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440A -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440A
KR20190078440A KR1020170180877A KR20170180877A KR20190078440A KR 20190078440 A KR20190078440 A KR 20190078440A KR 1020170180877 A KR1020170180877 A KR 1020170180877A KR 20170180877 A KR20170180877 A KR 20170180877A KR 20190078440 A KR20190078440 A KR 20190078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trip
electrode
current waveform
cathode terminal
electrod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383B1 (ko
Inventor
김희수
서승원
Original Assignee
(주)메드사피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드사피엔스 filed Critical (주)메드사피엔스
Publication of KR20190078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4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8Specially adapted for promoting wound hea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06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adapted for a particular treatment
    • A61N1/36071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5Details of circuitry or electric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전극 채널을 구성하는 양극단자 스트립과 음극단자 스트립에 러시안 전류 파형 또는 간섭파 전류 파형을 서로 다른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인가함으로써 코어 근육을 강화하고 복부 지방 제거 효과를 높이면서 내장 및 내장 지방에도 자극을 주어 체액 순환 능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근육막 조직을 활성화시키도록 한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하는 착용구; 상기 착용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양극단자 스트립 및 음극단자 스트립이 전극 쌍을 구성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채널; 및 상기 양극단자 스트립과 상기 음극단자 스트립 사이에 중주파인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을 발생하여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주파수 공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극 채널 중 하나의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과 다른 하나의 전극 채널의 음극단자 스트립에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DRIVE DEVICE OF ELECTRODE CHANNEL FOR STRENGTHENING CORE MUSCLE OF ABDOMINAL REGION}
본 발명은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부 체강내의 체액 순환 능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복강 내외부의 근육막 조직을 활성화시키도록 한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부 비만은 복부에 체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잘못된 식생활과 운동 부족 등에 의해 발생된다. 복부에 형성되는 체지방은 고지혈증, 당뇨병과 같은 대사성 질환과 뇌졸중, 허혈성심장질환 같은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복부 주변에 있는 코어 근육은 인체의 중심인 척추와 골반을 흔들리지 않게 지지해주고 균형을 잡아주는 근육으로서, 코어 근육이 약해지면 몸의 중심부 안정성이 떨어져 디스크 또는 척추 측만증 등의 불균형이 발생되기 쉽다.
여기서, 코어 근육이란 인체의 중심 자세를 잡아주는 근육으로서 자세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이다. 복부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복횡근, 척추 양옆으로 붙어 있는 다열근, 호흡에 직접 관여하여 복강과 흉강을 나누는 횡격막, 골반 바닥쪽 항문과 성기를 둘러싸고 있는 골반저근 등이 인체의 코어 근육이다.
복부 비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술이나 치료 등의 요법이 있으며, 운동을 통해 복부 주변의 근육을 강화하는 방법이 있다. 수술을 통한 지방 제거는 인체에 손상을 가하게 되어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쉽게 택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다. 운동은 단기간에 효과를 보기 어려우며, 꾸준한 노력을 필요로 한다.
한편, 전기 자극 장치는 복부에 전기 자극을 가하여 지방을 분해하는 동시에 복부 근육을 자극하여 근육을 강화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운동과 병행할 경우 훌륭한 복부 비만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8804호는 중앙 패드부의 주변으로 날개형 패드부를 연장시키고 날개형 패드부에 도전성 전극을 부착한 구조의 근육 운동용 저주파 자극기를 제안하고 있다. 동 선행문헌을 참조하면, 전극 보호용 필름을 이용하여 전극의 신체 부착성을 향상시키며, 복근에 저주파 전류를 안정적으로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날개형 패드부에 의해 전기 자극이 이루어지는 부위가 신체 전면의 배꼽 주위에 국한되어 있으며, 치료 주파수가 낮아 표피 근처까지밖에 진입하지 못하므로 코어 근육까지 전기 자극이 이르지 못하고 복직근을 자극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도 1은 우리 신체에서 일반적인 코어 근육의 배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코어 근육은 횡경막, 복횡근, 다열근, 및 골반저근으로 구성된다. 횡경막은 흉강과 복강을 구분지어 호흡 시에 안정감을 주는 근육으로, 호흡의 70%를 담당하는 근육이다. 복횡근은 인체의 자세를 중심으로 잡아줄 수 있게 해주는 기능으로써 복부 근육에서 가장 안쪽에 위치하고 인체의 중심부를 감싸는 근육으로 대부분의 신체 장기들이 복횡근에 의해 보호된다.
다열근은 척추의 기립성을 보장하는 근육이며, 골반저근은 장기들을 밑에서 받치는 근육으로 골반의 안정화와 대소변의 조절을 위해 중요한 근육이다.
위와 같은 코어 근육이 약해질 경우 신진대사가 떨어지고 순환장애가 발생하여 복부에 지방이 쌓이게 된다. 따라서 코어 근육을 강화하면 복부 비만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복부 지방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코어 근육을 자극하여 강화하는 과정이 병행될 경우 지방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코어 근육들 중 복횡근은 3차원적으로 가장 큰 면적을 가질 뿐만 아니라, 도 1에서와 같이 횡경막, 다열근, 및 골반저근과 연계되어 배치된다. 또한, 복횡근은 복부 비만에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근육이다.
하지만, 위에 예시한 선행문헌 및 종래의 복부 근육 전기 자극 장치들은 복직근의 자극에 중심을 두고 있으며, 일부 자극이 복횡근에 전달된다 하여도 복횡근 전체를 고르게 자극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 전기 자극 장치들은 세로무늬근인 복직근의 자극을 위해 복부의 수직 방향으로 펄스가 인가되도록 구성되는데, 복횡근은 가로무늬근으로서 그러한 펄스 방향으로는 복횡근에 효과적인 자극을 주기 어렵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6288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전극 채널을 구성하는 양극단자 스트립과 음극단자 스트립에 러시안 전류 파형 또는 간섭파 전류 파형을 서로 다른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인가함으로써 코어 근육을 강화하고 복부 지방 제거 효과를 높이면서 내장 및 내장 지방에도 자극을 주어 체액 순환 능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근막 조직을 활성화시키도록 한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는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하는 착용구; 상기 착용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양극단자 스트립 및 음극단자 스트립이 전극 쌍을 구성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채널; 및 상기 양극단자 스트립과 상기 음극단자 스트립 사이에 중주파인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을 발생하여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주파수 공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극 채널 중 하나의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과 다른 하나의 전극 채널의 음극단자 스트립에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다수의 전극 채널을 구성하는 양극단자 스트립과 음극단자 스트립에 러시안 전류 파형 또는 간섭파 전류 파형을 서로 다른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인가함으로써 코어 근육을 강화하고 복부 지방 제거 효과를 높이면서 내장 및 내장 지방에도 자극을 주어 체액 순환 능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근막 조직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우리 신체에서 일반적인 코어 근육의 배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부의 코어 근육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을 구비한 착용구를 정면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의 코어 근육강화를 위한 전기 자극 패드를 구비한 착용구를 좌측면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부의 코어 근육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을 구비한 착용구를 후면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부의 코어 근육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을 구비한 착용구를 우측면에 착용한 예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의 코어 근육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을 구비한 착용구에서 제 1 전극 채널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도 7에서 간섭파 상층 전류 파형을 복부단면에 설치된 전극 채널에 인가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7에서 간섭파 하층 전류 파형을 복부단면에 설치된 전극 채널에 인가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7에서 간섭파 전류 파형을 복부단면에 설치된 전극 채널에 인가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전극 채널에서 서로 분할된 상측 전극 채널과 하측 전극 패널에 각각 간섭파 전류 파형을 인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인체의 복횡근과 관련하여 전극 채널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전극 채널은 도 2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인체 전면의 우복부와 좌복부, 도 3 및 도 5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인체의 양 옆구리, 도 4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인체의 후면 좌요부 및 우요부에 각각 형성된다. 전극 채널의 순서는 설명을 위해 예시된 것이며, 전극 채널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부의 코어 근육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을 구비한 착용구를 정면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부의 코어 근육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을 구비한 착용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횡근(100)은 인체의 전면을 기준으로 횡경막의 아래에서부터 골반저근의 위쪽까지 형성된다. 착용구(200)는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되는 수단으로서, 복횡근(100)의 상당 영역을 커버하도록 가능한 상하로 넓은 폭을 갖는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 착용구(200)는 그 상단부가 하단부가 비교적 평행한 직사각형 형태로 예시하였지만, 복횡근(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전면 중앙의 상단부가 상부로 연장되고 하단부가 하부로 연장되는 마름모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체의 전면 우복부에는 제 1 전극 채널(CH1)이 형성되며 좌복부에는 제 2 전극 채널(CH2)이 형성된다. 제 1 전극 채널(CH1)은 제 1 양극단자 스트립(210)과 제 1 음극단자 스트립(215)이 전극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제 2 전극 채널(CH2)은 제 2 양극단자 스트립(220)과 제 2 음극단자 스트립(225)이 전극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다른 전극 채널들 역시 양극단자 스트립과 음극단자 스트립이 전극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전극 쌍 구조에 대하여 제 1 전극 채널(CH1)의 구조를 대표적인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6에서 복횡근(100)을 도시함에 있어 수평방향으로 해칭처리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복횡근(100)은 근육의 결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무늬근이다. 본 발명에서 제 1 양극단자 스트립(210) 및 제 1 음극단자 스트립(215)은 복횡근(100)의 무늬 방향에 교차하도록 착용구(200)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 1 양극단자 스트립(210) 및 제 1 음극단자 스트립(215)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펄스 신호가 복횡근(100)의 무늬 방향을 따라 전달되도록 한다.
제 1 양극단자 스트립(210)은 착용구(200)에 대하여 절연되는 양극 절연필름(212) 상에 복수의 제 1 양극단자(210a, 210b)가 상하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제 1 음극단자 스트립(215) 역시 착용구(200)에 대하여 절연되는 음극 절연필름(217) 상에 복수의 제 1 음극단자(215a, 215b)가 상하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제 1 양극단자(210a, 210b)가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두 제 1 양극단자(210a, 210b)의 면적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양극단자 스트립(210) 내에는 도 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제 1 양극단자(210a, 210b, 210c)가 2개는 동일한 면적으로, 남은 하나는 상이한 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착용구(200)에 구성된 주파수 공급 수단은 제 1 양극단자 스트립(210)과 제 1 음극단자 스트립(215) 사이에 소정 주파수의 펄스 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상기 펄스 신호는 제 1 전극 채널(CH1)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양극단자 스트립(210)의 제 1 양극단자(210a)와 제 2 전극 채널(CH2)을 구성하는 제 2 음극단자 스트립(225)의 제 2 음극단자(225a)에 인가하고, 상기 제 1 양극단자 스트립(210)의 제 2 양극단자(210b)와 제 2 전극 채널(CH2)을 구성하는 제 2 음극단자 스트립(225)의 제 2 음극단자 스트립(225)의 제 2 음극단자(225b)에 인가한다.
또한, 착용구(200)에 구성된 주파수 공급 수단의 펄스 신호는 제 2 전극 채널(CH2)을 구성하는 상기 제 2 양극단자 스트립(220)의 제 1 양극단자(220a)와 제 1 전극 채널(CH1)을 구성하는 제 1 음극단자 스트립(215)의 제 1 음극단자(215a)에 인가하고, 상기 제 2 양극단자 스트립(220)의 제 2 양극단자(220b)와 제 1 전극 채널(CH1)을 구성하는 제 1 음극단자 스트립(215)의 제 2 음극단자(215b)에 인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전극 채널(CH1)의 제 1 양극단자 스트립(210)과 과 제 2 전극 채널(CH2)의 제 2 음극단자 스트립(225) 및 제 2 양극단자 스트립(220)과 제 1 음극단자 스트립(215)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에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펄스 신호가 내장 및 내장 지방까지 침투할 수 있도록 상기 주파수 공급 수단을 구성한다.
한편, 상기 주파수 공급 수단으로부터 제 1 전극 채널(CH1)과 제 2 전극 채널(CH2)에 출력되는 펄스 신호는 러시안 전류 파형 또는 간섭파 전류 파형이며,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이 교호로 인가되는 복합 파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파수 공급 수단은 상복부에 배치된 제 1 양극단자(210a)와 제 1 음극단자(215a)에만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상복부 단련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주파수 공급 수단은 하복부에 배치된 제 1 양극단자(210b)와 제 1 음극단자(215b)에만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하복부 단련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주파수 공급 수단은 제 1 양극단자 스트립(210)과 제 1 음극단자 스트립(215) 전체에 걸쳐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복횡근(100) 전체 영역에 걸쳐 전기 자극을 부여하는 복부 전체 단련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전기 자극 장치는 상복부, 하복부, 복부 전체 자극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전극 채널(CH1)에서 제 1 양극단자 스트립(210)은 우복부의 외측부에 배치되며 제 1 음극단자 스트립(215)은 배꼽에 가까운 부위에 배치된다. 주파수 공급 수단이 제 1 양극단자 스트립(210)과 제 1 음극단자 스트립(215) 사이에 펄스 신호를 인가하면, 우복부의 외측에서 배꼽 쪽으로 전기 자극이 가해져 복횡근(100)은 바깥에서 안쪽으로 수축이 일어난다. 전기 자극이 해제되는 휴지기에서는 근육이 수축된 반대 방향으로 이완된다. 이러한 복횡근(100)의 수축과 이완 방향은 실제의 코어 근육의 수축되는 훈련에 의한 수축 및 이완의 방향과 유사하므로, 코어 근육 훈련과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을 병행할 때 자세 교정과 함께 근육 강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제 2 전극 채널(CH2)을 구성하는 제 2 양극단자 스트립(220)은 복수의 제 2 양극단자(220a, 220b)가 상하로 분할 형성되며, 제 2 음극단자 스트립(225) 역시 복수의 제2 음극단자(225a, 225b)가 상하로 분할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의 코어 근육강화를 위한 전기 자극 패드를 구비한 착용구를 좌측면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 도면으로, 인체의 좌측 옆구리에 제 3 전극 채널(CH3)이 배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3 전극 채널(CH3)을 구성하는 제 3 양극단자 스트립(230)은 복수의 제 3 양극단자(230a, 230b)가 상하로 분할 형성되며, 제 3 음극단자 스트립(235) 역시 복수의 제 3 음극단자(235a, 235b)가 상하로 분할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부의 코어 근육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을 구비한 착용구를 후면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 도면으로, 인체의 후면 좌요부에 제 4 전극 채널(CH4)이 배치되고 우요부에 제 5 전극 채널(CH5)이 배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4 전극 채널(CH4)을 구성하는 제 4 양극단자 스트립(240)은 복수의 제 4 양극단자(240a, 240b)가 상하로 분할 형성되며, 제 4 음극단자 스트립(245) 역시 복수의 제 4 음극단자(245a, 245b)가 상하로 분할 형성된다.
또한, 제 5 전극 채널(CH5)을 구성하는 제 5 양극단자 스트립(250)은 복수의 제 5 양극단자(250a, 250b)가 상하로 분할 형성되며, 제 5 음극단자 스트립(255) 역시 복수의 제 5 음극단자(255a, 255b)가 상하로 분할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부의 코어 근육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을 구비한 착용구를 우측면에 착용한 예시 도면으로, 인체의 우측 옆구리에 제 6 전극 채널(CH6)이 배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6 전극 채널(CH6)을 구성하는 제 6 양극단자 스트립(260)은 복수의 제 6 양극단자(260a, 260b)가 상하로 분할 형성되며, 제 6 음극단자 스트립(265) 역시 복수의 제 6 음극단자(265a, 265b)가 상하로 분할 형성된다.
제 2 전극 채널(CH2) 내지 제 6 전극 채널(CH6)의 구조는 전술한 제 1 전극 채널(CH1)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동일한 양극단자 스트립과 음극단자 스트립의 전극 쌍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 2 전극 채널(CH2)에서 제 2 양극 단자 스트립(220)은 좌복부의 외측부에 배치되고 제 2 음극단자 스트립(225)은 배꼽에 가까운 부위에 배치되므로, 제 1 전극채널(CH1)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좌복부의 외측에서 배꼽 쪽으로 전기 자극이 가해져 근육이 수축된다. 즉, 근육의 수축과 이완 방향이 실제 복근 훈련에 의한 수축 및 이완 방향과 유사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3 전극 채널(CH3) 내지 제 6 전극 채널(CH6) 각각에서도 실제 복횡근(100)을 단련하는 상황에서의 근육 수축 및 이완의 방향과 유사하게 근육을 자극함으로써, 복근 훈련과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을 병행할 때 근육 강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의 코어 근육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을 구비한 착용구에서 제 1 전극 채널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양극단자 스트립(210)은 동일한 면적을 갖는 2개의 제 1 양극단자(210a, 210b)로 분할 형성되며, 2개의 제 1 양극단자(210a, 210b)는 모두 착용구(200)에 대하여 양극 절연필름(212)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배치된다. 제 1 음극단자 스트립(215) 역시 동일한 면적을 갖는 2개의 제 1 음극단자(215a, 215b)로 분할 형성되며, 2개의 제 1 음극단자(215a, 215b)는 모두 착용구(200)에 대하여 음극 절연필름(217)에 의해 절연될 상태로 배치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2 전극 채널 내지 제 6 전극 채널 역시 동일한 전극 쌍 구조를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하는 착용구(200)와, 상기 착용구(20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양극단자 스트립 및 음극단자 스트립이 전극 쌍을 구성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채널(CH1~CH6)(500)과, 상기 양극단자 스트립과 상기 음극단자 스트립 사이에 소정 주파수의 펄스신호를 인가하는 주파수 공급 수단(600)을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공급 수단(600)을 구동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400)과, 사용자 입력부(410), I/O 인터페이스(420), 주파수 오실레이터(430), 디스플레이(440), 메모리(450), 충전회로부(510), 배터리(520), 전원 공급부(530), 자극전압 발생부(540), 주파수 변조부(550), 자극신호 스위칭 출력부(560), 러시안 전류 파형 발생부(570) 및 간섭파 파형 발생부(5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I/O 인터페이스(420), 주파수 오실레이터(430), MCU(400) 및 메모리(450)는 메인 보드(M)이고, 상기 메인 보드(M)의 제어를 받아 주파수 공급 수단(600)이 작동하여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을 출력하여 전극 채널(500)을 구동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41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전기 자극 패드의 구동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ON/OFF 버튼, 자극 모드의 선택을 위한 키입력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410)는 휴대용 단말기 즉, 스마트폰을 사용하거나 키입력수단은 디스플레이(440)에 내장되는 터치 패널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I/O 인터페이스(420)는 주파수 공급 수단의 동작 명령을 무선신호로 입력받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적외선 방식의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400)이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주파수 공급 수단의 동작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상기 I/O 인터페이스(420)는 적외선 신호 인터페이스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로 대체되거나 다양한 무선 신호 입력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도시되지 않음)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스마트폰이나 기타 통신기기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400)은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전용의 앱(App)과 통신하여 주파수 공급 수단의 동작 상태를 그래픽 화면으로 제공하거나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받아 주파수 공급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원격의 관리서버 또는 이동 통신 단말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음성 호 신호, 무선 데이터,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이나 LTE(Long Term Evolution)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인터넷 접속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400)은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의 관리서버에 주파수 공급 수단의 동작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수신되는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전기 자극 장치사용량 및 사용형태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자극 훈련처방을 내리거나, 다수 사용자의 사용결과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기 자극 장치의 업그레이드 및 후속 제품 개발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440)는 주파수 공급 수단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440)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와 관련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화면으로 출력하며, 인체의 이미지와 함께 자극 부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440)는 복부 근육의 수축과 이완 상태를 애니메이션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440)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아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50)는 주파수 공급 수단의 제어 프로그램, 전기 자극 장치의 동작 이력, 및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하는 수단으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구동장치는 상용교류전원, 배터리, 또는 두 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530)는 상용교류전원을 장치 내 각 구성품에 인가하고 자극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정전류 DC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530)는 배터리(520)의 출력을 DC-DC 컨버터로 승압하거나 강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주파수 공급 수단(600)은 각 구성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400)과, 자극전압 발생부(540)와, 주파수 변조부(550)와, 자극신호 스위칭 출력부(560), 러시안 전류 파형 발생부(570) 및 간섭파 파형 발생부(5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극전압 발생부(540)는 전원 공급부(530)의 출력으로부터 전기 자극을 위한 전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주파수 변조부(550)는 자극전압 발생부(540)의 출력을 소정 주파수의 신호로 변조하는 수단으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Oscillator)(430)로부터 주파수를 전달받아 동작한다.
상기 자극신호 스위칭 출력부(56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각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과 음극단자 스트립 사이에서 러시안 전류 파형이 전달되거나 간섭파 파형이 전달되거나 어떤 파형도 전달되지 않는 휴지기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러시안 전류 파형 발생부(570)는 상기 주파수 변조부(550)의 출력으로부터 2,000Hz 내지 5,000Hz의 중주파 전류 파형을 발생시킨다. 중주파 전류 파형은 예컨대 사인 파형의 신호로서, 복부 근육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복횡근(100)을 자극하기에 적합한 주파수의 신호이다. 바람직하게는, 중주파 중에서도 러시안 전류 파형은 2,000~3,000Hz 대역이다.
상기 간섭파 파형 발생부(580)는 중주파수 대역인 2,000~5,000Hz로 상기 주파수 변조부(550)의 출력으로부터 서로 다른 중주파를 생성하여 교차시킴으로써 간섭파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 채널(CH1)에 2,800Hz의 주파수를 인가하고 제 2 전극 채널(CH2)에 2,850Hz의 주파수를 인가하는 경우 두 주파수가 서로 교차하면서 50Hz의 간섭파가 발생된다.
이러한 간섭파는 주파수 대역을 더 높여서 사용되기 때문에 러시안 전류 사용에 따르는 근피로와 근육통을 완화하고 지방의 셀루라이트에 침투하여 지방 분해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400)은 각 전극 채널(CH1~CH6)에 인가하는 펄스 신호의 한 주기에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가 교호로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복횡근(100)의 강화에 초점을 둘 경우,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의 주파수 비율을 1:2로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이거나 약한 자극을 원하는 경우에는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의 주파수 비율을 1:5로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자극신호 스위칭 출력부(560)와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400)의 제어에 의해 러시안 전류 파형 발생부(570)의 출력과 간섭파 파형 발생부(580)의 출력을 스위칭하여 전극 채널에 인가하는 수단으로, 자극신호 스위칭 출력부(56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각 전극 채널(CH1~CH6)의 양극단자 스트립과 음극단자 스트립 사이에서 러시안 전류 파형이 전달되거나 간섭파 파형이 전달되거나 어떤 파형도 전달되지 않는 휴지기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러시안 전류 파형 발생부(570)의 전류 파형과 간섭파 파형 발생부(580)의 간섭파 파형은 상기 자극신호 스위칭 출력부(56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각 전극 채널(CH1~CH6)에 인가되는데, 이때 각 전극 채널(CH1~CH6)의 양극단자에서 양극단자로 파형이 인가되지 않고 대각선 방향 또는 엇갈린 방향으로 배치된 각 전극 채널(CH1~CH6)에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을 각각 인가한다.
즉, 제 1 전극 채널(CH1)의 양극 단자에서 제 3 전극 채널(CH3)의 음극단자, 제 2 전극 채널(CH2)의 양극 단자에서 제 4 전극 채널(CH4)의 음극 단자, 제 3 전극 채널(CH3)의 양극 단자에서 제 5 전극 채널(CH5)의 음극 단자, 제 4 전극 채널(CH4)의 양극 단자에서 제 6 전극 채널(CH6)의 음극 단자, 제 5 전극 채널(CH5)의 양극 단자에서 제 1 전극 채널(CH1)의 음극 단자, 제 6 전극 채널(CH6))의 양극 단자에서 제 2 전극 채널(CH2)의 음극 단자로 각각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MCU(400)를 통해 제어한다.
한편, 상기 각 전극 채널(CH1~CH6)의 양극 단자에서 음극 단자로 러시안 전류 파형 또는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될 때 각 전극 채널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에 인가하지 않고 그 이웃하는 전극 채널의 양극 단자에서 음극 단자로 인가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러시안 전류 파형 발생부(570)는 각 전극 채널(500)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러시안 전류 파형을 인가할 수도 있다.
상기 간섭파 전류 파형 발생부(580)는 간섭파 전류 파형간에 간섭이 발생하도록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분할 설치된 전극 채널(500) 중 상측 전극 채널과 하측 전극 채널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측 전극 채널과 하측 전극 채널에 서로 다른 간섭파 전류 파형 즉 간섭파 상측 전류 파형과 간섭파 하층 전류 파형을 인가하여 두 전극 채널 간에 간섭이 발생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7에서 간섭파 상층 전류 파형을 복부단면에 설치된 전극 채널에 인가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복부 단면에 부착된 제 1 내지 제 6 전극 채널(CH1 내지 CH6) 중 제 1 전극 채널(CH1)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제 3 전극 채널(CH3)의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상층 전류 파형이 인가되고, 제 2 전극 채널(CH2)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4 전극 채널(CH4)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된다.
또한, 제 3 전극 채널(CH3)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5 전극 채널(CH5)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고, 제 4 전극 채널(CH4)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6 전극 채널(CH6))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며, 제 5 전극 채널(CH5)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1 전극 채널(CH1)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된다.
또한, 제 6 전극 채널(CH6))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2 전극 채널(CH2)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6 전극 채널(CH1 내지 CH6)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인가되는 간섭파 상층 전류 파형은 2,800Hz의 주파수로 인가된다.
도 9는 도 7에서 간섭파 하층 전류 파형을 복부단면에 설치된 전극 채널에 인가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복부 단면에 부착된 제 1 내지 제 6 전극 채널(CH1 내지 CH6) 중 제 1 전극 채널(CH1)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제 5 전극 채널(CH5)의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하층 전류 파형이 인가되고, 제 2 전극 채널(CH2)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6 전극 채널(CH6)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된다.
또한, 제 3 전극 채널(CH3)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1 전극 채널(CH1)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고, 제 4 전극 채널(CH4)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2 전극 채널(CH2)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며, 제 5 전극 채널(CH5)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3 전극 채널(CH3)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된다.
또한, 제 6 전극 채널(CH6))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4 전극 채널(CH4)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하층 전류 파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6 전극 채널(CH1 내지 CH6)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인가되는 간섭파 하층 전류 파형은 2,850Hz의 주파수로 인가된다.
도 10은 도 7에서 간섭파 전류 파형을 복부단면에 설치된 전극 채널에 인가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복부 단면에 부착된 제 1 내지 제 6 전극 채널(CH1 내지 CH6) 중 제 1 전극 채널(CH1)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제 3 전극 채널(CH3)과 제 5 전극 채널(CH5)의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고, 제 2 전극 채널(CH2)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4 전극 채널(CH4)과 제 6 전극 채널(CH6)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된다.
또한, 제 3 전극 채널(CH3)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1 전극 채널(CH1)과 제 3 전극 채널(CH3)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고, 제 4 전극 채널(CH4)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2 전극 채널(CH2)과 제 6 전극 채널(CH6)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며, 제 5 전극 채널(CH5)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1 전극 채널(CH1)과 제 3 전극 채널(CH3)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된다.
또한, 제 6 전극 채널(CH6)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2 전극 채널(CH2)과 제 4 전극 채널(CH4)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하층 전류 파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6 전극 채널(CH1 내지 CH6)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이격된 다른 두 개의 전극 채널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인가되는 간섭파 전류 파형은 상층전류(노랑색)인 경우 2800Hz로 인가하고 하층 전류(보라색)인 경우 2850Hz의 주파수로 인가된다.
도 11은 도 10의 전극 채널에서 서로 분할된 상측 전극 채널과 하측 전극 패널에 각각 간섭파 전류 파형을 인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서와 같이, 도 10의 각 전극 채널의 양극 단자 스트립과 음극 단자 스트립에 간섭파 전류 파형을 인가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이때 상측 전극 채널을 U-CH1 내지 U-CH6로 구분하고, 하측 전극 채널을 L-CH1 내지 L-CH6으로 구분한다. 한편, 상측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인가되는 상층 전류는 2800Hz이면서 녹색으로 표시하였고, 하측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인가되는 하층 전류는 2850Hz이면서 보라색으로 표시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구(200)를 복부 부위에 착용한 상태에서 전원을 ON하면 디스플레이(440)상에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나타나면서 동작이 개시된다(ST810). 장치의 부팅이 완료되고 디스플레이(440)상에는 모드 선택 화면이 표시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가 선택된다(ST815).
이어, 수동 모드로 진입하여 먼저 복부의 자극 부위를 선택하는 부위 선택 모드가 활성화된다. 이때 상하복부의 선택(ST820)이 가능하고, 하복부와 상복부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ST825)할 수 있다.
이어, 상하복부 자극 모드를 선택한 경우,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의 주파수 비율을 선택하는 모드로 진입한다(ST830). 사용자는 이 모드에서 주파수 비율 1:5, 1:4, 1:3, 1:2, 간섭파(러시안 전류 파형의 사용없이 간섭파 전극만 진행되는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하복부와 상복부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도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의 주파수 비율을 선택하는 모드로 진입한다(ST835).
이어, 주파수 비율을 선택하는 모드가 종료되면, 자극 시간을 설정하는 모드로 진입한다(ST840). 본 단계에서 10분, 20분, 30분의 자극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모드 선택 단계(ST815)에서 자동 모드를 선택한 경우, 자동 모드로 진입되며 상하복부 전체, 주파수 비율 1:3. 자극시간 20분이 자동으로 선택된다(ST845). 물론, 자동 모드에 의해 선택되는 각 설정항목들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이어, 모드 선택이 완료되면, 수동 모드에서 입력된 모드들, 또는 자동 모드에서 선택된 모드들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된다(ST850). 이때 사용자는 자극 강도를 조절(ST855)이 가능하고, 자극 강도의 조절은 상하복부에 전기 자극이 진행되는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400)은 러시안 전류 파형이나 간섭파 전류 파형의 최대 진폭의 크기를 키우거나 줄이는 등으로 자극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400)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자극신호 스위칭 출력부(560)를 동작한다(ST860). 상기 자극신호 스위칭 출력부(560)의 선택에 따라 러시안 전류 파형을 인가할지 간섭파 전류 파형을 인가할지를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셋팅된 모드에 따라 상하복부에 전기 자극을 가하고,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종료 알람이 울리고(ST865), 기기의의 동작이 종료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극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로서, 도 13에서 파동 모드에 의해 복부 전체에 대하여 1:3의 주파수 비율로 자극 파형이 전달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의 최대 진폭 크기는 실제로는 상이하지만,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동일 크기로 도시하였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400)은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이 교호로 인가되도록 자극신호 스위칭 출력부(560)를 제어한다. 러시안 전류 파형은 복횡근(100)에 강한 자극을 주기 위한 파형의 신호이며, 러시안 전류 파형의 OFF 구단에서 근육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사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주기 위해서 간섭파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사이에는 어떤 파형의 신호도 전달되지 않는 휴지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출력이 0인 휴지기는 약 1초이다.
한 주기의 출력은 d1 내지 d8의 서로 다른 파형의 구간을 가지는데, 각 구간에 대하여 1:3의 주파수 비율을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d1은 러시안 전류 파형의 ON 타임에 파형의 진폭이 서서히 증가하는 소프트 라이징(soft rising) 구간이다. 러시안 전류 파형이 갑자기 인가되는 경우 근육이 급하게 수축되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민감한 사용자는 전기 자극에 거부감을 느낄 수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소프트 라이징 구간을 설정하여 러시안 전류 파형이 인가되도록 한다. 본 예시에서 d1 구간은 약 2초 동안 진행된다.
d2는 러시안 전류 파형이 최대값으로 인가되는 구간으로 10초 동안 진행되고, d3은 러시안 전류 파형의 OFF 타임에 파형의 진폭이 서서히 하강하는 소프트 폴링(soft falling) 구간이다. 강한 전류 자극이 갑자기 사라질 경우 근육이 갑자기 이완되어 근육 강화 효과가 저감될 수 있으므로 소프트 폴링 구간을 설정하여 인가된 러시안 전류 파형을 서서히 감소한다. 본 예시에서 d3 구간은 2초 동안 진행된다.
d4는 러시안 전류 파형이 OFF된 이후의 휴지기로서, 약 1초 동안 진행되고, d5는 간섭파의 ON 타임에 파형의 진폭이 서서히 증가하는 소프트 라이징 구간으로 5초 동안 진행된다.
d6은 간섭파가 최대값으로 인가되는 구간으로 20초간 인가되고, d7은 간섭파의 OFF 타임에 파형의 진폭이 서서히 하강하는 소프트 폴링 구간으로 5초 동안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d8은 간섭파가 OFF된 이후의 휴지기로서 약 1초 동안의 휴지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도 13의 파형도를 참조하면, 러시안 전류 파형이 최대치로 인가되어 복근에 대한 실질적인 전기 자극이 진행되느 시간은 10초이며, 간섭파는 대략 50Hz 이하의 신호로서 소프트 라이징 구간과 소프트 폴링 구간을 합쳐 30초 동안 전기 자극이 진행된다.
한편, 1:3의 주파수 비율은 복횡근(100)의 전체 영역에 걸쳐 고른 전기 자극을 주는 동시에 전기 자극에 대한 통증을 완화시키고 사용자의 안정감을 유지하기에 적합한 비율이다. 다만, 사용자에 의한 근력 및 통증의 체감 차이가 있으므로 자동 모드에 대한 주파수 비율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복횡근 200 : 착용구
400 : MCU 500 : 전극 채널
600 : 주파수 공급수단

Claims (13)

  1.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하는 착용구;
    상기 착용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양극단자 스트립및 음극단자 스트립이 전극 쌍을 구성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채널; 및
    상기 양극단자 스트립과 상기 음극단자 스트립 사이에 중주파인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을 발생하여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주파수 공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극 채널 중 하나의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과 다른 하나의 전극 채널의 음극단자 스트립에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채널은 상기 사용자의 인체 전면 우복부와 좌복부, 양 옆구리, 및 후면 좌요부와 우요부에 각각 형성되는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극 채널은 상층과 하층으로 분할되고 상층과 하층의 양극단자 스트립과 음극단자 스트립에 서로 다른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전극 채널에는 2800Hz의 간섭파 전류 파형을 인가하고 상기 하측 전극 채널에는 2850Hz의 간섭파 전류 파형을 각각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공급 수단은,
    전기 자극을 위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자극전압 발생부;
    상기 자극전압 발생부의 출력을 소정 주파수의 신호로 변조하는 주파수 변조부;
    상기 주파수 변조부의 출력으로부터 2,000Hz 내지 5,000Hz의 중주파 전류 파형을 발생시키는 러시안 전류 파형 발생부;
    상기 주파수 변조부의 출력으로부터 서로 다른 중주파를 생성하여 교차시킴으로써 간섭파 전류 파형을 발생시키는 간섭파 파형 발생부;
    상기 러시안 전류 파형 발생부의 출력 및 상기 간섭파 파형 발생부의 출력을 스위칭하여 상기 전극 채널에 인가하는 자극신호 스위칭부; 및
    상기 자극신호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상기 러시안 전류 파형 발생부 및 간섭파 전류 파형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을 포함하는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은 상기 전극 채널에 인가하는 펄스 신호의 한 주기에 상기 러시안 전류 파형과 상기 간섭파가 교호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 스트립 및 음극단자 스트립은 인체의 복횡근 무늬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상기 착용구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양극단자 스트립 및 음극단자 스트립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러시안 전류 파형 또는 간섭파 전류 파형이 복횡근의 무늬 방향을 따라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 스트립은 상기 착용구에 대하여 절연되는 양극 절연필름상에 복수의 양극단자가 상하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음극단자 스트립은 상기 착용구에 대하여 절연되는 음극 절연필름상에 복수의 음극단자가 상하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9.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하는 착용구;
    상기 착용구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양극단자 스트립 및 음극단자 스트립이 전극 쌍을 이루어 구성하여 다수의 전극 채널; 및
    상기 다수의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과 상기 음극단자 스트립 사이에 중주파인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을 발생하여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주파수 공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착용구에 구성된 주파수 공급 수단은 상기 다수의 전극 채널 중 일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타 전극 채널의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수의 전극 채널 중 다른 일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다른 타 전극 채널의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10.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하는 착용구;
    상기 착용구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양극단자 스트립 및 음극단자 스트립이 전극 쌍을 이루어 구성하여 다수의 전극 채널; 및
    상기 다수의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과 상기 음극단자 스트립 사이에 중주파인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을 발생하여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주파수 공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착용구에 구성된 주파수 공급 수단은 상기 다수의 전극 채널 중 일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타 전극 채널 중 적어도 2개의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11.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하는 착용구;
    상기 착용구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양극단자 스트립 및 음극단자 스트립이 전극 쌍을 이루어 구성하여 다수의 전극 채널; 및
    상기 다수의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과 상기 음극단자 스트립 사이에 중주파인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을 발생하여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주파수 공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착용구에 구성된 주파수 공급 수단은 상기 다수의 전극 채널 중 일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타 전극 채널 중 적어도 2개의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수의 전극 채널 중 다른 일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다른 타 전극 채널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12.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하는 착용구;
    상기 착용구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양극단자 스트립 및 음극단자 스트립이 전극 쌍을 이루어 구성하여 제 1 내지 제 6 전극 채널; 및
    상기 제 1 내지 제 6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과 상기 음극단자 스트립 사이에 중주파인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을 발생하여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주파수 공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착용구에 구성된 주파수 공급 수단은
    상기 제 1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제 3 전극 채널과 제 5 전극 채널의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전극 채널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4 전극 채널과 제 6 전극 채널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며,
    상기 제 3 전극 채널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1 전극 채널과 제 3 전극 채널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고,
    상기 제 4 전극 채널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2 전극 채널과 제 6 전극 채널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며,
    상기 제 5 전극 채널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1 전극 채널과 제 3 전극 채널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고,
    상기 제 6 전극 채널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2 전극 채널과 제 4 전극 채널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하층 전류 파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13.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하는 착용구;
    상기 착용구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양극단자 스트립 및 음극단자 스트립이 전극 쌍을 이루어 구성하여 제 1 내지 제 6 전극 채널; 및
    상기 제 1 내지 제 6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과 상기 음극단자 스트립 사이에 중주파인 러시안 전류 파형과 간섭파 전류 파형을 발생하여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주파수 공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착용구에 구성된 주파수 공급 수단은
    상기 제 1 전극 채널의 양극단자 스트립에서 제 3 전극 채널과 제 5 전극 채널의 음극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전극 채널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4 전극 채널과 제 6 전극 채널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며,
    상기 제 3 전극 채널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1 전극 채널과 제 3 전극 채널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고,
    상기 제 4 전극 채널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2 전극 채널과 제 6 전극 채널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며,
    상기 제 5 전극 채널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1 전극 채널과 제 3 전극 채널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전류 파형이 인가되고,
    상기 제 6 전극 채널의 양극 단자 스트립에서 제 2 전극 채널과 제 4 전극 채널의 음극 단자 스트립으로 간섭파 하층 전류 파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KR1020170180877A 2017-12-26 2017-12-27 러시안 전류를 통한 코어근육자극 휴대용 바디슬리머 KR102113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53,991 US10625077B2 (en) 2017-12-26 2017-12-26 Portable body slimmer to stimulate core muscle with Russian current
US15/853,991 2017-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440A true KR20190078440A (ko) 2019-07-04
KR102113383B1 KR102113383B1 (ko) 2020-05-21

Family

ID=6694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877A KR102113383B1 (ko) 2017-12-26 2017-12-27 러시안 전류를 통한 코어근육자극 휴대용 바디슬리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25077B2 (ko)
KR (1) KR102113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3534B3 (de) 2012-07-05 2013-09-19 Tobias Sokolowski Vorrichtung für repetitive Nervenstimulation zum Abbau von Fettgewebe mittels induktiver Magnetfelder
US11491342B2 (en) 2015-07-01 2022-11-08 Btl Medical Solutions A.S. Magnetic stimul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therapeutic treatments
US20180001107A1 (en) 2016-07-01 2018-01-04 Btl Holdings Limited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US10695575B1 (en) 2016-05-10 2020-06-30 Btl Medical Technologies S.R.O.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US11247039B2 (en) 2016-05-03 2022-02-15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Device including RF source of energy and vacuum system
US11464993B2 (en) 2016-05-03 2022-10-11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Device including RF source of energy and vacuum system
US11534619B2 (en) 2016-05-10 2022-12-27 Btl Medical Solutions A.S.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US10583287B2 (en) 2016-05-23 2020-03-10 Btl Medical Technologies S.R.O.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treatment
US10556122B1 (en) 2016-07-01 2020-02-11 Btl Medical Technologies S.R.O.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CA3116569C (en) 2019-04-11 2023-08-15 Btl Medical Technologies S.R.O. Methods and devices for aesthetic treatment of biological structures by radiofrequency and magnetic energy
CA3173876A1 (en) 2020-05-04 2021-11-11 Tomas SCHWARZ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US11878167B2 (en) 2020-05-04 2024-01-23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GB2599351A (en) * 2020-08-27 2022-04-06 Salvatore Palermo Andrea A toning device
US11896816B2 (en) 2021-11-03 2024-02-13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2431A (ja) * 2010-03-16 2011-10-27 Air Press:Kk カプセル装置
KR101628840B1 (ko) 2014-07-24 2016-06-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연료 전환 방법 및 장치
JP2016202796A (ja) * 2015-04-28 2016-12-08 株式会社 Mtg 筋肉電気刺激装置
CN106964063A (zh) * 2015-12-28 2017-07-21 烟台万适美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高龄者复健健身穿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5304B2 (ja) * 2017-04-24 2021-06-30 株式会社 Mtg 運動器具制御装置および運動器具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2431A (ja) * 2010-03-16 2011-10-27 Air Press:Kk カプセル装置
KR101628840B1 (ko) 2014-07-24 2016-06-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연료 전환 방법 및 장치
JP2016202796A (ja) * 2015-04-28 2016-12-08 株式会社 Mtg 筋肉電気刺激装置
CN106964063A (zh) * 2015-12-28 2017-07-21 烟台万适美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高龄者复健健身穿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92853A1 (en) 2019-06-27
KR102113383B1 (ko) 2020-05-21
US10625077B2 (en)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8440A (ko)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극 채널의 구동장치
EP2106274B1 (en) Electro-stimulation device to pump blood from legs
TW201632223A (zh) 肌肉電刺激裝置
JP2002113115A (ja) バリアント方式を利用した電気治療装置
JP7463659B2 (ja) 電気刺激装置
JP2006271689A (ja) 刺激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40114190A (ko)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
KR101990560B1 (ko) 복부의 코어 근육 강화를 위한 전기 자극 장치
TW202023473A (zh) 活體刺激裝置
KR20200005899A (ko) 휴대용 미세 전류 기기
CN108721103A (zh) 一种基于蓝牙通信的低频脉冲穴位治疗慢性咽炎的理疗仪
CN107261326A (zh) 用于建立电刺激协议的过程以及使用所述协议的各电刺激便携式设备
CN116370822A (zh) 一种应用于腹盆肌肉功能恢复的系统及其使用方法
JPH1199190A (ja) 眼精疲労回復装置
JP6050470B1 (ja) 低周波パルス発生装置
EP3883639B1 (e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applying frequency and peak voltage having inverse relationship
KR20030041388A (ko) 휴대폰을 활용한 탈부착형 전기자극장치
RU57606U1 (ru) Электронейростимулятор (варианты)
CN214074716U (zh) 一种电脉冲按摩手套
JP2010172562A (ja) 電気筋肉刺激ベルト
KR101739933B1 (ko) 복부 지방 제거장치
JP2016150245A (ja) 熱および電撃による血行促進の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WO2004000417A1 (ja) 痩身および健康増進用高周波電流駆動システムおよび痩身および健康増進用高周波電流駆動装置
JPH11192283A (ja) 足裏マッサージ器の電極ソックス
RO137883A0 (ro) Dispozitiv pentru diminuarea senzaţiilor de durere prin electrostimularea trans tegumentară cu micro curenţ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