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763A -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 표적으로서의 edn1의 용도 - Google Patents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 표적으로서의 edn1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763A
KR20190081763A KR1020170184524A KR20170184524A KR20190081763A KR 20190081763 A KR20190081763 A KR 20190081763A KR 1020170184524 A KR1020170184524 A KR 1020170184524A KR 20170184524 A KR20170184524 A KR 20170184524A KR 20190081763 A KR20190081763 A KR 20190081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or
edn1
inhibitor
edn
sorapen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216B1 (ko
Inventor
조광현
황채영
원재경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84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2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3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cyto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3Double-stranded nucleic acids or oligo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8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tumor tissues, cells,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6Screening for pharmacologic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On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라페닙 및 EDN1 저해제 또는 EDN 수용체 저해제의 병용처리를 통해 소라페닙에 대한 내성을 극복하고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 표적으로서의 EDN1의 용도{Use of EDN1 as a target for treating sorafenib-resistant cancer}
본 발명은 EDN1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 표적으로서의 EDN1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첫번째 경구용 다중인산화효소(multikinase) 저해제인 소라페닙(sorafenib)은 몇 년 전에 간세포 암종(hpatocellular carcinoma, HCC) 치료제로 승인되었지만 효능이 제한적인 이유로 HCC 환자의 약 10% 환자만이 소라페닙에 대한 임상 반응을 나타내었고 30-40%는 질병통제율(disease control rate)을 입증하였다. SHARP 임상시험에서 소라페닙 투여로 인한 평균 생존 기간은 3개월까지 연장되었지만, 가격이 높고 환자에 따라 효능이 다양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효과는 충분하지 못했다(Llovet JM, et al., N Engl J Med, 359:378-390, 2008). 일반적으로 표적 항암제는 임상반응을 예측하는 바이오 마커(biomarker)가 있어야 하는데 타르세바(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 억제제) 또는 크리조티닙(미분화 림프종 키나아제[ALK] 억제제)과 같은 단일 키나아제 억제제는 각각 EGFR과 ALK 유전자의 변이를 예측 마커로 갖고 있지만 소라페닙은 v-Raf 뮤린 육종 바이러스성 종양 유전자 동족체 B1 (BRAF), 혈관내피 성장인자 수용체 2(VEGFR2), 혈소판유래 성장인자 수용체(PDGFR), FMS 유사 티로신 키나아제 수용체 3(FLT3), 고양이 육종 바이러스성 종양 유전자 v-kit의 세포 동족체(cellular homolog, KIT) 등 여러 키나아제들을 타겟으로 하기 때문에 그 작용기전이 복잡하여 뚜렷한 예측 마커가 존재하지 않는다(Cervello M, et al., Oncotarget, 3:236-260. 2012). 따라서 소라페닙의 저항성 기전을 연구하고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선행 연구결과로 혈액 내의 EDN1의 농도와 소라페닙 저항성의 관계에 대한 규명을 통해 혈액 내의 EDN1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암환자의 소라페닙 저항성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약물 반응성 예측방법에 대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1751929호).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암환자의 시료 내의 EDN1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해당 암환자가 소라페닙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지 여부를 예측하는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라페닙 저항성을 갖는 암환자에 대한 확인만 가능할 뿐, 이들에 대한 치료방법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라페닙에 대한 내성을 극복하고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ⅰ) 소라페닙, 및 EDN1 저해제 및 EDN 수용체 저해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EDN1 작용 저해제; 또는 ⅱ) 소라페닙에 공유결합된 상기 EDN1 작용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ⅰ) 소라페닙, 및 EDN1 저해제 및 EDN 수용체 저해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EDN1 작용 저해제; 또는 ⅱ) 소라페닙에 공유결합된 상기 EDN1 작용 저해제를 소라페닙 저항성 암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의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피검 화합물 또는 피검 천연물을 EDN 1 또는 EDN1 수용체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EDN1 또는 EDN1 수용체와 결합하는 피검 화합물 또는 피검 천연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암환자로부터 수득된 시료에서 EDN1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정상 수준과 비교하여 EDN1의 발현이 증가한 암환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암환자에 대하여 EDN1 저해제 또는 EDN 수용체 저해제 및 소라페닙을 병용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환자의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암환자로부터 수득된 시료에서 EDN1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단계; 정상 수준과 비교하여 EDN1의 발현이 증가한 암환자를 소라페닙 및 EDN1 저해제 또는 EDN 수용체 저해제의 병용투여 대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환자의 동반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라페닙 및 END1 저해제 또는 EDN 수용체 저해제의 병용 치료를 통해 소라페닙의 내성을 극복하여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암 치료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HCC 세포주(SNU475, HepG2, SNU761 및 Huh7)에 대한 다양한 분석결과로서, A는 이들 세포에서의 EDN1 유전자 발현 정도를 측정한 RT-PCR 결과(좌측) 및 이를 GAPDH에 대한 EDN1의 상대적 발현정도를 환산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상기 세포들에서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의 발현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및 C는 농도에 따른 소라페닙을 처리시 세포생존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상기 HCC 세포주 중 소라페닙 저항성 세포(SNU761 및 Huh7)에 대하여는 소라페닙 및/또는 EDN에 특이적인 shRNA(shEDN1)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도를 관찰하고, 소라페닙 민감성 세포(SNU475 및 HepG2)에 대하여는 소라페닙 및/또는 EDN1 과발현을 유도 처리 후의 세포 생존도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및 EDN1 발현정도를 나타내는 전기영동 결과 사진이다. A는 Huh7 세포이고 B는 SNU761 세포이며, C는 SNU475 세포이고 D는 HepG2 세포이다.
도 3은 상기 HCC 세포주 중 소라페닙 저항성 세포(SNU761 및 Huh7)에 대하여는 EDN1에 특이적인 shRNA(shEDN1) 처리 그리고 소라페닙 민감성 세포(SNU475 및 HepG2)에 대하여는 EDN1 과발현을 유도한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콜로니 형성 정도를 촬영한 사진(상단) 및 대조군 대비 콜로니 형성율을 기록한 그래프(하단)이다. A는 Huh7 세포이고 B는 SNU761 세포이며, C는 SNU475 세포이고 D는 HepG2 세포이다.
도 4는 HepG2와 Huh7 세포에 대하여 각각 소라페닙 및/또는 ETA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인 Ambrisentan 처리시(A 및 B) 또는 각각 소라페닙 및/또는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이중 길항제인 Macitentan 처리시(C 및 D)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세포성장율을 기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소라페닙 민감성 세포주인 HepG2 세포(A) 및 SNU475 세포(B)에서의 EDN1 과발현 유도시 혈관신생인자인 안지오포이에틴1(ANG1), 안지오포이에틴2(ANG2), 저산소증-유도인자-1α(HIF-1α), PDGFB, VEGFA, 및 TGF-β1의 발현변화를 기록한 그래프이다.
용어의 정의: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소라페닙(sorafenib)"은 표적치료제로 VEGFR, PDGFR, Raf 같은 키나아제(kinase) 단백질의 활성을 막는 키나아제 저해제를 말한다. 바이엘(Bayer)과 오닉스(Onyx Pharmaceuticals)가 개발한 신장암과 간암 치료제로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항암제다(일반명 Sorafenib; 상품명 Nexavar, 넥사바).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단백질 이황화물 이성질화효소(PDI)"는 티올-2황화물 교환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단백질분자내의 이황화물 결합(disulfide bond)의 재형성을 촉진한다. 소포체(ER)에 존재하며 분비단백질의 이황화물 결합의 형성으로 단백질 폴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EDN(endothelin)"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압을 올리는 펩타이드로서, 일반적으로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균형을 유지하나, 과다 발현될 경우 고혈압 및 심장병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DN에는 EDN1, EDN2 및 EDN3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이들에 대한 수용체로는 ETA, ETB1, ETB2 및 ETC가 존재하는데, EDN1은 ETA와 ETB와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체의 기능성 단편"은 두 개의 중쇄 및 두 개의 경쇄가 이종사합체의 4차구조를 형성하여 기능을 발휘하는 통상의 전장 항체와 달리, 항원 결합능을 유지하는 최소단위를 포함하는 단편(예컨대, Fab, F(ab')2, Fab' 또는 중쇄 및 경쇄의 가변영역을 링커로 연결한 인위적 단편인 단일쇄 가변 단편(single-chain variable fragment, scFv), 경쇄가 없이 중쇄만으로 구성되는 낙타과 또는 연골어류 유래의 항체 단편(VHH, VNAR 등)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Fab"는 항원-결합 항체단편(fragment antigen-binding)으로서 항체 분자를 단백질 분해효소인 파파인으로 절단하여 생성되는 단편으로 VH-CH1 및 VL-CL의 두 펩타이드의 이량체로, 파파인에 의해 생성된 다른 단편은 Fc(fragment crystalisable)라 지칭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F(ab')2"는 항체를 단백질 분해효소인 펩신으로 절단하여 생성되는 단편 중 항원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단편으로 상기 Fab 두 개가 이황화결합으로 연결된 4량체의 형태를 나타낸다. 펩신에 의해 생성된 다른 단편은 pFc'으로 지칭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Fab'"는 상기 Fab와 유사한 구소를 갖는 항체단편으로서 상기 F(ab')2를 환원시켜 생성되며, Fab에 비해 중쇄 부분의 길이가 약간 더 길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scFv"는 단일쇄 가변영역 단편(single chain fragment variable)로서 항체의 Fab 중 가변영역(VH 및 VL)을 링커를 이용하여 단일쇄로 제조한 재조합 항체 단편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sdAb(single doamain antibody)"는 항체의 단일 가변영역 단편으로 구성된 항체 단편이다. 주로 중쇄로부터 유래한 sdAb가 사용되나, 경쇄로부터 유래한 단일 가변영역 단편 역시 항원에 대하여 특이적 결합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낙타류에서 발견되는 중쇄의 이량체로만 구성된 IgG의 중쇄의 가변영역 단편 역시 sdAb의 일종인데 이를 별도로 "VHH"로 지칭하는데 항원에 대한 특이적 결합을 하는 항체 단편 중 가장 작은 크기(~15 kD)을 가지고 있으며, Ablynix사에 의해 Nanobody-라는 상표명으로 개발된 바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Fv(fragment variable)"는 항체의 중쇄 및 경쇄의 가변영영(VH 및 VL)만으로 구성된 이량체성 항체 단편으로 크기가 상기 sdAb와 Fab의 중간 정도(약 ~ 25 kD)로서 항체를 특별한 조건에서 단백질 가수분해시켜 생성하거나 VH 및 VL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하나의 발현벡터에 삽입하여 발현시킴으로써 제조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다이아바디(diabody)"는 scFv의 VH 및 VL 사이의 링커 길이를 짧게하여(5 a.a) 두 개의 scFv가 서로 이량체를 형성하도록 제조된 이가성(divalent)의 이중특이성(bispesific)을 갖는 재조합 항체 단편으로 통상의 scFv 보다 항원 특이성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체 유사체(antibody mimetics)"는 monobody, VLR, Affibody, Affilin, Affimer, Affitin, Alphabody, Anticlin, Avimer, DARpin, Fynomoer 및 Kunitz domain peptide 등 비항체 유래의 단백질 스캐폴드로부터 제조되는 결합대상 단백질에 대한 특이성을 나타내는 항체 유사단백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ⅰ) 소라페닙, 및 EDN1 저해제 및 EDN 수용체 저해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EDN1 작용 저해제; 또는 ⅱ) 소라페닙에 공유결합된 상기 EDN1 작용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EDN1 저해제는 EDN1 발현 저해제 또는 EDN1 활성 저해제일 수 있고, 상기 EDN1 발현 저해제는 EDN1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siRNA, shRNA 또는 miRNA일 수 있고, EDN1 활성 저해제는 EDN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항체의 기능성 단편 또는 항체 유사체일 수 있다.
상기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EDN 수용체는 ETA 수용체 또는 ETB 수용체일 수 있고, 상기 END 수용체 저해제는 ETA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 ETB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 또는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이중 길항제일 수 있다. 상기 ETA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는 암브리센탄(Ambrisenta), 아트라센탄(Atrasentan), 또는 지보텐탄(Zibotentan)일 수 있고, 상기 ETB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는 BQ-788일 수 있으며, 상기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이중 길항제는 보센탄(Bosentan), 맥시텐탄(Macitentan) 또는 테조센탄(Tezosenta)일 수 있다.
상기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세포암(HCC)일 수 있고 진행성 갑상선암(thyroid cancer) 또는 신장암(RCC)일 수 있으며 상기 간세포 암은 진행성 간세포암 또는 원발성 간세포암일 수 있다.
상기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소라페닙과 공유결합됨으로써 하나의 단일 화합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두 화합물의 자체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이들을 공유결합에 의해 연결된 사례들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예컨대, Spitzer 등은 σ-2 수용체 특이적 리간드인 SV119에 항암제인 라파마이신(rapamycin)이 연결된 약물 콘주게이트(drug conjugate)가 라파마이신 단독 처리시보다 암세포의 세포자살을 더욱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Spitzer et al., Cancer Res., 71(1): 2012). 특히 이러한 작은 화합물간의 결합은 화합물에 포함된 아민기(-NH2)와 카르복실기(-COOH) 아마이드 결합을 통해 직접적으로 일어나거나, 폴리에틸렌 링커(-(CH2)n-),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링커(-(CH2CH2O)n-)과 같은 비활성 링커(inert linker)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유효 성분의 유효량은 환자의 환부의 종류,적용부위, 처리회수, 처리시간, 제형, 환자의 상태, 보조제의 종류 등에 따라 변할수 있다.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1 μg/kg/day 내지 10 mg/kg/day일일 수 있다. 상기 1일량은 1일에 1회, 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하루에 2~3회에 나눠 투여해도 되고, 수일(數日) 간격으로 간헐(間歇)투여해도 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유효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는 고체 또는 액체의 제제용 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제제용 첨가물은 유기 또는 무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부형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당, 자당, 백당, 포도당, 옥수수 전분(cornstarch), 전분, 탈크, 소르비트, 결정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카올린, 탄산칼슘 및 이산화규소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에테르,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고무, 트래거캔스(tragacanth),젤라틴, 셀락(shella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구연산칼슘, 덱스트린 및 펙틴(pectin), 또는 나노입자 (nano-particle) 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탈크,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카, 경화식물유 등을 들 수있다. 착색제로서는 통상 의약품에 첨가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정제, 과립제에는 당의(糖衣), 젤라틴코팅, 기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코팅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방부제, 항산화제 등을 첨가할 수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예: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신판;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제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ⅰ) 소라페닙, 및 EDN1 저해제 및 EDN 수용체 저해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EDN1 작용 저해제; 또는 ⅱ) 소라페닙에 공유결합된 상기 EDN1 작용 저해제를 소라페닙 저항성 암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의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EDN 수용체는 ETA 수용체 또는 ETB 수용체일 수 있고, 상기 END 수용체 저해제는 ETA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 ETB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 또는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이중 길항제일 수 있다. 상기 ETA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는 암브리센탄(Ambrisenta), 아트라센탄(Atrasentan), 또는 지보텐탄(Zibotentan)일 수 있고, 상기 ETB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는 BQ-788일 수 있으며, 상기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이중 길항제는 보센탄(Bosentan), 맥시텐탄(Macitentan) 또는 테조센탄(Tezosenta)일 수 있다.
상기 암의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 또는 정맥내 주입, 경동맥 색전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피하주입, 근육내 주입, 뇌실내 주입(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뇌척수액내 주입(intracerebrospinal fluid injection), 복강 주입, 근육내 주입 및 경피흡수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경구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피검 화합물 또는 피검 천연물을 EDN 1 또는 EDN1 수용체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EDN1 또는 EDN1 수용체의 활성 부위(active site)와 결합하는 피검 화합물 또는 피검 천연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EDN1 수용체는 ETA 수용체 또는 ETB 수용체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EDN1을 과발현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세포에 상기 선별된 피검 화합물을 처리하는 단계; 및 소라페닙 저항성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피검 화합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검 화합물은 구조기반 의약설계(structure-based drug design)에 의해 설계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구조기반 의약설계는 상기 EDN1 또는 EDN 수용체의 컴퓨터 모델링에 의한 3차원 구조를 이용하여 특정 구조의 화합물이 상기 EDN1 또는 EDN 수용체의 활성 부위에 맞게 결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맞지 않을 경우 당해 화합물의 구조를 컴퓨터의 도움을 통해 변경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의 도움에 의해 구조가 결정된 화합물은 공지의 라이브러리에 속한 화합물일 경우 구매하여 실제 활성을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신규화합물인 경우 화합합성을 통해 합성을 하여 실제 활성을 갖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피검 화합물이 실제 EDN1 또는 EDN 수용체의 활성 부위에 결합함으로써 그 활성을 억제하는 지 여부는 다양한 표적 단백질-소화합물간 상호작용 분석방법 및/또는 표적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짝단백질 사이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상술한 표적 단백질-소화합물간 상호작용 분석방법으로는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 세포 이용 소화합물-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약물 친화 반응 표적 안정성 분석(drug affinity responsive target stability, DARTS), 산화율 이용 단백질 안정성 분석(stability of proteins from rate of oxidation, SPROX), 차등 정적 광산란(differential static light scattering DSLS) 분석, 차등 스캐닝 형광측정(differential scanning fluorometry, DSF), 및 리간드의 차등 방사 모세관 거동 분석(differential radial capillary action of ligand assay, DraCAL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피검 화합물이 EDN1 또는 EDN 수용체의 활성을 저해하는지 여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검 화합물 처리시 EDN1 또는 EDN 수용체의 상위 또는 하위에서 EDN1 또는 EDN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짝단백질과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이 억제되는지 여부를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짝단백질로는 EDN1의 경우 BCL2-연관 아타노진 6(BAG6), COP9 시그날로좀 소단위체 6(COPS6), 유비퀼린 4(UBQLN4), 상피성장인자(EGF), 어댑터 관련 단백질 복합체 2 알파 1 소단위체(AP2A1),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자 수용(GHSR), 프로키넥틴 수용체 1(PROKR1), EDN 수용체 A(ETA), EDN 수용체(ETB) 또는 아드레노셉터 1D(ADRA1D)일 수 있고, EDN 수용체의 경우 히스톤 디아세틸레이즈 7(HDAC7), COP9 시그날로좀 소단위체 5(COPS5), 라이신 아세틸트랜스퍼레이즈 5(KAT5), 골수성 백혈병 1(MCL1), 사이토크롬 옥시데이즈 소단위체 1(COX1), 팔 발달 막 단백질 1(LMBR1), 메탁신1(MTX1), 에모파밀 결합 단백질(EBP), NADH 탈수소효소, 소단위체 1(ND1), 시냅토자이린 2(CYNGR2), BCL2-유사 11(BCL2L11), ADP-리보실화 요소-유사 5B(ARL5B), EDN1, 용질 운반 계통 5(SLC5A3), 액포 단백질 이송 11 상동체(VPS11), Src, 어레스틴 베타 2(ARRB2), 퍼옥시좀 막 단백질 2(PXMP2), 구아닌 뉴클레오타이드 결합 단백질, 알파 11(GNA11), 비타민 K 에폭사이드 환원효소 복합체, 또는 소단위체 1-유사 1(VKORC1L1)일 수 있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은 공지의 다양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효모 이중 하이브리드(yeast two hybrid) 분석,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 분석, 친화성 포획(affinity capture), 단백질 단편 상보 분석(protein-fragment complementation assay, PCA), 면역공침(immunocoprecipitation, IP) 분석 또는 표면 플라스몬 공명 분석(surface plasmon resonance assay)을 통해 분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암환자로부터 수득된 시료에서 EDN1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정상 수준과 비교하여 EDN1의 발현이 증가한 암환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암환자에 대하여 EDN1 저해제 또는 EDN 수용체 저해제 및 소라페닙을 병용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환자의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치료방법은, 상기 시료에서 ETA 수용체 및/또는 ETB 수용체의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료방법에 있어서, ETB 수용체의 고발현이 확인되면 ETB 수용체 길항제 또는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이중 길항제를 EDN 수용체 길항제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암환자로부터 수득된 시료에서 EDN1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정상 수준과 비교하여 EDN1의 발현이 증가한 암환자를 소라페닙 및 EDN1 저해제 또는 EDN 수용체 저해제의 병용투여 대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환자의 동반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정보제공방법은, 상기 시료에서 ETA 수용체 및/또는 ETB 수용체의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ETB 수용체의 고발현이 확인되면 ETB 수용체 길항제 또는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이중 길항제를 EDN 수용체 길항제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사전연구를 통해 간암에서 소라페닙에 대한 반응성과 환자의 예후에 기여할 수 있는 분자의 발견 및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국제 컨소시엄인 암 세포주 백과사전(CCLE : The Cancer Cell Line Encyclopedia)에 공개된 간암세포주의 항암제에 대한 반응성 데이터 및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CCLE 데이터로부터 491 세포주의 반응성을 스크리닝한 결과, 소라페닙에 대하여 저항성을 보이는 355개의 암세포주와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는 11개 암세포주를 선별하였고, 이들 두 그룹 간의 전사체를 비교 분석하여 저항성 그룹에서 endothelin 1(EDN1)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음을 관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EDN1의 소라페닙 저항성 예측인자로서의 용도에 대한 특허출원을 하였고, 이에 대하여 특허를 받았다(대한민국 특허 제1751929호).
그러나, 상기 연구결과는 암환자 특히 간세포암 환자에서 소라페닙 저항성 여부를 예측하는 정도에 불과하여, EDN1 저발현 암환자에 대하여는 종래의 처방대로 소라페닙을 투여함으로써 암 치료를 도모할 수 있으나, 상당수의 암환자들이 소라페닙 저항성을 나타나고, 간세포암 환자에 대하여 소라페닙 외에 다른 뾰족한 치료제가 없는 현실이기 때문에, 소라페닙 저항성을 갖는 암환자에 대한 치료제 부재라는 여전한 해결과제가 남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EDN1이 간암 치료의 표적이 될 수 있을지 확인하기 위해, EDN1의 간암 세포내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세포생물학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치료에의 접근을 위해 선택적 ETA 수용체 길항제인 ambrisentan과 ETA 수용체과 ETB 수용체 특이적 이중길항제인 macitentan을 사용하여 소라페닙과 macitentan 단독처리 및 병용처리하여 세포 세멸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 여러 종류의 간암세포에 대하여 소라페닙과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이중 길항제인 macitentan의 병용요법이 간암 세포 세멸에 시너지 효과를 일으킴을 증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HCC 세포주 및 시약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인간 간세포 암종(HCC) 세포주인 SNU475, SNU761, HepG2, 및 Huh7 세포는 10% 우태아 혈청 및 항생제(페니실린 100 units/mL, 스트렙토마이신 100 ㎍/mL, 및 0.25 μg/mL Fungizone; Life Technologies Corp., Carlsbad, CA)를 처리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WelGENE, Inc., 경산시, 한국)에서 5% CO2를 포함하는 37℃ 습기 대기환경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소라페닙 토실레이트(sorafenib tosylate)는 LC Laboratories(Woburn, MA)에서 구매하였고 DMSO는 Sigma사, ETA 및 ETB 수용체 이중길항제인 Macitentan은 MedChem Express사에서 구매하였고 ETA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인 Ambrisentan은 MedChem Express사에서 구매하였다.
실시예 2: RT-PCR 및 qRT-PCR
본 발명자들은 소라페닙에 민감한 세포주(HepG2 및 SNU475)와 저항성을 가지는 세포주(Huh7 및 SNU761)에서 EDN1의 발현과 EDN 수용체의 발현을 조사하고 각 세포주별 소라페닙에 대한 반응성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PCR 증폭을 위한 총 RNA는 RNA-spin(iNtRON, 대한민국)을 첨가한 배양 세포로 부터 추출하였고 RT kit(Solgent, 대한민국), 2X Taq Premix (Solgent) 및 하기 표 1에 기재된 EDN1,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를 각각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서열번호 1 내지 2)를 사용하여 RT-PCR 시스템(Veriti 96well Thermal Cycler, Applied Biosystems, Waltham, M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는 GAPDH 유전자를 사용하였다. 또한 qRT-PCR 분석은 cDNA, 상기 프라이머 세트 및 SYBR Master Mix (Applied Biosystems)를 포함하는 20 ㅅL 반응 볼륨으로 QuantStudio 5 실시간 PCR 시스템(Applied Biosystems)을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각 반응에서 GAPDH mRNA에 대한 데이터를 표준화하였다. 상기 프라이머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프라이머 정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RT-PCR 및 qRT-PCR에 사용한 프라이머
프라이머 염기서열(5'--> 3') 서열번호
EDN1 F AAG GCA ACA GAC CGT GAA AAT 1
EDN1 R CTT CCA AGT CCA TAC GGA ACA A 2
EDN1 F (qRT) GCC AAG GAG CTC CAG AAA CAG CAG 3
EDN1 R (qRT) TCT CCG ACC TGG TTT GTC TTA GGT 4
ETA 수용체 F (qRT) GTT GAA CAG AAG GAA TGG CAG C 5
ETA 수용체 R (qRT) ATT CAC ATC GGT TCT TGT CC 6
ETB 수용체 F (qRT) TCA CTG TGC TGA GTC TAT GTG C 7
ETB 수용체 R (qRT) AGC AGA TTC GCA GAT AAC TTC C 8
GAPDH F CGC TCT CTG CTC CTC CTG TT 9
GAPDH R CCA TGG TGT CTG AGC GAT GT 10
상기 EDN1 발현 분석결과,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EDN1의 발현이 높은 세포주에서 소라페닙에 대한 저항성이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EDN1의 수용체인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역시 Huh7 세포 및 SNU761 세포에서 높게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B).
실시예 3: 소라페닙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력 및 세포사멸 분석
구체적으로, 세포 생존력 분석(cell viability assay)을 위해 상기 HepG2, SNU475, Huh7 및 SNU761 세포를 성장 배지에서 6×103 세포/웰의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고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소라페닙(LC Laboratories, USA)을 처리하지 않거나, 4 μM 또는 16 μM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대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기 위해 WST-1 용액(Daeillab, 대한민국)을 세포에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첨가한 후 xMark Microplate 흡광도 분광 광도계(Bio-Rad, Hercules, CA)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C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SNU475 세포와 HepG2 세포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소라페닙에 잘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SNU761 세포와 Huh7 세포의 경우 소라페닙에 대한 반응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EDN1 발현 조절에 따른 소라페닙 반응성 및 세포 성장 분석
상기 실시예 3의 분석 결과 소라페닙에 대하여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 Huh7 세포 및 SNU761 세포에 EDN1을 EDN1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shRNA를 구입하여(Sigma-Aldrich, St. Louis, MO) 형질도입시켰고, 소라페닙에 대하여 저항성이 적은 것으로 확인된 SNU475 세포 및 HepG2 세포에 대하여는 EDN1 유전자를 과발현하도록 형질전환시킨 후, 소라페닙 4 μM을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42 내지 72 시간동안 배양하면서 3시간 간격으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여, 소라페닙 반응성을 분석하였다(도 2 참조). 넉다운 또는 과발현된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6×103 cells/well 내지 1×104 cells/well). 그 후 각각의 세포주에 4 μM 소라페닙을 42 내지 72 시간 동안 처리였고, 세포생존율은 IncuCyte ZOOM(EssenBiosciences, Ann Arbor, MI, USA)을 사용하여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각 시점에서의 세포를 영상화한 후 세포의 평균 면적을 계산함으로써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A 내지 2D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EDN1에 대한 shRNA를 형질도입시킨 Huh7 세포와 SNU761 세포는 소라페닙과 병용처리시 시간이 경과할수록 세포생존율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아지는 방면, 소라페닙에 대하여 반응성인 HepG2 세포와 SNU475 세포에 EDN1 유전자를 형질도입하여 과발현시킨 경우 소라페닙 투여시의 세포생존율이 과발현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더 높아지는 반대의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EDN1의 과발현이 암세포의 소라페닙 반응성을 낮추는 요인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EDN1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shRNA(shEDN1)을 형질도입한 Huh7 세포 및 SNU761 세포와 EDN1 유전자를 과발현하도록 형질전환시킨 SNU475 세포 및 HepG2 세포에 대하여는 후, 형질전환 전후의 콜로니 형성 분석을 함으로써 EDN1의 발현정도가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도 3 참조). EDN1 넉다운과 과발현 세포주 및 대조군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1×103 cells/well의 밀도로 접종한 후, 콜로니가 명확하게 형성될 때까지 세포를 14일 동안 성장시키고, 콜로니를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으로 1시간 동안 염색하였고(도 3 상단), 세포-결합된 염료를 1% SDS 용액으로 용출시킨 후 용출물의 흡광도를 590 nm에서 측정하였다(도 3 하단)
그 결과 도 3A 내지 3D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EDN1에 대한 shRNA를 형질도입시킨 Huh7 세포와 SNU761 세포는 콜로니 형성율이 대조 shRNA(shScr)로 형질도입된 세포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 반면, 소라페닙에 대하여 반응성인 HepG2 세포와 SNU475 세포에 EDN1 유전자를 형질도입하여 과발현시킨 경우 음성 대조군(Mock)에 비해 콜로니 형성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는, EDN1 발현 조절에 따라 소라페닙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입증하는 것이다.
실시예 5: EDN 수용체 길항제 처리에 따른 소라페닙 반응성 분석
이에 본 발명자들은 EDN 수용체 길항제를 처리할 경우 EDN1 shRNA 형질도입과 유사한 결과가 도출될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ETA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인 Ambrisentan과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의 이중길항제인 Macitentan을 소라페닙과 병용투여할 경우 소라페닙 반응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라페닙 민감성 세포주인 HepG2 세포와 저항성 세포주인 Huh7 세포를 성장 배지에서 6×103 세포/웰의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고 84시간 배양한 후 소라페닙(LC Laboratories, USA)을 처리하지 않거나, 4 μM의 농도로 처리하고, ETA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인 Ambrisentan 또는 ETA 및 ETB 이중 길항제인 Macitentan을 처리하지 않거나 1 또는 10 μM의 농도로 단독 또는 병용투여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세포 성장율을 측정하였다. IncuCyte ZOOM(EssenBiosciences, Ann Arbor, MI, USA)을 사용하여 세포성장 정도를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검출하였다. HepG2 세포와 Huh7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6×103 cells/well). 그 후 각각의 세포주에 4 μM 소라페닙 및 Ambrisentan 또는 Macitentan을 단독 또는 병용 처리하였다. 파종 후, IncuCyte ZOOM을 사용하여 세포를 영상화하였다. 세포성장 및 사멸을 평가하기 위해, IncuCyte ZOOM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각 시점에서 세포의 평균 면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A 및 4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소라페닙 민감성 세포주인 HepG2 세포 및 저항성 세포주인 Huh7 세포는 ETA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인 Ambrisentan 처리시에는 소라페닙 저항성을 전혀 개선시키지 못한 반면,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이중 길항제인 Macitentan 처리군에서는 소라페닙 저항성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암세포의 성장이 매우 둔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소라페닙 저항성이 ETA 수용체 보다는 ETB 수용체을 경유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나타나기 때문이거나, 두 수용체 모두를 통해서 나타나나 Ambrisentan으로는 ETA 수용체만 저해가 가능하여 Ambrisentan에 의해 저해되지 않은 ETB 수용체를 경유한 신호전달을 통해 소라페닙 저항성이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해석이 가능하다. 또한 소라페닙에 민감하더라도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이중 길항제를 소라페닙과 병용처리하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EDN 수용체 길항제 처리에 따른 소라페닙 반응성 분석
상기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EDN1 발현이 간세포암의 진행이나 전이와도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소라페닙 민감성 간세포암 세포에 EDN1을 과발현시킨 후 복수의 혈관신생인자(proangiogenic factor)의 발현 정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라페닙 민감성 간세포암 세포인 HepG2 및 SNU475 세포주에 상기와 같이 EDN1 cDNA가 포함된 렌티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EDN1 mRNA의 발현 수준 및 혈관신생인자인 안지오포이에틴1(ANG1), 안지오포이에틴2(ANG2), 저산소증-유도 인자-1α(Hif-1α), 혈소판유래 성장인자 베타(PDGFB), 혈관내피성장인자 알파(VEGFA) 및 형질전환성장인자-베타1(Tgf-β1)의 발현 변화를 하기 표 2에 기재된 프라이머들을 이용하여 qRT-PCR을 수행함으로써 분석하였다.
qRT-PCR에 사용한 프라이머
프라이머 염기서열(5'--> 3') 서열번호
ANG1 F GGC CAC AAG CAT CAA ACC AC 11
ANG1 R AAT GGA CTG GGA AGG GAA CC 12
ANG2 F TTC CTC CTG CCA GAG ATG GA 13
ANG2 R TGC ACA GCA TTG GAC ACG TA 14
Hif-1α F GAA AGC GCA AGT CCT CAA AG 15
Hif-1α R TGG GTA GGA GAT GGA GAT GC 16
PDGFB F CCT CAT AGA CCG CAC CAA 17
PDGFB R CGC ACA ATC TCG ATC TTT CT 18
VEGFA F TAC ATC TTC AAG CCA TCC TGT G 19
VEGFA R TTT GCA GGA ACA TTT ACA CGT C 20
TGF-β1 F CCC AGC ATC TGC AAA GCT C 21
TGF-β1 R GTC AAT GTA CAG CTG CCG CA 22
EDN1 F GCC AAG GAG CTC CAG AAA CAG CAG 3
EDN1 R TCT CCG ACC TGG TTT GTC TTA GGT 4
GAPDH F CGC TCT CTG CTC CTC CTG TT 9
GAPDH R CCA TGG TGT CTG AGC GAT GT 10
그 결과,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별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EDN1 과발현시 혈관신생인자의 발현 역시 증가하였다.
이는 EDN1이 간세포암의 진행 및 전이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임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결론적으로, EDN1은 소라페닙에 대한 유용한 예측 바이오 마커가 될 뿐만 아니라 소라페닙에 대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복합 요법의 유망한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므로 본 발명의 소라페닙 및 EDN1 저해제 또는 EDN 수용체 저해제의 병용 치료는 소라페닙 저항성을 극복하고 소라페닙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 및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20> Use of EDN1 as a target for treating sorafenib-resistant cancer <130> PD17-5617 <160> 2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DN1 Forward <400> 1 aaggcaacag accgtgaaaa t 21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DN1 Reverse <400> 2 cttccaagtc catacggaac aa 22 <210> 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DN1 Forward for qRT-PCR <400> 3 gccaaggagc tccagaaaca gcag 24 <210> 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DN1 Reverse for qRT-PCR <400> 4 tctccgacct ggtttgtctt aggt 24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TA receptor forward for qRT-PCR <400> 5 gttgaacaga aggaatggca gc 22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TA receptor reverse for qRT-PCR <400> 6 attcacatcg gttcttgtcc 20 <210> 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TB receptor forward for qRT-PCR <400> 7 tcactgtgct gagtctatgt gc 22 <210> 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TB receptor reverse for qRT-PCR <400> 8 agcagattcg cagataactt cc 22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400> 9 cgctctctgc tcctcctgtt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400> 10 ccatggtgtc tgagcgatgt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G1 forward <400> 11 ggccacaagc atcaaaccac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G1 reverse <400> 12 aatggactgg gaagggaacc 20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G2 forward <400> 13 ttcctcctgc cagagatgga 20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G2 reverse <400> 14 tgcacagcat tggacacgta 20 <210> 1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IF-1alpha forward <400> 15 gaaagcgcaa gtcctcaaag 20 <210> 1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IF-1alpha reverse <400> 16 tgggtaggag atggagatgc 20 <210> 17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DGFB forward <400> 17 cctcatagac cgcaccaa 18 <210> 1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DGFB reverse <400> 18 cgcacaatct cgatctttct 20 <210> 19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EGFA forward <400> 19 tacatcttca agccatcctg tg 22 <210> 2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EGFA reverse <400> 20 tttgcaggaa catttacacg tc 22 <210> 2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F-beta1 forward <400> 21 cccagcatct gcaaagctc 19 <210> 2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F-beta1 reverse <400> 22 gtcaatgtac agctgccgca 20

Claims (17)

  1. ⅰ) 소라페닙, 및
    EDN1 저해제 및 EDN 수용체 저해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EDN1 작용 저해제; 또는
    ⅱ) 소라페닙에 공유결합된 상기 EDN1 작용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DN1 저해제는 EDN1 발현 저해제 또는 EDN1 활성 저해제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DN1 발현 저해제는 EDN1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siRNA, shRNA 또는 miRNA인,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DN1 활성 저해제는 EDN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항체의 기능성 단편 또는 항체 유사체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ND 수용체 저해제는 ETA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 ETB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 또는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이중 길항제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TA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는 암브리센탄(Ambrisenta), 아트라센탄(Atrasentan), 또는 지보텐탄(Zibotentan)인,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TB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는 BQ-788인,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이중 길항제는 보센탄(Bosentan), 맥시텐탄(Macitentan) 또는 테조센탄(Tezosenta)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라페닙 저항성 암은 간세포암(HCC), 진행성 갑상선암(thyroid cancer) 또는 신장암(RCC)인, 조성물.
  10.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ⅰ) 소라페닙, 및 EDN1 저해제 및 EDN 수용체 저해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EDN1 작용 저해제; 또는 ⅱ) 소라페닙에 공유결합된 상기 EDN1 작용 저해제를 소라페닙 저항성 암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의 치료방법.
  11. 피검 화합물 또는 피검 천연물을 EDN 1 또는 EDN1 수용체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EDN1 또는 EDN1 수용체의 활성 부위(active site)와 결합하는 피검 화합물 또는 피검 천연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EDN1 수용체는 ETA 수용체 또는 ETB 수용체인, 스크리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EDN1을 과발현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세포에 상기 선별된 피검 화합물을 처리하는 단계; 및
    소라페닙 저항성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피검 화합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크리닝 방법.
  14. 암환자로부터 수득된 시료에서 EDN1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정상 수준과 비교하여 EDN1의 발현이 증가한 암환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암환자에 대하여 EDN1 저해제 또는 EDN 수용체 저해제 및 소라페닙을 병용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환자의 치료방법.
  15. 상기 시료에서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의 발현양상에 따라 ETA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 ETB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 및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이중 길항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EDN 수용체 길항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EDN 수용체 저해제로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치료방법.
  16. 암환자로부터 수득된 시료에서 EDN1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정상 수준과 비교하여 EDN1의 발현이 증가한 암환자를 소라페닙 및 EDN1 저해제 또는 EDN 수용체 저해제의 병용투여 대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라페닙 저항성 암환자의 동반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에서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의 발현양상에 따라 ETA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 ETB 수용체 선택적 길항제 및 ETA 수용체 및 ETB 수용체 이중 길항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EDN 수용체 길항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EDN 수용체 저해제로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보제공방법.
KR1020170184524A 2017-12-29 2017-12-29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 표적으로서의 edn1의 용도 KR102628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24A KR102628216B1 (ko) 2017-12-29 2017-12-29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 표적으로서의 edn1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24A KR102628216B1 (ko) 2017-12-29 2017-12-29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 표적으로서의 edn1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763A true KR20190081763A (ko) 2019-07-09
KR102628216B1 KR102628216B1 (ko) 2024-01-23

Family

ID=6726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524A KR102628216B1 (ko) 2017-12-29 2017-12-29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 표적으로서의 edn1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846A1 (ko) * 2022-03-23 2023-09-28 한국과학기술원 암의 약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thbs1 저해제의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061A (ko) * 2015-01-05 2016-07-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 간암 환자의 소라페닙 저항성 예측 마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061A (ko) * 2015-01-05 2016-07-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 간암 환자의 소라페닙 저항성 예측 마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간암 환자 치료 약제 소라페닙의 개인별 반응 예측 및 효능 향상을 위한 시스템 생물학적 접근법" 한국과학기술원 원재경 박사 학위논문* *
Journal of Hepatology, 2016, 64(2), S19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846A1 (ko) * 2022-03-23 2023-09-28 한국과학기술원 암의 약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thbs1 저해제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216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kada et al. EphB2/R-Ras signaling regulates glioma cell adhesion, growth, and invasion
US20190151322A1 (en) Macrocyclic compounds as ros1 kinase inhibitors
Shen et al. Lycorine inhibits glioblastoma multiforme growth through EGFR suppression
JP7260596B2 (ja) 細胞透過性タンパク質-抗体コンジュゲートおよび使用方法
JP2017516463A (ja) Fgfr融合体
JP2018525001A (ja) 治療用細胞内在化コンジュゲート
US7892767B2 (en) Phosphospecific chemokine receptor antibodies
Lei et al. Anlotinib combined with osimertinib reverses acquired osimertinib resistance in NSCLC by targeting the c-MET/MYC/AXL axis
JP7025034B2 (ja) 膵臓炎、腎損傷および腎臓癌を治療および予防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Ma et al. HSP47 contributes to angiogenesis by induction of CCL2 in bladder cancer
JP2019512021A (ja) Cdk4活性のマーカーとしてのp27チロシンリン酸化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
KR20190081763A (ko) 소라페닙 저항성 암 치료 표적으로서의 edn1의 용도
JP2004514433A (ja) エポチロン耐性セルライン
WO2011102999A2 (en) Spink1 targeted therapy
US9085772B2 (en) Method for suppressing receptor tyrosine kinase-mediated pro-survival signaling in cancer cell
US20220403395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growth of cancer stem cells, containing wdr34 inhibitor, and use thereof
JP7130274B2 (ja) 細胞内浸透能を有する抗stat3二重特異性抗体およびこれを含む薬学的組成物
KR102049090B1 (ko) Egfr 저해제 저항성 암 치료제
JP2021176852A (ja) Pmvk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放射線抵抗性癌診断用または放射線治療予後予測用バイオマーカー組成物
US10815533B2 (en) Biomarker for diagnosing anticancer drug resistance of gastric cancer and use thereof
CN113498341A (zh) 使用多靶点激酶抑制剂结合蛋白激酶生物标志物的癌症治疗
Ureshino et al. KIR3DL1-HLA-Bw status in CML is associated with achievement of TFR: the POKSTIC Trial, a Multicentre Observational Study
CN107604064B (zh) Ccl20在肿瘤化疗疗效评估和肿瘤治疗中的应用
US20230288399A1 (en) Method for screening colorectal cancer metastasis inhibitor
CN108456249B (zh) 变异型α-辅肌动蛋白-4的抗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