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719A -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719A
KR20190077719A KR1020170179143A KR20170179143A KR20190077719A KR 20190077719 A KR20190077719 A KR 20190077719A KR 1020170179143 A KR1020170179143 A KR 1020170179143A KR 20170179143 A KR20170179143 A KR 20170179143A KR 20190077719 A KR20190077719 A KR 20190077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od
arm
camshaft
latch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701B1 (ko
Inventor
김연수
박성혁
송민섭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79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7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7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conductor rails
    • B60L5/39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conductor rails from third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캠을 이용하여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집전슈가 설치되는 아암을 하방 이동시켜, 가선과 집전슈를 용이하게 이격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로의 측부에 구비되는 가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집전슈가 설치되는 아암을 제어하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캠부가 구비되고, 상기 캠부의 하부에는 상기 아암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작동 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캠부의 제어에 의해 집전슈를 가선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a latch device of a third-rail power collector}
본 발명은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캠을 이용하여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집전슈가 설치되는 아암을 하방 이동시켜, 가선과 집전슈를 용이하게 이격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량전철은 단거리 노선이면서 수송수요가 집중되는 지역에 건설 운영되어 10,000∼20,000명/방향/시간의 최대 수송능력을 갖는 최첨단 궤도교통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경량전철은 기존의 도시철도에 비해 차량과 인프라시스템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건설비의 절감효과가 크고 무인운전방식을 적용하여 운영비의 절감효과를 가지며, 또한 운전 간격의 단축을 통한 승객서비스 향상, 급구배 및 급곡선 통과능력으로 인한 노선선정의 유연성 향상 및 환경친화성 향상 그리고 시스템의 안전성 및 안정성 향상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차세대 도시철도시스템이다.
이러한 경량전철은 건설 유형별로 분류하면 기존 중량전철의 지선형 노선, 대도시와 인접도시의 연계형 노선, 공항 및 항만 등의 대규모시설 접근형 노선 또는 순환형 노선으로 분류된다.
또한, 차량시스템 형식별로 분류하면 고무차륜형식 AGT 시스템, 철제차륜형식 AGT 시스템, 선형유도모터(LIM) AGT 시스템, 중저속형 자기부상열차, 모노레일(Monorail) 시스템, 재래식 전차를 개량한 저상형 노면전차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량전철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노선에 설치되는 주행 궤도 즉, 주행 레일(10)과 그 주행 레일(10)을 따라 움직이면서 승객을 수송하는 차량(20)과 상기 주행 레일(10)을 따라 설치되어 외부의 전력에너지가 공급되는 가선(일명; 급전선)(30)과 그 가선(30)과 접촉된 상태로 차량(20)에 장착되어 가선(30)으로 공급되는 전력에너지를 차량(20)으로 공급하는 집전수단(N)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경량전철에 주로 적용되는 집전수단(N)은 제3궤조집전방식이다.
여기서, 상기 제3궤조 집전방식은 주행용 궤도의 상면 또는 측면에 설치된 독립적인 급전선으로부터 제3궤조 집전장치를 통해 수전하는 집전방식으로, 고가궤도형 노선의 중·저속차량에 많이 적용되며 노선의 전체적인 외형이 단순하여 도심지의 미관에 적합한 방식이다.
또한, 급전선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집전에 있어서 환경적 영향(눈, 비 등)이 거의 없으며 급전선이 반영구적이어서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한편, 상기 제3궤조 집전방식은 비상시 승객이 대피할 경우 주행 궤도측에 설치되는 급전선에 접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또한 겨울이 긴 곳에서는 서리, 눈 등에 의한 환경적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 유리하다.
그런데, 전술한 제3궤조 집전 방식에서는 가선(30)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집전슈의 상태 점검이나 교체시에는 집전슈를 가선(30)과 이격시켜야 하므로 이격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제3궤조 집전 방식에서 집전슈를 가선과 이격시키기 위한 기술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국공개특허 CN104999916에 기재된 기술이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제3궤조용 집전장치는 백시트 조립체(1), 실린더 크랭크 연결봉 조립체(2), 텐션 스프링 조립체(3)를 설치하고, 연결 진자팔 왼쪽의 연성 베어링 블록(4)과 오른쪽의 연성 베어링 블록(7), 절연 진자팔(5)을 설치하며, 진자팔(5) 상에 흐름 스키드 슈(6)와 절연 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중국공개특허 CN104999916에 기재된 기술은 가선으로부터 스키드 슈(6, 집전슈)를 분리할 수 있어, 집전슈의 점검이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스키드 슈(6)를 이격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실린더를 구비하여야 하며, 이러한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들이 필요하므로 유지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중국공개특허 CN104999916 유럽공개특허 EP158640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전철에 설치되어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제3궤조용 집전장치에서 집전슈의 검사 또는 교체를 위하여 가선과 집전슈를 이격시키기 위한 래치 장치는 집전슈가 설치되는 아암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가선과 이격시키는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캠부로 이루어져,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전슈가 설치되는 아암의 중심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는 아암 브라켓이 설치되어 지지축을 기준으로 아암이 상하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아암 브라켓에는 지지돌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작동 로드는 상부로드와 하부로드로 이루어지며, 상부로드와 하부로드 사이에 작동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작동 로드의 하강에 따라 지지돌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하부로 가해지는 힘이 온전하게 아암으로 전달되어 적은 힘으로도 캠을 회전시킬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집전슈와 가선을 이격시킬 수 있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집전슈가 설치되는 아암을 제어하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캠부가 구비되고, 상기 캠부의 하부에는 상기 아암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작동 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캠부의 제어에 의해 집전슈를 가선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캠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캠축과, 상기 작동 로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캠과, 상기 캠의 상부에 구비되어 캠축이 삽입되는 캠축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캠은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면 중심부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작동 로드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작동 로드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캠축의 외측에는 캠의 회전을 조절하도록 원호 형상의 제1회전방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축 연결부에는 상기 제1회전방지돌부에 대응되도록 제2회전방지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걸림홈이 작동 로드를 넘어서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전면에는 아암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축이 고정되는 축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축고정부재의 전부에는 작동 로드가 상하 관통하도록 가이드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 로드는 캠부와 접하는 상부 로드와, 상부 로드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로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 사이에는 아암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작동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로드의 외측에는 상기 작동 플레이트를 상부로 탄성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 로드의 상단 전부와 후부에는 상기 캠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캠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 가이드돌부 사이에는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 플레이트는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 이동과 하부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아암의 후부에는 상기 가이드 브레켓이 하부가 삽입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는 아암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아암 브라켓은 지지축이 삽입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재의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작동 플레이트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지지돌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전철에 설치되어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제3궤조용 집전장치에서 집전슈의 검사 또는 교체를 위하여 가선과 집전슈를 이격시키기 위한 래치 장치는 집전슈가 설치되는 아암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가선과 이격시키는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캠부로 이루어져,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집전슈가 설치되는 아암의 중심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는 아암 브라켓이 설치되어 지지축을 기준으로 아암이 상하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아암 브라켓에는 지지돌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작동 로드는 상부로드와 하부로드로 이루어지며, 상부로드와 하부로드 사이에 작동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작동 로드의 하강에 따라 지지돌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하부로 가해지는 힘이 온전하게 아암으로 전달되어 적은 힘으로도 캠을 회전시킬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집전슈와 가선을 이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경량전철의 집전장치 장착 위치를 도시한 경량전철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개선된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의 캠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의 작동 로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의 캠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의 작동 로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경량전철에 구비되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경량전철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아암(600)과 상기 아암(600)의 단부에 구비되어 선로의 측부에 설치되는 가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집전슈(64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캠부(200)와 상기 캠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아암(600)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작동 로드(300)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캠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작동 로드(300)가 승하강하게 되며, 그에 따라 아암(600)이 회동하여 아암(600)의 단부에 구비되는 집전슈(640)가 전력을 공급하는 가선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에 의해 상기 집전슈(640)의 마모가 심하여 교체하여야 하거나, 집전슈(640)의 상태를 확인할 때, 가선과 집전슈(640)를 용이하게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부(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캠 설치 브라켓(110)에 구비되는데, 상기 캠부(200)는 캠 설치 브라켓(110)의 전면에 구비설치되는 캠축(210)과 상기 작동 로드(30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캠(220)과 상기 캠(2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캠축(210)이 삽입되는 캠축 연결부(2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캠(220)은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 중심부는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데, 하면 중심부에는 제1걸림홈(222)이 형성되고, 하면 가장자리에는 제2걸림홈(224)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제1걸림홈(222)에 작동 로드(300)의 상단이 삽입될 경우, 작동 로드(300)는 상부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아암(600) 역시 상부로 이동한 상태가 되어 가선에 집전슈(640)가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캠(220)을 회전시켜 상기 제2걸림홈(224)에 작동 로드(300)의 상단이 삽입될 경우, 작동 로드(300)는 하부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아암(600) 역시 하부로 이동한 상태가 되어 가선과 집전슈(640)이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캠 설치 브라켓(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캠축(210)의 외측에는 제1회전방지돌부(216)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회전방지돌부(216)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축 연결부(230)의 관통공에는 상기 캠축(210)이 삽입되는데, 캠축 연결부(230)의 후단에는 상기 제1회전방지돌부(216)에 대응되도록 제2회전방지돌부(234)가 형성된다.
그래서, 캠축 연결부(230)를 기준으로 캠(220)이 회전할 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회전방지돌부(216)의 양단부에 의해 상기 제2회전방지돌부(234)가 지지됨으로써, 캠(220)의 하면 양측에 형성되는 제2걸림홈(224)이 하부로 이동하여 작동 로드(300)의 상단이 삽입된 후, 작동 로드(300)를 넘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캠축 연결부(230)의 전단에는 커버부재(236)가 고정핀(미도시)을 사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커버부재(236)의 전면에는 랜치부(부호 미도시)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랜치부에 대응되는 랜치를 사용하여 캠부(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부 전면에는 축고정부재(4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축고정부재(400)에는 지지축(700)이 좌우 관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700)에는 아암(600)의 후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축고정부재(400)의 전부에는 "ㄷ"자 형상의 가이드 브라켓(410)이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 브라켓(410)에는 상기 작동 로드(300)가 상하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캠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작동 로드(300)가 상하로 이동할 때, 전후 또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로드(300)는 상단이 상기 캠(220)의 하부와 접하는 상부 로드(310)와 상기 상부 로드(310)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로드(3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로드(310)와 하부 로드(320) 사이에는 아암(600)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 플레이트(330)가 구비되는데, 상기 하부 로드(320)의 외측에는 리턴스프링(326)이 구비되어 상기 작동 플레이트(330)를 상부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로드(320)의 상부에는 고정돌부(322)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로드(31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돌부(322)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316)이 형성되는데, 상기 작동 플레이트(330)의 중심부에는 고정돌부(322)가 삽입되는 관통공(33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32)의 상부 외측에는 상기 상부 로드(310)의 하단이 삽입 지지되는 제1단턱(33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부(322)의 외측에는 상기 관통공(332)의 하부 외측이 지지되는 제2단턱(324)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상부 로드(310)와 하부 로드(320) 사이에 작동 플레이트(330)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며, 상기 상부 로드(310)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제1단턱(334)에 대응되도록 회전방지턱(318)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플레이트(33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로드(310)의 상단 전부와 후부에는 캠 가이드돌부(312)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캠 가이드돌부(312) 사이에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캠(220)의 하부가 삽입되게 되어, 캠(200)의 회전에 의해 작동 로드(300)가 승하강 하더라도 상기 캠 가이드돌부(312)에서 캠(220)의 하부가 이탈되지 않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 로드(300)를 제어할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캠 가이드돌부(312)의 사이에는 상단이 상기 캠(220)의 하면과 접하도록 롤러(314)가 구비되어, 상기 캠(220)이 회전할 때, 상부 로드(310)와 캠(220)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캠(220)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으며, 또한 캠(220)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브라켓(41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지지부재(412)와 하부 지지부재(414)가 구비되는데, 상기 작동 플레이트(330)는 상부 지지부재(412)와 하부 지지부재(414)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 이동의 상한과 하부 이동의 하한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600)의 후부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절개부(61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부(612)에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410)의 하부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612)의 양측에는 아암 브라켓(610)이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아암 브라켓(610)은 상기 지지축(700)이 좌우 관통되도록 삽입되는 수직부재(620)와 상기 수직부재(6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평부재(6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620)에는 상기 지지축(700)이 삽입되는 축 삽입공(622)이 형성되고, 상기 축 삽입공(622)에는 베어링(624)이 구비되어 지지축(700)을 기준으로 아암(600)이 안정적으로 상하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630)는 서로 마주보는 단부의 상면에는 지지돌부(634)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돌부(634)는 상기 작동 플레이트(330)의 양측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어 아암(600)이 하부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돌부(634)는 나사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작동 플레이트(330)와 접하는 부분을 조절할 수 있어 아암(600)이 하부로 회전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암(600)의 단부에 구비되는 집전슈(640)가 하부로 이동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가선과 집전슈(640)의 이격거리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축고정부재(400)의 양측에는 토션부(500)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토션부(500)는 지지축(700)이 좌우 관통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설치되는 토션 브라켓(510)과 상기 토션 브라켓(510)에 구비되어 외측에 토션 스프링(530)이 권취되는 드럼(5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토션 스프링(530)의 일단부는 상기 아암 브라켓(610)을 구성하는 수평부재(630)에 형성되는 토션 스프링 삽입공(632)에 삽입되어 아암(600)이 상부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게 되어, 집전슈(640)가 가선과 접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그래서, 가선에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집전슈(640)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후면에는 높이 조절부재(120)가 구비되어 경량전철의 측면에 설치되는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캠을 이용하여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집전슈가 설치되는 아암을 하방 이동시켜, 가선과 집전슈를 용이하게 이격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캠 설치 브라켓
120 : 높이 조절부재 200 : 캠부
210 : 캠축 220 : 캠
230 : 축연결부 300 : 작동 로드
310 : 상부 로드 320 : 하부 로드
330 : 작동 플레이트 400 : 축고정부재
410 : 가이드 브라켓 500: 토션부
510 : 토션 브라켓 520 : 드럼
530 : 토션 스프링 600 : 아암
610 : 아암 브라켓 620 : 수직부재
630 : 수평부재 640 : 접전슈
700 : 지지축

Claims (9)

  1. 가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집전슈가 설치되는 아암을 제어하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캠부가 구비되고,
    상기 캠부의 하부에는 상기 아암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작동 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캠부의 제어에 의해 집전슈를 가선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캠축과,
    상기 작동 로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캠과,
    상기 캠의 상부에 구비되어 캠축이 삽입되는 캠축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면 중심부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작동 로드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작동 로드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의 외측에는 캠의 회전을 조절하도록 원호 형상의 제1회전방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축 연결부에는 상기 제1회전방지돌부에 대응되도록 제2회전방지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걸림홈이 작동 로드를 넘어서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전면에는 아암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축이 고정되는 축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축고정부재의 전부에는 작동 로드가 상하 관통하도록 가이드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는 캠부와 접하는 상부 로드와,
    상부 로드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로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 사이에는 아암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작동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로드의 외측에는 상기 작동 플레이트를 상부로 탄성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드의 상단 전부와 후부에는 상기 캠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캠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 가이드돌부 사이에는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 플레이트는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 이동과 하부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후부에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하부가 삽입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는 아암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아암 브라켓은 지지축이 삽입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재의 마주보는 부분에는 상기 작동 플레이트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지지돌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KR1020170179143A 2017-12-26 2017-12-26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KR102000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143A KR102000701B1 (ko) 2017-12-26 2017-12-26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143A KR102000701B1 (ko) 2017-12-26 2017-12-26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719A true KR20190077719A (ko) 2019-07-04
KR102000701B1 KR102000701B1 (ko) 2019-07-16

Family

ID=6725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143A KR102000701B1 (ko) 2017-12-26 2017-12-26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9971A (zh) * 2020-10-14 2021-03-26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受流器连接装置、受流器组件及轨道车辆
CN114379373A (zh) * 2021-12-20 2022-04-22 安徽盛世高科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下接触受流器手动脱靴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86480A2 (de) * 2004-04-16 2005-10-19 Stemmann-Technik GmbH Stromabnehmer
EP1586408A2 (en) 2004-03-26 2005-10-19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 for laser drilling of shaped holes
CN104999916A (zh) 2015-05-26 2015-10-28 湖南中通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第三轨下部气动受流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86408A2 (en) 2004-03-26 2005-10-19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 for laser drilling of shaped holes
EP1586480A2 (de) * 2004-04-16 2005-10-19 Stemmann-Technik GmbH Stromabnehmer
CN104999916A (zh) 2015-05-26 2015-10-28 湖南中通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第三轨下部气动受流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9971A (zh) * 2020-10-14 2021-03-26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受流器连接装置、受流器组件及轨道车辆
CN114379373A (zh) * 2021-12-20 2022-04-22 安徽盛世高科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下接触受流器手动脱靴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701B1 (ko)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5581A (en) Monorail system
JP5651770B2 (ja) 陸上車両により一時的に又は連続的に駆動用の又は補助的な電気エネルギーを集電する上方側面部分の集電構造
CN109795334B (zh) 一种内嵌式磁浮交通轨道系统、悬浮架系统、磁浮车辆及磁浮系统
US5456183A (en) Integrated infrastructure transit system
US8850988B2 (en) Installation with overhead cables and vehicles served thereby, without hanger
US9550426B2 (en) Current transmission device for charging electrical energy stores of vehicles at overhead charging stations
EP3581456B1 (en) Cable transportation system
KR102000701B1 (ko)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래치 장치
JP2009113691A (ja) 鉄道における電池駆動式車両の地上給電システム
KR100381343B1 (ko) 경량전철용 횡방향형 제3궤조 집전장치
CN109878544A (zh) 一种用于旅游景区的轨道车辆转向架总成及轨交系统
CN109795332A (zh) 悬挂式磁浮交通轨道系统、悬浮架系统、磁浮车辆及磁浮系统
KR100864413B1 (ko) 모노레일 운행 시스템
CN109795333B (zh) 一种悬挂式磁浮交通轨道系统、悬浮架系统、磁浮车辆及磁浮系统
US11364940B1 (en) Adaptive route rail system with passive switches
KR101243859B1 (ko) 하이브리드 교통 시스템용 차량의 유도바퀴 격납장치
KR101006836B1 (ko) 철도 차량용 판토그라프
KR20010105807A (ko) 경량전철용 측면상방향형 제3궤조 집전장치
KR100307501B1 (ko) 경량전철 제3궤조 집전장치
RU2553927C2 (ru) Токосъемник для питания моторных и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узлов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01033543Y (zh) 走行架
KR102004313B1 (ko) 제3궤조 집전슈의 결빙 방지 장치
KR101246930B1 (ko) 경량 전철용 제3 궤조 집전 장치
CN114945488A (zh) 用于电驱动的轨道车辆的运行的路段
CN112606699A (zh) 一种适用于接触轨受电的小型磁浮微轨电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