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911A - 이미지 패닝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패닝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1911A KR20190081911A KR1020170184772A KR20170184772A KR20190081911A KR 20190081911 A KR20190081911 A KR 20190081911A KR 1020170184772 A KR1020170184772 A KR 1020170184772A KR 20170184772 A KR20170184772 A KR 20170184772A KR 20190081911 A KR20190081911 A KR 201900819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tity
- image
- screen
- drag
- window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4091 pann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278 non-syndromic brachydactyly of finger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20—Linear transl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제1 개체 상에 제2 개체를 배치시키기 위하여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체를 상기 제1 개체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제1 개체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개체에 대한 드래그가 종료되면 상기 제1 개체 상의 상기 드래그의 종료 위치에 상기 제2 개체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개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개체의 종단이 상기 화면의 종단에 도달해도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제1 개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개체를 상기 제1 개체의 종단 근처까지 또는 상기 제1 개체의 종단을 벗어나 상기 제1 개체의 외부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를 허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이미지 뷰어에서 도 1의 멀티 심도 이미지가 실제로 화면에 표시되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제2 개체의 선택에 따른 화면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제2 개체의 드래그에 따른 화면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제2 개체가 외부영역으로 드래그된 상태에서 추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제2 개체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의 위치가 화면 중앙이 아닌 경우의 제2 개체의 선택에 따른 화면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제2 개체가 이미 부모 이미지에 삽입된 이미지인 경우 제2 개체의 선택에 따른 화면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화면에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큰 부모 이미지를 화면에 들어갈 크기로 축소하지 않았거나 화면에 들어가는 부모 이미지를 화면에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확대한 상태에서 제2 개체를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제2 개체의 선택에 따른 화면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화면에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큰 부모 이미지를 화면에 들어갈 크기로 축소하지 않았거나 화면에 들어가는 부모 이미지를 화면에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확대한 상태에서 제2 개체를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제2 개체의 드래그에 따른 제1 개체, 부모 이미지 및 윈도우의 이동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서, 화면에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큰 부모 이미지를 화면에 들어갈 크기로 축소하지 않았거나 화면에 들어가는 부모 이미지를 화면에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확대한 상태에서 제2 개체를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제2 개체의 윈도우 밖으로 드래그되었을 때 제1 개체, 부모 이미지 및 윈도우의 이동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패닝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14)
- 전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제1 개체 상에 제2 개체를 배치시키기 위하여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체를 상기 제1 개체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제1 개체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개체에 대한 드래그가 종료되면 상기 제1 개체 상의 상기 드래그의 종료 위치에 상기 제2 개체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개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개체의 종단이 상기 화면의 종단에 도달해도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제1 개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개체를 상기 제1 개체의 종단 근처까지 또는 상기 제1 개체의 종단을 벗어나 상기 제1 개체의 외부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를 허용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체는 이미지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체를 배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개체 내의 상기 종료 위치에 상기 제2 개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체의 종단을 벗어나는 상기 제1 개체의 외부영역으로의 드래그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체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외부영역으로의 드래그의 방향 및 상기 제1 개체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외부영역으로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체가 상기 제1 개체의 종단을 벗어나 상기 외부영역으로 드래그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이벤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개체 상에 배치할 상기 제2 개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개체를 아이콘화하여 상기 화면의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좌표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의 중앙로부터 상기 수신된 좌표를 향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된 제1 개체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체 상에 이미 배치된 상기 제2 개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제2 개체의 배치된 위치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 제1 개체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개체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강조하기 위한 윈도우를 상기 제1 개체 상에 오버랩시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개체에 대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제1 개체와 상기 윈도우를 동시에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체 중 상기 윈도우의 내부에 표시되는 영역과 상기 윈도우의 외부에 표시되는 영역은 서로 다른 시각적 효과로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체에 대한 제1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상기 윈도우의 외부에서 정지되면, 상기 윈도우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개체를 제1 속도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체에 대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상기 윈도우의 외부에서 정지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개체를 상기 제1 속도와 다른 제2 속도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체를 다시 상기 윈도우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드래그하면, 상기 제1 개체를 제1 속도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4772A KR102509976B1 (ko) | 2017-12-29 | 2017-12-29 | 이미지 패닝 방법 |
PCT/KR2018/016816 WO2019132563A1 (ko) | 2017-12-29 | 2018-12-28 | 이미지 패닝 방법 |
EP18896034.8A EP3734431A4 (en) | 2017-12-29 | 2018-12-28 | PICTURE PANORAMIC CREATION PROCESS |
US16/958,562 US11243678B2 (en) | 2017-12-29 | 2018-12-28 | Method of panning image |
JP2020536663A JP6995208B2 (ja) | 2017-12-29 | 2018-12-28 | 画像のパンニング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4772A KR102509976B1 (ko) | 2017-12-29 | 2017-12-29 | 이미지 패닝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1911A true KR20190081911A (ko) | 2019-07-09 |
KR102509976B1 KR102509976B1 (ko) | 2023-03-14 |
Family
ID=6706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4772A KR102509976B1 (ko) | 2017-12-29 | 2017-12-29 | 이미지 패닝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243678B2 (ko) |
EP (1) | EP3734431A4 (ko) |
JP (1) | JP6995208B2 (ko) |
KR (1) | KR102509976B1 (ko) |
WO (1) | WO201913256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9714B1 (ko) * | 2018-12-26 | 2024-11-13 |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 멀티 뎁스(multi-depth) 이미지 생성 및 뷰잉 |
USD945390S1 (en) * | 2019-09-24 | 2022-03-08 |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 Mobile phone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58952A (ja) * | 1996-03-21 | 1997-10-03 | Oki Electric Ind Co Ltd | カードベースハイパーメディア編集制御方法とシステム |
US20070097150A1 (en) * | 2005-10-28 | 2007-05-03 | Victor Ivashin | Viewport panning feedback system |
US20110302532A1 (en) * | 2010-06-04 | 2011-12-08 | Julian Missig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User Interface Using a Dynamic Object Selection Indicator |
US20140258903A1 (en) * | 2011-09-28 | 2014-09-11 | Sharp Kabushiki Kaisha |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for enhancing visibility |
KR20140120628A (ko) * | 2013-04-04 | 2014-10-14 | 박정환 | 개체가 삽입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96838A (en) * | 1990-12-28 | 1993-03-23 | Apple Computer, Inc. | Intelligent scrolling |
US5611060A (en) * | 1995-02-22 | 1997-03-11 | Microsoft Corporation | Auto-scrolling during a drag and drop operation |
US7191402B2 (en) * | 2001-05-10 | 2007-03-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ntrast and sharpness for regions in a display device |
US7665028B2 (en) * | 2005-07-13 | 2010-02-16 | Microsoft Corporation | Rich drag drop user interface |
US8074181B2 (en) * | 2008-09-15 | 2011-12-06 | Microsoft Corporation | Screen magnifier panning model with dynamically resizable panning regions |
JP5704655B2 (ja) * | 2012-04-12 | 2015-04-22 | 株式会社Nttドコモ |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
KR20140016454A (ko) * | 2012-07-30 | 2014-02-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드래그 제어 방법 및 장치 |
US10824313B2 (en) * | 2013-04-04 | 2020-11-03 | P.J. Factory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d editing object-inserted images |
US20140372923A1 (en) * | 2013-06-14 | 2014-12-18 | Microsoft Corporation | High Performance Touch Drag and Drop |
GB2516029A (en) * | 2013-07-08 | 2015-01-14 | Ibm | Touchscreen keyboard |
-
2017
- 2017-12-29 KR KR1020170184772A patent/KR10250997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12-28 EP EP18896034.8A patent/EP373443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8-12-28 US US16/958,562 patent/US11243678B2/en active Active
- 2018-12-28 JP JP2020536663A patent/JP6995208B2/ja active Active
- 2018-12-28 WO PCT/KR2018/016816 patent/WO2019132563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58952A (ja) * | 1996-03-21 | 1997-10-03 | Oki Electric Ind Co Ltd | カードベースハイパーメディア編集制御方法とシステム |
US20070097150A1 (en) * | 2005-10-28 | 2007-05-03 | Victor Ivashin | Viewport panning feedback system |
US20110302532A1 (en) * | 2010-06-04 | 2011-12-08 | Julian Missig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User Interface Using a Dynamic Object Selection Indicator |
US20140258903A1 (en) * | 2011-09-28 | 2014-09-11 | Sharp Kabushiki Kaisha |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for enhancing visibility |
KR20140120628A (ko) * | 2013-04-04 | 2014-10-14 | 박정환 | 개체가 삽입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341608A1 (en) | 2020-10-29 |
WO2019132563A1 (ko) | 2019-07-04 |
JP6995208B2 (ja) | 2022-01-14 |
KR102509976B1 (ko) | 2023-03-14 |
EP3734431A4 (en) | 2021-09-22 |
US11243678B2 (en) | 2022-02-08 |
JP2021508890A (ja) | 2021-03-11 |
EP3734431A1 (en) | 2020-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56035B2 (en) | Triggering display of application | |
KR10233967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
RU2540826C2 (ru) | Активация внутренней прокрутки и декорирование курсора | |
US8239785B2 (en) | Edge gestures | |
US8261213B2 (en) |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 |
US1074739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s through application selection screen | |
US10001897B2 (en) | User interface tools for exploring data visualizations | |
KR102118223B1 (ko) | 크로스 윈도우 애니메이션 | |
KR102009054B1 (ko) | 제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수식 입력 기법 | |
US20110191718A1 (en) | Link Gestures | |
US20110181524A1 (en) | Copy and Staple Gestures | |
US20110185299A1 (en) | Stamp Gestures | |
US20110191704A1 (en) | Contextual multiplexing gestures | |
US20110185320A1 (en) | Cross-reference Gestures | |
US20110191719A1 (en) | Cut, Punch-Out, and Rip Gestures | |
US20140052763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KR102205283B1 (ko) |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20180284954A1 (en) | Identifying a target area to display a popup graphical element | |
KR10237799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타일을 정의하기 위한 이동 수단,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방법 | |
CN105528159A (zh) | 一种图片的操作方法和操作装置 | |
KR20160064925A (ko) |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747299B1 (ko) |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 |
JP6995208B2 (ja) | 画像のパンニング方法 | |
CN104898928A (zh) | 一种图文信息展示方法及终端 | |
US20140108982A1 (en) | Object placement within interfa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