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038A - 지하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038A
KR20190078038A KR1020170179714A KR20170179714A KR20190078038A KR 20190078038 A KR20190078038 A KR 20190078038A KR 1020170179714 A KR1020170179714 A KR 1020170179714A KR 20170179714 A KR20170179714 A KR 20170179714A KR 20190078038 A KR20190078038 A KR 20190078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fluid storage
groundwater
soil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3026B1 (ko
Inventor
송재활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9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0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지하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지하탱크 누출감지 시스템은 지하수를 포함하는 토양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며, 석탄 가스화 공정의 응축수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 탱크; 상기 유체 저장 탱크 주변의 상기 토양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양의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유체 저장 탱크의 매립된 깊이보다 깊게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측정; 상기 관측정 내에 배치되는 측정 센서; 및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의 상기 응축수가 상기 토양 내의 지하수에 혼합되면서 변화하는 전기 전도도 변화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측정은 측면을 통해 상기 토양 내의 지하수가 드나들 수 있는 관통 홈을 갖는다. 상기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관측정 내로 유입된 지하수의 전기전도도를 상기 기준 데이터의 전기 전도도와 비교하여 상기 유체 저장 탱크의 누수 여부를 판별한다.

Description

지하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LEAK DETECTING SYSTEM FOR UNDERGROUND STORAGE TANK}
본 발명은 지하탱크 누출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혹은 탱크의 누출을 검사하기 위하여 보통 입구와 출구를 밀폐하고 압력을 가하거나, 감한 후 압력의 변화를 읽거나, 일정량의 물을 채운 후 수 위변화를 읽어서 누출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또한, 기체의 경우 가압 후 채결부위, 외피 등을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비눗물을 이용하여 누출부위를 찾기도 한다. 이와 같은 누출 검사 방법으로는 탱크 내의 응축수의 누출을 검사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지하탱크 누출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탱크 누출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지하탱크 누출감지 시스템은 지하수를 포함하는 토양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는 유체 저장 탱크; 상기 유체 저장 탱크 주변의 상기 토양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양의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유체 저장 탱크의 매립된 깊이보다 깊게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측정; 상기 관측정 내에 배치되는 측정 센서; 및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의 유체가 상기 토양 내의 지하수에 혼합되면서 변화하는 전기 전도도 변화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측정은 측면을 통해 상기 토양 내의 지하수가 드나들 수 있는 관통 홈을 갖는다. 상기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관측정 내로 유입된 지하수의 전기전도도를 상기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유체 저장 탱크의 누수 여부를 판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관측정 내에 유입되는 지하수 샘플과,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되는 유체와 동일한 유체를 상기 지하수 샘플에 포함시키면서 측정한 전기 전도도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지하수 샘플에 포함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측정되는 전기전도도 변화에 대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탱크 누출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지하탱크 누출감지 시스템은 지하수를 포함하는 토양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며, 석탄 가스화 공정의 응축수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 탱크; 상기 유체 저장 탱크 주변의 상기 토양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양의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유체 저장 탱크의 매립된 깊이보다 깊게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측정; 상기 관측정 내에 배치되는 측정 센서; 및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의 상기 응축수가 상기 토양 내의 지하수에 혼합되면서 변화하는 전기 전도도 변화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측정은 측면을 통해 상기 토양 내의 지하수가 드나들 수 있는 관통 홈을 갖는다. 상기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관측정 내로 유입된 지하수의 전기전도도를 상기 기준 데이터의 전기 전도도와 비교하여 상기 유체 저장 탱크의 누수 여부를 판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관측정 내에 유입되는 지하수 샘플과,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되는 응축수와 동일한 응축수를 상기 지하수 샘플에 포함시키면서 측정한 전기 전도도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지하수 샘플에 포함되는 상기 응축수의 양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측정되는 전기전도도 변화에 대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는 석탄가스화 공정의 응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관측정에 유입되는 지하수 샘플에 응축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포함시킨 샘플들의 전기전도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측정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석탄가스화 공정의 응축수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 탱크의 주변에 설치되는 관측정을 통하여 얻어지는 지하수의 전기전도도를 상기 측정부의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서, 석탄가스화 공정의 조업을 중단하지 않고도 상기 유체 저장 탱크의 누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탱크 누출감지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또는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장치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장치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크기 및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생산 기술, 장치 구성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기계 장치 또는 강재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탱크 누출감지 시스템의 예시적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탱크 누출감지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토양(10) 내에 반매립된 유체 저장 탱크(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는 유체(30)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의 상기 유체(30)는 석탄가스화 공정 설비(4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는 상기 석탄가스화 공정 설비(40)와 드레인 라인(35)으로 연결되어, 상기 석탄가스화 공정 설비(40)에서 발생하는 유체, 즉 상기 응축수(30)를 상기 드레인 라인(35)을 통해서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 내에 저장되는 상기 유체, 즉 응축수(30)의 수위(30s)는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는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의 상부에 밀폐되지 않는 덮게(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 내에 상기 유체(30)가 상기 드레인 라인(35)을 통해서 공급되더라도,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 내의 압력은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는 해안 매립지 또는 해안과 가까운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가 설치되는 상기 토양(10)은 조수간만의 영향으로 수위가 변화하는 지하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양(10) 내의 상기 지하수는 제1 수위(15a)에서 상기 제1 수위(15a) 보다 깊은 제2 수위(15b)로 변화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수위(15b)에서 상기 제1 수위(15a)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 주변의 상기 토양(10) 내에 하나 또는 복수의 관측정(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측정(50)은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의 매립된 깊이보다 더 깊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측정(50)은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의 매립된 깊이보다 약 1.5 배 깊이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관측정(50)은 상기 관측정(50)의 사이드에 위치하는 관통홈(5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홈(50a)은 상기 지하수가 드나들 수 있는 빗살무늬틈 또는 천공일 수 있다. 상기 관측정(50)은 해안 매립지의 해수의 영향으로 견딜 수 있는 내식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측정(50) 내에 측정 센서(65)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센서(65)는 상기 관측정(50) 내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전도도 측정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관측정(50) 상에 측정부(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60)는 상기 측정 센서(65)와 전기적 신호 또는 통신 신호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부(60)는 상기 측정 센서(65)에 의해 측정된 상기 관측정(50) 내에 유입된 지하수의 전기전도도를 이용하여, 상기 관측정(50) 내에 유입된 지하수 내에 상기 유체, 즉 상기 응축수(30)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관측정(50)이 해양 매립지 등과 같은 해양과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관측정(50)과 해야 사이의 거리에 따라, 지하수에 포함하는 해수의 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측정(50)의 위치에 따라 지하수의 전기 전도도 값은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부(60)는 상기 관측정(50) 내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이용하여 얻어진 아래의 [표 1]과 같은 기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함유량 [vo1 %] 전기전도도 [mS/cm]
샘플 1 0.010 41.4
샘플 2 0.025 41.4
샘플 3 0.050 41.4
샘플 4 0.249 41.4
샘플 5 0.498 41.4
샘플 6 2.439 40.7
샘플 7 4.762 39.9
샘플 8 6.977 39.2
샘플 9 9.091 38.5
샘플 10 13.043 37.2
샘플 11 20.000 35.1
[표 1]의 기준 데이터는 상기 관측정(50)의 상기 관통홈(50a)을 통하여 상기 관측정(50) 내로 유입된 지하수 샘플에,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 내에 저장되는 상기 유체(30)와 동일한 유체를 상기 지하수 샘플에 포함시키면서 측정한 전기 전도도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지하수 샘플에 포함하는 상기 유체의 양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측정되는 전기전도도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과 같이 상기 관측정(50)의 상기 관통홈(50a)을 통하여 상기 관측정(50) 내로 유입된 지하수 샘플에, [표 1]에서의 샘플 1-11에서와 같은 유체의 양을 포함시키면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고, 이와 같이 측정하여 얻어진 전기전도도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데이터로 하여 상기 측정부(6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일 수 있다.
[표 1]에서, 샘플 1-5는 전기전도도 값의 변화가 없고, 샘플 6 부터 전기 전도도 값이 낮아지도록 변화하고 있다.
상기 측정부(60)에 저장되는 [표 1]과 같은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센서(65)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관측정(50) 내의 지하수의 전기 전도도 값으로부터 상기 지하수 내에 상기 응축수(30)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 센서(65)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관측정(50) 내의 지하수의 전기 전도도가 상기 측정부(60)에 저장된 기준 전기전도도, 예를 들어 샘플 1-5의 전기전도도와 같다면,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의 응축수(30)의 누수가 없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측정 센서(65)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관측정(50) 내의 지하수의 전기 전도도가 샘플 6-11의 전기전도도와 같이 상술한 기준 전기전도도 보다 낮아진다면,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에서 응축수(30)가 누수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샘플 6-11의 전기전도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에서 응축수(30)가 어느 정도로 누수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60)는 상기 관측정(50)의 측면의 상기 관통홈(50a)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 샘플에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에 저장되는 응축수(30)와 동일한 응축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포함시킨 샘플들의 전기전도도에 대한 [표 1]과 같은 기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석탄가스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30)를 저장하는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의 주변에 설치되는 상기 관측정(50)을 통하여 얻어지는 지하수의 전기전도도를 상기 측정부(60)의 상기 기준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서, 석탄가스화 공정의 조업을 중단하지 않고도 상기 유체 저장 탱크(20)의 누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토양
10s : 지표면
20 : 유체 저장 탱크
22 : 상부 덮개
30 : 응축수
30s : 응축수 표면
35 : 응축수 드레인 라인
40 : 석탄가스화 공정 설비
50 : 관측정
50a : 홈
65 : 전기전도도 센서
60 : 측정부

Claims (7)

  1. 지하수를 포함하는 토양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는 유체 저장 탱크;
    상기 유체 저장 탱크 주변의 상기 토양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양의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유체 저장 탱크의 매립된 깊이보다 깊게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측정, 상기 관측정은 측면을 통해 상기 토양 내의 지하수가 드나들 수 있는 관통 홈을 갖고;
    상기 관측정 내에 배치되는 측정 센서; 및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의 유체가 상기 토양 내의 지하수에 혼합되면서 변화하는 전기 전도도 변화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관측정 내로 유입된 지하수의 전기전도도를 상기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유체 저장 탱크의 누수 여부를 판별하는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관측정 내에 유입되는 지하수 샘플과,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되는 유체와 동일한 유체를 상기 지하수 샘플에 포함시키면서 측정한 전기 전도도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지하수 샘플에 포함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측정되는 전기전도도 변화에 대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
  4. 지하수를 포함하는 토양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며, 석탄 가스화 공정의 응축수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 탱크;
    상기 유체 저장 탱크 주변의 상기 토양 내에 배치되며, 상기 토양의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유체 저장 탱크의 매립된 깊이보다 깊게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측정, 상기 관측정은 측면을 통해 상기 토양 내의 지하수가 드나들 수 있는 관통 홈을 갖고;
    상기 관측정 내에 배치되는 측정 센서; 및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의 상기 응축수가 상기 토양 내의 지하수에 혼합되면서 변화하는 전기 전도도 변화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관측정 내로 유입된 지하수의 전기전도도를 상기 기준 데이터의 전기 전도도와 비교하여 상기 유체 저장 탱크의 누수 여부를 판별하는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관측정 내에 유입되는 지하수 샘플과,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되는 응축수와 동일한 응축수를 상기 지하수 샘플에 포함시키면서 측정한 전기 전도도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지하수 샘플에 포함되는 상기 응축수의 양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측정되는 전기전도도 변화에 대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탱크누출감지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는 석탄가스화 공정의 응축수인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

KR1020170179714A 2017-12-26 2017-12-26 지하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 KR102043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14A KR102043026B1 (ko) 2017-12-26 2017-12-26 지하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14A KR102043026B1 (ko) 2017-12-26 2017-12-26 지하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038A true KR20190078038A (ko) 2019-07-04
KR102043026B1 KR102043026B1 (ko) 2019-11-11

Family

ID=6725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714A KR102043026B1 (ko) 2017-12-26 2017-12-26 지하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695A1 (ko) * 2022-11-07 2024-05-16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지중매설 관로의 누수감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826A (ko) * 2002-08-12 2004-02-18 (주)지오그린21 강우 연동형 지중 오염 추적자 실험장치
KR101794789B1 (ko) * 2016-11-18 2017-11-08 (주)동명엔터프라이즈 관정에 포집된 유류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이용하여 유류저장시설의 누유를 검출하는 누유검출장치
KR20170136306A (ko) * 2016-06-01 2017-12-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저항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826A (ko) * 2002-08-12 2004-02-18 (주)지오그린21 강우 연동형 지중 오염 추적자 실험장치
KR20170136306A (ko) * 2016-06-01 2017-12-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저항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시스템
KR101794789B1 (ko) * 2016-11-18 2017-11-08 (주)동명엔터프라이즈 관정에 포집된 유류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이용하여 유류저장시설의 누유를 검출하는 누유검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695A1 (ko) * 2022-11-07 2024-05-16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지중매설 관로의 누수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026B1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amanchuk et al. Detection of CO2 leakage from a simulated sub-seabed storage site using three different types of pCO2 sensors
CN104515730B (zh) 高温高压实时监测溶氧、pH的缓蚀剂评价装置及检测方法
CN107101929A (zh) 混凝土抗渗性能试验装置
US47407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leaks in a multiple layer geomembrane liner
WO2014139236A1 (zh) 三维流速矢量能量与质量测量仪
US4751467A (en) System for determining liquid flow rate through leaks in impermeable membrane liners
CN104459093A (zh) 钢筋混凝土结构的氯离子浓度检测装置及其无损检测方法
KR20190078038A (ko) 지하 탱크 누출감지 시스템
CN108731635A (zh) 一种大坝深水区大变形沉降观测装置及方法
KR101911594B1 (ko) 누유 검출 장치 및 시스템
CN102445249B (zh) 一种防水水位探头
CN105258761B (zh) 一种气泡式水位计以及一种水体内含沙量检测方法
CN203216681U (zh) 密封水箱充压模拟水深试验装置
KR101997962B1 (ko)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누유검출방법
CN206920292U (zh) 混凝土抗渗性能试验装置
CN103592002B (zh) 一种适用于真空预压地基处理技术的地下水位测试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338915B1 (ko) 토양 및 지하수 오염탐지 시스템
CN107607680A (zh) 一种海洋沉积物中甲烷含量的测试装置
Roldão et al. ‘In situ’determination of the dilution efficiency of submarine sewage outfall’s with the help of fluorescent dye tracers
US20210278306A1 (en) Method of sensing leaking gas
CN209624307U (zh) 一种工程地质勘察装置
CN210269439U (zh) 一种防渗复合土工膜的测试系统
CN207396433U (zh) 一种海洋沉积物中甲烷含量的测试装置
Uchimoto et al. A preliminary experiment on the detection of bubbles in the sea with side-scan sonar
KR20090015431A (ko) 펜스형 전극배치 침출수 누출검지 장치를 이용한위생매립지의 구획분할 누출검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