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694A -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694A
KR20190082694A KR1020190074330A KR20190074330A KR20190082694A KR 20190082694 A KR20190082694 A KR 20190082694A KR 1020190074330 A KR1020190074330 A KR 1020190074330A KR 20190074330 A KR20190074330 A KR 20190074330A KR 20190082694 A KR20190082694 A KR 20190082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pplication
icon
app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송길
Original Assignee
안송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송길 filed Critical 안송길
Priority to KR1020190074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2694A/ko
Publication of KR20190082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앱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앱아이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에 관한 앱이용 정보를 수집하는 앱이용 정보 수집부; 상기 앱이용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앱이용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를 참고하여 대응되는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앱아이콘 정보를 상기 변경 앱아이콘 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ICON ACCORDING TO AN APPLICATION USAGE HISTORY,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ㅂ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의 대중화에 따라 생활 패턴이 보다 편리해지고 다양화되는 현상이 뚜렷히 나타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대중화는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 소비, 여가 등의 다방면에 대하여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는 앱 스토어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다운받아 구동될 수 있다.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들은 스마트폰 제조사, 운영체제 제조사, 어플리케이션 제조사, 및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주체에 의해서 설정된 앱아이콘(Application Icon)으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뿐 아니라, 스마트폰 제조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역시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표시되는 앱아이콘들은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특징을 간략한 이미지 표시하며, 그 크기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된다.
앱아이콘의 구성 변경은 현재 화면에 대한 위치나, 폴더에 포함시키는 기능들에 한정될뿐이며, 해당 앱아이콘들에 대한 별도의 기능이 부여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수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을 보유한 뒤, 사용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만을 주로 사용하는 습성상, 일회적으로 사용되거나 그 이용 빈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들의 경우 사용자가 이를 직접 인지하여 삭제하는 동작을 실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화면의 일 영역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아니라, 사용자는 자신의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 확인하기 위해서는 설정 메뉴로 이동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이용량 등을 직접 확인해야하며 이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 역시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앱아이콘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 이용 직관성 및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앱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앱아이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에 관한 앱이용 정보를 수집하는 앱이용 정보 수집부; 상기 앱이용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앱이용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를 참고하여 대응되는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앱아이콘 정보를 상기 변경 앱아이콘 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앱아이콘 정보는, 상기 앱아이콘에 관한 아이콘 사이즈 정보, 아이콘 색상 정보, 아이콘 모양 정보, 및 아이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앱이용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다운로드 정보, 앱 접속 정보, 앱 구동 정보, 및 앱 이용 빈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는, 상기 어플리이션의 앱이용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아이콘의 사이즈, 색상, 위치, 모양,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속성이 변경된 상기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앱아이콘의 아이콘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를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앱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앱아이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앱이용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에 관한 앱이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앱이용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앱이용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앱이용 정보에 대응되는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앱아이콘 정보를 상기 변경 앱아이콘 정보로 변경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 상기 변경 앱아이콘 정보의 출력 시 이에 대응되는 변경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스피커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앱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앱아이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앱이용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에 관한 앱이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앱이용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앱이용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앱이용 정보에 대응되는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앱아이콘 정보를 상기 변경 앱아이콘 정보로 변경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 상기 변경 앱아이콘 정보의 출력 시 이에 대응되는 변경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스피커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경 앱아이콘 정보에 따른 주변 앱아이콘의 재배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재배치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주변 앱아이콘을 재배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에 따라 자동으로 앱아이콘의 변경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로하여금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상황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이용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용 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으로 앱아이콘의 형태가 상대적으로 더 커지고, 이용 빈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의 앱아이콘 형태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거나 화면 상에서 자동 삭제되므로 편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 빈도에 따라 앱아이콘의 형태 변화가 단계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이용 만족도, 재미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A1)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100)의 이용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메모리부에 저장된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100)의 이용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스마트폰 및 테블릿과 같은 단말기(100)는, 설치되어 있거나 앱 스토어로부터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을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부에 앱아이콘 정보(A1)를 표시한다.
앱아이콘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을 간략한 이미지로 표시한 아이콘으로로 각 단말기(100)나 어플리케이션 제공 주체에 의하여 그 형태가 설정될 수 있다.
앱아이콘 정보(A1)는, 앱아이콘에 관한 아이콘 사이즈 정보, 아이콘 색상 정보, 아이콘 위치 정보, 아이콘 모양 정보, 및 아이콘 움직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색상이나 이미지가 다르게 표시될뿐이며, 전체적인 구조는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단말기(100)는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의도나, 또는 의도치 않게 설치되는 수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의 배치를 조절하기 위해 일일이 앱아이콘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불편함 역시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수많은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의 이용 습관에 따라 그 이용 빈도가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재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항상 어플리케이션의 위치가 고정되는 문제 역시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대표적인 문제적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100)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앱아이콘이 표시되고, 터치 신호와 같은 앱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앱아이콘의 사용 이력에 관한 앱이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앱이용 정보가 수집되면, 해당 앱이용 정보에 대응되게 앱아이콘 정보(A1)를 변경 앱아이콘 정보(A2)로 변경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A어플리케이션에 대한 A앱아이콘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A앱아이콘이 자주 이용된다고 판단하여, 주변 앱아이콘들과 차별화될 수 있도록 변경 앱아이콘 정보(A2)를 산출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변경 앱아이콘 정보(A2)는 기존 앱아이콘 정보(A1)보다 더 사이즈가 크게 되도록 변경되어 출력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 가시성 확대와 터치 영역 확대에 따른 편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앱아이콘 정보(A1)의 사이즈 확대는, 화면 영역에서 기존 어플 영역(P1)보다 크게 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앱아이콘 사이즈업은 빈 영역(P2)까지 확대가 한정되거나, 주변 앱아이콘의 어플 영역(P1)까지 확대될 수 있다. 만약, 주변 앱아이콘의 어플 영역(P1)까지 사이즈가 확대되는 경우, 주변 앱아이콘 정보(A1)들은 사이즈 또는 위치가 재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100)에 의하면,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라 자동으로 앱아이콘의 사이즈, 색상, 위치, 모양, 및 움직임이 변경되어 단말기(100) 이용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대한 간략한 원리를 설명하였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의 구성과 테이블 정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앱이용 정보 수집부(120), 메모리부(130), 통신부(140), 스피커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앱아이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디스플레부는 사용자 입력부와 통합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앱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앱아이콘 정보를 출력하거나,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 정보인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화면 정보는 기본 화면으로 출력되는 메인 화면 정보와 화면의 변환을 요청하는 화면 변환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화면인 서브 화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화면 정보는, 가로 방향의 화면 이동으로 전환되는 제1 서브 화면 정보, 세로 방향의 화면 이동으로 전환되는 제2 서브 화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앱이용 정보 수집부(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에 대한 앱이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단이다. 다시말해, 앱이용 정보 수집부(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앱이용 정보는, 어플리키에션에 대한 앱 다운로드 정보, 앱 접속 정보, 앱 구동 정보, 및 앱 이용 빈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앱 다운로드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은 시간, 횟수, 위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앱 접속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속 시간 정보, 접속 횟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앱 구동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직접 구동한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앱 이용 빈도 정보는, 얼마나 자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했는지에 관한 정보와 다른 어플리케이션 대비 상대적인 이용 정도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앱이용 정보 수집부(120)는 앱이용 정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이력을 수집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앱이용 정보에 대응되는 앱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이력 대비 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테이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이력은 낮음, 보통, 높음과 같이 그 사용 이력에 따라 레벨 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략한 설명을 위해 3단계의 사용 이력을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앱이용 정보의 세부 정보에 따라 구체화되는 레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아이콘 형태는, 앱아이콘의 사이즈, 색상, 위치, 모양, 및 움직이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사용 이력이 낮은(앱이용 정보의 사용 이력) 경우, 앱아이콘의 사이즈를 2X2로 설정하고, 색상은 가시성이 낮은 어두운 계통인 검정색과 같은 색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근 난이도가 가장 높은(추가적인 입력 정보를 통해 접근 가능한) 제2 서브 화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모양은 기본적으로 설정된 디폴트로 일 수 있으며, 움직임은 없을 수 있다.
사용 이력이 보통인 경우, 사용 이력 낮음 경우보다 사이즈가 더 커지고, 생색상은 가시성이 더 높아질 수 있으며, 위치도 접근 난이도가 낮아진 곳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모양 역시 디폴트와 다르게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마름도), 앱아이콘에 움직임이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움직임은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시, 플래쉬 또는 애니메니션과 같은 변화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이력 보통 단계에서는 제1 속도로 앱아이콘의 움직임이 부여될 수 있다.
사용 이력 높음 단계에서는, 보통 단계 대비 사이즈가 더 커지고, 색상 역시 가장 가시성이 높은 색상으로 변경되며, 위치는 접근 난이도가 가장 낮은 메인 화면이 될 수 있으며, 모양은 가장 화려한 모양(별)이 되고, 움직임 역시 보통 보다 더 빠른 속도인 제2 속도로 움직임이 부여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외부 서버 또는 다른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통신부(140)는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거나, 외부 서버 또는 다른 단말기(100)로부터 앱아이콘의 아이콘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피커부(150)는, 앱아이콘의 변경에 대한 변경 알림 정보를 음향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데, 기존 앱아이콘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라 변경 앱아이콘 정보로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 '아이콘 변경!', '아이콘 레벨 업', '아이콘 다운', 및 '아이콘 초기화'와 같은 음성이나 효과음을 출력될 수 있다. 해당 변경 알림 정보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고, 외부 서버나 다른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상술한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대표적으로 제어부(160)는, 앱이용 정보 수집부(120)로부터 앱이용 정보가 수신되면,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를 차고하여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변경 앱아이콘 정보는,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를 앱이용 정보와 비교하여, 대응되는 앱아이콘의 사이즈, 색상, 위치, 모양, 및 움직임 등을 변경한 정보일 수 있다.
이렇게 변경 앱아이콘 정보가 생성되면 제어부(160)는 이를 기존 앱아이콘 정보를 변경 앱아이콘 정보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참고하여 주변 앱아이콘의 재배치 정보를 생성하고, 재배치 정보를 참고하여 주변 앱아이콘을 재배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100)에 의하면,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라 자동으로 앱아이콘의 형태가 변화됨에 따라 단말기(100) 사용자의 편리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단말기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생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 정보를 참고하여 앱스토어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부로 다운 받을 수 있다(S11). 만약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해당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면 해당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렇게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되어 설치되면, 제어부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앱아이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킬 수 있다(S13).
최초로 출력되는 앱아이콘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이력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앱스토어, 앱 개발사, OS 제조사, 또는 단말기 제조사에 의해 설정된 형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초값으로 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다.
이렇게 앱아이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면, 앱이용 정보 수집부는 해당 앱아이콘 정보를 통해 어플리키에션의 사용 이력에 대한 앱이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5).
앱이용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앱 다운로드 정보, 앱 접속 정보, 앱 구동 정보, 및 앱 이용 빈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앱이용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얼마나 자주, 많이, 오랜 시간 동안 이용되었는지에 대하여 수치 정보, 텍스트 정보, 레벨 정보를 포함 수 있다.
이렇게 앱이용 정보가 수집되면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와 앱이용 정보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S17).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 이력 대비 앱아이콘의 형태 변화 정도에 관한 테이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앱이용 정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판단하고, 해당 사용 이력에 대한 앱아이콘의 형태 변화 정도를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로 비교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비교가 완료되면, 제어부는 그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19). 변경 앱아이콘 정보는,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를 통해 신규하여 산출되는 앱아이콘 정보에 관한 것으로, 사용 이력에 따라 앱아이콘 형태의 각 요소를 변경시키고 이들을 모두 조합한 결과값일 수 있다.
제어부는 변경 앱아이콘 정보가 산출되면, 기존 앱아이콘 정보를 변경 앱아이콘 정보로 변경 출력 시, 주변 앱아이콘 정보의 재배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
이를 도 5 및 도 6을 통해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의 (a)와 같이, 9개의 앱아이콘(A,B,C,D,E,F,G,H,I)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영역은 앱아이콘이 위치하는 어플 영역과 배경 화면이 나타나는 빈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렇게 앱아이콘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E앱아이콘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이력이 변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E앱아이콘 정보에 대한 사용 이력이 증가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렇게 E앱아이콘 정보에 대한 사용 이력이 증가하면, 앱정보 이용 수집부는, 해당 앱이용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부는 앱이용 정보를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와 비교여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E앱아이콘 정보의 사용 이력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제어부는 해당 앱아이콘 형태의 사이즈 증가가 이루어진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생성하고 도 5 (b)와 같이, 사이즈가 증가된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변경 앱아이콘 정보의 사이즈 증가는 모든 방향으로 증가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설정에 따라 특정 방향만으로 사이즈가 증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처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이용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제어부는 이들을 각각 반영한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영역은 한정적이므로, 변경 앱아이콘 정보에 따라 주변 앱아이콘들의 재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서는 E앱아이콘 정보가 가장 높은 사용 이력을 갖게 되므로, 메인 화면의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하고, 그 사이즈도 가장 커지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 뒤를 이어 높은 사용 이력을 갖는 C앱아이콘 정보 및 A앱아콘 정보가 사이즈 업되도록 변경되어 출력될 수 있고, F앱아이콘 정보는 보통이나 낮은 수준의 사용 이력으로 사이즈는 유지한체로 메인 화면의 제일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재배치될 수 있다.
기존에 메인 화면에 존재하던 B,D,G,H,I앱아이콘 정보는 사용 이력이 낮거나 없음에 따라, 사이즈가 축소되거나, 서브 화면으로 이동되거나, 자동 삭제될 수도 있다. 삭제 시에는 삭제 알림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삭제 확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삭제되로독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앱아이콘 정보는 단순히 사이즈나 위치만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색상, 모양, 움직임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색상의 변경의 경우, 사용 이력에 따라 가시성이 높도록 색 농도 정보가 높아질 수 있다.
모양의 경우, 보다 화려하거나 평범해지는 모양 업앤다운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움직임의 경우, 아이콘 움직임 정보로 바람이 빠지거나 부풀어 오르는 움직임, 모양이 깨어지는 움직임, 회전되는 움직임, 녹는 움직임, 깨어지는 움직임, 불타는 움직임, 먹히는 움직임, 달리는 움직임, 크기의 변화가 연속되는 움직임 등과 같은 움직임 변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아이콘 움직임 정보는 다른 이미지나 동영상 정보와 합쳐지는 퓨전 움직임 정보를 가질 수도 있다.
이렇게 주변 앱아이콘 정보의 재배치가 필요한 경우 제어부느 이에 따른 재배치를 실시하고(S23), 재배치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기존 출력되는 앱아이콘 정보를 변경 앱아이콘 정보로 변경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5).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일반적으로 그 형태가 고정된 상태로 프로그램 실행, 이동, 삭제의 기능에 한정된 앱아콘에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여 단말기의 이용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의한 어플 정리가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앱아이콘의 형태가 변경되며 다양한 효과를 가짐에 따라 이용 재미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0: 단말기 160: 제어부
110: 디스플레이부 A1: 앱아이콘 정보
120: 앱이용 정보 수집부 A2: 변경 앱아이콘 정보
130: 메모리부 P1: 어플 영역
140: 통신부 P2: 빈 영역
150: 스피커부

Claims (8)

  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앱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앱아이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에 관한 앱이용 정보를 수집하는 앱이용 정보 수집부;
    상기 앱이용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앱이용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를 참고하여 대응되는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앱아이콘 정보를 상기 변경 앱아이콘 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아이콘 정보는,
    상기 앱아이콘에 관한 아이콘 사이즈 정보, 아이콘 색상 정보, 아이콘 모양 정보, 및 아이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앱이용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앱 다운로드 정보, 앱 접속 정보, 앱 구동 정보, 및 앱 이용 빈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는,
    상기 어플리이션의 앱이용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아이콘의 사이즈, 색상, 위치, 모양, 및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속성이 변경된 상기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앱아이콘의 아이콘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를 갱신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5.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앱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앱아이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앱이용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에 관한 앱이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앱이용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앱이용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아이콘의 형태에 관한 이력/아이콘 형태 테이블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앱이용 정보에 대응되는 변경 앱아이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앱아이콘 정보를 상기 변경 앱아이콘 정보로 변경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상기 변경 앱아이콘 정보의 출력 시 이에 대응되는 변경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스피커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앱아이콘 정보를 상기 변경 앱아이콘 정보로 변경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경 앱아이콘 정보에 따른 주변 앱아이콘의 재배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재배치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주변 앱아이콘을 재배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0074330A 2019-06-21 2019-06-21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90082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330A KR20190082694A (ko) 2019-06-21 2019-06-21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330A KR20190082694A (ko) 2019-06-21 2019-06-21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694A true KR20190082694A (ko) 2019-07-10

Family

ID=6725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330A KR20190082694A (ko) 2019-06-21 2019-06-21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26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917A1 (en) * 2022-05-23 2023-11-30 Snap Inc. Facilitating interactions based on user access patter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917A1 (en) * 2022-05-23 2023-11-30 Snap Inc. Facilitating interactions based on user access patter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3425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home network thereof
KR100801650B1 (ko) 휴대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서의 기능 실행 방법
US11592968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home network thereof
JP5614784B2 (ja) 携帯端末機のホームスクリーンのためのページ編集方法及びホーム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端末機
US1056481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home network thereof
US9471217B2 (en) Displa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of mobile terminal
KR102005315B1 (ko)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EP1802085A1 (en) Method of displaying at least one function command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7865215B2 (en) Magnification of currently selected menu item
US10684760B2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a configuration of a screen displaying function items
JP2016119115A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携帯機器
US20140176600A1 (en) Text-enlargement display method
US9552671B2 (en) Method for operating three-dimensional handler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20140097838A (ko)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정렬, 연락처의 재구성, 영상과 일정의 동기화 및 환경설정 기능의 정렬에 의한 휴대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JP5055098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019895A1 (en) Electronic device
KR20190082694A (ko) 어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따른 앱아이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A2532123C (en) Magnification of currently selected menu item
KR20140035081A (ko) 휴대단말기의 메뉴 제어방법
WO2024017097A1 (zh) 一种界面显示方法与终端设备
CN113253905B (zh) 基于多指操作的触控方法及智能终端
KR102374829B1 (ko)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피드의 좌우 스와이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JP561128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14489423A (zh) 图片显示方法及终端设备
KR10183532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