨채로 타단을 배터리 결합 단자에 결합시키므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 모듈을 제 1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 모듈을 제 2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 모듈을 제 3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바와 전원 연결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바와 제1연결부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 모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기판과 버스바의 결합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 모듈을 제 1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 모듈을 제 2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 모듈을 제 3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 모듈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3에서의 제 1 내지 3 각도는 상호 다른 각도의 의미를 가질 뿐, 순서 배열에 있어 특별한 의미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 모듈(100)은, 바디(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10)의 상측에는 변환된 전원이 인가되는 부하가 배치되고, 상기 바디(10)의 하측에는 인가되는 전원을 변환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며, 상기 바디(10)의 측면 중 일측에는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바디(10)는,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판(11)과, 상기 상면판(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판(12, 13, 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판(11)은 단면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측면판(12, 13, 14)은 상기 상면판(11)의 네 변 중 3개의 변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11)의 전면은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의 하면 또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상면판(11)에는 변환된 전압의 전원이 인가되는 부하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면판(11)에는 부하단자(22, 32, 4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부하단자(22, 32, 42)는 상기 바디(10)에 고정된다. 상기 부하단자(22, 32, 42)는 후술할 제1버스바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하단자(22, 32, 42)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하단자(22, 32, 42)는 상기 상면판(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하단자(22, 32, 42)는 3개일 수 있다.
상기 상면판(11)에는 상기 부하단자(22, 32, 42)를 둘러싸도록 부하 결합부(11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하 결합부(11a)는 내측에 상기 부하단자(22, 32, 42)를 수용하도록 수용홈(11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하단자(22, 32, 42)의 둘레 영역은 상기 부하 결합부(11a)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상기 측면판(12, 13, 14)은 배터리와 결합되는 제1측면판(14)과, 상기 바디(1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판(13) 및 상기 제1측면판(14)과 대향하는 상기 바디(10)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면판(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판(14)은 배터리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판(14)은 배터리결합부(14)라 이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측면판(14)을 배터리결합부(14)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배터리결합부(14)는 상기 바디(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결합부(14)는 제1전원단자(62)가 배치되는 제1결합부(16)와, 제2전원단자(64)가 배치되는 제2결합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단자(62)와 상기 제2전원단자(64)는 상기 바디(10)에 고정된다. 상기 제1결합부(16)와 상기 제2결합부(15)는 상호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전원단자(62)와 상기 제2전원단자(64)도 상호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부(16)는 상기 제2결합부(15)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단자(62)는 상기 제2전원단자(64)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단자(62)는 48V의 전압이 인가되는 단자일 수 있다. 상기 제2전원단자(64)는 그라운드(Ground, 0V) 영역의 단자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전원단자(62)와 상기 제2전원단자(64)를 통해 상기 전원 단자 모듈(1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결합부(14)의 하면에는 타 구성과 상기 전원 단자 모듈(100)을 결합시키기 위해 스크류가 삽입되는 스크류결합부(1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에는 제1버스바(20, 30, 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20, 30, 40)는, 제1전압의 제1-1버스바(20)와, 제2전압의 제1-2버스바(30) 및 제3전압의 제1-3버스바(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20, 30, 40)는 일단이 상기 바디(10)의 상면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의 일단은 상기 상면판(11)에 배치되는 상기 부하단자(22, 32, 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의 상부측 영역 중 상기 상편판(11)에 결합되는 영역은 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의 하부측 영역 중 일부는 전방으로 절곡되어 하면이 제어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버스바(20, 30, 40)는 중심에 배치되는 몸체를 기준으로, 상, 하단이 각각 절곡된다. 그리고, 절곡되는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의 상, 하단은 각각 상기 바디(10)의 상면에 배치되는 부하단자(22, 32, 42)와, 상기 바디(1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어기판에 결합된다.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의 몸체는 상기 후면판(1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후면판(13)에는 상기 제1버스바(20, 30, 4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버스바(20)는 12V 전압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단자(22)에 결합되는 상기 제1-1버스바(20)의 상단(21)을 통해 12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2버스바(30)는 그라운드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버스바(30)의 상단(31)을 통해 제2단자(32)는 그라운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3버스바(40)는 40V 전압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3버스바(40)의 상단(41)을 통해 제3단자(42)는 40V의 전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바와 전원 연결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전원단자(62)는 상기 제1-3버스바(40)의 하단(45)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원단자(64)는 상기 제1-2버스바(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 모듈(100)은 상기 제1전원단자(62)와 상기 제1-3버스바(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버스바(50)와, 상기 제2전원단자(64)와 상기 제1-2버스바(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버스바(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버스바(50)는 일단이 상기 제1전원단자(62)와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제1-3버스바(40)의 하단(4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버스바(50)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전원단자(62) 및 상기 제1-3버스바(40)와의 결합을 위해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버스바(50)는 상기 바디(1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배터리결합부(14)가 배치되는 상기 바디(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버스바(50)는 적어도 1회 절곡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버스바(50)는 상기 제1전원단자(62)와 결합되며 바디(10)을 관통하는 제1수평부(57)와, 상기 제1수평부(57)의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53)와, 상기 제1절곡부(53)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평부(57)와 상기 제2수평부(51)는 상기 상면판(11)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절곡부(53)는 상기 상면판(11)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버스바(70)는 일단이 상기 제2전원단자(64)와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제1-2버스바(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버스바(70)는 그라운드 상태의 상기 제2전원단자(64)와 상기 제1-2버스바(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3버스바(70)는 상기 바디(10)을 관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버스바(70)는 상기 후면판(1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3버스바(70) 또한 상기 후면판(1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후면판(13) 중 상기 제3버스바(70)가 수용되는 영역은 타 영역에 비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하부에는,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의 하단이 결합되며 후술할 제어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26, 36, 46)이 구비된다. 상기 핀(26, 36, 46)은 상기 제1-1버스바(20)의 하단(25)이 결합되는 제1핀(26)과, 상기 제1-2버스바(30)의 하단이(35)이 결합되는 제2핀(36)과, 상기 제1-3버스바(40)의 하단이 결합되는 제3핀(46)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핀(26)은 12V 전압의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2핀(36)은 그라운드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제3핀(46)은 48V 전압의 전원이 인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바와 제1연결부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버스바(70)는 상기 제1-3버스바(40)와 후크(Hook)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제2버스바(70)는 상기 제1절곡부(53)와 상기 제2수평부(51) 및 상기 제2수평부(51)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52)에 의해 하부 및 측면 일부가 커버된다. 이 때, 상기 제2절곡부(52)와 마주하는 상기 제1-3버스바(40)의 하단 측면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45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절곡부(52) 중 상기 리브(45a)와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리브(45a)가 결합되는 결합홀(5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54)는 상기 제2절곡부(5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버스바(70)와 상기 제1-3버스바(40)의 결합 시, 상기 리브(45a)와 상기 결합홀(54)이 결합되므로, 상기 제1-3버스바(40)와 상기 제2버스바(70)는 견고하게 결합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버스바(70)를 상기 전원 단자 모듈(100)에 결합 시, 일단이 상기 제1-3버스바(40)에 후크 결합시킨 상태에서 타단을 상기 제1전원단자(62)에 결합시키므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면판(11)의 하면에는 별도의 기판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부(110)는 상기 상면판(11)의 하면에서 스크류(72)를 통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72)는 상기 기판부(110) 및 상기 상면판(11)을 관통하여 상기 부하단자(22, 32, 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하단자(22, 32, 42)와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의 상단(21, 31, 41)에는 상기 스크류(72)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단자 모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기판과 버스바의 결합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 7 및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의 하단(25, 35, 45) 하면에는 메인기판(8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판(80)은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와 결합하여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의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메인기판(80)의 하부에는 상기 전원 단자 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판(9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판(80)과 상기 제어기판(90)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판(80)의 상부에는 방열판(89)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판(89)은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의 하단(25, 35, 45) 일부를 수용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열판(89)은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의 하부측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판(89)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킬 수 있다.
상기 방열판(89)과 상기 메인기판(80)의 사이에는 방열막(88)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막(88)은 상기 방열판(89)과 상기 메인기판(80) 사이에 주입되어 경화되는 일정 두께의 막일 수 있다. 상기 방열막(88)은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S)가 상기 메인기판(80)과 상기 방열막(88)을 관통하여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와 상기 핀(26, 36, 46)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와 상기 핀(26, 36, 46)에는 상기 스크류(S)가 관통하는 홀(47, 57, 도 1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상기 스크류(S)가 결합되는 상기 핀(26, 36, 46)에 형성된 홀(47)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S)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홈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메인기판(80)과 상기 제1버스바(20, 30, 40) 및 상기 핀(26, 36, 46)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전원 단자 모듈(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배터리로부터 인가된 고전압의 전원이 상기 제1버스바(20, 30, 40)의 하단에 결합되는 메인기판(80)을 통해 저전압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변환된 저전압의 전원은 상기 제1버스바(20, 30, 40)를 통해 상단으로 전달되어, 상기 부하단자(22, 32, 42)로 인가된다. 따라서, 부하는 상기 부하단자(22, 32, 42)를 통해 구동에 필요한 저전압의 전원을 인가받게 된다. 이 때, 고전압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으로 48V의 전압을 가지고, 저전압은 상기 부하로 전달되는 전원의 전압으로 12V의 전압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바디;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부하단자;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제1 전원단자 및 제2 전원단자;
    상기 부하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버스바;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기판;
    일단은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버스바; 및
    일단은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스바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이 제1 전원단자와 결합하며,
    상기 제3 버스바는 일부가 상기 바디 내에 배치되는 전원 단자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바의 하단에는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버스바 중 상기 리브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결합홀이 형성되는 전원 단자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버스바는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되는 전원 단자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단자와 상기 제 2 전원단자는 상기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버스바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는 전원 단자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버스바와 결합되는 제1버스바는 다른 제1버스바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전압의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버스바와 결합되는 제1버스바는 그라운드(Ground) 영역이 형성되는 전원 단자 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바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 3 버스바는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1버스바와 결합되는 전원 단자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의 상측에서 상기 핀의 인접한 영역에는 방열판이 배치되고,
    상기 메인기판과 상기 방열판의 사이에는 방열막이 형성되는 전원 단자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 상기 핀 및 상기 제1버스바는,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는 홀을 스크류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전원 단자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전원 단자 모듈.
KR1020180000667A 2018-01-03 2018-01-03 전원 단자 모듈 KR102515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667A KR102515174B1 (ko) 2018-01-03 2018-01-03 전원 단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667A KR102515174B1 (ko) 2018-01-03 2018-01-03 전원 단자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117A true KR20190083117A (ko) 2019-07-11
KR102515174B1 KR102515174B1 (ko) 2023-03-29

Family

ID=6725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667A KR102515174B1 (ko) 2018-01-03 2018-01-03 전원 단자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1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649A (ja) * 1996-02-23 1997-09-0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19980031676U (ko) * 1996-11-30 1998-08-17 유기범 전원 분배용 접속단자 고정체
JP2009005512A (ja) * 2007-06-22 2009-01-08 Hitachi Ltd 電力変換装置
KR20100083413A (ko) * 2009-01-13 2010-07-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KR20120131112A (ko) * 2011-05-24 2012-12-04 세미크론 엘렉트로니크 지엠비에치 앤드 코. 케이지 제 1 및 제 2 서브시스템용 접속 장치를 갖는 전력 전자 시스템
KR20170003870U (ko) * 2016-05-04 2017-11-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디스커넥티드 유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649A (ja) * 1996-02-23 1997-09-0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19980031676U (ko) * 1996-11-30 1998-08-17 유기범 전원 분배용 접속단자 고정체
JP2009005512A (ja) * 2007-06-22 2009-01-08 Hitachi Ltd 電力変換装置
KR20100083413A (ko) * 2009-01-13 2010-07-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KR20120131112A (ko) * 2011-05-24 2012-12-04 세미크론 엘렉트로니크 지엠비에치 앤드 코. 케이지 제 1 및 제 2 서브시스템용 접속 장치를 갖는 전력 전자 시스템
KR20170003870U (ko) * 2016-05-04 2017-11-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디스커넥티드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174B1 (ko)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05512A (ja) 電力変換装置
JP2010124691A (ja) 電力変換装置
KR102458346B1 (ko) 컨버터
US20210259130A1 (en) Converter
KR102590523B1 (ko) 컨버터
KR20190083117A (ko) 전원 단자 모듈
US11812591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KR102619705B1 (ko)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EP4277444A1 (en) Converter
KR20190011521A (ko) 전력제어장치
US20220377931A1 (en) Converter
KR102645803B1 (ko) 컨버터
KR102631926B1 (ko) 컨버터
KR20210044651A (ko) 컨버터
KR102653879B1 (ko) 컨버터
EP4068922A1 (en) Converter
KR102630246B1 (ko) 컨버터
EP4138530A1 (en) Converter module
EP3905867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KR102476402B1 (ko) 컨버터
KR20210039580A (ko) 기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KR20230073100A (ko) 컨버터
KR20190143180A (ko) 컨버터
KR20220157198A (ko) 컨버터
KR20210012277A (ko)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