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543A - Color recording medium for color vision disorder - Google Patents

Color recording medium for color vision diso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543A
KR20190076543A KR1020170178414A KR20170178414A KR20190076543A KR 20190076543 A KR20190076543 A KR 20190076543A KR 1020170178414 A KR1020170178414 A KR 1020170178414A KR 20170178414 A KR20170178414 A KR 20170178414A KR 20190076543 A KR20190076543 A KR 20190076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item
blind
normal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4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9754B1 (en
Inventor
김유선
김유진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8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754B1/en
Publication of KR2019007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5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7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combination color recording medium for color vision disorder. The color combination color recording medium for color vision disorder informs the public or designers of colors that color vision disorder sees and supports color combination for color vision disorder by listing and recording each color that each color vision disorder recognizes in association with normal colors to be helpful for color combination of the public or designers for color vision disorder including protanopia (P), deuteranopis (D) and tritanope (T).

Description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 {Color recording medium for color vision disord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recording medium for color vision disorder,

본 발명은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색맹(Protanopia, 이하 P라 한다.), 녹색맹(Deuteranopis, 이하 D라 한다.) 및 청색맹(Tritanope, 이하 T라 한다.)을 포함한 색각이상자를 위한 디자이너 또는 일반인의 배색에 도움이 되기 위하여 해당 색각이상자 별로 각각 인식하는 색을 정상색각과 연관하여 나열 기록함으로써, 일반인 또는 디자이너에게 색각이상자들이 보는 색 계열에 대해 알려주며, 생각이상자들을 위한 배색을 장려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에 해당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reproduction color medium for a color image defe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lor reproduction color recording medium for a color image recording medium, which comprises Protanopia (hereinafter referred to as P), Deuteranop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 and Tritano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 To help the designer or the general person for the color vision disorder including the color vision disorder, the color recognized by each color vision disorder person is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the normal color vision to inform the general person or the designer about the color system seen by the color vision abnormality, Which is a color image recording medium for a color image defect.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 전체 남자인구의 5.9%(약 122만 명), 전체 여자인구의 0.4%(약 10만 명)가 색각이상자인 것으로 조사된다.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5.9% (about 1.22 million) of the total male popul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0.4% (about 100,000) of the total female population are color defectors.

이러한 색각이상은 망막 원추세포의 감광성 부위인 추체에 함유되어 있는 '추체세포'의 결핍, 이상 또는 망막과 시신경의 손상 등에 의한 결함 및 장애에 의해 나타난다.These color defects are caused by defects and disorders caused by deficiency, abnormalities, or damage of the retina and optic nerve, which are contained in the photosensitive region of the retinal cones.

색각이상은 크게 3종류의 추상체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감도가 낮은 '이상 3색 형(적색약, 녹색약, 청색약)', 3종류의 추상체 중 어느 하나를 갖지 않은 2색 형(적색맹, 녹색맹, 청색맹), 그리고 모든 색이 무채색으로 보이는 1색 형(전색맹)으로 분류할 수 있다.The color vision abnormality is largely classified into two color types (red blind, red blind, and blue blind) that do not have any one of the three kinds of cones, Green blind, and bluish color), and one color (all color blind) in which all the colors appear achromatic.

색약은 색약 유형별로 특정 색을 약하게 인지하는 것이 대부분인 반면, 색맹은 특정 색의 구별능력이 색약에 비해서도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In most cases, color weakness recognizes a specific color weakly by type of color weakness, whereas color blindnes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color weakness in the ability to distinguish a specific color.

대표적으로, 적색맹과 녹색맹은 적색과 녹색계열의 판별이 어렵고, 청색맹은 청색계열과 황색계열을 식별하기 어렵다.Typically,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red and green blindness from red and green blindness, and bluish color blindness to blue and yellow.

이처럼 색각이상자들은 정상색각과는 다른 시각으로 컬러를 인지할 뿐만 아니라, 컬러를 인지할 수 있는 색역이 좁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할 때 불편한 경우가 상당부분 존재하게 된다.In addition to recognizing the color with a different view from the normal hue, the color gamut has a narrow gamut that can recognize the color, so that there are a lot of inconveniences in daily life.

따라서, 이러한 국내 색각이상자의 편의를 고려한 컬러기록매체가 부족한 실정을 반영하여 색각이상자들의 평등한 정보 접근을 위한 배색을 장려하는 컬러기록매체가 요구되는 상황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color recording medium that promotes coloration for accessing information of equal color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 fact that a color recording medium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domestic color gamut is lacking.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3887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33887

전술한 바와 같은 국내 색각이상자의 편의를 고려한 컬러기록매체가 부족한 실정을 반영하여, 일반인 또는 디자이너에게 색각이상자들이 보는 색 계열에 대해 알려주며, 생각이상자들을 위한 배색을 장려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reflect the fact that the color recording medium is lacking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the domestic color tone aber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lor tone color tone for the color tone anthropologist who informs the general person or the designer about the color sequence seen by the color anomalies, Media can be provid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는, 사물에 대한 대표사진을 기록한 대표사진항목, 상기 대표사진에 표현된 색감의 정상범주인 정상색각을 표현하며 상기 대표사진항목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정상색각항목과 적색약 또는 적색맹을 위하여 적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P항목, 녹색약 또는 녹색맹을 위하여 녹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D항목 및 청색약 또는 청색맹을 위하여 청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T항목이 상기 정상색각항목의 일측면에 배치된 색각이상 테이블을 포함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color reproduction color recording medium for a color image de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presentative photograph item in which a representative photograph of an object is recorded, a normal color hue that is a normal category of color hue expressed in the representative photograph, Items that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items and P items that express the color vision of the red blind category for the red blind or red blind, D items that express the color blindness of the green blind category for the green blind or green blind, A T item representing a color angle of the color blindness category may be provided as a coloring color recording medium for a color misregister including a color tone abnormality tabl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normal color item.

또한, 상기 정상색각항목은 상기 대표사진항목에 나타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대표색을 나열하며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normal color hue items may be arranged by arranging at least one representative color represented in the representative photograph item.

상기 P항목, 상기 D항목 또는 T항목 중 어느 한 항목 이상이 상기 정상색각항목의 일측면에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P항목, 상기 D항목 또는 T항목 중 어느 한 항목 이상이 상기 한가지 이상의 대표색을 나열한 정상색각항목에 대응하여 각각 정상색각항목의 일측면에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Wherein at least one item of the P item, the D item or the T item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on one side of the normal color tone item, and any one or more of the P item, the D item,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m in succession on one side of the normal hue item corresponding to the normal hue item listing representative colors.

추가적으로, 상기 색각이상 테이블 외에 빨강, 주황, 노랑, 연두, 초록, 청록, 파랑, 남색, 보라 및 자주의 10색을 각각 기본색을 포함한 13가지의 톤에 따른 상세 컬러로 구분하는 상세 컬러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ddition to the color tone table, there is a detailed color table that divides red, orange, yellow, green, green, cyan, blue, indigo, .

상기 상세 컬러테이블은 기본색 10색을 상기 13가지의 톤에 따른 상세 컬러로 구분함에 있어서, 명도 및 채도를 함께 고려하여 13가지의 톤으로 나뉘는 것이 가능하다.The detailed color table can be divided into thirteen tones in consideration of lightness and saturation in dividing the ten basic colors into the detailed colors according to the thirteen tones.

또한, 상기 색각이상 테이블 외에 상기 사물에 대한 정상색각을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값으로 표현한 RGB 색채 값으로 구분한 사물별 RGB 색채 값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object RGB color value table divided into RGB color values represented by Red, Green and Blue values of the normal hue of the object in addition to the color tone error table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인 또는 디자이너에게 색각이상자들이 보는 색 계열에 대해 알려주며, 생각이상자들을 위한 배색을 장려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인을 위한 기록매체의 제조외에 색각이상자들을 위한 기록매체 제조시에 그들을 위한 맞춤식 색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맞춤형 색이 삽입된 기록매체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존재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lor reproduction color medium for a color-blind person who informs a general person or a designer of a color sequence viewed by color-blind shifters and encourages coloration for a blind person, There is a merit that a customized color for them can be insert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recording medium for color tone defects, and that a recording medium having such a customized color can be manufactured.

도 1은 정상색각, 적색맹, 녹색맹 및 청색맹에 대한 추체의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색 10색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색을 포함한 13가지의 상세 컬러 테이블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에 나타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대표색을 나열하며 이에 대한 P항목, D항목 및 T항목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의 대표사진과 사물에 나타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대표색을 나열하며 이에 대한 P항목, D항목 및 T항목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별 RGB 색채 값을 표현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states of vertebral bodies for normal hue, red blindness, green blindness, and bluish color blindness.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10 basic colo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 is a view showing 13 detailed color tables including a basic col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t least one representative color in an objec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P items, D items, and T items.
FIGS. 5 and 6 are views showing a representative photograph of an object and at least one representative color shown in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 items, D items, and T items, respectively.
FIG. 7 is a table illustrating RGB color valu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1은 정상색각, 적색맹, 녹색맹 및 청색맹에 대한 추체의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states of vertebral bodies for normal hue, red blindness, green blindness, and bluish color blindness.

도 1을 참조하면, 색각이상은 크게 3종류의 추상체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감도가 낮은 '이상 3색 형(적색약, 녹색약, 청색약)', 3종류의 추상체 중 어느 하나를 갖지 않은 2색 형(적색맹, 녹색맹, 청색맹), 그리고 모든 색이 무채색으로 보이는 1색 형(전색맹)으로 분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lor vision abnormality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types of three-color type (red medicine, green medicine, blue medicine) having one of the three types of cones, Two-color type (red blind, green blind, bluish color blind), and one-color type (all-color blind) in which all colors appear achromatic.

색약은 색약 유형별로 특정 색을 약하게 인지하는 것이 대부분인 반면, 색맹은 특정 색의 구별능력이 색약에 비해서도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In most cases, color weakness recognizes a specific color weakly by type of color weakness, whereas color blindnes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color weakness in the ability to distinguish a specific color.

대표적으로, 적색맹과 녹색맹은 적색과 녹색계열의 판별이 어렵고, 청색맹은 청색계열과 황색계열을 식별하기 어렵다.Typically,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red and green blindness from red and green blindness, and bluish color blindness to blue and yellow.

이처럼 색각이상자들은 정상색각과는 다른 시각으로 컬러를 인지할 뿐만 아니라, 컬러를 인지할 수 있는 색역이 좁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할 때 불편한 경우가 상당부분 존재하게 된다.In addition to recognizing the color with a different view from the normal hue, the color gamut has a narrow gamut that can recognize the color, so that there are a lot of inconveniences in daily life.

따라서, 이러한 국내 색각이상자의 편의를 고려한 컬러기록매체가 부족한 실정을 반영하여 색각이상자들의 평등한 정보 접근을 위한 배색을 장려하는 컬러기록매체가 요구되는 상황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color recording medium that promotes coloration for accessing information of equal color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 fact that a color recording medium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domestic color gamut is lacking.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색 10색을 표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색을 포함한 13가지의 상세 컬러 테이블을 표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10 basic colo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13 detailed color tables including a basic col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색각이상 테이블 외에 빨강, 주황, 노랑, 연두, 초록, 청록, 파랑, 남색, 보라 및 자주의 10색을 각각 기본색을 포함한 13가지의 톤에 따른 상세 컬러로 구분하는 상세 컬러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color table dividing red, orange, yellow, green, green, blue, indigo, purple, and volcanic colors into 13 color tone-specific colors, .

상기 상세 컬러테이블은 기본색 10색을 상기 13가지의 톤에 따른 상세 컬러로 구분함에 있어서, 명도 및 채도를 함께 고려하여 13가지의 톤으로 나뉘는 것이 가능하다.The detailed color table can be divided into thirteen tones in consideration of lightness and saturation in dividing the ten basic colors into the detailed colors according to the thirteen tones.

구체적으로, 상기 13가지의 톤은, 기본톤, 흰톤(wh), 선명한톤(vv), 흐린톤(sf), 연한톤(pl), 밝은톤(lt), 밝은 회색톤(ltgy), 회색톤(gy), 탁한톤(dl), 진한톤(dp), 어두운톤(dk), 어두운 회색톤(dkgy) 및 검은톤(bk)으로 구분되는 것이 가능하다.Specifically, the thirteen tones include a basic tone, a white tone (wh), a clear tone (vv), a blurred tone (sf), a soft tone (pl), a bright tone (lt), a light gray tone gy, dark tones dl, dark tones dp, dark tones dk, dark gray tones dkgy and black tones bk.

따라서, 이러한 상세 컬러테이블을 포함하여 총 130여개의 색을 포함한 상세 컬러테이블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tailed color table including a total of 130 colors including the detailed color tabl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에 나타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대표색을 나열하며 이에 대한 P항목, D항목 및 T항목을 표현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의 대표사진과 사물에 나타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대표색을 나열하며 이에 대한 P항목, D항목 및 T항목을 표현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t least one representative color shown in an objec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 items, D items, and T items for the items. FIG. 5 and FIG. A representative photograph of the object and at least one representative color appearing on the object are listed, and P, D, and T items are represented.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to 6, a type of a coloring color recording medium for a color difference aber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rme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는, 사물에 대한 대표사진을 기록한 대표사진항목, 상기 대표사진에 표현된 색감의 정상범주인 정상색각을 표현하며 상기 대표사진항목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정상색각항목과 적색약 또는 적색맹을 위하여 적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P항목, 녹색약 또는 녹색맹을 위하여 녹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D항목 및 청색약 또는 청색맹을 위하여 청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T항목이 상기 정상색각항목의 일측면에 배치된 색각이상 테이블을 포함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lor-rendering color recording medium for a color-blind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presentative photograph item in which a representative photograph of an object is recorded, a normal color image which is a normal category of color feeling expressed in the representative photograph, P items that represent the coloring of the red blood cell category for red medicine or red blindness, Item D that represents the color blindness of the green blind category for the green blind or green blind, and blue blood cells for the blue blind or blue blind, And a T item representing a color hue may be provided as a coloring color recording medium for a color tone defect comprising a color tone error tab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normal color tone item.

또한, 상기 정상색각항목은 상기 대표사진항목에 나타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대표색을 나열하며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normal color hue items may be arranged by arranging at least one representative color represented in the representative photograph item.

상기 P항목, 상기 D항목 또는 T항목 중 어느 한 항목 이상이 상기 정상색각항목의 일측면에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P항목, 상기 D항목 또는 T항목 중 어느 한 항목 이상이 상기 한가지 이상의 대표색을 나열한 정상색각항목에 대응하여 각각 정상색각항목의 일측면에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Wherein at least one item of the P item, the D item or the T item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on one side of the normal color tone item, and any one or more of the P item, the D item,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m in succession on one side of the normal hue item corresponding to the normal hue item listing representative colors.

구체적으로, 상기 P항목, 상기 D항목 또는 T항목 중 어느 한 항목 이상이 상기 정상색각항목의 일측면에 연속하여 배치될 경우,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when at least one of the P item, the D item, and the T item is continuously arranged on one side of the normal color tone item,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or tone item is arranged in either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도 4 내지 도 6은 가로방향이 해당 톤에 해당하는 정상색각항목을 나열한 방향에 해당하며, 세로방향이 이에 대한 적색약 또는 적색맹을 위하여 적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P항목, 녹색약 또는 녹색맹을 위하여 녹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D항목 및 청색약 또는 청색맹을 위하여 청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T항목이 배열된 방향에 해당한다.FIGS. 4 to 6 correspond to the directions in which the normal direction color item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tone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P item, the green medicine or the green blind representing the color vision of the red blind category for the red medicine or the red blind D items representing the color blindness of the Green Blind category, and T items representing the color blindness of the bluish color blind category for the blue blind or blue blind.

상기 사물의 정상색각항목이 나열된 사이마다 펀칭되어 있는 부분은 배색을 진행할 경우, 가이드 칩 등을 이용하여 인접하여 위치한 타색에 방해를 받지 않고, 다른 색을 대비시킴이 용이하도록 부가된 구성에 해당한다.A portion where punching is performed every time the normal color tone items of the object are arrange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added to facilitate contrasting of other colors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adjacent color located by using a guide chip or the like .

또한, 상기 사물의 대표사진의 일측면 등에는 상기 사물의 명칭 및 학명이 함께 기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me and the scientific name of the object may be describe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representative photograph of the objec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별 RGB 색채 값을 표현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7 is a table illustrating RGB color valu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색각이상 테이블 외에 상기 사물에 대한 정상색각을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값으로 표현한 RGB 색채 값으로 구분한 사물별 RGB 색채 값 테이블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7, an RGB chrominance value table for each object, which is divided into RGB chrominance values expressed by Red, Green, and Blue values, I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정상색각항목 또는 적색맹을 위하여 적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P항목, 녹색약 또는 녹색맹을 위하여 녹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D항목 및 청색약 또는 청색맹을 위하여 청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T항목 등에 따른 RGB색채 값에 대한 테이블의 내용이 수록됨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the normal color vision item or the red blind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tem P representing the color blindness of the green blind category for the P item, the green blind or the green blind representing the color blindness of the red blind category, and the item D representing the color blindness category of the blue blind blind It is possible to store the contents of the table for the RGB color value according to the T item.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 : 정상색각
P : 적색맹
D : 녹색맹
T : 청색맹
C: Normal hue
P: Red eye
D: Green Lie
T: Blue-color blindness

Claims (7)

사물에 대한 대표사진을 기록한 대표사진항목;
상기 대표사진에 표현된 색감의 정상범주인 정상색각을 표현하며 상기 대표사진항목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정상색각항목;
적색약 또는 적색맹을 위하여 적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P항목, 녹색약 또는 녹색맹을 위하여 녹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D항목 및 청색약 또는 청색맹을 위하여 청색맹범주의 색각을 표현한 T항목이 상기 정상색각항목의 일측면에 배치된 색각이상 테이블을 포함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
A representative photograph item in which representative photographs of objects are recorded;
A normal hue item which represents a normal hue angle which is a normal category of color hue represented in the representative photograph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presentative hue item;
For item P, green, or green blind, which represents the color blindness of the red blind category, for the red blind or red blind, item T represents the color blindness of the green blind category, and T item that represents the color blindness of the blue blind blind category for the blue blind or blind blind, A coloring color recording medium for a color tone defect comprising a color tone abnormality tab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색각항목은,
상기 대표사진항목에 나타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대표색을 나열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rmal color tone item comprises:
And at least one representative color indicated in the representative photograph item is arranged in the color image recording med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항목, 상기 D항목 또는 T항목 중 어느 한 항목 이상이 상기 정상색각항목의 일측면에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 item, the D item, and the T item is continuously arranged on one side of the normal color tone i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항목, 상기 D항목 또는 T항목 중 어느 한 항목 이상이 상기 한가지 이상의 대표색을 나열한 정상색각항목에 대응하여 각각 정상색각항목의 일측면에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 item, the D item, and the T item is arranged successively on one side of the normal hue item corresponding to the normal hue item listing the one or more representative colors. Color recording med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각이상 테이블 외에,
빨강, 주황, 노랑, 연두, 초록, 청록, 파랑, 남색, 보라 및 자주의 10색을 각각 기본색을 포함한 13가지의 톤에 따른 상세 컬러로 구분하는 상세 컬러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lor tone abnormality table,
And a detailed color table for dividing the ten colors of red, orange, yellow, green, green, blue, blue, blue and frequently into detailed colors according to thirteen tones including basic colors, respectively Color recording medium for color difference aberr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컬러테이블은,
기본색 10색을 상기 13가지의 톤에 따른 상세 컬러로 구분함에 있어서, 명도 및 채도를 함께 고려하여 13가지의 톤으로 나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etail color table includes:
The color re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lor tone generator is divided into thirteen tones in consideration of the brightness and the saturation in dividing the ten basic colors into the detailed colors according to the thirteen to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각이상 테이블 외에,
상기 사물에 대한 정상색각을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값으로 표현한 RGB 색채 값으로 구분한 사물별 RGB 색채 값 테이블;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lor tone abnormality table,
An RGB chrominance value table for each object divided into RGB chrominance values representing the normal hue of the object by red, green, and blue;
Further comprising a color reproduction color medium for color difference aberration
KR1020170178414A 2017-12-22 2017-12-22 Color recording medium for color vision disorder KR1020697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414A KR102069754B1 (en) 2017-12-22 2017-12-22 Color recording medium for color vision diso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414A KR102069754B1 (en) 2017-12-22 2017-12-22 Color recording medium for color vision disor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543A true KR20190076543A (en) 2019-07-02
KR102069754B1 KR102069754B1 (en) 2020-01-23

Family

ID=6725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414A KR102069754B1 (en) 2017-12-22 2017-12-22 Color recording medium for color vision disor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75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87B1 (en) 2011-12-12 2012-04-09 김세길 A study book for english and a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87B1 (en) 2011-12-12 2012-04-09 김세길 A study book for english and a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색각이상자를 위한 색채변환기술의 배색모델 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014년 5월* *
색맹, 색약자를 위한 색상인식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한국정보과학회 2016년 동계학술발표회, 2016년 12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754B1 (en)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0264B2 (en) Color vision test device, color vision test method, color vision test program and storage medium
CN104509104B (en) Observer's metamerism fault minishing method
Smet et al. Study of chromatic adaptation using memory color matches, Part II: colored illuminants
Chang The Effect on Gamut Expansion of Real Object Colors in Multi-primary Display
EP1909484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Byrne et al. How do things look to the color-blind?
CN106843782B (en) Method for adjusting color of image of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JPS63282883A (en) Color vision converter
Yaguchi et al. Computerized simulation of color appearance for anomalous trichromats using the multispectral image
Hardin A new look at color
Hasantash et al. Paradoxical impact of memory on color appearance of faces
CN115087389A (en) Computer-implemented color vision test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computer-implemented color vision test
JP7276405B2 (en) Transmissive color calibration chart
Walraven et al. Color displays for the color blind
JP5495338B2 (e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US11094093B2 (en) Color processing program, color processing method, color sense inspection system, output system, color vision correctio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olor vision simul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US201902468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assisted viewing for colorblindness
KR20190076543A (en) Color recording medium for color vision disorder
Martin et al. Color blindness and a color human visual system model
Hira et al. Hue rotation (HR) and hue blending (HB): Real‐time image enhancement methods for digital component video signals to support red‐green color‐defective observers
Conway Colour vision: a clue to hue in V2
CN108513112A (en) Color filter array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6215416A (en) Timetable of transportation facility,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same
Rathee et al. Daltonizer: a CNN-based framework for monochromatic and dichromatic color-blindness
Someya et al. 19.3: laser TV: ultra‐wide gamut for a new extended color‐space standard, xvYC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