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434A -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434A
KR20190081434A KR1020170183972A KR20170183972A KR20190081434A KR 20190081434 A KR20190081434 A KR 20190081434A KR 1020170183972 A KR1020170183972 A KR 1020170183972A KR 20170183972 A KR20170183972 A KR 20170183972A KR 20190081434 A KR20190081434 A KR 20190081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guide
flat belt
catheter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석
Original Assignee
(주)넥스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턴 filed Critical (주)넥스턴
Priority to KR1020170183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1434A/ko
Publication of KR2019008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3Mechanical advancing means, e.g. catheter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1Aseptic inser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e.g. stylets, mandrils, rods or wires to reinforce or adjust temporarily the stiffness, column strength or pushability of catheters which are already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77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having external means for receiving guide wires, wires or stiffening members, e.g. loops, clamps or later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61M2025/0681Systems with catheter and outer tubing, e.g. sheath, sleeve or guide tu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가 개시되며, 상기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한 쌍의 평벨트; 상기 평벨트가 서로 마주보는 평벨트면에 구비된 복수의 가이드 부재;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카테터 핸들; 상기 카테터 핸들의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를 결합 또는 분리하여 카테터 바디를 전 방향에서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카테터 핸들을 감싸도록 구비된 카테터 장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GUIDING APPARATUS OF THE CATHETER}
본원은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관 중재 시술은 혈관 조영 장비와 같은 영상 장비를 통해 환자의 혈관 및 병변을 관찰하면서, 동시에 직경이 수 mm 이하의 가느다란 카테터(Catheter)를 환자의 혈관을 통해 목표 병변까지 삽입하여 치료하는 최소 침습 시술이다. 혈관 중재 시술의 대표적인 예로는 부정맥 중재 시술 및 심혈관 중재 시술이 있고, 그 밖에, 간암의 경동맥 화학 색전술(Arterial Chemoembolization), 경피적 혈관 성형술(Percutaneous Angioplasty), 대동맥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인조 혈관 스텐트 설치 시술 등이 있다.
혈관 중재 시술의 핵심 의료용 소재인 카테터는 의료용 소재들을 압출 성형하여 제작한 얇은 관이다. 구체적으로, 카테터는 환자의 소화관, 방광 등의 내용물을 빼내거나 약제, 세정제 등을 환자의 체내로 주입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고무 또는 금속제의 가느다란 관이다. 카테터는 만드는데 쓰이는 재료 또는 만드는 방식에 따라서 심혈관, 비뇨기과, 위장, 신경 혈관, 안과 등 다양한 의학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그런데, 혈관 중재 시술에 있어서 카테터는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어 병변까지 도달할 때에 예기치 않은 좌굴(Bucking: 축 방향에 압력을 받는 기둥이나 판이 어떤 한계를 넘으면 휘어지는 현상)이 빚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카테터 가이드 장치로는 가위 메커니즘(Scissor Mechanism)을 활용한 가이드 장치, 중첩식 가이드 장치, 및 한 면이 개방된 디귿자 형태의 가이드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가이드 장치들은 수동 카테터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가이드 장치에 설치한 후에 사용하는 가이드 장치들이다.
위와 같이, 좌굴을 방지할 목적으로 개발된 종래의 카테터 가이드 장치들은 각각 새로운 취약 요소를 갖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 번째, 가위 메커니즘을 활용한 가이드 장치의 경우 가위 메커니즘을 위한 장치의 구조가 카테터를 환자 체내의 병변으로 전진시키는 데 있어서 제약(가이드 장치가 접히는 최소 길이 이상으로 카테터를 전진시킬 수 없음)을 주고, 가이드 장치 내부에 카테터를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두 번째, 중첩식 가이드 장치의 경우도 가위 메커니즘을 활용한 가이드 장치와 마찬가지로, 중첩식 가이드 장치가 접히는 최소 길이 이상으로 카테터를 전진시킬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세 번째, 한 면이 개방된 디귿자 형태의 가이드 장치의 경우는 멸균을 요하는 카테터에 가이드 장치의 전체 가이드 면이 접촉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카테터의 위생 상태를 보장하기 쉽지 않고, 필연적으로, 가이드 장치 및 카테터 간의 상대적 움직임이 발생하기 때문에 카테터의 손상 또는 마모에 의한 이물질이 발생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5-046641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테터 바디를 전 방향에서 감싸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카테터 바디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보다 카테터 바디를 설치를 수월하게 하고, 카테터 바디를 환자 체내로 전진시키는데 있어서의 제한 사항을 줄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카테터 바디 및 가이드 장치 간 상대적 움직임을 유발하지 않고, 카테터 바디의 마모를 방지하며, 카테터 바디가 평벨트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카테터 바디의 멸균 상태를 유지하는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한 쌍의 평벨트, 상기 평벨트가 서로 마주보는 평벨트면에 구비된 복수의 가이드 부재,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카테터 핸들, 상기 카테터 핸들의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를 결합 또는 분리하여 카테터 바디를 전 방향에서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카테터 핸들을 감싸도록 구비된 카테터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카테터 바디를 전 방향에서 감싸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카테터 바디의 좌굴을 방지하여, 중재 시술의 소요 시간 및 위험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보다 카테터 바디의 설치를 수월하게 하고, 카테터 바디를 환자 체내로 전진시키는데 있어서의 제한 사항을 줄여, 집도의로 하여금 효과적인 중재 시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카테터 바디 및 가이드 장치 간 상대적 움직임을 유발하지 않고, 카테터 바디의 마모를 방지하며, 카테터 바디가 평벨트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카테터 바디의 멸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재 시술 간 환자의 생존율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를 정면에서 내려다보는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의 전면부를 측면에서 바라보는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를 측면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a) 및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b)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이하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라 통칭한다)(100)는 프레임(10), 평벨트(20), 가이드 부재(30), 카테터 핸들(40), 가이드 롤러(50), 및 카테터 장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의 외곽에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합성수지, 고분자 화합물,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며, 의료 도구로써 널리 활용되는 재질일 수 있다.
프레임(10)은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의 외곽에 구비되어 평벨트(20), 가이드 부재(30), 카테터 핸들(40), 가이드 롤러(50), 및 카테터 장착부(60)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에 카테터 바디(70)가 설치된 경우, 프레임(10)은 카테터 바디(70)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의 오작동 및 고장의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마모 및 손상으로 인한 이물질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를 활용한 시술에서의 안전성 및 청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 끝단이 형성돼 있다. 상기 양 끝단에서, 제1끝단은 카테터 바디(70)가 전진하는 방향에 위치한 끝단이고, 제2끝단은 상기 제1끝단의 반대편에 위치한 끝단이다.
프레임(10)은 제1끝단에 제1보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 프레임은 복수 개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보조 프레임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끝단에서 평벨트(20)를 지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평벨트(20)는 소정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제2끝단에 제2보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 프레임은 카테터 장착부(60)를 통과시킬 수 있는 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의 사용자로 하여금 종래보다 수월하게 카테터 바디(70)를 설치하게 할 수 있고,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의 유지 보수 및 소독을 하는데 있어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보조 프레임은 상기 제2끝단에서 평벨트(20)를 지탱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 프레임 및 제2보조 프레임이 상기 제1끝단 및 상기 제2끝단에서 각각 평벨트(20)를 지탱함으로써, 평벨트(20)의 소정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 핸들(40), 가이드 롤러(50), 및 카테터 장착부(60)의 상기 제1끝단으로의 전진에 요구되는 힘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를 사용하여 카테터 바디를 환자의 체내에 삽입할 때, 기존보다 더 안정적인 삽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평벨트(20)는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평벨트(2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평벨트(20) 쌍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쌍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평벨트와 같이, 평벨트(2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구비되되, 각각의 길이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평벨트(20)는 서로 마주보는 쌍으로 구비되되, 하나의 쌍에 포함된 개별 벨트의 수가 두 개 이상일 수 있다.
평벨트(20)는 일반적인 고무 재질의 벨트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평벨트(20)는 신장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 철심, 직물 등을 포함하는 고무, 우레탄 및 기타 탄성 재질의 벨트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평벨트(20)는 스틸 벨트, 얇은 금속 소재의 벨트로 구비될 수 있으나, 평벨트(20)의 재질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평벨트(20)는 서로 마주보는 평벨트면에 가이드 부재(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평벨트(20)는 복수 개의 가이드 부재(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이드 부재(30)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평벨트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평벨트(20)는 상기 제1끝단 방향 또는 상기 제2끝단 방향으로 진행하는 가이드 롤러(50)를 통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1평벨트 모드 및 제2평벨트 모드로 나타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평벨트 모드는 가이드 롤러(50)에서 상기 제1보조 프레임까지의 영역에 도시된 평벨트(20)의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평벨트 모드는 상기 제2끝단을 향하여 진행하는 가이드 롤러(50)를 통과한 개별 평벨트 간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일 수 있다. 이때, 평벨트면 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가이드 부재(30)가 결합되는 결합 모드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2평벨트 모드는 가이드 롤러(50)에서 상기 제2보조프레임까지의 영역에 도시된 평벨트(20)의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평벨트 모드는 상기 제1끝단을 향하여 진행하는 가이드 롤러(50)를 통과한 개별 평벨트 간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일 수 있다. 이때, 평벨트면 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가이드 부재(30)가 분리되는 분리 모드가 나타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평벨트 모드에서의 개별 평벨트 간의 간격은 카테터 장착부(60)의 제1끝단 및 제2끝단으로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일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를 정면에서 내려다보는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30)는 평벨트(20)가 서로 마주보는 평벨트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3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이드 부재(30)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평벨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부재(30)는 0.5cm의 간격으로 상기 평벨트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의 30(a) 및 30(b)를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30)는 디귿자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30)는 상기 제1끝단 방향 또는 상기 제2끝단 방향으로 진행하는 가이드 롤러(50)를 통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합 모드 및 분리 모드로 나타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평벨트 모드에서 가이드 부재(30)는 결합 모드이고, 상기 제2평벨트 모드에서 가이드 부재(30) 분리 모드일 수 있다. 상기 결합 모드에서 가이드 부재(30)는 디귿자의 서로 엇갈려 맞물린 결합체(30(b))의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체는 카테터 바디(70)를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이드 부재(30)는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0.5cm)으로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체 또한, 일정한 간격(0.5cm)으로 나타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체가 카테터 바디(70)와 접촉하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30)는 인체에 무해하고, 잘 부서지지 않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30)는 결합 모드 시 카테터 바디(70)에 대한 지지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카테터 바디(70)에 상기 결합체가 압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분리 모드에서 가이드 부재(30)는 카테터 장착부(60)의 제1끝단 및 제2끝단으로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30)는 U자형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가이드 부재(30)가 서로 맞물려 형성되는 결합체에 카테터 바디(70)를 관통시켜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밖에, 가이드 부재(30)는 상기 결합 모드 시에 복수의 가이드 부재(30)가 서로 맞물렸을 때, 카테터 바디(70)를 관통시켜 지지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카테터 핸들(40), 가이드 롤러(50), 및 카테터 장착부(60)를 상기 제1끝단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카테터 바디(70)가 상기 제1끝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결합 모드의 가이드 부재(30)는 카테터 바디(7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카테터 바디(70)보다 약간 큰 여유 공간만큼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터 핸들(40), 가이드 롤러(50), 카테터 장착부(60), 및 카테터 바디(70)의 이동이 정지되면, 상기 정지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 모드의 가이드 부재(30)는 카테터 바디(70)를 압착하여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카테터 핸들(40), 가이드 롤러(50), 및 카테터 장착부(60)를 상기 제2끝단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카테터 바디(70)가 상기 제2끝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결합 모드의 가이드 부재(30)는 카테터 바디(7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카테터 바디(70)보다 약간 큰 여유 공간만큼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터 핸들(40), 가이드 롤러(50), 카테터 장착부(60), 및 카테터 바디(70)의 이동이 정지되면, 상기 정지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 모드의 가이드 부재(30)는 카테터 바디(70)를 압착하여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의 전면부를 측면에서 바라보는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를 측면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카테터 핸들(40)은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핸들(40)은 상기 제1끝단 및 상기 제2끝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카테터 핸들(40)에서 상기 제1끝단과 가장 근접한 말단에 가이드 롤러(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롤러(50)는 한 쌍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카테터 핸들(40)에서 상기 제2끝단과 가장 근접한 말단부터 카테터 장착부(60)가 결합될 수 있으나, 카테터 핸들(40) 및 카테터 장착부(60)의 결합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카테터 장착부(60)은 카테터 핸들(40)의 전 방향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거나, 또는 카테터 장착부(60) 및 카테터 핸들(40)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카테터 핸들(40)은, 카테터 핸들(40) 내부에 카테터 바디(70)를 수용하고, 상기 제1끝단 및 상기 제2끝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카테터 바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 바디(70)는 상기 카테터 바디 홀을 관통하고,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테터 핸들(40)은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바디(70)와 접촉하는 상기 카테터 바디 홀에 인체 무해 성분이 코팅되거나, 카테터 바디(70)에 대한 고정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탄성을 가진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카테터 바디 홀의 직경은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카테터 바디(70)의 직경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에 직경 1.6mm의 카테터 바디가 설치되어 사용된 후, 직경 1.5mm의 카테터 바디가 설치되어 사용돼야 한다면, 상기 카테터 바디 홀은 0.1mm만큼의 직경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테터 바디 홀의 직경이 조절되는 방식은 회전 스위치 등을 통하여 물리적으로 획득한 사용자의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테터 바디 홀의 직경이 조절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직경 조절 방식의 예시로서, 평상 시에는 상기 카테터 바디 홀은 카테터 핸들(40)이 상기 카테터 바디 홀 내부에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 막혀있고, 카테터 바디(70)가 설치될 때, 사용자가 카테터 바디(70)를 상기 카테터 바디 홀에 밀어 넣는 힘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되어 카테터 바디(70)가 수용되는 체적을 허용하는 방식일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a) 및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롤러(5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롤러(50)의 쌍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쌍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50) 한 쌍은 2개 이상의 롤러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가이드 롤러(50)와 같이, 가이드 롤러(50)는 두 쌍의 가이드 롤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동시에 총 네 개의 개별 가이드 롤러로 구비될 수 있으나, 개별 가이드 롤러의 수와 쌍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가이드 롤러(50)는 카테터 핸들(40)의 말단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롤러(50)는 카테터 핸들(40)에서 상기 제1끝단과 가장 근접한 말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50)는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에 따라 가이드 부재(30)를 결합 또는 분리하여 카테터 바디(70)를 전 방향에서 가이드 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50)는 상기 제1끝단 및 상기 제2끝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도 6(a) 및 도6(b)를 참조하면, 도 6(a)에서 도시된 가이드 롤러의 위치는 도 6(b)에서 도시된 가이드 롤러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평벨트 모드의 평벨트 길이가 도 6(a)에서보다 더 짧아지고, 상기 제2평벨트 모드의 평벨트 길이는 도 6(a)에서보다 더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결합 모드의 가이드 부재의 수가 도 6(a)에서보다 더 적어지고, 상기 분리 모드의 가이드 부재 수는 도 6(a)에서보다 더 많아질 수 있다.
역으로, 가이드 롤러의 위치는 도 6(b)의 위치에서 도 6(a)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평벨트 모드의 평벨트 길이가 도 6(b)에서보다 더 길어지고, 상기 제2평벨트 모드의 평벨트 길이는 도 6(b)에서보다 더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결합 모드의 가이드 부재의 수가 도 6(b)에서보다 더 많아지고, 상기 분리 모드의 가이드 부재 수는 도 6(b)에서보다 더 적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 롤러(50)는 상기 제1끝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평벨트(20) 및 가이드 부재(30)를 가이드 롤러 내부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제1평벨트 모드의 평벨트 상태를 상기 제2평벨트 모드의 평벨트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고, 상기 결합 모드의 가이드 부재를 상기 분리 모드의 가이드 부재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50)는 상기 제2끝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평벨트(20) 및 가이드 부재(30)를 가이드 롤러 내부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제2평벨트 모드의 평벨트 상태를 상기 제1평벨트 모드의 평벨트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고, 상기 분리 모드의 가이드 부재를 상기 결합 모드의 가이드 부재로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평벨트 모드의 평벨트 길이가 길어지고 상기 결합 모드의 가이드 부재(상기 결합체)가 많아질수록,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가 카테터 바디를 고정하는 힘은 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의 사용자가 카테터 바디를 환자의 체내에 있는 병변을 향하여 삽입할 때, 카테터 바디의 좌굴을 방지하여 효과적으로 상기 삽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카테터 장착부(60)는 카테터 핸들(40)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장착부(60)는 카테터 핸들(40)을 보호하도록 소정의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카테터 핸들(40), 가이드 롤러(50) 및 카테터 장착부(60)는 상호 결합된 채로 프레임(10) 내부에서 상기 제1끝단 및 상기 제2끝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카테터 장착부(60)가 상기 제2끝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카테터 장착부(60)는 상기 제2보조 프레임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아래에는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카테터 가이드 장치(100)는 PC, 서버, 휴대 단말 등에서 산출된 값(예를 들어, 카테터 바디의 삽입 목표 깊이, 환자의 체내 기관들의 좌표값 등)을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PC는 병변 깊이까지의 길이값 및 병변 주위의 신체 기관들의 좌표값을 계산해내고 네트워크를 통해 본 카테터 가이드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다라, 본 카테터 가이드 장치(100)는 상기 길이값 및 좌표값을 수신하고, 상기 길이값 및 좌표값을 기초로 하여 본 카테터 가이드 장치(100)가 동작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길이값이 5cm이고 본 카테터 가이드 장치(100)에 1.5mm 직경의 카테터 바디가 기 설치됐다면, 본 카테터 가이드 장치(100)는 상기 길이값에 기초하여 카테터 바디를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카테터 바디와 함께 카테터 핸들(40), 가이드 롤러(50), 및 카테터 장착부(60)가 상기 제1끝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테터 바디의 삽입 이전 상태의 가이드 롤러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끝단 방향으로 5cm 거리까지의 평벨트의 상태가 상기 제1평벨트 모드에서 상기 제2평벨트 모드로 변경되고, 카테터 바디의 삽입 이전 상태의 가이드 롤러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끝단 방향으로 5cm 거리까지의 가이드 부재의 상태가 상기 결합 모드에서 상기 분리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가 혈관 중재 시술에 활용되는 상황을 가정하면,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를 활용하여 카테터 바디를 환자의 체내에 삽입시킬 때, 환자의 혈관을 통해 체내로 진입하는 카테터 바디는 혈관이 교차되는 지점에 닿을 수 있다. 여기서, 카테터 바디의 말단이 잘못된 혈관 경로로 진입하거나, 교차되는 지점의 혈관에 상해를 입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는 상기 길이값 및 좌표값과 같은 외부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카테터 바디와 직접 접촉하고 있는 카테터 핸들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혈관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올바른 혈관의 방향(예를 들어, 병변으로의 방향)으로 카테터 바디를 지속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혈관 중재 시술 중 발생할 수 있는 혈관 내부 출혈, 시술 시간 지연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카테터 핸들의 상기 미세 조정의 예로는, 카테터 바디 말단의 미세 동작, 카테터 바디의 미세 회전 동작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는 카테터 핸들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병변으로 향하는 방향의 혈관을 단시간 내에 찾게 할 수 있다.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에 대하여 유지 보수, 소독, 카테터 바디의 설치 등을 수행할 때,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 사용자에 의해 분해, 재조립, 세척, 소독, 구성품 교체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는 카테터 바디를 환자의 체내로 삽입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심혈관 중재 시술 중 상기 길이값 및 좌표값 등에 오류가 있어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가 집도의의 수동 조작에 의존해야 할 경우,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환자의 체내로 카테터 바디를 삽입시킬 수 있다.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의 활용은 혈관 중재 시술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는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시술 또는 진단 시에, 카테터 바디의 좌굴을 방지하여, 시술 또는 진단에 소요되는 시간과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는 카테터 바디를 설치를 수월하게 하고, 카테터 바디를 생명체의 체내로 삽입시키는데 있어서의 제한 사항을 줄여, 집도의로 하여금 효과적인 시술 또는 진단을 수행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100)는 카테터 바디 및 가이드 장치 간 상대적 움직임을 유발하지 않고, 카테터 바디의 마모를 방지하며, 카테터 바디가 가이드 면 또는 평벨트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카테터 바디의 멸균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명체의 생존율을 현저히 상승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시술 및 진단에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프레임
20: 평벨트
30: 가이드 부재
40: 카테터 핸들
50: 가이드 롤러
60: 카테터 장착부
70: 카테터 바디
100: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

Claims (1)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한 쌍의 평벨트;
    상기 평벨트가 서로 마주보는 평벨트면에 구비된 복수의 가이드 부재;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카테터 핸들;
    상기 카테터 핸들의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를 결합 또는 분리하여 카테터 바디를 전 방향에서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카테터 핸들을 감싸도록 구비된 카테터 장착부를 포함하는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
KR1020170183972A 2017-12-29 2017-12-29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 KR20190081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972A KR20190081434A (ko) 2017-12-29 2017-12-29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972A KR20190081434A (ko) 2017-12-29 2017-12-29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434A true KR20190081434A (ko) 2019-07-09

Family

ID=6726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972A KR20190081434A (ko) 2017-12-29 2017-12-29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14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791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메디픽셀 시술도구 구동 시스템
WO2024043650A1 (ko) * 2022-08-24 2024-02-29 유에프유헬스(주)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791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메디픽셀 시술도구 구동 시스템
WO2024043650A1 (ko) * 2022-08-24 2024-02-29 유에프유헬스(주) 포리 카테터 지지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9545B2 (ja) 進入及び追跡用迅速交換拡張器を持つ頸動脈シース並びに使用方法
US10322260B2 (en) Treatment method for treating lower limbs using multi-member catheter assembly
EP1824551B1 (en) Catheter having an ultra soft tip
US9149604B2 (en) Aspiration catheter
US200201882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shape guide catheter
JP5280123B2 (ja) 移動補助を備えた装置
US20160082233A1 (en) Balloon catheter assembly
JP2008521536A (ja) 薬剤搬送装置
US2010031806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atheter steerability
US20230218870A1 (en) A mobile balloon support catheter
US11596729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leaning contaminated body cavities
US20180154107A1 (en) Catheter
EP2596828A1 (en) Intravascular hemostasis-type catheter
US20240024629A1 (en) Torquer for an elongated medical device
KR20190081434A (ko) 카테터의 가이드 장치
JP2004136103A (ja) ニッケル−チタン滑性医療カテーテルワイヤ
US20240001087A1 (en) Balloon catheter with fortified proximal infusion outlet port, and manufacturing thereof
US11219751B2 (en) Cathete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njection of adhesive materials
US20140276611A1 (en) Trapping Sheaths and Guide Catheters
JP2010213800A (ja) カテーテル
US20170014156A1 (en) Self-dilating catheter introducer with obturator and method of use
JP3958086B2 (ja) 拡張バルーンカテーテル
CN110664523B (zh) 用于输送介入医疗器械的输送器
US2019032160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he dilation of sinus ostia and other body passages
US20230380915A1 (en) Robotic drive system for facilitating treatments of the neurovasculature and methods of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