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379A -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379A
KR20190082379A KR1020170184958A KR20170184958A KR20190082379A KR 20190082379 A KR20190082379 A KR 20190082379A KR 1020170184958 A KR1020170184958 A KR 1020170184958A KR 20170184958 A KR20170184958 A KR 20170184958A KR 20190082379 A KR20190082379 A KR 20190082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giver
care
terminal device
help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인수
Original Assignee
신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4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2379A/ko
Publication of KR2019008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하는 대상물에 부착하여 고정시킨 후 부착된 대상물에 대한 돌봄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선택된 돌봄 종류에 따라 대상물의 현재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돌봄 관리정보를 생성시켜 제공되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돌보미 대상에 부착,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돌보미 디바이스 기능 설정정보에 응하여 돌보미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고, 돌보미 프로그램에 따라 돌보미 대상물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송출하는 돌보미 디바이스(100); 및 돌보미 디바이스(100)를 등록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 등록된 돌보미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돌보미 디바이스 기능 설정정보를 돌보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고, 돌보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돌보미 대상의 현재 상태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돌보미 단말장치(200)를 포함한다. 이에, 돌봐야 하는 대상이나 환경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그 기능을 변경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Internet of things based caring system}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하는 대상물에 부착하여 고정시킨 후 부착된 대상물에 대한 돌봄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선택된 돌봄 종류에 따라 대상물의 현재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돌봄 관리정보를 생성시켜 제공되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센서가 구비된 디바이스를 목걸이형태, 팔찌형태, 브로치형태로 제작한 후 돌봐야 하는 대상에 이를 착용 또는 부착시킨 후 센서를 통해 돌봐야 하는 대상의 현재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수집결과를 분석하여 케어 정보를 생성시켜 제공하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돌봐야 하는 대상이나 환경에 맞추어서 제작, 공급되기 때문에 돌봐야 하는 대상이나 환경이 변화되는 디바이스 자체가 쓸모가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쓸모없는 디바이스의 경우 대체적으로 사용하지 않아 폐기되기 때문에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7-0024966 호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에 발맞추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원하는 대상물에 부착하여 고정시킨 후 부착된 대상물에 대한 돌봄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선택된 돌봄 종류에 따라 대상물의 현재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돌봄 관리정보를 생성시켜 제공되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은, 돌보미 대상에 부착,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돌보미 디바이스 기능 설정정보에 응하여 돌보미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고, 돌보미 프로그램에 따라 돌보미 대상물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송출하는 돌보미 디바이스(100); 및 돌보미 디바이스(100)를 등록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 등록된 돌보미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돌보미 디바이스 기능 설정정보를 돌보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고, 돌보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돌보미 대상의 현재 상태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돌보미 단말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기저귀교환 알림 어플, 미아/분실물 예방 서비스 어플, 위치기반 서비스 어플 중 하나의 어플을 제공하며, 상기 어플을 통해 돌보미 단말장치(200)에 저장된 돌보미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돌보미 관리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돌보미 디바이스(100) 및 상기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비콘 통신 방식으로 정보들을 상호간에 송수신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돌보미 디바이스(100)는 미아, 분실물 예방 기능, 기저귀교환 알림 기능, 위치기반서비스 기능 중 돌보미 단말장치(200)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따라 돌보미 대상의 현재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돌보미 디바이스(100)는 돌보미 단말장치(200)의 호출신호에 응하여 돌보미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응답신호를 돌보미 단말장치(200)로 송출하고,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돌보미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신호의 수신세기를 체크하고, 수신세기를 기반으로 돌보미 디바이스(100)와의 통신 거리를 산출하고, 통신 거리를 기반으로 돌보미 디바이스(100)가 보호범위 권역을 이탈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이탈한 경우 이탈 알람 정보를 생성시켜 화면상에 표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돌보미 디바이스(100)는, 돌보미 단말장치(200)의 호출신호에 응하여 작동알림신호를 송출하고,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돌보미 디바이스(100)로 호출신호를 송출하고, 호출신호에 응하여 작동알림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위치를 추출하여 돌보미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돌보미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돌보미 디바이스(100) 식별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DB로 구축하여 저장, 관리하는 돌보미 관리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하는 대상물에 부착하여 고정시킨 후 부착된 대상물에 대한 돌봄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선택된 돌봄 종류에 따라 대상물의 현재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돌봄 관리정보를 생성시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돌봐야 하는 대상이나 환경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그 기능을 변경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은, 돌보미 디바이스(100), 돌보미 단말장치(200), 돌보미 관리서버(400), 비콘통신망(500)으로 이루어진다.
돌보미 디바이스(100)는 돌보미 대상에 부착,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돌보미 디바이스 기능 설정정보에 응하여 돌보미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고, 돌보미 프로그램에 따라 돌보미 대상물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송출한다,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돌보미 디바이스(100)를 등록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돌보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돌보미 대상의 현재 상태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돌보미 디바이스(100) 및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비콘 통신 방식으로 정보들을 상호간에 송수신시킨다.
돌보미 디바이스(100)가 기저귀교환 알람 기능을 가지는 디바이스로 활용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및 습도 감지부(110), 제어부(120), 비콘통신부(1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온도 및 습도 감지부(110)가 기저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온도값 및 습도값을 제어부(120)로 출력하고, 제어부(120)는 돌보미 디바이스(100)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온도값 및 습도값을 돌보미 단말장치(200)로 송출한다.
돌보미 디바이스(100)가 미아방지/분실물 예방 기능을 가지는 디바이스로 활용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와 비콘통신부(130)만 구비되어 있고, 돌보미 디바이스(100)는 전원이 온되면 작동알림신호를 돌보미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돌보미 단말장치(200)로 송출한다.
돌보미 단말장치(200)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돌보미 단말장치(200)를 통해 돌보미 관리서버(4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기저귀교환 알람 어플, 미아방지/분실물 예방 서비스 어플, 위치기반서비스 어플 중 원하는 어플을 다운로드받아 탑재하면 된다.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메인제어부(220)의 제어에 응하여 메뉴 설정화면을 비롯하여 메시지 화면을 출력시키는 터치스크린(210)과, 메인제어부(220)와, 메인제어부(220)의 제어에 응하여 돌보미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30)로 이루어진다.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_기저귀교환 알람 서비스)
첫번째 실시예인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이 기저귀 교환 알람 서비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돌보미 단말장치(200)를 이용하여 돌보미 관리서버(4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기저귀교환 알림 어플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켜 설치하고, 기저귀에 장착시킬 돌보미 디바이스(100)와 링크시킨다.
그리고 돌보미 디바이스(100)의 전원을 온시키면 돌보미 디바이스(100)의 온도/습도 감지부(110)는 기저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값 및 습도값을 돌보미 단말장치(200)로 송출한다.
그러면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링크된 돌보미 디바이스(100)로부터 온도값 및 습도값을 제공받아 기저귀교환 시기인지 체크하여 알람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돌보미 디바이스(100)는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 및 습도 감지부(110)와, 비콘통신부(130)를 통해 돌보미 디바이스 기능 설정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돌보미 디바이스 설정정보로 돌보미 디바이스(100)가 동작되도록 모드를 설정하여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비콘통신망(300)을 통해 돌보미 단말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비콘 통신부(130)로 이루어진다.
제어부(120)는 돌보미 단말장치(200)로부터 기저귀교환 알림 기능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돌보미 디바이스(100)가 기저귀교환 알림 모드로 작동되도록 한다. 이에 제어부(120)는 주기적으로 온도 및 습도 감지부(110)를 통해 돌보미 디바이스(100)의 주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온도값 및 습도값을 돌보미 단말장치(200)로 전송한다.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돌보미 디바이스(100)로부터 온도값 및 습도값을 입력받아 기준 온도 및 습도값과 비교하고, 기준 온도 및 습도값보다 커지면 기저귀 교환시기인 것으로 판단하여 기저귀교환 알람정보를 생성시켜 터치스크린(210) 상으로 표출시킨다.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터치스크린(210)을 통해 기저귀교환 알람정보를 표출시킨 이후에 돌보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온도값 및 습도값이 기준 온도 및 습도값 이하로 떨어지지 않은 경우 기저귀교환 알람정보를 일정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터치스크린(210) 화면을 통해 출력시킨다.
본 발명인 돌보미 시스템이 어린이집, 요양시설 등과 같이 돌봐야 하는 대상이 다수이고, 다수의 돌봐야 하는 대상이 착용한 기저귀에 돌보미 디바이스(100)가 모두 부착된 상태에서 대한 구성을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보미 디바이스(100)의 전원이 온되면,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전원이 온된 돌보미 디바이스(100)와 링크를 시도하고 링크된 돌보미 디바이스(100)를 터치스크린(210) 화면상에 아이콘 형태로 출력시켜 관리자로 하여금 모두 체크하도록 유도한다.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돌보미 디바이스(100)들로부터 온도값 및 습도값을 주기적으로 수신받아 기준 온도값 및 습도값보다 큰 온도값 및 습도값을 송출한 돌보미 디바이스(100)에 대해서 기저귀교환 알람 정보를 생성시켜 저장하는 한편, 터치스크린(210) 화면상의 해당 돌보미 디바이스 아이콘에 대해서만 그 색상을 기저귀 알람신호 색상(예를 들면 적색색상)으로 변경시켜 관리자로 하여금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관리자가 아이콘을 통해 기저귀교환 알람을 인식하고 기저귀를 교환하게 되면, 돌보미 디바이스(100)는 낮은 온도값 및 습도값을 송출하게 되고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낮은 온도값 및 습도값을 입력받아 해당 돌보미 디바이스 아이콘을 정상색상(예를 들면 녹색색상)으로 변경한다.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기저귀교환 알람정보들을 돌보미 디바이스(100)별로 저장, 관리하고 있다가, 주기적으로 또는 보호자의 요청에 응하여 보호자 단말기(300)로 송출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또한, 돌보미 관리서버를 별도로 구축하여 돌보미 단말장치(200)에서 수집한 기저귀교환 알람정보들을 돌보미 관리서버(400)로 송출하고, 돌보미 관리서버(400)는 이를 모두 제공받아 정리, 관리하여, 관리자들을 비롯하여 보호자들이 온라인 접속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물인터넷 가반의 돌보미 시스템 중 기저귀교환 알람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미아, 분실물 예방 기능, 기저귀교환 알림 기능, 위치기반서비스 기능 중 어느 기능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S110)한다.
한편, S110 단계의 판단 결과, 기저귀교환 알람 기능이 선택되어 설정된 경우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돌보미 디바이스(100)의 식별정보를 등록시키도록 안내(S120)하고 돌보미 디바이스(100)로부터 온도값 및 습도값이 수신되는지를 판단(S122)하고, 판단 결과 온도값 및 습도값이 수신되면 온도값 및 습도값을 분석(S124)하고, 분설 결과 기저귀 교체 시기인지를 판단(S126)한다.
S124 단계의 판단 결과 기저귀 교체 시기이면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터치스크린(210) 화면상에 기저귀 교체 시기 알림 메시지를 출력(S128)한다. 만약에 하나의 돌보미 단말장치(200)가 여러대의 돌보미 디바이스(100)를 관리하고 있는 경우 터치스크린(210) 화면상에 돌보미 디바이스(100) 식별정보와 함께 기저귀 교체시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기저귀 교체시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돌보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온도값 및 습도값을 통해 기저귀가 교체되었는지를 판단(S130)한다.
S128 단계의 판단 결과, 기저귀가 교체된 경우 S120 단계부터 반복수행하고, 기저귀가 교체되지 않은 경우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터치스크린(210) 화면에 기저귀 교체 알림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출력(S132)되도록 한다.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_미아방지/분실물 예방 서비스)
두번째 실시예인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이 미아방지/분실물 예방 서비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돌보미 단말장치(200)에 미아방지/분실물 예방 서비스 어플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고 돌보미 디바이스(100)의 전원이 온되어 돌보미 단말장치(200)와 돌보미 디바이스(100)가 링크되면 돌보미 디바이스(100)는 돌보미 디바이스 식별정보와 함께 작동알림신호를 돌보미 단말장치(200)로 송출하고,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작동알림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돌보미 단말장치(200)와 돌보미 디바이스(100) 상호간의 거리를 측정하게 되고, 상호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으로 길어지면 돌보미 디바이스(100)를 부착하고 있는 아이가 미아가 될 확률이 있다고 판단하거나, 또는 돌보미 디바이스(100)를 부착하고 있는 물품이 분실될 확률이 있다고 판단하여 알람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시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즉,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돌보미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작동알림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동알림신호의 수신세기를 체크하고, 수신세기를 기반으로 돌보미 디바이스(100)와의 통신 거리를 산출한다.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통신 거리를 기반으로 돌보미 디바이스(100)가 보호범위 권역을 이탈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이탈한 경우 이탈 알람 정보를 생성시켜 터치스크린(210) 화면상에 표출시킨다.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터치스크린(210) 화면상에 돌보미 단말장치(200)를 중심으로 기준 통신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그려서 표시하고, 원 상에 돌보미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표시한다.
기준 통신 거리는 관리자 또는 보호자가 눈으로 보호대상을 확인할 수 있는 거리에 해당되며, 원상의 위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거리정보만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물인터넷 가반의 돌보미 시스템 중 미아방지/분실물 예방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물인터넷 가반의 돌보미 시스템 중 미아방지/분실물 예방 서비스 방법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S110 단계의 판단 결과, 미아방지/분실물 예방 기능이 선택되어 설정되면,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돌보미 디바이스(100)의 식별정보를 등록시키도록 지원하고 돌보미 디바이스(100) 식별정보가 등록되면 돌보미 디바이스(100)와의 통신 가능 거리를 기반으로 추적 반경을 설정하여 터치스크린 화면상에 표출(S112)시킨다.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돌보미 디바이스(100)로부터 돌보미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작동알림신호를 수신받고, 작동알림신호의 통신세기를 체크하고, 작동알림신호의 통신세기에 따라 추적 반경 내에 그 위치를 표시(S114)하고 추적 반경을 이탈하였는지를 판단(S116)한다.
S116 단계의 판단 결과 돌보미 디바이스(100)가 추적 반경을 이탈한 경우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터치스크린(210) 화면상에 알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S118)시키는 한편 스피커를 통해 알람신호가 송출되도록 하여, 보호자로 하여금 보호대상이 미아 상태가 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자신의 물건이 분실된 상태임을 인지하도록 한다.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_위치기반 서비스)
세번째 실시예인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이 위치기반 서비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위치기반 서비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보미 디바이스(100), 돌보미 단말장치(200), 돌보미 관리서버(400) 및 관리자 단말기(400)로 이루어진다.
돌보미 디바이스(100)는 돌보미 단말장치(200)의 호출신호에 응하여 작동알림신호를 송출한다.
돌보미 디바이스(100)는 돌보미 단말장치(200)의 호출신호에 응하여 작동알림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120)와, 작동알림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비콘통신부(130)로 이루어진다.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돌보미 디바이스(100)로부터 작동알림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위치를 추출하여 돌보미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작동알림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230)와, 통신부(230)를 통해 작동알림신호를 수신받으면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돌보미 디바이스(100)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통신부(230)를 통해 돌보미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메인제어부(220)와, 메인제어부(220)의 제어에 응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GPS부(240)와, 메인제어부(220)의 제어에 응하여 화면상에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된 문자를 표출시키는 터치스크린(21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GPS 모듈이 탑재된 휴대폰이고, 돌보미 서비스 어플이 탑재된 휴대폰이다.
돌보미 관리서버(400)는 돌보미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돌보미 디바이스(100) 식별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DB로 구축하여 저장, 관리한다.
돌보미 관리서버(400)는 돌보미 디바이스(100)를 가지고 있는 이동체들이 이동하는 지역의 맵을 터치스크린(210)의 화면상에 표출시킨 후 이동체들의 위치정보들을 맵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이동체들이 이동거리 및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 단말기(500)는 돌보미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휴대폰으로 돌보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돌보미 관리서버(4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이동체들의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를 시각적으로 제공받아, 관리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돌보미 관리서버(400)는 위치기반서비스 어플을 제공할 때 기사용 및 관리자용을 별도로 제작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기사가 소유하고 있는 돌보미 단말장치(200)에 설치되는 위치기반서비스 어플은 돌보미 디바이스(100)의 작동알림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돌보미 관리서버(400)로 전송하고, 관리자가 소유하고 있는 돌보미 단말장치(200)에 설치되는 위치기반서비스 어플은 기사가 소유하고 있는 돌보미 단말장치(200)에서 전송하는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이동경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물인터넷 가반의 돌보미 시스템 중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물인터넷 가반의 돌보미 시스템 중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S110 단계의 판단 결과, 위치기반 서비스 기능이 선택되어 설정되면,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돌보미 디바이스(100)로부터 작동알림신호를 수신받는다.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작동알림신호가 수신되면 GPS부(240)를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추출(S136)하고, 돌보미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돌보미 관리서버(400)로 송출(S138)한다.
돌보미 관리서버(400)는 돌보미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DB로 구축하여 저장, 관리하는 한편, 돌보미 관리서버(400)의 화면상에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맵을 디스플레이시키고, 이동체의 위치를 맵 상에 표시하여 제공한다. 이때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일정 간격으로 돌보미 디바이스(100)로부터 작동알림신호를 수신받아 위치정보를 돌보미 관리서버(400)로 송출하고, 돌보미 관리서버(400)는 화면상에 위치정보를 표시하여 경로정보를 생성시키게 된다.
그러면 관리자는 맵 상의 이동체의 위치정보 뿐만 아니라 경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동체가 정상적인 경로로 정상적으로 이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는 화물차량, 버스 등 일정 경로를 운행해야 하는 수단일 수도 있으나, 학교 또는 학원 등을 다니는 학생 등과 같이 사람일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돌보미 단말장치(200)에서 돌보미 디바이스(100)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돌보미 디바이스(100)에서 일정 간격으로 작동알림신호를 돌보미 단말장치(200)로 송출하고, 돌보미 단말장치(200)에서 이를 수신하여 해당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돌보미 디바이스
110 : 온도 및 습도감지부 120 : 제어부
130 : 비콘통신부
200 : 돌보미 단말장치
210 : 터치스크린 220 : 메인제어부
230 : 통신부 240 : GPS부
300 : 보호자 단말기
400 : 돌보미 관리서버
50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6)

  1. 돌보미 대상에 부착,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돌보미 디바이스 기능 설정정보에 응하여 돌보미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고, 상기 돌보미 프로그램에 따라 돌보미 대상물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송출하는 돌보미 디바이스(100);
    기저귀교환 알림 어플, 미아/분실물 예방 서비스 어플, 위치기반 서비스 어플 중 하나의 어플을 탑재하고 있으며, 상기 어플을 통해 상기 돌보미 디바이스(100)를 등록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 등록된 돌보미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상기 돌보미 디바이스 기능 설정정보를 상기 돌보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고, 상기 돌보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돌보미 대상의 현재 상태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돌보미 단말장치(200); 및
    기저귀교환 알림 어플, 미아/분실물 예방 서비스 어플, 위치기반 서비스 어플 중 하나의 어플을 제공하며, 상기 어플을 통해 돌보미 단말장치(200)에 저장된 돌보미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돌보미 관리서버(400);
    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교환 알림 어플, 미아/분실물 예방 서비스 어플, 위치기반 서비스 어플 중 하나의 어플을 제공하며, 상기 어플을 통해 돌보미 단말장치(200)에 저장된 돌보미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돌보미 관리서버(400)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보미 디바이스(100) 및 상기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비콘 통신 방식으로 정보들을 상호간에 송수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보미 디바이스(100)는 미아, 분실물 예방 기능, 기저귀교환 알림 기능, 위치기반서비스 기능 중 돌보미 단말장치(200)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따라 돌보미 대상의 현재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보미 디바이스(100)는 돌보미 단말장치(200)의 호출신호에 응하여 돌보미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응답신호를 돌보미 단말장치(200)로 송출하고,
    상기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돌보미 디바이스 식별정보 및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신호의 수신세기를 체크하고, 수신세기를 기반으로 돌보미 디바이스(100)와의 통신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통신 거리를 기반으로 돌보미 디바이스(100)가 보호범위 권역을 이탈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이탈한 경우 이탈 알람 정보를 생성시켜 화면상에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보미 디바이스(100)는, 돌보미 단말장치(200)의 호출신호에 응하여 작동알림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돌보미 단말장치(200)는, 돌보미 디바이스(100)로 호출신호를 송출하고, 호출신호에 응하여 작동알림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위치를 추출하여 돌보미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돌보미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돌보미 디바이스(100) 식별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DB로 구축하여 저장, 관리하는 돌보미 관리서버(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
KR1020170184958A 2017-12-30 2017-12-30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 KR20190082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958A KR20190082379A (ko) 2017-12-30 2017-12-30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958A KR20190082379A (ko) 2017-12-30 2017-12-30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379A true KR20190082379A (ko) 2019-07-10

Family

ID=6725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958A KR20190082379A (ko) 2017-12-30 2017-12-30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23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966A (ko) 2015-08-27 2017-03-08 주식회사 텔레웍스 Ble를 활용한 미아방지 서비스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966A (ko) 2015-08-27 2017-03-08 주식회사 텔레웍스 Ble를 활용한 미아방지 서비스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938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beacon broadcast in response to sensor data
CN102074101B (zh) 采用无线便携式检测器和中心站的区域报警系统
US9761096B2 (en) Active emergency exit systems for buildings
US9824571B2 (en) Alerting on proximity of items
KR101556675B1 (ko) 통신단말을 이용한 이동비콘의 위치산출방법
AU2024202572A1 (en) Object monitoring system
US20130196613A1 (en)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102644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105464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safety of field workers
KR101502739B1 (ko) 메신저 앱을 활용한 실종 또는 분실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2379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돌보미 시스템
KR101487208B1 (ko) 푸시 방식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제공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KR101066561B1 (ko)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17940A (ko) 딥러닝 기반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8194498A (ja) 発信機の保守点検支援システム
US20240212407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a wearable interactive id badge
KR101571927B1 (ko) 특정 지역의 인스턴트 메시지 및 위치를 능동적으로 고지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Divya Developing a Fall Detection Technology for Mobility and System Level
KR20190118810A (ko) 단말기를 이용한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