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582A -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582A
KR20190075582A KR1020170177288A KR20170177288A KR20190075582A KR 20190075582 A KR20190075582 A KR 20190075582A KR 1020170177288 A KR1020170177288 A KR 1020170177288A KR 20170177288 A KR20170177288 A KR 20170177288A KR 20190075582 A KR20190075582 A KR 20190075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film
elastic body
rubber elastic
retar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771B1 (ko
Inventor
문병준
이중훈
황성호
이남정
송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7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7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을 이축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구형 고무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신은 구형 고무 탄성체를 단면적의 장경(L)과 단경(T)의 비율(L/T)이 3 이상 8 이하인 타원형 고무 탄성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OPTICAL FILM AND POLARIZER PLATE COMPRI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에서 사용되는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 필름이 구비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호 필름은 두께가 매우 얇은 편광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자외선에 취약한 편광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하, TAC 필름)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TAC 필름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내흡수성이 취약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할 경우 필름 변형에 의해 편광자의 편광도나 색상 등의 변화를 초래하고, 전반적인 편광판 특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편광자 보호 필름의 재료로 TAC 필름 대신 내습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인성(toughness)이 약하여 비정상적인 굴곡이나 휨(bending) 등의 변형이 가해지면 쉽게 부러지거나 크랙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고무 탄성체 등의 충격보강제를 도입하여 인성을 개선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인성 개선을 위하여 고무 탄성체가 많이 첨가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고분자 필터의 차압 또는 젤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0-0130153호
본 명세서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을 이축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구형 고무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신은 구형 고무 탄성체를 단면적의 장경(L)과 단경(T)의 비율(L/T)이 3 이상 8 이하인 타원형 고무 탄성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타원형 고무 탄성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광학 필름은 면 방향 위상차 값이 0nm 내지 10nm이고,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5nm 내지 30nm이며, 면 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는 각각 하기 식 (1) 및 식 (2)를 통해 계산되는 것인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식 (1): Rin = (nx-ny) x d
식 (2): Rth = [(nx+ny)/2-nz] x d
상기 식 (1) 및 (2)에 있어서, Rin은 면 방향 위상차이고, Rth는 두께 방향 위상차이며, d는 필름 두께이고, nx, ny 및 nz는 각각 파장 550nm에서 측정된 x 방향 굴절율, y 방향 굴절율 및 z 방향 굴절율이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상태들에 따르면, 광학 필름에 포함되는 고무 탄성체가 타원형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광학 필름의 충격에너지 등의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다. 따라서, 광학 필름의 제조시나 편광판 또는 화상표시장치에 적용시 파단이 생기거나 크랙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상태들에 따른 광학 필름의 SEM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을 이축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구형 고무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신은 구형 고무 탄성체를 단면적의 장경(L)과 단경(T)의 비율(L/T)이 3 이상 8 이하인 타원형 고무 탄성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는 용액 캐스터법이나 압출법과 같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필름 제조 공정 시에, 필름의 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량제와 같은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은 수지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보다 5℃ 내지 20℃ 높은 온도에서, 기계방향(MD)으로 1.5배 내지 4배, 폭방향(TD)으로 1.5배 내지 4배 조건으로 진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신은 기계방향(MD)으로 1.5배 내지 2배, 폭방향(TD)으로 2.5배 내지 3배의 이축 연신으로 수행된다. 연신비가 폭방향으로 1.5배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의 인성이 저하되어 편광판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폭방향으로 4배를 초과하는 경우는 연신 과정에서 필름의 파단으로 인해 안정적인 필름 생산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계방향(Machine Direction, MD)"은 필름의 연속 제조시 진행방향에 해당하는 길이 방향이며, "폭방향(Transverse Direction, TD)"은 MD방향의 수직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은 기계방향(MD) 및 폭방향(TD) 중 어느 한 쪽을 먼저 연신한 후에 다른 방향으로 연신할 수도 있고, 두 방향을 동시에 연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신은 한 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고, 다단계에 걸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은 상기 광학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를 Tg라 할 때, (Tg+5)℃ 내지 (Tg+2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신은 105℃ 내지 1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Tg는 100℃ 내지 130℃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10℃ 내지 12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형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구형 고무 탄성체가 타원형 고무 탄성체로 변경되기 위해서는, 낮은 온도에서 연신이 수행될 경우, MD 및 TD로 낮은 배율로 연신이 진행되어야 한다. 반면에, 높은 온도에서 연신이 수행될 경우, MD 및 TD로 높은 배율로 연신이 진행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이 수지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보다 5℃ 이상 15℃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될 경우, 연신 배율이 TD로 2.4배 내지 2.7배, MD로 1.5배 내지 4배 수행되어야 고무 탄성체가 타원형으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이 수지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보다 15℃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될 경우, 연신 배율이 TD로 2.7배 초과 4배 이하, MD로 1.5배 내지 4배 수행되어야 고무 탄성체가 타원형으로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필름이 MD로 1.8배, TD로 2.56배 연신될 경우, 필름의 유리전이온도보다 10℃ 높은 온도에서 연신이 수행된다면 구형 탄성체가 타원형 탄성체로 변형되나, 유리전이온도보다 20℃ 높은 온도에서 연신이 수행된다면 탄성체가 구형 탄성체가 타원형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또 하나의 예로, 필름이 필름의 유리전이온도보다 20℃ 높은 온도에서 연신이 수행될 경우, MD로 1.8배, TD로 2.9배 연신이 수행된다면 구형 탄성체가 타원형 탄성체로 변형되나, MD로 1.8배, TD로 2.56배 연신이 수행된다면 구형 탄성체가 타원형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은 물체의 단면적에서 장경(L)과 단경(T)의 비율(L/T)이 3 이상 8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구형"은 물체의 장경(L)과 단경(T)의 비율(L/T)이 3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장경(L)"은 물체의 단면적에서 가장 긴 부분의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단경(T)"은 상기 장경의 수직이 되는 부분의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구형 고무 탄성체는 표면 요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단면적"은 물체의 최대 직경을 나타내는 부분에서의 단면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은 일 방향으로 10%/min 내지 20,000%/min, 바람직하게는 100%/min 내지 10,000%/min의 연신 속도 범위에서 수행된다. 연신 속도가 10%/min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연신 배율을 얻기 위해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제조 비용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연신 속도가 20,000%/min을 초과하면 연신 필름의 파단 등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은 롤 연신기 또는 텐더형 연신기와 같은 공지된 연신 장치를 비롯하여 필름의 연신을 행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뿐만 아니라 알킬메타크릴레이트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또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페닐말레이미드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 중 1종 이상과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형성된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량체"란 중합체에 포함되는 반복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즉, "단량체"란 중합 반응에 의해서 중합체 내에서 2가기 이상의 형태로 포함되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도체"는 화합물의 일부를 화학적으로 변화시켜서 얻어지는 유사한 화합물로, 화합물 중의 수소 원자 또는 특정 원자단이 다른 원자 또는 원자단에 의하여 치환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 언급된 요소가 중합되어 공중합체 수지 내에서 반복 단위로서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공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단량체를 언급하는 경우에도, 언급된 단량체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언급된 단량체 외에 다른 단량체를 공단량체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알킬 부(moiety)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거나 시클로알킬기 일 수 있고, 이때, 알킬 부의 탄소수는 1 내지 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6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치환되지 않은 스티렌 단량체 또는 치환된 스티렌 단량체일 수 있다. 상기 치환된 스티렌 단량체는 벤젠고리 또는 비닐기에 지방족 탄화수소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된 스티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2,5-디메틸스티렌, 2-메틸-4-클로로스티렌, 2,4,6-트리메틸스티렌, cis-β-메틸스티렌, trans-β-메틸스티렌, 4-메틸-α-메틸스티렌, 4-플루오르-α-메틸스티렌, 4-클로로-α-메틸스티렌, 4-브로모-α-메틸스티렌, 4-t-부틸스티렌, 2-플루오르스티렌, 3-플루오르스티렌, 4-플루오로스티렌, 2,4-디플루오로스티렌, 2,3,4,5,6-펜타플루오로스티렌, 2-클로로스티렌, 3-클로로스티렌, 4-클로로스티렌, 2,4-디클로로스티렌, 2,6-디클로로스티렌, 옥타클로로스티렌, 2-브로모스티렌, 3-브로모스티렌, 4-브로모스티렌, 2,4-디브로모스티렌, α-브로모스티렌 및 β-브로 모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페닐말레이미드계 단량체는 예컨대, 페닐말레이미드, 니트로페닐 말레이미드, 모노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디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모노메틸페닐 말레이미드, 디메틸페닐 말레이미드 및 에틸메틸페닐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무 탄성체는 메타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MBS)계 탄성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계 탄성체,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스티렌(AES)계 탄성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ASA)계 탄성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EPDM)계 탄성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계 탄성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계 탄성체, 스티렌-부타디엔(SB)계 탄성체, 스티렌-이소프렌계 고무 탄성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계 탄성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EEA)계 탄성체,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공중합체 탄성체, 염화 에틸렌(CPE)계 수지 탄성체, 실리콘계 고무 탄성체, 아크릴-실리콘계 고무 탄성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계 탄성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계 탄성체 및 나일론계 탄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고무 탄성체를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wt% 내지 15wt%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 외에도 광개시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레벨링제, 방오제, 자외선 흡수제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필름용 조성물이 전술한 첨가제를 포함할 경우, 그 함량은 광학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컨대, (메타)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UV 흡수제는 예컨대, 트리아진계 또는 트리아졸계 UV 흡수제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전술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타원형 고무 탄성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광학 필름은 면 방향 위상차 값이 0nm 내지 10nm이고,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5nm 내지 30nm이며, 면 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는 각각 하기 식 (1) 및 식 (2)를 통해 계산되는 것인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식 (1): Rin = (nx-ny) x d
식 (2): Rth = [(nx+ny)/2-nz] x d
상기 식 (1) 및 (2)에 있어서, Rin은 면 방향 위상차이고, Rth는 두께 방향 위상차이며, d는 필름 두께이고, nx, ny 및 nz는 각각 파장 550nm에서 측정된 x 방향 굴절율, y 방향 굴절율 및 z 방향 굴절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nx는 파장 550nm의 광에서 측정하였을 때, 면 방향 굴절율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율이고, ny는 파장 550nm의 광에서 측정하였을 때, 면 방향에 있어서 지상축에 수직인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율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nx, ny 및 nz는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잘 알려진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프리즘 커플러 장비(SAIRON TECHNOLOGY社 SPA-3DR) 등을 이용하여 평균 굴절율을 측정하고, Axomatrics 社의 엑소스캔(Axoscan)으로 복굴절을 측정하여 nx, ny 및 nz를 각각 계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두께"란 어떤 부재의 일 표면과 상기 표면과 대향하는 일 표면 사이의 평균 너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에 포함된 타원형 고무 탄성체는 구형 고무 탄성체를 유리전이온도보다 5℃ 내지 20℃ 높은 온도에서, 기계방향(MD)으로 1.5배 내지 4배, 폭방향(TD)으로 1.5배 내지 4배 조건으로 연신하여 타원형으로 변경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신 조건은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에 포함된 타원형 고무 탄성체는 장경(L)과 단경(T)의 비율(L/T)이 3 이상 8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고무 탄성체를 광학 필름 총 중량 기준으로 기준으로 5wt% 내지 15wt%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UV 흡수제가 더 포함되어 있다. 이때의 UV 흡수제는 상기 제조방법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파장 380nm에서 UV 투과도 값이 20% 이하이다. 이에 따라, 자외선에 취약한 편광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의 충격에너지 값은 600 kN·m/m3 이상이다. 상기 충격 에너지가 낮을 경우, 필름 제조시에는 파단이 발생할 수 있으며, 편광판 재단시에는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 에너지는 높을수록 바람직하며, 그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2,000 kN·m/m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충격 에너지는 낙하 충격 실험을 통해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 에너지는 위치 에너지(potential energy)를 필름 부피로 나눔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에너지는 (중력 가속도 x 낙구 볼 무게 x 낙구 높이)이며, 필름 부피는 (필름 두께 x 측정 면적)으로 계산하였다. 즉, 상기 충격 에너지는 (중력 가속도 x 낙구 볼 무게 x 낙구 높이)/(필름 두께 x 측정 면적)을 통해 계산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낙구 볼 무게는 10g 내지 100g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낙구 높이는 50mm 내지 1,500mm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필름 두께는 20μm 내지 100μm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측정 면적은 2,500mm2 내지 10,000mm2(필름 직경: 50mm 내지 100mm)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두께가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이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광학 필름이 상기와 같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별도의 코팅층을 포함하는 필름에 비하여 박형화가 가능하며, 컬이나 크랙 발생 없이 고경도의 광학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 필름의 두께가 20㎛ 미만일 경우에는 필름의 취급성이 불량하여 제조 공정 및 제품의 취급 과정에서 꺾임, 파단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80㎛를 초과할 경우에는 편광판의 박형화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400nm 내지 800nm의 파장범위에서 광 투과율이 8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필름의 탁도(haze)는 2% 이하일 수 있다. 만약 상기 광학 필름의 직진 투과율 및 탁도가 각각 80% 미만, 2% 이상일 경우, 이로부터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의 휘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자 보호필름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전술한 실시상태들에 따른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자의 양면에 부착되어도 되고, 일면에만 부착되어도 된다. 상기 광학 필름이 편광자의 일면에만 부착될 경우, 타면에는 필요에 따라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보호 필름을 구비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직접 부착되거나,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의 보호 필름 상에 부착되어,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을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직접 부착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그 구조는 상 보호 필름/편광자/광학 필름, 광학 필름/편광자/하 보호 필름, 광학 필름/상 보호 필름/편광자/하 보호 필름 또는 상 보호 필름/편광자/하 보호 필름/광학 필름 일 수 있다.
도 1에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편광자의 양면에 광학 필름이 부착된 경우를 예시한 도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로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을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이하 '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PVA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는 광학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편광판은 편광자와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편광자와 광확 필름의 부착은 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필름의 합지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롤코터, 그라비아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캐필러리 코터 등을 사용하여 광학 필름 또는 편광자의 표면에 접착제를 코팅한 후, 광학 필름과 편광자를 합지 롤로 가열 합지하거나, 상온 압착하여 합지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로는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수계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등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편광판의 전체 두께는 45㎛이상, 예를 들어 45㎛ 내지 250㎛, 또는 50㎛ 내지 120㎛, 또는 5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편광판에 전술한 광학 필름을 적용함으로써, 박형의 두께를 가지면서도 컬이나 크랙 발생 없이 고경도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TN(Twisted Nematic), 또는 STN(Super Twisted Nematic) 액정용 편광판일 수 있으며, IPS(In-Plane Switching), Super-IPS, 또는 FFS(Fringe Field Switching) 등의 수평배향모드용 편광판일 수도 있고, 수직배향모드용 편광판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술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패널 또는 유기발광 패널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화상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또는 전계발광장치(LED)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및 이 액정 패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편광판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가 전술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셀 및 상기 액정 셀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상부 편광판 및 하부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액정 셀이 구비되지 않은 상부 편광판의 외측 및/또는 액정 셀이 구비되지 않은 하부 편광판의 외측에 위상차 필름 또는 보호 필름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즉, 액정 셀이 구비되지 않은 상부 편광판의 외측, 액정 셀이 구비되지 않은 하부 편광판의 외측 및/또는 상부 편광판과 하부 편광판 모두에서 액정 셀이 구비되지 않은 외측에 광학 필름이 하나 또는 2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 필름은 보호 필름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최외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파단이 생기거나 크랙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기판(예를 들어,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 등의 종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구형 고무 탄성체(L/T: 3 미만)가 10wt% 포함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압출하여 원단 시트(sheet)를 제작하였다. 그 후, 유리전이온도인 115℃보다 10℃ 높은 125℃에서 MD 방향으로 1.8배 연신 후 동일한 온도에서 TD 방향으로 2.56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구형 고무 탄성체(L/T: 3 미만)가 10wt% 포함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압출하여 원단 시트(sheet)를 제작하였다. 그 후, 유리전이온도인 115℃보다 15℃ 높은 130℃에서 MD 방향으로 1.8배 연신 후 동일한 온도에서 TD 방향으로 2.9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구형 고무 탄성체(L/T: 3 미만)가 5wt% 포함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압출하여 원단 시트(sheet)를 제작하였다. 그 후, 유리전이온도인 115℃보다 10℃ 높은 125℃에서 MD 방향으로 1.8배 연신 후 동일한 온도에서 TD 방향으로 2.56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구형 고무 탄성체(L/T: 3 미만)가 15wt% 포함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압출하여 원단 시트(sheet)를 제작하였다. 그 후, 유리전이온도인 115℃보다 20℃ 높은 135℃에서 MD 방향으로 1.8배 연신 후 동일한 온도에서 TD 방향으로 2.9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구형 고무 탄성체(L/T: 3 미만)가 10wt% 포함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UV 조절제(LA-F70, ADEKA社)를 0.55phr를 첨가하고 압출하여 원단 시트(sheet)를 제작하였다. 그 후, 유리전이온도인 115℃보다 10℃ 높은 125℃에서 MD 방향으로 1.8배 연신 후 동일한 온도에서 TD 방향으로 2.56배 연신하여 약 60μm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구형 고무 탄성체(L/T: 3 미만)가 10wt% 포함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압출하여 원단 시트(sheet)를 제작하였다. 그 후, 유리전이온도인 115℃보다 20℃ 높은 135℃에서 MD 방향으로 1.8배 연신 후 동일한 온도에서 TD 방향으로 2.56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구형 고무 탄성체(L/T: 3 미만)가 10wt% 포함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압출하여 원단 시트(sheet)를 제작하였다. 그 후, 유리전이온도인 115℃보다 15℃ 높은 130℃에서 MD 방향으로 1.8배 연신 후 동일한 온도에서 TD 방향으로 2.56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구형 고무 탄성체(L/T: 3 미만)가 5wt% 포함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압출하여 원단 시트(sheet)를 제작하였다. 그 후, 유리전이온도인 115℃보다 20℃ 높은 135℃에서 MD 방향으로 1.8배 연신 후 동일한 온도에서 TD 방향으로 2.56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구형 고무 탄성체(L/T: 3 미만)가 15wt% 포함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압출하여 원단 시트(sheet)를 제작하였다. 그 후, 유리전이온도인 115℃보다 20℃ 높은 135℃에서 MD 방향으로 1.8배 연신 후 동일한 온도에서 TD 방향으로 2.56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고무 탄성체가 포함되지 않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압출하여 원단 시트(sheet)를 제작하였다. 그 후, 유리전이온도인 115℃보다 15℃ 높은 130℃에서 MD 방향으로 1.8배 연신 후 동일한 온도에서 TD 방향으로 2.56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고무 탄성체가 포함되지 않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압출하여 원단 시트(sheet)를 제작하였다. 그 후, 유리전이온도인 115℃보다 15℃ 높은 130℃에서 MD 방향으로 1.8배 연신 후 동일한 온도에서 TD 방향으로 2.9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충격에너지 측정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광학 필름을 10cm x 10cm의 샘플로 제작하고, 샘플을 58cm2의 원형의 구멍이 뚫려있는 금속 판 사이에 고정시킨 후 36g 금속 볼(ball)을 일정 높이에서 자유 낙하 시켜 필름이 파괴되지 않는 최대 높이에서의 위치에너지를 필름의 부피로 나누어 단위 부피당 에너지로 계산하여 충격 에너지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 투과도 측정
HITACHI 社의 U-3310 Spectrophotometer를 Scan Speed를 600nm/min으로 하여 200~850nm 파장까지 측정을 한 후 UV영역인 380nm와 가시광선 영역인 550nm에서의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광학 필름의 특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광학 필름의 특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수지 조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wt%)
90 90 95 85 90
고무 탄성체
(wt%)
10 10 5 15 10
UV 흡수제
(phr)
- - - - 0.55
유리전이 온도(℃) 115 115 115 115 115
연신 조건 MD 연신비 (배) 1.8 1.8 1.8 1.8 1.8
TD 연신비 (배) 2.56 2.9 2.56 2.9 2.56
연신 온도 (℃) Tg+10 Tg+15 Tg+10 Tg+20 Tg+10
Rin/Rth (nm) 2/23 3/26 2/18 3/29 2/23
필름 물성 충격 에너지
(kN·m/m3)
1050 1015 714 988 1050
고무탄성체의
L/T
4.9 4.5 4.3 4.1 4.9
380nm에서의 투과도
(%)
93 93 93 93 4
550nm에서의 투과도
(%)
93 93 93 93 9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수지 조성
(w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90 90 95 85 100 100
고무 탄성체 10 10 5 15 - -
유리전이 온도(℃) 115 115 115 115 115 115
연신 조건 MD 연신비 (배) 1.8 1.8 1.8 1.8 1.8 1.8
TD 연신비 (배) 2.56 2.56 2.56 2.56 2.56 2.9
연신 온도 (℃) Tg
+20
Tg
+15
Tg
+20
Tg
+20
Tg
+15
Tg
+15
Re/Rth (nm) 2/17 2/19 2/13 2/22 2/11 3/14
필름 물성 충격 에너지
(kN·m/m3)
591 832 384 776 402 483
고무탄성체의
L/T
1 1.2 1 1 - -
380nm에서의 투과도
(%)
93 93 93 93 93 93
550nm에서의 투과도
(%)
93 93 93 93 93 93
상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고무탄성체의 L/T로부터, 실시예 1 내지 5는 적절한 연신 조건으로 인하여 고무탄성체가 타원형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고무탄성체는 L/T가 3 미만을 나타냄으로써, 연신 조건이 상이해짐에 따라 고무탄성체가 타원형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무탄성체가 타원형으로 변경된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광학 필름의 경우, 충격 에너지가 600 kN·m/m3 이상을 나타내는 것에 비하여, 고무탄성체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5 및 6의 경우, 제조된 광학 필름의 경우, 충격 에너지가 600 kN·m/m3 미만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무 탄성체가 타원형으로 변형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 실시예에 비하여 충격 에너지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UV 흡수제를 첨가한 실시예 5의 경우, 380nm에서의 투과도가 4%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광학 필름의 SEM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3은 비교예 2에서 제조된 광학 필름의 SEM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광학 필름에 포함된 고무 탄성체는 타원형으로 변경된 것에 비하여, 비교예 2에서 제조된 광학 필름에 포함된 고무 탄성체는 구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 광학 필름
20: 편광자

Claims (11)

  1.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을 이축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구형 고무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신은 구형 고무 탄성체를 단면적의 장경(L)과 단경(T)의 비율(L/T)이 3 이상 8 이하인 타원형 고무 탄성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신은 수지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보다 5℃ 내지 20℃ 높은 온도에서, 기계방향(MD)으로 1.5배 내지 4배, 폭방향(TD)으로 1.5배 내지 4배 조건으로 진행하는 것인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고무 탄성체를 수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5wt% 내지 15wt% 포함하는 것인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광학 필름.
  5. (메타)아크릴계 수지; 및
    타원형 고무 탄성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광학 필름은 면 방향 위상차 값이 0nm 내지 10nm이고,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5nm 내지 30nm이며, 면 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는 각각 하기 식 (1) 및 식 (2)를 통해 계산되는 것인 광학 필름:
    식 (1): Rin = (nx-ny) x d
    식 (2): Rth = [(nx+ny)/2-nz] x d
    상기 식 (1) 및 (2)에 있어서, Rin은 면 방향 위상차이고, Rth는 두께 방향 위상차이며, d는 필름 두께이고, nx, ny 및 nz는 각각 파장 550nm에서 측정된 x 방향 굴절율, y 방향 굴절율 및 z 방향 굴절율이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UV 흡수제가 더 포함된 것인 광학 필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파장 380nm에서 UV 투과도 값이 20% 이하인 것인 광학 필름.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충격 에너지가 600 kN·m/m3 이상인 것인 광학 필름.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자 보호필름인 것인 광학 필름.
  10.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청구항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11.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청구항 10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170177288A 2017-12-21 2017-12-21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2164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88A KR102164771B1 (ko) 2017-12-21 2017-12-21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88A KR102164771B1 (ko) 2017-12-21 2017-12-21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582A true KR20190075582A (ko) 2019-07-01
KR102164771B1 KR102164771B1 (ko) 2020-10-13

Family

ID=6725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288A KR102164771B1 (ko) 2017-12-21 2017-12-21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77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0801A (ja) * 2008-08-04 2010-05-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
KR20100130153A (ko)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JP2012180423A (ja) * 2011-02-28 2012-09-20 Sumitomo Chemical Co Ltd 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で製造された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並びに偏光板
JP2015143842A (ja) * 2013-12-27 2015-08-0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WO2015128995A1 (ja) * 2014-02-27 2015-09-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6042159A (ja) * 2014-08-18 2016-03-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並びに液晶表示装置
KR20160059853A (ko) *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소자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60095822A (ko) * 2015-02-04 2016-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소자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6158968A1 (ja) * 2015-03-30 2016-10-06 株式会社カネカ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
JP2017218504A (ja) * 2016-06-07 2017-12-14 株式会社クラレ 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フィルム並びに積層体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0801A (ja) * 2008-08-04 2010-05-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
KR20100130153A (ko)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JP2012180423A (ja) * 2011-02-28 2012-09-20 Sumitomo Chemical Co Ltd 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で製造された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並びに偏光板
JP2015143842A (ja) * 2013-12-27 2015-08-0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WO2015128995A1 (ja) * 2014-02-27 2015-09-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6042159A (ja) * 2014-08-18 2016-03-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並びに液晶表示装置
KR20160059853A (ko) *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소자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60095822A (ko) * 2015-02-04 2016-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소자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6158968A1 (ja) * 2015-03-30 2016-10-06 株式会社カネカ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
JP2017218504A (ja) * 2016-06-07 2017-12-14 株式会社クラレ 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フィルム並びに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771B1 (ko)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1618B2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188760B1 (ko)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TWI317028B (ko)
US9804307B2 (en) Multilayer optical fil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polarizer comprising the same
TW200925193A (en)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er
JP6953496B2 (ja) 偏光子の製造方法
US1131400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and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same
WO2021240882A1 (ja) 位相差層および粘着剤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KR101377203B1 (ko)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한 광학 필름용 수지 제조
US9581734B2 (en) Optical film exhibiting excellent blocking properties for ultraviolet light and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KR20160062901A (ko) 편광소자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60127224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5804298B2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及びこれを含む樹脂組成物
TW201920575A (zh) 黏著劑組成物、偏光板以及影像顯示裝置
JP2021165826A (ja) 偏光板及びその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160095822A (ko) 편광소자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90075582A (ko)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7089093B2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529370B1 (ko) 내열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KR102134948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7382450B2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20200006225A (ko) 위상차 필름 및 위상차 필름의 용도
KR101226935B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497183B1 (ko) 광학 필름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KR102481465B1 (ko)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