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536A -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536A
KR20190082536A KR1020180000255A KR20180000255A KR20190082536A KR 20190082536 A KR20190082536 A KR 20190082536A KR 1020180000255 A KR1020180000255 A KR 1020180000255A KR 20180000255 A KR20180000255 A KR 20180000255A KR 20190082536 A KR20190082536 A KR 20190082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order
consum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연수
조윤성
이강철
김재호
문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Priority to KR102018000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2536A/ko
Publication of KR2019008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536A/ko
Priority to KR1020190176605A priority patent/KR102397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주문 정보를 하나 이상의 생산 업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생산 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생산 계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생산 계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의 생산을 수행할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생산 업체 서버에 상기 상품의 생산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의 종류, 주문 수량, 수령 점포,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을 선택하여 상품을 예약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유통기한이 충분히 남아있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점포에서 폐기되는 상품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PRODUCT RESERVATION ORDER SERVICE}
본 발명은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편의점 유통망을 통해서 다양한 종류의 상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편의점을 통해 구매하고 이용할 수 있는 재화 및 서비스의 종류는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식품 상품은 각 점포에 입고된 후 미리 정해진 유통기한 동안 점포의 진열대 또는 냉장실에 보관된다. 만약 입고된 식품이 유통기한 내에 판매되지 않을 경우, 판매되지 않은 식품은 유통기한이 지나는 시점에서 반품 또는 폐기 대상 식품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유통기한은 유통업체 입장에서 식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최종 시한이며 유통기한을 넘긴 식품은 부패 또는 변질되지 않았더라도 판매할 수 없다. 즉, 유통기한 표시 제도는 안정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지만 소비 가능한 식품의 폐기를 유도할 수 있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실제로 유통기한 제도로 인해 연간 수천억 원 상당의 식품이 폐기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신선 식품은 미리 설정되는 유통기한이 매우 짧은 편이며, 각 점포는 입고된 신선 식품을 짧은 기간 동안 모두 판매해야 한다. 만약 보관하고 있는 신선 식품을 유통기한 내에 판매하지 못할 경우, 각 점포는 상당한 양의 신선 식품을 폐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편의점은 특정 계절 또는 특정 기간에만 입고되는 시즌 상품을 판매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편의점은 크리스마스 시즌에 크리마스 케이크를 판매하거나 밸런타인데이에 초콜릿 세트 상품을 판매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시즌 상품은 특정 기간 내에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지만, 특정 기간이 지난 이후에는 판매량이 급격히 감소한다.
즉, 시즌 상품에 대한 높은 수요로 인해 소비자는 특정 기간 내에 원하는 시즌 상품을 구매하지 못할 수 있으며, 반대로 특정 기간 동안 입고된 모든 시즌 상품을 팔지 못할 경우 각 점포는 악성 재고를 떠안아야 하므로, 각 점포는 단시간 동안 판매해야 하는 시즌 상품에 대한 발주 수량을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품의 종류, 주문 수량, 수령 점포,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을 선택하여 상품을 예약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유통기한이 충분히 남아있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점포에서 폐기되는 상품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가 상품을 예약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짧은 기간동안에만 판매가 가능한 상품에 대한 점포의 발주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주문 정보를 하나 이상의 생산 업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생산 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생산 계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생산 계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의 생산을 수행할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생산 업체 서버에 상기 상품의 생산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문 정보는 상기 상품의 종류, 주문 수량, 수령 점포,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을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변경 가능 시점까지 상기 소비자 단말을 통해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산 계획 정보는 상기 상품의 생산 가능 여부, 상기 상품의 생산 완료 가능 시기 및 상기 상품의 발송 가능 시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생산 가능 업체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산 계획 정보 및 생산 업체와 수령 점포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상품의 입고 가능 시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 가능 업체 목록 및 상기 입고 가능 시기를 기초로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배송 정보를 소비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송 정보는 상기 상품의 실제 생산 시간, 실제 발송 시간 및 상기 상품의 입고 예정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소비자 단말로부터 소비자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점포 단말로부터 점주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소비자 주문 정보 및 상기 점주 주문 정보를 취합하는 단계 및 취합된 상기 소비자 주문 정보 및 상기 점주 주문 정보를 생산 업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점포 단말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비자 주문 정보는 상기 상품의 종류, 주문 수량, 수령 점포,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을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변경 가능 시점까지 상기 소비자 단말을 통해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비자 주문 정보는 상기 상품에 부착될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코드는 점주 주문 정보에 포함된 식별 코드와 상이한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점포 단말로부터 점포에 입고된 상품에 대한 입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 주문 정보 및 상기 입고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에 입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의 종류, 주문 수량, 수령 점포,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을 선택하여 상품을 예약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유통기한이 충분히 남아있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점포에서 폐기되는 상품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가 상품을 예약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짧은 기간 동안에만 판매가 가능한 상품에 대한 점포의 발주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에 상품 선택 화면이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에 수령 점포 선택 화면이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의 화면에 예약 주문 화면이 표시된 모습을 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령 점포 및 생산 업체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에서 소비자 주문 정보 및 점주 주문 정보의 이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10), 소비자 단말(12), 생산 업체 서버(14) 및 점포 단말(16)을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10), 소비자 단말(12), 생산 업체 서버(14) 및 점포 단말(16)은 네트워크(1)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를 통해 주문할 수 있는 상품은 식품 및 비식품을 모두 포함하며, 점포에서 상시 취급하는 상품 이외에 미 취급 상품 또는 미 발주 상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를 통해 주문할 수 있는 상품은 주문 시점과 대응되는 유통기한을 가진 시즌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리마스 케이크 및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세트와 같은 시즌 상품은 특정 시점 이전까지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지만, 특정 시점이 지난 이후에는 판매량이 급격히 감소한다. 따라서 시즌 상품은 특정 시점과 대응되는 유통기한을 갖도록 생산 및 판매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는 이와 같은 시즌 상품의 주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품의 생산은 생산 업체가 판매 가능하도록 가공 또는 조립된 상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품은 소비자의 예약 주문 시점과 관계없이 생산 업체에 의해 미리 조립 또는 가공이 완료된 상품, 소비자의 예약 주문 시점 이후에 조립 또는 가공을 시작하는 상품 및 반조립 또는 반가공 상태의 상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12)은 서비스 서버(10)에 접속 후 상품 정보 또는 점포 정보를 검색하여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 또는 점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소비자 단말(12)은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예약 주문 및 결제 과정을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소비자 단말(12)은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이, 서비스 서버(10)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전자 기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12)에 미리 설치된 예약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품을 예약 주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 단말(12)에는 상품 예약 주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상품 예약 주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예약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소비자 단말(12)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문 정보는 상품의 종류, 주문 수량, 수령 점포,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1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문하고자 하는 상품의 종류 및 수량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소비자는 상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수령 점포 및 희망 수령 일자와 시간을 같이 선택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12)이 소비자의 선택을 통해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문 정보는 미리 설정된 변경 가능 시점까지 소비자 단말을 통해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소비자 단말(12)이 소비자로부터 상품의 종류와 수량, 수령 점포 및 희망 수령 일자와 시간을 입력받고 주문 정보를 생성한 후에도,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12)을 통해 미리 설정된 주문 정보 변경 가능 시점까지 주문 정보의 내용, 즉 상품의 종류와 수량, 수령 점포 및 희망 수령 일자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소비자는 상품이 수령 점포에 배송된 이후에도 주문 정보에 포함된 수령 점포 및 희망 수령 일자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정보 생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이 제1 수령 점포에 도착한 이후에도,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12)을 통해 주문 정보의 희망 수령 점포를 제2 수령 점포로 변경할 수 있다.
먼저 선택된 제1 수령 점포에 도착한 주문 상품은 잔여 유통기한에 따라 제2 수령 점포로 배송되거나, 제1 수령 점포에서 주문 상품이 아닌 일반 상품으로 판매되거나, 반품 처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문 정보 생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이 제1 수령 점포에 도착한 이후에도,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12)을 통해 주문 정보의 희망 수령 일자와 시간을 다른 수령 일자와 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비자의 소비자 단말(12)을 통한 주문 정보 변경은 주문 정보 변경 시점 및 주문 대상 상품의 종류, 수량, 가격 등에 따라 소비자에게 일정한 취소 또는 변경 수수료를 적용할 수 있다. 주문 상품이 유통 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상품일 경우, 주문 변경에 대한 취소 또는 변경 수수료는 잔여 유통기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정보 변경 시점에 이미 주문 상품의 유통 기한이 만료된 경우, 소비자에게 일정한 취소 수수료가 적용될 수 있으며, 주문 정보 변경 시점에 주문 상품의 유통 기한이 만료되지 않은 경우, 소비자에게 잔여 유통 기한에 대응되는 일정한 변경 수수료가 적용될 수 있다.
상품의 유통 기한은 상품의 생산 시기에 의해 결정 되므로, 소비자가 선택한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을 고려하여 생산 업체 및 상품 생산 시기가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10)는 주문 정보에 포함된 수령 점포,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생산 업체 및 상품 생산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소비자 단말(12)로부터 입력받은 주문 정보를 하나 이상의 생산 업체 서버(14)에 전송한다. 생산 업체 서버(14)는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주문 정보를 기초로 생산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산 계획 정보를 다시 서비스 서버(10)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0)는 하나 이상의 생산 업체 서버(14)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생산 계획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생산 계획 정보는 상품의 생산 가능 여부, 상기 상품의 생산 완료 가능 시기 및 상기 상품의 발송 가능 시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생산 계획 정보는 각 생산 업체에서 주문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생산 업체에서 주문 상품의 생산이 가능할 경우, 생산 계획 정보는 상품의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시기 또는 상품을 발송할 수 있는 시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생산 업체는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주문 정보를 확인한 뒤 주문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주문 정보를 전송받은 생산 업체가 주문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경우, 주문 정보를 전송받은 생산 업체 서버(14)는 서비스 서버(10)에 주문 상품을 생산할 수 있음을 알리는 생산 계획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주문 정보를 전송받은 생산 업체가 주문 상품을 생산하는 업체가 아니거나 생산 설비의 고장 등으로 인해 주문 상품을 생산할 수 없는 경우, 주문 정보를 전송받은 생산 업체 서버(14)는 서비스 서버(10)에 주문 상품을 생산할 수 없음을 알리는 생산 계획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주문 정보를 전송받은 생산 업체가 주문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경우, 주문 정보를 전송받은 생산 업체 서버(14)는 서비스 서버(10)에 주문 상품의 생산 완료 가능 시기를 알리는 생산 계획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문 정보를 전송받은 생산 업체가 주문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경우, 주문 정보를 전송받은 생산 업체 서버(14)는 서비스 서버(10)에 주문 상품의 발송 가능 시기를 알리는 생산 계획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생산 계획 정보를 기초로 상품의 생산을 수행할 생산 업체 서버(14)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0)는 상품의 생산을 수행할 생산 업체 서버(14)를 선택하기 위해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생산 가능 업체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각 생산 업체 서버(14)로부터 전송받은 생산 계획 정보는 각 생산 업체가 주문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는 각 생산 업체 서버(14)로부터 전송받은 생산 계획 정보를 기초로 주문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생산 가능 업체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0)는 생산 업체 서버(14)를 선택하기 위해 각 생산 업체의 생산 계획 정보 및 각 생산 업체와 수령 점포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품의 입고 가능 시기를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각 생산 업체 서버(14)로부터 전송받은 생산 계획 정보는 각 생산 업체가 주문 상품의 발송을 완료할 수 있는 발송 가능 시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는 각 생산 업체 서버(14)로부터 전송받은 생산 계획 정보에 포함된 발송 가능 시기 및 각 생산 업체와 수령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각 생산 업체에서 발송하는 주문 상품이 수령 점포에 도착하여 입고되는 시기를 산출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전술한 생산 가능 업체 목록 및 각 생산 업체의 입고 가능 시기를 기초로 생산 업체 서버(14)를 선택하고, 선택된 생산 업체 서버(14)에 주문 상품의 생산을 요청한다. 서비스 서버(10)가 생산 업체 서버(14)를 선택하는 상세한 과정은 도 5를 통해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0)는 배송 정보를 소비자 단말(12)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배송 정보는 상품의 실제 생산 시간, 실제 발송 시간 및 상품의 입고 예정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0)가 생산 업체 서버(14)에 상품의 생산을 요청할 경우, 서비스 서버(10)는 생산 업체 서버(14)로부터 전송받은 생산 계획 정보를 기초로 주문 상품의 실제 생산 시간 및 실제 발송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소비자가 주문한 상품의 발송 시간 및 생산 업체와 수령 점포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수령 점포에 대한 상품의 입고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산출된 입고 예정 시간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 단말(12)에 전송할 수 있다.
점포 단말(16)은 각 점포에 주문 상품이 입고되면 입고 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고 완료 정보를 서비스 서버(1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0)는 점포 단말(16)로부터 전송받은 입고 완료 정보를 소비자 단말(12)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0)는 점포 단말(16)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 단말을 사용하지 않는 소비자가 점포에 방문하여 주문하고자 하는 상품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경우, 점포 단말(16)은 소비자가 주문하고자 하는 상품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은 뒤 서비스 서버(10)에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을 사용한 상품 주문 과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에 상품 선택 화면이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화면은 예약 주문 메뉴가 선택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소비자가 상품 및 수령 점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비자가 수령 점포 선택 버튼(22)을 누를 경우 소비자 단말의 화면은 수령 점포 선택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수령 점포 선택 화면의 구성은 도 3을 통해 후술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수령 점포 선택 버튼(22)은 미리 선택된 수령 점포의 정보를 간략하게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가 상품 확인 버튼(26)을 누를 경우 소비자 단말 화면은 상품 정보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품 정보 화면은 각 상품의 재료, 조리법, 칼로리,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품 정보 화면은 상품 선택 화면과 같이 예약 주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선택 화면에 표시되는 상품 확인 버튼(26)은 각 상품에 대한 상품 선택 버튼(24)을 포함하며, 소비자는 주문을 원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 선택 버튼(24)을 누름으로써 동시에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예약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소비자가 상품 선택 버튼(24)을 누를 경우, 소비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예약 주문 버튼(28)이 활성화될 수 있다. 소비자가 활성화된 예약 주문 버튼(28)을 누르면, 소비자 단말의 화면은 예약 주문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예약 주문 화면의 구성은 도 4를 통해서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에 수령 점포 선택 화면이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령 점포 선택 화면은 소비자가 지도(36)를 통해 수령 점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수령 점포 선택 화면은 소비자의 검색 편의를 위해 검색 옵션 설정 버튼(32) 및 거리 설정 버튼(3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검색 옵션 설정 버튼(32)의 현재 위치 메뉴를 선택할 경우, 서비스 서버는 소비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 뒤 지도(36)에 소비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인근의 점포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거리 설정 버튼(34)의 1km 이내 메뉴가 선택되면, 지도(36)에 소비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1km 이내에 존재하는 점포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소비자는 지도상에 표시된 점포 버튼(38)을 누름으로써 수령 점포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비자가 검색 옵션 설정 버튼(32)의 주소로 찾기 메뉴 또는 점포명 찾기 메뉴를 선택할 경우, 점포 선택 화면상에 주소 또는 점포명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 소비자는 주소 또는 점포명을 입력창에 입력하고 검색된 점포 중 어느 하나의 점포를 수령 점포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소비자가 검색 옵션 설정 버튼(32)의 자주가는 점포 메뉴를 선택할 경우, 점포 선택 화면상에 소비자가 자주 방문하는 점포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비자는 자주 방문하는 점포 목록에 포함된 점포 중 어느 하나의 점포를 수령 점포로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의 화면에 예약 주문 화면이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약 주문 화면은 소비자가 상품의 수량,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약 주문 정보 입력 창(40)은 선택된 상품에 대한 간략한 정보와 함께 일자 선택 버튼(402), 시간 선택 버튼(404) 및 수량 선택 버튼(406)을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는 일자 선택 버튼(402)을 눌러 상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날짜를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비자는 시간 선택 버튼(404)을 눌러 상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소비자는 수량 선택 버튼(406)의 + 버튼 및 - 버튼을 눌러 상품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예약 주문 화면은 선택되는 상품의 수량이 반영된 결제 금액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예약 주문 화면은 수령 일자, 수령 시간 및 수량이 선택된 상품을 즉시 구매할 수 있는 구매 버튼(44)을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약 주문 화면은 수령 일자, 수령 시간 및 수량이 선택된 상품을 나중에 구매하기 위해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는 장바구니 버튼(42)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품에 대한 결제는 주문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바구니에 담긴 후 일정 시간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만약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긴 후 결제가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가 선택한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에만 주문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가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령 점포 및 생산 업체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비자가 선택한 수령 점포인 제1 점포(51)의 주변에 위치한 제1 생산 업체(501), 제2 생산 업체(502) 및 제3 생산 업체(503)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각 생산 업체 서버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주문 정보를 기초로 상품의 생산 가능 여부, 생산 완료 가능 시기 및 발송 가능 시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가 소비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주문 정보(5)는 A 상품에 대한 주문 수량,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주문 정보(5)를 참조하면, 소비자에게 선택된 수령 점포는 제1 점포(51)이고, 상품 종류는 A 상품이며, 상품 수량은 2개이고,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은 20XX년 7월 10일 오후 1시 30분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5)를 전송받은 제1 생산 업체 서버, 제2 생산 업체 서버 및 제3 생산 업체 서버는 각 생산 업체에서 A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생산 업체(501) 및 제3 생산 업체(503)는 A 상품을 생산할 수 있으나, 제2 생산 업체(502)는 A 상품을 생산할 수 없다. 이때 제1 생산 업체 서버 및 제3 생산 업체 서버는 A 상품의 생산이 가능함을 알리는 생산 계획 정보(511, 513)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5)를 전송받은 제1 생산 업체 서버 및 제3 생산 업체 서버는 각 생산 업체에서 A 상품의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시기 또는 생산된 A 상품을 발송할 수 있는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5에 도시된 제1 생산 업체 서버가 생성한 제1 생산 계획 정보(511) 및 제3 생산 업체 서버가 생성한 제3 생산 계획 정보(513)를 참조하면, 제1 생산 업체(501)는 20XX년 7월 9일 오후 23시까지 A 상품의 생산을 완료할 수 있으며, 20XX년 7월 10일 오전 6시에 A 상품을 발송할 수 있다. 반면 제3 생산 업체(503)는 20XX년 7월 10일 오전 6시까지 A 상품의 생산을 완료할 수 있으며, 20XX년 7월 10일 오전 7시에 A 상품을 발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생산 업체 서버 및 제3 생산 업체 서버는 각 생산 업체에서 A 상품의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시기 또는 A 상품의 발송을 완료할 수 있는 시기를 알리는 생산 계획 정보(511, 513)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상품의 생산을 수행할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기 위해 각 생산 업체의 생산 계획 정보 및 각 생산 업체와 수령 점포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품의 입고 가능 시기를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1 생산 업체(501), 제2 생산 업체(502) 및 제3 생산 업체(503)와 제1 점포(51) 사이의 거리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생산 업체(501)와 제1 점포(51) 사이의 거리는 S1이고, 제2 생산 업체(502)와 제1 점포(51) 사이의 거리는 S2이며, 제3 생산 업체(503)와 제1 점포(51) 사이의 거리는 S3이다. 이때 서비스 서버는 A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제1 생산 업체(501) 및 제3 생산 업체(503)와 제1 점포(51) 사이의 거리인 S1 및 S3를 기초로, 각 생산 업체에서 생산된 A 상품이 제1 점포(51)에 입고될 수 있는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는 제1 생산 계획 정보(511) 및 제1 생산 업체(501)와 제1 점포(51) 사이의 거리 S1을 기초로 판단한 결과, 제1 생산 업체(501)의 A 상품에 대한 발송 가능 시기는 오전 6시이며 제1 생산 업체(501)에서 발송된 상품이 제1 점포(51)에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3시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는 제1 생산 업체(501)에서 생산된 A 제품이 제1 점포(51)에 입고되는 시기를 20XX년 7월 10일 오전 9시로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비스 서버는 제3 생산 계획 정보(513) 및 제3 생산 업체(503)와 제1 점포(51) 사이의 거리 S3를 기초로 판단한 결과, 제3 생산 업체(503)의 A 상품에 대한 발송 가능 시기는 오전 7시이며 제3 생산 업체(503)에서 발송된 상품이 제1 점포(51)에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1시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는 제3 생산 업체(503)에서 생산된 A 제품이 제1 점포(51)에 입고되는 시기를 20XX년 7월 10일 오전 8시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서비스 서버는 생산 가능 업체 목록 및 입고 가능 시기를 기초로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수령 점포에 상품을 가장 먼저 입고시킬 수 있는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생산 업체(501)에서 생산되는 A 상품은 20XX년 7월 10일 오전 9시까지 제1 점포(51)에 입고될 수 있으며, 제3 생산 업체(503)에서 생산되는 A 상품은 20XX년 7월 10일 오전 8시까지 제1 점포(51)에 입고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는 제1 생산 업체(501) 및 제3 생산 업체(503) 중 먼저 A 상품을 제1 점포(51)에 입고시킬 수 있는 제3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는 상품의 입고 가능 시기를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상품의 생산 완료 가능 시기를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는 주문자 정보에 포함된 수령 시기에 가장 가까운 시점에 상품의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생산 업체(501)는 20XX년 7월 9일 오후 23시에 A 상품의 생산을 완료할 수 있으며, 제3 생산 업체(503)는 20XX년 7월 10일 오전 6시에 A 상품의 생산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는 제1 생산 업체(501) 및 제3 생산 업체(503) 중 소비자의 A 상품 수령 시간인 20XX년 7월 10일 오후 1시 30분에 더 가까운 시점에 상품의 생산을 완료할 수 있는 제3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상품의 배달 소요 시간을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는 상품 배달 시간에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짧은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통해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생산 업체(501)의 A 상품 배달 소요 시간은 3시간이며, 제3 생산 업체(503)의 A 상품 배달 소요 시간은 1시간이다. 이때 서비스 서버는 배달 소요시간이 더 짧은 제2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는 상품의 특성, 각 생산 업체 및 점포에 구비된 냉장 보관 장치의 성능, 배송 환경 등에 따라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는 소비자가 상품의 종류, 주문 수량, 수령 점포,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을 선택하여 상품을 예약 구매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는 기준을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소비자가 가장 최근에 생산된 상품 또는 가장 신선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이 신선 식품과 같이 쉽게 변질될 수 있거나 유통기한이 짧은 상품일 경우, 본 발명의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는 소비로 하여금 유통기한이 충분히 남아있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유통기한의 경과로 인해 점포에서 폐기되는 신선 식품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서비스 서버는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입력받은 뒤, 하나 이상의 생산 업체 서버에 주문 정보를 전송한다(S61).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문 정보는 상품의 종류, 주문 수량, 수령 점포,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문하고자 하는 상품의 종류 및 수량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소비자는 주문하는 상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수령 점포 및 희망 수령 일자와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는 생산 업체 서버로부터 생산 계획 정보를 수신한다(S6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생산 계획 정보는 상품의 생산 가능 여부, 상품의 생산 완료 가능 시기 및 발송 가능 시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는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한다(S63). 이때 서비스 서버는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기 위해 생산 가능 업체 목록 및 입고 가능 시기를 확인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가 각 생산 업체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생산 계획 정보는 각 생산 업체가 주문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는 각 생산 업체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생산 계획 정보를 기초로 주문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생산 가능 업체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상품의 생산을 수행할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기 위해 각 생산 업체의 생산 계획 정보 및 각 생산 업체와 수령 점포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품의 입고 가능 시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는 선택된 생산 업체 서버에 상품의 생산을 요청한다(S64). 상품의 생산이 완료되고 발송되면, 서비스 서버는 발송된 상품에 대한 배송 정보를 소비자 단말에 전송한다(S6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송 정보는 상품의 실제 생산 시간, 실제 발송 시간 및 상품의 입고 예정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에서 소비자 주문 정보 및 점주 주문 정보의 이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70)는 소비자 단말(72)로부터 상품에 대한 소비자 주문 정보(D1)를 입력받는 동시에, 점포 단말(76)을 통해 점주 주문 정보(D2)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70)는 소비자 주문 정보(D1) 및 점주 주문 정보(D2)를 취합(D3)하여 생산 업체 서버(74)에 전송할 수 있다. 점주 주문 정보(D2)는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72)을 통해 서비스 서버(70)에 입력한 주문 정보와 달리, 각 점포가 점포에서 판매할 상품의 발주를 위해 서비스 서버(70)에 입력하는 주문 정보이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70)는 소비자 단말(72)로부터 소비자 주문 정보(D1)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70)는 각 점포에서 판매되는 점포별 상품 정보, 점포별 거래 정보 등과 같은 판매 정보를 관리하며, 각 점포 단말(76)로부터 점주 주문 정보(D2)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70)는 소비자 단말(72)로부터 소비자 주문 정보(D1)를 수신하고, 점포 단말(76)로부터 수신한 점주 주문 정보(D2)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으며, 소비자 주문 정보(D1) 및 점주 주문 정보(D2)를 취합(D3)하여 생산 업체 서버(74)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70)는 소비자 주문 정보(D1)를 점포 단말(76)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점포 단말(76)은 서비스 서버(70)로부터 전송받은 소비자 주문 정보(D1)를 참고하여, 소비자 주문 정보(D1)에 포함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의 점주 주문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는 소비자가 상품을 예약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짧은 기간 동안에만 판매가 가능한 상품에 대한 점포의 발주 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소비자 주문 정보(D1)는 상품의 종류, 주문 수량, 수령 점포,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비자 주문 정보(D1)는 주문 상품에 부착될 식별 코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별 코드는 점주 주문 정보(D2)에 포함된 식별 코드와 상이한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소비자 주문 정보(D1)에 포함된 식별 코드는 생산 업체 서버(74)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이때 생산 업체는 생산된 상품에 식별 코드를 부착하여 점포로 발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비자 주문 정보(D1)에 포함된 식별 코드는 점포 단말(76)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이때 각 점포는 입고된 상품에 식별 코드를 부착하고 보관할 수 있다. 이처럼 주문 정보에 포함된 식별 코드를 통해 소비자 주문 정보(D1)를 통해 생산된 상품은 점주 주문 정보(D2)를 통해 생산된 상품과 구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0)

  1.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주문 정보를 하나 이상의 생산 업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생산 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생산 계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생산 계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의 생산을 수행할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생산 업체 서버에 상기 상품의 생산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기 상품의 종류, 주문 수량, 수령 점포,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을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변경 가능 시점까지 상기 소비자 단말을 통해 변경 가능한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계획 정보는
    상기 상품의 생산 가능 여부, 상기 상품의 생산 완료 가능 시기 및 상기 상품의 발송 가능 시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생산 가능 업체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산 계획 정보 및 생산 업체와 수령 점포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상품의 입고 가능 시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 가능 업체 목록 및 상기 입고 가능 시기를 기초로 생산 업체 서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배송 정보를 소비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정보는
    상기 상품의 실제 생산 시간, 실제 발송 시간 및 상기 상품의 입고 예정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7. 소비자 단말로부터 소비자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점포 단말로부터 점주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소비자 주문 정보 및 상기 점주 주문 정보를 취합하는 단계; 및
    취합된 상기 소비자 주문 정보 및 상기 점주 주문 정보를 생산 업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주문 정보는
    상기 상품의 종류, 주문 수량, 수령 점포, 수령 일자 및 수령 시간을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변경 가능 시점까지 상기 소비자 단말을 통해 변경 가능한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주문 정보는
    상기 상품에 부착될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코드는 점주 주문 정보에 포함된 식별 코드와 상이한 코드로 구성되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포 단말로부터 점포에 입고된 상품에 대한 입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 주문 정보 및 상기 입고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에 입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000255A 2018-01-02 2018-01-02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82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255A KR20190082536A (ko) 2018-01-02 2018-01-02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90176605A KR102397466B1 (ko) 2018-01-02 2019-12-27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255A KR20190082536A (ko) 2018-01-02 2018-01-02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605A Division KR102397466B1 (ko) 2018-01-02 2019-12-27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536A true KR20190082536A (ko) 2019-07-10

Family

ID=6725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255A KR20190082536A (ko) 2018-01-02 2018-01-02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25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345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구매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32911B1 (ko) * 2021-10-12 2022-08-18 성일어페럴(주) 의류 제조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70179A (ko) * 2019-12-31 2023-05-22 임정훈 주류제품의 예약판매방법 및 이를 위한 예약판매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345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구매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70179A (ko) * 2019-12-31 2023-05-22 임정훈 주류제품의 예약판매방법 및 이를 위한 예약판매시스템
KR102432911B1 (ko) * 2021-10-12 2022-08-18 성일어페럴(주) 의류 제조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1271A1 (en) Smart appliance process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1533199B1 (ko)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식재료로 요리한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
CN111626672A (zh) 一种应急物资的订单处理方法和装置以及库存控制方法
KR20190082536A (ko)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EP1416405A1 (en)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program
KR20170101709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도시락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11399A (ko) 웰빙간식 서브스크립션 시스템
KR102396451B1 (ko) 빅데이터 기반 정보 제공 배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119971A (ja) 需要予測システムおよび需要予測方法
KR101738987B1 (ko) 클러스터 기반의 온라인 판매 서비스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7466B1 (ko) 상품 예약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WO20070641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ale of product based on time cost
US78270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an additive for a product
KR20160064302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393916B1 (ko) 유무선 전화망 및 인터넷을 이용한 구매자 중심의 배송시간 결정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047140A1 (en) A stoc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1210304A (zh) 一种商品采购的方法及装置
JP6502549B2 (ja) 電子商取引統合管理システム
JP2021026520A (ja) サーバ
JP2007122675A (ja) 即時買い物システム
KR101607397B1 (ko) 소셜 플랫폼을 통한 주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01479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12061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TW201523489A (zh) 主動式行動購物提醒系統及其應用方法
KR102359800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도시락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