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297A -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 Google Patents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297A
KR20120032297A KR1020100093878A KR20100093878A KR20120032297A KR 20120032297 A KR20120032297 A KR 20120032297A KR 1020100093878 A KR1020100093878 A KR 1020100093878A KR 20100093878 A KR20100093878 A KR 20100093878A KR 20120032297 A KR20120032297 A KR 20120032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s
extending
spaced apart
protrud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기형
임종흥
Original Assignee
(주)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원 filed Critical (주)해원
Priority to KR102010009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2297A/ko
Publication of KR20120032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에 관한 것으로서,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망의 하부부분과 결합되어 바닥 테투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직각 방향으로 제1 및 제2 결합공이 형성된 엘보관과, 중앙부분에 제3결합공이 형성되고 제3결합공과 직각 방향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열리게 제4 및 제5결합공이 형성된 티형 이음관 및 엘보관 및 티형 이음관들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 파이프들에 의해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된 수중 생물 양식용 하부틀에 있어서, 엘보관은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며, 외측 표면에는 그물망의 결속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어 연결파이프의 접속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돌출되어 그 사이에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연장된 제1 메인 결속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에 의하면, 하부틀의 윤곽선과 그물망의 로프궤도를 상호 대응되게 매칭시켜 결속시킬 있어 그물망에 대응한 조립성 및 제작성이 좋은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bottom frame of net fixation for cultivation of underwater organism}
본 발명은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중 생물을 가두기 위한 그물망과의 결합이 용이한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다에 그물망을 쳐서 수중 생물인 어류 또는 전복 등을 기르는 가두리 양식 설비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전복 가두리 양식의 경우 상부가 열린 내부 공간을 갖는 그물망의 상단 가장자리는 수상에 부유될 수 있게 형성된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고 그물망의 하부는 바닥영역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전복 양식용 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하부틀에 결합된다.
하부틀에 결합되는 전복 양식용 부재는 하부틀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안착틀에 통상 셀터(shelter)라고 하는 전복부착판을 결합한 구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양식용으로 사용되는 그물망은 하부틀과의 결속을 용이하게 하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부틀의 윤곽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로프가 폐궤도로 결일체로 결합된 것을 이용한다.
한편, 종래의 하부틀은 통상의 엘보관과, 티(T)형 이음관 및 엘보관과 티형 이음관 사이에 접속되는 직선형의 연결 파이프에 의해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된 것을 적용하나 이 경우 그물 망의 로프부분을 하부틀에 밀착되게 끈으로 고정하여도 표면이 원형으로 매끄럽게 되어 있어 하부틀내에서 유동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0944450호에는 그물망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결 파이프의 표면상에 내측으로 인입된 장홈을 갖는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 그물망의 망사부분은 보조 파이프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결착시킬 수 있으나, 망사부분은 그물망의 로프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결합지지력이 약한 단점이 있고, 장홈을 통해 그물망에 결합된 로프를 삽입시 티형 이음관과 엘보우 관 상에서는 내측으로 삽입되지 못하고 볼록 튀어나오게 됨으로써 로프의 구속 결합을 원할하게 할 수 없고, 볼록 튀어나오는 부분에 의해 하부틀의 윤곽선에 대응되는 길이보다 충분히 로프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물망의 낭비 요인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연결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엘보관이나 티형 이음관의 외측면에서 그물망의 로프를 구속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로프 테투리와 하부틀의 윤곽선을 대응되게 매칭시킬 수 있는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은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망의 하부부분과 결합되어 바닥 테투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직각 방향으로 제1 및 제2 결합공이 형성된 엘보관과, 중앙부분에 제3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결합공과 직각 방향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열리게 제4 및 제5결합공이 형성된 티형 이음관 및 상기 엘보관 및 티형 이음관들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 파이프들에 의해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된 수중 생물 양식용 하부틀에 있어서, 상기 엘보관은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며, 외측 표면에는 상기 그물망의 결속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연결파이프의 접속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돌출되어 그 사이에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연장된 제1 메인 결속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메인 결속가이드부는 상기 엘보관의 외측 표면에 상호 이격되게 돌출되어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돌출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돌출바와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돌출바와 나란하게 연장된 제3 및 제4돌출바로 된 제1 보조 결속가이드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티형 이음관은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4 및 제5결합공을 형성하는 수평관부분의 외측 표면 중앙에 상기 그물망의 결속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4 및 제5결합공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돌출되어 그 사이에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연장된 제2 메인 결속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메인 결속가이드부는 상기 수평관부분의 표면 중앙에 상기 제4 및 제5결합공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돌출되어 나란하게 연장된 제5 및 제6돌출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5 및 제6돌출바의 적어도 일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5 및 제6돌출바와 나란하게 연장된 제7 및 제8돌출바로 된 제2 보조 결속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에 의하면, 하부틀의 윤곽선과 그물망의 로프궤도를 상호 대응되게 매칭시켜 결속시킬 있어 그물망에 대응한 조립성 및 제작성이 좋은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엘보관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티형 이음관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에 적용할 그물망을 함께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그물망과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을 상호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엘보관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티형 이음관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100)은 엘보관(110)과, 티형 이음관(130) 및 연결파이프(150)가 상호 결합되어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엘보관(110)은 형성하고자 하는 하부틀(100)의 크기에 사각 영역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4개가 어레이 되고, 티형 이음관(130)은 4개의 엘보관(11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선 중 상호 대향되는 두개의 연결선 상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연결 파이프(150)는 배열된 엘보관(110)과 티형 이음관(130) 들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틀(110)의 골격구조는 적용하고자 크기 및 내부 시설물에 대한 부담 하중을 고려하여 적용하는 티형 이음관(130)의 개수 및 간격을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엘보관(110)은 제1결합공(112)이 형성된 제1원형관부분(113)과 제1원형관 부분(113)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결합공(114)이 형성된 제2원형관 부분(115) 및 상호 직교되는 제1원형관 부분(113)과 제2원형관부분(115)을 상호 연결하도록 굴곡진 굴곡 연결부분(117)을 갖는 구부려진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결합공(112)과 제2결합공(114)은 후술되는 연결파이프(150)가 삽입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엘보관(110)의 외측 표면에는 그물망의 로프(도 3참조, 220) 와의 결속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어 연결파이프(150)의 접속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돌출되어 그 사이에 로프가 인입될 수 있는 수용홈(123)을 형성하도록 연장된 제1 메인 결속 가이드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메인 결속가이드부(120)는 제1원형관 부분(113)과 제2원형관 부분(115)에 각각 제1원형관 부분(113)과 제2원형관 부분(115)의 연장방향을 따라 엘보관(110)의 외측 표면에 상호 이격되게 돌출되어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돌출바(121)(122)로 형성 되어 있다.
이러한 엘보관(110)은 합성수지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118은 굴곡 연결부분에 맞은편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홀이며 타 부재와의 결속시 보조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옐보관(110)의 표면에는 제1 및 제2돌출바(121)(122)와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1 및 제2돌출바(121)(122)와 나란하게 연장된 제3 및 제4돌출바(125)(126)로 된 제1 보조 결속가이드부(127)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보조 결속가이드부(127)는 제1메인 결속가이드부(120)를 이루는 제1 및 제2 돌출바(121)에 삽입된 로프를 엘보관(110)에 고정되게 밴딩시 밴딩용 타이 밴드가 제1 및 제2 돌출바(121)(122)와 제3 및 제4돌출바(125)(126) 사이에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한편, 티형 이음관(130)은 중앙부분에 제3결합공(132)이 형성된 수직관부분(133)과, 수직관부분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직교되게 연장되어 제3결합공(132)과 직각 방향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열리게 제4 및 제5결합공(134)(136)이 형성된 수평관 부분(137)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티형 이음관(130)의 제4 및 제5결합공(134)(136)을 형성하는 수평관부분(137)의 외측 표면 중앙에는 그물망의 결속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어 제4 및 제5결합공(134)(136)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돌출되어 그 사이에 수용홈(143)을 형성하도록 연장된 제2 메인 결속 가이드부(140)가 형성되어 있고, 제2메인 결속 가이드부(140)의 양단에 각각 이격되어 제2보조 결속가이드부(14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메인 결속가이드부(140)는 수평관부분(137)의 표면 중앙에 제4 및 제5결합공(134)(136)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돌출되어 나란하게 연장된 제5 및 제6돌출바(141)(142)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보조 결속가이드부(147)는 제5 및 제6돌출바(141)(142)의 양측에서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5 및 제6돌출바(141)(142)와 나란하게 연장된 제7 및 제8돌출바(145)(146)로 되어 있다.
티형 이음관(130)도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참조부호 138은 수직관부분(133)에 맞은편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홀이며 타 부재와의 결속시 보조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연결 파이프(150)도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며 엘보관(110)과 티형 이음관(130)의 제1 내지 제5결합공(112)(114)(132)(134)(136)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적용하고자 하는 하부틀(100)의 크기 및 배치된 엘보관(110)과 티형 이음관(13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길이만큼 절단한 것을 적용하면 된다.
이러한 하부틀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복과 같은 수중 생물을 양식할 수 있도록 상부가 열린 포획공간을 갖게 형성된 그물망(200)의 하부부분에 하부틀(100)의 윤곽에 대응되게 망사부분(210)에 사각 테두리 형태로 결합된 로프(220)를 제1 내지 제8돌출바(121)(122)(125)(126)(141)(142)(145)(146) 사이의 수용홈(123)(133)에 인입되게 한 상태에서 타이 밴드(24)를 수용홈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밴딩하면 된다.
여기서 하부틀(100)은 그물망(200)의 바닥 테투리 영역을 형성하며 앞서 설명된 전복 양식용 부재가 결합되어 사용된다.
110: 엘보관 130: 티형 이음관
200: 그물망 220: 로프
240: 타이밴드

Claims (4)

  1.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망의 하부부분과 결합되어 바닥 테투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직각 방향으로 제1 및 제2 결합공이 형성된 엘보관과, 중앙부분에 제3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결합공과 직각 방향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열리게 제4 및 제5결합공이 형성된 티형 이음관 및 상기 엘보관 및 티형 이음관들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 파이프들에 의해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된 수중 생물 양식용 하부틀에 있어서,
    상기 엘보관은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며, 외측 표면에는 상기 그물망의 결속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연결파이프의 접속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돌출되어 그 사이에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연장된 제1 메인 결속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결속가이드부는
    상기 엘보관의 외측 표면에 상호 이격되게 돌출되어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돌출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돌출바와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돌출바와 나란하게 연장된 제3 및 제4돌출바로 된 제1 보조 결속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티형 이음관은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4 및 제5결합공을 형성하는 수평관부분의 외측 표면 중앙에 상기 그물망의 결속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4 및 제5결합공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돌출되어 그 사이에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연장된 제2 메인 결속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인 결속가이드부는
    상기 수평관부분의 표면 중앙에 상기 제4 및 제5결합공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돌출되어 나란하게 연장된 제5 및 제6돌출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5 및 제6돌출바의 적어도 일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5 및 제6돌출바와 나란하게 연장된 제7 및 제8돌출바로 된 제2 보조 결속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KR1020100093878A 2010-09-28 2010-09-28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KR20120032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878A KR20120032297A (ko) 2010-09-28 2010-09-28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878A KR20120032297A (ko) 2010-09-28 2010-09-28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297A true KR20120032297A (ko) 2012-04-05

Family

ID=4613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878A KR20120032297A (ko) 2010-09-28 2010-09-28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229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42Y1 (ko) * 2013-07-10 2014-03-12 (주)해원 전복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KR20160000294U (ko) * 2014-07-16 2016-01-26 오영탁 전복 가두리양식장 그물고정용 하부 프레임
KR20160056603A (ko) 2014-11-12 2016-05-20 최성오 전복 양식용 해상가두리 장치
KR200481959Y1 (ko) * 2016-04-12 2016-12-12 주식회사 영신테크 인발성형에 의해 제조된 전복 가두리망 고정용 하부 프레임
KR20240034180A (ko) 2022-03-04 2024-03-13 박옥희 양식용 그물망 고정상태 유지형 고정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42Y1 (ko) * 2013-07-10 2014-03-12 (주)해원 전복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KR20160000294U (ko) * 2014-07-16 2016-01-26 오영탁 전복 가두리양식장 그물고정용 하부 프레임
KR20160056603A (ko) 2014-11-12 2016-05-20 최성오 전복 양식용 해상가두리 장치
KR200481959Y1 (ko) * 2016-04-12 2016-12-12 주식회사 영신테크 인발성형에 의해 제조된 전복 가두리망 고정용 하부 프레임
KR20240034180A (ko) 2022-03-04 2024-03-13 박옥희 양식용 그물망 고정상태 유지형 고정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2297A (ko) 수중 생물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US8783329B2 (en) Sun shader apparatus
US7401576B2 (en) Corral panel
KR101836995B1 (ko) 서식공간이 구비된 어초블록
KR200471742Y1 (ko) 전복 양식용 그물 고정용 하부틀
KR20130118440A (ko) 조립식 친환경 인공 어초 구조물
WO2009064085A1 (en) The artificial fish reef
KR20190023601A (ko) 전복 양식용 하부틀
CN202211054U (zh) 组合式宠物屋
KR20190051659A (ko) 가두리 양식장용 하부틀
KR101492239B1 (ko) 전복 양식 그물 고정용 하부틀
KR200468925Y1 (ko) 전복양식집 구조
JP2006345721A (ja) 餌料生物増殖構成体、餌料生物増殖装置及び集魚装置
KR200480847Y1 (ko) 전복 가두리양식장 그물고정용 하부 프레임
KR101825084B1 (ko) 서식공간을 갖는 어초블록의 적층방법
KR200443092Y1 (ko) 부력파이프를 이용한 침하식 가두리 양식장
JP4189341B2 (ja) 貝殻入り通水性ケース
KR102570231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KR20150019733A (ko) 가두리 양식장 하부틀
KR102024440B1 (ko) 중대동물 치료용 조립식 간이수술대
JP2013017477A (ja) 組み立て式容器の組立てセットおよび組み立て式容器
KR101402685B1 (ko) 갯벌참굴 양성망
KR100821130B1 (ko) 쉘터용 전복양식구
KR102534234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JP4386547B2 (ja) 貝殻充填人工魚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