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962B1 -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누유검출방법 - Google Patents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누유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962B1
KR101997962B1 KR1020170063855A KR20170063855A KR101997962B1 KR 101997962 B1 KR101997962 B1 KR 101997962B1 KR 1020170063855 A KR1020170063855 A KR 1020170063855A KR 20170063855 A KR20170063855 A KR 20170063855A KR 101997962 B1 KR101997962 B1 KR 101997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case
oil
electric conductivity
conductiv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9000A (ko
Inventor
이순재
이상길
김봉주
권규상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3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962B1/ko
Publication of KR2018012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of the fl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오일탱크 부근의 토양에 매설되어 오일이나 강우의 유입시 수분의 함량과 전기전도도 변화를 측정하는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와,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토양의 전기적 정보를 획득하는 계측기와; 상기 계측기에서 획득된 토양의 전기적 정보로부터 상기 오일탱크의 누유 여부를 판단하는 누유판단부와; 상단부에 오일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양 및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가 내부공간으로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공급되어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를 전처리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수용되는 자연수와;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연통되고 U자 형상의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자연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제한하되, 상기 케이스에 오일이 유입되어 상기 자연수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자연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유도하는 수리제어 트랩을 포함하며, 신속한 탐지가 가능하고, 강우의 유입에 의해 플러싱(flushing)이 발생하여 누유와 강우 신호가 서로가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토양수분함량과 토양전기전도도의 동시 감소를 통해 유류 누출을 검측이 가능하며, 강우 유입에 관계없이 누유 검측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누유검출방법{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OIL LEAKAGE USING SOIL MOISTURE/ELECTRICAL CONDUCTIVITY SENSOR AND HYDRAULIC CONTROL TRAP}
본 발명은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탱크의 외부 지하환경으로 유출된 유류의 검출에 오일탱크와 인접한 토양에 매설이 가능한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를 이용하여 신속한 탐지가 가능하되, 수리제어를 이용하여 누유 검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유류저장 탱크의 누유 감지기법에는 미감압법이나 자외선법 등이 있고, 이러한 기술들은 압력이나 자외선을 이용하여 탱크 내부의 수위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탱크의 누유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0899979호(2009.06.01. 공고)에 기재된 미감압법을 이용한 유류 저장 탱크의 누출 검사 시스템은 유류 저장 탱크 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형 개구부에 각기 삽입 결합되어 밀폐하는 배관 폐쇄구, 압력 유체를 발생하여 유류 저장 탱크 내로 공급하는 압력 유체 발생 수단과, 선택되는 특정의 배관 폐쇄구에 장착되어 사용되며 유류 저장 탱크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다수개의 배관 폐쇄구 측과 연결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유류 저장 탱크 내의 압력 유체가 유입되는 다수개의 압력 유입구를 갖고 압력 유입구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다수개의 압력 센서를 내장하며 온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압력 센서와 온도 센서에서 검출되는 다수개의 결과값을 동시에 기록 및 표시하는 검출 기록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누출 검사 시스템은 온도 센서와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탱크 내부의 온도에 따른 유류의 압력을 측정하여 저장된 유류의 누출 여부를 감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들은 내부 직경이 비교적 큰 탱크에서 미량의 유류가 누출될 경우, 탱크 내부의 수위 변화가 미미하므로 탐지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출된 유류가 탱크 주변의 토양 및 지하수와 같은 외부환경에 미치는 오염 위치나 오염 정도의 파악에는 어떠한 정보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탱크 외부의 지하환경에서 유출된 유류에 대한 탐지 기술이 요구된다.
오일탱크의 누유를 감지하기 위한 다른 종래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6560호(2013.09.30. 공개)에는 유류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유류의 수위를 계측하여 누유량을 산정하는 "자동 누유감지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등록특허공보 제10-1500515호(2015.03.10. 공고)에는 유류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동되는 누유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누유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유류저장소의 누유감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탱크외부의 지하환경에서 유출된 유류에 대한 탐지 기술의 대안으로 수리제어와 TDR센서를 이용한 누유검출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기술은 연직방향의 토양컬럼에 수리제어장치를 연결하고 전해질용액을 부과하여 매질체의 기저저항치를 강하시킨 후 경유를 부과하였을 때, 플러싱(flushing)과 함께 저항상승을 관측하여 누유를 검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누유의 유입뿐만 아니라 강우의 유입으로도 플러싱(flushing)이 발생할 수 있어 실제 현장 적용시에 누유와 강우 신호가 서로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수리제어장치의 배경수로써 전해질용액의 주입은 TDR센서 및 수리제어장치의 부식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탱크의 외부 지하환경으로 유출된 유류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수리제어시스템을 보완하여 누유신호와 강우신호를 구별하여 강우시에도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누유검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는 오일탱크 부근의 토양에 매설되어 오일이나 강우의 유입시 수분의 함량과 전기전도도 변화를 측정하는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와,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토양의 전기적 정보를 획득하는 계측기와; 상기 계측기에서 획득된 토양의 전기적 정보로부터 상기 오일탱크의 누유 여부를 판단하는 누유판단부와; 상단부에 오일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양 및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가 내부공간으로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공급되어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를 전처리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수용되는 자연수와;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연통되고 U자 형상의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자연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제한하되, 상기 케이스에 오일이 유입되어 상기 자연수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자연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유도하는 수리제어 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는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가 복수의 센서 막대봉과, 상기 센서 막대봉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일단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계측기에 연결된 연결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수위균형 케이스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수위균형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와 U자 형상의 튜브에 의해 연통되고, 일측에 우수 배출용 배출구가 형성되어 오일 또는 우수의 유입시 상기 케이스와의 수위의 균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방법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케이스의 내부에 토양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이 수용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자연수를 공급하여 센서가 매립될 위치 주변의 토양의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가 높게 되도록 자연수로 전처리하는 단계와, 자연수로 전처리된 상기 토양에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를 매립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가 매립된 상기 누유검출장치를 오일탱크의 주변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오일탱크 주변에 배치된 상기 누유검출장치에 유입되는 우수 또는 오일에 의해 토양의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가 변화하는 것을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토양의 전기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토양의 전기적 정보로부터 상기 오일탱크의 누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유 검출 장치는 오일탱크의 외부 지하환경으로 유출된 유류의 검출에 오일탱크와 인접한 토양에 매설이 가능한 센서를 이용하여 신속한 탐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강우의 유입에 의해 플러싱(flushing)이 발생하여 누유와 강우 신호가 서로가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토양수분함량과 토양전기전도도의 동시 감소를 통해 유류 누출을 검측이 가능하며, 강우 유입에 관계없이 누유 검측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유검출장치가 오일탱크의 주변에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를 이용한 누유검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누유검출장치의 케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의한 누유검출장치에서 경유 및 자연수 유입시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의한 누유검출장치에서 경유 및 자연수 유입시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누유검출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 검출 장치(1)는 계측기(2)와, 누유판단부(3)와, 케이스(10)와,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20)와, 수리제어 트랩(30)과, 자연수(40)과, 흐름유도매질체(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탱크(T) 부근의 토양(S)에 매설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센서 막대봉으로 구성되며 지지부(11)를 통해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11)의 정류 다이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결케이블을 통해 상기 계측기와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11)는 상기 센서(20)의 일단을 지지하고 정류 다이오드가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 (20)의 일단을 지지하고, 정류 다이오드가 상기 복수의 센서 막대봉의 일단에 연결된 형태로 함침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연결케이블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계측기(2)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동축 케이블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20)는, 예를 들면 3개의 센서 막대봉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막대봉에 진동파를 인가하여 토양의 유전율에 따라 토양의 수분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20)는 상기 복수의 센서 막대봉 중 한 쌍의 센서 막대봉에는 스크류(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에 센서어레이가 배치되어 주변 토양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한다.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20)는 예를 들면 오일의 유입시에는 전기전도도와 수분함량이 동시에 감소하고, 우수 유입시에는 전기전도도는 큰 변화가 없고 수분함량만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기전도도와 수분 함량 두가지의 신호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누유를 감지한다.
상기와 같은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20)는 상기 오일탱크(T)의 하부 인접한 위치에 매설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추공 등을 이용하여 누유된 오일을 모은 후 누유 여부를 감지하는 다른 종래의 기술 등에 비해 상기 오일탱크(T)에서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보다 빠르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계측기(2)는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20)에 연결되어 상기 토양(S)의 전기적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면 상기 계측기(2)는 내부에 전기신호 발생부와 반사신호 측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기신호 발생부에서 전자파를 발생시켜 연결케이블을 통해 상기 센서(20)로 전달하면, 상기 센서의 말단에서 반사된 전자파를 반사신호 측정부에서 검출하여 토양(S)의 전기전도도와 같은 전기적 정보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누유판단부(3)는 상기 계측기(2)에서 획득된 토양(S)의 전기전도도와 같은 전기적 정보로부터 상기 오일탱크(T)의 누유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토양(S) 및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20)가 내부공간으로 수용되는 구성인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크릴 재질의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자연수(40), 오일(50) 및 흐름유도매질체(60) 또한 채워진다.
즉, 상기 케이스(10)는 오일 누유를 감지하기 위한 측정의 대상이 되는 토양(S)의 소정 위치에 매설되어 그 내부공간으로 상기 토양(S) 및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20)가 수용되고, 그 내부에 수용된 토양(S)을 전처리하기 위해 자연수(40)가 투입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하단부에는 그 내부공간에 수용된 자연수(40)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수리제어 트랩(30)이 연결된다.
상기 자연수(4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토양(S)을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가 높은 상태로 전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분이 아닌 비전도체인 오일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주변 토양(S)을 전기전도도가 높은 상태로 마련하고, 비전도체인 오일에 의한 주변 토양(S)의 전기전도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효율적인데,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토양(S)에 자연수를 투입하여 토양(S)을 전기전도도가 높은 상태로 전처리하는 것이다.
상기 흐름유도매질체(6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서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소정의 공극률을 갖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일정 높이로 채워진다. 상기 흐름유도매질체(60)는 소정의 공극률을 갖도록 입자가 고르고 굵은 사질토양이나 글래스비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흐름유도매질체(60)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오일(oil)이 상기 흐름유도매질체(60)를 원활하게 통과하며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채워져 있는 상기 자연수(4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자연수(40)를 하부로 밀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리제어 트랩(30)은 U자 형태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케이스(10)의 하단부에 연통되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자연수(4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제한하되, 상기 자연수(40)에 일정 압력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 외부로 유출되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수리제어 트랩(3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오일(Oil)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자연수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자연수가 밀려나가도록 함으로써 상기 계측기(2)에서 획득되는 상기 토양(S)의 전기적 정보가 변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누유검출장치를 이용하여 누유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유류 저장 탱크와 같은 유류누출대상의 외부 토양에 대해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와 매질체 그리고 아크릴 원통형의 누유검출장치를 유류저장탱크를 하부에 각각 지점별, 깊이별로 매설한다.
이때, 다수의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를 매설하기 전에, 연직방향으로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가 매설되어있는 케이스내의 매질체에 대해 먼저 자연수 (Natural water)로 전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자연수의 전처리는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의 오일탐지 기능과 관련하여 토양수분함량 및 토양 전기전도도를 높이기 위한 과정으로서, 구체적으로, 오일은 일반적으로 비전도성 액체이므로 토양 공극수의 전기전도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는 주변 토양의 토양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즉,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를 이용하여 오일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비전도체인 오일의 특성을 이용하여 주변 토양을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가 높은 상태로 마련하고 비전도체인 오일에 의한 주변 토양의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 감소를 감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렇게 자연수 (Natural water)로 전처리된 토양에 대해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를 수직방향으로 매설한다.
누출된 오일이 토양을 따라 흐르는 상태인 컬럼조건(흐름)의 경우를 설정하고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를 이용하여 오일의 누출 정도에 따른 토양의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누유검출장치를 이용한 누유검출 테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하부면에 배출공이 구비된 직경 7.6cm, 높이 15cm의 아크릴 재질의 케이스(10)를 마련하고 하부배출공에 U-튜브 형상의 수리제어 트랩(30)을 연결한다. 상기 케이스(10)에 공극부피 280 mL, 공극율 0.43의 사질 토양을 성형하고, 이러한 사질 토양이 담긴 케이스에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20)를 수직으로 매설하고, 자연수(Natural water) 약 70 mL을 흘려 컬럼하부 일부분만 포화시킨다.
이때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20)를 이용하여 토양의 기저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를 확인한 후 오일을 컬럼으로 일정량 조금씩 흘린다. 오일의 유입에 따라 컬럼하부 수리제어트랩(30)을 통해 자연수가 유입한 오일에 비례하여 배출되며, 상기 케이스의 자연수의 경계면이 낮아지며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의 감소를 초래하게 한다.
도 4는 도 2의 누유검출장치를 이용한 누유검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경유 및 자연수 유입시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 변화를 나타내주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누유검출장치로 누유 여부를 테스트한 결과, 경유 유입시 수분함량과 전기전도도가 모두 감소하고 자연수 유입시 전기전도도는 거의 변화가 없고 수분함량만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누유검출장치의 케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10)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오일 또는 우수의 유입시 상기 케이스와의 수위의 균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수위균형 케이스(10')를 더욱 구비한다.
상기 수위균형 케이스(10')는 상기 케이스(10)의 격벽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와 구획된다. 상기 수위균형 케이스(10')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와 U자 형상의 튜브(30')에 의해 연통된다. 상기 수위균형 케이스(10')는 일측에 우수 배출용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상술한 수위균형케이스(10')를 가지는 누유검출장치를 이용한 누유검출 테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상술한 도 2의 누유검출장치를 이용한 테스트와 대략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자연수 약 120 mL을 흘려 컬럼하부 일부분만 포화시키는 점이 상이하다.
도 5는 도 3에 의한 누유검출장치를 이용한 누유검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경유 및 자연수 유입시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 변화를 나타내주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누유검출장치로 누유 여부를 테스트한 결과, 경유 유입시 수분함량과 전기전도도가 모두 감소하고 자연수 유입시 전기전도도는 거의 변화가 없고 수분함량만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누유 검출 장치 및 누유검출방법에 의하면 오일탱크의 외부 지하환경으로 유출된 유류의 검출에 오일탱크와 인접한 토양에 매설이 가능한 센서를 이용하여 신속한 탐지가 가능하고, 토양수분/전기전도도센서를 이용하여 토양수분함량과 토양전기전도도의 동시 감소를 통해 유류 누출을 검측이 가능하며, 강우 유입에 관계없이 누유 검측을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시스템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 오일탱크
S 토양
1 누유 검출 장치
10 케이스
20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30 수리제어트랩

Claims (4)

  1. 오일탱크 부근의 토양에 매설되어 오일이나 강우의 유입시 수분의 함량과 전기전도도 변화를 측정하는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와,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토양의 전기적 정보를 획득하는 계측기와;
    상기 계측기에서 획득된 토양의 전기적 정보로부터 상기 오일탱크의 누유 여부를 판단하는 누유판단부와;
    상단부에 오일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양 및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가 내부공간으로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공급되어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를 전처리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수용되는 자연수와;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연통되고 U자 형상의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자연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제한하되, 상기 케이스에 오일이 유입되어 상기 자연수를 가압하거나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자연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유도하는 수리제어 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는,
    복수의 센서 막대봉과,
    상기 센서 막대봉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일단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계측기에 연결된 연결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검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수위균형 케이스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수위균형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와 U자 형상의 튜브에 의해 연통되고, 일측에 우수 배출용 배출구가 형성되어 오일 또는 우수의 유입시 상기 케이스와의 수위의 균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검출 장치.
  4.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케이스의 내부에 토양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이 수용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자연수를 공급하여 센서가 매립될 위치 주변의 토양의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가 높게 되도록 자연수로 전처리하는 단계와,
    자연수로 전처리된 상기 토양에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를 매립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가 매립된 누유검출장치를 오일탱크의 주변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오일탱크 주변에 배치된 상기 누유검출장치에 유입되는 우수 또는 오일에 의해 토양의 수분함량 및 전기전도도가 변화하는 것을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토양의 전기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토양의 전기적 정보로부터 상기 오일탱크의 누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검출 방법.
KR1020170063855A 2017-05-24 2017-05-24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누유검출방법 KR101997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855A KR101997962B1 (ko) 2017-05-24 2017-05-24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누유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855A KR101997962B1 (ko) 2017-05-24 2017-05-24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누유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000A KR20180129000A (ko) 2018-12-05
KR101997962B1 true KR101997962B1 (ko) 2019-07-09

Family

ID=6474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855A KR101997962B1 (ko) 2017-05-24 2017-05-24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누유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234A (ko) 2020-12-13 2022-06-21 주식회사 나래트랜드 전기전도도 센서를 이용한 토양 관리 시스템
CN113945330A (zh) * 2021-10-25 2022-01-18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淮南供电公司 一种变电站充油设备的渗漏监测系统、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041B1 (ko) 2013-12-17 2014-07-02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토양, 지하수 오염방지 유류 저장탱크의 누유 모니터링 방법
KR101615362B1 (ko) 2015-12-09 2016-04-25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토양의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유류 누출 탐지 장치
KR101615361B1 (ko) 2015-12-11 2016-04-25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토양의 유류 누출 감지 장치
KR101623543B1 (ko) 2015-12-15 2016-05-23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토양 오염 감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594B1 (ko) * 2016-06-01 2018-10-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유 검출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041B1 (ko) 2013-12-17 2014-07-02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토양, 지하수 오염방지 유류 저장탱크의 누유 모니터링 방법
KR101615362B1 (ko) 2015-12-09 2016-04-25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토양의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유류 누출 탐지 장치
KR101615361B1 (ko) 2015-12-11 2016-04-25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토양의 유류 누출 감지 장치
KR101623543B1 (ko) 2015-12-15 2016-05-23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토양 오염 감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000A (ko)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594B1 (ko) 누유 검출 장치 및 시스템
EP2525216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permittivity of rocks and fault clays using permittivity sensor
KR101997962B1 (ko) 토양수분/전기전도도 센서 및 수리제어를 이용한 누유 검출 장치 및 누유검출방법
CN107101929A (zh) 混凝土抗渗性能试验装置
CN106872497B (zh) Ct专用水合物电阻率测量装置及方法
CN105974096B (zh) 岩心流体饱和度耐压测量装置
US8636478B2 (en) Sensor assembly for determining fluid properties in a subsurface well
WO19950279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soil contamination
CN104697496B (zh) 分体式静液压差沉降监测系统及其安装方法
CN104567993B (zh) 走航式水体探测系统
US5168748A (en) Leak simulation device for storage tanks
CN114659734B (zh) 一种高密度电法与综合示踪法联合探测堤坝渗漏的方法
US4751467A (en) System for determining liquid flow rate through leaks in impermeable membrane liners
US5033288A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a multiphase fluid flowing in a pipe
CN210401398U (zh) 一种抽水式水下多层水质测量装置
US5425268A (en) Water immersible vapor sensor
US11649726B1 (en) Application method of device for accurately evaluating vertical content distribution of undersea hydrate reservoir
US5347850A (en)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lizing leaks in above ground storage tanks
CN206920292U (zh) 混凝土抗渗性能试验装置
KR20190097891A (ko) 토양 지하수 오염탐지를 위한 누유검출장치
CN205861674U (zh) 岩心流体饱和度耐压测量装置
CN112326073B (zh) 用于模型试验的土压力测量装置及其标定方法
KR101837398B1 (ko) 지하수오염 특성 조사장치
US6148854A (en) System for leak detection from underground and aboveground fuel storage tanks
CN212931578U (zh) 油气水多相流量计内液位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