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328A - 실내의 산소농도유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동시에 처리가능토록 되는 공기청정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의 산소농도유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동시에 처리가능토록 되는 공기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328A
KR20190078328A KR1020170180185A KR20170180185A KR20190078328A KR 20190078328 A KR20190078328 A KR 20190078328A KR 1020170180185 A KR1020170180185 A KR 1020170180185A KR 20170180185 A KR20170180185 A KR 20170180185A KR 20190078328 A KR20190078328 A KR 20190078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xygen
oxygen concentration
air cleaning
volatile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773B1 (ko
Inventor
이아름드리
Original Assignee
서울샤프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샤프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샤프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7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5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active carb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F24F2003/1614
    • F24F2003/1625
    • F24F2003/169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6Oxy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물론 예상치 못한 유해가스가 발생될 경우에도 동시에 처리가 가능하면서도 외부환기를 못할 경우에 실내의 산소농도의 저하가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산소통과 전처리필터, 무기산필터, Activated Carbon 필터, 세미헤파필터, 고성능 저소음팬과 헤파필터, 산소공급기 순으로 구성되어 미세분진 제거를 위해 전처리필터, 세미헤파필터, 헤파필터 3단계로 구성하여 일반적인 공기청정기보다 처리 효율을 우수하게 한 것이고,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과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해 무기산필터, Activated Carbon 필터의 2단계로 구성하여 예상치 못한 유해가스가 유입이 되더라도 처리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겨울철 또는 미세먼지가 많은 날씨에는 외부환기를 하지 못하는 경우 실내의 산소농도 저하가 발생하여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여도 산소공급기를 통해 실내의 산소농도를 적절할게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동시에 처리가능하면서 산소농도유지가 가능토록 되는 공기청정장치{A Apparatus for air cleaning}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물론 예상치 못한 유해가스가 발생될 경우에도 동시에 처리가 가능하면서도 외부환기를 못할 경우에 실내의 산소농도의 저하가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현재 실내의 공기를 청정토록 하는 공기청정기는 통상 머리카락 굵기의 굵은 입자로 되는 큰 미세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필터(일명 프리필터)와 상기 전처리필터를 통과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나 황사 또는 생활먼지 등을 걸러내는 카본필터와 상기 카본필터를 통과하는 0.3미크론 이하의 초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헤파(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필터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필터의 구성에서는 휘발성 유지화합물의 제거가 실질적으로 카본필터를 구성하는 활성탄의 미세기공에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흡착될 경우에 이들의 제거가 불가능하여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이러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제거가 불가능한 문제점과 또한 예상치 못한 유해가스가 발생될 경우에도 이러한 유해가스의 처리가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대부분 실내의 공기를 순환토록 하면서 실내의 미세먼지나 오염원만을 제거하는 것이어서 특히 외부환기를 하지 못할 경우에는 실내의 산소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 산소농도가 19.5~21%에 해당될 경우에 편안한 일상생활이 가능하지만 이보다 낮을 경우에는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은 대기중으로 휘발돼 악취나 오존을 발생시키는 탄화수소화합물을 일컫는 말로, 피부접촉이나 호흡기 흡입을 통해 신경계에 장애를 일으키는 발암물질이고, 벤젠이나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자일렌, 에틸렌, 스틸렌, 아세트알데히드 등을 통칭하고, 이들은 대개의 경우 저농도에서도 악취를 유발하며, 화합물 자체로서도 환경 및 인체에 직접적으로 유해하거나 대기중에서 광화학반응에 참여하여 광화학산화물등 2차 오염물질을 생성하기도 하고, 주로 석유화학 정유 도료 도장공장의 제조와 저장과정, 자동차 배기가스, 페인트나 접착제 등 건축자재 등에서 발생하고 특성이 증기압이 높아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고,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과 공존 시 태양광의 작용을 받아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 및 PAN 등 광화학 산화성 물질을 생성시켜 광화학스모그를 유발하는 물질의 총칭이라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발암성 물질이며, 대기오염 및 지구온난화의 원인물질이므로 국가마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정책적으로 관리하고 있는데 ㅇ이때 유기용매는 액체 상태이므로 배출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VOC 가스는 기체 상태로 존재하므로 이를 관리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공기 또는 수질에 존재하는 미세먼지, 세균, 악취, VOC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 및 정화장치등을 사용는데 이때 사용되는 재료로서 현재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이 활성탄이다.
그러나 활성탄은 탄화된 내부에 메쉬구조를 이루고 있는 특성상 원적외선방사효과와 더불어 각종 이물질의 흡착율이 우수하여 가정은 물론, 산업현장의 공조기, 역삼투방식 혹은 중공사막방식의 여과필터를 이용하는 정수장치, 탈취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활성탄은 내부 기공이 오염물질로 포화되면 더 이상 필터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므로 주기적으로 새로운 활성탄으로 교체가 필수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외환기가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또한 황사 등에 의하여 실외환기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실내의 산소농도 유지를 위하여 공기청정기는 물론 산소발생기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등의 경제적인 문제점과 또한 공기청정기와 산소발생기를 동시에 사용하여야 함으로서 발생되는 실내공간의 점유에 따른 생활공간의 축소 등의 단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081907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31948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43306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26722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하면서도 예상치 못한 유해가스의 제거가 가능토록 함은 물론 외부환기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도 실내의 산소농도유지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산소통과 전처리필터, 무기산필터, Activated Carbon 필터, 세미헤파필터, 고성능 저소음팬과 헤파필터, 산소공급기 순으로 구성되어 미세분진 제거를 위해 전처리필터, 세미헤파필터, 헤파필터 3단계로 구성하여 일반적인 공기청정기보다 처리 효율을 우수하게 한 것이고,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과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해 무기산필터, Activated Carbon 필터의 2단계로 구성하여 예상치 못한 유해가스가 유입이 되더라도 처리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겨울철 또는 미세먼지가 많은 날씨에는 외부환기를 하지 못하는 경우 실내의 산소농도 저하가 발생하여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여도 산소공급기를 통해 실내의 산소농도를 적절할게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세미헤파필터의 사용으로 헤파필터의 효율을 장시간 유지가 가능토록 함은 물론 초 미세먼지? 걸러냄을 장시간 가능토록 함은 물론 무기산필터와 카본필터를 사용함으로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는 물론 예상치 못한 유해가스가 발생될 경우에도 무기산 필터에 의하여 처리가 가능토록 될 수 있는 것이고, 특히 외부환기를 하지 못할 경우에도 실내의 산소농도의 유지가 가능하여 건강에 유익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러한 산소농도의 유지도 복수의 산소통을 사용하면서도 일정한 압력유지가 가능토록 레귤레이터를 사용토록 함으로서 일정한 농도유지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의 무기산필터나 활성탄필터를 구성하는 일 실시 예
도3은 도2의 프레임에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흐름을 나타낸 일 실시 예
도4는 본 발명의 카트리지가 프레임에 장착되는 일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무기산 필터의 제조공정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100)의 구성은 복수의 산소통(11)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10)와 상기 저장부의 상층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탈착가능하게 전처리필터(20)가 장착되고, 상기 전처리필터(20)의 후단으로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무기산필터(30)와 휘발성유기합합물의 제거를 위한 활성탄필터(Activated Carbon 필터(40)와 초미세입자(0.3㎛이상)를 전처리 하기 위한 세미헤파필터(50)와 실내공기를 강제로 흡입토록 하기 위한 고성능 저 소음팬(60)과 고성능 저 소음팬(60)에 의하여 흡입되면서 상기 세미 헤파필터(50)를 통과한 초 미세입자(0.3㎛ 이하)를 최종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헤파필터(70)와 복수의 산소통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산소를 실내로 분사토록 하기 위한 산소토출구(16)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실내로 제공되는 산소공급은 겨울철 또는 미세먼지가 많은 날씨에는 외부환기를 하지 못하는 경우 실내의 산소농도 저하가 발생하여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을 감안하여 상기 산소토출구(16)로 산소가 토출되는 과정은 일단 사람이 생활하기 편안한 산소 농도(19.5~21%)를 유지하기 위해 공기청정장치(100)에 설치된 산소농도 측정센서(12)로 실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여 사람이 생활하기 편안한 산소 농도(19.5~21%)보다 부족할 경우에 복수의 산소통(11)과 연결된 자동밸브(13)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산소를 공급하여 산소 농도를 조절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를 위하여 산소통(11)을 4개 또는 6개 또는 9개를 설치하여 자동밸브(13)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게폐되면서 사용하도록 하여 산소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공급되는 산소량 변동이 없도록 압력을 일정하게 해주는 레귤레이터(Regulator)(14)를 토출공급관(15)에 설치하여 항상 균일한 농도와 압력으로 산소토출구(16)로 배출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무기산필터(30)에서는 유해가스가 발생될 경우에 작동되어지는 것이고 평상시에는 각종 오염물질을 흡착하게 되면서 활성탄필터(40)의 효율을 우수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기산필터(30)는 기본구성요소로 수산화마그네슘과 황토를 30:70으로 혼합한 혼합물과 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한 후 압출 성형한 후 건조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혼합물로 사용된 황토는 카틸리아제, 디페놀옥시디아제, 사카리제, 프로테아제 등의 다양한 효소 및 미생물을 함유하고 있고, 이때 효소는 독소제거, 분해력 및 공기정화 역할을 하며, 미생물은 VOC를 분해하며, 특히 악취를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혼합물로 사용된 수산화마그네슘은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공기 중의 이산화황(SO2),아세트산 등과 같은 산성가스와 중화반응을 하여 산성가스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황토와 수산화마그네슘을 무기산필터(30)로 활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효소와 미생물의 활용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물과 반죽토록 하였다.
그러나 황토가 물과 혼합될 경우에 황토의 결합력이 2/3로 저하되는 점을 감안하여 황토와 수산화마그네슘을 반죽 형태로 전처리하여 이를 가온되지 않은 상태에서 압출하여 일정한 형태로 성형토록 하고 건조할 경우에도 가온되지 않은 상태 즉 반드시 상온에서 건조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압출성형의 용이성과 성형성의 안전성은 물론 건조 후 균열방지를 위하여 반죽토록 한 것이고, 이러한 반죽은 반죽한 이후에 황토가 손에 묻어나지 않을 정도로 물을 혼합한 후 반죽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반죽을 위하여 물과 혼합되는 혼합물에 해당되는 황토와 수산화마그네슘의 혼합비율을 70:30으로 하였는데 오차범위는 ±5의 범위에서 가능토록 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혼합물에서 황토 비율이 상기의 오차범위를 넘어 높아질 경우 수산화마그네슘에 의한 산성가스 제거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만일 수산화마그네슘 비율이 오차범위를 넘어 높아질 경우 점도가 떨어져 반죽의 어려움과 성형된 이후에 건조과정에서 부스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필터로 사용치 못하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반죽을 위하여 상기 혼합물과 물의 혼합비율을 9:1로 할 경우에 가장 우수한 반죽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이러한 반죽상태에서 압출성형할 경우에 성형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건조 이후에도 가장 조밀한 표면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만일 혼합물과 물을 8:2로 혼합하였을 경우에 반죽이 되지 않아 성형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잇고 반죽후 일정시간이 경과토록 하여 물이 증발토록 할 경우에도 혼합물과 물과의 혼합되어짐이 균일치 못하여 펠릿상태로 압출성형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혼함물과 물의 혼합비율을 9.5:0.5로 할 경우에는 물의 함유량이 너무 적어 반죽에 어려움이 있어 장시간이 소요되어야 반죽되어짐으로 비 경제적이고 반죽되었을 경우에도 압출성형시 압출기에 많은 부하가 발생됨을 확인하였고 만일 물의 혼합비율을 0.5이하로 할 경우에는 반죽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물의 혼합비율을 1.5이상으로 할 경우에도 반죽이 이루어지는데 반하여 압출성형시 형태의 변형이 발생되거나 또는 건조 후에 밀도가 떨어져 건조 이후에 부서짐 등이 발생되거나 공극이 노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흡착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혼합물과 물의 비율을 적정비율인 9:1에서 오차범위를 ±0.4로 할 경우에 반죽의 용이성이나 또는 성형의 용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압출 방식으로는 강제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지름이 1~3㎜이면서 길이는 5㎜의 펠릿(1)형태로 성형하였고 이는 무기산 필터(30)나 활성탄필터(40)에 탈착되어지는 통기 가능한 카트리지(80)에 충전할 경우에 채움시 적당한 공극유지가 가능하여 통기성이 우수하면서도 부서짐 등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펠릿(1)형태로 압출성형할 경우에 소성과정을 거치지 않토록 함으로서 즉 열을 가하지 않음으로서 황토의 효소와 미생물의 활성을 그대로 활용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건조시에는 상온에서 자연건조토록 한 것이고, 만일 열풍을 사용할 경우에는 건조이후에 균열등에 의하여 여과효능이 현저하게 떨어짐을 확인토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15℃의 범위에서 응달진 곳에서 2일간 통기가 가능한 상태로 건조토록 함으로서 가장 우수한 생산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10℃의 온도에서 건조토록 할 경우에는 2일 이상이 소요되어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고 부분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그러나 30℃에서 건조토록 할 경우에는 건조시간이 단축되는 점은 있으나 부분적으로 펠릿(1)상으로 성형된 표면에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적절한 건조온도는 압출성형된 펠릿의 생산성등을 감안하여 15℃±3℃에서 건조할 경우에 가장 우수한 건조효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 산성 물질을 중화시키고, 배출가스에서 SO2와 H2S를 포획할 수 있는 석회석을 혼합토록 함으로서 반죽의 용이성이나 또 다른 효능이 가능함을 확인토록 하였다.
이때에도 수산화마그네슘은 동일한 함량(30 중량%±5)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황토(70중량%±5)에 석회석을 적당량 혼합토록 함으로서 반죽이나 건조상태의 동일한 효능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무기산필터(30)와 활성탄필터(40)는 활성탄(2)과 펠릿(1)상으로 성형된 것을 채움가능하면서 통기 가능한 카트리지(80)에 충분하게 채움토록 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가 탈착가능한 프렘일을 사용하였고, 상기 프레임(90)은 무기산필터(30)나 활성탄 필터(40)의 표면적을 크게 하기 위하여 영문자 더불유의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90)의 4변(91,92,93,94)에 카트리지(80)가 각각 탈착가능한 개구부(91a,92a,93a,94a)를 구비토록 하고 상기 프레임(90)을 공기청정장치(100)에 장착할 경우에 뒤집은 상태로 장착함으로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넓은 면적에 의하여 원활하여 진입되어지고 진입된 상태에서는 좁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진입속도가 바르게 되고 동시에 서로 대응되게 경사지면서 이루어지는 개구부로 진입된 실내공기가 분산되어지면서 상승토록 하여 제거효율을 우수하게 하면서도 개구부에 장착된 카트리지(80)의 간단한 교환만으로 부분적인 필터(카트리지)의 교환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미세분진 제거를 위해 전처리필터(20), 세미헤파필터(50), 헤파필터(70) 3단계로 구성하여 일반적인 공기청정기보다 처리 효율을 우수하게 한 것이고,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과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해 무기산필터(30), 활성탄 필터(40)의 2단계로 구성하여 예상치 못한 유해가스가 유입이 되더라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활성탄필터(40)는 탄소질의 원료로 제조되는 미세 세공이 잘 발달된 무정형 탄소의 집합체로서, 활성화 과정을 통해 분자 크기 정도의 미세세공이 형성되어 큰 내부표면적을 갖는 흡착제이고, 이러한 활성탄은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와 일반적인 유해가스를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기능도 갖는 것이다.
또한 헤파필터(70)의 효율향상을 위하여 세미헤파필터(50)를 팬(60)의 전단계에 설치토록 함으로서 초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헤파틸터의 효율(사용기간의 연장)을 향상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헤파필터(70)는 0.3미크론 이하의 초 미세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것인데 무기산필터(30)와 활성탄 필터(40)를 통과한 입자들이 초 미세입자가지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통상 0.3미크론 이상의 크기가 헤파필터(70)로 진입될 경우에 헤파필터(70)의 제거효율(사용기간)이 낮아지게 되는 점을 개선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복수의 산소통(11)에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산소는 산소토출구(16)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고, 이때 헤파필터(7)를 통과한 정화되어진 공기와 동시에 실내로 배출되어지는 것이어서 실내의 산소농도유지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펠릿 2:활성탄
10:산소통저방부 11:산소통
12:산소농도측정센서 13:자동밸브
14:레귤레이터 15:토출공급관
20:전체리필터
30:무기산필터
40:활성탄필터
50:세미헤파필터
60:팬
70;헤파필터
80:카트리지
90:프레임
91,92,93,94:4변
91a,92a,93a,94a:개구부

Claims (5)

  1. 복수의 산소통(11)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10)와;
    상기 저장부의 상층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처리필터(20)와;
    상기 전처리필터(20)의 후단으로 연속하여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무기산필터(30)와;
    휘발성유기합합물의 제거를 위한 활성탄필터(Activated Carbon)(40)와;
    초미세입자(0.3㎛이상)를 전처리 하기 위한 세미헤파필터(50)와;
    실내공기를 강제로 흡입토록 하기 위한 고성능 저 소음팬(60)과;
    고성능 저 소음팬(60)에 의하여 흡입되면서 상기 세미 헤파필터(50)를 통과한 초 미세입자(0.3㎛ 이하)를 최종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헤파필터(70)와;
    복수의 산소통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산소를 실내로 분사토록 하기 위한 산소토출구(16)로 이루어진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동시에 처리가능하면서 산소농도유지가 가능토록 되는 공기청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로 산소토출구를 통하여 제공되는 산소공급은 사람이 생활하기 편안한 산소 농도(19.5~21%)를 유지하기 위해 공기청정장치(100)에 설치된 산소농도 측정센서(12)와;
    상기 실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여 사람이 생활하기 편안한 산소 농도(19.5~21%)보다 부족할 경우에 복수의 산소통(11)에 각각 연결된 자동밸브(13)와;
    상기 자동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산소량 변동이 없도록 압력을 일정하게 해주는 레귤레이터(Regulator)(14)를 토출공급관(15)에 설치하여 항상 균일한 농도와 압력으로 산소토출구(16)로 토출 토록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동시에 처리가능하면서 산소농도유지가 가능토록 되는 공기청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산필터(30)는 수산화마그네슘과 황토를 30:70으로 혼합한 혼합물과 물을 9:1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한 후 가온하지 않은 상태에서 펠릿상으로 압출 성형하여 상온에서 건조토록 한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동시에 처리가능하면서 산소농도유지가 가능토록 되는 공기청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산 필터 또는 활성탄 필터는 통기 가능한 카트리지(80)에 충전한 상태에서 카트리지가 4변을 갖는 프레임의 개구부에 탈착되어지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동시에 처리가능하면서 산소농도유지가 가능토록 되는 공기청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90)은 무기산필터(30)나 활성탄 필터(40)의 표면적을 크게 하기 위하여 영문자 더불유의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90)의 4변(91,92,93,94)에 카트리지(80)가 각각 탈착가능한 개구부(91a,92a,93a,94a)를 구비토록 하고 상기 프레임(90)을 공기청정장치(100)에 장착할 경우에 뒤집은 상태로 장착함으로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넓은 면적에 의하여 원활하여 진입되어지고 진입된 상태에서는 좁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진입속도가 빠르게 되고 동시에 서로 대응되게 경사지면서 이루어지는 개구부로 진입된 실내공기가 분산되어지면서 서서히 상승토록 하여 제거효율을 우수하게 하면서도 개구부에 장착된 카트리지(80)의 간단한 교환만으로 부분적인 필터(카트리지)의 교환이 가능토록 한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동시에 처리가능하면서 산소농도유지가 가능토록 되는 공기청정장치.
KR1020170180185A 2017-12-26 2017-12-26 실내의 산소농도유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동시에 처리가능토록 되는 공기청정장치 KR102152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185A KR102152773B1 (ko) 2017-12-26 2017-12-26 실내의 산소농도유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동시에 처리가능토록 되는 공기청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185A KR102152773B1 (ko) 2017-12-26 2017-12-26 실내의 산소농도유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동시에 처리가능토록 되는 공기청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328A true KR20190078328A (ko) 2019-07-04
KR102152773B1 KR102152773B1 (ko) 2020-09-07

Family

ID=6725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185A KR102152773B1 (ko) 2017-12-26 2017-12-26 실내의 산소농도유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동시에 처리가능토록 되는 공기청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7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6630A (zh) * 2020-06-02 2020-08-14 中国科学院地球环境研究所 一种用于室内的空气净化装置
KR102158452B1 (ko) * 2020-08-19 2020-09-21 주성필 연소가스 정화장치
CN115371192A (zh) * 2022-08-02 2022-11-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净化器及其控制方法、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720A (ko) * 2001-07-23 2003-02-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발생 겸용 공기정화기
KR20120081907A (ko) 2011-01-12 2012-07-20 류상우 산소공급 조절장치가 탑재된 공기청정기
KR101443306B1 (ko) 2011-12-26 2014-09-30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하이브리드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39988A (ko) * 2015-05-29 2016-12-07 주식회사 피켐에프코리아 공기 정화 장치
KR101726722B1 (ko) 2015-03-17 2017-05-11 바이오세라 주식회사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황토-탄소입자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720A (ko) * 2001-07-23 2003-02-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발생 겸용 공기정화기
KR20120081907A (ko) 2011-01-12 2012-07-20 류상우 산소공급 조절장치가 탑재된 공기청정기
KR101443306B1 (ko) 2011-12-26 2014-09-30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하이브리드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6722B1 (ko) 2015-03-17 2017-05-11 바이오세라 주식회사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황토-탄소입자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9988A (ko) * 2015-05-29 2016-12-07 주식회사 피켐에프코리아 공기 정화 장치
KR101731948B1 (ko) 2015-05-29 2017-05-02 주식회사 피켐에프코리아 공기 정화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6630A (zh) * 2020-06-02 2020-08-14 中国科学院地球环境研究所 一种用于室内的空气净化装置
CN111536630B (zh) * 2020-06-02 2021-07-27 中国科学院地球环境研究所 一种用于室内的空气净化装置
KR102158452B1 (ko) * 2020-08-19 2020-09-21 주성필 연소가스 정화장치
CN115371192A (zh) * 2022-08-02 2022-11-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净化器及其控制方法、装置
CN115371192B (zh) * 2022-08-02 2024-05-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净化器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773B1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4966B2 (ja) 熱分解法を用いて室内空気汚染物質を除去する空気浄化装置
KR101962356B1 (ko) 살균, 탈취 및 유해물질 제거가 우수한 복합형 필터부를 갖는 공기정화기
CN108568213B (zh) 台桌式实验室空气污染物去除机
CN102811794B (zh) 基于原位光催化氧化和臭氧化使用增强的多功能涂层的空气净化系统和方法
KR102152773B1 (ko) 실내의 산소농도유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유해가스를 동시에 처리가능토록 되는 공기청정장치
EP1499836A1 (en) Air cleaner filter system capable of nano-confined catalytic oxidation
KR102068434B1 (ko) 건식 및 습식 방식에 의해 유해물질 제거가 용이한 다단식 순차형 필터부를 갖는 산업용 공기정화기
CN101590347A (zh) 可高效除去挥发性有机气体的立式室内空气净化器
CN203442966U (zh) 空气净化与制氧一体化装置
KR20120119475A (ko) 복합 공기청정장치
CN101590256A (zh) 室内空气立式高效净化和调湿器
CN200986274Y (zh) 多功能空气净化器
CN101590261A (zh) 卧式光催化氧化室内空气净化器
CN101590265A (zh) 卧式室内空气紫外线灭菌和过滤净化器
CN107314456A (zh) 可高效除去挥发性有机气体的立式室内空气净化器
CN101590251A (zh) 以臭氧氧化为主的卧式室内空气净化器
CN203687223U (zh) 一种多功能空气净化器
JP2004513773A (ja) 悪臭ガスまたは有害ガスの多段階式浄化システム
CN107327954A (zh) 带有调湿功能的卧式室内空气高效净化器
CN101590267A (zh) 光催化氧化的立式室内空气净化器
AU2018100807A4 (en) An Air purification system
CN108554042A (zh) 立式室内空气臭氧净化器
WO2015068521A1 (ja) 有害物含有ガス処理装置
CN101590260A (zh) 立式室内空气臭氧净化器
KR20230081778A (ko) VOCs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80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311

Effective date: 20200618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