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689A - Vehicle Lamp - Google Patents

Vehicle La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689A
KR20190081689A KR1020170184416A KR20170184416A KR20190081689A KR 20190081689 A KR20190081689 A KR 20190081689A KR 1020170184416 A KR1020170184416 A KR 1020170184416A KR 20170184416 A KR20170184416 A KR 20170184416A KR 20190081689 A KR20190081689 A KR 20190081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optical member
ang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5184B1 (en
Inventor
정진영
백소민
송도윤
이해륜
안유근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4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184B1/en
Publication of KR2019008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6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1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1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p for a vehicle comprises: a light source part emitting light; a first optical member including a first incident part to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part is incident, a first reflective part reflecting the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incident part to a front, and a first exiting part in which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ive part exits, and wherei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part is guided; and a second optical member including a second incident part to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exiting part is incident and a second exiting part in which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part exits, and forming a predetermined image. The first optical member includes a light control element for controlling an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p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mproving visibility of pedestrians including other vehicle drivers.

Description

차량용 램프{Vehicle Lamp}[0001]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암영대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차량용 리어 램프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lamp for a vehicle which forms an image including a cancerous zone.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Generally,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kinds of lamps having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confirming an objec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t nighttime driving, and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other vehicle or road users of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테일 램프(Tail lamp),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For example, a head lamp and a fog lamp mainly for lighting function, a turn signal lamp, a tail lamp, a side marker, (Side Marker), and the like. Such a vehicle lamp is stipulated by laws and regulations on install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so that each function can be fully exercised.

이러한 램프들 중, 테일 램프는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는 리어 램프로서, 테일-브레이크 램프(Tail-Brake lamp)와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및 백업 램프(Back up l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Among these lamps, the tail lamp is a rear lamp mount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and may include a tail-brake lamp, a turn signal lamp, a back up lamp, and the like .

이 중에서, 테일-브레이크 램프는 야간 주행 시 후방 차량에서 자기 차량의 위치를 알리는 기능을 하는 후미등(Tail light)과, 후방 차량에게 자기 차량이 감속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지등(Stop light)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mong them, the tail-brake lamp functions as a tail light for informing the position of the own vehicle in the rear vehicle when driving at night, and a stop light for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decelerating to the rear vehicle .

또한, 턴 시그널 램프는 자기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진로의 방향을 바꾸고자 운전자가 방향 지시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점멸됨에 따라 후방 차량에게 주행 방향의 변경을 인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urn signal lamp performs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change of the running direction to the rear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blinking,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direction instruction lever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ourse to be driven by the vehicle.

그리고, 백업 램프는 후진을 위하여 변속 단을 후진으로 하는 경우, 점등됨에 따라 차량이 후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후진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back-up ramp performs a backward function, such as a backward movement,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moving backward when the speed change stage is reversed for backward movement.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리어 램프는, 광원으로부터 광이 출사되어 외부로 투과되는 광량만큼만 조명이 이루어짐으로써, 단순히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만 발휘하게 된다.In such a conventional rear lamp for a vehicle, illumination is performed only by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transmitted to the outside, so that only the lighting function and the signal function are exerted.

이에, 최근에는 단순히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을 넘어서 특정 형태의 광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켜주고 심미감의 제공에 따라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의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vehicle lamp capabl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 product by enhancing visibility and providing aesthetic feeling by allowing a specific type of light to be emitted to the outside simply beyond an illumination function or a signal function have.

한국특허등록 제10-1360433호Korea Patent No. 10-1360433 미국공개특허 제2013-0135886호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13-013588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원에 의한 광이 외부로 투과되어 조사될 때, 암영대를 갖는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차량 운전자를 비롯한 보행자 들에게 시인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심미감을 제공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리어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forming an image having a dark background when light from a light sou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r lamp for a vehicle that not only enhances visibility for pedestrians including a driver but also provides a sense of beauty to improve the quality of a produc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방출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제1 입사부, 상기 제1 입사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1반사부 및 상기 제1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이 출사되는 제1 출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된 광이 가이드되는 제1 광학부재; 및 상기 제1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제2 입사부 및 상기 제2 입사부로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제2 출사부를 포함하여, 소정의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2 광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부재는, 상기 제2 입사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제어하는 광 제어 요소를 포함한다.The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for emitting light; A first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incidence portion forward and a first reflector for emitt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or; A first optical member guided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a second optical member including a second light incidence portion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xiting portion is incident and a second light exiting portion through which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light incidence portion is emitted so that a predetermined image is formed And the first optical member includes a light control element for controlling an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ce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요소는 상기 제1 출사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입사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제1 광학부재 내부로 전반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control elemen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e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emitting portion can be controlled to be totally reflected into the first optical memb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사부는 상기 제1 출사부에 대응되어 광이 입사되는 제1 영역과 상기 광 제어요소에 대응되어 광이 입사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제2 광학부재 상에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incidenc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it portion and receiving light, and a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control element and not receiving light, It is possible to form a cancer streak on the memb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요소는 광 조사 방향에 대해 음각을 이루는 옵틱으로 형성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광 조사 방향에 대해 양각을 이루는 옵틱으로 형성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ight control element may include a first controller formed of an optic having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and a second controller formed of an optic embossed with respect to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복수의 전반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입사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광학부재 내부로 전반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ntrol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otal reflection surfaces to totally reflect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incident unit into the first optical memb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전반사된 광은 제1 반사부에 의해 재반사되어 상기 제1출사부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totally reflected by the first control unit may be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ng unit and irradiated toward the first emitting uni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복수의 반사면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프리즘 옵틱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상기 제1 반사부로 재반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trol unit may be formed of a prism optic having a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may reflect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on unit to the first reflection uni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는 복수의 반사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사요소는 각각 90도 내지 120도 범위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reflective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ive elements, and the plurality of reflective elements may each be formed to have an angle ranging from 90 degrees to 120 degre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100도 내지 130도 범위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trol unit may be formed to have an angle ranging from 100 degrees to 130 degre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제1 제어부의 형성 각도에 따라 경사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eflecting por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orming angle of the first controlling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부재는 제2 입사부와 제2 출사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입사부로 입사된 광을 상기 제2 출사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 상에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optical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incident portion and the second exit portion and guiding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portion to the second exit portion, A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form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미지는 상기 가이드부의 소정 패턴에서 출사된 광과 상기 제2 출사부에서 출사된 광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image may be formed through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edetermined pattern of the guide portion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emitt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하면, 광원에 의한 광이 외부로 투과되어 조사될 때, 발광과 더불어 암영대를 갖는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차량 운전자를 비롯한 보행자들의 시인성이 향상됨은 물론, 심미감이 제공되어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irradiated, an image having a dark stage is formed along with light emission,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of pedestrians including other vehicle drivers , A sense of beauty is provided,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통해 형성되는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일 구성인 제1 광학부재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일 구성인 제2 광학부재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통해 형성된 이미지의 암영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제1 제어부의 형성 각도와 제1 반사부의 경사 각도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일 구성인 제2 광학부재의 패턴 두께에 따른 이미지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to which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image formed through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optical member which is a constitu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optical member which is a constitu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arkness of an image formed through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ing angle of the first control section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eflecting section.
10 and 11 are views showing image changes according to a pattern thickness of a second optical member, which is a constitu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e are used in a generic sense to refer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ther than the stat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It is used not to exclude.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schematic drawing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to which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차량의 후측에 설치되어 야간 주행이나 터널 주행 등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하거나, 주차하기 위하여 후진하는 경우 후방 시야 또는 후속 차량에 자신의 존재를 인식시켜주거나, 주행 중 감속의 의도를 인식시키기 위한 후진등(back-up lamp), 테일 램프(tail lamp) 및 제동등(stop lamp), 리어 윙커(rear winker), 방향 지시등(turn signal)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이 중 선택적으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콤비네이션 램프 등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0)는 자동차의 설계 디자인을 고려한 다양한 램프에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a vehicle and travels in a dark place such as a night driving or a tunnel running, Back lamps, tail lamps, stop lamps, rear winkers, turn signal lamps, and the like for recognizing their own presence in the vehicle or recognizing the intention of deceleration during driving. a turn signal, or a combination lamp including at least two or more thereof.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vehicle lamp 10 may be applied to various lamps considering the design of the vehic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광원부(110), 제1 광학부재(120) 및 제2 광학부재(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lamp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110, a first optical member 120, and a second optical member 130.

광원부(110)는 광을 방출한다. 광원부(110)로는 할로겐 램프,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광원부(110)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자동차의 후측을 향하여 조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110 emits light. A halogen lamp, an LED (Light Emitting Diode),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unit 110, an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10 may be irradiat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제1 광학부재(120)는 광원부(110)에서 방출된 광이 가이드된다. 제1 광학부재(1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first optical member 120 guid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1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optical member 12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제2 광학부재(130)는 제1 광학부재(120)에서 가이드된 광을 통해 소정의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2 광학부재(130)는 제1 광학부재(120)에서 가이드된 광이 출사되어 렌즈(미도시)에 상기 소정의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렌즈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아우터 렌즈(Outer Lens)를 의미할 수 있다.The second optical member 130 allows a predetermined image to be formed through light guided by the first optical member 120. Specifically, the second optical member 130 emits light guided by the first optical member 120 so that the predetermined image is formed on the lens (not shown). In this case, the lens may be an outer len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통해 형성되는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image formed through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렌즈에 형성되는 상기 소정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이미지의 S1 영역에는 암영대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제1 광학부재(120)에서 광원부(110)에서 방출된 광을 어느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광학부재(120)에서 광원부(110)에서 방출된 광을 가이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redetermined image formed on the lens can be confirmed. At this time, it can be confirmed that a dark zone is formed in the S1 region of the predetermined image. This depends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10 is guided by the first optical member 120. Accordingly, the process of guid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10 by the first optical member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일 구성인 제1 광학부재의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optical member which is a constitu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1 광학부재(120)는 제1 입사부(121), 광 제어요소(123, 124, 125), 제1 반사부(127, 128) 및 제1 출사부(129)을 포함한다. 이때, 광원부(110)에서 방출된 광은 제1 입사부(121), 제1 제어부(123), 제1 반사부(127, 128), 제1 출사부(129)을 순차적으로 거쳐 출사된다는 점을 전제한다.4, the first optical member 120 includes a first incident portion 121, light control elements 123, 124 and 125, first reflectors 127 and 128, and first output portion 129, . At this tim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10 is emitted through the first incident unit 121, the first control unit 123, the first reflectors 127 and 128, and the first output unit 129 sequentially .

제1 입사부(121)는 광원부(110)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영역이다.The first incident portion 121 is a region wher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110 is incident.

광 제어요소(123, 124, 125)는 제2 입사부(131)로 입사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광 제어요소(123, 124, 125)는 제1 출사부(129) 측에 형성되며, 제1 입사부(121)로부터 입사된 광이 제1 광학부재(120) 내부로 전반사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광 제어요소(123, 124, 125)에서는 출사되는 광이 없고, 제1 출사부(129)를 통해 제1 입사부(121)로부터 입사된 모든 광이 출사된다. 즉, 광 제어요소(123, 124, 125)는 제1 입사부(121)로부터 입사된 광을 제1 출사부(129)를 통해서만 출사되도록 제어하여 제2 입사부(131)로 입사되는 광량을 제어하게 된다.The light control elements 123, 124, and 125 control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portion 131. More specifically, the light control elements 123, 124, and 125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output portion 129 and are controlled so tha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incident portion 121 is totally reflected into the first optical member 120 do. Therefore, all of the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incident portion 121 through the first output portion 129 is emitted withou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control elements 123, 124, and 125. That is, the light control elements 123, 124, and 125 control the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incident portion 121 to be emitted only through the first outgoing portion 129, thereby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portion 131 Respectively.

광 제어요소(123, 124, 125)는 제1 제어부(123) 및 제2 제어부(124, 125)를 포함한다. 제1 제어부(123)는 광 조사 방향에 대해 음각을 이루는 옵틱으로 형성되고, 제2 제어부(124, 125)는 상기 광 조사 방향에 대해 양각을 이루는 옵틱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광 조사 방향은 광원부(110)에서 제1 입사부(121)로 방출되는 광의 방향을 의미한다.The light control elements 123, 124 and 125 include a first control unit 123 and a second control unit 124 and 125. The first control unit 123 is formed as an optic that forms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and the second control units 124 and 125 are formed with an optic that is embossed with respect to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Here,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to the first incident portion 121.

제1 제어부(123)는 복수의 전반사면을 포함하여 제1 입사부(121)로부터 입사된 광을 제1 광학부재(120) 내부로 전반사시킨다. 이때, 제1 제어부(123)에서 전반사된 광은 제1 반사부(127, 128)에 의해 재반사되어 제1 출사부(129)를 향해 조사된다. 제2 제어부(124, 125)는 복수의 반사면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프리즘 옵틱으로 형성되어, 제1 반사부(127, 128)에서 반사된 광을 제1 반사부(127, 128)로 재반사시킨다.The first control unit 123 includes a plurality of total reflection surfaces and totally reflect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incident unit 121 into the first optical member 120. At this time, the light totally reflected by the first controller 123 is reflected again by the first reflectors 127 and 128 and irradiated toward the first output portion 129. The second control units 124 and 125 are formed of prism optics having a plurality of reflecting surfaces at predetermined angles so that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ng units 127 and 128 is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ng units 127 and 128 Reflection.

이때, 제2 제어부(124, 125)는 상기 소정의 각도가 100도 내지 130도 범위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2 제어부(124, 125)로 입사된 광을 전반사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소정의 각도를 100도 내지 130도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소정의 각도는 100도 이상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trol units 124 and 125 are formed such that the predetermined angle has an angle ranging from 100 degrees to 130 degrees. This is for total reflection of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control units 124 and 125. At this time, although the predetermined angle is not limited to the range of 100 to 130 degrees,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angle has a value of 100 degrees or more.

제1 반사부(127, 128)는 복수의 반사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사요소는 각각 90도 내지 120도 범위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복수의 반사요소로 입사된 광을 전반사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복수의 반사요소의 각도를 90도 내지 120도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복수의 반사요소 각각의 각도는 90도 이상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reflective portion 127, 128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ive elements, each of which is formed to have an angle ranging from 90 degrees to 120 degrees. This is for total reflection of light incident on the plurality of reflective elements. At this time, although the angle of the plurality of reflective elements is not limited to the range of 90 to 120 degrees,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flective elements has a value of 90 degrees or more.

한편, 상기 소정의 각도는 상기 복수의 반사요소의 각도보다 크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제1 입사부(121)로 입사된 광이 광 제어요소(123, 124, 125) 및 제1 반사부(127, 128)에서 투과되지 않고 전반사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determined angle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angle of the plurality of reflective elements. Thus,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incident portion 121 is totally reflected without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control elements 123, 124, 125 and the first reflectors 127, 128.

제1 출사부(129)는 제1 반사부(127, 128)로부터 반사된 광이 출사된다. 이때, 제1 출사부(129)에서 출사된 광은 제2 입사부(131)로 입사된다. 구체적으로, 제1 출사부(129)에서 출사된 광은 제2 입사부(131)의 제1 영역(132)으로 입사된다.The first output portion 129 emi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ing portions 127 and 128. At this time,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output portion 129 is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portion 131. Specifical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output portion 129 is incident on the first region 132 of the second incident portion 13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일 구성인 제2 광학부재의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optical member which is a constitu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2 광학부재(130)는 제2 입사부(131), 가이드부(135) 및 제2 출사부(13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optical member 130 includes a second incident portion 131, a guide portion 135, and a second exit portion 137.

제2 입사부(131)는 제1 영역(132) 및 제2 영역(133)을 포함한다. 제1 영역(132)은 제1 출사부(129)에 대응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즉, 제1 영역(132)은 제1 출사부(129)와 맞닿은 부분으로 제1 출사부(129)에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영역이다. 제2 영역(133)은 광 제어요소(123, 124, 125)에 대응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즉, 제2 영역(133)은 광 제어요소(123, 124, 125)와 맞닿은 부분으로 광이 입사되지 않는 영역이다. 따라서, 제2 출사부(137) 중 제2 영역(133)과 평행을 이루는 부분을 통해 암영대가 형성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second incident portion 131 includes a first region 132 and a second region 133. The first region 132 corresponds to the first output portion 129. That is, the first region 132 is a portion where the first emission portion 129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mission portion 129,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emission portion 129 is incident. The second area 133 corresponds to the light control elements 123, 124, and 125. That is, the second region 133 is a region where light does not enter the portion where the light control elements 123, 124, and 125 abut. Therefore, a dark zone is formed through a portion of the second emitting portion 137 that is in parallel with the second region 133.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가이드부(135)는 제2 입사부(131)와 제2 출사부(137) 사이에 형성되어 제2 입사부(131)로 입사된 광을 제2 출사부(137)로 가이드한다. 이때, 가이드부(1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패턴을 갖는 패턴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는 편의상 패턴부(136)를 가이드부(135)부 상에 표시된 패턴 중 일부의 패턴에 대해서만 표시하였으나, 패턴부(136)는 도 5에 표시된 패턴 전체를 나타낸다.The guide part 135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incident part 131 and the second exit part 137 and guides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part 131 to the second exit part 137. 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 135 may include a pattern portion 136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as shown in FIG. 5, the pattern unit 136 is shown only for a part of the patterns displayed on the guide unit 135, but the pattern unit 136 shows the entire pattern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35)는 제2 입사부(131)로 입사된 광 중 일부를 제2 출사부(137)로 가이드한다. 이는, 패턴부(136)가 부식 처리되어 있어 제2 입사부(131)로 입사된 광 중 일부가 패턴부(136)에서 투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이드부(135)는 제2 입사부(131)로 입사된 광 중 패턴부(136) 이외의 부분에서 전반사된 광만을 제2 출사부(137)로 가이드한다.Specifically, the guide portion 135 guides a part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portion 131 to the second exit portion 137. This is because som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portion 131 is etched through the pattern portion 136 because the pattern portion 136 is etched. Therefore, the guide part 135 guides only the light totally reflected by the part other than the pattern part 136 out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ce part 131 to the second output part 137.

제2 출사부(137)는 제2 입사부(131)로 입사되어 가이드부(135)를 통해 가이드 된 광이 출사된다. 이때, 제2 출사부(137)는 부식 처리되어 제2 입사부(131)로 입사되어 가이드부(135)를 통해 가이드 된 광이 출사되게 된다.The second exit part 137 is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part 131, and the light guided through the guide part 135 is emitted. At this time, the second exit part 137 is corroded and is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part 131, and the guided light is guided through the guide part 135.

이때, 제2 광학부재(130)에서 형성되도록 하는 상기 소정의 이미지는 구체적으로 패턴부(136)에서 투과된 광과 제2 출사부(137)에서 출사된 광을 통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image to be formed in the second optical member 130 is form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pattern unit 136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output unit 137. Thus, an image as shown in Fig. 3 is form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통해 형성된 이미지의 암영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arkness of an image formed through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는 제2 출사부(137) 중 제2 영역(133)과 평행을 이루는 부분(S2)을 통해 암영대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즉, 제2 영역(133)은 제1 광학부재(120)에서 가이드된 빛이 입사되지 않는 영역이고, 제2 출사부(137) 중 제2 영역(133)과 평행을 이루는 부분(S2)에서는 빛이 거의 출사되지 않으므로 상기 소정의 이미지 중 제2 출사부(137)와 평행을 이루는 부분(도 3의 S1)에서는 암영대가 형성되게 된다.In FIG. 6, a dark zone is formed through a portion S2 of the second light exiting portion 137 which is in parallel with the second region 133. In FIG. That is, the second region 133 is a region where light guided by the first optical member 120 is not incident, and the portion S2 of the second outgoing portion 137, which is parallel to the second region 133, Since light is hardly radiated, a dark zon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image (S1 in FIG. 3) that is parallel to the second output unit 137.

도 7 내지 도 9는 제1 제어부의 형성 각도와 제1 반사부의 경사 각도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때, 도 7 내지 도 9에서 θ1, θ11, θ12는 제1 제어부(123)의 형성 각도를 나타내고, θ2, θ21, θ22는 제1 반사부(128)의 경사 각도를 나타낸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제1 반사부(127, 128)를 편의상 한쪽만 도시하였으나, 후술할 내용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ing angle of the first control section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eflecting section. In FIGS. 7 to 9, θ1, θ11 and θ12 denote the forming angles of the first controller 123, and θ2, θ21 and θ22 denote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reflecting section 128. In FIGS. 7 to 9, the first reflectors 127 and 128 are shown for convenience on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7은 θ1이 임의의 각도를 갖는 경우 제1 광학부재(120)에서의 광 경로 변화를 나타낸다. 도 8은 θ11이 θ1보다 예각을 갖는 경우(θ1 > θ11) 제1 광학부재(120)에서의 광 경로 변화를 나타낸다. 도 9는 θ12가 θ1보다 둔각을 갖는 경우(θ1 < θ12) 제1 광학부재(120)에서의 광 경로 변화를 나타낸다.7 shows the optical path change in the first optical member 120 when? 1 has an arbitrary angle. FIG. 8 shows the optical path change in the first optical member 120 when? 11 has an acute angle? 1 (? 1>? 11). 9 shows the optical path change in the first optical member 120 when? 12 has an obtuse angle? 1 (? 1 <? 12).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제1 입사부(121)로 입사된 광이 모두 비슷한 광 경로를 거쳐 출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제1 입사부(121)로 입사된 광이 제1 제어부(123)로 서로 다른 입사각으로 입사되어 서로 다른 반사각으로 전반사되나, 제1 출사부(129)에서 출사될 때까지의 경로는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FIGS. 7 to 9, it can be confirmed that light incident on the first incident portion 121 is emitted through a similar optical path. 7 to 9,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incident portion 121 is incident on the first control portion 123 at different incident angles and is totally reflected by different reflection angles. However, when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first output portion 129 You can see that the path up to now is similar.

도 7 및 도 8에서 제1 입사부(121)로 입사된 광이 비슷한 광 경로를 갖는 것은 제1 제어부(123)의 형성 각도가 θ1 에서 θ11으로 변하는 경우, 제1 반사부(128)의 경사 각도도 θ2 보다 작은 값은 갖는 θ21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즉, 제1 제어부(123)의 형성 각도가 작아지면, 제1 반사부(128)의 경사 각도도 작아진다.7 and 8,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incident portion 121 has a similar optical path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control portion 123 changes from? 1 to? 11,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reflecting portion 128 The angle is changed to &amp;thetas; 21 having a value smaller than &amp;thetas; 2. That is, when the forming angle of the first control section 123 is reduc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eflecting section 128 is also reduced.

또한, 도 7 및 도 9에서 제1 입사부(121)로 입사된 광이 비슷한 광 경로를 갖는 것은 제1 제어부(123)의 형성 각도가 θ1 에서 θ12으로 변하는 경우, 제1 반사부(128)의 경사 각도도 θ2 보다 큰 값을 갖는 θ22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즉, 제1 제어부(123)의 형성 각도가 커지면, 제1 반사부(128)의 경사 각도도 커진다.7 and 9,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incident portion 121 has a similar optical path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control portion 123 changes from? 1 to? 12, the first reflecting portion 128, Is changed to &amp;thetas; 22 having a value larger than &amp;thetas; 2. That is, when the forming angle of the first control section 123 is increas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eflecting section 128 is also increased.

따라서, 제1 광학부재(120)는 제1 반사부(128)의 경사 각도가 제1 제어부(123)의 형성 각도에 따라 유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작된다.Therefore, the first optical member 120 is manufactured such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eflecting portion 128 is changed organically according to the forming angle of the first controlling portion 123. [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일 구성인 제2 광학부재의 패턴 두께에 따른 이미지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10 and 11 are views showing image changes according to a pattern thickness of a second optical member, which is a constitu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제2 광학부재(130)의 패턴의 지름이 0.5 phi(mm)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2 광학부재(130)의 패턴의 지름이 0.7 phi(mm)인 경우를 나타낸다.10 shows a case where the diameter of the pattern of the second optical member 130 is 0.5 phi (mm). 11 shows a case where the diameter of the pattern of the second optical member 130 is 0.7 phi (mm).

즉, 본 발명은 제1 광학부재(120)의 일정 영역을 음각 또는 양각 형태로 형성하여 차량 외부에서 보이는 이미지의 소정 부분에 암영대를 형성하는 효과 뿐만 아니라, 제2 광학부재(130)의 패턴 두께를 조절하여 차량 외부에서 보이는 이미지를 다변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n effect of forming a certain area of the first optical member 120 in a negative angle or a relief shape to form a dark zone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an image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diversify the image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by adjusting the thicknes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100 : 차량용 램프
110 : 광원부
120 : 제1 광학부재
130 : 제2 광학부재
10, 100: Vehicle lamp
110: light source
120: first optical member
130: second optical member

Claims (12)

광을 방출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제1 입사부, 상기 제1 입사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1반사부 및 상기 제1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이 출사되는 제1 출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된 광이 가이드되는 제1 광학부재; 및
상기 제1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제2 입사부 및 상기 제2 입사부로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제2 출사부를 포함하여, 소정의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2 광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부재는, 상기 제2 입사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제어하는 광 제어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A light source unit for emitting light;
A first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incidence portion forward and a first reflector for emitt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or; A first optical member guided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And a second optical member including a second light incidence portion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xiting portion is incident and a second light exiting portion through which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light incidence portion is emitted so that a predetermined image is formed,
Wherein the first optical member includes a light control element that controls an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c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요소는 상기 제1 출사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입사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제1 광학부재 내부로 전반사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control elemen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exit portion, and control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incident portion to be totally reflec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optical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사부는 상기 제1 출사부에 대응되어 광이 입사되는 제1 영역과 상기 광 제어요소에 대응되어 광이 입사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제2 광학부재 상에 암영대를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incidence portion includes a first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it portion and having a light incident thereon and a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control element so that light is not incident, Automotive lamps that for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요소는 광 조사 방향에 대해 음각을 이루는 옵틱으로 형성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광 조사 방향에 대해 양각을 이루는 옵틱으로 형성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ight control element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formed as an optic that forms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a light irradiation direction,
And a second control part formed as an optic embossing with respect to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복수의 전반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입사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제1 광학부재 내부로 전반사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rein the first control sec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otal reflection surfaces and totally reflects the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incident section into the first optical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전반사된 광은 제1 반사부에 의해 재반사되어 상기 제1 출사부를 향해 조사되는 차량용 램프.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ight totally reflected by the first control section is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ng section and irradiated toward the first emitting s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복수의 반사면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프리즘 옵틱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상기 제1반사부로 재반사하는 차량용 램프.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is formed of a prism optic having a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reflects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on unit to the first refl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는 복수의 반사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사요소는 각각 90도 내지 120도 범위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eflective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ive elements and the plurality of reflective elements each have an angle ranging from 90 degrees to 120 degre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100도 내지 130도 범위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차량용 램프.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have an angle ranging from 100 degrees to 130 degre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제1 제어부의 형성 각도에 따라 경사 각도가 변경되는 차량용 램프.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eflecting portion is changed according to an angle formed by the first contro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부재는 제2 입사부와 제2 출사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입사부로 입사된 광을 상기 제2 출사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 상에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차량용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optical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incident portion and the second exit portion to guide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portion to the second exit portion, Automotive lamp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미지는 상기 가이드부의 소정 패턴에서 출사된 광과 상기 제2 출사부에서 출사된 광을 통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edetermined image is formed through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edetermined pattern of the guide portion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emission portion.
KR1020170184416A 2017-12-29 2017-12-29 Vehicle Lamp KR1024351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416A KR102435184B1 (en) 2017-12-29 2017-12-29 Vehicle 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416A KR102435184B1 (en) 2017-12-29 2017-12-29 Vehicle La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689A true KR20190081689A (en) 2019-07-09
KR102435184B1 KR102435184B1 (en) 2022-08-23

Family

ID=6726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416A KR102435184B1 (en) 2017-12-29 2017-12-29 Vehicle La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184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8155A (en) * 2010-07-23 2012-02-09 Stanley Electric Co Ltd Lamp unit for vehicle
KR20130135886A (en) 2010-12-29 2013-12-11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neumatic tire for heavy load
KR101360433B1 (en) 2012-03-06 2014-02-11 에스엘 주식회사 Puddle lamp device for vehicle with logo displaying function
JP2014154522A (en) * 2013-02-14 2014-08-25 Stanley Electric Co Ltd Light guide lens and lighting fixture
KR20150048353A (en) * 2013-10-28 2015-05-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Illuminating device for vehicle
KR20150056327A (en) * 2013-11-15 2015-05-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amp Apparatus for a Vehicle
JP2016029606A (en) * 2014-07-25 2016-03-0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Vehicular lighting fixture
KR20170048697A (en) * 2015-10-27 2017-05-10 에스엘 주식회사 Lamp for vehicle
JP2017112037A (en) * 2015-12-18 2017-06-2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Vehicular lighting fixtur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8155A (en) * 2010-07-23 2012-02-09 Stanley Electric Co Ltd Lamp unit for vehicle
KR20130135886A (en) 2010-12-29 2013-12-11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neumatic tire for heavy load
KR101360433B1 (en) 2012-03-06 2014-02-11 에스엘 주식회사 Puddle lamp device for vehicle with logo displaying function
JP2014154522A (en) * 2013-02-14 2014-08-25 Stanley Electric Co Ltd Light guide lens and lighting fixture
KR20150048353A (en) * 2013-10-28 2015-05-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Illuminating device for vehicle
KR20150056327A (en) * 2013-11-15 2015-05-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amp Apparatus for a Vehicle
JP2016029606A (en) * 2014-07-25 2016-03-0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Vehicular lighting fixture
KR20170048697A (en) * 2015-10-27 2017-05-10 에스엘 주식회사 Lamp for vehicle
JP2017112037A (en) * 2015-12-18 2017-06-2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Vehicular lighting f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184B1 (en)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46376A (en) Vehicle signalling device with three-dimensional optical effect
KR20190064090A (en) Lamp for vehicle
TW201534504A (en) Headlamp for vehicle
KR20140083807A (en) Light guide unit
KR102145189B1 (en) Lamp for vehicle
KR20180061928A (en) Lamp for vehicle
JP2013149553A (en) Vehicular lamp having lamp units of different functions
KR20190081689A (en) Vehicle Lamp
KR101987295B1 (en) Lamp for vehicle
KR20180073069A (en) Lamp for vehicle
KR20170063035A (en) Lamp for vehicle
KR101975461B1 (en) Lamp for vehicle
KR101964284B1 (en) Lamp for vehicle
KR20190081195A (en) Vehicle Lamp
WO2023106254A1 (en) Vehicle lamp
KR101987290B1 (en) Lamp for vehicle
KR101717686B1 (en) Head lamp for vehicle
KR20190081790A (en) lamp for vehicle
JP2019139932A (en) Lighting appliance for vehicle
KR20190081726A (en) Lamp for vehicle
KR20190048547A (en) Lamp for vehicle
JP7317679B2 (en) vehicle lamp
JP7034750B2 (en) Vehicle lighting
KR20220120287A (en) Automotive lamp
KR20180076634A (en) Lamp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