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773A - 보조기능광원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보조기능광원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773A
KR20190081773A KR1020170184540A KR20170184540A KR20190081773A KR 20190081773 A KR20190081773 A KR 20190081773A KR 1020170184540 A KR1020170184540 A KR 1020170184540A KR 20170184540 A KR20170184540 A KR 20170184540A KR 20190081773 A KR20190081773 A KR 20190081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unit
failure
source group
low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원홍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4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1773A/ko
Priority to CN201821897113.6U priority patent/CN209897311U/zh
Publication of KR20190081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05B33/088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H05B33/0824
    • H05B33/0842
    • H05B37/0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H05B47/29Circuits providing for substitution of the light source in case of its fail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광원그룹이 직렬로 연결되는 광원부, 광원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광원그룹 중 하나 이상의 광원그룹에 대한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스위칭부, 고장 정보를 생성하는 고장신호생성부, 및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광원 그룹 중 하나 이상의 광원그룹을 바이패스시키도록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직렬로 연결된 보조광원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주광원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기능광원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Light driving apparatus for fail safety of sub light sour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원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기능 광원들에 대한 바이패스를 형성하여, 보조기능 광원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주광원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광원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차량의 헤드 램프 분야의 광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차량의 엘이디와 같은 발광 모듈의 구동을 위해서는 정 전류 공급 모듈인 발광모듈 드라이버가 사용되며, 특히 로우빔(Low Beam), 하이빔(High Beam)의 경우 높은 광량이 요구되므로 발광모듈 드라이버의 출력 전력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효율에 따라 전력 소모량과 발열량에 차등이 발생한다.
발광모듈 드라이버는 엘이디와 같은 발광 모듈의 구성에 따라 DC/DC 컨버터의 벅(Buck), 부스트(Boost), 벅-부스트(Buck- Boost) 토폴리지(topology)가 사용된다. 최근에, 차량용 엘이디의 효율이 향상되어 로우빔, 하이빔을 구성하는 엘이디의 개수가 줄어듬에 따라 기존 부스트(Boost) 토폴리지 보다 벅-부스트(Buck- Boost) 토폴리지를 사용하는 빈도가 늘고 있다.
또한, 차량의 로우빔에 대응되는 발광모듈 드라이버와, 차량의 하이빔에 대응되는 발광모듈 드라이버가 각각 구분되어 구비됨에 따라, 로우빔 또는 하이빔을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발광모듈 드라이버들을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요구된다. 이를 해결책으로, 최근 기술에 발달에 따른 LDM의 출력 증가와 원가 절감을 위하여 여러 Function을 아래 그림과 같이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졌다. 하지만, 직렬로 연결함에 따라 보조기능(SUB LOW, SUB HIGH) 고장으로 인해 주광기능(LOW, HIGH)이 정지하게 되면 안전성에 큰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857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조기능 광원들에 대한 바이패스를 형성하여, 보조기능 광원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주광원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광원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구동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그룹이 직렬로 연결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광원그룹 중 하나 이상의 광원그룹에 대한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스위칭부; 고장 정보를 생성하는 고장신호 생성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 그룹 중 하나 이상의 광원그룹을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의 고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고장이 발생한 광원그룹을 도출하여 상기 고장이 발생한 광원그룹에 대한 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의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하는 고장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로우빔 광원그룹, 보조로우빔 광원그룹, 하이빔 광원그룹, 및 보조하이빔 광원그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 또는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의 출력단과 상기 전원부 사이에 피드백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전원부,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 및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으로 구성되는 피드백루프가 형성하는 제 1 스위칭부; 상기 광원부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접지경로를 형성하는 제 2 스위칭부;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의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는 제 3 스위칭부; 및 상기 보조하이빔 광원그룹의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는 제 4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의 동작모드는 로우빔 모드 또는 하이빔 모드이고, 상기 로우빔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스위칭부가 ON되고, 상기 제 2 스위칭부가 OFF되어,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 및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만 동작하고, 상기 하이빔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스위칭부 및 제 2 스위칭부의 동작상태가 상기 제 1 스위칭부가 OFF되고, 상기 제 2 스위칭부가 ON되어,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 하이빔 광원그룹, 및 보조하이빔 광원그룹 모두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가 로우빔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고장검출부가 상기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3 스위칭부를 ON시키고, 상기 광원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상기 제 3 스위칭부의 ON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 3 스위칭부를 ON시켜도 상기 고장검출부가 상기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 상기 광원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가 하이빔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고장검출부가 상기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4 스위칭부를 ON시키고, 상기 광원부의 고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 4 스위칭부의 ON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보조하이빔 광원그룹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보조하이빔 광원그룹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 4 스위칭부를 ON시켜도 상기 고장검출부가 상기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3 스위칭부를 ON시키고, 상기 광원부의 고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 3 스위칭부의 ON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스위칭부를 ON시켜도 상기 고장검출부가 상기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 상기 광원부의 모드를 로우빔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광원부의 고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로우빔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하이빔 광원그룹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하이빔 광원그룹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광원부의 모드를 로우빔 모드로 변경해도 상기 고장검출부가 상기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 상기 광원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렬로 연결된 보조광원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주광원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광원인 로우빔 또는 하이빔이 동작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구동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구동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구동장치에서 스위칭부의 동작상태에 따라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구동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구동장치(100)는 광원부(110), 전원부(120), 스위칭부(130), 제어부(140), 및 고장신호생성부(150)로 구성되며, 고장 검출부(도 2의 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10)는 복수의 광원그룹이 직렬로 연결된다. 광원부(110)에 포함되는 광원그룹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로우빔 광원그룹과 하이빔 광원그룹이 해당하는 주광원그룹뿐만 아니라, 상기 주광원그룹에 대한 보조기능을 수행하는 보조광원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광원그룹은 보조로우빔 광원그룹 또는 보조하이빔 광원그룹일 수 있다. 보조광원그룹들은 보조하는 각각의 주광원의 밝기를 보조하거나, 로우빔 모드에서 하이빔 광원그룹이 꺼지는 경우, 외부에서 보이는 차량의 미관을 위해 하이빔 광원그룹 영역이 켜져있는 것과 같이 보이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보조광원그룹은 그 역할이 보조이고, 주광원그룹은 주광원그룹만으로 법규를 만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주가주행 램프 광원그룹, 차폭 램프 광원그룹, 브레이크 램프 광원그룹, 턴 시그널 램프 광원그룹, 다이나믹 램프 광원그룹 또는 백업 램프 광원그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10)에 포함되는 광원그룹들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바, 개별적으로 광원그룹을 제어할 수 없는 경우, 하나의 광원그룹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광원그룹 전체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전원부(120)는 광원부(1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120)는 광원부(110)의 광원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광원부(1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120)는 차량전원으로부터 광원부(110)에 필요한 전력을 입력받는다. 전원부(120)는 차량전원으로부터 입력된 전력의 전압과 전류를 광원부(110)를 동작시키기 적합하도록 변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원부(120)는 DC-DC컨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정전압 DC-DC 컨버터인 pre-BOOST 및 정전류 DC-DC 컨터버인 Buck으로 구성될 수 있다. pre-BOOST에서 9 ~ 16 V인 차량전원을 광원부를 구동하기 적합하도록 전압을 변환하여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변환된 전압은 40 V일 수 있다. 이후 Buck에서 광원부를 구동하기 적합하도록 전류를 변환하여 일정한 전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광원부, 특히 LED는 전류에 민감한바, 전류의 변화가 커지면 LED가 훼손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원부(120)는 LC 필터(Lc, Cc), 정전류 제어 스위치부(SWc), 다이오드(Dc), 및 전류 측정 저항(Rc)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130)는 상기 광원그룹 중 하나 이상의 광원그룹에 대한 바이패스를 형성한다. 스위칭부(130)는 광원부의 모드를 로우빔 모드 또는 하이빔 모드로 구현되도록 로우빔 모드에 동작하는 광원그룹들에 대한 전원부(120)로의 피드백 경로를 형성하거나, 하이빔 모드에 동작하는 광원그룹들에 대한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주광원그룹 이외의 보조광원그룹들에 대해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경로는 직렬로 직접 연결된 복수의 보조광원그룹들에 형성되거나, 개별 광원그룹별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칭부(130)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스위칭 소자는 기계적 스위치, BJT 또는 FET 등의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스위칭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소자들이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어부(140)는 스위칭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상기 광원 그룹 중 하나 이상의 광원그룹을 바이패스시키도록 스위칭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전원부(120)를 제어하여 전원부에서 광원부로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스위칭부(130)에 포함되는 스위칭소자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복수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하이(high) 신호와 로우(low) 신호를 이용할 수 있고, 하이 신호는 5 V 전압이고, 로우 신호는 0 V 전압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스위칭부의 스위칭소자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스위칭소자들을 하나의 신호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40)의 동작을 미리 설정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10)가 로우빔 광원그룹, 보조로우빔 광원그룹, 하이빔 광원그룹, 및 보조하이빔 광원그룹로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보조광원그룹의 고장에 대응하기 위해 스위칭부(130)를 제어하거나, 주광원그룹의 광축을 조절하는 에이밍(aming)을 위해 스위칭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보조광원그룹이 고장나더라도 주광원그룹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보조광원그룹들에 대한 바이패스 경로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광원그룹을 에이밍하는 경우, 보조광원그룹이 켜져있는 경우, 에이밍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에이밍 신호를 제어부(140)가 수신하면, 제어부는 보조광원그룹들에 대한 바이패스 경로를 동작시켜, 주광원그룹들만 켜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이밍을 쉽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광원부(110)의 고장이 감지되는 경우, 스위칭부(130)의 동작을 제어하여 고장이 발생한 광원그룹을 도출하여 상기 고장이 발생한 광원그룹에 대한 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광원부(110)의 고장이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광원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전원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고장신호생성부(150)는 광원부(110)에 대한 고장 정보를 생성한다. 광원부의 광원그룹별로 고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고장 정보를 차량 또는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차량 외부로 제공할 수도 있다.
광원부(110)의 고장 검출을 위해 전원부(120)의 출력단의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하는 고장 검출부를 이용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광원부(110)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 정전압 및 정전류를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광원부(11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전압과 전류에 변화가 발생한다. 여기서, 광원부(110)에서 고장은 복수의 광원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open)되거나 단락(short)되는 경우를 말한다. 특히, 전압이 커지는 Over Voltage 또는 전류가 커지는 Over Current가 발생하는 경우 광원들이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고장 검출부(160)는 광원부(110)와 연결되는 전원부(120)의 출력단의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한다. 전원부 내부의 저항을 이용하거나 전원부의 출력단에 저항을 연결하고, 저항 양단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할 수 있고, 저항의 출력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고장 검출부(160)가 고장을 감지하면, 고장이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고장이 감지되면, 우선, 광원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전원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스위칭부(130)의 동작상태를 바꿔가며 고장이 발생한 광원그룹에 바이패스를 동작시킨다. 이 과정에서 어떤 광원그룹에 고장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고, 고장이 발생한 광원그룹에 대한 정보를 광원구동장치 고장신호생성부(150)로 전달하여, 해당 광원그룹을 동작에서 배제하거나 교체나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원부(110), 스위칭부(130)가 구현되는 실시예 중 하나인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140)가 스위칭부(130)를 제어하여 고장에 대응하는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광원부(110) 또는 스위칭부(130)는 도 3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광원부(110)는 로우빔 광원그룹(111),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 하이빔 광원그룹(113), 및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이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로우빔 광원그룹(111)과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의 순서가 바뀌거나 하이빔 광원그룹(113)과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의 순서가 바뀔 수 있다. 도 3은 로우빔 광원그룹(111) 및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이 하이빔 광원그룹(113) 및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보다 전원부(120)에 먼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이빔 광원그룹(113) 및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이 로우빔 광원그룹(111) 및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보다 전원부(120)에 먼저 연결될 수도 있다.
스위칭부(130)는 제 1 스위칭부(131), 제 2 스위칭부(132), 제 3 스위칭부(133), 및 제 4 스위칭부(134)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스위칭부(131)는 로우빔 광원그룹(111) 또는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의 출력단과 전원부(120) 사이에 피드백경로를 형성하여 전원부(120), 로우빔 광원그룹(111), 및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으로 구성되는 피드백루프가 형성한다. 제 2 스위칭부(132)는 광원부(110)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접지경로를 형성한다.
광원부(110)는 로우빔 광원그룹(111) 및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이 동작하는 로우빔 모드와 로우빔 광원그룹(111),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 하이빔 광원그룹(113) 및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이 모두 동작하는 하이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 1 스위칭부(131)와 제 2 스위칭부(132)는 서로 반대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로우빔 모드와 하이빔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로우빔 모드에서는 제 1 스위칭부(131)가 ON되고, 제 2 스위칭부(132)가 OFF되어, 로우빔 광원그룹(111) 및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만 동작한다. 로우빔 모드에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는 도 4와 같다.
하이빔 모드에서는 제 1 스위칭부(131)가 OFF되고, 제 2 스위칭부(132)가 ON되어, 로우빔 광원그룹(111),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 하이빔 광원그룹(113) 및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이 모두 동작한다. 하이빔 모드에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는 도 5와 같다.
하이빔 광원그룹 및 보조하이빔 광원그룹이 로우빔 광원그룹 및 보조로우빔 광원그룹보다 전원부에 먼저 연결되는 경우에는 로우빔 모드에서 제 1 스위칭부에 희한 피드백 경로가 아닌 하이빔 광원그룹 및 보조하이빔 광원그룹을 지나는 경로를 우회할 수 있는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여 로우빔 모드를 구현할 수도 있다.
제 3 스위칭부(133)는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의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고, 제 4 스위칭부(134)는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의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한다. 제 3 스위칭부(133)가 ON되면,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전력이 인가되지 않고, 제 4 스위칭부(134)가 ON되면,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에 전력이 인가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광원부(110)와 스위칭부(130)가 구현되는 실시예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로우빔 모드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와 하이빔 모드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광원부(110)의 고장이 감지되고, 광원부의 모드가 로우빔 모드인 경우, 제어부(140)는 제 3 스위칭부(133)를 ON시키고, 광원부(1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제 3 스위칭부(133)의 ON 상태를 유지하고,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로우빔 모드는 도 4a와 같은 전류의 흐름을 갖는다. 이때 광원부(110)의 고장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우선 전원부(120)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이후 제 3 스위칭부(SW3)를 ON시키고 전원부(120)의 출력이 광원부(110)로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제 3 스위칭부(SW3)가 ON되면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대한 바이패스 경로가 동작하고, 전류는 도 4b와 같이, 전원부(120) -> 로우빔 광원그룹(111) -> 제 3 스위칭부(SW3) -> 제 1 스위칭부(SW1) -> 전원부의 입력단으로 흐른다. 즉, 로우빔 광원그룹만 동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광원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고장의 원인은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인바,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을 바이패스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 3 스위칭부(SW3)의 ON 상태를 유지하고,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제 3 스위칭부(SW3)를 ON시켜도 광원부(1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광원부(110)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전원부를 제어하고, 로우빔 광원그룹(111)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로우빔 광원그룹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150)로 전달한다. 도 4b의 경로에서도 광원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로우빔 광원그룹(111)에 고장이 발생한 것인바, 광원부(110)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전원부(120)를 제어하고, 로우빔 광원그룹(111)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로우빔 광원그룹(111)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고장이 발생했는지를 알고자 하는 경우, 로우빔 광원그룹(111)에 대한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는 스위칭부를 더 추가하여,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만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로우빔 광원그룹(111)이 고장시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도 고장이 발생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광원부(110)의 고장이 감지되고, 광원부의 모드가 하이빔 모드인 경우, 제어부(140)는 제 4 스위칭부(SW4)를 ON시키고, 광원부(1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제 4 스위칭부(SW4)의 ON 상태를 유지하고,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하이빔 모드는 도 5a와 같은 전류의 흐름을 갖는다. 이때 광원부(110)의 고장이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우선 전원부(120)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이후, 제 4 스위칭부(SW4)를 ON시키고 전원부(120)의 출력이 광원부(110)로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제 4 스위칭부(SW4)가 ON되면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에 대한 바이패스 경로가 동작하고, 전류는 도 5b와 같이, 전원부(120) -> 로우빔 광원그룹(111) ->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 -> 하이빔 광원그룹(113) -> 제 4 스위칭부(SW4) ->제 2 스위칭부(SW2) -> 접지로 흐른다. 즉,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만 동작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때, 광원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고장의 원인은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인바,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을 바이패스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 4 스위칭부(SW4)의 ON 상태를 유지하고,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제 4 스위칭부(SW4)를 ON시켜도 광원부(1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제 3 스위칭부(SW3)를 ON시키고, 광원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제 3 스위칭부(SW3)의 ON 상태를 유지하고,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150)로 전달한다. 제 4 스위칭부(SW4)를 ON시켜도 광원부(1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은 로우빔 광원그룹(111),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 또는 하이빔 광원그룹(113)에 고장이 발생한 광원그룹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바, 다음으로 제 3 스위칭부(SW3)를 ON시킨다. 주광원그룹의 동작이 최우선되는바, 로우빔 광원그룹(111),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 하이빔 광원그룹(113) 중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대한 고장판단을 우선적으로 실시하여,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의 동작없이 로우빔 광원그룹(111) 및 하이빔 광원그룹(113), 즉 주광원그룹의 정상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대한 고장판단을 위하여,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대한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 3 스위칭부(SW3)를 ON시킨다. 제 3 스위칭부(SW3)가 ON되면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대한 바이패스 경로가 동작하고, 전류는 도 5c와 같이, 전원부(120) -> 로우빔 광원그룹(111) -> 제 3 스위칭부(SW3) -> 하이빔 광원그룹(113) -> 제 4 스위칭부(SW4) -> 제 2 스위칭부(SW2) -> 접지로 흐른다. 즉, 로우빔 광원그룹(111) 및 하이빔 광원그룹(113)만 동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광원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고장의 원인은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인바,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을 바이패스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 3 스위칭부(SW3)의 ON 상태를 유지하고,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통해, 주광원그룹인 로우빔 광원그룹(111) 및 하이빔 광원그룹(113)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그리고,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제 3 스위칭부(SW3)를 ON시켜도 광원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광원부의 모드를 로우빔 모드로 변경하고, 광원부(1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상기 로우빔 모드를 유지하고, 하이빔 광원그룹(113)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하이빔 광원그룹(113)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150)로 전달한다. 제 3 스위칭부(SW3)를 ON시켜도 광원부(1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은 로우빔 광원그룹(111) 또는 하이빔 광원그룹(113)에 고장이 발생한 광원그룹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바, 하이빔 광원그룹(113)에 대한 고장판당르 하기 위하여 광원부의 모드를 로우빔 모드로 변경한다. 즉, 제 1 스위칭부(SW1)를 ON시키고, 제 2 스위칭부(SW2)를 OFF시킨다. 제 1 스위칭부(SW1)를 ON되고, 제 2 스위칭부(SW2)를 OFF되면, 전류는 도 4b와 같이, 전원부(120) -> 로우빔 광원그룹(111) -> 제 3 스위칭부(SW3) -> 제 1 스위칭부(SW1) -> 전원부의 입력단으로 흐른다. 즉, 로우빔 광원그룹(111)만 동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광원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고장의 원인은 하이빔 광원그룹(113)인바, 하이빔 광원그룹(113)이 동작하지 않도록 로우빔 모드를 유지하고, 하이빔 광원그룹(113)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하이빔 광원그룹(113)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서 하이빔보다 로우빔이 중요하다. 하이빔 광원그룹(113)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로우빔 광원그룹(113)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차량 운행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이빔 광원그룹(113)에 대한 고장이 확인되는 경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의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 3 스위칭부(SW3)를 OFF하여,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여 보조로우빔 광원그룹(112)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에 고장이 발생했는지를 알고자 하는 경우, 하이빔 광원그룹(113)에 대한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는 스위칭부를 더 추가하고, 하이빔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하이빔 광원그룹(113)이 고장시 보조하이빔 광원그룹(114)도 고장이 발생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제 1 스위칭부(SW1)를 ON시키고 제 2 스위칭부(SW2)를 OFF시켜도 광원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광원부(110)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전원부(120)를 제어하고, 로우빔 광원그룹(111)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로우빔 광원그룹(111)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150)로 전달한다. 도 4b의 경로에서도 광원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로우빔 광원그룹(111)에 고장이 발생한 것인바, 광원부(110)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전원부(120)를 제어하고, 로우빔 광원그룹(111)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로우빔 광원그룹(111)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요도에 따라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광원그룹의 순서를 정할 수 있다. 상기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광원그룹의 순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주변환경 또는 차량의 스펙이나 상태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 및 롬 (ROM), 램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원구동장치
110: 광원부,
111: 로우빔 광원그룹
112: 보조로우빔 광원그룹
113: 하이빔 광원그룹
114: 보조하이빔 광원그룹
120: 전원부
130: 스위칭부
131: 제 1 스위칭부
132: 제 2 스위칭부
133: 제 3 스위칭부
134: 제 4 스위칭부
140: 제어부
160: 고장검출부

Claims (1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그룹이 직렬로 연결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광원그룹 중 하나 이상의 광원그룹에 대한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스위칭부;
    고장 정보를 생성하는 고장신호생성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 그룹 중 하나 이상의 광원그룹을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광원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의 고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고장이 발생한 광원그룹을 도출하여 상기 고장이 발생한 광원그룹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장신호생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의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하는 고장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로우빔 광원그룹, 보조로우빔 광원그룹, 하이빔 광원그룹, 및 보조하이빔 광원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 또는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의 출력단과 상기 전원부 사이에 피드백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전원부,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 및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으로 구성되는 피드백루프가 형성하는 제 1 스위칭부;
    상기 광원부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접지경로를 형성하는 제 2 스위칭부;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의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는 제 3 스위칭부; 및
    상기 보조하이빔 광원그룹의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는 제 4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의 동작모드는 로우빔 모드 또는 하이빔 모드이고,
    상기 로우빔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스위칭부가 ON되고, 상기 제 2 스위칭부가 OFF되어,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 및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만 동작하고,
    상기 하이빔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스위칭부 및 제 2 스위칭부의 동작상태가 상기 제 1 스위칭부가 OFF되고, 상기 제 2 스위칭부가 ON되어,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 하이빔 광원그룹, 및 보조하이빔 광원그룹 모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가 로우빔 모드인 상태에서 고장검출부가 상기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3 스위칭부를 ON시키고,
    상기 광원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상기 제 3 스위칭부의 ON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스위칭부를 ON시켜도 상기 고장검출부가 상기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
    상기 광원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가 하이빔 모드인 상태에서, 고장검출부가 상기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4 스위칭부를 ON시키고, 상기 광원부의 고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 4 스위칭부의 ON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보조하이빔 광원그룹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보조하이빔 광원그룹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4 스위칭부를 ON시켜도 상기 고장검출부가 상기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3 스위칭부를 ON시키고,
    상기 광원부의 고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 3 스위칭부의 ON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보조로우빔 광원그룹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스위칭부를 ON시켜도 상기 고장검출부가 상기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 상기 광원부의 모드를 로우빔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광원부의 고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로우빔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하이빔 광원그룹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하이빔 광원그룹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의 모드를 로우빔 모드로 변경해도 상기 고장검출부가 상기 광원부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 상기 광원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로우빔 광원그룹에 대한 고장정보를 고장신호생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구동장치.
KR1020170184540A 2017-12-29 2017-12-29 보조기능광원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 KR20190081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40A KR20190081773A (ko) 2017-12-29 2017-12-29 보조기능광원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
CN201821897113.6U CN209897311U (zh) 2017-12-29 2018-11-16 光源驱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40A KR20190081773A (ko) 2017-12-29 2017-12-29 보조기능광원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773A true KR20190081773A (ko) 2019-07-09

Family

ID=6726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540A KR20190081773A (ko) 2017-12-29 2017-12-29 보조기능광원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81773A (ko)
CN (1) CN20989731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223A (ko) * 2019-12-18 2021-06-28 이종찬 관리편의성이 향상된 led 표지판
KR102624990B1 (ko) * 2023-08-07 2024-01-15 (주)엠파워 백업 제어에 의하여 광원의 수명을 향상시킨 도로 표지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579A (ko) 2011-03-25 2012-10-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단락시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579A (ko) 2011-03-25 2012-10-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단락시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223A (ko) * 2019-12-18 2021-06-28 이종찬 관리편의성이 향상된 led 표지판
KR102624990B1 (ko) * 2023-08-07 2024-01-15 (주)엠파워 백업 제어에 의하여 광원의 수명을 향상시킨 도로 표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897311U (zh)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5550B1 (en) Automotive led driving apparatus
US10531547B2 (en) Vehicular lighting device
JP5311624B2 (ja) 照明点灯装置
JP4647674B2 (ja) 点灯回路
EP2457768B1 (en) Power converter and vehicle lighting device, vehicle headlight and vehicle using power converter
CN101842914A (zh) 发光二极管驱动装置、照明装置、车室内用照明装置以及车辆用照明装置
JP6259649B2 (ja) 車両用灯具
KR20170045218A (ko) Led 주행등 제어 및 상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6764418B2 (ja) ランプ制御装置
US20170303352A1 (en) Lamp control device
KR20190081773A (ko) 보조기능광원 고장에 대응가능한 광원구동장치
KR20180055483A (ko) Led 타입의 방향지시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9280157A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WO2021020538A1 (ja) 灯具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点灯回路
KR20180041982A (ko) 램프 인식용 전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77796A (ko) 차량용 엘이디 구동 장치
KR101987296B1 (ko) 차량용 엘이디 구동 장치
KR20190004078A (ko) 차량용 엘이디 구동 장치
KR102466194B1 (ko) Led 램프 진단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led 램프 진단 시스템
WO2023106199A1 (ja) 点灯回路、及び車両用灯具
JP2020059430A (ja) 車両用ライト制御装置
KR20180051111A (ko) 차량의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21187260A1 (ja) 光源モジュールおよび点灯回路
KR20230029373A (ko) 단일 채널 기반 다기능 led 램프 구동 시스템
KR102016718B1 (ko)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