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316A - 오답 노트 생성 방법, 장치 - Google Patents

오답 노트 생성 방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316A
KR20190080316A KR1020170182696A KR20170182696A KR20190080316A KR 20190080316 A KR20190080316 A KR 20190080316A KR 1020170182696 A KR1020170182696 A KR 1020170182696A KR 20170182696 A KR20170182696 A KR 20170182696A KR 20190080316 A KR20190080316 A KR 20190080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user
incorrect
note
wr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6820B1 (ko
Inventor
강상희
Original Assignee
강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희 filed Critical 강상희
Priority to KR1020170182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82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오답노트 생성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문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문제 요청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제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문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문제에 대한 답안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와 (e) 상기 답안 데이터를 정답데이터와 비교하여 오답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답 노트 생성 방법, 장치{METHOD, APPARATUS FOR GENERATING WRONG ANSWER NOTE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오답 노트 생성 방법,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오답 문제를 포함하는 오답 노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학습을 돕기 위한 오답 노트 생성 방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이나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의 스마트 기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학습자는 학습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 문제 풀이를 수행한 이후에 오답 노트를 작성하는데 학습자 유형을 분류하고 학습자 유형별로 틀린 문제에 관한 정보를 빅데이터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수집하면 학습자 유형별로 틀리는 문제의 특정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학습자 유형을 분석하고, 학습자 유형별로 오답 노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오답 노트를 분석하여 자주 틀리는 문제에 대한 오답 패턴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면, 다음에 비슷한 문제를 풀게 될 때 보다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오답 노트는 학습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교육 컨텐츠는 주로 패키지로 제공되어 왔다. 학생들에게 일괄적으로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의 패키지는 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취약한 문제 유형과 학생들의 인지 성향이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향이 패키지형 교육 컨텐츠에서 개인 맞춤형 컨텐츠로 바뀌고 있다.
학습자에게 있어서도 자신이 취약한 단원의 문제 유형만을 선별하여 학습하는 개인 맞춤형 컨텐츠의 교육서비스가 패키지형 교육 컨텐츠보다 흥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일 것이다.
그러나 학습자가 자신의 오답을 정리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스스로 자신의 취약 부분과 인지 성향을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교육 서비스 제공자 또한 다수의 학습자에게 학습자 개인의 취약 부분과 인지 성향에 적합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
종래의 기술문헌에 의하면, 특허문헌 1은 복수의 단계로 구성된 복습 프로그램의 각 단계에 통과율을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복습 프로그램의 단계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수행 결과가 설정된 통과율에 미달인 경우 설정된 통과율을 조정하는 복습 프로그램 관리 모듈과 사용자 단말에 오답노트를 제공하는 오답 노트 생성 모듈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오답 노트 또는 타인 오답 노트 요청을 수신하는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고, 특허문헌 2는 스마트기기 기반의 자인 오답 문제를 오답노트에 반영하는 바로 풀기 학습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바로 풀기를 실시간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 및 통계 정보를 스마트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정답에 대한 확신없이 답안지에 기입한 문제를 별도로 체크하여 시험 결과에서 오답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의 완성도를 더욱 배가시키기 위한 스마트기기 기반의 자인 오답 문제를 오답 노트에 반영하는 바로 풀기 학습용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에서는 오답 문제가 영역별로 정리되어 있지 않고, 오답 문제가 난이도와 중요에 따른 우선 순위가 반영되어 있지 않아서 학습자들이 오답 노트를 활용하여 틀린 문제를 다시 학습하는 경우에 모든 오답 문제를 반복해서 풀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오답 노트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문제 풀이시 오답 문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답안 데이터가 정답 데이터와 일치한 경우에는 다음 문제가 제공되고, 답안 데이터가 정답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오답 노트가 생성되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오답 노트에 생성된 문제를 난이도와 중요도에 따라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선별적으로 재추천하여 학습 효율을 증대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틀린 문제를 난이도 및 중요도별로 자동으로 그룹화하여 오답 노트로 만들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오답 노트를 보고 학습을 수행할 때, 난이도 및 중요도에 따라 학습 시간이나 학습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효율을 증대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문제들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사용자가 오답 문제의 난이도 및 중요도를 추출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오답 노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난이도 및 중요도에 가중치가 부여된 오답 노트의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들 간에 오답 노트의 오답 문제를 상호 교환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오답 노트 생성 방법은 (a) 사용자 단말로부터 문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문제 요청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제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문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문제에 대한 답안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e) 상기 답안 데이터를 정답데이터와 비교하여 오답이 발생한 오답 문제를 포함하는 오답노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f) 상기 오답노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b)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문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오답 노트는 상기 오답 문제에 대한 해설 데이터, 상기 문제의 난이도 지수 및 중요도 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1)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 및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난이도 지수가 높은 문제를 우선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2)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 및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요도 지수가 높은 문제를 우선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h) 상기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학습 능력의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의 오답 노트 교환 기능을 통해 사용자와 상기 동일한 레벨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오답 노트로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상기 오답 노트에 포함된 상기 오답 문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정답율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상기 사용자와 상대적으로 매칭도가 높은 사용자를 상기 사용자의 최적 학습 메이트로 설정하고, 상기 최적 학습 메이트와 우선적으로 오답 문제를 교환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오답 노트 생성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문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문제 요청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문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문제 제공부와 상기 추출된 문제 대한 답안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답 노트를 생성하는 오답 노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답 노트 생성부는 복수의 점수들과 상기 복수의 점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값의 난이도 지수가 저장되어 있는 난이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상기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문제들에 대한 답안을 상기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입력하면,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에 대한 채점을 수행하는 제1 채점 수행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 중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답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문제들 중 상기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답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제1 오답 정보 추출부, 상기 복수의 문제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점수가 미리 할당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난이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점수에 대응하는 난이도 지수를 추출하는 난이도 지수 추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난이도 지수를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서로 대응하여 저장하는 제1 오답 정보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오답 노트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추출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대응하는 상기 난이도 지수에 따라 선정된 개수의 난이도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제1 오답 노트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답 노트 생성부는 복수의 점수들과 상기 복수의 점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값의 중요도 지수가 저장되어 있는 중요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오답노트 생성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문제들에 대한 답안을 상기 오답노트 생성 장치에 입력하면,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에 대한 채점을 수행하는 제2 채점 수행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 중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답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문제들 중 상기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답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제2 오답 정보 추출부, 상기 복수의 문제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점수가 미리 할당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중요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의 기출횟수에 따른 빈번도에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를 추출하는 중요도 지수 추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중요도 지수를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서로 대응하여 저장하는 제2 오답 정보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오답 노트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추출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에 따라 선정된 개수의 중요도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제2 오답 노트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답 노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학습 능력의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의 오답 노트 교환 기능을 통해 사용자와 상기 동일한 레벨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오답 노트로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상기 오답 노트에 포함된 상기 오답 문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정답율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상기 사용자와 상대적으로 매칭도가 높은 사용자를 상기 사용자의 최적 학습 메이트로 설정하고, 상기 최적 학습 메이트와 우선적으로 오답 문제를 교환할 수 있다.
오답노트 생성 방법은 사용자가 틀린 문제를 난이도 및 중요도 별로 자동으로 그룹화하여 오답 노트로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오답 노트를 보고 학습을 수행할 때, 난이도 및 중요도에 따라 학습 시간이나 학습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오답 노트를 손쉽게 작성하고, 오답노트의 문제들을 난이도 및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고, 자신의 오답과 유사한 문제 및 자신의 인지 성향을 바탕으로 가장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문제를 제공받을 수 있어 학습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전체 사용자의 오답 노트 정보를 수집하여 개별 문제와 개별 사용자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제공자는 개별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형태의 교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서 난이도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서 중요도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내에서 문제 우선 순위 변경 기능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간 교환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난이도”는 보통의 학습자가 문제를 풀이하는 경우 문제의 쉽고 어려운 정도에 관한 것으로 문제에 대한 정답률이다.
본 출원에서 “중요도”는 유사문제가 시험에 출제되는 빈번한 정도를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난이도 가중치”는 학습자가 난이도의 수치를 보정하기 위하여 입력한 수치로 난이도를 보정하기 위해 난이도 지수에 곱하는 수치를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중요도 가중치”는 사용자가 중요도의 수치를 보정하기 위하여 입력한 수치로 중요도를 보정하기 위해 중요도 지수에 곱하는 수치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100)는 문제 제공부(120), 오답노트 생성부(14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문제 제공부(1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문제 요청을 수신하고, 문제 요청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제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문제에 대한 답안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문제 제공부(120)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문제를 추출할 수 있다.
오답 노트 생성부(140)는 답안 데이터를 정답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답이 발생한 오답 문제를 포함하는 오답 노트를 생성하고, 오답 노트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오답 노트는 오답 문제에 대한 해설 데이터, 문제의 난이도 지수 및 중요도 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답 노트 생성부(140)는 사용자의 인적 정보 및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난이도 지수가 높은 문제를 우선적으로 추출하고, 사용자의 인적 정보 및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요도 지수가 높은 문제를 우선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오답 노트 생성부(140)는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학습 능력의 레벨을 설정하고,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의 오답 노트 교환 기능을 통해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오답 노트로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오답 노트 생성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상기 오답 노트에 포함된 상기 오답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정답율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사용자와 상대적으로 매칭도가 높은 사용자를 사용자의 최적 학습 메이트로 설정하고, 최적 학습 메이트와 우선적으로 오답 문제를 교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문제 제공부(120), 오답노트 생성부(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오답 노트 생성부의 구제적인 동작이 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답 노트 생성부는 난이도 산정부(200)와 중요도 산정부(220)를 포함한다.
난이도 산정부는 난이도 데이터베이스, 제1 채점 수행부, 제1 오답 정보 추출부, 난이도 지수 추출부, 제1 오답 정보 저장부, 제1 오답 노트 제공부를 포함하고, 중요도 산정부는 중요도 데이터베이스, 제2 채점 수행부, 제2 오답 정보 추출부, 중요도 지수 추출부, 제2 오답 정보 저장부, 제2 오답 노트 제공부를 포함한다.
난이도 데이터베이스에는 복수의 점수들과 복수의 점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값의 난이도 지수가 저장되어 있다.
제1 채점 수행부는 사용자가 전자 학습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문제들에 대한 답안을 전자 학습 단말 장치에 입력하면,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에 대한 채점을 수행한다.
난이도 지수 추출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 중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답안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문제들 중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답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복수의 문제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점수가 미리 할당되어 있고, 난이도 지수 추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면, 난이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점수에 대응하는 난이도 지수를 추출한다.
제1 오답 정보 추출부은 오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제1 오답 정보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응하는 난이도 지수를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서로 대응하여 저장한다.
제1 오답 노트 제공부는 사용자로부터 오답 노트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추출한 후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대응하는 난이도 지수에 따라 선정된 개수의 난이도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중요도 데이터베이스에는 복수의 점수들과 복수의 점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값의 중요도 지수가 저장되어 있다.
제2 채점 수행부는 사용자가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문제들에 대한 답안을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입력하면,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에 대한 채점을 수행한다.
제2 오답 정보 추출부는 오답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중요도 지수 추출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 중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답안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문제들 중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답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복수의 문제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점수가 미리 할당되어 있고, 제2 오답 정보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면, 중요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점수에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를 추출한다.
제2 오답 정보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를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서로 대응하여 저장한다.
제2 오답 노트 제공부는 사용자로부터 오답 노트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추출한 후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에 따라 선정된 개수의 중요도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한다.
먼저, 사용자가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1번부터 20번까지의 문제를 풀어서, 오답 노트 생성 장치 상에 상기 1번부터 20번 문제에 대한 답안을 입력하면, 제1 채점 수행부는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에 대한 채점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 중에서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답안에 대한 문제로 1번, 12번, 13번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오답 정보 추출부는 1번, 12번, 13번 문제를 오답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번부터 20번 문제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점수가 미리 할당되어 있을 수 있는데, 1번부터 10번까지의 문제의 점수는 2점, 11번부터 20번까지의 문제의 점수는 3점 등의 형태로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제1 오답 정보 추출부에 의해 1번, 12번, 13번 문제가 오답으로 추출되면, 난이도 지수 추출부는 난이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1번, 12번, 13번 문제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점수에 대응하는 난이도 지수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이도 데이터베이스 상에 난이도 지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1번 문제의 점수는 20점, 12번과 13번 문제의 점수는 30점이라고 한다면, 난이도 지수 추출부는 1번 문제에 대한 난이도 지수로 20을 추출할 수 있고, 12번과 13번 문제에 대한 난이도 지수로 30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1 오답 정보 저장부는 1번, 12번, 13번 문제와 1번, 12번, 13번 문제에 대응하는 난이도 지수인 20, 30, 30을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서로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 이후, 사용자로부터 오답 노트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제1 오답 노트 제공부는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1번, 12번, 13번 문제를 추출한 후 1번, 12번, 13번 문제를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인 20, 30, 30에 따라 선정된 개수의 난이도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답노트 생성 장치는 선정된 개수의 난이도 그룹 별로 대응하는 난이도 지수의 범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난이도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오답 노트 제공부는 사용자로부터 오답 노트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추출한 후 난이도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한 난이도 지수가 속해 있는 난이도 그룹을 확인한 후 확인된 난이도 그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그룹화하여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난이도 그룹 데이터베이스 상에는 난이도 지수가 10~15에 대해 난이도 '하' 라고 하는 난이도 그룹으로 묶여있을 수 있고, 난이도 지수가 16~20에 대해 난이도 '중'이라고 하는 난이도 그룹으로 묶여있을 수 있으며, 난이도 지수가 21~30에 대해 난이도 '상'이라고 하는 난이도 그룹으로 묶여있을 수 있고, 난이도 지수가 31을 초과하는 경우에 대해 난이도 '최상'이라고 하는 난이도 그룹으로 묶여있을 수 있다.
이때, 제1 오답 노트 제공부는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1번, 12번, 13번 문제가 추출되면, 난이도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1번, 12번, 13번 문제를 대응하는 난이도 지수인 20, 30, 30에 따라 1번 문제는 난이도 '중'이라는 난이도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고, 12번과 13번 문제는 난이도 '상'이라는 난이도 그룹으로 그룹화한 후 그룹화된 형태로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오답 노트를 난이도 별로 그룹화된 형태로 볼 수 있어서, 난이도 별로 구분하여 오답 관리를 할 수 있다.
제1 오답 정보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 중 적어도 하나의 문제의 문제를 구성하는 문자의 개수가 선정된 기준 개수를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제에 대한 난이도 지수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제에 대한 난이도 지수를 상기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1번, 12번, 13번 문제가 오답으로 추출되었고, 1번, 12번, 13번 문제 각각의 난이도 지수가 20, 30, 30이라고 하며, 선정된 기준 개수를 100개, 제1 가중치를 1.2라고 하는 경우, 1번, 12번, 13번 문제 중 12번 문제를 구성하는 문자의 개수가 100개를 넘게 되면, 제1 오답 정보 저장부는 12번 문제에 대한 난이도 지수인 30에 제1 가중치인 1.2를 곱하여 36이라고 하는 보정된 난이도 지수를 생성한 후 12번 문제에 대한 난이도 지수를 36으로 결정하여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오답 정보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 중 그림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제에 대한 난이도 지수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제에 대한 난이도 지수를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1번, 12번, 13번 문제가 오답으로 추출되었고, 1번, 12번, 13번 문제 각각의 중요도 지수가 20, 30, 30이라고 하며, 제2 가중치를 1.5라고 하는 경우 1번, 12번, 13번 문제 중 1번 문제에 그림이 포함되어 있다면, 제1 오답 정보 저장부는 1번 문제에 대한 난이도 지수인 20에 제2 가중치인 1.5를 곱하여 30이라고 하는 보정된 중요도 지수를 생성한 후 1번 문제에 대한 난이도 지수를 30으로 결정하여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는 각 문제의 글자수와 그림의 포함여부에 따라 난이도 지수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게 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각 오답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1번부터 20번까지의 문제를 풀어서, 오답 노트 생성 장치 상에 상기 1번부터 20번 문제에 대한 답안을 입력하면, 제2 채점 수행부는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에 대한 채점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 중에서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답안에 대한 문제로 1번, 12번, 13번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 제2 오답 정보 추출부는 1번, 12번, 13번 문제를 오답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번부터 20번 문제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점수가 미리 할당되어 있을 수 있는데, 1번부터 10번까지의 문제의 점수는 2점, 11번부터 20번까지의 문제의 점수는 3점 등의 형태로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제2 오답 정보 추출부에 의해 1번, 12번, 13번 문제가 오답으로 추출되면, 중요도 지수 추출부는 중요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1번, 12번, 13번 문제 각각이 주요 시험에 기출되는 횟수에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도 데이터베이스 상에 중요도 지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1번 문제의 주요 시험에 기출되는 빈번도는 2회, 12번과 13번 문제의 주요 시험에 기출되는 빈번도는 3회라고 한다면, 중요도 지수 추출부는 1번 문제에 대한 중요도 지수로 20을 추출할 수 있고, 12번과 13번 문제에 대한 중요도 지수로 30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2 오답 정보 저장부는 1번, 12번, 13번 문제와 1번, 12번, 13번 문제에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인 20, 30, 30을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서로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 이후, 사용자로부터 오답 노트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제2 오답 노트 제공부는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1번, 12번, 13번 문제를 추출한 후 1번, 12번, 13번 문제를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인 20, 30, 30에 따라 선정된 개수의 중요도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답노트 생성 장치는 선정된 개수의 난이도 그룹 별로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의 범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중요도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오답 노트 제공부는 사용자로부터 오답 노트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추출한 후 중요도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한 중요도 지수가 속해 있는 중요도 그룹을 확인한 후 확인된 중요도 그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그룹화하여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중요도 그룹 데이터베이스 상에는 중요도 지수가 10~15에 대해 중요도 '하' 라고 하는 중요도 그룹으로 묶여있을 수 있고, 중요도 지수가 16~20에 대해 중요도 '중'이라고 하는 중요도 그룹으로 묶여있을 수 있으며, 중요도 지수가 21~30에 대해 중요도 '상'이라고 하는 중요도 그룹으로 묶여있을 수 있고, 중요도 지수가 31을 초과하는 경우에 대해 중요도 '최상'이라고 하는 중요도 그룹으로 묶여있을 수 있다.
이때, 제2 오답 노트 제공부는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1번, 12번, 13번 문제가 추출되면, 중요도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1번, 12번, 13번 문제를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인 20, 30, 30에 따라 1번 문제는 중요도 '중'이라는 중요도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고, 12번과 13번 문제는 중요도 '상'이라는 중요도 그룹으로 그룹화한 후 그룹화된 형태로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오답 노트를 중요도 별로 그룹화된 형태로 볼 수 있어서, 중요도 별로 구분하여 오답 관리를 할 수 있다.
제2 오답 정보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 중 적어도 하나의 문제의 기출 횟수가 선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제에 대한 중요도 지수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제에 대한 중요도 지수를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1번, 12번, 13번 문제가 오답으로 추출되었고, 1번, 12번, 13번 문제 각각의 중요도 지수가 20, 30, 30이라고 하며, 선정된 기준 개수를 10회, 제1 가중치를 1.2라고 하는 경우, 1번, 12번, 13번 문제 중 12번 문제의 주요시험 기출횟수가 10회를 넘게 되면, 오답 정보 저장부는 12번 문제에 대한 중요도 지수인 30에 제1 가중치인 1.2를 곱하여 36이라고 하는 보정된 중요도 지수를 생성한 후 12번 문제에 대한 중요도 지수를 36으로 결정하여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제2 오답 정보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 중 사용자가 체크한 기호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제에 대한 중요도 지수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제에 대한 중요도 지수를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1번, 12번, 13번 문제가 오답으로 추출되었고, 1번, 12번, 13번 문제 각각의 중요도 지수가 20, 30, 30이라고 하며, 제2 가중치를 1.5라고 하는 경우, 1번, 12번, 13번 문제 중 1번 문제에 별표가 체크되어 있다면, 제2 오답 정보 저장부는 1번 문제에 대한 중요도 지수인 20에 제2 가중치인 1.5를 곱하여 30이라고 하는 보정된 중요도 지수를 생성한 후 1번 문제에 대한 중요도 지수를 30으로 결정하여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는 각 문제에 표기된 기호의 포함여부에 따라 중요도 지수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게 문제의 중요도에 따라 각 오답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서 난이도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310단계에서는 복수의 점수들과 상기 복수의 점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값의 난이도 지수가 저장되어 있는 난이도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S320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문제들에 대한 답안을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입력하면,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에 대한 채점을 수행한다.
S330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 중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답안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문제들 중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답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S340단계에서는 복수의 문제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점수가 미리 할당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면, 난이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점수에 대응하는 난이도 지수를 추출한다.
S350단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응하는 난이도 지수를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서로 대응하여 저장한다.
S360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오답 노트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추출한 후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대응하는 난이도 지수에 따라 선정된 개수의 난이도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350단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 중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구성하는 문자의 개수가 선정된 기준 개수를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제에 대한 난이도 지수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제에 대한 난이도 지수를 상기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350단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 중 그림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제에 대한 난이도 지수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제에 대한 난이도 지수를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답 노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선정된 개수의 난이도 그룹 별로 대응하는 난이도 지수의 범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난이도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S360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오답 노트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추출한 후 난이도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한 난이도 지수가 속해 있는 난이도 그룹을 확인한 후 확인된 난이도 그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그룹화하여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서 중요도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서 중요도를 표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S410단계에서는 복수의 점수들과 상기 복수의 점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값의 중요도 지수가 저장되어 있는 중요도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S420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문제들에 대한 답안을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입력하면,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에 대한 채점을 수행한다.
S430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 중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답안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문제들 중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답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S440단계에서는 복수의 문제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점수가 미리 할당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면, 중요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점수에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를 추출한다.
S450단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를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서로 대응하여 저장한다.
S460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오답 노트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추출한 후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에 따라 선정된 개수의 중요도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이때, S450단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 중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구성하는 문자의 개수가 선정된 기준 개수를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제에 대한 중요도 지수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제에 대한 중요도 지수를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S450단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 중 그림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제에 대한 중요도 지수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제에 대한 중요도 지수를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오답 노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선정된 개수의 중요도 그룹 별로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의 범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중요도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S460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오답 노트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추출한 후 중요도 그룹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한 중요도 지수가 속해 있는 중요도 그룹을 확인한 후 확인된 중요도 그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그룹화하여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학습자 리스트가 제시된다. 예를 들면 학습자 리스트에는 학습자의 사진과 현재 재학중인 학교와 목표대학, 목표점수 등이 제시된다. 영역 별로 그래프로 제시된다. 예를 들어 A영역은 문법, B영역은 독해, C영역은 문학 등일 수 있다. 학습자가 오답 노트의 해당 영역을 클릭하면 도 6과 같은 오답노트 각 영역의 오답문제 리스트가 제시된다.
오답 노트 리스트는 오답 노트가 영역별로 분류되어 있고 분류된 영역을 클릭하면 해당 영역의 오답 노트 리스트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오답 노트의 C영역을 클릭하면 문학에 관해 학습자가 풀었던 문제 중 문학과 관련된 오답 문제의 리스트가 제시된다.
오답 노트 리스트에는 난이도와 중요도가 백분율로 제시되고 해당 문제의 문제 제목과 오답 노트가 제시된다. 오답 노트 항목을 클릭하면 도 6과 같은 오답 노트가 생성되어 제시된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오답노트 추천 TOP10의 1번 항목의 오답 노트를 클릭하면 난이도 90%, 중요도 90%인 문제의 오답노트가 생성되어 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오답 노트에는 문제와 보기가 탑재되어 있고, 이에 따른 해설이 탑재되어 있다. 해설에는 중요도와 난이도가 백분율로 표기된 그래프가 제시되어 있다. 중요도 항목을 클릭하면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출 문제의 오답노트 상위 10개의 리스트가 나타나고, 난이도 항목을 클릭하면 다른 학습자들의 이 문제에 대한 정답율이 등급과 함께 백분율로 제시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중요도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학습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펜을 이용하여 오답 문제의 표제나 번호에 사선, 체크, 삼각형, 별표 등을 기호 및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오답 문제에 대해 자신이 생각하는 중요도를 고려하여 별의 이미지를 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알긴 알고 있지만 실수라고 생각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별 하나, 개념은 알고 있으나, 햇갈리는 문제에 대해서는 별 두 개, 전혀 몰랐던 문제에 대해서는 별 세 개를 채점 이후 표시할 수 있고, 이러한 표시자는 오답 문제의 중요도 정보로서 인식되어 이후, 오답 노트 상에서 오답 문제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의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오답 노트 생성 장치는 중요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오답 노트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문제를 제공할 경우에 오답 노트에 생성된 문제의 우선순위 순서로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오답 노트에 생성된 문제의 중요도의 우선순위가 선순위인 문제를 먼저 제공받을 수 있다.
오답 노트는 문제와 보기, 그리고 해설과 출제연도 중요도, 난이도에 관한 정보가 제시되는데, 예를 들어 문제의 중요도 80%인 중요도 항목을 클릭하면 과거에 수학능력고사나 학력평가 문제에 출제된 동일하거나 유사한 문제가 제시된다. 만일 난이도 항목을 클릭하면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률이 제시되는데 예를 들어, 문제의 난이도 70%인 난이도 항목을 클릭하면 상위1등급 80%, 상위2등급 50%, 상위3등급 30% 가 이 문제의 정답을 선택하였다는 정보가 제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내에서 문제 우선 순위 변경 기능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오답 노트 내에서 사용자의 문제 풀이 결과를 기반으로 문제 우선 순위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의 문제 풀이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오답 문제의 개수는 증가할 수 있고, 오답 노트를 보는 것조차 사용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오답 노트 내에서 사용자의 이후 문제 풀이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보다 중요한 오답 문제를 우선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이후 문제 풀이 결과를 기반으로 오답 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오답 문제 중 사용자의 정답률을 고려하여 오답 노트가 생성될 수 있다.
오답 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오답 문제에 대해 사용자의 재오답 확률(800)이 결정될 수 있다.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은 이후 사용자의 문제 풀이 결과를 기반으로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와 매칭률이 높은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정답률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오답 문제의 재오답 확률(800)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은 오답 문제의 재오답 확률(800)을 고려하여 오답 노트 내에서 오답 문제의 배열을 변경하거나, 특정 오답 문제를 오답 노트 내에서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두음 법칙'과 관련된 문제를 틀린 경우,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은 오답 문제의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문제에 대한 유형 분석 및 문장 분석을 통해 오답 문제의 특성 정보가 '문법', '객관식', '두음법칙'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동일, 유사한 유형('문법', '객관식', '두음법칙')의 문제를 풀고 문제에 대해 일정 횟수 이상 정답을 맞춘 경우, 기존의 오답 노트에 기록된 두음법칙과 관련된 문제의 재오답 확률(800)은 감소될 수 있고, 오답노트에서 삭제되거나, 오답노트에서 제공되는 오답문제의 우선 순위에서 후순위로 밀려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동일, 유사한 유형('문법', '객관식', '두음법칙')의 문제를 풀고 문제에 대해 정답을 맞추지 못한 경우, 기존의 오답 노트에 기록된 두음법칙과 관련된 문제의 재오답 확률(800)은 증가될 수 있고, 오답 노트에서 제공되는 오답 문제의 우선 순위에서 선순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오답 노트 내의 오답 문제들이 이후 사용자의 문제 풀이 결과를 기반으로 삭제되거나,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오답 노트 내에서 재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답 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오답 문제의 순서가 기존에 문제 풀이를 수행한 날짜(오답 문제 생성 시점(820))를 기준으로 재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점(예를 들어, 일주일)을 기준으로 일정 시점에 인접하여 풀었던 문제가 높은 우선 순위로 설정되고, 제1 시점에서 이전 시점(또는 과거 시점)으로 멀어질수록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일정 시점에서 이후 시점(또는 최근 시점)으로 멀어질수록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오답 문제가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오답 문제는 일정 시점에서 이전 시점으로 멀어질수록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되, 설정 시점(예를 들어, 6개월) 이상 멀어지고, 일정 횟수 이상 사용자에게 제공된 경우, 우선 순위가 재조정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 순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우선 순위의 설정을 통해 사용자의 기억력 및 이후 학습 횟수를 고려하여 오답 문제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재배열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오답 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오답 문제들이 필터링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오답 문제가 1000문제인 경우, 제1 필터링을 통해 500문제가 필터링되고, 제2 필터링을 통해 250문제가 필터링되고, 제3 필터링을 통해 100문제가 필터링되고, 제4 필터링을 통해 50문제가 필터링될 수 있다.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의 필터링 설정에 따라 오답 문제의 특성 정보, 오답 문제의 재오답 확률, 오답 문제의 입력 시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필터링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학습 가능한 시간을 고려하여 학습 가능한 시간 또는 필터링할 문제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학습 가능한 시간, 필터링할 문제의 개수 등을 고려하여 필터링된 결과를 오답 노트 상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필터링 강도가 강해질수록 오답 문제의 특성 정보가 유사한 문제는 삭제되고, 높은 재오답 확률을 가지는 문제, 오답 문제의 입력 시간이 전술한 제1 시점에 가까운 문제 등이 필터링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간 교환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중요도의 우선순위가 반영되어 생성된 오답노트의 데이터베이스는 학습자 별로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오답노트 리스트에는 오답의 영역이 A영역, B영역, C영역, D영역으로 분류되어 있고 각 항목을 클릭하면 필수 오답노트 추천 TOP10 항목이 나타난다. 여기에는 오답노트 리스트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상위 10개의 오답노트 리스트가 제시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A와 사용자 B가 각각 오답노트가 생성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 A는 100문제가 생성되어 있고, 사용자 B는 200문제가 생성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 A와 사용자 B는 오답노트에 저장된 문제를 상호 교환할 수 있는데, 오답노트의 상위 10개인 필수 오답노트 추천 TOP10을 교환할 경우, 상호 중복되지 않는 1번과 10번 문제만 교환하고 중복되는 2번 내지 9번 문제는 교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3000)은 오답 노트 교환 기능을 통해 비슷한 학습 능력을 가지는 사용자 간의 오답 노트 교환을 통해 사용자의 학습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후에도 맞출 수 있는 문제를 계속적으로 제공하기 보다는 사용자가 틀릴 확률이 높은 문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빠르게 효율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A와 사용자 B의 학습 능력은 기존의 사용자A와 사용자B 각각의 오답 노트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동일/유사한 유형의 문제에 대해 동일/유사 범위의 재오답 확률을 보이는 경우, 사용자 간의 학습 능력은 동일한 레벨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A가 틀리는 문제를 사용자B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B가 틀릴 가능성이 높은 문제에 대해 보다 빠르게 학습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B가 틀리는 문제를 사용자A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A가 틀릴 가능성이 높은 문제에 대해 보다 빠르게 학습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A에게 사용자B의 오답노트에 포함된 일부의 문제를 제공하고, 사용자A가 해당 문제에 대한 정답율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 A의 학습 능력에 대한 재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1:1 교환에 대해서 개시했으나 사용자A를 기준으로 동일 학습 레벨을 가지는 사용자B, 사용자C, 사용자D, 사용자E, 사용자F 등과의 오답 노트 교환을 통해 사용자A와 가장 유사한 학습 능력을 찾고 이후 가장 유사한 학습 능력을 가지는 사용자 간에 최적 학습 메이트를 설정하여 상호 간에 지속적인 오답 노트의 공유가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학습 능력의 레벨을 설정하고,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의 오답 노트 교환 기능을 통해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오답 노트로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가 전송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상기 오답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정답율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사용자와 상대적으로 매칭도가 높은 사용자를 상기 사용자의 최적 학습 메이트로 설정하고, 상기 최적 학습 메이트와 우선적으로 오답 문제가 교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간의 오답 노트의 교환은 사용자의 학습 능력의 향상에 따라 적응적으로 서로 다른 사용자와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틀릴 만한 문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모르고 있는 부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및 재추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의 생성 및 재추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오답노트 생성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문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문제 요청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제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문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문제에 대한 답안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e) 상기 답안 데이터를 정답데이터와 비교하여 오답이 발생한 오답 문제를 포함하는 오답노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오답노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노트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문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노트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오답 노트는 상기 오답 문제에 대한 해설 데이터, 상기 문제의 난이도 지수 및 중요도 지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노트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g-1)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 및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난이도 지수가 높은 문제를 우선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노트 생성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g-2)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 및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요도 지수가 높은 문제를 우선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노트 생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h) 상기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학습 능력의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의 오답 노트 교환 기능을 통해 사용자와 상기 동일한 레벨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오답 노트로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상기 오답 노트에 포함된 상기 오답 문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정답율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상기 사용자와 상대적으로 매칭도가 높은 사용자를 상기 사용자의 최적 학습 메이트로 설정하고, 상기 최적 학습 메이트와 우선적으로 오답 문제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 노트 생성 방법.
  7.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문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문제 요청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문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문제 제공부;
    상기 추출된 문제 대한 답안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답 노트를 생성하는 오답 노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답 노트 생성부는
    복수의 점수들과 상기 복수의 점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값의 난이도 지수가 저장되어 있는 난이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상기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문제들에 대한 답안을 상기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입력하면,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에 대한 채점을 수행하는 제1 채점 수행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 중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답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문제들 중 상기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답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제1 오답 정보 추출부;
    상기 복수의 문제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점수가 미리 할당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난이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점수에 대응하는 난이도 지수를 추출하는 난이도 지수 추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난이도 지수를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서로 대응하여 저장하는 제1 오답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오답 노트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추출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대응하는 상기 난이도 지수에 따라 선정된 개수의 난이도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제1 오답 노트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오답 노트 생성부는
    복수의 점수들과 상기 복수의 점수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값의 중요도 지수가 저장되어 있는 중요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오답노트 생성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문제들에 대한 답안을 상기 오답노트 생성 장치에 입력하면,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에 대한 채점을 수행하는 제2 채점 수행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 중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답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문제들 중 상기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답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제2 오답 정보 추출부;
    상기 복수의 문제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점수가 미리 할당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중요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의 기출횟수에 따른 빈번도에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를 추출하는 중요도 지수 추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중요도 지수를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에 서로 대응하여 저장하는 제2 오답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오답 노트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오답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추출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대응하는 중요도 지수에 따라 선정된 개수의 중요도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작성된 오답 노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제2 오답 노트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답 노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학습 능력의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의 오답 노트 교환 기능을 통해 사용자와 상기 동일한 레벨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오답 노트로 사용자의 오답 노트에 포함된 오답 문제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상기 오답 노트에 포함된 상기 오답 문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정답율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상기 사용자와 상대적으로 매칭도가 높은 사용자를 상기 사용자의 최적 학습 메이트로 설정하고, 상기 최적 학습 메이트와 우선적으로 오답 문제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
KR1020170182696A 2017-12-28 2017-12-28 오답 노트 생성 방법, 장치 KR102016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696A KR102016820B1 (ko) 2017-12-28 2017-12-28 오답 노트 생성 방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696A KR102016820B1 (ko) 2017-12-28 2017-12-28 오답 노트 생성 방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316A true KR20190080316A (ko) 2019-07-08
KR102016820B1 KR102016820B1 (ko) 2019-08-30

Family

ID=6725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696A KR102016820B1 (ko) 2017-12-28 2017-12-28 오답 노트 생성 방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8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927A (ko) * 2020-06-09 2021-12-16 (주)뤼이드 인공 지능 학습 기반의 학습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20136592A (ko) * 2021-03-31 2022-10-11 주식회사 잘라 사용자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701B1 (ko) 2022-11-17 2023-03-31 콜라블 주식회사 오답 노트 생성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914A (ko) * 2000-05-06 2000-08-05 최정이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학습방법 및 시스템
KR20160131684A (ko) * 2015-05-08 2016-11-16 (주)뤼이드 개인 맞춤형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71693B1 (ko) * 2015-11-27 2016-11-25 주하영 오답 및 문제 분석 정보의 재가공을 통한 맞춤형 학습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914A (ko) * 2000-05-06 2000-08-05 최정이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학습방법 및 시스템
KR20160131684A (ko) * 2015-05-08 2016-11-16 (주)뤼이드 개인 맞춤형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71693B1 (ko) * 2015-11-27 2016-11-25 주하영 오답 및 문제 분석 정보의 재가공을 통한 맞춤형 학습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927A (ko) * 2020-06-09 2021-12-16 (주)뤼이드 인공 지능 학습 기반의 학습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20136592A (ko) * 2021-03-31 2022-10-11 주식회사 잘라 사용자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820B1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80218A1 (en) Data-adaptive insight and action platform for higher education
US11514809B2 (en) Educational and content recommendation management system
Furman et al. Automation, research technology, and researchers’ trajectories: Evidence from computer science and electrical engineering
US117792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ining artificially-intelligent classifier
US11256873B2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ssessment, classification, and delivery of adaptive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KR101853091B1 (ko) 기계학습이 적용된 사용자 답변 예측 프레임워크를 통한 개인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80316A (ko) 오답 노트 생성 방법, 장치
KR20190025873A (ko)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10304232A1 (en) Digital screening platform with open-ended association questions and precision threshold adjustment
US9830533B2 (en) Analyzing and exploring images posted on social media
US20160364992A1 (en) Teaching aid using predicted patterns in spelling errors
US11574558B2 (en) Game-based method for developing foreign language vocabulary learning application
Bhavya et al. Exploring collaborative caption editing to augment video-based learning
US110623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ntelligent interrogative learning platform
US2023038635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By Using Digital Studying Method
KR20190025871A (ko)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7099521B2 (ja) 採点装置、採点方法、記録媒体
Agarwal Teaching the Basics of NLP and ML in an Introductory Course to Information Science
SHANKARARAMAN et al. Extracting implicit suggestions from students’ comments: A text analytics approach
Eacott Lacking a shared vision: Practitioners and the literature on the topic of strategy
Fadlil et al. Improving Sentiment Analysis in Digital Marketplaces through SVM Kernel Fine-Tuning
Benedetto An assessment of recent techniques for question difficulty estimation from text
Pacol Sentiment Analysis of Students’ Feedback on Faculty Online Teaching Performance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Parker et al. A large language model approach to educational survey feedback analysis
Cunningham-Nelson Enhancing student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earning experience through automated textual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