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279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9279A KR20190079279A KR1020170181371A KR20170181371A KR20190079279A KR 20190079279 A KR20190079279 A KR 20190079279A KR 1020170181371 A KR1020170181371 A KR 1020170181371A KR 20170181371 A KR20170181371 A KR 20170181371A KR 20190079279 A KR20190079279 A KR 201900792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
- drawer
- door
- top cove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일측면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측이 개구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개구된 상부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드로워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도어의 외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탑커버; 및 상기 탑커버와 상기 도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브 또는 상기 터브와 대향하는 구성에 배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일측면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측이 개구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개구된 상부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드로워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도어의 외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탑커버; 및 상기 탑커버와 상기 도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브 또는 상기 터브와 대향하는 구성에 배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커버와 도어의 접촉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하고, 전방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과, 장치의 상부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탑 로딩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부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터브의 상측에는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도록 터브에 연결되는 도어와, 도어가 배치되는 부분의 이외의 부분에서 터브를 커버하는 탑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탑커버는 캐비닛의 상측에 장착되어 고정되나, 도어는 터브에 장착되므로, 터브의 진동에 따라 도어가 움직일 수 있다. 도어는 터브의 진동에 따른 움직임으로 탑커버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탑커버와 도어의 접촉은 탑커버 또는 도어의 외관을 손상시키거나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브의 진동에도 도어와 탑커버 사이에서 발생하는 접촉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터브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일측면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측이 개구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개구된 상부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드로워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도어의 외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탑커버; 및 상기 탑커버와 상기 도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브 또는 상기 터브와 대향하는 구성에 배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탑커버와 도어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터브와 상기 완충부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완충부와 상기 터브에 대향하는 구성 사이의 간격은 상기 탑커버와 상기 도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탑커버와 도어가 접촉하기 전에 완충부가 터브 또는 터브에 대향하는 구성에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터브와 완충부 또는 상기 터브에 대향하는 구성과 완충부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여, 탑커버와 도어가 접촉하기 전에 완충부가 터브 또는 터브에 대향하는 구성에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탑커버와 도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완충부는 상기 터브의 외둘레면에 대향하는 상기 드로워의 내측면에 배치되거나, 상기 터브의 외둘레면에 배치되거나, 상기 드로워의 상측으로 체결되는 상기 탑커버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와 상기 완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터브와 상기 완충부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상기 완충부에 대향하는 드로워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완충부와 상기 드로워와의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도어의 전방이동으로 인한 상기 탑커버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1완충부; 상기 도어의 양측방향 이동으로 인한 상기 탑커버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2완충부; 및 상기 도어의 전방과 양측방향의 사이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인한 상기 탑커버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3완충부를 포함하하여, 도어와 탑커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는 상기 터브를 매다는 서스펜션이 연결되도록 상기 드로워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드로워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3완충부는 상기 드로워브라켓에 대향하는 상기 터브의 외둘레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완충부와 상기 터브의 간격을 좁히는 제1돌출부재; 및 상기 제3완충부에 대향하는 상기 드로워브라켓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재를 포함하여, 도어와 탑커버의 접촉을 2차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로워패널과 제1완충부 사이에 제1돌출부재가 배치됨으로써, 제1완충부와 터브 사이의 간격(D1’)은 도어의 전방부분과 탑커버 사이의 간격(D1)보다 좁게 형성된다(D1>D1’).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탑커버의 체결리브에 제2완충부가 배치됨으로써, 제2완충부와 터브 사이의 간격(D2’)은 도어의 양 측방부분과 탑커버 사이의 간격(D2)보다 좁게 형성된다(D2>D2’).
또한, 터브의 외둘레면에 제3완충부가 배치되고, 드로워의 드로워브라켓의 단부에 제2돌출부재가 배치됨으로써, 터브의 외둘레면에 배치된 제3완충부와 드로워브라켓의 단부에 배치된 제2돌출부재 사이의 간격(D3’)은 도어와 탑커버 사이의 간격(D3)보다 좁게 형성된다(D3>D3’).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도어와 탑커버가 접촉되기 이전에 완충부가 터브 또는 터브에 대향하는 구성과 맞닿아 도어나 탑커버의 외형이 손상되지 않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도어와 탑커버가 접촉되지 않아 도어나 탑커버의 접촉에 의한 소음이 줄어드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의류처리장치의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와 드로워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바디와 터브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Ⅸ-Ⅸ’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Ⅹ-Ⅹ’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ⅩⅠ-ⅩⅠ’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의류처리장치의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와 드로워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바디와 터브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Ⅸ-Ⅸ’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Ⅹ-Ⅹ’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ⅩⅠ-ⅩⅠ’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의류처리장치와 제2의류처리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헹굼, 탈수 또는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로, 제1의류처리장치(100)만으로 구비되거나, 제1의류처리장치(100)와 제1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의류처리장치(1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1의류처리장치(100)의 상측에 제2의류처리장치(1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제1의류처리장치(100)만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의류처리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캐비닛(20)과 제2캐비닛(20)의 전방을 개폐하는 제2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의류처리장치(10)는, 제2캐비닛(20)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2터브(미도시), 제2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럼(미도시), 제2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2급수부(미도시) 및 제2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제2캐비닛(20)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의류처리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의류처리장치의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와 드로워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바디와 터브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Ⅸ-Ⅸ’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Ⅹ-Ⅹ’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ⅩⅠ-ⅩⅠ’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의류처리장치(이하 “의류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개구된 캐비닛(110), 상기 캐비닛(110)의 개구된 일측면으로 인출가능하게 배치되고, 상측이 개구된 드로워(120), 상기 드로워(120)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터브(170), 상기 터브(17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드럼(210), 상기 터브의 개구된 상부면을 개폐하는 도어(190) 및 상기 드로워(120)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도어(190)의 외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탑커버(140) 및 상기 탑커버(140)와 상기 도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브(170) 또는 상기 터브(170)와 대향하는 구성에 배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터브(170)의 드로워(120)에 매다는 복수의 서스펜션(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136)의 일단은 드로워(120)의 내측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터브(170)의 외측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1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10)은 내부에 드로워(12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10)은 전방(F)이 개구된 박스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10)은 후방면에 이하에서 설명할 급수부(240) 또는 배수부(250)의 일부구성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10)은 하부면에 별도의 베이스(126)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120)는 캐비닛(110)의 개구된 전방면으로 인출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120)는 캐비닛(110)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일부가 캐비닛(110)의 전방(F)으로 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120)는 내부에 터브(17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120)는 캐비닛(11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120)는 터브(17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캐비닛 내부로 삽입되는 드로워바디(122)와, 드로워바디(122) 전면에 배치되어 캐비닛(1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드로워패널(12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바디(122)의 내측에는 서스펜션(136)이 연결되는 드로워브라켓(130)이 형성된다. 드로워브라켓(130)은 드로워바디(122)의 내측 상부에 돌출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브라켓(130)은 드로워바디(122)의 내측 모서리부분 각각에서 4개가 배치된다. 드로워브라켓(130)은 터브(17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브라켓(130)은 서스펜션(136)의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서스펜션홀(13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브라켓(130)은 서스펜션(136)이 서스펜션홀(132)로 장착되도록 일측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13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패널(124)은 일부면에서 캐비닛(110)의 전방테두리부(112)와 대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패널(124)은 드로워바디(122)의 전방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패널(124)은 일부면에서 캐비닛(110)의 전방테두리부(112)와 맞닿아 드로워바디(122)의 후방(R)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패널(124)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하거나, 작동과 관련된 내용을 출력하는 컨트롤패널(128)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는 드로워바디(122)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는 의류의 출입을 위해 개구된 출입홀(14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는 이하에서 설명할 도어(190)의 외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170)에 연결되는 도어(190)는 터브(170)의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할 수 있다. 탑커버(140)는 도어(190)의 외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터브(170)의 일정수준 이하의 진동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는 급수부(240)의 일측이 관통하는 급수관통홀(14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의 전방에는 터브(170)로 세제 등을 투입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세제투입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제투입부(154)는 드로워(120)가 캐비닛(110)으로부터 인출될 때, 사용자에 인접한 전방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제투입부(154)는 탑커버(140)의 전방 모서리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제투입부(154)는 탑커버(140)에서 하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된 투입보올(156)을 포함하고, 투입보올(156)의 일측에는 터브(170)로 세제 등이 유입되는 투입홀(158)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는 투입보올(156)의 저장공간을 확보하도록 드로워바디(122)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세제투입부(154)는 세제투입관(160)으로 터브(170)와 연결된다. 따라서, 세제투입부(154)로 투입된 세제 등은 세제투입관(160)을 통해 터브(170) 내부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의 외측 테두리부분에는 드로워(120)와 체결되는 체결리브(15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는 전방에서 드로워패널(124)과 체결되고, 양측방(Le, Ri)과, 후방(R)에서 드로워바디(122)와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의 양측방과, 후방 단부는 드로워바디(122) 방향으로 절곡되며, 드로워바디(122)와 체결되는 체결리브(15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는 도어(190) 이외의 부분에서 터브(170)의 상측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는 드로워(120)의 상측에서 평평하게 형성된 탑부(146), 탑부(146)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도어(190) 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만곡부(14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는 탑부(146)가 이하에서 설명할 도어(190)의 도어패널(192)에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부(146)는 도어패널(192)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의 탑부(146)는 도어패널(192)과 대량 동일한 높이에서 형성되어, 세제투입부(154)의 투입보올(156)이 투입되는 세제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만곡부(148)는 도어패널(192)의 하측방향으로 만곡되어 도어패널(192) 하측에 배치되어 터브(170) 상측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170)는 의류를 처리하도록 세척수가 담기는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170)는 드로워(120)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170)는 내부가 중공이고, 상측이 일부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170)는 물이 담기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측이 개구된 터브바디(172)와 터브바디(172)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커버(174)터브커버(17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바디(172)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터브바디(172)의 하측에서는 터브(170)에 저장된 세탁수가 배수되는 배수부(250)와 연결된다. 터브바디(172)의 외둘레에는 서스펜션(136)이 연결되는 터브브라켓(174)이 형성된다.
터브브라켓(174)은 터브의 둘레면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브라켓(174)은 복수의 드로워브라켓(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서스펜션(136)은 터브브라켓(174)과 드로워(120)의 드로워브라켓(130)으로 연결되어, 터브(170)를 드로워(120)와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커버(174)터브커버(176)에는 터브바디(172)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의류투입구(178)가 형성된다. 의류투입구(178)는 탑커버(140)에 형성된 출입홀(142)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커버(174)터브커버(176)에는 터브바디(172)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180)가 형성된다. 급수구(180)는 탑커버(140)에 형성된 급수관통홀(14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터브커버(174)터브커버(176)의 의류투입구(178) 상측에는 의류투입구(178)를 개폐하는 도어(19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90)는 터브커버(174)터브커버(176)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90)는 터브커버(174)터브커버(176)의 상측에 힌지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90)는 터브커버(174)터브커버(176)의 의류투입구(178)를 개방하여 터브바디(172)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거나, 터브커버(174)터브커버(176)의 의류투입구(178)를 폐쇄하여 터브(17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밀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90)는 터브(170)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는 도어패널(192), 도어(190)가 터브(170)의 의류투입구(178)를 폐쇄할 때, 터브(170)와 도어(190)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부재(194) 및 도어패널(192)을 터브(170)에 힌지고정하고, 일측에 실링부재(194)가 장착되는 연결부재(19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90)는 도어패널(192)의 일측에 배치되어, 도어패널(192)을 터브커버(174)터브커버(176)의 일측에 힌지고정하는 힌지부(19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198)는 연결부재(196)의 후방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90)는 도어(190)가 터브(170)의 의류투입구(178)를 폐쇄할 때, 도어(190)의 터브(170)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200)는 연결부재(196)의 전방에 배치된다. 고정부재(200)는 누름에 따라 잠금 및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는 원터치 클릭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192)은 터브커버(174)터브커버(176)의 의류투입구(178)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192)은 터브커버(174)터브커버(176)의 의류투입구(178)가 형성된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94)는 도어패널(192)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94)는 도어(190)가 터브커버(174)터브커버(176)의 의류투입구(178)를 닫을 때, 도어패널(192)과 터브커버(174)터브커버(176) 사이를 밀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210)은 터브(17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210)은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진다. 드럼(210)의 개구된 상측은 터브(179)의 의류투입구(178)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210)은 구동부(220)에 의한 회전시, 세탁물의 편심에 의한 과진동을 방지하는 밸런서(2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210)은 바닥면과 원주면에 드럼(210)의 내부와 터브(170)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홀(212)이 형성된다. 드럼(210)은 구동부(220)에 의해 터브(170) 내부에서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210)의 바닥면에는 드럼의 회전시 수류를 형성하는 바닥면에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세탁돌기부(21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20)는 고정자(222)와, 고정자가 제공하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224) 및 회전자(224)의 회전력을 드럼(210)으로 전달하는 회전축(22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터브(17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40)와, 터브(170)에 저장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25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240)는 터브커버(174)터브커버(176)의 급수관통홀(144)에 연결되는 급수관(242)과, 급수관(242)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급수밸브(24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242)은 터브(170)의 진동으로 인해 급수관(242)이 터브(17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드로워(120) 인출시 길이가 조정되도록 일부구간에서 주름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에는 드로워(120)가 인출될 때, 급수관(242)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급수구커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250)는 터브(170)의 하측에 배치되고, 배수유로를 형성하는 배수관(252)과 배수유로를 유동하는 세탁수를 의류처리장치(100) 외부로 펌핑하는 배수펌프(25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250)는 터브(170)와 드로워(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252)은 터브(170)의 진동으로 인해 배수관(252)이 터브(17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드로워(120) 인출시 길이가 조정되도록 일부구간에서 주름관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와 탑커버의 관계>
본 실시예에 따른 탑커버(140)는 도어(190)의 외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90)는 도어패널(192)의 테두리부분에서 탑커버(140)의 탑부(146)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90)는 전방단부와 양측단부에서 전후(F-R) 및 좌우(Le-Ri) 방향으로 탑커버(140)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는 터브(170)의 진동으로 인한 도어(190)이 이동으로, 도어(190)가 탑커버(14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는 터브(170)의 외둘레 또는 터브(170)에 대향하는 구성에 배치된다. 터브(170)에 대향하는 구성이란, 터브(170)의 외둘레부분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드로워(120) 또는 드로워(120)의 상측에 체결되는 탑커버(140)의 내측면이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터브(170)와 완충부(300, 302) 사이의 간격(D1, D2) 또는 터브(170)에 대향하는 구성(120)과 완충부(304) 사이의 간격(D3)이 도어(190)와 탑커버(140) 사이의 간격(D1’, D2’, D3’)보다 작은 간격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300, 302, 304)는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어 외부의 충격을 감쇄 또는 흡수하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는 터브(170)와 드로워(120)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감쇄 또는 흡수함에 따라 터브(170) 진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터브(170)와 완충부(300, 302) 사이의 간격(D1, D2) 또는 터브(170)에 대향하는 구성(120)과 완충부(304) 사이의 간격(D3)은, 완충부(300, 302, 304)가 변형되더라도, 도어(190)와 탑커버(140)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300)는 터브(170)의 외둘레면에 대향하는 드로워(12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300)는 드로워패널(124)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302)는 터브(170)의 외둘레면에 대향하는 탑커버(14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302)는 탑커버(140)의 체결리브(15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304)는 터브(170)의 외둘레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는 도어(190)의 전방(F)이동으로 인한 탑커버(140)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1완충부(300), 도어(190)의 좌우방향(Le-Ri) 이동으로 인한 탑커버(140)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2완충부(302) 및 도어(190)의 전방(F)과 좌우방향(Le-Ri)의 사이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인한 탑커버(140)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3완충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완충부(300)는 도어(190)의 전방부분이 탑커버(140)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완충부(300)는 터브(170)의 전방에 배치된 드로워패널(124)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완충부(302)는 도어(190)의 양 측방부분이 탑커버(140)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완충부(302)는 터브(170)의 양 측방에 배치된 드로워바디(122) 또는 탑커버(140)의 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완충부(302)는 탑커버(140)의 좌측내측면과 우측내측면에 각각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완충부(302)는 드로워바디(122)와 체결되는 탑커버(140)의 체결리브(15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3완충부(304)는 도어(190)의 전방부분과 양 측방부부분 사이의 전방 대각방향부분이 탑커버(140)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완충부(304)는 터브(170)의 외둘레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완충부(304)는 드로워(120)의 내측에 형성된 드로워브라켓(130)이 대향하는 터브(170)의 외둘레면에 배치된다. 터브(170)의 이동으로, 드로워브라켓(130)의 단부와 제3완충부(304)가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터브(170)와 완충부 사이의 간격 또는 터브(170)에 대향하는 구성과 완충부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재는 완충부와 접촉되게 배치되거나, 완충부에 대향하는 구성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재는 완충부에 비해 강성이 강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재는 완충부와 달리, 외력을 받더라도 형태가 변형되지 않아 터브(170) 또는 터브(170)에 대향하는 구성과의 간격이 유지되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재(312)는 드로워(120)의 드로워브라켓(13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재(312)는 터브(170)가 진동할 때, 터브(170)에 배치된 완충부(304)와 접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재(310)는 드로워(12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재(310)는 드로워패널(124)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재(310)는 드로워패널(124)과 완충부(30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재는, 제1완충부(300)와 터브(170)와 간격을 좁히는 제1돌출부재(310)와, 제3완충부(304)에 대향하는 드로워브라켓(130)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부재(312)는 드로워브라켓(130)과 터브(170)와의 간격을 좁힌다.
도 6과 도 8을 참조하면, 드로워패널(124)과 제1완충부(300) 사이에 제1돌출부재(310)가 배치됨으로써, 제1완충부(300)와 터브(170) 사이의 간격(D1’)은 도어(190)의 전방부분과 탑커버(140) 사이의 간격(D1)보다 좁게 형성된다(D1>D1’). 탑커버(140)의 체결리브(152)에 제2완충부(302)가 배치됨으로써, 제2완충부(302)와 터브(170) 사이의 간격(D2’)은 도어(190)의 양 측방부분과 탑커버(140) 사이의 간격(D2)보다 좁게 형성된다(D2>D2’).
또한, 터브(170)의 외둘레면에 제3완충부(304)가 배치되고, 드로워(120)의 드로워브라켓(130)의 단부에 제2돌출부재(312)가 배치됨으로써, 터브(170)의 외둘레면에 배치된 제3완충부(304)와 드로워브라켓(130)의 단부에 배치된 제2돌출부재(312) 사이의 간격(D3’)은 도어(190)와 탑커버(140) 사이의 간격(D3)보다 좁게 형성된다(D3>D3’).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제2의류처리장치
100 : 제1의류처리장치
110 : 캐비닛 120 : 드로워
122 : 드로워바디 124 : 드로워패널
130 : 드로워브라켓 140 : 탑커버
154 : 세제투입구 160 : 세제투입관
170 : 터브 172 : 터브바디
174 : 터브브라켓 176 : 터브커버
190 : 도어 210 : 드럼
220 : 구동부 230 : 서스펜션
240 : 급수부 250 : 배수부
300 : 완충부, 제1완충부 302 : 완충부, 제2완충부
304 : 완충부, 제3완충부 310 : 돌출부재, 제1돌출부재
312 : 돌출부재, 제2돌출부재
110 : 캐비닛 120 : 드로워
122 : 드로워바디 124 : 드로워패널
130 : 드로워브라켓 140 : 탑커버
154 : 세제투입구 160 : 세제투입관
170 : 터브 172 : 터브바디
174 : 터브브라켓 176 : 터브커버
190 : 도어 210 : 드럼
220 : 구동부 230 : 서스펜션
240 : 급수부 250 : 배수부
300 : 완충부, 제1완충부 302 : 완충부, 제2완충부
304 : 완충부, 제3완충부 310 : 돌출부재, 제1돌출부재
312 : 돌출부재, 제2돌출부재
Claims (15)
-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일측면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측이 개구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개구된 상부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드로워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도어의 외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탑커버;
상기 탑커버와 상기 도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브 또는 상기 터브에 대향하는 구성에 배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와 상기 완충부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완충부와 상기 터브에 대향하는 구성 사이의 간격은 상기 탑커버와 상기 도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와 완충부 또는 상기 터브에 대향하는 구성과 완충부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완충부에 비해 강성이 강한 재질로 구성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터브의 외둘레면에 대향하는 상기 드로워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와 상기 완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터브와 상기 완충부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터브의 외둘레면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에 대향하는 드로워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완충부와 상기 드로워와의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드로워의 상측으로 체결되는 상기 탑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도어의 전방이동으로 인한 상기 탑커버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1완충부;
상기 도어의 양측방향 이동으로 인한 상기 탑커버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2완충부; 및
상기 도어의 전방과 양측방향의 사이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인한 상기 탑커버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3완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터브를 매다는 서스펜션이 연결되도록 상기 드로워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드로워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3완충부는 상기 드로워브라켓에 대향하는 상기 터브의 외둘레면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와 상기 터브의 간격을 좁히는 제1돌출부재; 및
상기 제3완충부에 대향하는 상기 드로워브라켓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와 상기 터브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도어의 전방단부와 상기 탑커버 사이의 간격(D1)보다 좁게 형성(D1>D1’)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완충부와 상기 터브 사이의 간격(D2’)은 상기 도어의 측단부와 상기 탑커버 사이의 간격(D2)보다 좁게 형성(D2>D2’)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완충부와 상기 제2돌출부재 사이의 간격(D3’)은 상기 도어의 전방 측단부와 상기 탑커버 사이의 간격(D3)보다 좁게 형성(D3>D3’)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1371A KR20190079279A (ko) | 2017-12-27 | 2017-12-27 | 의류처리장치 |
AU2018286577A AU2018286577B9 (en) | 2017-12-27 | 2018-12-24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EP18215827.9A EP3505673A1 (en) | 2017-12-27 | 2018-12-24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6/233,906 US10968557B2 (en) | 2017-12-27 | 2018-12-27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JP2018244445A JP6767469B2 (ja) | 2017-12-27 | 2018-12-27 | 衣類処理装置 |
CN201811609023.7A CN109972361B (zh) | 2017-12-27 | 2018-12-27 | 衣物处理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1371A KR20190079279A (ko) | 2017-12-27 | 2017-12-27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9279A true KR20190079279A (ko) | 2019-07-05 |
Family
ID=6490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1371A KR20190079279A (ko) | 2017-12-27 | 2017-12-27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968557B2 (ko) |
EP (1) | EP3505673A1 (ko) |
JP (1) | JP6767469B2 (ko) |
KR (1) | KR20190079279A (ko) |
CN (1) | CN109972361B (ko) |
AU (1) | AU2018286577B9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80359B2 (en) | 2019-12-12 | 2023-06-20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tub with a closure |
KR20220049769A (ko) * | 2020-10-15 | 2022-04-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20220049768A (ko) * | 2020-10-15 | 2022-04-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20220049912A (ko) * | 2020-10-15 | 2022-04-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밸런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CN114808398A (zh) * | 2021-01-29 | 2022-07-29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一种衣物处理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84901A (en) * | 1995-08-31 | 1998-07-28 | Sanyo Electric Co., Ltd. | Washing machine |
KR100707475B1 (ko) * | 1999-11-27 | 2007-04-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동 세탁기 |
KR101054409B1 (ko) * | 2004-04-23 | 2011-08-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의 터브커버 체결구조 |
KR100877988B1 (ko) * | 2007-05-28 | 2009-01-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KR101366280B1 (ko) | 2007-08-03 | 2014-0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1414627B1 (ko) * | 2007-12-03 | 2014-07-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처리장치 |
CN201321564Y (zh) | 2008-11-25 | 2009-10-07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衣物处理设备 |
EP2728050B1 (en) * | 2011-12-08 | 2017-06-28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
CN104321481B (zh) * | 2012-08-23 | 2017-04-05 | Lg电子株式会社 | 辅助洗衣机和使用该辅助洗衣机的衣物处理装置 |
KR102082700B1 (ko) * | 2013-01-16 | 2020-0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보조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처리장치 |
KR102255385B1 (ko) | 2014-05-30 | 2021-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362650B1 (ko) * | 2014-05-30 | 2022-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316088B1 (ko) * | 2015-03-02 | 2021-10-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20170002889A (ko) * | 2015-06-30 | 2017-0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20170135113A (ko) * | 2016-05-30 | 2017-1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
2017
- 2017-12-27 KR KR1020170181371A patent/KR20190079279A/ko unknown
-
2018
- 2018-12-24 EP EP18215827.9A patent/EP3505673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8-12-24 AU AU2018286577A patent/AU2018286577B9/en not_active Ceased
- 2018-12-27 US US16/233,906 patent/US10968557B2/en active Active
- 2018-12-27 JP JP2018244445A patent/JP6767469B2/ja active Active
- 2018-12-27 CN CN201811609023.7A patent/CN109972361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972361B (zh) | 2021-07-30 |
US10968557B2 (en) | 2021-04-06 |
AU2018286577A1 (en) | 2019-07-11 |
US20190194852A1 (en) | 2019-06-27 |
AU2018286577B2 (en) | 2020-02-27 |
JP2019118823A (ja) | 2019-07-22 |
EP3505673A1 (en) | 2019-07-03 |
JP6767469B2 (ja) | 2020-10-14 |
AU2018286577B9 (en) | 2020-03-26 |
CN109972361A (zh) | 2019-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79279A (ko) | 의류처리장치 | |
US11060228B2 (en) | Washing machine | |
KR10256867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583492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11001953B2 (en) | Washing machine | |
KR102466277B1 (ko) | 세탁기 | |
US11299845B2 (en) | Washing machine | |
KR102421544B1 (ko) | 세탁기 | |
US11913161B2 (en) | Washing machine | |
KR102647316B1 (ko) | 세탁기 | |
KR102557577B1 (ko) | 세탁장치 | |
US20240026594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101898496B1 (ko) | 세탁장치 | |
KR102287102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00096032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00096031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70082109A (ko) | 세제 투입 도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 |
KR20120105754A (ko) | 세탁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