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703A - 음성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703A
KR20190076703A KR1020170178730A KR20170178730A KR20190076703A KR 20190076703 A KR20190076703 A KR 20190076703A KR 1020170178730 A KR1020170178730 A KR 1020170178730A KR 20170178730 A KR20170178730 A KR 20170178730A KR 20190076703 A KR20190076703 A KR 20190076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application
electronic device
background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6835B1 (ko
Inventor
김송규
문용운
이인수
이준희
서성호
우광제
장영일
전봉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835B1/ko
Priority to PCT/KR2018/016513 priority patent/WO2019125068A1/en
Priority to US16/229,540 priority patent/US10986222B2/en
Publication of KR20190076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16Real-tim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a combination of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개시물의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패킷(packet) 기반 음성 호(voice call)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운영 체제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음성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RANSMISSION OF VOICE DATA PACKET AND METHOD THEREOF}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음성 데이터 패킷(voice data packet)의 송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종래의 회선 교환(circuit switched)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호(voice call)의 음질 및 효율 개선을 위하여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에 기반한 VoIP(voice over IP)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VoIP 기술에 기반한 음성 호는, 회선 교환 방식과 달리, 데이터 패킷을 통하여 음성이 교환될 수 있다. 패킷화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용량의 효율 및 음성 데이터 품질이 증가될 수 있다. VoIP 기술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기반한 다양한 네트워크 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 통신에서의 VoIP를 위하여, VoLTE(voice over LTE)가 이용될 수 있다.
종래의 VoLTE와 같은 VoIP 통신에 있어서, 음성 호를 위한 패킷의 송수신과 데이터 통신을 위한 패킷의 송수신은 독립적으로 수행되었다. 예를 들어, 통신 환경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 단말이 패킷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경우, 패킷이 성공적으로 송신되거나 수신될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호를 위한 패킷의 송수신 속도는 일정하나 데이터 송수신으로 인하여 송수신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속도의 증가는 보다 많은 패킷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을 제한함으로써 패킷 기반 음성 호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패킷(packet) 기반 음성 호(voice call)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운영 체제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은, 패킷(packet) 기반 음성 호(voice call) 중에,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운영 체제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통신 환경에 따라서 데이터 송신을 차단함으로써 음성 호의 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의 송신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데이터 송수신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중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연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송신 재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송신 오프로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서술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다양한 전자 장치(101)의 동작들은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101)가 패킷 기반 음성 호(packet based voice call)를 수행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 통신 시스템 구조가 설명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이동 통신 시스템 (200)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 통신 시스템(200) 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기지국(evolved node b (eNB))(210)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EPC(evolved packet core) (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221)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220), S-GW(serving-gateway)(230), P-GW(packet data network(PDN)-gateway)(260), PCRF(policy charging and rules function)(250), 및 HSS(home subscriber service, 2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EPC(221)는 도 2에 미도시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eNB(210) 및 EPC(221)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eNB(210)는 RAN(radio access network) 노드로서,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시스템의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및 GERAN(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 시스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에 대응할 수 있다. eNB(210)는 전자 장치(201)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의 RNC/BSC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NB(210)는 여러 개의 셀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LTE 이동 통신(200)에서, 전자 장치(201)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에 기반한 음성 호(voice call)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통하여 패킷 기반의 음성 호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유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eNB(210)는 각각의 단말(예: 전자 장치(201))들의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말들을 스케쥴링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ME(220)는 EPC(221)의 제어평면을 제어하는 노드로서, 라디오 베어러(radio bearer)의 연결과 해제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 MME(220)는 하나의 eNB(210)와 연결되어 있으나, MME(220)는 복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S-GW(230)는 EPC(221)에서 LTE RAN에 대한 사용자평면을 제어하는 노드로서, 전자 장치(200)에 대한 이동성 앵커(mobility anchor)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S-GW(2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MME(220)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P-GW(260)는 EPC(221)와 외부 네트워크(예: 인터넷)를 연결하는 노드로서, 전자 장치(201)에 대한 IP 주소의 할당과 PCRF(250)에 따른 QoS(quality of service) 적용을 수행할 수 있다. HSS(home subscriber service, 270)는 가입자 정보를 갖는 노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PCRF(policy charging and rules function)(250)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과 관련된 정책(policy)을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PCRF(250)는 정책에 해당하는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규칙(rule)을 P-GW(26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240)은 어플리케이션 수준에서 사용자와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AF(240)는 패킷망(packet network)을 통하여 음성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SCC AS(service centralization and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일 수 있다. SCC AS는 T-ADS(terminating access domain selection)을 통해서 전화를 하고자 하는 단말(예: 전자 장치(201))이 페이징 가능한 도메인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LTE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서, QoS는 EPS 베어러의 단위로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EPS 베어러는 동일한 QoS 요구사항을 갖는 IP 플로우(flow)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전용(dedicated) EPS(evolved packet system) 베어러(bearer)를 이용하여 S-GW(230) 및 P-GW(260)를 통하여 외부 네트워크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전자 장치(201)는, 전용 EPS 베어러를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데이터 송신을 위한 디폴트(default) 베어러를 확립하고, 음성 데이터를 위한 별도의 디폴트 베어러를 확립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음성 호의 수행을 위하여, 음성을 위한 디폴트 베어러 상에 전용 베어러를 확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음성 송신을 위한 디폴트 베어러를 통하여 통신 제어에 연관된 신호를 송수신하고, 전용 베어러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음성 송신을 위한 전용 베어러를 이용하여 패킷 기반 음성 호에 연관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패킷 기반의 음성 호 동안, 음성 데이터 외의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을 위한 디폴트 베어러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음성을 전용 베어러를 통하여 송신하고, 데이터를 테이터 송신을 위한 디폴트 베어러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과 데이터는 별도의 베어러를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의 패킷 기반 음성 호 동안의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이 설명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201)는 도 2와 관련하여 상술된 LTE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기반 음성 호(예: VoLTE)를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이 LTE 통신 시스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실시예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다른 패킷 기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환경 내의 전자 장치(301) 의 구성도(300)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프로세서(32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통신 모듈(190)), 메모리(330)(예: 도 1의 메모리(130)), 통신 회로(390)(예: 도 1의 통신 모듈(190)), 및 디스플레이(36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메모리(330), 통신 회로(390), 및 디스플레이(360)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자 장치(301)의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1의 통신 모듈(190)의 적어도 일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셀룰러 프로세서 및/또는 다른 통신 프로세서(예: WiFi 프로세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프로세서(320)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세서(32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30)는 후술되는 프로세서(320) 또는 전자 장치(301)의 동작들을 프로세서(320)로 하여금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 회로(390)는 네트워크(399)(예: 도 1의 네트워크(199))를 통한 외부 전자 장치(304)(예: 도 1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39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390)는 LTE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 mmWave 통신을 위한 통신회로, 및/또는 WiFi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399) 는 패킷 기반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99)는 LTE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네트워크(399)는 WiFi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음성 호를 위한 음성 패킷의 송신과 함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패킷의 양의 증가에 따라서 음성 패킷의 송신 성공 확률이 낮아질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후술되는 실시예들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제어함으로써 패킷 기반 음성 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패킷 기반 음성 호 중에, 통신 회로(390)를 이용하여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전자 장치(301)의 운영 체제(예: 안드로이드, 타이젠, 바다, 또는 iOS 등)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지정된 제1 조건은 지정된 제1 범위 미만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지정된 제2 범위 이상의 BLER(block error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패킷 기반 음성 호 중에, 통신 회로(390)를 이용하여 통신 상태를 지정된 주기로 확인하고,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면, 중단된 데이터 송신을 재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지정된 제2 조건은 지정된 제3 범위 이상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지정된 제4 범위 미만의 BLER(block error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 또는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에 연관된 데이터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지정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고 패킷 기반 음성 호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전자 장치(301)의 운영 체제의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면, 패킷 기반 음성 호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중단된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통하여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3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로부터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음성 호는 수신 호 또는 발신 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을 지시하는 알림(notification)을 디스플레이(360)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의 동작들이 설명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의 흐름도(400)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5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도 3의 전자 장치(301) )의 프로세서(320)는 통신 회로(390)를 이용하여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패킷 기반 음성 호가(packet based voice call) 수행되는 동안,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킷 기반 음성 호는 수신 호(incoming call) 또는 발신 호(outgoing cal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상태(communication state)는 BLER(block error rate) 및/또는 RSRP(reference signal reference pow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BLER은 송신된 운송 블록(transport block)에 대한 오류 블록(erroneous block)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통신 회로(390)를 이용하여 신호(예: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기지국(예: 도 2의 기지국(210))으로 송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확인응답(acknowledgement, ACK)/부정수신확인응답(negative-ACK, NACK)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PHICH(physical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를 통하여 운송 블록들에 대한 ACK/NACK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ACK/NACK에 적어도 기반하여 BLER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통신 회로(390)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참조신호로부터 RSRP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신호는 셀-특정(cell-specific) 참조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참조신호는 단말-특정(UE-specific) 참조신호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상태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또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주기적으로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패킷 기반 음성 호가 수행되는 동안 통신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indication)에 기반하여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동작 41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건은 지정된 범위 이하의 통신 품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건은 지정된 제1 범위 이하의 RSRP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조건은 지정된 제2 범위 이상의 BLER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조건은 지정된 제1 범위 이하의 RSRP 및 지정된 제2 범위 이상의 BLER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프로세서(320)는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동작 410 후에 지정된 주기에 따라서 동작 405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동작 410 후에 수신되는 기지국의 지시에 기반하여 동작 405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동작 415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면, 프로세서(320)는 적어도 일부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301)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상의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서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 외에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415에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의 송신뿐만 아니라,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수신도 중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통신 환경에 따라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중단함으로써 패킷 기반 음성 호의 품질을 보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415에서, 프로세서(320)는 송신하려는 데이터가 백그라운드 데이터(예: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해당 데이터가 백그라운드 데이터이면 데이터의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의 중단을 전자 장치(301)의 능력(capability)에 기반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작 415에서,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301)의 배터리 상태에 기반하여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의 중단을 판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통신 회로(390)가 전이중(full-duplex) 통신 또는 반이중(half-duplex) 통신을 지원하는지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의 중단을 판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통신 환경에 기반하여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의 중단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99)가 시분할(time division duplex, TDD) 방식 통신에 따라서 운영되는 경우, 프로세서(320)는 데이터 수신을 중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일 예시에 따른 동작 415의 동작들이 설명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중단 방법의 흐름도(500)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동작 505 및/또는 동작 510은, 동작 415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05에서,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320))는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음성 호가 수행되는 동안,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송신된 데이터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모든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백그라운드 또는 포어그라운드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는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인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인지를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는 대응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또는 포어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는 대응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지시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은 포어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정보는 대응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포어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지시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동작 505를 동작 410에 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동작 505를 음성 호가 수행되는 중의 임의의 시점(예: 음성 호의 시작 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동작 51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지정된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지정된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중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순위는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송신 데이터의 유형, 송신 데이터의 크기, 과금 정보, 및/또는 송신 데이터의 송신율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우선순위가 기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CK/NACK을 포함하는 데이터는 다른 유형의 데이터에 비하여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기가 작은 데이터는 크기가 큰 데이터에 비하여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거나 크기가 큰 데이터가 크기가 작은 데이터에 비하여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금에 연관된 데이터(예: 결제에 따라서 수행되는 데이터 다운로드 등)는 나머지 데이터에 비하여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송신율이 높은 데이터는 다른 데이터에 비하여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10에서, 프로세서(320)는 모든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중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킷 기반 음성 호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예: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중인 경우, 프로세서(320)는 통신 상태에 따라서 음성 호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송신을 중단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예외 규칙에 따라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호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중인 경우, 프로세서(320)는 음성 호에 연관된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중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ACK/NACK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중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과금에 연관된 데이터(예: 결제에 따라서 수행되는 데이터 다운로드 등)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중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6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연관 어플리케이션의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1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621)를 도시한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제시된다. 그러나,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전화 어플리케이션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상태(610)와 같이, 전자 장치(301) (예: 도 3의 전자 장치(301))는 디스플레이(360) 상에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11)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현재 디스플레이(360) 상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상태(620)에서, 전자 장치(301)는 디스플레이(360) 상에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621)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디스플레이(360) 상에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621)가 표시된 경우, 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11)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디스플레이(360) 상에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었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 또는 포어그라운드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디스플레이(360) 상의 전체에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예: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11))가 표시되었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 또는 포어그라운드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디스플레이(360) 상에 포어그라운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11))가 표시되었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 또는 포어그라운드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는 분할화면을 지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분할화면들 중 하나의 화면의 전체 또는 대부분(예: 지정된 비율 및/또는 면적 이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11))가 표시되면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인접센서(예: 도 1의 센서 모듈(176))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360)를 턴-오프(turn-off)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60)가 턴-오프된 경우라도, 프로세서(320)는 디스플레이(360)의 턴-온(turn-on) 상태와 동일하게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또는 포어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프로세서(320)는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360) 표시 여부에 기반하여 포어그라운드 또는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백그라운드와 포어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판단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현재 디스플레이(360)에 표시되거나 표시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시자에 기반하여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메모리(330)에 저장 및/또는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 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순서에 기반하여, 프로세서(320)는 포어그라운드/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3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판단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 연관 정보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통신 모듈(190))에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된 데이터 송수신의 재개 방법이 설명된다.
도 7 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송신 재개 방법의 흐름도(700)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중복된 동작들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동작 705, 710, 및 715는 도 4의 동작 405, 410, 및 415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동작 715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의 송신(및/또는 수신)이 중단된 후의 동작들이 설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20에서, 프로세서(320)(예: 도 3의 프로세서(320))는 통신 상태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동작 405와 동일한 방식으로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주기적으로 동작 720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25에서, 프로세서(320)는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제2 조건은 지정된 범위의 통신 품질 이상의 통신 품질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제2 조건은 지정된 제1 조건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제2 조건은 동작 710의 지정된 제1 조건보다 나은 통신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조건일 수도 있다. 제2 조건을 제1 조건에 비하여 더 높은 통신 품질에 대응하도록 설정함으로써 패킷 기반 통신 호의 통신 품질이 보장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2 조건은 지정된 제3 범위를 초과하는 RSRP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조건은 지정된 제4 범위 미만의 BLER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조건은 지정된 제1 범위를 초과하는 RSRP 및 지정된 제2 범위 미만의 BLER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30에서,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면 프로세서(320)는 중단된 데이터 송신을 재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중단된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을 재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송신이 재개되는 경우, 프로세서(320)는 송신이 중단된 데이터 패킷부터 송신을 재개하거나, ACK이 수신된 마지막 패킷 이후의 패킷부터 송신을 재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연관된 데이터 패킷 전체를 처음부터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수신이 중단된 패킷에 대한 NACK을 기지국으로 송신함으로써 또는 재송신 요청을 송신함으로써 나머지 패킷들에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수신이 중단된 패킷에 연관된 전체 데이터의 재송신을 기지국에 요청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상태에 기반하여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이 중단 및 재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는 다른 패킷 기반 무선 네트워크로 오프로드(offload)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송신 오프로드 방법의 흐름도(800)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중복된 동작들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동작 805 및 810은 도 4의 동작 405 및 410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15에서, 지정된 제1 조건이 만족되면 프로세서(320)(예: 도 3의 프로세서(320))는 적어도 일부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예: WiFi)으로 오프로드(offload)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도 5의 동작 5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차단과 유사한 방식으로 오프로드할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기지국으로 백그라운드 데이터의 오프로드를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인터페이스(900)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415, 510, 또는 715에 따라서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이 중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20) (예: 도 3의 프로세서(320))는 중단을 지시하는 알림을 디스플레이(3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디스플레이(360) 상에 음성 호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예: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11)(예: 도 6의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11))를 표시한다.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이 중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20)는 디스플레이(360) 상에 데이터 송신 및/또는 중단을 지시하는 제3 사용자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611) 상에 팝업 이미지로서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는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의 중단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는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의 중단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및/또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는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의 중단의 확인을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는 사용자에게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의 중단 여부를 프로프트(prompt)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예: 확인 버튼)에 대한 입력에 기반하여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의 중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있어서, 알림 인터페이스(900)는 디스플레이(360) 상에 표시된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를 통하여 제공되나, 알림 인터페이스(900)는 시각적 알림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인터페이스(900)는 알림에 대응하는 소리, 음성, 진동, 및/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알림 인터페이스(900)는 외부 전자 장치(304)를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패킷(packet) 기반 음성 호(voice call)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운영 체제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제1 조건은 지정된 제1 범위 미만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지정된 제2 범위 이상의 BLER(block error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패킷 기반 음성 호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상태를 지정된 주기로 확인하고,
    상기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중단된 데이터 송신을 재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제2 조건은 지정된 제3 범위 이상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지정된 제4 범위 미만의 BLER(block error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 또는 상기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에 연관된 데이터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지정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패킷 기반 음성 호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운영 체제의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면, 상기 패킷 기반 음성 호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중단된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통하여 송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호는 수신 호 또는 발신 호인,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을 지시하는 알림(notification)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패킷(packet) 기반 음성 호(voice call) 중에,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운영 체제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제1 조건은 지정된 제1 범위 미만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지정된 제2 범위 이상의 BLER(block error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기반 음성 호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상태를 지정된 주기로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중단된 데이터 송신을 재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제2 조건은 지정된 제3 범위 이상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지정된 제4 범위 미만의 BLER(block error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 또는 상기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에 연관된 데이터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지정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는 동작은, 상기 통신 상태가 지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패킷 기반 음성 호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운영 체제의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면, 상기 패킷 기반 음성 호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된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를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통하여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호는 수신 호 또는 발신 호인,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데이터 송신을 중단을 지시하는 알림(notification)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
KR1020170178730A 2017-12-22 2017-12-22 음성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56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730A KR102456835B1 (ko) 2017-12-22 2017-12-22 음성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CT/KR2018/016513 WO2019125068A1 (en) 2017-12-22 2018-12-21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ed transmission of voice data packet and method thereof
US16/229,540 US10986222B2 (en) 2017-12-22 2018-12-21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ed transmission of voice data packet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730A KR102456835B1 (ko) 2017-12-22 2017-12-22 음성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703A true KR20190076703A (ko) 2019-07-02
KR102456835B1 KR102456835B1 (ko) 2022-10-21

Family

ID=6695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730A KR102456835B1 (ko) 2017-12-22 2017-12-22 음성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86222B2 (ko)
KR (1) KR102456835B1 (ko)
WO (1) WO201912506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349A (ko) * 2006-08-28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
US20130244636A1 (en) * 2012-03-16 2013-09-19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call drop rate
WO2017167694A1 (en) * 2016-03-31 2017-10-05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Voice service cli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4045B2 (en) * 2006-09-29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sources at a wireless device
US9451651B2 (en) 2011-10-12 2016-09-20 At&T Mobility Ii Llc Management of multiple radio access bearer sessions in communication system
CN104641718B (zh) * 2012-09-14 2019-07-30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在3gpp中启用非3gpp卸载的系统增强
US9173229B2 (en) 2012-11-26 2015-10-27 Apple Inc. QoS based buffering while TTI bundling is enabled
KR102083316B1 (ko) * 2013-04-24 2020-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110909B1 (ko) * 2013-08-05 2020-05-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약전계에서의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US9100100B2 (en) * 2013-12-31 2015-08-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th switchable antenna system
US9220084B1 (en) * 2014-05-30 2015-12-22 Apple Inc. Activation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applications based on push notifications
KR20150144589A (ko) * 2014-06-17 201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호 연결 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60150450A1 (en) * 2014-11-26 2016-05-26 Qualcomm Incorporated Cell selection for devices with asymmetry between uplink and downlink communications
KR102431266B1 (ko) * 2015-09-24 2022-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2500608B1 (ko) * 2016-01-28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102480895B1 (ko) * 2016-02-19 202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CA2928994C (en) * 2016-05-05 2021-08-10 Ibrahim O. MOHAMED System and method of reducing specific absorption rate from mobile devices
US10512025B2 (en) * 2017-11-14 2019-12-17 Apple Inc. Activity mode for a cellular conn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349A (ko) * 2006-08-28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
US20130244636A1 (en) * 2012-03-16 2013-09-19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call drop rate
WO2017167694A1 (en) * 2016-03-31 2017-10-05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Voice service cli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99841A1 (en) 2019-06-27
US10986222B2 (en) 2021-04-20
WO2019125068A1 (en) 2019-06-27
KR102456835B1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6074B2 (en) Handling user plane conges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95922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arrier combination for carrier aggreg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10830936B (zh) 支持数据通信的电子设备及方法
CN112119673B (zh) 支持多种无线通信协议的电子装置及其方法
KR10239906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sim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55198B1 (ko) 영상 통화 중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21536164A (ja) サービス品質(qos)のためのセーフガード時間
KR102394622B1 (ko)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314892B (zh) 与基站通信的装置、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KR20200035730A (ko) 외부 장치와 통신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의 운영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90027426A (ko) 이동성 기반의 임의 접속 방법 및 장치
WO2022261877A1 (zh) Drx定时器的启动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2752249B (zh) 用于执行紧急呼叫的方法及其电子装置
US11849444B2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10049585A (ko)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56835B1 (ko) 음성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3541130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30262691A1 (en) Uplink transmission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uplink transmission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medium
US1133002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odec on basis of channel conditions and electronic device
CN109496448B (zh) 网络参数配置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4057551A1 (e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90117937A (ko) 리치 통신 스위트 서비스를 통한 비디오 공유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EP4362584A1 (en) Bwp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7202373A (zh) 通信方法、通信装置和通信系统
KR20210098163A (ko) 듀얼 심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