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988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988B1
KR100877988B1 KR1020070051680A KR20070051680A KR100877988B1 KR 100877988 B1 KR100877988 B1 KR 100877988B1 KR 1020070051680 A KR1020070051680 A KR 1020070051680A KR 20070051680 A KR20070051680 A KR 20070051680A KR 100877988 B1 KR100877988 B1 KR 100877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ashing machine
shock absorber
contact memb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천수
손창우
장종규
김진수
채애경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1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988B1/ko
Priority to AU2008202220A priority patent/AU2008202220B2/en
Priority to CNA2008101095376A priority patent/CN101314911A/zh
Priority to US12/127,259 priority patent/US2008029554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과, 세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스핀바스켓을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도어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장치를 포함하여, 도어와 케이싱 등의 충돌 소음 또는 진동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또는 세탁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완충장치, 도어접촉부재, 완충장치 장착부, 도어간섭방지수단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도어접촉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완충장치 장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도 3에 따른 도어접촉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도 3에 따른 도어접촉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는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도어가 일정 정도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c는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세탁기 10: 케이싱
20: 도어 21: 몰드물
22: 강화유리 23: 도어개폐장치
30: 컨트롤 패널 40: 탑커버
41: 완충장치 장착부 50: 손잡이
60: 완충장치 61,61',61'': 도어접촉부재
62: 탄성부재 70: 롤러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세탁기의 도어를 닫을 경우에 도어가 닫히면서 충돌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완충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및 도어가 열리면 세탁기의 작동을 중지하는 안전장치가 완충장치에 형성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등을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등의 처리를 하는 가전제품인 세탁기는 크게 2종류로 구분된다. 의류 등의 세탁물을 처리하는 스핀바스켓 또는 드럼의 회전축이 수직이냐 수평이냐에 의해서 구분되며, 회전축이 수직인 경우의 세탁기를 탑로드 세탁기(top loading washing machine)라고 하고 수평인 경우의 세탁기를 프런트로드 또는 드럼세탁기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or drum washer)라고 한다.
이들 세탁기에는 세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도어가 형성되는데, 세탁물을 세탁공간에 넣거나 꺼낸 후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도어의 충돌소음/진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세탁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작동 중에 세탁기의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 세탁기가 작동을 멈추지 않아 사용자가 다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첫째, 본 발명은 도어가 닫힐 때 세탁기의 케이싱 또는 탑커버와 충돌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완충장치를 구비한 세탁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둘째, 본 발명은 세탁기의 작동 중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도어가 열리면 세탁기가 멈출 수 있도록 완충장치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본 발명은 닫힌 상태에 있는 도어를 개방할 경우에 완충장치의 복원력에 의해 간편하게 도어를 열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과, 세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스핀바스켓을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도어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완충장치에 의해 상기 도어가 상기 케이싱과 충돌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장치는 상기 도어가 닫힘에 따라 상기 도어와 접촉하는 도어접촉부재 및 상기 도어접촉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 또는 세탁기의 상부를 형성하는 탑커버의 일면에는 상기 완충장치를 수용하는 완충장치 장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완충장치 장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완충장치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세탁기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접촉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은 상기 완충장치 장착부의 내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완충장치 장착부의 내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접촉부재를 상기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어접촉부재가 일정한 움직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와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접촉부재의 일면에는 공기빠짐구멍이 더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도어접촉부재가 상기 완충장치 장착부에 끼어서 움직이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도어와 접촉하는 상기 도어접촉부재의 모서리에는 상기 도어의 접촉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도어간섭방지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간섭방지수단은 상기 도어접촉부재의 모서리에 형성된 곡면부 또는 상기 도어접촉부재의 모서리에 장착된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어간섭방지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도어접촉부재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도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접촉부재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케이싱; 세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설치된 도어;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도어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장치; 및 상기 완충장치와 연동되어 작동되며, 상기 도어가 열릴 경우 세탁기의 운전을 멈추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장치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세탁기의 작동 중에 의도하지 않게 도어가 개방될 경우 세탁기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안전장치를 상기 완충장치에 설치함으로써 안전장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 등이 필요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완충장치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상기 도어의 열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완충장치를 상기 도어가 닫힘에 따라 압축되는 스프링으로 하며,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스프링에 설치된 접촉센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안전장치로서 스프링인 상기 완충장치의 변위에 따라 접촉하는 접촉센서를 사용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비교적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발명의 목적과 특징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는 케이싱(10)과, 세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케이싱(10)의 일면에 설치되는 도어(20)와,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미도시) 및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스핀바스켓(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는 터브와 스핀바스켓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적용되는 터브와 스핀바스켓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그것들과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상기 도어(20)가 설치되는 케이싱(10)의 상측에는 세제투입구 등이 형성될 수 있는 탑커버(40)가 구비되며, 도어(20)의 일정 부분은 탑커버(40)와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싱(10)의 상부 뒤쪽에는 세탁기의 운전코스 등을 선택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30)이 돌출형성되는데, 컨트롤 패널(30)은 케이싱(10)의 전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에는 사용자가 쉽게 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50)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우선 상기 도어는, 도어 본체(20)와 도어 본체(20)에 형성된 개폐장치(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도어 본체(20)와 케이싱(10) 또는 케이싱(10)의 상부에 형성된 탑커버(40)의 충돌을 줄이기 위한 완충장치(60)가 케이싱 또는 케이싱(10)의 상부에 형성된 탑커버(40)에 구 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탑커버(40)와 인접한 도어 본체(20)의 뒷부분에는 도어 본체(20)와 탑커버(40) 또는 케이싱(10) 표면의 원활한 접촉을 위한 롤러(28)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 본체(20)를 개방할 때 롤러(28)의 전진 방향 앞에는 롤러(28)가 일정 한도 이상으로 전진하는 것을 막기 위한 스토퍼(4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40a)는 탑커버(4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케이싱(10) 또는 도어 본체(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본체(20)는 몰드물(12)과, 몰드물(21)에 맞물려서 결합되는 강화유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도어 본체(20)의 대부분은 강화유리(22)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투명한 강화유리(22)로 도어 본체(20)의 대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세탁물의 세탁상태 등을 사용자의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몰드물(21)의 두께를 강화유리(22)의 두께 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드물(21)에는 도어 개폐장치(23)가 장착되기 때문에, 이를 장착하기 위해 몰드물(21)은 충분한 두께를 가져야 한다.
한편, 상기 완충장치(60)는 도어 본체(20)와 직접 접촉하는 도어접촉부재(61) 및 도어접촉부재(61)를 지지하는 탄성부재(6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접촉부재(61) 및 탄성부재(62)를 포함하는 완충장치(60)는 세탁기(1)의 케이싱(10) 또는 탑커버(40)에 요입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완충장치(60)가 케이싱(10) 또는 탑커버(4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면 도어 본체(20)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장치 장착부(41)를 케이싱(10) 또는 탑커버(40)에 요입 형성한다.
상기 탄성부재(62)로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판스프링 등 탄성을 가진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완충장치 장착부(41)에 완충장치(60)를 장착할 때, 완충장치 장착부(41)와 도어접촉부재(61)가 맞닿는 부분에 접촉센서(42)를 설치하거나, 탄성부재(62)로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코일스프링에 접촉센서(63)를 설치할 수 있다. 접촉센서(42,63)를 설치함으로써 세탁기(1)의 운전 중에 도어 본체(20)가 의도하지 않게 열리더라도 세탁기(1)를 멈출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센서(42,63)는 완충장치(60)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도어 본체(20)의 열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도어 본체(20)가 닫히게 되면 완충장치(60) 또는 탄성부재(62)가 수축을 하게 되고 도어접촉부재(61)의 하단이 완충장치 장착부(41)에 근접 내지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탄성부재(62)의 변위량을 접촉센서(63)가 측정하거나, 도어접촉부재(61)와 완충장치 장착부(41) 사이의 거리를 접촉센서(42)가 측정하여 기억하게 된다. 이 후에 도어 본체(20)가 열리게 되면 탄성부재(62)가 팽창하여 원상태를 회복하거나 도어접촉부재(61)와 완충장치 장착부(41) 사이의 거리가 커지게 되면, 접촉센서(42,63)는 도어 본체(20)가 열린 상태라고 인식하여 세탁기(1)의 운전을 중단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촉센서(42,63)는 도어 본체(20)가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열린 경우 세탁기(1)의 작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일종 의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며, 이러한 안전장치는 완충장치(60)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안전장치의 형태는 접촉센서(42,6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방하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도어접촉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완충장치 장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접촉부재(61)는 일단이 막힌 원통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어접촉부재(61)는 탄성부재(62)를 삽입하기 위한 중공(61a)이 형성된 몸체(61b)를 구비하며, 몸체(61b)의 외주면은 완충장치 장착부(41)의 내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즉, 몸체(61b)의 외주면 자체가 완충장치 장착부(41)의 내면과 접촉하므로 도어접촉부재(61)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별도의 구성없이 몸체(61b)의 외주면이 가이드역할을 하게 된다. 만약, 완충장치 장착부(41) 내에서 도어접촉부재(61)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하지 않으면 도어접촉부재(61)가 일정한 움직임을 가지며 운동하지 못하고 도어접촉부재(61) 또는 완충장치 장착부(41)의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접촉부재(61)의 막힌 상단에 공기빠짐구멍(61d)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도어 본체(20)가 닫히는 과정에서 도어접촉부재(61)가 아래로 눌리면서 중공(61a)에 존재하는 공기가 공기빠짐구멍(61d)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중공(61a)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해 도어접촉부재(61)가 원활하게 움직이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접촉부재(61)는 탄성부재(62)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61a)이 형성된 몸체(61b)와, 몸체(61b)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완충장치 장착부(41)의 내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부(6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61c)는 몸체(61b)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완충장치 장착부(41) 내에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완충장치 장착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상기 완충장치 장착부(41)는 케이싱(10) 또는 탑커버(4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장치 장착부(41)를 별개로 형성할 경우 그 형상은 하단이 막힌 원통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때, 막힌 하단과 달리 완충장치를 수용하는 개방된 상단의 테두리에는 플랜지부(41a)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41a)의 재질을 완충장치 장착부(41)의 나머지 부분의 재질과 다른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하고, 케이싱(10) 또는 탑커버(40)에 장착할 때 플랜지부(41a)가 케이싱(10) 또는 탑커버(40)의 표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41a)가 케이싱(10) 또는 탑커버(4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하여 이 돌출부분에 도어 본체(20)가 충돌하게 함으로써 도어 본체(20)와 케이싱(10) 또는 탑커버(40)의 충돌을 한번 더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장치 장착부(41)의 내경을 D3, 도어접촉부재(61)의 몸체(61b)의 외경을 D1, 가이드부(61c)의 외경을 D2 (도 3 참조)라고 하면, 도어접촉 부재(61)에 가이드부(61c)가 없으면 몸체(61b)의 외경(D1)과 완충장치 장착부(41)의 내경(D3)이 거의 일치하며, 도어접촉부재(61)에 가이드부(61c)가 있으면 가이드부(61c)의 외경(D2)과 완충장치 장착부(41)의 내경(D3)이 거의 동일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완충장치 장착부(41)의 내경(D3)과 도어접촉부재(61)의 외경(D1) 또는 가이드부(61c)의 외경(D2)을 일치시킴으로써 도어접촉부재(61)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본체(20)가 닫힐 때 도어접촉부재(61)의 상부 모서리 등과 도어 본체(20)가 상호 접촉함으로써 접촉부분에 마모 내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접촉부재(61)에 도어간섭방지수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a는 도 3에 따른 도어접촉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3에 따른 도어접촉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접촉부재(61')의 상단 모서리 등에 곡면(61e')을 형성하고, 도어 본체(20)가 이 곡면(61e')과 먼저 접촉하게 함으로써 도어 본체(20)와 도어접촉부재(61')의 마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본체(20)와 먼저 접촉하게 되는 도어접촉부재(61'')의 모서리 등에 별도의 롤러(7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롤러(70)는 롤러지지대(7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롤러지지대(72)는 도어접촉부재(61'')의 모서리에 요입 형성된 롤러장착부(71)에 장착된다.
여기서, 롤러지지대(72)와 롤러장착부(71) 사이에는 스프링(73) 등의 탄성지지수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b에 도시한 롤러(70)의 장착구조는 하나의 예에 해당하며, 상기 롤러(70)를 다른 형태로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은, 도어의 개방정도에 따라 도 3에 따른 완충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로써,도 6a는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어가 일정 정도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c는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완충장치 또는 완충장치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안전장치는 세탁기 뿐만 아니라 식기세척기 또는 건조기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완화장치 또는 안전장치 등은 탑 로딩 방식 세탁기 뿐만 아니라 프런트 로딩 방식 세탁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와 접촉하는 부분인 도어와 케이싱 또는 탑커버에 완충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도어와 케이싱 또는 탑커버의 충돌 소음 또는 진동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또는 세탁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기의 작동 중에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도어가 열리더라도 완충장치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완충장치에 장착된 안전장치에 의해 세탁기가 멈추게 되어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를 열 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압축되어 있는 완충장치의 복원력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에 세탁물 등이 많이 들려 있을 때에도 편리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Claims (12)

  1. 케이싱과, 세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스핀바스켓을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도어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장치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도어접촉부재 및 상기 도어접촉부재의 중공에 삽입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는 상기 완충장치를 수용하는 완충장치 장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접촉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완충장치 장착부의 내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접촉부재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완충장치 장착부의 내면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접촉부재의 일면에는 공기빠짐구멍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접촉하는 상기 도어접촉부재의 모서리에는, 상기 도어의 접촉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도어간섭방지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간섭방지수단은, 상기 도어접촉부재의 모서리에 형성된 곡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간섭방지수단은, 상기 도어접촉부재의 모서리에 형성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와 연동되어 작동되며, 상기 도어가 열릴 경우 세탁기의 운전을 멈추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완충장치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상기 도어의 열림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는 상기 도어가 닫힘에 따라 압축되는 스프링이며,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스프링에 설치된 접촉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70051680A 2007-05-28 2007-05-28 세탁기 KR100877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680A KR100877988B1 (ko) 2007-05-28 2007-05-28 세탁기
AU2008202220A AU2008202220B2 (en) 2007-05-28 2008-05-20 Laundry machine
CNA2008101095376A CN101314911A (zh) 2007-05-28 2008-05-27 洗衣机
US12/127,259 US20080295544A1 (en) 2007-05-28 2008-05-27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680A KR100877988B1 (ko) 2007-05-28 2007-05-28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988B1 true KR100877988B1 (ko) 2009-01-12

Family

ID=4010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680A KR100877988B1 (ko) 2007-05-28 2007-05-28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7988B1 (ko)
CN (1) CN1013149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8888A (zh) * 2013-12-10 2014-03-26 广州澳森液压元件有限公司 一种自动开启的洗衣机盖
EP3505673A1 (en) * 2017-12-27 2019-07-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3431B2 (en) * 2009-07-31 2014-07-0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2471463B1 (ko) * 2015-12-08 2022-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07723999B (zh) * 2016-08-12 2021-03-30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顶开式洗衣机门盖组件以及洗衣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816A (ko) * 1993-09-16 1995-04-19 배순훈 세탁기 도어 개방장치
KR0132202B1 (ko) * 1993-10-22 1998-04-20 배순훈 세탁기의 도어 완충장치
KR19980030260U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세탁기용 도어
KR0130393Y1 (ko) 1995-09-29 1998-12-15 전주범 세탁기의 도어
KR100230479B1 (ko) * 1997-10-27 1999-11-15 구자홍 직결식 세탁기용 도어힌지의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7264U (zh) * 1990-12-22 1992-02-26 余锟 具有缓冲和定位装置的弹簧关门器
CN2298273Y (zh) * 1997-07-12 1998-11-25 海尔集团公司 回弹式洗衣机门
CN1289872A (zh) * 2000-05-29 2001-04-04 王正峰 振筒式衣物透洗机的共振消除器
KR200209992Y1 (ko) * 2000-08-05 2001-01-15 대우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 록킹장치
KR20030091517A (ko) * 2002-05-28 200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리드 쿠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816A (ko) * 1993-09-16 1995-04-19 배순훈 세탁기 도어 개방장치
KR0132202B1 (ko) * 1993-10-22 1998-04-20 배순훈 세탁기의 도어 완충장치
KR0130393Y1 (ko) 1995-09-29 1998-12-15 전주범 세탁기의 도어
KR19980030260U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세탁기용 도어
KR100230479B1 (ko) * 1997-10-27 1999-11-15 구자홍 직결식 세탁기용 도어힌지의 결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8888A (zh) * 2013-12-10 2014-03-26 广州澳森液压元件有限公司 一种自动开启的洗衣机盖
EP3505673A1 (en) * 2017-12-27 2019-07-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968557B2 (en) 2017-12-27 2021-04-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14911A (zh)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3757B1 (en) Washing machine
KR100877988B1 (ko) 세탁기
AU2008202220B2 (en) Laundry machine
EP3115494B1 (en) Washing machine
KR100962839B1 (ko) 세탁기
KR101861676B1 (ko) 의류처리장치
EP1985741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EP3272925B1 (en) Washing machine
KR101187069B1 (ko) 도어 어셈블리
EP2929076B1 (en) Laundry machine
EP1770198B1 (en) Top-loading clothes washing machine with lid interlock means
KR100452353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233337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465690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0820152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166188B1 (ko) 드럼 세탁기
KR100834946B1 (ko) 세탁기
KR101373622B1 (ko) 도어 안전장치를 갖는 드럼세탁기
WO2022059434A1 (ja) 洗濯機
KR100452355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힌지 어셈블리
KR10157562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20230033602A1 (en) Laundry device
WO2013080092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RU2459895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верхней загрузкой
KR20100070070A (ko) 체커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