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220A -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220A
KR20190081220A KR1020170183591A KR20170183591A KR20190081220A KR 20190081220 A KR20190081220 A KR 20190081220A KR 1020170183591 A KR1020170183591 A KR 1020170183591A KR 20170183591 A KR20170183591 A KR 20170183591A KR 20190081220 A KR20190081220 A KR 20190081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ranking
words
learning
finger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인
Original Assignee
(주)씨트러스에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트러스에듀테크 filed Critical (주)씨트러스에듀테크
Priority to KR1020170183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1220A/ko
Publication of KR20190081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수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상기 교수자 단말로 외국어 학습을 위한 지문 및 지문에 포함된 단어 또는 숙어 중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들이 포함된 외국어 학습 페이지를 전송하는 지문 제공부; 상기 지문에서 학습 대상자의 수준 및 출현 빈도수에 따른 랭킹을 이용하여 학습 대상이 되는 시험 단어 또는 숙어를 선별하는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 및 상기 교수자 단말로부터 상기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의 삭제 또는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삭제 또는 추가된 단어 또는 숙어의 랭킹을 변경하는 랭킹 변경부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oreign language service}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단어 또는 숙어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학원에서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단어 시험 문제를 출제하는 경우, 교수자는 시중에 시판되는 시험 문제집 중에 시험 단원에 맞는 문제들을 취합하거나 직접 문제를 작성하게 된다.
교수자가 지문에서 직접 단어를 선별하는 경우에는 단어 선별만을 위해 대상 지문들을 모두 읽어야 하며 여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단어 선별이 끝난 후에 교수자가 학생에게 나누어줄 단어/숙어 학습지와 시험지 문서를 작성할 경우, 이에 소요되는 시간 또한 상당하다.
만일, 단어를 선별하는 과정과 문서를 작성하는 과정을 구분하여 진행하면 그 과정에서 지문의 맥락과 다른 의미를 입력하거나 혹은 맞지 않은 품사를 입력할 수 있으며, 지문의 양이 긴 경우에는 이미 학습용 단어로 선별한 단어를 중복하여 선별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주어진 단어와 숙어가 어떤 예문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지를 포함하기도 어렵고, 이를 일일이 사전을 보고 입력하기도 쉽지 않은 일이며, 원어민이 아닌 이상 예문들에 정확한 뉘앙스를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교수자가 지문에서 직접 단어를 선별하여 시험 문제를 출제하거나 단어 학습 유인물을 제작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정신적 및 육체적으로 큰 부담이 되는 작업이며, 이로 인해 단어 시험 문제 또는 단어 학습 유인물의 완성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의 학습능률 저하로 이어진다.
본 발명자는 특허등록공보 제1775644호(발명의 명칭: 단어/숙어 시험 문제 출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상기한 교수자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단어 또는 숙어의 빈도수를 고려하여 학습 대상의 수준에 맞는 단어 또는 숙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 또는 숙어를 포함하는 단어/숙어집 또는 시험 문제를 편리하게 생성하는 내용을 제시한바 있다.
그러나, 지문에서 단지 출현 빈도수만을 고려하여 단어를 추출하는 경우, 학습 수준에 맞지 않는 단어들이 다수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여러 교수자가 상기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공보 제1775644호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학습 대상에 맞는 단어를 적절하게 선별할 수 있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수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상기 교수자 단말로 외국어 학습을 위한 지문 및 지문에 포함된 단어 또는 숙어 중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들이 포함된 외국어 학습 페이지를 전송하는 지문 제공부; 상기 지문에서 학습 대상자의 수준 및 출현 빈도수에 따른 랭킹을 이용하여 학습 대상이 되는 시험 단어 또는 숙어를 선별하는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 및 상기 교수자 단말로부터 상기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의 삭제 또는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삭제 또는 추가된 단어 또는 숙어의 랭킹을 변경하는 랭킹 변경부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는, 상기 학습 대상자의 수준에 따라 kx 내지 (k+n)x의 랭킹을 갖는 복수의 단어를 선별하고, 상기 랭킹 변경부는, 삭제된 단어의 랭킹을 상기 kx 랭킹보다 높게 변경하고, 삭제된 단어의 랭킹을 상기 kx와 (k+n)x 사이에 위치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상기 x는 2이상의 자연수를 가지며, 상기 랭킹 변경부는, 상기 삭제된 단어의 랭킹을 kx-m(여기서, m은 m<x인 자연수)로 변경하고, 상기 추가된 단어의 랭킹을 (k+n)x-m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복수의 교수자 단말에서 학습 대상 단어에서의 삭제 또는 학습 대상 단어로의 추가가 있는 경우, 상기 랭킹 변경부는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삭제 또는 추가된 단어들에 대해서만 랭킹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랭킹 변경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학습 대상 단어에서의 삭제 또는 학습 대상 단어로의 추가된 단어에 대한 랭킹을 재조정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에서 상기 삭제된 단어의 랭킹은 (k-1)x로 재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교수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에서의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교수자 단말로 외국어 학습을 위한 지문 및 지문에 포함된 단어 또는 숙어 중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들이 포함된 외국어 학습 페이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지문에서 학습 대상자의 수준 및 출현 빈도수에 따른 랭킹을 이용하여 학습 대상이 되는 시험 단어 또는 숙어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교수자 단말로부터 상기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의 삭제 또는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삭제 또는 추가된 단어 또는 숙어의 랭킹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국어 학습을 위한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교수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외국어 학습을 위한 지문 및 지문에 포함된 단어 또는 숙어 중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들이 포함된 외국어 학습 페이지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외국어 학습 페이지에는 학습 대상자의 수준 및 출현 빈도수에 따른 랭킹을 이용하여 선별된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가 포함됨-; 상기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 중 적어도 하나의 삭제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선별되지 않은 단어 또는 숙어에 대한 추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삭제 또는 추가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삭제 또는 추가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삭제 또는 추가된 단어 또는 숙어의 랭킹을 변경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 대상 단어에 포함된 단어를 삭제하거나 또는 학습 대상 단어에 새로운 단어를 추가하는 경우, 해당 단어의 랭킹을 변경하여 추후 학습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단어가 적절히 선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지문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어 상세 정보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문제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100) 및 교수자 단말(102)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102)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인터넷망, 이동 통신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04)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102)로 학습을 위한 지문 리스트를 제공하고, 교수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한 지문 리스트에서 선택한 지문에서 학습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단어 또는 숙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 또는 숙어 리스트를 교수자 단말(102)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0)는 웹 페이지 형식으로 지문 리스트를 교수자 단말(102)에 제공한다.
교수자가 복수의 지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교수자가 선택한 지문 및 지문에 포함된 단어 또는 숙어 중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들이 포함된 페이지를 교수자 단말(102)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지문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지문 페이지에는, 지문 영역(300), 지문에 포함된 단어 중 학습 대상자의 수준에 맞게 추천되는 추천 단어 리스트 영역(302), 추천 숙어 리스트 영역(304) 및 학습 대상 단어 영역(306)이 포함된다.
지문 영역(300)의 각 단어들은 링크 설정이 되어 있어, 특정 단어를 선택하는 경우, 단어의 상세 정보가 별도의 페이지로 출력될 수 있다.
추천 단어 리스트 영역(302) 및 추천 숙어 리스트 영역(304)의 각 단어들도 링크 설정되어 있어 단어 또는 숙어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교수자의 지문 선택이 있는 경우, 학습 대상자의 수준에 상응하는 단어의 출현 빈도수를 고려하여 결정된 학습 대상 단어들이 학습 대상 단어 영역(306)에 표시된다.
서비스 서버(100)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104)에는 학습 대상이 되는 전체 지문에서 각 단어들의 출현 빈도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며, 나아가, 출현 빈도수에 따른 랭킹이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현 빈도수가 높을수록 랭킹이 높게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어들의 랭킹은 단지 출현 빈도수만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교수자가 학습 대상 단어 영역(306)에 표시된 단어를 추가 또는 삭제하는지 여부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단어의 랭킹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각 단어의 랭킹은 x만큼 차이가 나게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랭킹은 순차적으로 1, 1+x, 1+2x, 1+3x, ... , 1+nx로 부여될 수 있고, 여기서, x는 1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랭킹 부여 이유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될 것이다.
교수자가 선택한 지문에서 출현 빈도수를 고려하여 복수의 단어 중 kx 내지 (k+n)x의 랭킹을 갖는 단어들이 학습 대상 단어 영역(306)에 포함되고, 이 중 1+40x번째 랭킹에 해당하는 "unhappy"는 단어가 포함된 것으로 가정한다.
unhappy는 출현 빈도수가 적어 학습 대상 단어들에 포함되기는 하였으나, 교수자가 볼 때 unhappy가 현재 학습 대상자의 수준에서, 학습 대상 단어에 속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학습 대상 영역(306)에서 해당 단어를 제외시킬 수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페이지에서 해당 단어 좌측의 "-"를 클릭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교수자가 특정 단어를 학습 대상 단어 영역(306)에서 삭제하게 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00)는 삭제된 단어의 랭킹을 변경한다.
현재 학습 대상 단어 영역(306)에 포함되는 단어의 가장 높은 랭킹이 kx인 것을 고려하여 삭제된 단어의 랭킹은 kx-m(여기서, m은 m<x인 자연수)로 변경된다.
여기서, m은 1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랭킹 변경에 의해, 삭제된 단어는 동일한 수준의 학습 대상자들을 위한 지문에서는 학습 대상 단어 영역(306)에 포함되지 않게 된다.
또한, 교수자의 단어 추가에 의해서도 단어의 랭킹이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어 상세 정보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및 추천 단어 리스트에 포함된 단어를 클릭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어의 상세 정보 페이지가 출력되며, 교수자 단말(102)은 상세 정보 페이지에서 포함 버튼(include)을 클릭하여 해당 단어를 학습 대상 단어로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선택된 단어는 학습 대상 단어 영역(306)에 추가된다.
만일, 상기한 예에서 현재 학습 대상 단어 영역(306)에 랭킹 kx에서 (k+n)x까지의 단어가 포함된 상태에서 교수자가 추가한 단어의 랭킹이 kx보다 높은 (k-1)x을 가지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상기한 교수자의 추가에 의해 추가된 단어의 랭킹은 (k+n)x-m으로 변경된다.
즉, 추가된 단어의 랭킹이 현재 학습 대상 단어의 랭킹 범위인 kx에서 (k+n)x 사이에 포함되도록 변경되는 것이다.
서비스 서버(100)는 교수자 단말(102)에서의 단어 삭제 및 추가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04)에서 해당 단어의 랭킹을 변경한다.
이때, 랭킹 변경에 의해 서로 다른 단어가 동일한 랭킹이 부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어 간 랭킹 차이는 1이 아닌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단어의 랭킹 차이는 100 단위로 설정될 수 있어, A, B, C, D, E 단어 각각에 대해 1, 101, 201, 301, 401로 랭킹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한 단어 중 B, C, D가 학습 대상 단어 영역(306)에 포함되어 있다가, C가 학습 대상 단어에서 삭제되는 경우 해당 단어의 랭킹은 100으로 변경될 수 있다.
각 단어의 랭킹은 삭제/추가 시점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 이때, 삭제된 단어 C의 랭킹이 101로, 다음 순서의 단어인 B의 랭킹은 201로 변경된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랭킹 넘버 변경 전 변경 후(업데이트 완료)
1 A A
101 B C
201 C B
301 D D
401 E 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수준의 학습 대상자들에 대해 복수의 교수자 각각이 삭제하는 단어들이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서비스 서버(10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해당 수준에서 삭제 또는 추가된 단어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업데이터 시점에 소정 횟수 이상 삭제 또는 추가된 단어들에 대해서만 랭킹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랭킹 변경을 위한 임계치는 10으로 설정되고, 각 교수자로부터 소정 단어에 대한 삭제 요청이 10회 이상 수신된 경우에만 해당 단어의 랭킹을 위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업데이트 시점에서 단어의 삭제 횟수 및 추가 횟수에 따라 랭킹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교수자 단말(102)에서의 단어의 삭제 또는 추가에 따라 실시간으로 랭킹이 변경될 수 있다.
랭킹 변경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랭킹 변경이 가능한 교수자에 대한 정보는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교수자 중 신뢰할 수 있는 교수자의 단말(102)에서 단어의 삭제 또는 추가가 있는 경우에만 실시간으로 해당 단어의 랭킹을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교수자는 교수자 단말(1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지문에 포함된 단어들을 이용한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교수자가 도 3의 문제 출제 영역(308)을 클릭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단어에 대한 문제 생성 페이지가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문제 생성 페이지에는, 학습 대상 단어 영역(306)에 포함된 각 단어들에 대한 다양한 형식의 문제가 포함된다.
서비스 서버(100)는 교수자 단말(102)에서 각 단어에 대해 선택된 문제 형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이후, 교수자가 선택한 문제 형식에 상응하는 문제 페이지를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00)는 지문 제공부(600),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602), 단어/숙어집 생성부(604) 및 시험 문제 출제부(6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어/숙어’를 ‘단어’로 총칭(總稱)하도록 한다. 즉,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602)에서 단어를 선별하는 방법은 숙어 선별에도 적용될 수 있고, 단어/숙어집 생성부(604)에서 단어집을 생성하는 방법은 숙어집 생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지문 제공부(600)는 교수자 단말(102)의 요청에 따라서 시험 단어를 추출하기 위한 지문 또는 지문을 포함하는 문서 파일을 교수자 단말(102)로 제공할 수 있다.
지문 제공부(600)가 제공하는 지문은 서비스 서버(100)에 기 저장된 지문 및 교수자가 웹 사이트에 업로드한 지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저장된 지문은 기출 문제(예를 들어 수학 능력 시험, 토익, 토플 등의 공인 시험, 각 학교별 모의 고사 등), 뉴스, 각종 교과서 등에 게재된 지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문 제공부(600)는 지문들을 저장하는 지문 DB(610)와 연동될 수 있으며, 지문 DB(610)에 저장되는 지문들은 학습자의 수준별(예를 들어 초/중/고급 또는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및 각 학년별 등)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참고로, 교수자 단말(102)에서 교수자로부터 지문을 텍스트로 직접 입력받거나 파일로 입력받는 경우, 상기 지문 제공부(600)에 의한 지문 제공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602)는 교수자 단말(110)에서 교수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지문으로부터 시험 단어, 즉 학습 대상 단어를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대상 단어는 명사(noun), 동사(verb), 형용사(adjective), 부사(adverb), 대명사(pronoun), 감탄사(interjection), 접속사(conjunction) 및 조동사(aux. verb)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시험 단어의 종류는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602)는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등과 같은 말뭉치에서 나타나는 단어의 품사별 출현 빈도수(텍스트화된 다양한 자료를 기반으로 함)를 카운트하여 출현 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정렬한 출현 빈도수 DB(612)와 연동될 수 있다.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602)는 교수자가 입력한 하나 이상의 지문에서 모든 단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모든 단어들 중 출현 빈도수 DB(612)에서 하위 특정 비율(예를 들어 하위 5% 등)에 포함되는 단어들을 시험 단어로 선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602)는 지문의 모든 단어들에 대하여 출현 빈도수 DB(612)의 빈도별 랭킹을 참조하고, 지문 길이를 기준으로 하위 특정 비율에 포함되는 단어들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다.
상기 하위 특정 비율이 5%이고, 지문 길이가 100 단어인 경우,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602)는 출현 빈도수 DB(612)의 빈도별 랭킹을 참조하여 지문의 모든 단어들(100개의 단어) 중 5%에 해당하는 5개의 단어를 출현 빈도수가 적은 순으로 선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602)는 학습 대상자의 수준에 따라 kx 내지 (k+n)x의 랭킹을 갖는 복수의 단어를 선별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602)는 교수자가 사전에 설정한 시험 단어의 개수만큼을 지문에서 선별할 수 있다.
전체 지문에서 50개의 단어를 선별하겠다고 교수자가 설정한 경우,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602)는 출현 빈도수 DB(612)의 랭킹을 참조하여 지문의 모든 단어들 중 출현 빈도수가 적은 순으로 50개의 단어를 중복되지 않게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출현 빈도수 DB(612)의 하위 특정 비율을 이용하는 것은, 언어를 학습할 때에는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단어를 우선적으로 학습하게 되기 때문이며 학습자는 임의의 지문이 주어졌을 때에 가장 빈도수가 적은 단어와 숙어를 모를 확률이 높기 때문이며, 상기 ‘하위 특정 비율’은 교수자가 시험 단어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설정 조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출현 빈도수 DB(612)’는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등과 같은 말뭉치를 통해 조사한 결과일 수도 있고, 학습자의 수준(예를 들어, 초/중/고급 또는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및 각 학년별 등)별로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교수자가 입력한 지문에서 선별되는 시험 단어는 교수자가 ‘하위 특정 비율’을 조절하거나 학습자의 수준을 설정함으로써 선별될 수 있다.
참고로, 출현 빈도수 DB(612)는 서비스 서버(1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출현 빈도수 DB(612)를 제공하는 별도의 서버(미도시)에 포함되어 서비스 서버(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602)는 선별된 시험 단어에 대한 정보(지문에서 단어의 위치, 품사, 하이라이트 색상, 밑줄 여부 등)를 교수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시험 단어로 선별된 단어들은 교수자 단말(100)에서 표시될 때, 해당 지문에서 하이라이트나 밑줄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해당 단어의 품사가 함께 표시되어 사용자(교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단어와 함께 표시되는 품사는 지문 내에서 해당 단어가 사용되는 의미에 따른 품사이며, 해당 단어가 다른 품사로 사용되는 경우를 보기 원하는 경우, 단어와 함께 표시된 품사 부분을 클릭하면 텍스트 영역이 확장되면서 다른 품사에 따른 사전 정의, 예문과 표현 및 용법 설명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단어/숙어집 생성부(604)는 교수자 단말(102)로부터 특정 시험 단어에 대한 사전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시험 단어의 사전 정보(예를 들어, 품사별 사전 정의, 예문과 표현 및 용법 설명 등)를 추출하여 교수자 단말(102)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단어/숙어집 생성부(604)는 교수자 단말(102)로부터 교수자가 선택한 시험 단어에 대한 단어집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시험 단어에 대한 단어집을 생성하여 교수자 단말(10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어/숙어집 생성부(604)는 영한 사전 DB(614) 및 영영 사전 DB(616) 중 하나 이상과 연동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온라인에서 단어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와 연동될 수도 있다.
또한, 영어와 관련된 사전 DB로서 중국어, 일본어, 아랍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 다양한 언어 사전 DB와 연동될 수 있다.
단어/숙어집 생성부(604)는 영한 사전 DB(614)와 영영 사전 DB(616)에 근거하여 교수자가 선택한 시험 단어의 사전 정의, 예문과 표현 및 용법 설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어집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단어/숙어집 생성부(604)는 시험 단어의 사전 정보 모두를 포함하여 단어집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며, 교수자가 선택한 사전 정보만을 포함하여 단어집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esent라는 시험 단어가 존재할 때, present의 사전 정의는 “선물, 현재의, 보여주다, 선물하다, 제시하다, 발표하다’ 등 품사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의미로 정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예문과 표현 그리고 용법 설명 또한 각각 다르다.
교수자는 present라는 시험 단어의 단어집 생성을 요청 시, 지문의 문맥을 고려하여 지문 내에서 present가 사용되는 가장 적절한 사전 정의, 예문과 표현 및 용법 설명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영한 사전 DB(614) 및 영영 사전 DB(616)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사전 정보가 제공되므로, 교수자가 선택할 수 있는 시험 단어의 사전 정의, 예문과 표현 및 용법 설명은 영한 사전 DB(614) 및 영영 사전 DB(616) 중 하나 이상에서 제공되는 사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지문에 등장하는 시험 단어에 대한 단어집에는 지문의 문맥을 고려하여 각 시험 단어들이 사용되는 가장 적절한 사전 정의, 예문과 표현 및 용법 설명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노동 집약적 방식으로 단어를 선별하고 그에 대한 단어집을 작성하면서 발생했던 문제들, 예를 들어, 교수자의 느낌으로 단어를 선택하여 난이도 조절과 분량 조절에 실패하거나,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됨으로 인해 단어의 간략한 의미만을 표기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시험 문제를 통하여 풍부한 정보들을 학습할 수 없었던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다.
참고로, 영한 사전 DB(614) 및 영영 사전 DB(616)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한 시험 단어의 사전 정보 중 교수자가 선택하는 사전 정보는 시험 문제 출제 시 문제 유형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영한 사전 DB(614) 및 영영 사전 DB(616)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한 시험 단어의 사전 정보 중 교수자가 선택하는 사전 정보를 ‘문제 유형 속성 정보’라고 칭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0)가 지문 DB(610), 출현 빈도수 DB(612), 하나 이상의 사전 DB(영한 사전 DB와 영영 사전 DB)(614, 616)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별도로 존재하는 상기 DB들과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교수자 단말(102) 상기 DB들의 링크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DB들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교수자 단말(102)이 상기 DB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지문을 선택하거나, 지문으로부터 시험 단어를 선별하거나, 시험 단어의 사전 정보를 표시하거나, 단어집을 생성하거나, 단어집에 기초하여 시험 단어에 대한 시험 문제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시험 문제 출제부(606)는 교수자 단말(102)로부터 단어집의 시험 단어에 대한 시험 문제 출제 요청이 수신되면, 교수자가 선택한 각 시험 단어의 문제 유형 속성 정보에 따라서 시험 문제를 출제하여 교수자 단말(102)로 제공할 수 있다.
시험 문제 출제부(606)는 각 시험 단어의 문제 유형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 유형 중 랜덤하게 문제 유형을 선택하여 시험 문제를 출제할 수도 있고, 각 시험 단어의 문제 유형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 유형(즉, 출제 가능한 문제 유형)을 모두 표시하고, 교수자가 선택한 문제 유형으로 시험 문제를 출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는 랭킹 변경부(60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교수자는 지문 DB(610) 등에서 선택된 지문 페이지 내에서 학습 대상 영역(306)에 포함된 단어를 삭제하거나, 소정 단어를 학습 대상 단어로 추가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교수자 단말(102)로부터 단어 삭제 정보 또는 단어 추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현재 교수자 단말(102)의 디폴트로 설정된 학습 대상 단어들의 랭킹을 고려하여 삭제 또는 추가된 단어의 랭킹을 변경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출현 빈도수 DB(612)에는 각 단어의 출현 빈도수에 따른 랭킹 정보가 포함되며, 바람직하게, 학습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학습 대상 단어는 랭킹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출현 빈도수 DB(612)에는 각 단어의 랭킹이 1단위가 아닌, x만큼의 차이를 가지도록 하여 각 단어들에 대한 랭킹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랭킹 변경부(608)는 특정 교수자 단말(102)에서의 학습 대상 단어들이 랭킹 kx에서 (k+n)x 범위에 있는 경우(여기서, n>k 임), 삭제된 단어의 랭킹을 kx-m, 추가된 단어의 랭킹을 (k+n)x-m로 변경한다.
만일, 초기에 학습 대상 단어들에 포함된 단어들 중 복수의 단어가 삭제되는 경우, 삭제되는 순서에 따라 kx-1, kx-2, kx-3의 순으로 랭킹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어가 추가되는 경우, 추가되는 순서에 따라 각 단어의 랭킹을 (k+n)x-1, (k+n)x-2, (k+n)x-3으로 변경할 수 있다.
랭킹 업데이트 시점에, 랭킹 변경부(608)는 단어의 삭제 정보 및 추가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단어의 랭킹을 변경한다.
랭킹 변경부(608)의 제어에 따라 출현 빈도수 DB(612)에서 각 단어의 랭킹이 재조정된다.
예를 들어, 학습 대상 수준이 kx에서 (k+n)x 사이에 포함된 단어가 학습 대상에서 삭제되는 경우, 업데이트 시점에 해당 단어의 랭킹은 (k-1)x로 변경되고, 추가된 단어의 랭킹은 (k+n+1)x로 변경된다.
또한, 복수의 교수자 단말(102)에 각각 단어의 삭제 또는 추가가 있는 경우, 랭킹 변경부(608)는 단어의 삭제 빈도 및 추가 빈도를 고려하여 단어의 랭킹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어의 출현 빈도수만을 고려하여 학습 대상 단어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교수자의 선택에 따라 학습 대상 단어의 랭킹을 능동적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외국어 단어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유명사, 지명, 접두사 또는 접미어를 포함하는 단어의 경우 출현 빈도수는 많지 않더라도 학습 대상자가 해당 단어를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단어의 랭킹을 조절하는 경우 학습 대상자에게 실질적으로 학습해야 할 단어들만 추후 선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각 단어의 출현 빈도수의 따른 랭킹 정보를 유지한다(단계 700).
서비스 서버(100)는 교수자 단말(102)의 요청에 따라 웹 페이지 형식으로 지문 리스트를 교수자 단말(102)로 전송한다(단계 702).
또한, 서비스 서버(100)는 교수자가 선택한 지문 및 지문에 포함된 단어 또는 숙어 중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들이 포함된 외국어 학습 페이지를 교수자 단말(102)로 전송한다(단계 704).
본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페이지에는 학습 수준에 따른 학습 대상 단어가 표시된다.
교수자 단말(102)에서 학습 대상 단어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단어의 삭제 및 추가가 있는 경우(단계 706), 삭제/추가된 단어 정보를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한다(단계 708).
단계 708에서의 단어의 삭제 또는 추가 정보에는 학습 수준 정보(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학습 대상 단어의 랭킹 범위), 교수자 식별 정보, 단어 식별 정보 및 단어의 삭제 또는 추가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교수자 단말(102)로부터 수신된 단어 삭제 또는 추가 정보에 따라 해당 단어의 랭킹을 변경한다(단계 710).
학습 대상에서 삭제 또는 추가된 단어의 랭킹 변경은 학습 대상자의 수준에서 디폴트로 제공되는 단어의 랭킹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8)

  1. 교수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상기 교수자 단말로 외국어 학습을 위한 지문 및 지문에 포함된 단어 또는 숙어 중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들이 포함된 외국어 학습 페이지를 전송하는 지문 제공부;
    상기 지문에서 학습 대상자의 수준 및 출현 빈도수에 따른 랭킹을 이용하여 학습 대상이 되는 시험 단어 또는 숙어를 선별하는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 및
    상기 교수자 단말로부터 상기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의 삭제 또는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삭제 또는 추가된 단어 또는 숙어의 랭킹을 변경하는 랭킹 변경부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단어/숙어 선별부는,
    상기 학습 대상자의 수준에 따라 kx 내지 (k+n)x의 랭킹을 갖는 복수의 단어를 선별하고,
    상기 랭킹 변경부는, 삭제된 단어의 랭킹을 상기 kx 랭킹보다 높게 변경하고, 삭제된 단어의 랭킹을 상기 kx와 (k+n)x 사이에 위치하도록 변경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x는 2이상의 자연수를 가지며,
    상기 랭킹 변경부는, 상기 삭제된 단어의 랭킹을 kx-m(여기서, m은 m<x인 자연수)로 변경하고, 상기 추가된 단어의 랭킹을 (k+n)x-m으로 변경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교수자 단말에서 학습 대상 단어에서의 삭제 또는 학습 대상 단어로의 추가가 있는 경우, 상기 랭킹 변경부는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삭제 또는 추가된 단어들에 대해서만 랭킹 변경을 수행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변경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학습 대상 단어에서의 삭제 또는 학습 대상 단어로의 추가된 단어에 대한 랭킹을 재조정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에서 상기 삭제된 단어의 랭킹은 (k-1)x로 재조정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6. 교수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에서의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교수자 단말로 외국어 학습을 위한 지문 및 지문에 포함된 단어 또는 숙어 중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들이 포함된 외국어 학습 페이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지문에서 학습 대상자의 수준 및 출현 빈도수에 따른 랭킹을 이용하여 학습 대상이 되는 시험 단어 또는 숙어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교수자 단말로부터 상기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의 삭제 또는 추가 정보를 수신하여, 삭제 또는 추가된 단어 또는 숙어의 랭킹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7. 외국어 학습을 위한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교수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외국어 학습을 위한 지문 및 지문에 포함된 단어 또는 숙어 중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들이 포함된 외국어 학습 페이지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외국어 학습 페이지에는 학습 대상자의 수준 및 출현 빈도수에 따른 랭킹을 이용하여 선별된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가 포함됨-;
    상기 학습 대상이 되는 단어 또는 숙어 중 적어도 하나의 삭제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선별되지 않은 단어 또는 숙어에 대한 추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삭제 또는 추가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삭제 또는 추가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삭제 또는 추가된 단어 또는 숙어의 랭킹을 변경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183591A 2017-12-29 2017-12-29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81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591A KR20190081220A (ko) 2017-12-29 2017-12-29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591A KR20190081220A (ko) 2017-12-29 2017-12-29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220A true KR20190081220A (ko) 2019-07-09

Family

ID=6726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591A KR20190081220A (ko) 2017-12-29 2017-12-29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12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214A1 (ja) * 2020-08-21 2022-02-24 言語研究開発合同会社 言語学習支援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644B1 (ko) 2016-02-19 2017-09-05 (주)씨트러스에듀테크 단어/숙어 시험 문제 출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644B1 (ko) 2016-02-19 2017-09-05 (주)씨트러스에듀테크 단어/숙어 시험 문제 출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214A1 (ja) * 2020-08-21 2022-02-24 言語研究開発合同会社 言語学習支援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644B1 (ko) 단어/숙어 시험 문제 출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Goodwin et al. A meta-analysis of morphological interventions in English: Effects on literacy outcomes for school-age children
US82397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generation of adapted content to facilitate reading skill development for language learners
BR122017002789A2 (pt) sistemas e métodos para aprendizagem de idioma
KR102050266B1 (ko) 영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040102003A (ko) 자동 독서 시스템 및 방법
Hermas Restrictive relatives in L3 English: L1 transfer and ultimate attainment convergence
KR20150126027A (ko) 이해 지원 시스템, 이해 지원 서버, 이해 지원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Golonka et al. The role of context and cognitive effort in vocabulary learning: A study of intermediate‐level learners of Arabic
KR101160623B1 (ko) 영어 학습법 및 그 장치
CN110796911A (zh) 一种自动产生测试题目的语言学习系统及其语言学习方法
TW201826233A (zh) 學習支援系統、方法及程式
Hanoulle et al. The efficacy of terminology-extraction systems for the translation of documentaries
Wu et al. Breadth or depth: the role of vocabulary in Chinese English-Language beginning writers’ development
Bychkovska Effects of explicit instruction on noun phrase production in L2 undergraduate writing
Ali The prospect and potential challenges of teaching Englishes in Pakistan
KR102149935B1 (ko) 8품사 및 문장 내 사용역할로 성분을 구분하는 단순도해법을 이용한 영어문장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JP4827163B2 (ja) テスト問題配信システム
Tilstra et al. The spoken academic English of Dutch university lecturers
Speights Atkins et al. Implementation of an automated grading tool for phonetic transcription training
KR20190081220A (ko)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otz et al. Omission and other sins: Tracking the quality of online machine translation output over four years
KR20210086182A (ko) 음성 분석을 통한 한국어 발음 학습 방법 및 시스템
US202200445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lping language learners learn more
KR101650141B1 (ko) 한자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포함된 학습 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