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180A -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 Google Patents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180A
KR20190079180A KR1020170181202A KR20170181202A KR20190079180A KR 20190079180 A KR20190079180 A KR 20190079180A KR 1020170181202 A KR1020170181202 A KR 1020170181202A KR 20170181202 A KR20170181202 A KR 20170181202A KR 20190079180 A KR20190079180 A KR 20190079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beds
assembly beds
animal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440B1 (ko
Inventor
현상환
윤준철
황선웅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4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02Adjustable operating tables; Contr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61B90/35Suppo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01Clamping means for connecting accessories to the oper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50/00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비의 진입/확보가 어려운 현장(field)에서 소·돼지 등과 같은 중대동물(中大動物)의 효율적 치료를 위해 간편히 설치사용할 수 있도록 한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평면적의 확장/축소를 위해, 마주하는 내측단부의 맞대응 접합형태를 갖춘 한 쌍의 조립베드; 상호접합된 상기 조립베드들의 후방부를 서로 연잇는 형태로 상기 조립베드들 내부에 삽입시켜, 상기 조립베드들 간 접합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는 결속코어; 및, 상호접합된 상기 조립베드들 전방단부의 구속이음을 통해, 상기 조립베드들 간 더 견고한 접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SELF-ASSEMBLY TYPE SIMPLE OPERATING TABLE FOR MEDIUM AND LARGE ANIMAL TREATMENT}
본 발명은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비의 진입/확보가 어려운 현장(field)에서 소·돼지 등과 같은 중대동물(中大動物)의 효율적 치료를 위해 간편히 설치사용할 수 있도록 한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에 관한 것이다.
동물(動物, animal / 포유동물)은, 우리네 삶의 여러 분야에서 매우 다양하고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예컨대, 고기(meat)라는 식량수단의 역할로, 논과 밭을 가꾸는 노동수단의 역할로, 수레를 끄는 운송수단의 역할 등을 담당해 왔으며, 이에 따라 가축이라는 명목하에 특정 동물들을 농장에서 사육해 왔다.
그리고, 동물원에서는 동물의 보호와 번식, 연구를 꾀하고 일반인에게는 관람을 통하여 동물에 대한 지식을 넓히고 동물에 대한 애호정신(protective spirit)을 기르면서 오락 및 휴식을 제공하기 위해 희기종(稀貴種)의 야생동물을 모아 기르고 있다.
이렇듯, 지구상에는 인간과 동물이 서로 필연관계를 맺고 공존하고 있는바, 함께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때에 이 지구는 풍요로움과 아름다움을 간직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농장에서 사육하는 가축이나 동물원 등에서 기르는 야생동물의 보호와 번식에 있어서, 질병을 앓고 있는 동물의 치료는 매우 중요한 부분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하여, 가축병원(또는 동물병원) 내 수술실에 수술대가 마련되어 있긴 하나, 해당 수술대의 경우 베드의 높낮이와 각도조절을 위해 설치된 부재들과 이들의 고정틀로 인해 부피가 크고 무거운 것이 일반적이며, 더욱이 2차 감염 예방의 청정공간 확보 및 시술을 보조하기 위한 각종 기기와 기구의 비치(備置)를 위해 충분한 공간확보가 요구된다.
때문에, 농장이나 동물원 내 개별사육장소와 같이 공간이 협소한 야외현장 등으로의 운반 및 설치가 거의 불가한 것인바, 이를 대체할만한 환경조건(공간, 장비)이 확보되지 않은 현장에서의 긴급한 동물치료는 시술자에게 부담을 주게 되고, 또한 해당조건에서의 비효율적 시술은 처치시간 증가의 폐단을 초래하며, 이러한 처치시간의 증가는 곧 치료대상(동물)의 회복을 더디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4209호를 통해, 현장의 위급한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여 동물을 눕힌 상태로 고정시켜 수술할 수 있도록 한 동물치료용 다용도 수술대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물치료용 다용도 수술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서로 마주보게 내입경사면(911)이 형성된 복수의 수술대(910)가 수납판(921)이 형성된 받침대(920)의 상부에 안착되어 동물을 눕힌 상태로 고정이 가능하고 상기 수술대(910)와 받침대(92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술대(910)는, 내입경사면(911)의 외측으로 수평면(912)이 형성되고, 그 수평면(912)에는 수직벽(913)이 형성되어 있어, 직립된 상태로 세워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920)는, 수납판(921)의 양단 테두리에 돌출턱(92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술대(910)가 측방향 이탈이 방지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상기 동물치료용 다용도 수술대에 의하면, 상기 내입경사면(911) 형성에 의해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없이도 동물의 고정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동물의 크기에 따라 수술대(910)의 길이를 달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수술대(910)가 안착된 수납판(921)의 나머지 공간에 수술도구를 올려놓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상기 수술대(910)를 분리하여 본체와 별도 사용할 수 있는 활용도가 제공되는 것이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같이 복수의 수술대(910)가 안착되는 상기 받침대(920)의 길이축소는 불가한 관계로, 공간이 협소한 개별사육장소로의 상기 수술대(910) 운반이 용이치 못하여 이동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여전하였다.
더욱이, 상기 수술대(910)의 내입경사면(911) 형성을 통해 동물의 중앙 고정(배치)만 가능할 뿐, 그 위에 눕혀둔 동물의 이후 움직임을 구속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시술 간 동물의 움직임에 대비할 수 없고, 아울러 수술 간 시술자의 시야확보 등 시술 편의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구조적 한계가 뒤따랐다.
결국, 닭·오리 혹은 염소나 개(犬) 등에 비해 몸집이 상대적으로 큰 소·돼지 등과 같은 중대동물(中大動物)을 현장에서 치료할 때 필요로 하는 중대형 사이즈의 수술대를 제작함에 있어, 협소공간으로의 운반과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이거니와 시술자 편의를 제공하는 조립식 간이수술대의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4209호(공개일자 : 2013. 07.0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맞대응 접합이 가능한 한 쌍의 조립베드 구비를 통해, 베드의 크기조절에 따른 수술대 부피축소 및 이를 통한 수술대의 이동/보관 효율향상은 물론 입구가 비좁고 공간이 협소한 장소로의 수술대 진입/운반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로 접합된 상기 조립베드들 후방 내측으로 끼워 맞춤 삽입되는 결속코어와 상기 조립베드들 전방을 상호구속하는 잠금부재 구비 및 이들을 이용한 2중 고정방식의 채택을 통해, 조립베드들 간 접합상태가 보다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료하고자 하는 동물을 올려서 눕혀둔 상기 조립베드 상단의 기울기 부여를 통해, 치료(시술)부위의 시야확보 및 시술편의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체 평면적의 확장/축소를 위해, 마주하는 내측단부의 맞대응 접합형태를 갖춘 한 쌍의 조립베드; 상호접합된 상기 조립베드들의 후방부를 서로 연잇는 형태로 상기 조립베드들 내부에 삽입시켜, 상기 조립베드들 간 접합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는 결속코어; 및, 상호접합된 상기 조립베드들 전방단부의 구속이음을 통해, 상기 조립베드들 간 더 견고한 접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조립베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외측단부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시켜 다수의 수술도구를 올려둘 수 있도록 한 선반대;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베드는, 치료하고자 하는 동물을 상단부에 올려서 눕힐 때 완충작용을 나타내는 신축성 소재이고, 상기 상단부는, 상기 내측단부 측으로 기울어짐에 더하여 상기 전방단부에 비해 대응방향의 후방단부가 상대적으로 높은 형태를 이룸으로써 경사각을 갖되, 상기 경사각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전방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후방단부 측으로 7.58°의 상승각도를 형성한다.
더하여, 상기 결속코어는, 상호접합된 상기 조립베드들의 접합상태 유지에 적합한 "H"형의 I빔 구조를 이룸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조립베드 상호접합시 각각의 조립베드들 후방단부에 내향형성된 복수의 대응삽입홀 모두에 연이어 끼워 맞춤된 상태로, 상기 조립베드들 간 상하 비틀림 및 좌우 이격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조립베드들 중 어느 하나의 전방단부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한 잠금조작이 가능한 고리구와, 상기 고리구의 일단을 걸어서 한 쌍의 상기 조립베드의 전방단부들이 서로 구속되도록 하는 걸이구로 조합된다.
더하여, 상기 선반대는, 수술도구를 올려두기에 적합한 판체로써, 거치된 도구의 낙하방지를 위한 수납공간이 상단에 소정깊이 함몰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립베드의 상단 일측 모서리부위에는, 동물 신체 포박의 고정부재걸이대, 수액제제를 걸어두는 수액걸이대, 조명을 설치하는 조명설치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꽂아둘 수 있는 수직홀이 세로로 길게 내향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조립베드들의 각 내측단부에는, 상기 조립베드들의 상호접합시 정교한 맞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결정돌기와 상기 위치결정돌기가 삽입되는 위치결정홈이 상호 대응부위로부터 각각 돌출 및 내향형성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는, 한 쌍의 조립베드 분해조립에 의거한 수술대 부피축소가 가능함으로써, 입구가 비좁고 공간이 협소한 장소로의 수술대 진입과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결속코어와 잠금부재를 이용한 조립베드들의 상호 접합/분리 구조의 간소화 및 간편화 달성에 따라 조립베드의 조립작업은 수월토록 하면서도 2중 고정방식 채택에 따라 접합상태가 보다 견고히 유지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조립베드 상단의 기울기 형성에 따른 베드 중앙으로의 동물배치 유도 및 시술부위의 시야확보와 시술편의 증대의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조립베드 상단 일측에 형성된 수직홀을 활용한 동물의 신체고정과 아울러 수액걸이대 또는/및 조명의 구비 그리고 선반대를 이용한 수술도구 거치 등의 시술편의 추가 증대의 효과가 있으며, 지금까지와 같은 각종 효과의 달성으로 동물치료와 관련된 의료산업의 발전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물치료용 다용도 수술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에 있어서, 조립베드의 형성각도를 나타낸 측면도와 결속코어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에 있어서, 선반대의 구성관계 및 인출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에 있어서 조립베드의 형성각도를 나타낸 측면도와 결속코어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에 있어서 선반대의 구성관계 및 인출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A)는, 치료하고자 하는 중대동물을 올려서 눕혀두기 충분한 평면적(平面的)을 가지며 그 평면적의 확장/축소를 위해 마주하는 내측단부(10-1)의 맞대응 접합형태를 갖춘 한 쌍의 조립베드(1-1)(1-2)와, 상호접합된 상기 조립베드(1-1)(1-2)들의 그 후방부를 서로 연잇는 형태로 조립베드(1-1)(1-2) 내부에 삽입시켜 상기 조립베드(1-1)(1-2)들 간 접합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는 결속코어(2)와, 상호접합된 상기 조립베드(1-1)(1-2)들 전방단부(10-2)의 구속이음(restraint connection)을 통해 조립베드(1-1)(1-2)들 간 더 견고한 접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조립베드(1-1)(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그 외측단부(10-3)로부터 슬라이딩 인출(引出)시켜 외과용 메스(Scalpel)와 같은 각종 수술도구 등을 올려두기 위한 선반대(4)가 더 설치된다.
조립베드(1-1)(1-2)는, 치료하고자 하는 동물 특히 소나 돼지 등의 중대동물을 올려서 눕혀둠에 필요한 수술대 본체인 것으로, 그 상단부(10-4)에 올려서 눕힐 때 완충작용을 나타내는 우레탄 또는 스펀지 등의 신축성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부(10-4)는, 맞대응식 밀착부위가 되는 내측단부(10-2) 측으로 기울어짐에 더하여 전방단부(10-2)에 비해 후방단부(10-5)가 상대적으로 높은 형태를 이룸으로써 경사각(θ)을 갖는바, 그 경사각(θ)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전방단부(10-4) 측으로부터 후방단부(10-5) 측으로 약 7.58°의 상승각도를 형성한다. 이는, 상기 내측단부(10-2) 측으로의 기울기 형성을 통한 동물의 중앙 배치와 아울러 뒷다리가 후방단부(10-5) 측을 향하는 상태로 동물을 상단부(10-4)에 올려서 눕힌 상태에서의 개복시 복강(腹腔, abdominal cavity)의 시야확보 및 복강술 시행의 시술자 편의가 발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후방단부(10-5)로부터는, 결속코어(2)의 끼워 맞춤식을 위한 대응삽입홀(11)이 내향형성되는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코어(2)의 중간을 기점으로 양측 형태에 대응하는 가로공(111)과 세로공(112)으로 조합된다.
더하여, 상기 후방단부(10-1) 측의 상단부(10-4) 모서리부위에는, 치료 대상 동물의 신체(뒷다리 등) 포박의 고정부재걸이대, 또는 수액제제(輸液製劑)를 걸어두는 수액걸이대(ringer stand), 혹은 조명을 설치하는 조명설치대 등을 꽂아둠에 활용하는 수직홀(12)이 세로로 길게 내향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내측단부(10-2)의 미리 정한 부위마다에는, 상호접합시 정교한 맞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결정돌기(13-1)와 그 위치결정돌기(13-1)가 삽입되는 위치결정홈(13-2)이 상호 대응부위로부터 각각 돌출 및 내향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측단부(10-3)의 정해진 부위로부터는, 선반대(4)의 끼워 맞춤식 조립결합 및 슬라이딩식 출입이 가능토록 한 출입홀(14)이 더 내향형성되어 있다.
결속코어(2)는, 한 쌍의 상기 조립베드(1-1)(1-2)의 상호접합시 그들 후방부의 견고한 접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수단인 것으로, 상호접합된 상기 조립베드(1-1)(1-2)들의 연이음 접합상태 유지에 적합한 "H"형의 I빔(I-beam) 구조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조립베드(1-1)(1-2) 상호접합시 그들 후방단부(10-5)에 형성된 복수 대응삽입홀(11)의 가로공(111) 모두에 대응삽입됨으로써 조립베드(1-1)(1-2)들 간 상하 비틀림을 방지하는 횡대부(21)와, 상기 횡대부(21)의 양측 끝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며 그로써 상기 대응삽입홀(11)의 세로공(112)에 각각 대응삽입됨에 따라 조립베드(1-1)(1-2)들 간 좌우 이격을 방지하는 종대부(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결속코어(2)는, 전술한 기술사상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H빔(H-beam)의 구조 또는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구조의 것이라면 얼마든지 달리 채용할 수 있다.
잠금부재(3)는, 상기 결속코어(2)에 의해 접합상태가 유지되는 한 쌍의 조립베드(1-1)(1-2) 후방단부(10-5)와 반대되는 상기 전방단부(10-2)의 구속을 위한 로킹수단인 것으로, 상기 조립베드(1-1)(1-2)들 중 어느 하나의 전방단부(10-2)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한 잠금조작이 가능한 고리구(31)와, 상기 고리구(31)의 일단을 걸어서 한 쌍의 상기 조립베드(1-1)(1-2)의 전방단부(10-4)들이 서로 구속되도록 하는 걸이구(32)로 조합된다.
선반대(4)는, 시술시 사용하는 수술도구 등의 관련물품을 올려놓기 위한 거치수단인 것으로, 도구를 올려두기 적합한 판체 구조를 이루는 한편, 그 상단에는 거치된 도구의 낙하방지를 고려한 수납공간(41)이 소정깊이 함몰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축이나 야생동물의 현장 즉, 농장 내 우리 또는 동물원 내 개별사육장소 안에서 동물을 치료하고자 본 발명의 간이수술대(A)를 사용하는바, 조립식 구조 달성에 따라 입구가 비좁고 공간이 협소한 장소로의 수술대 운반과 설치가 가능하다.
보다 자세하게는, 한 쌍으로 된 상기 조립베드(1-1)(1-2)의 내측단부(10-1)들을 맞대응 밀착시키고, 그로써 상호밀착(접합)된 상기 조립베드(1-1)(1-2)들 후방단부(10-5)의 대응삽입홀(11) 안으로 상기 결속코어(2)를 끼워 맞춤 삽입시켜 상기 조립베드(1-1)(1-2)들 간 접합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한다(도 3 참조).
더하여, 상기 조립베드(1-1)(1-2)들 전방단부(10-2) 각각에 구비된 상기 잠금부재(3)의 고리구(31)와 걸이구(32)를 이용한 조립베드(1-1)(1-2)들 전방단부(10-2)의 상호구송을 통해 상기한 조립베드(1-1)(1-2)들 간 접합상태가 더욱 견고히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베드 평면적 확장의 조립베드(1-1)(1-2) 조립이 완료된다(도 2 참조).
이후, 단일체로 조립된 한 쌍의 상기 조립베드(1-1)(1-2)들 위에 치료하고자 하는 중대동물을 올려서 눕혀둔 상태로 질병치료를 위한 시술(수술 등)을 실시하는바, 조립베드(1-1)(1-2)들의 상단부(10-4)가 상호 마주하는 내측단부(10-1) 측으로 기울어져 있음에 따라 동물의 중앙 배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단부(10-4)는 후방단부(10-5)에 비해 전방단부(10-2)의 높이가 낮은 기울기를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 치료하고자 하는 동물의 머리가 전방단부(10-2) 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다리가 후방단부(10-5) 측에 위치되도록 함을 통해 개복시 복강내 시야확보가 용이하게 됨은 물론이거니와 시술자 편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조립베드(1-1)(1-2)들 상에 눕혀둔 동물을 치료할 때의 이후 움직임은, 상기 후방단부(10-5) 측 조립베드(1-1)(1-2) 각 상단부(10-4) 모서리부위에 형성된 수직홀(12)를 활용한 고정부재의 사용으로 치료하고자 하는 동물의 신체 일부(뒷다리 등)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수직홀(12)에 수액걸이대 또는/및 조명설치대를 꽂아둘 수 있어 수액제제를 걸어두거나 조명을 설치하는 등의 관련 기기 및 기구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동물 치료(시술)시 필요한 각종 수술도구는, 상기 조립베드(1-1)(1-2) 외측단부(10-3)로부터 선반대(4)를 인출시키고 그 위에 올려놓는 것으로 보다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설명한 바에 의거 동물치료의 과정을 모두 마친 다음에는, 상기 선반대(4)를 조립베드(1-1)(1-2) 내측으로 밀어넣고, 상기 조립베드(1-1)(1-2)들로부터 결속코어(2)를 끄집어 내어 분리시킴과 함께 상기 잠금부재(3)의 걸이루(32)로부터의 고리구(31) 결속해지를 통한 조립베드(1-1)(-2)들의 분해를 통한 본 발명의 간이수술대(A) 부피 축소를 이뤄, 공간이 협소한 장소로부터의 수술대 반출은 물론 가방이나 배낭을 이용한 편리한 운반과 용이한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정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A)에 의하면, 한 쌍의 상기 조립베드(1-1)(1-2) 분해조립에 의거한 수술대 부피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여, 입구가 비좁고 공간이 협소한 장소로의 수술대 운반이 용이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코어(2)와 잠금부재(3)를 이용한 상기 조립베드(1-1)(1-2)들의 상호 접합/분리 구조의 간소화 및 간편화 달성에 따라, 조립베드(1-1)(1-2)들 간 조립작업은 수월하면서도 접합상태는 보다 견고히 유지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조립베드(1-1)(1-2) 상단의 기울기 형성에 따른 베드 중앙으로의 동물배치 유도 및 시술부위의 시야확보와 시술편의 증대의 효과, 상기 조립베드 상단부(10-4) 일측 모서리부위에 세로로 형성된 수직홀(12)을 활용한 동물의 신체고정과 아울러 수액걸이대 또는/및 조명의 구비, 그리고 선반대(4)를 이용한 수술도구 거치 등에 따른 시술편의 추가 증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간이수술대, 1-1, 1-2 : 조립베드
2 : 결속코어, 3 : 잠금부재
4 : 선반대, 11 : 대응삽입홀
12 : 수직홀, 13-1 : 위치결정돌기
13-2 : 위치결정홈, 14 : 출입홀
21 : 횡대부, 22 : 종대부
31 : 고리구, 32 : 걸이구
41 : 수납공간, 111 : 가로공
112 : 세로공

Claims (8)

  1. 전체 평면적의 확장/축소를 위해, 마주하는 내측단부의 맞대응 접합형태를 갖춘 한 쌍의 조립베드;
    상호접합된 상기 조립베드들의 후방부를 서로 연잇는 형태로 상기 조립베드들 내부에 삽입시켜, 상기 조립베드들 간 접합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는 결속코어; 및,
    상호접합된 상기 조립베드들 전방단부의 구속이음을 통해, 상기 조립베드들 간 더 견고한 접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베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외측단부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시켜 다수의 수술도구를 올려둘 수 있도록 한 선반대;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베드는, 치료하고자 하는 동물을 상단부에 올려서 눕힐 때 완충작용을 나타내는 신축성 소재이고,
    상기 상단부는, 상기 내측단부 측으로 기울어짐에 더하여 상기 전방단부에 비해 대응방향의 후방단부가 상대적으로 높은 형태를 이룸으로써 경사각을 갖되,
    상기 경사각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전방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후방단부 측으로 7.58°의 상승각도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코어는, 상호접합된 상기 조립베드들의 접합상태 유지에 적합한 "H"형의 I빔 구조를 이룸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조립베드 상호접합시 각각의 조립베드들 후방단부에 내향형성된 복수의 대응삽입홀 모두에 연이어 끼워 맞춤된 상태로, 상기 조립베드들 간 상하 비틀림 및 좌우 이격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조립베드들 중 어느 하나의 전방단부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한 잠금조작이 가능한 고리구와,
    상기 고리구의 일단을 걸어서 한 쌍의 상기 조립베드의 전방단부들이 서로 구속되도록 하는 걸이구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대는, 수술도구를 올려두기에 적합한 판체로써,
    거치된 도구의 낙하방지를 위한 수납공간이 상단에 소정깊이 함몰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베드의 상단 일측 모서리부위에는, 동물 신체 포박의 고정부재걸이대, 수액제제를 걸어두는 수액걸이대, 조명을 설치하는 조명설치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꽂아둘 수 있는 수직홀이 세로로 길게 내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베드들의 각 내측단부에는, 상기 조립베드들의 상호접합시 정교한 맞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결정돌기와 상기 위치결정돌기가 삽입되는 위치결정홈이 상호 대응부위로부터 각각 돌출 및 내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KR1020170181202A 2017-12-27 2017-12-27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KR102024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02A KR102024440B1 (ko) 2017-12-27 2017-12-27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02A KR102024440B1 (ko) 2017-12-27 2017-12-27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180A true KR20190079180A (ko) 2019-07-05
KR102024440B1 KR102024440B1 (ko) 2019-09-23

Family

ID=6722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202A KR102024440B1 (ko) 2017-12-27 2017-12-27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44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930Y1 (ko) * 1991-08-21 1993-10-09 황인혜 조립식 침상
JP2789311B2 (ja) * 1995-04-05 1998-08-20 株式会社十勝重機工作所 大動物移動式診療台
KR200268228Y1 (ko) * 2001-12-27 2002-03-15 손상호 조립식 온열매트
KR200303189Y1 (ko) * 2002-10-30 2003-02-06 주식회사 에스더블유 조립식 매트
KR200405659Y1 (ko) * 2005-10-12 2006-01-11 조무현 침대헤드의 조립구조
KR20130004209U (ko) 2011-12-29 2013-07-09 한상화 동물치료용 다용도 수술대
KR20130088202A (ko) * 2012-01-31 2013-08-08 김보경 교육용 해부대
KR200470056Y1 (ko) * 2012-02-15 2013-11-26 성심의료산업 주식회사 의료용 침대의 수액걸이 폴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930Y1 (ko) * 1991-08-21 1993-10-09 황인혜 조립식 침상
JP2789311B2 (ja) * 1995-04-05 1998-08-20 株式会社十勝重機工作所 大動物移動式診療台
KR200268228Y1 (ko) * 2001-12-27 2002-03-15 손상호 조립식 온열매트
KR200303189Y1 (ko) * 2002-10-30 2003-02-06 주식회사 에스더블유 조립식 매트
KR200405659Y1 (ko) * 2005-10-12 2006-01-11 조무현 침대헤드의 조립구조
KR20130004209U (ko) 2011-12-29 2013-07-09 한상화 동물치료용 다용도 수술대
KR20130088202A (ko) * 2012-01-31 2013-08-08 김보경 교육용 해부대
KR200470056Y1 (ko) * 2012-02-15 2013-11-26 성심의료산업 주식회사 의료용 침대의 수액걸이 폴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440B1 (ko)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5276A (en) Portable surgical table
BR112019017055B1 (pt) Suporte para interconectar uma pluralidade de membros estruturais e armação modular
KR20140020860A (ko) 분리될 수 있는 병과 클램프를 포함한 병 장착 시스템
US10736722B2 (en) Apparatus for lifting and positioning four-legged animals
US20170290633A1 (en) Portable cardiopulmonary support cart systems
US9750657B2 (en) Accessory flat-top panel for use with surgical tables
US20220240484A1 (en) Adjustable Animal Bowl Stand
KR101491344B1 (ko) 소동물용 수술대
KR20190079180A (ko)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KR20120032297A (ko)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US11565013B2 (en)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ultraviolet sanitization
KR101843349B1 (ko) 애완동물용 집
US10959400B2 (en) Temporary pet kennel
US11103080B2 (en) Blanket elevating device
CN205198316U (zh) 一种便于护理的病床
CN219940868U (zh) 一种猪用多功能手术保定台
CN212369316U (zh) 固定牢靠的紫外线消毒车
KR20130004209U (ko) 동물치료용 다용도 수술대
LU503422B1 (en) Hospital bed and accompany bed for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CN214128897U (zh) 一种兽医注射固定装置
CN213642860U (zh) 一种新型胸外科用多功能护理板
CN207370796U (zh) 一种精神科病人肢体固定装置
KR0134589Y1 (ko) 조립식 리일 낚시대용 받침대
JPS5912885Y2 (ja) 簡易診療台
US10005313B2 (en) Decorative surr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