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069A -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069A
KR20190080069A KR1020170182266A KR20170182266A KR20190080069A KR 20190080069 A KR20190080069 A KR 20190080069A KR 1020170182266 A KR1020170182266 A KR 1020170182266A KR 20170182266 A KR20170182266 A KR 20170182266A KR 20190080069 A KR20190080069 A KR 20190080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tub
laundry
water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6190B1 (en
Inventor
박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2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190B1/en
Publication of KR20190080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0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1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9/003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ich includes a first washing tub rotated around a vertical shaft and a second washing tub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tubs are integrally rotated by a driving unit rotating the first washing t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es: a step (a) of selecting one of ordinary washing and simultaneous washing; a step (b) of rotating the driving unit and detecting a characteristic value varied in accordance with a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a step (c) of determining a laundry amou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 value detected in the step (b) when the ordinary washing is selected in the step (a), and determining the laundry amount based on a value subtracting a preset correction value from the detected characteristic value when the simultaneous washing is selected in the step (a); and a step (d) of setting a water supply level in accordance with a preset reference based on the laundry amount determined in the step (c), and supplying water in the first washing tub up to the set water supply level. When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tubes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while the first washing tub is empty and the second washing tub is filled with laundr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water from being unnecessarily supplied into the first washing tube.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0001]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second washing tub detachably installed in a first washing tub.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이하, “포”라고도 함.)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 젖은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상기 세탁물을 탈수시기는 탈수기,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 내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건조 기능과 세탁 기능을 함께 갖춘 건조 겸용 세탁기 등이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a device that processes laundry through various operations such as washing, dehydrating and / or drying.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a washing machine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laundry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cloth") using water and detergent, a drum for wet laundry being rotated at a high speed, a dehydrator for dehydrating the laundry, A dryer for drying the laundry by supplying dry air into the loaded drum, and a drying and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and a washing function.

최근에는 두 개의 세탁조가 구비되는 세탁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큰 용량의 세탁조와 작은 용량의 세탁조를 구비하는데, 각각의 세탁조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의 세?조가 동시 또는 이시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나아가 소량 세탁이 필요한 경우 작은 용량의 세탁조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는 상기 두 개의 세탁조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세탁조들을 각각 수용하는 공간들로 인해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될 수 밖에 없고, 세탁조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들, 급수를 위한 급수기구들, 배수를 위한 배수기구들이 각각 두 개씩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품의 가격 또한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Recently, a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two washing tanks is provided. Such a washing machine has a large-capacity washing tank and a small-capacity washing tank, and each washing tank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Such a washing machine is convenient because each washing machine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Further, if a small washing amount is required, only a small capacity washing machine can be used, which is very economical.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since the two washing tank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overall size of the product can not be increased due to the spaces accommodating the washing tanks, and the driving units for driving the washing tanks, Because of the need for utensils and two drainage devices for drainage, the price of the product also ros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제 2 세탁조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이하, "포량"이라고 함.)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fo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first washing tub and a second washing tub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washing tub and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method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the amount of laund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cked amount") charged into the first washing tank while the second washing tank is installed.

또한, 포량에 따라 기 정해진 급수 수위의 기준을, 상기 제 2 세탁조가 분리된 상태에서 실시되는 일반세탁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세탁조가 설치된 상태에서 실시되는 동시세탁에 적용하더라도, 상기 제 1 세탁조에 적정량의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even if the standard of the predetermined water supply level is applied to the simultaneous washing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ashing tub is installed as well as the general laundry performed in the state that the second tub is detached, And to provide a control method fo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proper amount of water can be supplied.

본 발명은,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세탁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2 세탁조가 일체로 회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first washing tub rotated around a vertical axis and a second washing tub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two washing tanks are integrally rotated.

상기 제어방법은, 일반세탁과 동시세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a)단계와, 상기 구동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구동부에 작용하는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특성치(구동부 출력 전류/기전력)를 감지하는 (b)단계와,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일반세탁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b)단계에서 감지된 특성치를 바탕으로 포량을 결정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동시세탁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감지된 특성치로부터 기 설정된 보정값을 감한 값을 바탕으로 포량을 결정하는 (c)단계와,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포량을 바탕으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급수 수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급수 수위까지 상기 제 1 세탁조 내로 급수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 selecting one of normal washing and simultaneous washing; detecting a characteristic value (driving unit output current / electromotive force) varying according to a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by rotating the driving unit (b), when the general laundry is selected in the step (a), the amount of laundry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 value detected in the step (b), and when the simultaneous washing is selected in the step (b) (C) determining a volume of the water based on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a predetermined correction value from the sensed characteristic value, and setting a water level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based on the volume determined in the step (c) (D) supplying water into the first washing tank up to a water supply level.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제 1 세탁조에 제 2 세탁조가 설치된 상태에서 실시되는 동시세탁의 경우에도, 상기 제 2 세탁조로부터 구동부에 작용하는 부하로 인한 영향을 배제하고, 상기 제 1 세탁조에 담긴 포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excludes the influence of the load acting on the driving unit from the second washing tank even in the case of simultaneous washing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ashing tub is installed in the first washing tub,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amount of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washing tub.

또한, 포량에 따라 기 정해진 급수 수위의 기준을, 상기 제 2 세탁조가 분리된 상태에서 실시되는 일반세탁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세탁조가 설치된 상태에서 실시되는 동시세탁에 적용할 수 있어 급수 제어가 용이하고, 이 경우에도, 상기 제 1 세탁조에 급수를 할시에, 상기 제 1 세탁조에 투입된 포량에 대응하는 적정량의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he standard of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laundry to the simultaneous washing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ashing tub is installed as well as the normal laundry performed in the state that the second washing tub is detached, In this case, when the first washing tub is supplied with water,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corresponding to the laundry loaded into the first washing tub can be supplied.

또한, 제 1 세탁조가 비어있고, 제 2 세탁조에는 포가 투입된 상태에서 동시세탁이 실시될 시, 상기 제 1 세탁조에 불필요한 급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washing tank is empty, and the simultaneous washing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laundry is supplied to the second washing tank, unnecessary water supply to the first washing tub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제 2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세탁조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 2 세탁조에 급수된 물의 양에 따라 감지된 포량을 표시한 것(a)과, 상기 포량을 보정한 값을 표시한 것(b)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ashing tub.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ashing tub is disassembled.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main components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is a top view of the second washing tub mounted on the balancer.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 the discharged amount detec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washing tank, and (b) the corrected value of the discharged amou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제 2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세탁조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ashing tub.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ashing tub is disassembled.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main components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is a top view of the second washing tub mounted on the balancer.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캐비닛(2)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외관을 이루며, 내측으로 저수조(4)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캐비닛(2)은 평평한 캐비닛 베이스(5)에 의해 지지되며, 상면은 개방되고, 전면, 좌측면, 우측면,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cabinet 2 forms an appearanc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water storage tank 4 is housed inside. The cabinet 2 is supported by a flat cabinet base 5, the top surface is open, and may include front, left, right, and rear surfaces.

캐비닛(2)의 개방된 상단에는 탑 커버(3)가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3)에는 세탁물(또는, “포”)의 투입과 인출을 위한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3)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top cover 3 may be coupled to the open upper end of the cabinet 2. [ The top cover 3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port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laundry (or " capsule "). A door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cover 3.

저수조(4)는 세탁수를 담기 위한 것으로, 지지로드(15)에 의해 캐비닛(2) 내에 매달릴 수 있다. 지지로드(15)는 캐비닛(2)의 네 군데 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지지로드(15)의 일단은 탑 커버(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진동을 완충시키는 서스펜션(27)에 의해 저수조(4)와 연결된다.The water storage tank 4 is for storing wash water, and can be suspended in the cabinet 2 by the support rod 15. The support rods 15 may be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cabinet 2, one end of each support rod 15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top cover 3,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4) by the water supply pipe (27).

저수조(4)는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개구된 상면에는 저수조 커버(14)가 구비될 수 있다. 저수조 커버(14)는 중앙부에 대략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세탁물이 투입된다.The water storage tank 4 is open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water storage tank cover 14 is provided on the opened upper surface. The reservoir cover (14) is formed in the form of a ring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opening at its center, and laundry is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저수조(4)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수직축(vertical axis, O, 도 5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축은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것으로, 지면과 수직선상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수직선에 대해 소정 각도(바람직하게는, 5도 이하)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제 1 세탁조(6)에는 물이 통과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공을 통해 제 1 세탁조(6)와 저수조(4) 간에 물이 교류될 수 있다.In the water storage tank 4, a first washing tub 6 accommodating laundry and rotated around a vertical axis O (see FIG. 5) may be disposed. The vertical axis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may be accurately aligned on a vertical line with the paper surface, but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preferably, 5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The first washing tub 6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water may pass and water may be exchanged between the first washing tub 6 and the water storage tank 4 through the through holes.

제 1 세탁조(6)는, 상측이 개구된 드럼(61)과, 드럼(61)의 상부에 결합되는 링형의 밸런서(6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61)의 하측은 허브(29)에 의해 구동부(8)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드럼(61)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washing tub 6 may include a drum 61 having an opened upper side and a ring balancer 62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rum 61. The lower side of the drum 61 can be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driving unit 8 by the hub 29.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drum 61.

밸런서(62)는 드럼(61)의 회전시 유발되는 편심을 보상하는 것이다. 밸런서(62)의 내측에는 환형의 공동(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동 내에는 유체(예를 들어, 소금물) 또는 복수의 중량체(예를 들어, 금속구)가 삽입될 수 있다. 환형이 공동(62a, 62b)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나, 동심을 갖도록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The balancer 62 compensates for the eccentricity caused when the drum 61 rotates. An annular cavity (not shown) may be formed inside the balancer 62. Fluids (e.g., brine) or a plurality of weights (e.g., metal spheres) may be inserted into the cavity. The annular cavities 62a and 62b have different diameters, but a plurality of annular cavities may be formed.

드럼(61)이 회전되는 중에 한쪽으로 치우지면, 드럼(61)이 치우친 방향과 반대로 유체 또는 중량체들이 이동됨으로써 편심이 보정된다. 세탁물 처리기기에 적용되는 링형의 밸런서(62)는 이미 다양한 형태가 공지되어 있는 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When the drum 61 is rotated to one side, the fluid or the weight is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um 61 is displaced, thereby correcting the eccentricity. Since the ring-shaped balancer 62 applied to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has already been known in various forms, the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1 세탁조(6)에 착탈되는 제 2 세탁조(100)가 구비된다. 제 2 세탁조(100)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제 1 세탁조(6)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세탁조(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가 회전되면, 제 2 세탁조(100)도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된다.And a second washing tub 100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is provided. The second washing tub 100 receives the laundry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6. When the first washing tub 6 is rotated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installed,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also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6.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제 2 세탁조(100)가 미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에만 제 1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제 2 세탁조(100)를 설치하여, 제 2 세탁조(100)에 제 2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The user may insert the first laundry into the first washing tub 6 or install the second washing tub 100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not yet installed, 2 Laundry can be put in.

제 1 세탁조(6)의 내측 하부에는 펄세이터(9)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펄세이터(9)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상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펄세이터(9)가 회전될 시, 상기 리브들에 의해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A pulsator (9) can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first washing tub (6). The pulsator 9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wardly projecting radial ribs. When the pulsator 9 is rotated, water flow can be formed by the ribs.

캐비닛(2) 내에는 제 1 세탁조(6)와 펄세이터(9)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8)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8)는 저수조(4)의 하측에 배치되고, 저수조(4)와 함께 캐비닛(2) 내에 매달리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부(8)의 회전축은 펄세이터(9)와는 항시 결합되어 있으며, 제 1 세탁조(6)와는 클러치(미도시)의 전환 동작에 따라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8)의 회전축이 제 1 세탁조(6)와 결합된 상태로, 구동부(8)가 운전될 시에는, 펄세이터(9)와 제 1 세탁조(6)가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축이 제 1 세탁조(6)와 분리된 상태로 동작할 시에는, 제 1 세탁조(6)는 정지된 상태에서 펄세이터(9)만 회전된다.In the cabinet 2, a first washing tub 6 and a driving unit 8 for providing power for rotating the pulsator 9 may be disposed. The driving unit 8 may be provided below the water storage tank 4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hanging in the cabinet 2 together with the water storage tank 4. The rotary shaft of the driving unit 8 is always engaged with the pulsator 9 and can be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lutch (not shown). The pulsator 9 and the first washing tub 6 are integrally rotated when the driving unit 8 is operated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unit 8 engaged with the first washing tub 6, When the rotary shaft is operated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only the pulsator 9 is rotate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washing tub 6 is stopped.

구동부(8)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세탁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 모터는 직접 구동 방식의 인버터 모터(Inverter Direct Drive Motor)일 수 있다. 제어부(91)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세탁 모터의 출력값(예를 들어, 출력 전류)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바탕으로 세탁 모터의 회전수(또는,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목표 회전수(또는, 목표 회전속도)를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8 may include a washing motor capable of speed control. The washing motor may be an inverter direct drive motor. The control unit 91 may include a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PI controller), a 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controller (PID controller), and the like. The controller receives an output value (e.g., an output current) of the washing motor as an input, and based on the output value, determines whether the rotational speed (or rotational speed) of the washing motor follows a predetermined target rotational speed Can be controlled.

제어부(91)는 세탁 모터뿐만 아니라,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 구성들의 제어는 제어부(91)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하자.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ntrol unit 91 can control not only the washing motor but also the entire opera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that the control of each of the following components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91.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는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은 외부 수원으로부터 냉수를 공급받는 냉수관(미도시)과, 온수를 공급받는 온수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11 for guid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such as a faucet. The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11 may include a cold water pipe (not shown) for receiving cold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a hot water pipe (not shown) for receiving hot water.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제 1 세탁조(6) 및/또는 제 2 세탁조(100)로 급수하는 급수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1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을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급수부(13)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1)의 제어 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수 밸브가 개방되면, 개방된 급수 밸브와 대응하는 급수관을 통해 디스펜서(16)로 급수가 이루어진다.A water supply unit 13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to the first washing tank 6 and / or the second washing tank 100 may be provided. The water supply unit (13) can selectively intermittently control the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11). To this end, the water supply section 13 may include at least one water supply valve. When the at least one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1, water is supplied to the dispenser 16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corresponding to the opened water supply valve.

제 1 세탁조(6)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91)는 상기 수위센서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급수부(13)를 통한 급수량을 제어할 수 있다.And a water level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water level in the first washing tub 6 may be provided. The control unit 91 can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3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water level sensor.

디스펜서(16)는 세탁물에 작용하는 첨가제를, 급수관(11)을 통해 급수된 물과 함께 공급한다. 디스펜서(16)에 의해 공급되는 첨가제로는 세탁용 세제와 헹굼용 섬유 유연제 등이 있다.The dispenser 16 supplies the additive acting on the laundry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The additives supplied by the dispenser 16 include a detergent for laundry and a fabric softener for rinsing.

제 2 세탁조(100)는, 링형태의 밸런서(62)에 의해 규정된 공간(또는, 대략 원형의 개구부)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이렇게 삽입된 상태에서 밸런서(6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0)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요철(114)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washing tub 100 can be inserted into a space defined by the ring-shaped balancer 62 (or an approximately circular opening), and can be supported by the balancer 62 in this inserted st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may be provided with concavities and convexities 114 that extend obliquely upward and downward.

밸런서(62)는, 중앙의 개구부를 한정하는 내주면에, 요철(114)과 대응하는 고정 홈(62d)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114)이 고정 홈(62d)을 따라 삽입되며, 따라서, 제 1 세탁조(6)가 회전될 시, 제 2 세탁조(100)가 헛돌지 않고,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The balancer 62 may have a fixing groove 62d corresponding to the unevenness 114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defining the central opening. The concavity and convexity 114 is inserted along the fixing groove 62d so that when the first washing tub 6 is rotated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not loosened and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6 .

도 5를 참조하면, 위에서 내려다 볼 시, 제 2 세탁조(100)의 외형은, 밸런서(62)의 내주면(또는, 중앙의 개구부를 한정하는 면)과 접촉되는 제 1 구간(S1)과, 밸런서(62)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제 2 구간(S2)을 포함할 수 있다.5,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includes a first section S1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ancer 62 (or a surface defining the central opening) And a second section S2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62.

제 1 구간(S1)은 수직축(O)을 지나는 제 1 축(IV-IV) 상에 위치하고, 제 2 구간(S2)은 수직축(O)을 지나고 제 1 축(IV-IV)과 직교하는 제 2 축(Y)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구간(S1)은 제 2 축(Y)에 대해 대칭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 2 구간(S2)은 제 1 축(IV-IV)에 대해 대칭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ection S1 is located on the first axis IV-IV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axis O and the second section S2 is located on the second axis IV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axis O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IV- And may be positioned on the two axes Y. The first section S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Y and the second section S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IV- have.

급수부(13)로부터 배출된 물은, 제어부(91)에 의한 구동부(8) 제어에 의해, 제 1 세탁조(6)(또는, 제 2 세탁조(100))가 제 1 회전 위치에 있을 시, 제 2 구간(S2)과 밸런서(62)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제 1 세탁조(6)로 공급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3 is supplied to the first washing tank 6 when the first washing tank 6 (or the second washing tank 100) is in the first rotating pos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8 by the control unit 91, And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washing tub 6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second section S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lancer 62. [

제어부(91)에 의한 구동부(8) 제어에 의해, 제 1 세탁조(6)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된 제 2 회전 위치에 있을 시, 급수부(13)로부터 배출된 물은 제 2 세탁조(100)로 급수된다. 제 2 세탁조(100)에는, 급수부(13)로부터 배출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37)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서, 유입구(137)가 급수부(13)와 정렬된다. 유입구(137)는 제 2 세탁조(1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137(1)과 137(2)는 양쪽 유입구를 지시한 것임.), 바람직하게는, 제 2 축(Y)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제 1 축(IV-IV)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section 13 when the first washing tub 6 is in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rotated by the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rotation posi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section 91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section 8, And is supplied to the second washing tank (100). The second washing tub 100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port 137 through which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ing section 13 flows and the inlet port 137 is aligned with the water supplying section 13 in the second rotating position . The inlet 137 can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and 137 (1) and 137 (2) indicate both inlets. Preferably, May be disposed along the first axis (IV-IV) to be symmetrical.

상기 제 2 회전 위치는, 제 1 세탁조(6)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90도 회전된 위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모터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제어부(91)는 상기 세탁 모터의 속도에 기초하여, 제 1 세탁조(6)의 회전 각도, 또는, 제 1 세탁조(6)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cond rotation position may be a position where the first washing tub 6 is rotated 90 degrees from the first rotation position. The control unit 91 controls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washing tub 6 or the rotating position of the first washing tub 6 based on the speed of the washing motor 6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trolled.

구체적으로, 저수조 커버(14)에 제 1 홀 센서(hall sensor, 미도시)가 구비되고, 제 2 세탁조(100)에 제 1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0)의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홀 센서가 상기 제 1 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어부(91)로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91)는 수신한 신호를 바탕으로, 제 2 세탁조(100)의 회전 속도, 회전 위치(또는, 제 1 자석의 위치), 회전 각도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제 1 세탁조(6)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 또는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 정렬되도록 상기 세탁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a first hall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reservoir cover 14, and a first magnet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tank 100. During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the first hall sensor may sense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first magnet and send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91 based on the sensed magnetic field. The control unit 91 can grasp the rotation speed, the rotation position (or the position of the first magnet)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Can be controlled to be aligned with the first rotation position or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한편, 세탁 모터의 로터에 제 2 자석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감지하는 제 2 홀 센서가 상기 제 2 자석 인근의 고정된 구조에 배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저수조(4)의 저면).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로터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91)는, 상기 제 2 홀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세탁 모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전술한 제 1 홀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제 2 세탁조(100)가 제 1 회전 위치 또는 제 2 회전 위치에 정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 second magnet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rotor of the washing motor, and a second hall sensor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second magnet may be disposed in a fixed structure near the second magnet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4). The plurality of second magnets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or. The control unit 91 can control the washing motor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hall sensor. At this time, by consider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hall sensor, Can be controlled to be aligned to the first rotation position or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로터의 회전각도는 별도의 센서 없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상기 로터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일정한 주파수의 상전류가 세탁 모터에 흐르도록 한 후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상기 세탁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모터의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or can be sensed without a separate sensor. That is,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or can be sensed by a sensorless sensorless method. This sensorless method can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rotor of the washing motor based on an output current detected while a current of a certain frequency flows to the washing motor after allowing a phase current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to flow to the washing motor. Such a sensorless system corresponds to a 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세탁조(100)는, 컨테이너(110), 제 1 커버(120) 및 제 2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110)는 세탁물과 물을 담는 것으로, 상측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된 상측에 제 1 커버(120)가 결합된다. 제 1 커버(120)는 컨테이너(110)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제 1 커버(120)와 컨테이너(110)는 각각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바람직하게는 용착, 더 바람직하게는 열 용착에 의해 상호 결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 야 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washing tub 100 may include a container 110, a first cover 120, and a second cover 130. The container 110 is filled with laundry and water. The container 110 is ope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irst cover 120 is coupled to the opened upper side. The first cover 120 may be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110. The first cover 120 and the container 110 are each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re preferably connected by welding, more preferably by heat welding,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컨테이너(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 리브(126)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수류가 가이드 리브(126)와의 충돌에 의해 상승한 후, 컨테이너(110)의 중심부로 낙하될 수 있다. 컨테이너(110)의 외측면에는 요철(114)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110)는, 내측에 수용된 세탁물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 guide rib 126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provided. The water flow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can be raised by the collision with the guide rib 126 and then dropped to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 [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14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The container 11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insid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제 1 커버(120)는 컨테이너(110) 내로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대략 중앙에 개구부(121h)가 형성되고, 세제박스(140, 도 5)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세제박스(140)는 제 1 커버(120)에 착탈될 수 있다. 세제박스(140)는 제 1 커버(12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12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21h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thereof to provid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etergent box 140 (Fig. 5) so that laundry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10. Fig. The detergent box 140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first cover 120. The detergent boxes 14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ver 120, respectively.

제 2 세탁조(100)가 회전되면, 컨테이너(110) 내에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발달된 수류가, 컨테이너(110)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제 1 커버(120)는, 상기 상승된 수류를 배출구(124)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91)는 컨테이너(110) 내의 물이 배출구(124)를 통해 배출되도록, 제 2 세탁조(100)의 속도(또는, 구동부(8)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배출구(124)를 통해 배출된 물은 저수조(4)에 모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제 2 세탁조(100) 내의 세탁물을 세탁한 후, 세탁에 사용된 물을 배수할 시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rotated, the water stream developed toward the outside along the radial direction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ris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in the container 110. The first cover 120 may be formed with a flow path for guiding the ascended water flow to the discharge port 124. The control unit 91 can control the speed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or the speed of the driving unit 8) so that the water in the container 11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4, Is collected in the water storage tank (4). This process may be performed when washing the laundry in the second washing tub 100 and draining the water used for washing.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로를 단속하는 체크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크밸브는 제 2 세탁조(100)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원심력에 의해 개폐되거나, 수압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check valve for interrupting the flow path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check valve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or closed by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or by a water pressure .

제 2 커버(130)는 제 1 커버(1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략 중앙에 개구부(131)가 형성된다. 제 2 커버(130)는 급수부(13)로부터 배출된 물을 세제박스(140)로 안내하는 급수 가이드(133)를 포함한다. 급수 가이드(133)는, 급수부(13)로부터 배출된 물이 하방으로 안내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안내된 물이 급수구(141)를 통해 세제박스(140)로 급수된다. 급수 가이드(133)는 제 1 커버(12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양쪽 급수 가이드(133(1), 133(2))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축(Y)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제 1 축(IV-IV)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1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ver 120, and an opening 131 is form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thereof. The second cover 130 includes a water supply guide 133 for guid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3 to the detergent box 140. The water supply guide 133 forms an inclined surface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3 is guided downward and water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is supplied to the detergent box 14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41. The water supply guide 133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ver 120, respectively. Both of the water supply guides 133 (1) and 133 (2) are preferably arranged along the first axis IV-IV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Y. [

세제박스(140)는 세제, 표백제 또는 섬유 유연제를 담기 위한 것으로, 급수부(13)로부터 배출된 물이 세제박스(140)를 경유함으로써, 세제와 함께 제 2 세탁조(100) 내로 공급된다.The detergent box 140 is for containing a detergent, a bleach or a fabric softener.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section 13 is supplied into the second washing tank 100 together with the detergent, via the detergent box 140.

제 1 커버(120)에는 세제박스(140)가 수용되는 하우징(128)이 형성될 수 있고, 세제박스(140)는 하우징(128)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120 may be formed with a housing 128 in which the detergent box 140 is received and the detergent box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128.

세제박스(140)는 제 2 커버(1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세제박스(140)는 한 쌍의 유입구(137(1), 137(2))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세제박스(140(1))에는 세제 또는 표백제가 투입될 수 있고, 제 2 세제박스(140(2))에는 섬유 유연제가 투입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0)의 회전 위치에 따라, 급수부(13)로부터 배출된 물이 제 1 세제박스(140(1)) 또는 제 2 세제박스(140(2))로 선택적으로 급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행정시에는 제 1 세제박스(140(1))로 급수가 이루어지고, 헹굼 행정시에는 제 2 세제박스(140(2))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부(91)에 의해 제 2 세탁조(100)의 회전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The detergent boxes 14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ver 130, respectively. The detergent box 14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air of inlets 137 (1) and 137 (2). The first detergent box 140 (1) may be filled with a detergent or bleach agent, and the second detergent box 140 (2) may be supplied with a fabric softener. Depending on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3 can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first detergent box 140 (1) or the second detergent box 140 (2) . For example, the controller 91 controls the supply of water to the first detergent box 140 (1) during the washing cycle and the water supply to the second detergent box 140 (2) during the rinsing cycle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can be controlled.

세탁물 처리기기는, 저수조(4)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 밸로우즈(21)와, 배수 밸로우즈(21)를 단속하는 배수밸브(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21)는 펌프(24)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밸브(22)가 개방될 시 배수 밸로우즈(21)를 통해 펌프(24)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렇게 펌프(24)로 유입된 물은, 펌프(24)가 작동될 시 배수관(25)을 통해 세탁물 처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rainage bellows 21 for draining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4 and a drain valve 22 for interrupting the drainage bellows 21. The drainage bellows 21 can be connected to the pump 24. When the drain valve 22 is opene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pump 24 through the drainage bellows 21. The water thus introduced into the pump 2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through the drain pipe 25 when the pump 24 is operated.

포량은 구동부(8)의 부하에 따라 가변하는 특성치를 바탕으로 구해질 수 있다. 예르 들어, 제 1 세탁조(6) 및/또는 제 2 세탁조(100)에 더 많은 포가 투입될수록, 기 설정된 목표 속도로 구동부(8)를 회전할 시, 구동부(8)가 접속된 회로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이 커지는 바, 상기 기전력을 검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replenishment amount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valu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load of the driving unit 8. [ For example, as more wafers are charged into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tanks 6 and / or 100, when the driving unit 8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target speed, As the electromotive force increases,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electromotive force and calculate the mass based on the detected electromotive force.

다르게는, 정지 상태의 구동부(8)를 회전시킬 시, 포량이 클수록, 제 1 세탁조(6)와 제 2 세탁조(100)의 정지 관성이 크기 때문에, 구동부(8)가 기 설정된 목표 속도까지 도달하기까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구동부(8)가 상기 목표 속도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바탕으로 포량을 결정할 수 있다.The driving inertia of the first washing tub 6 and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large so that the driving unit 8 reaches the predetermined target speed More time is needed befo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scharge amount based on the time taken for the driving unit 8 to reach the target speed.

다른 예로는, 회전하고 있는 구동부(8)를 제동하여 정지될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바탕으로 포량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포량에 따라 달라지는 제 1 세탁조(6)와 제 2 세탁조(100)의 회전 관성을 이용한 것이다.As another example, the amount of the laundry may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time taken for stopping the driving unit 8 b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driving unit 8. In this cas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tanks 6, It uses inertia.

이 밖에도, 포량을 구하는 방법은 이미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 제어부(91)는 이들 공지된 기술들을 바탕으로 포량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obtaining the amount of waste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the control unit 91 can calculate the amount of waste based on these known technique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 2 세탁조에 급수된 물의 양에 따라 감지된 포량을 표시한 것(a)과, 상기 포량을 보정한 값을 표시한 것(b)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 the discharged amount detec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washing tank, and (b) the corrected value of the discharged amount.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S1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세탁코스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이다. 세탁물 처리기기에는 상기 세탁코스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버튼, 다이얼, 터치 패널 등의 입력부(92)가 제공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세탁코스로는 일반세탁과 동시세탁이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92)를 조작하여 상기 일반세탁 또는 동시세탁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반세탁은 제 2 세탁조(10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탁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선택하는 코스이고, 상기 동시세탁은 제 2 세탁조(100)를 설치한 경우에 사용자가 선택하는 코스이다.Step S1 is a step of receiving a selection of a washing course from the user.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unit 92 such as a button, a dial, and a touch panel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washing course. Selectable laundry courses include regular laundry and simultaneous laundry. The user can operate the input unit 92 to select the normal laundry or the simultaneous laundry. Here, the general laundry is a course to be selected by the user when washing is to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not installed, and the simultaneous washing is a course selected by the user 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installed. It is the course to do.

S2단계는, 포량 감지를 위해 구동부(8)가 회전되고, 이 과정에서, 구동부(8)에 작용하는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특성치(예들 들어, 구동부(8)의 출력전류, 역기전력 등)가 감지되는 단계이다. 상기 특성치는 구동부(8)가 접속된 회로에서 검출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전압 감지기나, 전류 감지기 등이 구비될 수 있다.In step S2, the drive unit 8 is rotated for detection of the amount of droplet. In this process, a characteristic value (for example, output current of the drive unit 8, counter electromotive force, etc.) varying according to the load acting on the drive unit 8 is detected . The characteristic value may be detected in a circuit to which the driving unit 8 is connected. For this purpose, a voltage sensor, a current sensor,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S3단계는 포량을 산정하는 단계로, 상기 포량은 S2단계에서 검출된 특성치를 바탕으로 결정된다. 이렇게 결정된 포량은 메모리(94)에 저장된다. 메모리(94)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제어부(91)가 판독 가능한 형태로 코드화 되어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들은, 예를 들어, 운전 실행 프로그램, 포량에 따른 급수 수위, 탈수 속도, 운전 시간 등의 각종 운전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Step S3 is a step of estimating the amount of waste, and the amount of waste is determ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value detected in step S2. The determined amount is stored in the memory 94. [ The memory 94 stores various data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These data are coded and stored in a form readable by the control unit 91. The data may include various operation settings such as, for example, an operation execution program, a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a dehydration rate, an operation time, and the like.

S4단계는, S2단계에서 어떤 세탁코스가 선택되었는지가 제어부(91)에 의해 판단되는 단계이다. S2단계에서 동시세탁 코스가 선택된 경우에는 S6단계가 실시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S5단계가 실시된다. 실시예에서는, S2단계에서 동시세탁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일반세탁이 선택되나, 이에 한하지 않고, 입력부(92)를 통해 일반세탁이 선택되는 것도 가능하다.Step S4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91 judges which washing course has been selected in step S2. If the simultaneous laundry course is selected in step S2, step S6 is performed, and if not, step S5 is performed. In the embodiment, when simultaneous washing is not selected in step S2, general laundry is automatically selected,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general laundry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92. [

S5단계는, S3단계에서 결정된 포량에 따라 급수 수위가 설정된다. 제어부(91)는, S3단계에서 감지된 포량을, 메모리(94)에 저장된 포량에 따른 급수 수위와 비교하여, 상기 감지된 포량에 대응하는 급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1)는 급수부(13)를 제어하여 급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수위센서에 의해 제 1 세탁조(6) 내의 수위가 상기 결정된 급수 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부(13)를 통한 급수가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91)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등이 실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step S5, the water level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the water determined in step S3. The control unit 91 may compare the discharged amount detected in the step S3 with the water supply level according to the amount stored in the memory 94 to determine the water supply leve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discharged amount. When the water level in the first washing tank 6 reaches the determined water level by the water level sensor, the control unit 91 controls the water level by the water level sensor, Can be controlled to be stopped. Thereafter, the control unit 91 can control washing, rinsing, dehydration, etc.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한편, S2단계에서 동시세탁이 선택되어 S6단계가 실시되면, 제어부(91)는 S3단게에서 산정된 포량을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이 필요한 이유는, 동시 세탁의 경우에 감지된 포량은, 제 1 세탁조(6)와 이에 담긴 포들의 무게 뿐만 아니라, 제 2 세탁조(100)의 자중과, 제 2 세탁조(100) 내에 담긴 포들의 무게까지 포함된 것이기 때문에, S3단계에서 산정된 포량을 바탕으로 급수 수위를 정하는 경우, 제 1 세탁조(6)에 투입된 실제 포들의 처리에 필요한 물 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이 급수되어, 필요 이상의 물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급수 이후에 실시되는 세탁, 헹굼 또는 탈수 등의 행정에서도 필요 이상의 전력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simultaneous washing is selected in step S2 and the step S6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91 can correct the amount calculated in step S3. The reason for this correction is that the amount detected in the case of the simultaneous washing is determined not only by the weight of the first washing tub 6 and the bags contained therein but also by the weight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and the weight contained in the second washing tub 100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first washing tank 6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the treatment of the actual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washing tank 6, Or more of water is consumed,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electric power is consumed even in a washing, rinse or dehydration operation after the water supply.

이러한 이유로, S6단계에서는, S3단계에서 산정된 포량(x)을 보정하고, 이와 같은 과정은, 포량(x)에서 기 설정된 보정값(y)을 감하는 것에 의한다. 즉, S6 단계에서 보정된 포량(z)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or this reason, in step S6, the replenishing amount x calculated in step S3 is corrected, and this process is performed by subtracting a predetermined correction value y from the replenishing amount x. That is, the replenishment amount z corrected in the step S6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z=x-y, z = 보정된 포량, x = S3단계에서 구한 포량, y = 보정값z = x-y, z = corrected mass, x = mass obtained in step S3, y = correction value

여기서, 보정값(y)은 제 2 세탁조(100)의 무게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91)는, 포량(x)에서 제 2 세탁조(100)의 무게에 대응하는 포량값(y)를 감하여 보정된 포량(z)을 결정할 수 있다.Here, the correction value y may be se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That is, the control unit 91 can determine the corrected quantity z by subtracting the quantity value y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from the quantity of the laundry (x).

다르게는, 보정값(y)은 제 2 세탁조(100)의 무게와 제 2 세탁조(100)에 수용 가능한 최대 허용 부하(M)의 절반을 합산한 값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최대 허용 부하(M)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것으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정상적인 동작이 보장되는 범위 내에서 제 2 세탁조(100)가 투입 가능한 최대 부하이고, 이는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조사가 제품 설명서를 통해 공지하는 값이다.Alternatively, the correction value y may be set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weight of the second washing tub 100 and the half of the maximum allowable load M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washing tub 100. The maximum permissible load M is set for securing durability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The maximum allowable load M is a maximum load that the second washing tub 100 can be charg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normal opera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ensured, This is a value that is generally notifi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through the product manual.

도 7의 (a)영역에 표시된 값들은, 제 1 세탁조(6)에 세탁물이 전혀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세탁조(100)에 투입된 부하를 달리하면서 측정한 포량들이다. 그래프에서 X축은 최대 허용 부하(M)에 대한 투입 부하(m, 제 2 세탁조(100)에 투입되 부하)로써, 이를 이하, “부하비”라고 한다. 그리고, WL1는 제 1 급수 수위의 기준이 되는 포량으로, 메모리(94)에 저장된 포량에 따른 급수 수위에 의하면, 포량이 WL1 미만인 경우에는, 제 1 세탁조(6)에는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포량이 WL1 이상이고 WL2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91)에 의해 제 1 급수 수위가 설정되고, 포량이 WL2 이상이고, WL3(WL2 보다 큰 값)인 경우에는, 제 2 급수 수위가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values shown in the area (a) of FIG. 7 are the amounts measured while the load applied to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varied while the laundry is not completely introduced into the first washing tub 6. In the graph, the X axis represents an input load (m, load applied to the second washing tub 100) with respect to the maximum allowable load M, which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load ratio ".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memory 94, when the water amount is less than WL1, the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first washing tank 6, The first water level is set by the control unit 91, the second water level is set when the water level is WL2 or more and WL3 (a value greater than WL2) is set in the case where the amount is WL1 or more and less than WL2 .

(a)영역에 표시된 포량(S3 단계에서 결정되는 값들임.)들은 제 1 세탁조(6) 내에 포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세탁조(100)에 투입되는 포량만을 변경하면서 감지한 값들이기 때문에, 이때의 포량이 WL1 미만이어야 불필요한 물이 제 1 세탁조(6)에 급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나, 실시예에서와 같이, 포량에 따른 급수 수위가 기 정해진 경우에는, 모든 포량이 WL1이상이 되기 때문에, 포량을 보정하지 않고 급수 수위를 설정하는 경우, 제 1 세탁조(6)가 비어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제 1 급수 수위까지 급수가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values determined in step S3) displayed in the area (a) are the values sensed while only changing the amount of the laundry to be supplied to the second washing tub 100 while the laundry is not put in the first washing tub 6 ,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wa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first washing tank 6 when the water amount at this time is less than WL1. However, if the water supply level according to the washing amount is predetermined as in the embodiment, Therefore, when the water level is set without correcting the discharged amount, there occurs a problem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water level even though the first washing tub 6 is empty.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6단계에서 포량의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고, 이렇게 보정된 포량은 도 7의 (b)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데,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보정된 포량이 WL1 미만이 되어, 상기 보정된 포량에 따라 급수 수위를 설정하는 경우, 제 1 세탁조(6)로는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불필요한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replenishing amount is corrected in the step S6, and the corrected replenishing amount is indicated in the area (b) of FIG. 7, Therefore, when the water level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corrected amount, the first washing tub 6 is not supplied with water, and unnecessary water supply is not performed.

보정값(y)은, 제 1 세탁조(6)가 비어있고, 제 2 세탁조(100) 내에 최대 허용 부하 이하의 임의의 부하가 투입되었을 시, 보정된 포량이 기 설정된 최소 급수 수위에 대응하는 포량(WL1) 미만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washing tank 6 is empty and an arbitrary load less than the maximum allowable load is input into the second washing tank 100, the correction value y is set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minimum water level (WL1).

한편, 제 2 세탁조(100)는 제 1 세탁조(6)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용량이기 때문에, 급수 수위에 따라 급수를 제어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양의 물이 제 2 세탁조(100)로 공급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0)로의 급수는, 급수부(13)에 의한 급수 시간을 제어하거나, 실시예에 따라, 급수부(13)를 통해 공급되는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계를 구비하여, 상기 유량계의 감지 값을 바탕으로 급수량이 제어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washing tank 100 is relatively small in capacity as compared with the first washing tank 6, it is not necessary to control the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level.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washing tub 100 ). ≪ / RTI > The water supply to the second washing tub 100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time by the water supply unit 13 or by providing a flow meter for sensing the flow rat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water quantity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value.

한편, 상기 동시 세탁이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S6단계에서 결정된 포량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출력부(93)를 통해 소정의 메시지를 출력될 수 있다. 동시 세탁의 경우, 제 1 세탁조(6) 내에 일정량 이상의 세탁물이 투입된 경우에는, 상기 세탁물이 제 2 세탁조(100)와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세탁조(6) 내에 투입된 세탁물이 제 2 세탁조(100)와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기준값을 설정하고, S6단계에서 보정된 포량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출력부(93)를 통해 소정의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 1 세탁조(6)에 과량의 세탁물이 투입되었음을 경고하는 것이다. 출력부(93)는, 시각적 표시장치(예를 들어, LCD, LED) 및/또는 청각적 표시장치(예를 들어, 부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multaneous washing is selected, a predetermined message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93 when the quantity determined in step S6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In the case of simultaneous washing, the laundry may interfere with the second washing tub 100 when a certain amount of laundry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washing tub 6. Accordingly, the reference value is set within a range in which the laundry introduced into the first washing tank 6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econd washing tank 100. If the laundry amount corrected in step S6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user is alerted to the fact that excessive laundry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first washing tub 6. Output 93 may include a visual display device (e.g., LCD, LED) and / or an audible display device (e.g., buzzer, speaker).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는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통신부(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S6단계에서 보정된 포량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제어부(91)는, 통신부(95)를 통해 알림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 상에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미도시, 예를 들어, 스마트 폰)가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이 출력될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95 connected to a wireless network. In this case, if the volume compensated in step S6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91 can control to transmit the notification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95. [ A user's mobile terminal (not shown, for example, a smart phone)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network. In this case, a not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Claims (6)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세탁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2 세탁조가 일체로 회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일반세탁과 동시세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a)단계;
상기 구동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구동부에 작용하는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특성치를 감지하는 (b)단계;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일반세탁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b)단계에서 감지된 특성치를 바탕으로 포량을 결정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동시세탁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감지된 특성치로부터 기 설정된 보정값을 감한 값을 바탕으로 포량을 결정하는 (c)단계; 및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포량을 바탕으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급수 수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급수 수위까지 상기 제 1 세탁조 내로 급수하는 (d)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A first washing tub which is rotated about a vertical axis and a second washing tub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wherein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tub are integrally formed by a driving part for rotating the first washing tub,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selecting either normal laundry or simultaneous laundry;
(B) rotating the driving unit and detecting characteristic values that vary according to a load acting on the driving unit;
Wherein when the general laundry is selected in the step (a), the amount of laundry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 value detected in the step (b), and when the simultaneous washing is selected in the step (b) (C) determining a quantity to be packed based on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a preset correction value; And
(D) setting a water supply level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determined in the step (c), and supplying water into the first washing tank until the set water supply level is reach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은,
상기 제 2 세탁조의 무게에 대응하여 설정된 값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rection value is a correction value,
Wherein the predetermined value corresponds to the weight of the second washing tu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은,
상기 제 2 세탁조의 무게와 상기 제 2 세탁조에 수용 가능한 최대 허용 부하의 절반을 합산한 값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rection value is a correction value,
Wherein the washing machine is set to correspond to a sum of the weight of the second washing tub and a half of the maximum allowable load acceptable to the second washing tu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은,
상기 제 2 세탁조의 무게와 상기 제 2 세탁조에 수용 가능한 최대 허용 부하를 합산한 값에 대응하여 설정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rection value is a correction value,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et a value corresponding to a sum of a weight of the second washing tub and a maximum allowable load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washing tu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세탁이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포량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출력부를 통해 소정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 predetermined message through an output unit when the simultaneous laundry is selected and the laundry quantity determined in step (c)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세탁이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포량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통신부를 통해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wireless network when the simultaneous laundry is selected and the quantity determined in step (c)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KR1020170182266A 2017-12-28 2017-12-28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461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266A KR102446190B1 (en) 2017-12-28 2017-12-28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266A KR102446190B1 (en) 2017-12-28 2017-12-28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069A true KR20190080069A (en) 2019-07-08
KR102446190B1 KR102446190B1 (en) 2022-09-21

Family

ID=6725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266A KR102446190B1 (en) 2017-12-28 2017-12-28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19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405B1 (en) * 1995-09-22 1999-01-15 구자홍 Weight measur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with weight sensor
KR20150030806A (en) * 2013-09-12 201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55466A (en) * 2013-11-13 2015-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60004533A (en) * 2014-07-03 2016-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405B1 (en) * 1995-09-22 1999-01-15 구자홍 Weight measur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with weight sensor
KR20150030806A (en) * 2013-09-12 201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55466A (en) * 2013-11-13 2015-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60004533A (en) * 2014-07-03 2016-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190B1 (en)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12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operational information for a dispensing system having both single use and bulk dispensing
US9328451B2 (en) Bulk dispenser fluid level sensing and out of balance detection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US10266980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63076B2 (en) Washing machine appliance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JP2010207316A (en) Washing machine
KR20150052697A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706027B2 (en) Washing machine
KR101757303B1 (en)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90061464A (en) Method for detecting bubble of washing machine
KR20150010185A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463809B1 (en) Method for detecting bubble of washing machine
KR10193908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354789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9923258B (en) Detergent box and clothes treatment device with same
KR20190102483A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90080069A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2552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5476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5638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TWI723519B (en) washing machine
JP2012170685A (en)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2352399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1332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6277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JP2014144068A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