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060A -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060A
KR20190079060A KR1020170180983A KR20170180983A KR20190079060A KR 20190079060 A KR20190079060 A KR 20190079060A KR 1020170180983 A KR1020170180983 A KR 1020170180983A KR 20170180983 A KR20170180983 A KR 20170180983A KR 20190079060 A KR20190079060 A KR 20190079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cb
radar
receiving antenna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909B1 (ko
Inventor
전슬기
김응환
허남웅
김균하
송봉기
임태곤
오범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9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60W2420/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PCB(Printed Circuit Board) 상에서 단일 송신안테나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복수의 수신안테나를 실장(mounting) 하되, 복수의 수신안테나는 송신안테나와 서로 다른 지향각을 갖도록 PCB의 양측이 꺾이도록 구현함으로써, 수신안테나 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한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에 있어서, 단일 레이더 송신안테나; 차량 내 제1 탐지영역을 가지는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 차량 내 제2 탐지영역을 가지는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 및 상기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반사파와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반사파를 각각 분석하여 승객을 탐지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PASSENGER IN A VEHICLE, ALARM SYSTEM AND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 검출 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UWB(Ultra Wide Band) 레이더를 이용하여 차량 내 승객을 탐지 및 경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도로변에 잠시 정차시킨 후 병원이나 약국에 들어 볼일을 보는 경우, 불가피하게 어린아이(이하, "유아"라 한다)를 차량에 혼자 남겨두는 일일 종종 발생한다.
특히, 유아가 차량 내에서 자고 있는 경우에는 더욱더 아이를 동반하여 볼일을 보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보통 자는 아이를 차량에 홀로 남겨둔 채, 차량의 윈도우를 모두 올려 외부의 먼지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조치를 취한 후, 혹시라도 있을지 모르는 만일의 사태(아이가 깨어 도어를 열고 나오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에 대비하여 차량 내부에서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차일드 락 시스템(child lock system)을 작동시킨 후 차량을 떠나게 된다.
이때, 외부인이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도어까지 록킹시켜 놓고 차량을 떠나게 되는데, 흔히 유아가 차량에 혼자 있는 것이 얼마만큼 위험한 것인지를 잘 인식하지 못한 채, 유아만을 남겨두게 되고, 볼일을 보다 보면 유아를 혼자 차량에 남겨두고 왔다는 사실을 망각하여 오랜 시간이 흐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경우에 태양열에 의하여 차량의 실내 온도가 증가하게 되며, 특히 여름철에는 그 온도가 급속도로 상승하여 호흡이 곤란해지지만, 닫힌 윈도우로 인하여 외부공기가 통하지 못하고 유아는 차량 실내에서 질식하는 사고에까지 이르게 된다.
연구 발표에 따르면, 차내에 혼자 남겨 진 유아는 이러한 질식사고에 당면하였을 때, 울음을 터트리며 차량을 탈출하기 위해 도어 레버를 잡아당긴다고 한다. 또한, 오랫동안 밀폐된 공간에서 호흡한 관계로 차내의 산소는 점차 감소하는 반면, 호흡시 유아에게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점차 증가하여 결국 호흡이 불가능해진다고 한다.
더욱이, 어른이 차량을 떠날 때 시동을 켜두고, 에어컨이나 히터를 켜둔 상태라면, 차량의 실내는 유아에게 치명적인 유독가스가 채워져 유아가 사망에 이르는 시간이 훨씬 앞당겨진다고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차량의 시트마다 압력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차량 내 승객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복수의 압력감지센서가 필요하고 각 압력감지센서를 시트마다 장착해야 하므로 구현 복잡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7-0053588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PCB(Printed Circuit Board) 상에서 단일 송신안테나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복수의 수신안테나를 실장(mounting) 하되, 복수의 수신안테나는 송신안테나와 서로 다른 지향각을 갖도록 PCB의 양측이 꺾이도록 구현함으로써, 수신안테나 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한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를 차량의 실내에 장착하고, 상기 차량 내에서 승객이 감지된 경우에 운전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운전자가 승객을 방치한 채 차량에서 이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에 있어서, 단일 레이더 송신안테나; 차량 내 제1 탐지영역을 가지는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 차량 내 제2 탐지영역을 가지는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 및 상기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반사파와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반사파를 각각 분석하여 승객을 탐지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일 레이더 송신안테나와 상기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와 상기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 및 상기 제어기는 하나의 PCB(Printed Circuit Board)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일 레이더 송신안테나와 상기 제어기는 PCB의 본체에 실장되고, 상기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는 PCB의 일측 단부에 실장되며, 상기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는 PCB의 타측 단부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CB의 일측 단부와 PCB의 본체 사이는 꺾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PCB의 타측 단부와 PCB의 본체 사이는 꺾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는 차량의 우측 2열 및 3열에 위치한 승객을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는 차량의 좌측 2열 및 3열에 위치한 승객을 탐지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의 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부; 단일 레이더 송신안테나가 실장된 PCB(Printed Circuit Board)의 본체와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가 실장된 상기 PCB의 일측 단부 사이의 꺾임각, 상기 PCB의 본체와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가 실장된 상기 PCB의 타측 단부 사이의 꺾임각을 각각 조절하는 구동부; 및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상응하는 꺾임각이 설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승객이 탐지된 경우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상기 경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는 차량의 우측 2열 및 3열에 위치한 승객을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는 차량의 좌측 2열 및 3열에 위치한 승객을 탐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차량의 경보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상응하는 꺾임각이 설정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구동부가 단일 레이더 송신안테나가 실장된 PCB(Printed Circuit Board)의 본체와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가 실장된 상기 PCB의 일측 단부 사이의 꺾임각, 상기 PCB의 본체와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가 실장된 상기 PCB의 타측 단부 사이의 꺾임각을 각각 조절하는 단계; 및 경보부가 차량 내에서 승객이 탐지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PCB(Printed Circuit Board) 상에서 단일 송신안테나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복수의 수신안테나를 실장(mounting) 하되, 복수의 수신안테나는 송신안테나와 서로 다른 지향각을 갖도록 PCB의 양측이 꺾이도록 구현함으로써, 수신안테나 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소형화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를 차량의 실내에 장착하고, 상기 차량 내에서 승객이 감지된 경우에 운전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운전자가 승객을 방치한 채 차량에서 이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를 이용하여 승객의 인원 및 위치를 파악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승객 탐지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전 영역을 탐지함으로써, 좌석마다 초음파 센서나 무게 센서 등을 장착하여 승객을 감지하는 방식에 비해 구현 복잡도가 낮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승객 탐지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전 영역에서 승객을 탐지함으로써, 승객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 개수를 감소시켜 시스템의 경량화, 공정 단순화 및 원가 절감의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의 탐지영역에 대한 일예시도,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를 차량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의 차량 내 설치 위치에 대한 일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 탐지 장치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 탐지 경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 탐지 경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12, 13)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10)는 엔진, 모터, 배터리, 변속기 등과 같이 차량(1)에 구동에 필요한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후드(11a),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11b), 수납공간이 마련된 트렁크 리드(11c), 차량(1)의 측면에 마련된 프런트 휀더(11d)와 쿼터 패널(11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체(11)의 측면에는 차체와 흰지 결합된 복수 개의 도어(15)가 마련될 수 있다.
후드(11a)와 루프 패널(11b) 사이에는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우(19a)가 마련되고, 루프 패널(11b)과 트렁크 리드(11c) 사이에는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우(19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15)의 상측에는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측면 윈도우(19c)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헤드램프(15, Headlamp)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 및 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방향지시램프(16, Turn Signal Lamp)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은 방향지시램프(16)의 점멸하여 그 진행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후방에는 테일 램프(17)가 마련될 수 있다. 테일 램프(17)는 차량(1)의 후방에 마련되어 차량(1)의 기어 변속 상태, 브레이크 동작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차체의 외장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a, 1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 차량(1)은 엔진, 모터, 배터리 및 변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제어부(160)는 배터리 제어부(미도시)와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수행하여 엔진, 모터, 배터리 및 변속기의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 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배터리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차량(1)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124)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되고 오디오 장치가 배치된 센터페시아(125)를 포함한다.
시트(121)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21a),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121b), 차량(1)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한다.
클러스터(123)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식의 클러스터(123)는 차량(1)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배터리 충전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차량(1)의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25)는 대시 보드(122) 중에서 운전석(121a)과 조수석(121b)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센터페시아(125)에는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 유닛(126)이 마련될 수 있다.
헤드 유닛(126)에는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버튼들이 배치될 수 있다.
헤드 유닛(126)의 내부에는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헤드 유닛(126)은 라디오 기능을 수행하는 오디오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오디오 장치(130)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30a)와,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량(1)에 마련된 오디오 장치(130)는, 라디오 기능을 갖는 헤드 유닛일 수도 있고, 라디오 기능을 갖는 차량용 단말기인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일 수도 있다.
오디오 장치(130)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오디오 장치(130)가 센터페시아(125)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오디오 장치(130)로부터 방송신호를 전달받아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134)는 차량의 전방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도 2는 스피커(134)가 설치되는 위치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스피커는 차량 내부이면 어느 곳에든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0b)는 공기 조화기 및 히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표시부(130b)에는 차량의 동작과 관련하여 생성된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고, 차량(1)의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도 있다.
센터페시아(125)에는 송풍구, 시거잭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125)에는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가 유선 연결되는 멀티단자(127)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멀티단자(127)는 헤드유닛(126) 또는 차량용 단말기(140)와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 간의 유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멀티단자(127)는 USB 포트, AUX 단자를 포함하고, SD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 유닛(126)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차량용 단말기(14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 또는 케이블을 통해 차량용 단말기(140) 및 외부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저장 장치, 사용자용 단말기,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고, 저장 장치는 카드형 메모리 및 외장형 하드 디스크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사용자용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을 포함한다. 차량(1)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28)는 헤드 유닛(126) 및 센터페시아(125)에 마련될 수 있고,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작부(128)는 버튼의 조작 신호를 헤드 유닛(126) 내의 컨트롤러 또는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조작부(128)는 차량용 단말기(140)의 동작 온/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으며, 선택된 기능을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작부(128)는 내비게이션 기능 선택 시 목적지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목적지의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하며, 디엠비 기능 선택 시 방송 채널 및 볼륨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방송 채널 및 볼륨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하며, 라디오 기능 선택 시 라디오 채널 및 라디오 볼륨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라디오 채널 및 볼륨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140) 또는 표시부(130b)에 전송한다.
조작부(128)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일체로 마련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128)는 차량용 단말기(140)의 표시부에 버튼 형상으로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고 이때 표시된 버튼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조작부(128)는 차량용 단말기(140)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조작부(128)는 조그 다이얼의 조작 신호 또는 터치 패드에 터치된 터치 신호를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조그 다이얼 또는 터치 패드는 센터페시아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28)는 라디오 기능 수행 시 자동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128)를 통해 차량(1)의 운전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차량(1)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표시부(130b)는 헤드 유닛(126)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조작부(128)에 입력된 입력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30b)는 라디오 기능 선택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라디오 채널 및 라디오 볼륨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30b)는 라디오 기능 수행 시 자동 채널 변경 명령의 입력 정보 및 자동 채널 변경 수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기(140)는 대시 보드 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차량용 단말기(14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 라디오 기능, GPS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1)의 차대는 동력발생장치, 동력전달장치, 주행장치, 조향장치, 제동장치, 현가장치, 변속장치, 연료장치, 전후좌우 차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1)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의 안전장치로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는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이 있다.
이외에도 차량(1)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과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전후좌우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속도 센서,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차량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1)은 동력발생장치, 동력전달장치, 주행장치, 조향장치, 제동장치, 현가장치, 변속장치, 연료장치, 배터리제어장치, 여러 가지 안전장치 및 각종 감지 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핸즈프리 장치, 블루투스 장치, 후방 카메라, 사용자용 단말기의 충전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1)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1)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시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키고 시동 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킨다.
차량(1)은 단말기, 오디오 장치, 실내 등, 시동 모터, 그 외 전자 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에는 차량(1)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가 사용되며,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주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고, 주행에 앞서 전기충전소에서 충전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1)은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 및 외부 단말기인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장치는 캔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USB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는 DMB 등의 TPEG, SXM, RDS와 같은 브로드캐스팅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는, 레이더 송신안테나(32),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33),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34), 및 제어기(35)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레이더 송신안테나(32)는 일례로 직사각 형태의 PCB(Printed Circuit Board, 31) 상의 중앙부근에 위치하며, 제어기(35)의 제어하에 차량 내에 위치한 승객을 탐지하기 위한 송신파(321)를 발사한다.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33)는 일례로 PCB(31) 상에서 레이더 송신안테나(32)의 일측에 위치하며, 레이더 송신안테나(32)로부터 발사된 송신파가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33)는 차량의 우측 2열 및 3열에 위치한 승객(사람, 동물)을 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2열의 좌측 시트 및 우측 시트에 위치한 승객을 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33)의 탐지영역(331)은 차량의 우측 2열 및 3열일 수도 있고, 차량의 2열 좌측 및 우측 시트일 수도 있다. 이때, 탐지영역(331)의 면적(S)은 수식(S=πab)을 통해 산출할 수 있고, 최대 8π㎡의 영역 내에서 차량의 크기에 맞게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33)의 탐지영역(3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34)는 일례로 PCB(31) 상에서 레이더 송신안테나(32)의 타측에 위치하며, 레이더 송신안테나(32)로부터 발사된 송신파가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34)는 차량의 좌측 2열 및 3열에 위치한 승객(사람, 동물)을 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3열의 좌측 시트 및 우측 시트에 위치한 승객을 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34)의 탐지영역(341)은 차량의 좌측 2열 및 3열일 수도 있고, 차량의 3열 좌측 및 우측 시트일 수도 있다. 이때, 탐지영역(341)의 면적(S)은 수식(S=πab)을 통해 산출할 수 있고, 최대 8π㎡의 영역 내에서 차량의 크기에 맞게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34)의 탐지영역(3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어기(35)는 일례로 PCB(31) 상에서 레이더 송신안테나(32)의 하단에 위치하며, 승객을 탐지하는데 이용되는 각종 알고리즘(로직,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35)는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33)에 의해 수신된 반사파를 분석하여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33)의 탐지영역 내 승객의 존재 유무, 승객까지의 거리, 승객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때, 제어기(35)는 반사파를 분석하여 승객의 생체정보(심박, 호흡)를 검출해 낼 수도 있다.
또한, 제어기(35)는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34)에 의해 수신된 반사파를 분석하여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34)의 탐지영역 내 승객의 존재 유무, 승객까지의 거리, 승객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때, 제어기(35)는 반사파를 분석하여 승객의 생체정보(심박, 호흡)를 검출해 낼 수도 있다.
또한, 제어기(35)는 승객이 감지되면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클러스터로 승객의 위치를 알릴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기(35)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기(35)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는 PCB(31) 상에 구현되며,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33)와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34)는 레이더 송신안테나(32)와 서로 다른 지향각을 갖도록 구현된다.
일례로,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33)가 실장된 PCB(31)의 일측 단부가 PCB(31)의 본체를 기준으로 θ1의 각도를 갖도록 본체와 단부 사이를 V컷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이 부분을 플렉서블 PCB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34)가 실장된 PCB(31)의 타측 단부가 PCB(31)의 본체를 기준으로 θ2의 각도를 갖도록 본체와 단부 사이를 V컷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이 부분을 플렉서블 PCB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θ1과 θ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렇게 PCB(31) 본체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꺾임을 줌으로써,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33)와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34) 간의 지향각이 서로 달라져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33)와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34) 간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꺾임각(θ12)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의 (a)는 차량의 정면에서 바라본 실내를 나타내며, (b)는 차량의 측면에서 바라본 실내를 나타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은 일례로 3열 차량이며,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51)가 차량의 천정에서 2열 시트 시작 지점의 중앙에 위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 2열 차량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H'는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51)의 레이더 송신안테나(32)로부터 3열 시트 헤드레스트(headrest)까지의 최단 직선거리를 나타내고, 'L1'은 'H'와 3열 시트 헤드레스트 전면부 간의 수선의 발에서 3열 좌측 시트의 헤드레스트 중심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며, 'L2'은 'H'와 3열 시트 헤드레스트 전면부 간의 수선의 발에서 3열 우측 시트의 헤드레스트 중심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를 도식화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의 (a)는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33)의 탐지영역(331) 내에서 꺾임각(θ1)을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b)는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34)의 탐지영역(341) 내에서 꺾임각(θ2)을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실질적으로 각각의 산출 방식은 하기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이 동일한 형태를 나타낸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이때, 차종에 따라 'H'와 'L1' 및 'L2'가 정해지므로, 꺾임각(θ12)을 산출해 낼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천정 일측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꺾임각(θ12)을 조절함으로써, 승객을 정상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 탐지 장치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객 탐지 장치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은, 입력부(81), 구동부(82), 경보부(83), 및 제어부(8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서 각 구성요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서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먼저, 입력부(81)는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 즉, 사용자는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시트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승객의 탐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꺾임각(θ12)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구동부(82)는 모터를 구비하여 모터의 회전을 통해 PCB(31)의 본체로부터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꺾이도록 모터를 구동한다. 이러한 구동방식은 사이드미러의 회전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경보부(83)는 운전자에게 차량 내 승객이 있음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84)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84)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84)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84)는 입력부(81)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부(8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4)는 탐지 장치(51)로부터 탐지신호가 전달되면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도록 경보부(83)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84)는 탐지 장치(51)로부터 탐지신호가 전달되고,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의 시동이 꺼지고 도어가 잠긴 것을 확인하면, 운전자에게 차량 내에 승객이 있음을 알리도록 경보부(83)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 탐지 경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입력부(81)가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901).
이후, 제어부(84)가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상응하는 꺾임각이 설정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902).
이후, 구동부(82)가 단일 레이더 송신안테나가 실장된 PCB(Printed Circuit Board)의 본체와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가 실장된 상기 PCB의 일측 단부 사이의 꺾임각, 상기 PCB의 본체와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가 실장된 상기 PCB의 타측 단부 사이의 꺾임각을 각각 조절한다(903).
이후, 경보부(83)가 차량 내에서 승객이 탐지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알린다(904).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 탐지 경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 탐지 경고 방법은 컴퓨팅 시스템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0)은 시스템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1 : PCB
32 : 레이더 송신안테나
33 :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
34 :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
35 : 제어기

Claims (13)

  1. 단일 레이더 송신안테나;
    차량 내 제1 탐지영역을 가지는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
    차량 내 제2 탐지영역을 가지는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 및
    상기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반사파와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반사파를 각각 분석하여 승객을 탐지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레이더 송신안테나와 상기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와 상기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 및 상기 제어기는 하나의 PCB(Printed Circuit Board) 상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레이더 송신안테나와 상기 제어기는 PCB의 본체에 실장되고, 상기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는 PCB의 일측 단부에 실장되며, 상기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는 PCB의 타측 단부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CB의 일측 단부와 PCB의 본체 사이는 꺾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CB의 타측 단부와 PCB의 본체 사이는 꺾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는,
    차량의 우측 2열 및 3열에 위치한 승객을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는,
    차량의 좌측 2열 및 3열에 위치한 승객을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
  8.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부;
    단일 레이더 송신안테나가 실장된 PCB(Printed Circuit Board)의 본체와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가 실장된 상기 PCB의 일측 단부 사이의 꺾임각, 상기 PCB의 본체와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가 실장된 상기 PCB의 타측 단부 사이의 꺾임각을 각각 조절하는 구동부; 및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상응하는 꺾임각이 설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승객이 탐지된 경우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상기 경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경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는,
    차량의 우측 2열 및 3열에 위치한 승객을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보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는,
    차량의 좌측 2열 및 3열에 위치한 승객을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보 시스템.
  11.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상응하는 꺾임각이 설정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구동부가 단일 레이더 송신안테나가 실장된 PCB(Printed Circuit Board)의 본체와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가 실장된 상기 PCB의 일측 단부 사이의 꺾임각, 상기 PCB의 본체와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가 실장된 상기 PCB의 타측 단부 사이의 꺾임각을 각각 조절하는 단계; 및
    경보부가 차량 내에서 승객이 탐지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경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더 수신안테나는,
    차량의 우측 2열 및 3열에 위치한 승객을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더 수신안테나는,
    차량의 좌측 2열 및 3열에 위치한 승객을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보 방법.
KR1020170180983A 2017-12-27 2017-12-27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17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983A KR102417909B1 (ko) 2017-12-27 2017-12-27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983A KR102417909B1 (ko) 2017-12-27 2017-12-27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060A true KR20190079060A (ko) 2019-07-05
KR102417909B1 KR102417909B1 (ko) 2022-07-07

Family

ID=6722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983A KR102417909B1 (ko) 2017-12-27 2017-12-27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9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9359A (zh) * 2019-08-19 2021-02-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检测车辆中的乘客的设备和方法
JPWO2022162852A1 (ko) * 2021-01-29 2022-08-04
KR102467923B1 (ko) * 2022-06-08 2022-11-17 (주)디지탈엣지 탑승객 감시 레이더 시스템 및 그에서 수행되는 레이더 신호처리방법
KR20230087644A (ko) * 2021-12-09 2023-06-19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차량 탑승자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4096439A1 (ko) * 2022-11-03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3678A (ja) * 1997-06-09 2000-10-17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対象物識別装置、とりわけ自動車の車内監視のための装置に対する評価装置、並びにこのような評価装置を有する対象物識別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装置の制御方法
US20030201894A1 (en) * 2002-03-15 2003-10-30 Songnian Li Vehicle occupa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radar motion sensor
JP2004124362A (ja) * 2002-09-30 2004-04-22 Toto Ltd トイレ装置
JP2005315820A (ja) * 2004-01-28 2005-11-10 Rcs:Kk 障害物検知装置
US8948442B2 (en) * 1982-06-18 2015-02-03 Intelligent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Optical monitoring of vehicle interiors
KR20170053588A (ko) 2015-11-06 2017-05-1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승객의 탑승을 감지하는 매트의 고장을 탐지하는 매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8442B2 (en) * 1982-06-18 2015-02-03 Intelligent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Optical monitoring of vehicle interiors
JP2000513678A (ja) * 1997-06-09 2000-10-17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対象物識別装置、とりわけ自動車の車内監視のための装置に対する評価装置、並びにこのような評価装置を有する対象物識別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装置の制御方法
US20030201894A1 (en) * 2002-03-15 2003-10-30 Songnian Li Vehicle occupa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radar motion sensor
JP2004124362A (ja) * 2002-09-30 2004-04-22 Toto Ltd トイレ装置
JP2005315820A (ja) * 2004-01-28 2005-11-10 Rcs:Kk 障害物検知装置
KR20170053588A (ko) 2015-11-06 2017-05-1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승객의 탑승을 감지하는 매트의 고장을 탐지하는 매트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9359A (zh) * 2019-08-19 2021-02-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检测车辆中的乘客的设备和方法
JPWO2022162852A1 (ko) * 2021-01-29 2022-08-04
WO2022162852A1 (ja) * 2021-01-29 2022-08-0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波センサ及び乗員検知装置
CN116848426A (zh) * 2021-01-29 2023-10-0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波传感器和乘客检测装置
KR20230087644A (ko) * 2021-12-09 2023-06-19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차량 탑승자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67923B1 (ko) * 2022-06-08 2022-11-17 (주)디지탈엣지 탑승객 감시 레이더 시스템 및 그에서 수행되는 레이더 신호처리방법
WO2024096439A1 (ko) * 2022-11-03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909B1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9060A (ko) 차량의 승객 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4199B1 (ko) 차량용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장치, 운행 제어 장치 및 차량
US10500958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1976419B1 (ko) 차량용 도어 제어 장치 및 차량
KR102486148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1599B1 (ko)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방법과 서버
KR101959300B1 (ko) 차량용 스마트 키 및 시스템
KR101910383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10793004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5807904B (zh) 用于车辆的人机接口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60091978A1 (en) Gesture recognition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072347B2 (en) Vehicle control device provided i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CN102582433A (zh) 驾驶员辅助系统、汽车和用于运行驾驶员辅助系统的方法
EP3190030A1 (en) Steering input apparatus and vehicle
US20200202535A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US10723348B2 (en) Vehicle with driver warn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
KR102035135B1 (ko) 차량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EP3434524B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1768115B1 (ko) 컨트롤 패드,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42443A (ko) 영상 출력 장치
US1175287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apparatus
US20190185015A1 (en) Apparatus for limiting vehicle speed and method thereof
KR101870726B1 (ko) 계기판 디스플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2448102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0055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