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040A -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 전송 장치, 전방향 비디오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 전송 장치, 전방향 비디오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040A
KR20190075040A KR1020197000648A KR20197000648A KR20190075040A KR 20190075040 A KR20190075040 A KR 20190075040A KR 1020197000648 A KR1020197000648 A KR 1020197000648A KR 20197000648 A KR20197000648 A KR 20197000648A KR 20190075040 A KR20190075040 A KR 20190075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nformation
metadata
imag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028B1 (ko
Inventor
이장원
오세진
서종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75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4Context-preserving transformations, e.g. by using an importance map
    • G06T3/047Fisheye or wide-angle transfor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H04N13/0048
    • H04N13/0059
    • H04N13/0062
    • H04N13/045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은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하는 단계, 상기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를 2차원 프레임에 패킹하는 단계, 상기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및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 전송 장치, 전방향 비디오 수신 장치
본 발명은 전방향 미디어(omnidirectional media)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전방향 비디오 및 전방향 비디오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방송 신호 송신이 종료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 신호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에 비해 더 많은 양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VR (Virtuall Reality)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전자적으로 투영된 환경내에 있는 것 같은 감각을 제공한다. VR 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더 고화질의 이미지들과, 공간적인 음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더 개선될 수 있다. VR 시스템은 사용자가 인터랙티브하게 VR 컨텐트들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VR 시스템은 더 효율적으로 VR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VR 컨텐츠와 같은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전송 효율, 송수신 네트워크 간의 강건성, 모바일 수신 장치를 고려한 네트워크 유연성, 효율적인 재생 및 시그널링을 위한 방안 등이 제안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방향 비디오 콘텐츠가 제공될 때, 전방향 비디오의 속성(attribute) 등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정의 및 전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전방향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명세서는 전방향 비디오의 재생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작자가 의도한 시점(지점), 또는 영역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련 메타데이터를 정의, 저장 및 시그널링하는 방안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2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정의, 저장 및 시그널링하는 방안이 개시된다.
2D 공간에서의 시점(지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정의, 저장 및 시그널링하는 방안이 개시된다.
3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정의, 저장 및 시그널링하는 방안이 개시된다.
3D 공간에서의 시점(지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정의, 저장 및 시그널링하는 방안이 개시된다.
영역 정보 또는 시점(지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전방향 비디오 트랙의 관계를 시그널링하는 방안이 개시된다.
DASH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를 전송 및 시그널링하는 방안이 개시된다.
MPEG-2 TS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를 전송 및 시그널링하는 방안이 개시된다.
VCL(Video Coding Layer)을 이용하여 메타데이터를 전송 및 시그널링하는 방안이 개시된다.
본 명세서는 전방향 비디오의 재생에 있어서, 영상과 관련된 GPS 관련 정보 메타데이터를 정의, 저장 및 시그널링하는 방안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GPS 관련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정의, 저장 및 시그널링하는 방안이 개시된다.
GPS 관련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전방향 비디오 트랙의 관계를 시그널링하는 방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망을 사용하는 차세대 하이브리드 방송을 지원하는 환경에서 전방향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전방향 컨텐츠 소비에 있어서, 인터랙티브 경험(interactive experience) 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전방향 컨텐츠 소비에 있어서, 전방향 컨텐츠 제작자가 의도하는 바가 정확히 반영되도록 시그널링 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방향 컨텐츠 전달에 있어, 효율적으로 전송 캐패시티를 늘리고, 필요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방향 비디오 콘텐츠가 제공될 때, 360 비디오의 속성(attribute) 등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정의 및 전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전방향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aspect)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3D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비행기 주축(Aircraft Principal Axes)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스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Tile)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SOBMFF 내의 박스들의 계층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ASH 기반 적응형(Adaptive) 스트리밍 모델의 전반적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D 공간에서의 시점(지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3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3D 공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영역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ef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전송을 시그널링하는 MP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전송을 시그널링하는 MP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전송을 시그널링하는 MP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전송을 시그널링하는 MP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전송을 시그널링하는 MP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스트림 식별자와 해당 스트림 식별자에 할당된 스트림의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스트림 타입과, 해당 스트림 타입에 할당된 스트림의 정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PES packet을 통해 전송되는 access unit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daptation fiel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xtension descriptor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extension descriptor 에 포함되는 extension descriptor tag 의 value와, 해당 value에 해당하는 설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dci extension descriptor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D vdci descriptor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phrecal vcdi descriptor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SEI message에 포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그 예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실시예만을 나타내기보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세부 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세부 사항 없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용어는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것들에서 선택되지만, 일부 용어는 출원인에 의해 임의로 선택되며 그 의미는 필요에 따라 다음 설명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어의 단순한 명칭이나 의미가 아닌 용어의 의도된 의미에 근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VR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을 제공하기 위하여, 360도 컨텐츠 또는 전방향 미디어(omnidirectional media)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VR 이란 실제 또는 가상의 환경을 복제(replicates) 하기 위한 기술 내지는 그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VR 은 인공적으로 사용자에게 감각적 경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전자적으로 프로젝션된 환경에 있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다.
360도 컨텐츠는 VR 을 구현,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전반을 의미하며, 360도 비디오 및/또는 360도 오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는 VR 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동시에 모든 방향(360도) 으로 캡쳐되거나 재생되는 비디오 내지 이미지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는 3D 모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3D 공간 상에 나타내어지는 비디오 내지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60도 비디오는 구형(Spherical)면 상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 360도 오디오 역시 VR 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컨텐츠로서, 음향 발생지가 3차원의 특정 공간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될 수 있는, 공간적(Spatial) 오디오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360도 컨텐츠는 생성, 처리되어 사용자들로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360도 컨텐츠를 이용하여 VR 경험을 소비할 수 있다. 이하, 360도 콘텐트/비디오/이미지/오디오 등은 단위(도, degree)가 생략된 360 콘텐트/비디오/이미지/오디오 등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VR 콘텐트/비디오/이미지/오디오 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360도 콘텐트/비디오/이미지/오디오 등은 전방향 콘텐트/비디오/이미지/오디오 등의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360 비디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360 비디오를 제공하기 위하여, 먼저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360 비디오가 캡쳐될 수 있다. 캡쳐된 360 비디오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전송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다시 원래의 360 비디오로 가공하여 렌더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360 비디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60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의 과정은 캡처 과정(process), 준비 과정, 전송 과정, 프로세싱 과정, 렌더링 과정 및/또는 피드백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캡처 과정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하여 복수개의 시점 각각에 대한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캡쳐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캡처 과정에 의해 도시된 (t1010) 과 같은 이미지/비디오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된 (t1010) 의 각 평면은 각 시점에 대한 이미지/비디오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캡쳐된 복수개의 이미지/비디오를 로(raw) 데이터라 할 수도 있다. 캡쳐 과정에서 캡쳐와 관련된 메타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 캡처를 위하여 VR 을 위한 특수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로 생성된 가상의 공간에 대한 360 비디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실제 카메라를 통한 캡처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순히 관련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으로 해당 캡처 과정이 갈음될 수 있다.
준비 과정은 캡처된 이미지/비디오 및 캡쳐 과정에서 발생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일 수 있다. 캡처된 이미지/비디오는 이 준비 과정에서, 스티칭 과정, 프로젝션 과정, 리전별 패킹 과정(Region-wise Packing) 및/또는 인코딩 과정 등을 거칠 수 있다.
먼저 각각의 이미지/비디오가 스티칭(Stitching)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스티칭 과정은 각각의 캡처된 이미지/비디오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파노라마 이미지/비디오 또는 구형의 이미지/비디오를 만드는 과정일 수 있다.
이 후, 스티칭된 이미지/비디오는 프로젝션(Projection)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프로젝션 과정에서, 스트칭된 이미지/비디오는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될 수 있다. 이 2D 이미지는 문맥에 따라 2D 이미지 프레임으로 불릴 수도 있다. 2D 이미지로 프로젝션하는 것을 2D 이미지로 매핑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프로젝션된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는 도시된 (t1020) 과 같은 2D 이미지의 형태가 될 수 있다.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코딩 효율 등을 높이기 위하여 리전별 패킹 과정(Region-wise Packing)을 거칠 수 있다. 리전별 패킹이란,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비디오 데이터를 리전(Region) 별로 나누어 처리를 가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리전(Region)이란, 360 비디오 데이터가 프로젝션된 2D 이미지가 나누어진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리전들은, 실시예에 따라, 2D 이미지를 균등하게 나누어 구분되거나, 임의로 나누어져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리전들은, 프로젝션 스킴에 따라 구분되어질 수도 있다. 리전별 패킹 과정은 선택적(optional) 과정으로써, 준비 과정에서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 처리 과정은, 비디오 코딩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각 리전을 회전한다거나 2D 이미지 상에서 재배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전들을 회전하여 리전들의 특정 변들이 서로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코딩 시의 효율이 높아지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 처리 과정은, 360 비디오상의 영역별로 레졸루션(resolution) 을 차등화하기 위하여, 특정 리전에 대한 레졸루션을 높인다거나, 낮추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60 비디오 상에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영역에 해당하는 리전들은, 다른 리전들보다 레졸루션을 높게할 수 있다.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비디오 데이터 또는 리전별 패킹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코덱을 통한 인코딩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준비 과정은 부가적으로 에디팅(editing) 과정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에디팅 과정에서 프로젝션 전후의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들에 대한 편집 등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준비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스티칭/프로젝션/인코딩/에디팅 등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비디오 데이터들의 초기 시점, 혹은 ROI (Region of Interest) 등에 관한 메타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전송 과정은 준비 과정을 거친 이미지/비디오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들을 처리하여 전송하는 과정일 수 있다. 전송을 위해 임의의 전송 프로토콜에 따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전송을 위한 처리를 마친 데이터들은 방송망 및/또는 브로드밴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 데이터들은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수신측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수신측에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해당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 과정은 수신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프로젝션되어 있는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를 3D 모델 상에 리-프로젝션(Re-projection) 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2D 이미지들 상에 프로젝션되어 있는 이미지/비디오 데이터가 3D 공간 상으로 리-프로젝션될 수 있다. 이 과정을 문맥에 따라 매핑, 프로젝션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이 때 매핑되는 3D 공간은 3D 모델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3D 모델에는 구형(Sphere), 큐브(Cube), 실린더(Cylinder) 또는 피라미드(Pyramid) 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싱 과정은 부가적으로 에디팅(editing) 과정, 업 스케일링(up scaling) 과정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에디팅 과정에서 리-프로젝션 전후의 이미지/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편집 등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지/비디오 데이터가 축소되어 있는 경우 업 스케일링 과정에서 샘플들의 업 스케일링을 통해 그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다운 스케일링을 통해 사이즈를 축소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
렌더링 과정은 3D 공간상에 리-프로젝션된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를 렌더링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표현에 따라 리-프로젝션과 렌더링을 합쳐 3D 모델 상에 렌더링한다 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3D 모델 상에 리-프로젝션된 (또는 3D 모델 상으로 렌더링된) 이미지/비디오는 도시된 (t1030) 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t1030) 은 구형(Sphere) 의 3D 모델에 리-프로젝션된 경우이다. 사용자는 VR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렌더링된 이미지/비디오의 일부 영역을 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보게되는 영역은 도시된 (t1040) 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피드백 과정은 디스플레이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는 다양한 피드백 정보들을 송신측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피드백 과정을 통해 360 비디오 소비에 있어 인터랙티비티(Interactivity) 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드백 과정에서 헤드 오리엔테이션(Head Orientation) 정보,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영역을 나타내는 뷰포트(Viewport) 정보 등이 송신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VR 환경 상에 구현된 것들과 상호작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그 상호작용과 관련된 정보가 피드백 과정에서 송신측 내지 서비스 프로바이더 측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드백 과정은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헤드 오리엔테이션 정보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 각도, 움직임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현재 360 비디오 내에서 보고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 즉 뷰포트 정보가 계산될 수 있다.
뷰포트 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360 비디오에서 보고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게이즈 분석(Gaze Analysis) 이 수행되어, 사용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360 비디오를 소비하는지, 360 비디오의 어느 영역을 얼마나 응시하는지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게이즈 분석은 수신측에서 수행되어 송신측으로 피드백 채널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VR 디스플레이 등의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방향, 장치가 지원하는 수직(vertical) 혹은 수평(horizontal) FOV 등에 근거하여 뷰포트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피드백 정보는 송신측으로 전달되는 것 뿐아니라, 수신측에서 소비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측의 디코딩, 리-프로젝션, 렌더링 과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오리엔테이션 정보 및/또는 뷰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역에 대한 360 비디오만 우선적으로 디코딩 및 렌더링될 수도 있다.
여기서 뷰포트(viewport) 내지 뷰포트 영역이란, 사용자가 360 비디오에서 보고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시점(viewpoint) 는 사용자가 360 비디오에서 보고 있는 지점으로서, 뷰포트 영역의 정중앙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뷰포트는 시점을 중심으로 한 영역인데, 그 영역이 차지하는 크기 형태 등은 후술할 FOV(Field Of View) 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360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 아키텍처 내에서, 캡쳐/프로젝션/인코딩/전송/디코딩/리-프로젝션/렌더링의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들을 360 비디오 데이터라 부를 수 있다. 360 비디오 데이터라는 용어는 또한 이러한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들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 내지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쓰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aspect)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360 비디오 전송 장치와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는 전술한 준비 과정 내지 전송 과정에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는 데이터 입력부, 스티처(Stitcher), 프로젝션 처리부, 리전별 패킹 처리부(도시되지 않음), 메타데이터 처리부,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 데이터 인코더, 인캡슐레이션 처리부, 전송 처리부 및/또는 전송부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는 캡쳐된 각 시점별 이미지/비디오 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시점별 이미지/비디오 들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들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비디오들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입력부는 캡쳐 과정에서 발생된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는 입력된 시점별 이미지/비디오들을 스티처로 전달하고, 캡쳐 과정의 메타데이터를 시그널링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스티처는 캡쳐된 시점별 이미지/비디오들에 대한 스티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스티처는 스티칭된 360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젝션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스티처는 필요한 경우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아 스티칭 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스티처는 스티칭 과정에서 발생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스티칭 과정의 메타데이터에는 스티칭이 수행되었는지 여부, 스티칭 타입 등의 정보들이 있을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스티칭된 360 비디오 데이터를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다양한 스킴(scheme)에 따라 프로젝션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각 시점별 360 비디오 데이터의 해당 뎁스(depth)를 고려하여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필요한 경우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프로젝션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아 프로젝션 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프로젝션 과정에서 발생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의 메타데이터에는 프로젝션 스킴의 종류 등이 있을 수 있다.
리전별 패킹 처리부(도시되지 않음)는 전술한 리전별 패킹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프로젝션된 360 비디오 데이터를 리전별로 나누고, 각 리전들을 회전, 재배열하거나, 각 리전의 레졸루션을 변경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전별 패킹 과정은 선택적(optional) 과정이며, 리전별 패킹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생략될 수 있다.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필요한 경우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리전별 패킹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아 리전별 패킹 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리전별 패킹 과정에서 발생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리전별 패킹 처리부의 메타데이터에는 각 리전의 회전 정도, 사이즈 등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스티처, 프로젝션 처리부 및/또는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캡처 과정, 스티칭 과정, 프로젝션 과정, 리전별 패킹 과정, 인코딩 과정, 인캡슐레이션 과정 및/또는 전송을 위한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들을 처리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이러한 메타데이터들을 이용하여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시그널링 테이블의 형태로 생성할 수도 있다. 문맥에 따라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또는 360 비디오 관련 시그널링 정보라 불릴 수도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획득하거나 생성한 메타데이터들을 필요에 따라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내부 엘레멘트들에 전달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가 수신측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데이터 인코더, 인캡슐레이션 처리부 및/또는 전송 처리부에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인코더는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360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리전별 패킹된 360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360 비디오 데이터는 다양한 포맷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 처리부는 인코딩된 360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파일 등의 형태로 인캡슐레이션할 수 있다. 여기서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전술한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것일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 처리부는 해당 데이터들을 ISOBMFF, CFF 등의 파일 포맷으로 인캡슐레이션하거나, 기타 DASH 세그먼트 등의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 처리부는 실시예에 따라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파일 포맷 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360 관련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ISOBMFF 파일 포맷 상의 다양한 레벨의 박스(box)에 포함되거나 파일 내에서 별도의 트랙내의 데이터로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캡슐레이션 처리부는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 자체를 파일로 인캡슐레이션할 수 있다.전송 처리부는 파일 포맷에 따라 인캡슐레이션된 360 비디오 데이터에 전송을 위한 처리를 가할 수 있다. 전송 처리부는 임의의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360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전송을 위한 처리에는 방송망을 통한 전달을 위한 처리, 브로드밴드를 통한 전달을 위한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송 처리부는 360 비디오 데이터 뿐 아니라,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아, 이 것에 전송을 위한 처리를 가할 수도 있다.
전송부는 전송 처리된 360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방송망 및/또는 브로드밴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는 방송망을 통한 전송을 위한 엘레멘트 및/또는 브로드밴드를 통한 전송을 위한 엘레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360 비디오 전송 장치는 데이터 저장부(도시되지 않음)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는 인코딩된 360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전송 처리부로 전달하기 전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형태는 ISOBMFF 등의 파일 형태일 수 있다. 실시간으로 360 비디오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저장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온 디맨드, NRT (Non Real Time), 브로드밴드 등을 통해 전달하는 경우에는 인캡슐레이션된 360 데이터가 데이터 저장부에 일정 기간 저장되었다가 전송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360 비디오 전송 장치는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수신 장치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피드백 정보를 스티처, 프로젝션 처리부, 리전별 패킹 처리부, 데이터 인코더, 인캡슐레이션 처리부, 메타데이터 처리부 및/또는 전송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드백 정보는 메타데이터 처리부에 일단 전달된 후, 다시 각 내부 엘레멘트들로 전달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를 전달받은 내부 엘레먼트들은 이 후의 360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에 피드백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각 리전을 회전하여 2D 이미지 상에 매핑할 수 있다. 이 때 각 리전들은 서로 다른 방향,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되어 2D 이미지 상에 매핑될 수 있다. 리전의 회전은 360 비디오 데이터가 구형의 면 상에서 프로젝션 전에 인접했던 부분, 스티칭된 부분 등을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다. 리전의 회전에 관한 정보들, 즉 회전 방향, 각도 등은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인코더는 각 리전 별로 다르게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인코더는 특정 리전은 높은 퀄리티로, 다른 리전은 낮은 퀄리티로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360 비디오 수신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정보를 데이터 인코더로 전달하여, 데이터 인코더가 리전별 차등화된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수신측으로부터 전달받은 뷰포트 정보를 데이터 인코더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인코더는 뷰포트 정보가 지시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리전들에 대해 다른 리전들보다 더 높은 퀄리티(UHD 등) 로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송 처리부는 각 리전 별로 다르게 전송을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송 처리부는 리전 별로 다른 전송 파라미터(모듈레이션 오더, 코드 레이트 등)를 적용하여, 각 리전 별로 전달되는 데이터의 강건성(robustenss) 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때,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360 비디오 수신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정보를 전송 처리부로 전달하여, 전송 처리부가 리전별 차등화된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수신측으로부터 전달받은 뷰포트 정보를 전송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전송 처리부는 해당 뷰포트 정보가 지시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리전들에 대해 다른 리전들보다 더 높은 강건성을 가지도록 전송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내/외부 엘레멘트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엘레멘트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외부 엘레멘트들은 변경, 생략되거나 다른 엘레멘트로 대체, 통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부가 엘레멘트들이 360 비디오 전송 장치에 추가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360 비디오 수신 장치와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수신 장치는 전술한 프로세싱 과정 및/또는 렌더링 과정에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수신 장치는 수신부, 수신 처리부, 디캡슐레이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메타데이터 파서,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 리-프로젝션 처리부 및/또는 렌더러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는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가 전송한 360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되는 채널에 따라 수신부는 방송망을 통하여 360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고, 브로드밴드를 통하여 360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수신 처리부는 수신된 360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전송 프로토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송측에서 전송을 위한 처리가 수행된 것에 대응되도록, 수신 처리부는 전술한 전송 처리부의 역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처리부는 획득한 360 비디오 데이터는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로 전달하고, 획득한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파서로 전달할 수 있다. 수신 처리부가 획득하는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시그널링 테이블의 형태일 수 있다.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는 수신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파일 형태의 360 비디오 데이터를 디캡슐레이션할 수 있다.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는 ISOBMFF 등에 따른 파일들을 디캡슐레이션하여, 360 비디오 데이터 내지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360 비디오 데이터는 데이터 디코더로, 획득된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파서로 전달할 수 있다. 디캡슐레이션 처리부가 획득하는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파일 포맷 내의 박스 혹은 트랙 형태일 수 있다.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는 필요한 경우 메타데이터 파서로부터 디캡슐레이션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데이터 디코더는 360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디코더는 메타데이터 파서로부터 디코딩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데이터 디코딩 과정에서 획득된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파서로 전달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파서는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에 대한 파싱/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파서는 획득한 메타데이터를 데이터 디캡슐레이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리-프로젝션 처리부 및/또는 렌더러로 전달할 수 있다.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디코딩된 360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리-프로젝션을 수행할 수 있다.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360 비디오 데이터를 3D 공간으로 리-프로젝션할 수 있다. 3D 공간은 사용되는 3D 모델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메타데이터 파서로부터 리-프로젝션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사용되는 3D 모델의 타입 및 그 세부 정보에 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 파서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리-프로젝션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3D 공간 상의 특정 영역에 해당하는 360 비디오 데이터만을 3D 공간으로 리-프로젝션할 수도 있다.
렌더러는 리-프로젝션된 360 비디오 데이터를 렌더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360 비디오 데이터가 3D 공간상에 렌더링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는데, 이처럼 두 과정이 한번에 일어나는 경우 리-프로젝션 처리부와 렌더러는 통합되어, 렌더러에서 이 과정들이 모두 진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렌더러는 사용자의 시점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보고 있는 부분만을 렌더링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VR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렌더링된 360 비디오의 일부 영역을 볼 수 있다. VR 디스플레이는 360 비디오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360 비디오 수신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고(tethered), 별도의 장치로서 360 비디오 수신 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un-tethered).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360 비디오 수신 장치는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렌더러, 리-프로젝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디캡슐레이션 처리부 및/또는 VR 디스플레이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여 처리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뷰포트 정보, 헤드 오리엔테이션 정보, 게이즈(Gaze)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360 비디오 전송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드백 정보는 송신측으로 전달되는 것 뿐아니라, 수신측에서 소비될 수도 있다.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획득한 피드백 정보를 360 비디오 수신 장치의 내부 엘레멘트들로 전달하여, 렌더링 등의 과정에 반영되게 할 수 있다.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피드백 정보를 렌더러, 리-프로젝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및/또는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더러는 피드백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역을 우선적으로 렌더링할 수 있다. 또한 디캡슐레이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등은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역 내지 보게될 영역을 우선적으로 디캡슐레이션, 디코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수신 장치의 내/외부 엘레멘트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엘레멘트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외부 엘레멘트들은 변경, 생략되거나 다른 엘레멘트로 대체, 통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부가 엘레멘트들이 360 비디오 수신 장치에 추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360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및 360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과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를 전송/수신하는 방법은, 각각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수신 장치 또는 그 장치의 실시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수신 장치, 전송/수신 방법의 각각의 실시예 및 그 내/외부 엘리멘트 각각의 실시예들을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 처리부의 실시예들과, 데이터 인코더의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그 경우의 수만큼의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실시예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렇게 조합된 실시예들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a) 와 같은 아키텍처에 의하여 360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360 컨텐츠는 파일 형태로 제공되거나, DASH 등과 같이 세그먼트(segment) 기반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360 컨텐츠는 VR 컨텐츠로 불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360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360 오디오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Acquisition).
360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프리-프로세싱 과정(Audio Preprocessing), 오디오 인코딩 과정(Audio encoding)을 거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오디오 관련 메타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인코딩된 오디오와 오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전송을 위한 처리(file/segment encapsulation)를 거칠 수 있다.
360 비디오 데이터는 전술한 것과 같은 과정을 거칠 수 있다.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스티처는 360 비디오 데이터에 스티칭을 수행할 수 있다(Visual stitching). 이 과정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되고 수신측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프로젝션 처리부는 360 비디오 데이터를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Projection and mapping(packing)).
이 스티칭 및 프로젝션 과정은 (b) 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었다. 도시된 (b) 에서, 360 비디오 데이터(Input Images) 를 전달받으면, 이에 스티칭 및 프로젝션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젝션 과정은 구체적으로 스티칭된 360 비디오 데이터를 3D 공간 상으로 프로젝션하고, 프로젝션된 360 비디오 데이터가 2D 이미지 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 과정을 360 비디오 데이터를 2D 이미지 상으로 프로젝션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3D 공간은 구(sphere) 또는 큐브(cube) 등일 수 있다. 이 3D 공간은 수신측에서 리-프로젝션에 사용되는 3D 공간과 같을 수도 있다.
2D 이미지는 프로젝티드 프레임(C, Projected frame) 이라 불릴 수도 있다. 이 2D 이미지에 리전별 패킹(Region-wise packing) 이 선택적으로 더 수행될 수도 있다. 리전별 패킹이 수행되는 경우, 각 리전(Region)의 위치, 형태, 크기를 지시함으로써, 2D 이미지 상의 리전들이 팩드 프레임(D, packed frame) 상으로 매핑될 수 있다. 리전별 패킹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프로젝티드 프레임은 팩드 프레임과 같을 수 있다. 리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프로젝션 과정 및 리전별 패킹 과정을, 360 비디오 데이터의 각 리전들이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설계에 따라, 360 비디오 데이터는 중간 과정 없이 팩드 프레임으로 바로 변환될 수도 있다.
도시된 (a) 에서, 프로젝션된 360 비디오 데이터는 이미지 인코딩 내지 비디오 인코딩될 수 있다. 같은 컨텐트라도 다른 시점(viewpoints)별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같은 컨텐트가 서로 다른 비트 스트림으로 인코딩될 수도 있다. 인코딩된 360 비디오 데이터는 전술한 인캡슐레이션 처리부에 의해 ISOBMFF 등의 파일 포맷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는 인캡슐레이션 처리부는 인코딩된 360 비디오 데이터를 세그먼트들로 처리할 수 있다. 세그먼트들은 DASH 에 기반한 전송을 위한 개별 트랙에 포함될 수 있다.
360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와 함께, 전술한 것과 같이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 메타데이터는 비디오 스트림 혹은 파일 포맷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이 메타데이터는 인코딩 과정이나 파일 포맷 인캡슐레이션, 전송을 위한 처리 등과 같은 과정에도 쓰일 수 있다.
360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는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을 위한 처리를 거치고, 이후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360 비디오 수신 장치는 이를 방송망 또는 브로드밴드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도시된 (a) 에서 VR 서비스 플랫폼(VR service platform) 은 전술한 360 비디오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에 해당할 수 있다. 도시된 (a) 에서 스피커/헤드폰(Loudspeakers/headphones), 디스플레이(Display), 헤드/아이 트랙킹 컴포넌트(Head/eye tracking) 는 360 비디오 수신 장치의 외부 장치 내지 VR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실시예에 따라 360 비디오 수신 장치는 이 들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헤드/아이 트랙킹 컴포넌트는 전술한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에 해당할 수 있다.
360 비디오 수신 장치는 360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에 수신을 위한 처리(File/segment decapsul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360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딩(Audio decoding), 오디오 렌더링(Audio rendering) 과정을 거쳐 스피커/헤드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360 비디오 데이터는 이미지 디코딩 내지 비디오 디코딩, 렌더링(Visual rendering) 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VR 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거나 일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더링 과정은 구체적으로, 360 비디오 데이터가 3D 공간 상에 리-프로젝션되고, 리-프로젝션된 360 비디오 데이터가 렌더링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360 비디오 데이터가 3D 공간 상에 렌더링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헤드/아이 트랙킹 컴포넌트는 사용자의 헤드 오리엔테이션 정보, 게이즈 정보, 뷰포트(Viewport) 정보 등을 획득,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다.
수신측에서는 전술한 수신측 과정들과 통신하는 VR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3D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비행기 주축(Aircraft Principal Axes)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3D 공간에서의 특정 지점, 위치, 방향, 간격, 영역 등을 표현하기 위하여 비행기 주축 개념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프로젝션 전 또는 리-프로젝션 후의 3D 공간에 대해 기술하고, 그에 대한 시그널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비행기 주축 개념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X, Y, Z 축 개념 또는 구 좌표계를 이용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비행기는 3 차원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3차원을 이루는 축을 각각 피치(pitch) 축, 야(yaw) 축 및 롤(roll) 축이라고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 들을 줄여서 pitch, yaw, roll 내지 pitch 방향, yaw 방향, roll 방향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Pitch 축은 비행기의 앞코가 위/아래로 회전하는 방향의 기준이 되는 축을 의미할 수 있다. 도시된 비행기 주축 개념에서 pitch 축은 비행기의 날개에서 날개로 이어지는 축을 의미할 수 있다.
Yaw 축은 비행기의 앞코가 좌/우로 회전하는 방향의 기준이 되는 축을 의미할 수 있다. 도시된 비행기 주축 개념에서 yaw 축은 비행기의 위에서 아래로 이어지는 축을 의미할 수 있다.
Roll 축은 도시된 비행기 주축 개념에서 비행기의 앞코에서 꼬리로 이어지는 축으로서, roll 방향의 회전이란 roll 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pitch, yaw, roll 개념을 통해 본 발명에서의 3D 공간이 기술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스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프로젝션 처리부는 스티칭된 360 비디오 데이터를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프로젝션 스킴들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젝션 처리부는 큐빅 프로젝션(Cubic Projection) 스킴을 이용하여 프로젝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칭된 360 비디오 데이터는 구형의 면 상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이러한 360 비디오 데이터를 큐브(Cube, 정육면체) 형태로 나누어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구형의 면 상의 360 비디오 데이터는 큐브의 각 면에 대응되어, 2D 이미지 상에 (a) 좌측 또는 (a) 우측과 같이 프로젝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젝션 처리부는 실린더형 프로젝션(Cylindrical Projection) 스킴을 이용하여 프로젝션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티칭된 360 비디오 데이터가 구형의 면 상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고 가정할 때, 프로젝션 처리부는 이러한 360 비디오 데이터를 실린더(Cylinder) 형태로 나누어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구형의 면 상의 360 비디오 데이터는 실린더의 옆면(side)과 윗면(top), 바닥면(bottom) 에 각각 대응되어, 2D 이미지 상에 (b) 좌측 또는 (b) 우측과 같이 프로젝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젝션 처리부는 피라미드 프로젝션(Pyramid Projection) 스킴을 이용하여 프로젝션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티칭된 360 비디오 데이터가 구형의 면 상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고 가정할 때, 프로젝션 처리부는 이러한 360 비디오 데이터를 피라미드 형태로 보고, 각 면을 나누어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구형의 면 상의 360 비디오 데이터는 피라미드의 바닥면(front), 피라미드의 4방향의 옆면(Left top, Left bottom, Right top, Right bottom) 에 각각 대응되어, 2D 이미지 상에 (c) 좌측 또는 (c) 우측과 같이 프로젝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션 처리부는 전술한 스킴들 외에 등정방형 프로젝션(Equirectangular Projection) 스킴, 파노라믹 프로젝션(Panoramic Projection) 스킴 등을 이용하여 프로젝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전(Region) 이란, 360 비디오 데이터가 프로젝션된 2D 이미지가 나누어진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리전들은 프로젝션 스킴에 따라 프로젝션된 2D 이미지 상의 각 면들과 일치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션된 2D 이미지 상의 각 면들이 리전과 대응되도록 리전이 구분되어, 리전별 패킹이 수행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면들이 하나의 리전에 대응될 수도 있고, 하나의 면이 복수개의 리전에 대응되게 리전이 구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전은 프로젝션 스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a) 에서 정육면체의 각 면들(top, bottom, front, left, right, back) 은 각각 리전일 수 있다. (b) 에서 실린더의 옆면(side), 윗면(top), 바닥면(bottom) 은 각각 리전일 수 있다. (c) 에서 피라미드의 바닥면(front), 4방향 옆면(Left top, Left bottom, Right top, Right bottom) 들은 각각 리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Tile)을 도시한 도면이다.
2D 이미지에 프로젝션된 360 비디오 데이터 또는 리전별 패킹까지 수행된 360 비디오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타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a) 는 하나의 2D 이미지가 16 개의 타일로 나뉘어진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2D 이미지란 전술한 프로젝티드 프레임 내지는 팩드 프레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인코더는 각각의 타일을 독립적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전술한 리전별 패킹과 타일링(Tiling)은 구분될 수 있다. 전술한 리전별 패킹은 코딩 효율을 높이기 위해 또는 레졸루션을 조정하기 위하여 2D 이미지상에 프로젝션된 360 비디오 데이터를 리전으로 구분하여 처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타일링은 데이터 인코더가 프로젝티드 프레임 내지는 팩드 프레임을 타일이라는 구획별로 나누고, 해당 타일들 별로 독립적으로 인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360 비디오가 제공될 때, 사용자는 360 비디오의 모든 부분을 동시에 소비하지 않는다. 타일링은 제한된 밴드위스(bandwidth)상에서 사용자가 현재 보는 뷰포트 등 중요 부분 내지 일정 부분에 해당하는 타일만을 수신측으로 전송 혹은 소비하는 것을 가능케할 수 있다. 타일링을 통해 제한된 밴드위스가 더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수신측에서도 모든 360 비디오 데이터를 한번에 다 처리하는 것에 비하여 연산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리전과 타일은 구분되므로, 두 영역이 같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리전과 타일은 같은 영역을 지칭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타일에 맞추어 리전별 패킹이 수행되어 리전과 타일이 같아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션 스킴에 따른 각 면과 리전이 같은 경우, 프로젝션 스킴에 따른 각 면, 리전, 타일이 같은 영역을 지칭할 수도 있다. 문맥에 따라 리전은 VR 리전, 타일을 타일 리전으로 불릴 수도 있다.
ROI (Region of Interest) 는 360 컨텐츠 제공자가 제안하는, 사용자들의 관심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360 컨텐츠 제공자는 360 비디오를 제작할 때, 어느 특정 영역을 사용자들이 관심있어 할 것으로 보고, 이를 고려하여 360 비디오를 제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ROI 는 360 비디오의 컨텐츠 상, 중요한 내용이 재생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수신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뷰포트 정보를 추출, 수집하여 이를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뷰포트 정보는 양 측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a) 의 2D 이미지에서 뷰포트 (t6010) 가 표시되었다. 여기서 뷰포트 는 2D 이미지 상의 9 개의 타일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360 비디오 전송 장치는 타일링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타일링 시스템은 데이터 인코더 다음에 위치할 수도 있고(도시된 (b)), 전술한 데이터 인코더 내지 전송 처리부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별개의 내/외부 엘리먼트로서 360 비디오 전송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타일링 시스템은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로부터 뷰포트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타일링 시스템은 뷰포트 영역이 포함되는 타일만을 선별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시된 (a) 의 2D 이미지에서 총 16 개의 타일 중 뷰포트 영역(t6010) 을 포함하는 9 개의 타일들만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타일링 시스템은 브로드밴드를 통한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타일들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뷰포트 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이 경우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뷰포트 정보를 데이터 인코더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인코더는 뷰포트 영역을 포함하는 타일들에 대해 다른 타일들보다 더 높은 퀄리티로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뷰포트 정보를 메타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뷰포트 영역과 관련된 메타데이터 를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각 내부 엘레먼트로 전달해주거나,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타일링 방식을 통하여, 전송 밴드위스(bandwidth)가 절약될 수 있으며, 타일 별로 차등화된 처리를 수행하여 효율적 데이터 처리/전송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전술한 뷰포트 영역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뷰포트 영역이 아닌 다른 특정 영역들에 대해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게이즈 분석을 통해 사용자들이 주로 관심있어 하는 것으로 판단된 영역, ROI 영역, 사용자가 VR 디스플레이를 통해 360 비디오를 접할 때 처음으로 재생되는 영역(초기 시점, Initial Viewpoint) 등에 대해서도, 전술한 뷰포트 영역과 같은 방식의 처리들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전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송 처리부는 각 타일 별로 다르게 전송을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송 처리부는 타일 별로 다른 전송 파라미터(모듈레이션 오더, 코드 레이트 등)를 적용하여, 각 타일 별로 전달되는 데이터의 강건성(robustenss)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때,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360 비디오 수신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정보를 전송 처리부로 전달하여, 전송 처리부가 타일별 차등화된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수신측으로부터 전달받은 뷰포트 정보를 전송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전송 처리부는 해당 뷰포트 영역을 포함하는 타일들에 대해 다른 타일들보다 더 높은 강건성을 가지도록 전송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360 비디오에 대한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문맥에 따라,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360 비디오 관련 시그널링 정보라고 불릴 수도 있다.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별도의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고, DASH MPD 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고, ISOBMFF 등의 파일 포맷에 box 형태로 포함되어 전달될 수도 있다.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가 box 형태로 포함되는 경우 파일, 프래그먼트, 트랙, 샘플 엔트리, 샘플 등등 다양한 레벨에 포함되어 해당되는 레벨의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후술하는 메타데이터의 일부는 시그널링 테이블로 구성되어 전달되고, 나머지 일부는 파일 포맷 내에 box 혹은 트랙 형태로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프로젝션 스킴 등에 관한 기본 메타데이터,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관련 메타데이터, 초기 시점(Initial View/Initial Viewpoint) 관련 메타데이터, ROI 관련 메타데이터, FOV (Field of View) 관련 메타데이터 및/또는 크롭된 영역(cropped region) 관련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전술한 것 외에 추가적인 메타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기본 메타데이터, 스테레오스코픽 관련 메타데이터, 초기 시점 관련 메타데이터, ROI 관련 메타데이터, FOV 관련 메타데이터, 크롭된 영역 관련 메타데이터 및/또는 이후 추가될 수 있는 메타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의 실시예들은, 각각 포함하는 세부 메타데이터들의 경우의 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전술한 것 외에 추가적인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기본 메타데이터에는 3D 모델 관련 정보, 프로젝션 스킴 관련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본 메타데이터에는 vr_geometry 필드, projection_scheme 필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본 메타데이터는 추가적인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vr_geometry 필드는 해당 360 비디오 데이터가 지원하는 3D 모델의 타입을 지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360 비디오 데이터가 3D 공간 상에 리-프로젝션되는 경우, 해당 3D 공간은 vr_geometry 필드가 지시하는 3D 모델에 따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시에 사용되는 3D 모델은 vr_geometry 필드가 지시하는 리-프로젝션에 사용되는 3D 모델과 다를 수도 있다. 이 경우, 기본 메타데이터는 렌더링시에 사용되는 3D 모델을 지시하는 필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해당 필드가 0, 1, 2, 3 의 값을 가지는 경우 3D 공간은 각각 구형(Sphere), 큐브(Cube), 실린더(Cylinder), 피라미드(Pyramid)의 3D 모델을 따를 수 있다. 해당 필드가 나머지 값을 가지는 경우는 향후 사용을 위해 남겨둘 수 있다(Reserved for Future Use). 실시예에 따라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해당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3D 모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D 모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란 예를 들어 구형의 반지름 정보, 실린더의 높이 정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projection_scheme 필드는 해당 360 비디오 데이터가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될 때 사용된 프로젝션 스킴을 지시할 수 있다. 해당 필드가 0, 1, 2, 3, 4, 5 의 값을 가지는 경우, 각각 등정방형 프로젝션(Equirectangular Projection) 스킴, 큐빅 프로젝션 스킴, 실린더형 프로젝션 스킴, 타일-베이스드(Tile-based) 프로젝션 스킴, 피라미드 프로젝션 스킴, 파노라믹 프로젝션 스킴이 사용되었을 수 있다. 해당 필드가 6 의 값을 가지는 경우는, 360 비디오 데이터가 스티칭 없이 바로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경우일 수 있다. 해당 필드가 나머지 값을 가지는 경우는 향후 사용을 위해 남겨둘 수 있다(Reserved for Future Use). 실시예에 따라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해당 필드에 의해 특정되는 프로젝션 스킴에 의해 발생한 리전(Region)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란 예를 들어 리전의 회전 여부, 실린더의 윗면(top) 리전의 반지름 정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관련 메타데이터는 360 비디오 데이터의 3D 관련 속성들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관련 메타데이터는 is_stereoscopic 필드 및/또는 stereo_mod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테레오스코픽 관련 메타데이터는 추가적인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s_stereoscopic 필드는 해당 360 비디오 데이터가 3D 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해당 필드가 1 이면 3D 지원, 0 이면 3D 미지원을 의미할 수 있다. 본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stereo_mode 필드는 해당 360 비디오가 지원하는 3D 레이아웃을 지시할 수 있다. 본 필드만으로 해당 360 비디오가 3D 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전술한 is_stereoscopic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본 필드 값이 0 인 경우, 해당 360 비디오는 모노(mono) 모드일 수 있다. 즉 프로젝션된 2D 이미지는 하나의 모노 뷰(mono view)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360 비디오는 3D 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본 필드 값이 1, 2 인 경우, 해당 360 비디오는 각각 좌우(Left-Right) 레이아웃, 상하(Top-Bottom) 레이아웃에 따를 수 있다. 좌우 레이아웃, 상하 레이아웃은 각각 사이드-바이-사이드 포맷, 탑-바텀 포맷으로 불릴 수도 있다. 좌우 레이아웃의 경우, 좌영상/우영상이 프로젝션된 2D 이미지들은 이미지 프레임 상에서 각각 좌/우로 위치할 수 있다. 상하 레이아웃의 경우, 좌영상/우영상이 프로젝션된 2D 이미지들은 이미지 프레임 상에서 각각 위/아래로 위치할 수 있다. 해당 필드가 나머지 값을 가지는 경우는 향후 사용을 위해 남겨둘 수 있다(Reserved for Future Use).
초기 시점 관련 메타데이터는 사용자가 360 비디오를 처음 재생했을 때 보게되는 시점(초기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시점 관련 메타데이터는 initial_view_yaw_degree 필드, initial_view_pitch_degree 필드 및/또는 initial_view_roll_degre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초기 시점 관련 메타데이터는 추가적인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itial_view_yaw_degree 필드, initial_view_pitch_degree 필드, initial_view_roll_degree 필드는 해당 360 비디오 재생 시의 초기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재생시 처음 보여지는 뷰포트의 정중앙 지점이, 이 세 필드들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각 필드는 그 정중앙 지점이 위치를 yaw, pitch, roll 축을 기준으로 회전된 방향(부호) 및 그 정도(각도)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FOV 에 따라 처음 재생시 보여지게 되는 뷰포트가 결정될 수 있다. FOV 를 통하여, 지시된 초기 시점을 기준으로 한, 초기 뷰포트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width, height) 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이 세 필드들 및 FOV 정보를 이용하여, 360 비디오 수신 장치는 사용자에게 360 비디오의 일정 영역을 초기 뷰포트로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초기 시점 관련 메타데이터가 지시하는 초기 시점은, 장면(scene) 별로 변경될 수 있다. 즉, 360 컨텐츠의 시간적 흐름에 따라 360 비디오의 장면이 바뀌게 되는데, 해당 360 비디오의 장면마다 사용자가 처음 보게되는 초기 시점 내지 초기 뷰포트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 시점 관련 메타데이터는 각 장면별로의 초기 시점을 지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초기 시점 관련 메타데이터는, 해당 초기 시점이 적용되는 장면을 식별하는 장면(scene)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360 비디오의 장면별로 FOV 가 변할 수도 있으므로, 초기 시점 관련 메타데이터는 해당 장면에 해당하는 FOV 를 나타내는 장면별 FOV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ROI 관련 메타데이터는 전술한 ROI 에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ROI 관련 메타데이터는, 2d_roi_range_flag 필드 및/또는 3d_roi_range_fla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두 필드는 각각 ROI 관련 메타데이터가 2D 이미지를 기준으로 ROI 를 표현하는 필드들을 포함하는지, 3D 공간을 기준으로 ROI 를 표현하는 필드들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ROI 관련 메타데이터는, ROI 에 따른 차등 인코딩 정보, ROI 에 따른 차등 전송처리 정보 등 추가적인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ROI 관련 메타데이터가 2D 이미지를 기준으로 ROI 를 표현하는 필드들을 포함하는 경우, ROI 관련 메타데이터는 min_top_left_x 필드, max_top_left_x 필드, min_top_left_y 필드, max_top_left_y 필드, min_width 필드, max_width 필드, min_height 필드, max_height 필드, min_x 필드, max_x 필드, min_y 필드 및/또는 max_y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min_top_left_x 필드, max_top_left_x 필드, min_top_left_y 필드, max_top_left_y 필드는 ROI 의 좌측 상단 끝의 좌표의 최소/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 필드들은 차례로 좌상단 끝의 최소 x 좌표, 최대 x 좌표, 최소 y 좌표, 최대 y 좌표 를 나타낼 수 있다.
min_width 필드, max_width 필드, min_height 필드, max_height 필드는 ROI 의 가로 크기(width), 세로 크기(height)의 최소/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 필드들은 차례로 가로 크기의 최소값, 가로 크기의 최대값, 세로 크기의 최소값, 세로 크기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min_x 필드, max_x 필드, min_y 필드, max_y 필드는 ROI 내의 좌표들의 최소/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 필드들은 차례로 ROI 내 좌표들의 최소 x 좌표, 최대 x 좌표, 최소 y 좌표, 최대 y 좌표 를 나타낼 수 있다. 이 필드들은 생략될 수 있다.
ROI 관련 메타데이터가 3D 랜더링 공간 상의 좌표 기준으로 ROI 를 표현하는 필드들을 포함하는 경우, ROI 관련 메타데이터는 min_yaw 필드, max_yaw 필드, min_pitch 필드, max_pitch 필드, min_roll 필드, max_roll 필드, min_field_of_view 필드 및/또는 max_field_of_view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min_yaw 필드, max_yaw 필드, min_pitch 필드, max_pitch 필드, min_roll 필드, max_roll 필드는 ROI 가 3D 공간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yaw, pitch, roll 의 최소/최대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필드들은 차례로 yaw 축 기준 회전량의 최소값, yaw 축 기준 회전량의 최대값, pitch 축 기준 회전량의 최소값, pitch 축 기준 회전량의 최대값, roll 축 기준 회전량의 최소값, roll 축 기준 회전량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min_field_of_view 필드, max_field_of_view 필드는 해당 360 비디오 데이터의 FOV 의 최소/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FOV 는 360 비디오의 재생시 한번에 디스플레이되는 시야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min_field_of_view 필드, max_field_of_view 필드는 각각 FOV 의 최소값,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 필드들은 생략될 수 있다. 이 필드들은 후술할 FOV 관련 메타데이터에 포함될 수도 있다.
FOV 관련 메타데이터는 전술한 FOV 에 관련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FOV 관련 메타데이터는 content_fov_flag 필드 및/또는 content_fov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FOV 관련 메타데이터는 전술한 FOV 의 최소/최대값 관련 정보 등 추가적인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content_fov_flag 필드는 해당 360 비디오에 대하여 제작시 의도한 FOV 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본 필드값이 1인 경우, content_fov 필드가 존재할 수 있다.
content_fov 필드는 해당 360 비디오에 대하여 제작시 의도한 FOV 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해당 360 비디오 수신 장치의 수직(vertical) 혹은 수평(horizontal) FOV 에 따라, 360 영상 중에서 사용자에게 한번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혹은 실시예에 따라 본 필드의 FOV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한번에 디스플레이되는 360 비디오의 영역이 결정될 수도 있다.
크롭된 영역 관련 메타데이터는 이미지 프레임 상에서 실제 360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프레임은 실제 360 비디오 데이터 프로젝션된 액티브 비디오 영역(Active Video Area)과 그렇지 않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액티브 비디오 영역은 크롭된 영역 또는 디폴트 디스플레이 영역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이 액티브 비디오 영역은 실제 VR 디스플레이 상에서 360 비디오로서 보여지는 영역으로서, 360 비디오 수신 장치 또는 VR 디스플레이는 액티브 비디오 영역만을 처리/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프레임의 종횡비(aspect ratio) 가 4:3 인 경우 이미지 프레임의 윗 부분 일부와 아랫부분 일부를 제외한 영역만 360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을 액티브 비디오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크롭된 영역 관련 메타데이터는 is_cropped_region 필드, cr_region_left_top_x 필드, cr_region_left_top_y 필드, cr_region_width 필드 및/또는 cr_region_heigh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크롭된 영역 관련 메타데이터는 추가적인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s_cropped_region 필드는 이미지 프레임의 전체 영역이 360 비디오 수신 장치 내지 VR 디스플레이에 의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일 수 있다. 즉, 본 필드는 이미지 프레임 전체가 액티브 비디오 영역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이미지 프레임의 일부만이 액티브 비디오 영역인 경우, 하기의 4 필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cr_region_left_top_x 필드, cr_region_left_top_y 필드, cr_region_width 필드, cr_region_height 필드는 이미지 프레임 상에서 액티브 비디오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이 필드들은 각각 액티브 비디오 영역의 좌상단의 x 좌표, 액티브 비디오 영역의 좌상단의 y 좌표, 액티브 비디오 영역의 가로 길이(width), 액티브 비디오 영역의 세로 길이(height) 를 나타낼 수 있다.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는 픽셀을 단위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360도 비디오 관련 시그널링 정보 또는 메타데이터는 임의로 정의된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될 수 있고, ISOBMFF 또는 Common File Format 등의 파일 포맷에 box형태로 포함될 수도 있으며, DASH MPD 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360도 미디어 데이터는 이러한 파일 포맷 또는 DASH segment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이하, ISOBMFF 및 DASH MPD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SOBMFF 내의 박스들의 계층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오디오 또는 비디오 등의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하여, 정형화된 미디어 파일 포맷이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미디어 파일은 ISO BMFF (ISO base media file format) 를 기반으로한 파일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박스(box)는 미디어 데이터 또는 미디어 데이터에 관련된 메타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블락 내지 오브젝트일 수 있다. 박스들은 서로 계층적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들이 분류되어 미디어 파일이 대용량 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및/또는 전송에 적합한 형태를 띄게 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파일은, 사용자가 미디어 컨텐츠의 특정지점으로 이동하는 등, 미디어 정보에 접근하는데 있어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은 ftyp 박스, moov 박스 및/또는 mdat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ftyp 박스(파일 타입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에 대한 파일 타입 또는 호환성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ftyp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구성 버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호기는 ftyp 박스를 참조하여 해당 미디어 파일을 구분할 수 있다.
moov 박스(무비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박스일 수 있다. moov 박스는 모든 메타 데이터들을 위한 컨테이너 역할을 할 수 있다. moov 박스는 메타 데이터 관련 박스들 중 최상위 계층의 박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moov 박스는 미디어 파일 내에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
mdat 박스(미디어 데이터 박스) 는 해당 미디어 파일의 실제 미디어 데이터들을 담는 박스일 수 있다. 미디어 데이터들은 오디오 샘플 및/또는 비디오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mdat 박스는 이러한 미디어 샘플들을 담는 컨테이너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moov 박스는 mvhd 박스, trak 박스 및/또는 mvex 박스 등을 하위 박스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mvhd 박스(무비 헤더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에 포함되는 미디어 데이터의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mvhd 박스는 해당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미디어 생성시간, 변경시간, 시간규격, 기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rak 박스(트랙 박스)는 해당 미디어 데이터의 트랙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rak 박스는 오디오 트랙 또는 비디오 트랙에 대한 스트림 관련 정보, 프리젠테이션 관련 정보, 액세스 관련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rak 박스는 트랙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trak 박스는 실시예에 따라 tkhd 박스(트랙 헤더 박스)를 하위 박스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tkhd 박스는 trak 박스가 나타내는 해당 트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khd 박스는 해당 트랙의 생성시간, 변경시간, 트랙 식별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vex 박스(무비 익스텐드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에 후술할 moof 박스가 있을 수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특정 트랙의 모든 미디어 샘플들을 알기 위해서, moof 박스들이 스캔되어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은,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프래그먼트로 나뉘어질 수 있다(t18010). 이를 통해 미디어 파일이 분할되어 저장되거나 전송될 수 있다. 미디어 파일의 미디어 데이터들(mdat 박스)은 복수개의 프래그먼트로 나뉘어지고, 각각의 프래그먼트는 moof 박스와 나뉘어진 mdat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래그먼트들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ftyp 박스 및/또는 moov 박스의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moof 박스(무비 프래그먼트 박스)는 해당 프래그먼트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moof 박스는 해당 프래그먼트의 메타데이터 관련 박스들 중 최상위 계층의 박스일 수 있다.
mdat 박스(미디어 데이터 박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mdat 박스는 각각의 해당 프래그먼트에 해당하는 미디어 데이터들의 미디어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moof 박스는 mfhd 박스 및/또는 traf 박스 등을 하위 박스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mfhd 박스(무비 프래그먼트 헤더 박스)는 분할된 복수개의 프래그먼트들 간의 연관성과 관련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mfhd 박스는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 를 포함하여, 해당 프래그먼트의 미디어 데이터가 분할된 몇 번째 데이터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mfhd 박스를 이용하여 분할된 데이터 중 누락된 것은 없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traf 박스(트랙 프래그먼트 박스)는 해당 트랙 프래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raf 박스는 해당 프래그먼트에 포함되는 분할된 트랙 프래그먼트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traf 박스는 해당 트랙 프래그먼트 내의 미디어 샘플들이 복호화/재생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traf 박스는 트랙 프래그먼트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traf 박스는 tfhd 박스 및/또는 trun 박스 등을 하위 박스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tfhd 박스(트랙 프래그먼트 헤더 박스)는 해당 트랙 프래그먼트의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fhd 박스는 전술한 traf 박스가 나타내는 트랙 프래그먼트의 미디어 샘플들에 대하여, 기본적인 샘플크기, 기간, 오프셋, 식별자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run 박스(트랙 프래그먼트 런 박스)는 해당 트랙 프래그먼트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run 박스는 미디어 샘플별 기간, 크기, 재생시점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미디어 파일 내지 미디어 파일의 프래그먼트들은 세그먼트들로 처리되어 전송될 수 있다. 세그먼트에는 초기화 세그먼트(initialization segment) 및/또는 미디어 세그먼트(media segment) 가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t18020)의 파일은, 미디어 데이터는 제외하고 미디어 디코더의 초기화와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하는 파일일 수 있다. 이 파일은 예를 들어 전술한 초기화 세그먼트에 해당할 수 있다. 초기화 세그먼트는 전술한 ftyp 박스 및/또는 moov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t18030)의 파일은, 전술한 프래그먼트를 포함하는 파일일 수 있다. 이 파일은 예를 들어 전술한 미디어 세그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미디어 세그먼트는 전술한 moof 박스 및/또는 mdat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세그먼트는 styp 박스 및/또는 sidx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typ 박스(세그먼트 타입 박스) 는 분할된 프래그먼트의 미디어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typ 박스는 분할된 프래그먼트에 대해, 전술한 ftyp 박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typ 박스는 ftyp 박스와 동일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sidx 박스(세그먼트 인덱스 박스) 는 분할된 프래그먼트에 대한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분할된 프래그먼트가 몇번째 프래그먼트인지가 지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t18040) ssix 박스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ssix 박스(서브 세그먼트 인덱스 박스)는 세그먼트가 서브 세그먼트로 더 나뉘어지는 경우에 있어, 그 서브 세그먼트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파일 내의 박스들은, 도시된 실시예(t18050)와 같은 박스 내지 풀 박스(FullBox) 형태를 기반으로, 더 확장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size 필드, largesize 필드는 해당 박스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version 필드는 해당 박스 포맷의 버전을 나타낼 수 있다. type 필드는 해당 박스의 타입 내지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flags 필드는 해당 박스와 관련된 플래그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ASH 기반 적응형(Adaptive) 스트리밍 모델의 전반적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t50010)에 따른 DASH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 모델은, HTTP 서버와 DASH 클라이언트 간의 동작을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DASH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는, HTTP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스트리밍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V 컨텐트 재생이 끊김없이 제공될 수 있다.
먼저 DASH 클라이언트는 MPD 를 획득할 수 있다. MPD 는 HTTP 서버 등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는 MPD 에 기술된 세그먼트에의 접근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로 해당 세그먼트들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요청은 네트워크 상태를 반영하여 수행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는 해당 세그먼트를 획득한 후, 이를 미디어 엔진에서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는 재생 시간 및/또는 네트워크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필요한 세그먼트를 요청, 획득할 수 있다(Adaptive Streaming). 이를 통해 컨텐트가 끊김없이 재생될 수 있다.
MPD (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는 DASH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세그먼트를 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로서 XML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 컨트롤러(DASH Client Controller) 는 네트워크 상황을 반영하여 MPD 및/또는 세그먼트를 요청하는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컨트롤러는 획득된 정보를 미디어 엔진 등등의 내부 블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MPD 파서(Parser) 는 획득한 MPD 를 실시간으로 파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DASH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는 필요한 세그먼트를 획득할 수 있는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세그먼트 파서(Parser) 는 획득한 세그먼트를 실시간으로 파싱할 수 있다. 세그먼트에 포함된 정보들에 따라 미디어 엔진 등의 내부 블락들은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HTTP 클라이언트는 필요한 MPD 및/또는 세그먼트 등을 HTTP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HTTP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획득한 MPD 및/또는 세그먼트들을 MPD 파서 또는 세그먼트 파서로 전달할 수 있다.
미디어 엔진(Media Engine) 은 세그먼트에 포함된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MPD 의 정보들이 활용될 수 있다.
DASH 데이터 모델은 하이라키 구조(t50020)를 가질 수 있다.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은 MPD 에 의해 기술될 수 있다. MPD 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를 만드는 복수개의 피리오드(Period)들의 시간적인 시퀀스를 기술할 수 있다. 피리오드는 미디어 컨텐트의 한 구간을 나타낼 수 있다.
한 피리오드에서, 데이터들은 어댑테이션 셋들에 포함될 수 있다. 어댑테이션 셋은 서로 교환될 수 있는 복수개의 미디어 컨텐트 컴포넌트들의 집합일 수 있다. 어댑테이션은 레프리젠테이션들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레프리젠테이션은 미디어 컨텐트 컴포넌트에 해당할 수 있다. 한 레프리젠테이션 내에서, 컨텐트는 복수개의 세그먼트들로 시간적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이는 적절한 접근성과 전달(delivery)를 위함일 수 있다. 각각의 세그먼트에 접근하기 위해서 각 세그먼트의 URL 이 제공될 수 있다.
MPD 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에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고, 피리오드 엘레멘트, 어댑테이션 셋 엘레멘트, 레프리젠테이션 엘레멘트는 각각 해당 피리오드, 어댑테이션 셋, 레프리젠테이션에 대해서 기술할 수 있다. 레프리젠테이션은 서브 레프리젠테이션들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서브 레프리젠테이션 엘레멘트는 해당 서브 레프리젠테이션에 대해서 기술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Common) 속성/엘레멘트들이 정의될 수 있는데, 이 들은 어댑테이션 셋, 레프리젠테이션, 서브 레프리젠테이션 등에 적용될 수 (포함될 수) 있다. 공통 속성/엘레멘트 중에는 에센셜 프로퍼티(EssentialProperty) 및/또는 서플멘탈 프로퍼티(SupplementalProperty) 가 있을 수 있다.
에센셜 프로퍼티는 해당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관련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필수적이라고 여겨지는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서플멘탈 프로퍼티는 해당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관련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사용될 수도 있는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후술할 시그널링 정보는, MPD 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 에센셜 프로퍼티 및/또는 서플멘탈 프로퍼티 내에 정의되어 전달될 수 있다.
DASH 기반 디스크립터는 @schemeIdUri 필드, @value 필드 및/또는 @i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schemeIdUri 필드는 해당 디스크립터의 스킴(scheme)을 식별하기 위한 URI 를 제공할 수 있다. @value 필드는 @schemeIdUri 필드가 지시하는 스킴에 의해 그 의미가 정의되는 값(value) 들을 가질 수 있다. 즉, @value 필드는 해당 스킴에 따른 디스크립터 엘레멘트들의 값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파라미터라고 불릴 수 있다. 이들은 서로 ',' 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id 는 해당 디스크립터의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는 경우, 동일한 스킴 ID, 값(value),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의 각각의 실시예들은 DASH 기반 디스크립터 형태로 다시 쓸 수 있다. DASH 에 따라 360 비디오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들은 DASH 디스크립터 형태로 기술되어, MPD 등에 포함되어 수신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디스크립터들은 전술한 에센셜 프로퍼티 디스크립터 및/또는 서플멘탈 프로퍼티 디스크립터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디스크립터들은 MPD 의 어댑테이션 셋, 레프리젠테이션, 서브 레프리젠테이션 등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360 비디오의 재생에 있어서, 디렉터스 컷(director's cut)과 같이 의도된 시점(지점) 또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작자가 의도한 시점(지점) 또는 영역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련 메타데이터를 정의, 저장 및 시그널링하는 방안을 개시한다. 후술하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는 제작자의 의도한 영역 또는 시점(지점)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방안을 위해 전달되어야 하는 정보는 2D 공간에서의 영역 또는 2D 공간에서의 시점(지점), 또는 3D 공간에서의 영역 또는 3D 공간에서의 시점(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2D 공간은 캡쳐 또는 인코딩된 사각형 이미지 평면을 의미할 수 있고, 3D 공간은 구형, 원통형, 정방형 등의 360 비디오 렌더링을 위한 프로젝팅(projecting) 공간 또는 프로젝션 구조(projection sturucture)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지칭하는 영역은 전술한 region(영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3D 공간의 영역 또는 시점(지점)과, 2D 공간의 영역 또는 시점(지점)은 서로 대응되는 관계일 수 있다. 즉, 2D 공간의 영역 또는 시점(지점)은 3D 공간의 영역 또는 시점(지점)이 2차원 프레임에 프로젝션/맵핑된 것일 수 있다.
<2D 공간에서의 영역 및 시점 정보 전달 방안>
2D 공간에서의 영역 및 시점(지점) 정보는 ISO BMFF 내에 timed metadata로서 하나의 트랙(track)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하, 2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2D 공간에서의 시점(지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실시예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a)는 2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트랙의 샘플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12의 (b)는 2D 공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영역에 대한 개별 샘플의 구성을 나타낸다.
2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트랙의 샘플 엔트리는 reference_width, reference_height, min_top_left_x, max_top_left_x, min_top_left_y, max_top_left_y, min_width, max_width, min_height, 및/또는 max_height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ence_width 는 2D 공간의 가로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2D 공간의 가로 크기는 픽셀 수로 표현될 수 있다.
reference_height 는 2D 공간의 세로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2D 공간의 세로 크기는 픽셀 수로 표현될 수 있다.
min_top_left_x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좌측상단 끝 지점에 대한 가로 좌표의 최소값을 나타낼 수 있다.
max_top_left_x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좌측상단 끝 지점에 대한 가로 좌표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min_top_left_y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좌측상단 끝 지점에 대한 세로 좌표의 최소값을 나타낼 수 있다.
max_top_left_y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좌측상단 끝 지점에 대한 세로 좌표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min_width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2D 공간 내 영역)의 가로 크기의 최소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가로 크기의 최소값은 픽셀수로 표현될 수 있다.
max_width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2D 공간 내 영역)의 가로 크기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가로 크기의 최대값은 픽셀수로 표현될 수 있다.
min_height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2D 공간 내 영역)의 세로 크기의 최소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세로 크기의 최소값은 픽셀수로 표현될 수 있다.
max_height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2D 공간 내 영역)의 세로 크기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세로 크기의 최대값은 픽셀수로 표현될 수 있다.
2D 공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영역에 대한 개별 샘플은 top_left_x, top_left_y, width, height, 및/또는 interpolate를 포함할 수 있다.
top_left_x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좌측상단 끝 지점에 대한 가로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top_left_y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좌측상단 끝 지점에 대한 세로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width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가로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가로 크기는 픽셀수로 표현될 수 있다.
height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세로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세로 크기는 픽셀수로 표현될 수 있다.
interpolate 는 이전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과 현재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 사이의 값들을 선형 보간 값(linearly interpolated values)으로 채울 것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nterpolate 가 1인 경우, 이전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과 현재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 사이의 값들은 선형 보간 값(linearly interpolated values) 으로 채워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D 공간에서의 시점(지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의 (a)는 2D 공간에서의 시점(지점) 정보를 저장하는 트랙의 샘플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13의 (b)는 2D 공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시점(지점)에 대한 개별 샘플의 구성을 나타낸다.
2D 공간에서의 지점 정보를 저장하는 트랙의 샘플 엔트리는 reference_width, reference_height, min_x, max_x, min_y, 및/또는 max_y 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ence_width 는 2D 공간의 가로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2D 공간의 가로 크기는 픽셀 수로 표현될 수 있다.
reference_height 는 2D 공간의 세로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2D 공간의 세로 크기는 픽셀 수로 표현될 수 있다.
min_x 는 표현하고자 하는 지점의 가로 좌표의 최소값을 나타낼 수 있다.
max_x 는 표현하고자 하는 지점의 가로 좌표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min_y 는 표현하고자 하는 지점의 세로 좌표의 최소값을 나타낼 수 있다.
max_y 는 표현하고자 하는 지점의 세로 좌표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2D 공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지점에 대한 개별 샘플은 x, y, 및/또는 interpolate를 포함할 수 있다.
x 는 표현하고자 하는 지점의 가로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y 는 표현하고자 하는 지점의 가로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interpolate 는 이전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과 현재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 사이의 값들을 선형 보간 값(linearly interpolated values)으로 채울 것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nterpolate 가 1인 경우, 이전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과 현재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 사이의 값들은 선형 보간 값(linearly interpolated values) 으로 채워질 수 있다.
<3D 공간에서의 영역 및 시점 정보 전달 방안>
3D 공간에서의 영역 및 시점 정보는 ISO BMFF 내에 timed metadata로서 하나의 트랙(track)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하, 3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3D 공간에서의 시점(지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실시예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3D 공간은 구형(sphere) 공간을 의미할 수 있고, 360도 비디오는 구형면 상에 표현될 수 있다. 전술한 2D 공간은 3D 공간이 2차원으로 프로젝션/맵핑된 2D 평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3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트랙의 샘플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14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트랙의 샘플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낸다.
먼저,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트랙의 샘플 엔트리는 min_yaw, max_yaw, min_pitch, max_pitch, min_roll, max_roll, min_field_of_view, 및/또는 max_field_of_view를 포함할 수 있다.
min_yaw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yaw axis에 대한 회전량의 최소값을 나타낼 수 있다.
max_yaw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yaw axis에 대한 회전량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min_pitch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pitch axis에 대한 회전량의 최소값을 나타낼 수 있다.
max_pitch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pitch axis에 대한 회전량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min_roll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roll axis에 대한 회전량의 최소값을 나타낼 수 있다.
max_roll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roll axis에 대한 회전량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min_field_of_view 는 표현하고자 하는 시야 범위 (field of view)의 최소값을 나타낼 수 있다.
max_field_of_view 는 표현하고자 하는 시야 범위 (field of view)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min_field_of_view 및 max_field_of_view 가 모두 0인 경우, 해당 샘플 엔트리를 참조하는 각 샘플의 영역은 하나의 점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트랙의 샘플 엔트리는 center_yaw, center_pitch, center_roll, horizontal_field_of_view, 및/또는 vertical_field_of_view 를 포함할 수 있다.
center_yaw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yaw axis에 대한 회전량의 중간값을 나타낼 수 있다.
center_pitch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pitch axis에 대한 회전량의 중간값을 나타낼 수 있다.
center_roll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roll axis에 대한 회전량의 최소값을 나타낼 수 있다.
horizontal_field_of_view 는 표현하고자 하는 수평 시야 범위 (field of view)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값은 center_yaw를 기준(중심)으로 한 수평 시야 범위일 수 있다.
vertical_field_of_view 는 표현하고자 하는 수직 시야 범위 (field of view)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값은 center_pitch를 기준(중심)으로 한 수직 시야 범위일 수 있다.
horizontal_field_of_view 및 vertical_field_of_view 가 모두 0인 경우, 해당 샘플 엔트리를 참조하는 각 샘플의 영역은 하나의 점일 수 있다.
본 샘플 엔트리의 horizontal_field_of_view 및 vertical_field_of_view는, 각 샘플에서 변경되지 않는 한 각 샘플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트랙의 샘플 엔트리는 dynamic_range_flag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dynamic_range_flag는 해당 샘플 엔트리가 지시하는 수평 및 수직 시야 범위가 해당 샘플 엔트리를 참조하는 모든 샘플(들)에 대해서도 변화하지 않고 유지됨을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dynamic_range_flag 가 0인 경우, 샘플 엔트리의 수평 및 수직 시야 범위가 샘플 엔트리를 참조하는 샘플에서도 유지됨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3D 공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영역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공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영역에 대한 개별 샘플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15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공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영역에 대한 개별 샘플의 구성을 나타낸다.
먼저, 도 1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공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영역에 대한 개별 샘플은 yaw, pitch, roll, field_of_view, 및/또는 interpolate를 포함할 수 있다.
yaw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yaw axis에 대한 회전량을 나타낼 수 있다.
pitch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pitch axis에 대한 회전량을 나타낼 수 있다.
roll 은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roll axis에 대한 회전량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yaw 및 pitch 는 뷰포트의 중심을 나타낼 수 있고, roll은 뷰포트의 roll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field_of_view 는 표현하고자 하는 시야 범위 (field of view)를 나타낼 수 있다. Field of view는 horizontal_field_of_view 및 vertical_field_of_view로 세분화될 수 있다.
horizontal_field_of_view 는 표현하고자 하는 수평 시야 범위 (field of view)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값은 center_yaw를 기준(중심)으로 한 수평 시야 범위일 수 있다.
vertical_field_of_view 는 표현하고자 하는 수직 시야 범위 (field of view)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값은 center_pitch를 기준(중심)으로 한 수직 시야 범위일 수 있다.
interpolate 는 이전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과 현재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 사이의 값들을 선형 보간 값(linearly interpolated values)으로 채울 것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nterpolate 가 1인 경우, 이전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과 현재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 사이의 값들은 선형 보간 값(linearly interpolated values) 으로 채워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공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영역에 대한 개별 샘플은 yaw, pitch, roll, 및/또는 interpolate를 포함할 수 있다.
yaw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yaw axis에 대한 회전량을 나타낼 수 있다.
pitch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pitch axis에 대한 회전량을 나타낼 수 있다.
roll 은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roll axis에 대한 회전량을 나타낼 수 있다.
interpolate 는 이전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과 현재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 사이의 값들을 선형 보간 값(linearly interpolated values)으로 채울 것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nterpolate 가 1인 경우, 이전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과 현재 샘플이 표현하는 영역 사이의 값들은 선형 보간 값(linearly interpolated values) 으로 채워질 수 있다.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360도 비디오 트랙의 관계를 시그널링하는 방안>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이러한 메타데이터를 적용할 360도 비디오 트랙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먼저, 360도 비디오 트랙들 사이의 관계를 시그널링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frame)이 하나 이상의 region으로 나뉘어져 코딩되고 하나 이상의 트랙을 통하여 해당 region에 대한 데이터들이 전달되는 경우, 각 트랙과 관련된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가 box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도 2, 도 3, 도 4, 도 8 등에서 전술한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 일 수 있다. 한편,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가 box 형태로 포함되는 경우,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OMVideoConfigurationBox클래스로 정의될 수 있다. OMVideoConfigurationBox 는 omvb 박스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파일, 프래그먼트, 트랙, 샘플 엔트리, 샘플 등등 다양한 레벨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고, 포함되는 레벨에 따라 해당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해당되는 레벨의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트랙, 스트림, 샘플 등).
한편, 하나 이상의 트랙 중에서 특정 몇몇의 트랙만 OMVideoConfigurationBox를 포함하고 나머지 트랙은 OMVideoConfigurationBox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나머지 트랙이 OMVideoConfigurationBox를 포함하는 트랙에 레퍼런싱할 수 있도록 하는 시그널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OMVideoConfigurationBox를 포함하지 않는 나머지 트랙들의 TrackReferenceTypeBox에 OMVideoConfigurationBox를 포함하는 트랙을 지칭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omvb'라는 track reference type을 정의하고, 해당 TrackReferenceTypeBox에 포함된 track_IDs를 통해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랙을 지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360도 비디오 트랙 사이의 관계를 시그널링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은 360도 비디오 트랙과 별도로 저장 및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360도 비디오 트랙과 구별되는 별도의 트랙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트랙에 포함되어 전달될 경우,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랙과, 이러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연관된 360도 비디오 트랙 사이의 레퍼런싱이 요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SOBMFF의 박스중 하나인 TrackReferenceBox('tref') 박스에 기 정의된 'cdsc' reference type을 이용하여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해당 메타데이터 트랙과 연관된 360도 비디오 트랙 사이를 레퍼런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TrackReferenceBox('tref') 박스에 'vdsc' 라는 reference type을 새롭게 정의하여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해당 메타데이터 트랙과 연관된 360도 비디오 트랙 사이를 레퍼런싱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ef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TrackReference('tref') 박스는 해당 박스에 포함된 트랙과 다른 트랙 사이의 레퍼런스를 제공하는 박스이다. TrackReference('tref') 박스는 소정의 reference type과, 식별자를 갖는 트랙 레퍼런스 타입 박스(track reference type box)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track_ID는 포함하는 트랙에서 프레젠테이션 내 다른 트랙에 대한 참조를 제공하는 정수일 수 있다. track_ID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0이 될 수 없다.
reference_type은 다음 값 중 하나에서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reference_type은 아래에 정의되지 않은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hint' 에 의해 참조된 트랙에는 해당 힌트(hint) 트랙의 원본 미디어(original media)가 포함될 수 있다.
‘cdsc' 트랙은 참조된 트랙을 설명한다. 이 트랙은 참조 트랙에 대한 타임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font' 트랙은 참조된 트랙에서 전달/정의된 글꼴(font)을 사용할 수 있다.
‘hind' 트랙은 참조된 힌트 트랙에 의존한다. 즉, 이 트랙은 참조된 힌트 트랙이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vdep' 트랙은 참조된 비디오 트랙에 대한 보조 깊이 비디오 정보(auxiliary depth video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vplx' 트랙은 참조된 비디오 트랙에 대한 보조 시차 비디오 정보(auxiliary parallax video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subt' 트랙은 참조된 트랙 또는 해당 트랙이 속한 대체 그룹의 모든 트랙에 대한 자막, 타임드 텍스트 및/또는 오버레이 그래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vdsc' 트랙은 영역 정보를 전달하는 메타데이터 트랙과, 360 비디오 트랙을 관련짓는 reference type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reference_type을 갖는 tref 박스를 포함하는 트랙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를 전달하는 메타데이터 트랙일 수 있다. 이 때, tref 박스에 포함된 track_IDs는 360 비디오 트랙을 레퍼런스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reference_type을 갖는 tref 박스를 포함하는 트랙은 360 비디오 트랙일 수 있다. 이 때, tref 박스에 포함된 track_IDs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를 전달하는 메타데이터 트랙을 레퍼런스할 수 있다.
또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해당 메타데이터 트랙과 연관된 360도 비디오 트랙 사이를 레퍼런싱하기 위해 reference type 'cdsc' 가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해당 메타데이터 트랙과 연관된 360도 비디오 트랙 사이를 레퍼런싱하기 위해 reference type 'cdsc' 또는 reference type 'vdsc' 가 사용될 수 있다.
<GPS 정보 전달 방안>
GSP 정보는 ISO BMFF 내에 timed metadata로서 하나의 트랙(track)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하, GPS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트랙의 샘플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17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데이터를 저장하는 개별 샘플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17의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GPS 데이터를 저장하는 개별 샘플의 구성을 나타낸다.
GPS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트랙의 샘플 엔트리는 coordinate_reference_sys 및/또는 altitude_flag를 포함할 수 있다.
coordinate_reference_sys 는 샘플에 포함되는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고도(altitude) 값에 대한 coordinate reference system(좌표 기준계, CRS)을 나타낼 수 있다. coordinate_reference_sys 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로, coordinate_reference_sys 는 “urn:ogc:def:crs:EPSG::4979” 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urn:ogc:def:crs:EPSG::4979” 은 EPSG 데이터 베이스에서 code 4979 인 Coordinate Reference System (CRS)를 지시할 수 있다.
altitude_flag 는 샘플에 고도값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altitude_flag 가 1인 경우 샘플에 고도값이 포함됨을 지시하고, altitude_flag 가 0인 경우 샘플에 고도값이 포함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GPS 데이터는 개별 샘플에 저장될 수 있다. 개별 샘플에 저장될 수 있는 GPS 데이터의 구성에 관한 실시예는 도 17(b), (c)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시 도 1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데이터를 저장하는 개별 샘플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7(b)에 도시된 GPS 데이터 샘플은 longitude, latitude 및/또는 altitude를 포함할 수 있다.
Longitude 는 지점의 경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양의 값은 동경(eastern longitude) 을 나타내며 음의 값은 서경(western longitude) 을 나타낼 수 있다.
Latitude 는 지점의 위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양의 값은 북위(northern latitude)을 나타내며 음의 값은 남위(southern latitude)을 나타낼 수 있다.
Altitude 는 지점의 고도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샘플 엔트리의 altitude flag가 샘플에 고도값이 포함되었음을 지시할 경우(ex. altitude flag = 1), 샘플에 Altitude가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샘플 엔트리의 altitude flag가 샘플에 고도값이 포함되지 않음을 지시할 경우(ex. altitude flag = 0), 샘플에 Altitude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샘플에 altitude가 존재하지 않는 실시예는 도 17(c)를 통해 설명한다.
다시 도 1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GPS 데이터를 저장하는 개별 샘플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7(c)에 도시된 GPS 데이터 샘플은 longitude 및/또는 latitud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c)에 도시된 GPS 데이터 샘플은 altitude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Longitude 는 지점의 경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양의 값은 동경(eastern longitude) 을 나타내며 음의 값은 서경(western longitude) 을 나타낼 수 있다.
Latitude 는 지점의 위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양의 값은 북위(northern latitude)을 나타내며 음의 값은 남위(southern latitude)을 나타낼 수 있다.
<GPS 정보 전달 메타데이터 트랙과 360도 비디오 트랙의 관계를 시그널링하는 방안>
GPS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이러한 메타데이터를 적용할 360도 비디오 트랙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먼저, 360도 비디오 트랙들 사이의 관계를 시그널링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frame)이 하나 이상의 region으로 나뉘어져 코딩되고 하나 이상의 트랙을 통하여 해당 region에 대한 데이터들이 전달되는 경우, 각 트랙과 관련된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가 box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도 2, 도 3, 도 4, 도 8 등에서 전술한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 일 수 있다. 한편,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가 box 형태로 포함되는 경우,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OMVideoConfigurationBox클래스로 정의될 수 있다. OMVideoConfigurationBox 는 omvb 박스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파일, 프래그먼트, 트랙, 샘플 엔트리, 샘플 등등 다양한 레벨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고, 포함되는 레벨에 따라 해당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해당되는 레벨의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트랙, 스트림, 샘플 등).
한편, 하나 이상의 트랙 중에서 특정 몇몇의 트랙만 OMVideoConfigurationBox를 포함하고 나머지 트랙은 OMVideoConfigurationBox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나머지 트랙이 OMVideoConfigurationBox를 포함하는 트랙에 레퍼런싱할 수 있도록 하는 시그널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OMVideoConfigurationBox를 포함하지 않는 나머지 트랙들의 TrackReferenceTypeBox에 OMVideoConfigurationBox를 포함하는 트랙을 지칭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omvb'라는 track reference type을 정의하고, 해당 TrackReferenceTypeBox에 포함된 track_IDs를 통해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랙을 지칭할 수 있다.
다음으로, GPS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360도 비디오 트랙 사이의 관계를 시그널링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GPS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은 360도 비디오 트랙과 별도로 저장 및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GPS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360도 비디오 트랙과 구별되는 별도의 트랙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GPS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트랙에 포함되어 전달될 경우, GPS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랙과, 이러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연관된 360도 비디오 트랙 사이의 레퍼런싱이 요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SOBMFF의 박스중 하나인 TrackReferenceBox('tref') 박스에 기 정의된 'cdsc' reference type을 이용하여 GPS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해당 메타데이터 트랙과 연관된 360도 비디오 트랙 사이를 레퍼런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TrackReferenceBox('tref') 박스에 'gpsd' 라는 reference type을 새롭게 정의하여 GPS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해당 메타데이터 트랙과 연관된 360도 비디오 트랙 사이를 레퍼런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16을 다시 참조하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ef 박스를 나타낸다.
TrackReference('tref') 박스는 해당 박스에 포함된 트랙과 다른 트랙 사이의 레퍼런스를 제공하는 박스이다. TrackReference('tref') 박스는 소정의 reference type과, 식별자를 갖는 트랙 레퍼런스 타입 박스(track reference type box)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eference type으로서, gpsd가 새롭게 정의되어 사용될 수 있다.
track_ID는 포함하는 트랙에서 프레젠테이션 내 다른 트랙에 대한 참조를 제공하는 정수일 수 있다. track_ID는 재사용되지 않으며 0이 될 수 없다.
reference_type은 다음 값 중 하나에서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reference_type은 아래에 정의되지 않은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hint' 에 의해 참조된 트랙에는 해당 힌트(hint) 트랙의 원본 미디어(original media)가 포함될 수 있다.
‘cdsc' 트랙은 참조된 트랙을 설명한다. 이 트랙은 참조 트랙에 대한 타임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font' 트랙은 참조된 트랙에서 전달/정의된 글꼴(font)을 사용할 수 있다.
‘hind' 트랙은 참조된 힌트 트랙에 의존한다. 즉, 이 트랙은 참조된 힌트 트랙이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vdep' 트랙은 참조된 비디오 트랙에 대한 보조 깊이 비디오 정보(auxiliary depth video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vplx' 트랙은 참조된 비디오 트랙에 대한 보조 시차 비디오 정보(auxiliary parallax video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subt' 트랙은 참조된 트랙 또는 해당 트랙이 속한 대체 그룹의 모든 트랙에 대한 자막, 타임드 텍스트 및/또는 오버레이 그래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gpsd' 트랙은 GPS 정보를 전달하는 메타데이터 트랙과, 360 비디오 트랙을 관련짓는 reference type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reference_type을 갖는 tref 박스를 포함하는 트랙은 GPS 정보를 전달하는 메타데이터 트랙일 수 있다. 이 때, tref 박스에 포함된 track_IDs는 360 비디오 트랙을 레퍼런스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reference_type을 갖는 tref 박스를 포함하는 트랙은 360 비디오 트랙일 수 있다. 이 때, tref 박스에 포함된 track_IDs는 GPS 정보를 전달하는 메타데이터 트랙을 레퍼런스할 수 있다.
또한, GPS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해당 메타데이터 트랙과 연관된 360도 비디오 트랙 사이를 레퍼런싱하기 위해 reference type 'cdsc' 가 사용될 수도 있다.
즉, GPS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트랙과, 해당 메타데이터 트랙과 연관된 360도 비디오 트랙 사이를 레퍼런싱하기 위해 reference type 'cdsc' 또는 reference type 'vdsc' 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안은 ISOBMFF와 같은 box 기반 파일 포맷을 바탕으로 360 비디오 서비스를 지원하는 콘텐츠에 대한 파일을 생성하거나, MPEG DASH 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DASH Segment를 생성하거나, 또는 MPEG MMT 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MPU 생성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DASH client 또는 MMT client 를 포함하는 수신기는 360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플래그, 파라미터 등)을 바탕으로, 해당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디코딩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및/또는 GPS 정보데 대한 메타데이터를 위한 샘플 엔트리 및/또는 샘플(ex. 2DReagionCartesianCoordinatesSampleEntry, 2DPointCartesianCoordinatesSampleEntry, 3DCartesianCoordinatesSampleEntry, GPSSampleEntry)은 하나의 ISOBMFF 파일, DASH Segment, 또는 MMT MPU 내의 여러 박스들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위 박스에서 정의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 및/또는 GPS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값들은 하위 박스에서 정의된 360 비디오 관련 플래그 혹은 360 비디오 메타데이터의 값들로 override 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6을 통해 설명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DASH 에 기반하여 전송 및 시그널링하는 방안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DASH를 이용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전송 및 시그널링 방안>
메타데이터 전송을 위한 별도의 어댑테이션 셋(Adaptation Set)을 구성하는 실시예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DASH를 통해 전송될 경우, 메타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어댑테이션 셋(Adaptation Set)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별도의 Adaptation Set으로 전송됨을 식별할 수 있는 시그널링이 MPD에 포함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Role descriptor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별도의 Adaptation Set으로 전송됨을 식별할 수 있는 시그널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MPD에 존재하는 Role의 스킴(scheme)과 구분하기 위해 새로운 schemeIdUri 값이 할당될 수 있다. 일 예로, Role 스킴을 위해 “urn:mpeg:dash:role:201X”와 같은 새로운 schemeIdUri 값이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scheme에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임을 알리는 value로써 “dirc”가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임을 알리는 value로써 할당된 “dirc”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dirc”외의 다른 value가 할당될 수도 있다. 한편, VR video 내지 360 비디오를 전송하는 Adaptation Set의 경우, value에 “main”이 할당될 수 있다.
한편, VR video를 전송하는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과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의 관계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Representation@associationId 및 associationType이 사용될 수 있다.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은 assosicationId로 해당 메타데이터가 적용될 VR video를 전송하는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의 id(“VR_video”)를 지칭할 수 있고, associationType으로 “dirc”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dirc”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임을 나타내는 값으로 새롭게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DASH 뿐만 아니라 ISO BMFF(ISO Base Media File Format)의 트랙(track)들 간의 관계 표현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동일한 목적을 위해 associationId 대신에 'tref' 박스의 track_IDs가 사용되고, associationType 대신에 ‘tref' 박스의 reference_type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전송을 시그널링하는 MP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별도의 Adaptation Set으로 전송됨을 식별할 수 있는 시그널링이 MPD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18의 실시예에서, Role descriptor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별도의 Adaptation Set으로 전송됨을 식별할 수 있는 시그널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8의 실시예에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별도의 Adaptation Set으로 전송됨을 식별하기 위해, Role 스킴에 “urn:mpeg:dash:role:201X”이 할당되고, value에 “dirc”가 할당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H18020). 한편, VR video를 전송하는 Adaptation Set의 경우, Role 스킴에 “urn:mpeg:dash:role:2011”이 할당되고, value에 “main”가 할당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H18010)
또한, 도 18의 실시예에서, VR video를 전송하는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과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의 관계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Representation@associationId 및 associationType이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id = “directors_cut”)은 assosicationId로 해당 메타데이터가 적용될 VR video를 전송하는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의 id(“VR_video”)를 지칭하고 있고, associationType으로 “dirc”이 할당되어 있다(H18030).
도 18의 실시예와 같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전송됨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새로운 Role scheme을 정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전송됨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기존의 Role scheme과 호환 가능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전송을 시그널링하는 MP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별도의 Adaptation Set으로 전송됨을 식별할 수 있는 시그널링이 MPD에 포함되어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Role 스킴에 “urn:mpeg:dash:role:2011”이 할당되고, value에 “metadata”가 할당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H19020). 한편, VR video를 전송하는 Adaptation Set의 경우, Role 스킴에 “urn:mpeg:dash:role:2011”이 할당되고, value에 “main”가 할당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H19010). 즉, 도 19의 실시예는 기존의 metadata 를 전송하는 Adaptation Set 식별 방법(Role@schemeIdUri = “urn:mpeg:dash:role:2011”, value = “metadata”)을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Adaptation Set 식별에 적용한 실시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19의 실시예에서, VR video를 전송하는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과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의 관계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Representation@associationId 및 associationType이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id = “directors_cut”)은 assosicationId로 해당 메타데이터가 적용될 VR video를 전송하는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의 id(“VR_video”)를 지칭하고 있고, associationType으로 “dirc”이 할당되어 있다(H19030).
이하, 도 18 및 도 19를 통해 설명한 별도의 Adaptation Set을 통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 및 시그널링하는 방법과 관련된 수신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DASH 클라이언트(DASH client, h20020), 세그먼트 파서(segment parser, H20030),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 H20040), DIRC 파서(DIRC parser, H20050), 및/또는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0060)를 포함할 수 있다.
MPD, VR 컨텐츠 및/또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DASH 서버(DASH server, H20010) 로부터 제공되어 DASH 클라이언트(H20020)가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기의 DASH 클라이언트(H20020)는 데이터 패킷 형태의 VR 컨텐츠, MPD 및/또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DASH 서버(H200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H20020)는 DASH 서버(H20010)로 MPD, VR 컨텐츠 및/또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H20020)는 수신된 패킷으로부터 MPD와, segment를 생성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H20020)는 수신된 MPD를 파싱하여 컨텐트(VR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DASH 클라이언트(H20020)는 도 18 및 도 19를 통해 전술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전송되는 어댑테이션 셋에 관한 시그널링을 통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존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DASH 클라이언트(H20020)는 수신기의 캐패빌리터(capability), 및/또는 컨텐트의 사용 목적에 따라 DIRC 파서 및 DIRC를 위한 세그먼트 파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도면의 점선 참조). 예를 들어, 수신기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거나, 목적에 따라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전송되는 어댑테이션 셋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skip). 한편, 세그먼트는 세그먼트 파서(H20030)로 전달될 수 있다.
세그먼트 파서(H20030)는 수신된 세그먼트를 파싱하여, 비디오 비트스트림 및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DIRC metadata)를 각각 비디오 디코더(H20040) 및 DIRC 파서(H2005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세그먼트 파서(H20030)는 파싱 대상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세그먼트 파서(H20030)는 비디오를 위한 세그먼트를 파싱하는 세그먼트 파서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위한 세그먼트 파서로 구분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H20040)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0060)로 전달할 수 있다.
DIRC 파서(H20050)는 DIRC metadata를 파싱하여 파싱된 정보(DIRC info.)를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006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0060)는 비디오 디코더(H20040)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전달받을 수 있고, DIRC Parser(H20050)는 DIRC metadata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0060)는 DIRC 정보를 사용하여 Video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0060)가 DIRC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VR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DIRC가 가리키는 제작자 의도 시점을 사용자에게 자동 조종(auto navigation)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VR 컨텐트를 보여 주되 제작자 의도 시점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 표시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전송을 시그널링하는 MP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도 18 및 도 19의 실시예와 달리 VR 비디오가 2 이상의 공간영역으로 구성되고, 2 이상의 공간영역으로 구획된 VR 비디오가 2 이상의 어댑테이션 셋을 통해 전송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21의 구체적인 예에서, VR 비디오는 좌측 공간영역과, 우측 공간영역으로 구획되고, 좌측 공간영역과, 우측 공간영역은 각각 VR video tile에 해당한다. 한편, 2 개의 VR video tile은 각각 2개의 어댑테이션 셋에 해당한다. 2개의 VR video tile의 공간적 관계는 SRD (SupplementalProperty@schemeIdUri=“urn:mpeg:dash:srd:2014”)를 통해 기술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측 공간영역에 해당하는 VR video tile의 공간적 정보는 <SupplementalProperty schemeIdUri="urn:mpeg:dash:srd:2014" value="1, 0, 0, 1920, 1920, 3840, 1920, 0"/>으로 기술되고(H21010), 우측 공간영역에 해당하는 VR video tile의 공간적 정보는 <SupplementalProperty schemeIdUri="urn:mpeg:dash:srd:2014" value="1, 0, 1920, 1920, 1920, 3840, 1920, 0"/>으로 기술된다(H21020).
그리고,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도 18 및 도 19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Role@value=“dirc” 또는 “metadata”를 통해 식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18의 실시예와 같이, 새로운 Role scheme을 정의하고, Role@value=”dirc”로 할당하여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식별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H21030).
또한, Representation@associationId는 2 이상의 공간영역으로 구획된 VR video tile들의 Representation 또는 하나의 Representation (base tile track을 전송하는 Representation)을 지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2개의 공간영역으로 구획된 VR video tile1 및 VR video tile2를 지시하고 있다(H21040).
이하, 도 21을 통해 설명한 VR 비디오가 2 이상의 공간영역으로 구성되고, 2 이상의 공간영역으로 구획된 VR 비디오가 2 이상의 어댑테이션 셋을 통해 전송되는 실시예에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 및 시그널링하는 방법과 관련된 수신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DASH 클라이언트(DASH client, H22020), 세그먼트 파서(segment parser, H22030),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 H22040), DIRC 파서(DIRC parser, H22050), 및/또는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2060)를 포함할 수 있다.
MPD, VR 컨텐츠 및/또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DASH 서버(DASH server, H22010) 로부터 제공되어 DASH 클라이언트(H22020)가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기의 DASH 클라이언트(H22020)는 데이터 패킷 형태의 VR 컨텐츠, MPD 및/또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DASH 서버(H220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H22020)는 DASH 서버(H22010)로 MPD, VR 컨텐츠 및/또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H22020)는 수신된 패킷으로부터 MPD와, segment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2의 실시예에서, DASH 서버(H22010)로부터 전송되는 테이터 패킷은 전체 VR 비디오의 일부 공간영역(ex. VR video tile)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즉, DASH 서버(H22010)로부터 전송되는 VR video content는 사용자의 초기 시점을 포함하는 일부 공간영역(tile)에 해당하거나, 후술할 DIRC 파서(H2205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DIRC info.)가 지시하는 제작자 의도 시점 또는 영역을 포함하는 일부 공간영역(tile)에 해당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H22020)는 수신된 MPD를 파싱하여 컨텐트(VR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DASH 클라이언트(H22020)는 도 20을 통해 전술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전송되는 어댑테이션 셋에 관한 시그널링을 통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존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DASH 클라이언트(H22020)는 수신기의 캐패빌리터(capability), 및/또는 컨텐트의 사용 목적에 따라 DIRC 파서 및 DIRC를 위한 세그먼트 파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도면의 점선 참조). 예를 들어, 수신기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거나, 목적에 따라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전송되는 어댑테이션 셋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skip). 한편, 세그먼트는 세그먼트 파서(H22030)로 전달될 수 있다.
세그먼트 파서(H22030)는 수신된 세그먼트를 파싱하여, 비디오 비트스트림 및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DIRC metadata)를 각각 비디오 디코더(H22040) 및 DIRC 파서(H2205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세그먼트 파서(H22030)는 파싱 대상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세그먼트 파서(H22030)는 비디오를 위한 세그먼트를 파싱하는 세그먼트 파서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위한 세그먼트 파서로 구분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H22040)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2060)로 전달할 수 있다.
DIRC 파서(H22050)는 DIRC metadata를 파싱하여 파싱된 정보(DIRC info.)를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206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DIRC 파서(h22050)는 파싱된 정보(DIRC info.)를 DASH 클라이언트(H22010)로 전달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H22010)로 전달된 정보(DIRC info.)는, DASH 클라이언트(H22010)가 제작자 의도 시점 또는 영역을 포함하는 일부 공간영역(tile)에 해당하는 어댑테이션 셋(adaptation set)을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2060)는 비디오 디코더(H22040)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전달받을 수 있고, DIRC Parser(H22050)는 DIRC metadata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2060)는 DIRC 정보를 사용하여 Video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2060)가 DIRC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VR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DIRC가 가리키는 제작자 의도 시점을 사용자에게 자동 조종(auto navigation)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VR 컨텐트를 보여 주되 제작자 의도 시점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 표시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8 내지 도 22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은, VR 비디오를 전송 및 시그널링하는 어댑테이션 셋과, 메타데이터를 전송 및 시그널링하는 어댑테이션 셋이 별도로 존재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23 내지 도 25를 통해, 하나의 어댑테이션 셋 내에 VR 비디오와 메타데이터를 함께 전송 및 시그널링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하나의 Adaptation Set 내 비디오와 메타데이터 전송하는 실시예
시점 정보 또는 영역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도 18 내지 도 22를 통해 전술한 경우와 달리 하나의 Adaptation Set 내에서 VR video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비디오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는 하나의 파일(Segment 또는 ISO BMFF)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VR 비디오와 메타데이터는 하나의 파일 내에서 별도의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고,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하나의 비디오 트랙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VR 비디오와 메타데이터가 하나의 파일 내에서 별도의 트랙으로 구성되는 실시예와,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하나의 비디오 트랙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전송을 시그널링하는 MP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의 실시예는, VR 비디오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별도의 트랙으로 구성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VR 비디오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하나의 어댑테이션 셋(Adaptation Set) 및 하나의 파일 내에 별도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전송된다.
도 23의 실시예에서, VR 비디오 트랙과 메타데이터 트랙은, MPD 내에서 AdaptationSet 하위의 ContentComponent로 식별될 수 있으며, 각각 “video”, “application”의 contentType을 가질 수 있다(H23010, H23020). 각각의 ContentComponent는 하위 요소로서 Role을 가질 수 있으며, Role은 앞서 설명한 별도의 Adpatation Set을 통한 메타데이터 전송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VR 비디오 및/또는 메타데이터(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즉, VR video의 경우, Role 스킴에 “urn:mpeg:dash:role:2011”이 할당되고, value에 “main'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경우, Role 스킴에 “urn:mpeg:dash:role:201x”이 할당되고, value에 “dirc”이 할당되거나, Role 스킴에 “urn:mpeg:dash:role:2011”이 할당되고, value에 “metadata”가 할당될 수 있다.
도 23의 실시예의 경우, VR video에 대해서는, Role 스킴에 “urn:mpeg:dash:role:2011”이 할당되고, value에 “main'이 할당되고(H23030),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대해서는, Role 스킴에 “urn:mpeg:dash:role:201x”이 할당되고, value에 “dirc”이 할당된다(H23040).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전송을 시그널링하는 MP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의 실시예는, VR 비디오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하나의 트랙으로 구성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VR 비디오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하나의 어댑테이션 셋(Adaptation Set) 및 하나의 파일 내에 하나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전송된다.
하나의 파일에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비디오 트랙이 존재할 수 있다.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sample group description 과 같이 트랙에 부속되는 메타데이터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MPD에는 비디오와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의 Adaptation Set이 존재할 수 있고, 두 개의 Role이 존재하여 이 두 개의 Role이 각각 비디오와 메타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즉, VR video의 경우, Role 스킴에 “urn:mpeg:dash:role:2011”이 할당되고, value에 “main'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경우, Role 스킴에 “urn:mpeg:dash:role:201x”이 할당되고, value에 “dirc”이 할당되거나, Role 스킴에 “urn:mpeg:dash:role:2011”이 할당되고, value에 “metadata”가 할당될 수 있다.
한편, 도 24의 실시예의 경우, 도 23의 실시예와 달리, 어댑테이션 셋(adaptation set) 하위에 VR 비디오 및 메타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ContentComponent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24의 실시예의 경우, VR video에 대해서는, Role 스킴에 “urn:mpeg:dash:role:2011”이 할당되고, value에 “main'이 할당되고(H24030),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대해서는, Role 스킴에 “urn:mpeg:dash:role:201x”이 할당되고, value에 “dirc”이 할당된다(H24040).
이하, 도 23 및 도 24를 통해 설명한 하나의 Adaptation Set을 통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 및 시그널링하는 방법과 관련된 수신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DASH 클라이언트(DASH client, H25020), 세그먼트 파서(segment parser, H25030),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 H25040), DIRC 파서(DIRC parser, H25050), 및/또는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5060)를 포함할 수 있다.
MPD, VR 컨텐츠 및/또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DASH 서버(DASH server, H25010) 로부터 제공되어 DASH 클라이언트(H25020)가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기의 DASH 클라이언트(H25020)는 데이터 패킷 형태의 VR 컨텐츠, MPD 및/또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DASH 서버(H250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H25020)는 DASH 서버(H25010)로 MPD, VR 컨텐츠 및/또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H25020)는 수신된 패킷으로부터 MPD와, segment를 생성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H25020)는 수신된 MPD를 파싱하여 컨텐트(VR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DASH 클라이언트(H25020)는 도 23 및 도 24를 통해 전술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전송되는 어댑테이션 셋에 관한 시그널링을 통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존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DASH 클라이언트(H25020)는 수신기의 캐패빌리터(capability), 및/또는 컨텐트의 사용 목적에 따라 DIRC 파서 및 DIRC를 위한 세그먼트 파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도면의 점선 참조). 예를 들어, 수신기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거나, 목적에 따라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전송되는 어댑테이션 셋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skip). 한편, 세그먼트는 세그먼트 파서(H25030)로 전달될 수 있다.
세그먼트 파서(H25030)는 수신된 세그먼트를 파싱하여, 비디오 비트스트림 및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DIRC metadata)를 각각 비디오 디코더(H25040) 및 DIRC 파서(H2505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세그먼트 파서(H25030)는 파싱 대상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세그먼트 파서(H25030)는 비디오를 위한 세그먼트를 파싱하는 세그먼트 파서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위한 세그먼트 파서로 구분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H25040)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5060)로 전달할 수 있다.
DIRC 파서(H25050)는 DIRC metadata를 파싱하여 파싱된 정보(DIRC info.)를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506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5060)는 비디오 디코더(H25040)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전달받을 수 있고, DIRC Parser(H25050)는 DIRC metadata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5060)는 DIRC 정보를 사용하여 Video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25060)가 DIRC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VR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DIRC가 가리키는 제작자 의도 시점을 사용자에게 자동 조종(auto navigation)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VR 컨텐트를 보여 주되 제작자 의도 시점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 표시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MPEG-2 TS를 이용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전송 및 시그널링 방안>
도 12 내지 도 16을 통해 설명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MPEG-2 TS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PES packet(packetized elementary stream packet)을 통해 전송되거나, TS(transport stream)의 Adaptation Field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하,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고유의 PID를 갖는 PES packet을 통해 전송되는 실시예 및 TS의 Adaptation Field를 통해 전송되는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PES로 전송하는 실시예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PES 패킷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PES 패킷의 스트림 식별자(stream_id)가 private stream을 지시하도록 설정되고, 해당 private stream의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스트림을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6은 스트림 식별자와 해당 스트림 식별자에 할당된 스트림의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7은 스트림 타입과, 해당 스트림 타입에 할당된 스트림의 정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8은 PES packet을 통해 전송되는 access unit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6을 참조하면, stream_id가 '1011 1101'인 경우, 해당 스트림은 private_stream_1을 식별한다. stream_id = '1011 1101'인 경우로서, stream_type이 '0x27'인 경우, 해당 스트림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스트림(VR Director's Cut information stream)에 해당한다(도 26의 note 11 참조). 또한, 도 27을 참조하면, stream_type 이 '0x27'인 경우, 해당 스트림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스트림(VR Director's Cut information stream)에 해당한다는 것을 지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8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PES packet을 통해 전송되는 access unit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28의 access unit(VDCI_AU)은 vdci_descriptor()를 포함하며, vdci_descriptor()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vdci_descriptor()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daptation Filed 내에 전송하는 실시예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TS의 adaptation field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adaptation field 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경우, flag 필드를 통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의 존부를 지시할 수 있고, 해당 flag 필드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의 존재를 지시할 경우,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는 adaptation field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daptation fiel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adaptation field는 vcdi_descriptor_not_present_flag 를 포함한다. vcdi_descriptor_not_present_flag는 vcdi_descriptor()의 존재 여부를 식별한다. 도 29의 실시예에서, vcdi_descriptor_not_present_flag가 0으로 설정될 경우 adaptaion_filed()내에 vcdi_descriptor()가 존재하게 된다.
TS의 컴포넌트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Adaptation Field 내에 포함할 수 있는지 여부는 extension descriptor를 통해 식별될 수 있다. extension_descroptor_tag가 기설정된 값으로 할당된 경우, 해당 컴포넌트의 adaptation field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관한 디스크립터를 포함할 수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xtension descriptor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1은 extension descriptor 에 포함되는 extension descriptor tag 의 value와, 해당 value에 해당하는 설명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dci extension descriptor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xtension descriptor는 descriptor tag, descriptor length 및 extension descriptor tag 를 포함할 수 있고, extension descriptor tag의 값(value)에 따라 디스크립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or tag 는 본 디스크립터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0의 실시예에서, descriptor tag 는 extension descriptor를 식별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descriptor tag 는 extension descriptor를 지시하기 위해, '63'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descriptor tag의 구체적인 값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descriptor length 는 해당 디스크립터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기술할 수 있다.
extension descriptor tag 는 익스텐션 디스크립터(extension descriptor)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디스크립터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extension descriptor tag의 value에 따라 extension descriptor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디스크립터가 무엇인지 나타나 있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xtension descriptor tag가 0x02인 경우, extension descriptor는 ObjectDescriptorUpdate descriptor를 포함할 수 있고, extension descriptor tag가 0x03인 경우, extension descriptor는 HEVC_timing_and_HRD_descriptor를 포함할 수 있으며, extension descriptor tag가 0x04인 경우, extension descriptor는 af_extenstions_descriptor를 포함할 수 있고, extension descriptor tag가 0x05인 경우, extension descriptor는 vdci_extenstions_descrip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dci_extenstions_descriptor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dci_extenstions_descriptor는 vdci descriptor type 을 포함할 수 있다.
vdci descriptor type은 후술할 vdci descriptor의 종류 내지 타입을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vdci descriptor type 이 '0x01'인 경우 vdci descriptor는 2d_vcdi_descriptor()이고, vdci descriptor type 이 '0x02'인 경우 vdci descriptor는 spherical_vcdi_descriptor()일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dci descriptor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D vdci descriptor를 나타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phrecal vcdi descriptor를 나타낸다.
먼저,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D vdci descriptor가 도시되어 있다.
2d_vcdi_descriptor는 2d_vcdi_descr_tag, 2d_vdci_descr_length, reference_region_flag, duration_flag, next_vcdi_flag, reference_width, reference_height, top_left_x, top_left_y, width, height, interpolate, duration, next_top_left_x, next_top_left_y, next_width, next_height 및/또는 next_interpolate를 포함할 수 있다.
2d_vcdi_descr_tag는 고유의 값을 할당하여 2d vdci descriptor를 식별할 수 있다.
2d_vdci_descr_length는 2d vdci descriptor의 길이를 바이트수로 나타낼 수 있다.
reference_region_flag는 reference_width 및 reference_height 필드의 존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reference_region_flag 가 1로 설정될 경우 reference_width 및 reference_height 필드가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duration_flag는 duration 필드의 존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duration_flag 가 1로 설정될 경우 duration 필드가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next_vcdi_flag는 next_top_left_x, next_top_left_y, next_width 및 next_height 필드의 존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next_vcdi_flag가 1로 설정될 경우 next_top_left_x, next_top_left_y, next_width 및 next_height 필드가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duration은 현재 영역의 지속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duration은 현재 영역 표현 시간과 다음 영역 표현 시간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reference_width는 2D 공간의 가로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2D 공간의 가로 크기는 픽셀 수로 표현될 수 있다.
reference_height 는 2D 공간의 세로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2D 공간의 세로 크기는 픽셀 수로 표현될 수 있다.
top_left_x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좌측상단 끝 지점의 가로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top_left_y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좌측상단 끝 지점의 세로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width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가로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가로 크기는 픽셀수로 표현될 수 있다.
height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세로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세로 크기는 픽셀수로 표현될 수 있다.
interpolate 는 이전 영역과, 현재 영역 사이의 값들을 선형 보간 값으로 채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nterpolate 가 1로 설정될 경우 이전 영역과 현재 영역 사이의 값들은 선형 보간 값(linearly interpolated values)으로 채워질 수 있다.
next_top_left_x 는 표현하고자 하는 다음 영역의 좌측상단 끝 지점의 가로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next_top_left_y 는 표현하고자 하는 다음 영역의 좌측상단 끝 지점의 세로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next_width 는 표현하고자 하는 다음 영역의 가로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가로 크기는 픽셀수로 표현될 수 있다.
next_height 는 표현하고자 하는 다음 영역의 세로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세로 크기는 픽셀수로 표현될 수 있다.
next_interpolate 는 현재 영역과 다음 영역 사이의 값들을 선형 보간 값으로 채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next_interpolate 가 1로 설정될 경우 현재 영역과 다음 영역 사이의 값들은 선형 보간 값(linearly interpolated values)으로 채워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pherical vdci descriptor가 도시되어 있다.
spherical_vcdi_descriptor는 spherical_vcdi_descr_tag, spherical_vdci_descr_length, reference_region_flag, duration_flag, next_vcdi_flag, reference_min_yaw, reference_max_yaw, reference_min_pitch, reference_max_pitch, yaw, pitch, roll, field_of_view, interpolate, duration, next_yaw, next_pitch, next_roll, next_field_of_view 및/또는 next_interpolate를 포함할 수 있다.
spherical_vcdi_descr_tag는 고유의 값을 할당하여 spherical vdci descriptor를 식별할 수 있다.
spherical_vdci_descr_length는 spherical vdci descriptor의 길이를 바이트수로 나타낼 수 있다.
reference_region_flag는 reference_min_yaw, reference_max_yaw, reference_min_pitch 및 reference_max_pitch 필드의 존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reference_region_flag 가 1로 설정될 경우 reference_min_yaw, reference_max_yaw, reference_min_pitch 및 reference_max_pitch 필드가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duration_flag는 duration 필드의 존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duration_flag 가 1로 설정될 경우 duration 필드가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next_vcdi_flag는 next_yaw, next_pitch, next_roll, next_field_of_view 및 next_interpolate 필드의 존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next_vcdi_flag가 1로 설정될 경우 next_yaw, next_pitch, next_roll, next_field_of_view 및 next_interpolate 필드가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duration - 현재 영역의 지속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현재 영역 표현 시간과 다음 영역 표현 시간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reference_min_yaw는 3D 공간의 yaw axis에 대한 회전량의 최소값을 나타낼 수 있다.
reference_max_yaw는 3D 공간의 yaw axis에 대한 회전량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reference_min_pitch는 3D 공간의 pitch axis에 대한 회전량의 최소값을 나타낼 수 있다.
reference_max_pitch는 3D 공간의 pitch axis에 대한 회전량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yaw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yaw axis에 대한 회전량을 나타낼 수 있다.
pitch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pitch axis에 대한 회전량을 나타낼 수 있다.
roll 은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roll axis에 대한 회전량을 나타낼 수 있다.
field_of_view 는 표현하고자 하는 영역의 시야 범위 (field of view)를 나타낼 수 있다.
interpolate 는 이전 영역과 현재 영역 사이의 값들을 선형 보간 값으로 채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nterpolate 가 1로 설정될 경우 이전 영역과 현재 영역 사이의 값들은 선형 보간 값(linearly interpolated values)으로 채워질 수 있다.
next_yaw 는 표현하고자 하는 다음 영역의 yaw axis에 대한 회전량을 나타낼 수 있다.
next_pitch 는 표현하고자 하는 다음 영역의 pitch axis에 대한 회전량을 나타낼 수 있다.
next_roll 은 표현하고자 하는 다음 영역의 roll axis에 대한 회전량을 나타낼 수 있다.
next_field_of_view 는 표현하고자 하는 다음 영역의 시야 범위 (field of view)를 나타낼 수 있다.
next_interpolate 는 현재 영역과 다음 영역 사이의 값들을 선형 보간 값으로 채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next_interpolate 가 1로 설정될 경우 현재 영역과 다음 영역 사이의 값들은 선형 보간 값(linearly interpolated values)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이하, 도 25 내지 도 34를 통해 설명한 MPEG-2 TS를 통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 및 시그널링하는 방법과 관련된 수신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MPEG-2 TS 리시버(MPEG-2 TS receiver, H35020),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 H35030), DIRC 파서(DIRC parser, H35040), 및/또는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35050)를 포함할 수 있다.
VR 컨텐츠 및/또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MPEG-2 TS 트랜스미터(MPEG-2 TS transmitter, H35010)로부터 제공되어 MPEG-2 TS 리시버(MPEG-2 TS receiver, H35020)가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기의 MPEG-2 TS 리시버(H35020)는 MPEG-2 TS 패킷 형태의 VR 컨텐츠 및/또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MPEG-2 TS 트랜스미터(H350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MPEG-2 TS 리시버(H35020)는 수신된 MPEG-2 TS 패킷들을 해석하여 비디오 스트림(Video bitstream) 및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DIRC meta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MPEG-2 TS 리시버(H35020)는 전술한 PES 또는 Adaptation Field를 통해 전송되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식별 방법을 통해 해당 메타데이터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MPEG-2 TS 리시버(H35020)는 수신기의 캐패빌리터(capability), 및/또는 컨텐트의 사용 목적에 따라 DIRC 파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도면의 점선 참조). 예를 들어, 수신기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거나, 목적에 따라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skip). 한편, MPEG-2 TS 리시버(H35020)는 비디오 스트림(Video bitstream) 및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DIRC metadata)를 각각 비디오 디코더(H35030)와 DIRC 파서(H35040)로 전달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H35030)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35050)로 전달할 수 있다.
DIRC 파서(H35040)는 DIRC metadata를 파싱하여 파싱된 정보(DIRC info.)를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3505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35050)는 비디오 디코더(H35030)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전달받을 수 있고, DIRC Parser(H35040)는 DIRC metadata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35050)는 DIRC 정보를 사용하여 Video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35050)가 DIRC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VR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DIRC가 가리키는 제작자 의도 시점을 사용자에게 자동 조종(auto navigation)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VR 컨텐트를 보여 주되 제작자 의도 시점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 표시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Video Coding Layer를 이용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전송 및 시그널링 방안>
도 12 내지 도 16을 통해 설명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VCL(Video Coding Layer)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VCL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message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SEI message에 포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6의 상단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I message의 페이로드는 2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I message의 페이로드는 directors_cut_id, reference_region_flag, duration_flag, next_vcdi_flag, reference_width, reference_height, top_left_x, top_left_y, width, height, interpolate, duration, next_top_left_x, next_top_left_y, next_width, next_height 및/또는 next_interpolate를 포함할 수 있다.
directors_cut_id 는 해당 2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고유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directors_cut_id 는, 동일 스트림 상에 여러 개의 2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각각을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동일한 directors_cut_id를 갖는 메타데이터들은 하나의 2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 시퀀스를 이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I message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다른 필드들에 대해서는 도 33을 통해 설명한 2d_vcdi_descriptor()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6의 하단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EI message의 페이로드는 3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EI message의 페이로드는 directors_cut_id, reference_region_flag, duration_flag, next_vcdi_flag, reference_min_yaw, reference_max_yaw, reference_min_pitch, reference_max_pitch, yaw, pitch, roll, field_of_view, interpolate, duration, next_yaw, next_pitch, next_roll, next_field_of_view 및/또는 next_interpolate를 포함할 수 있다.
directors_cut_id 는 해당 3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고유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directors_cut_id 는, 동일 스트림 상에 여러 개의 3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각각을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동일한 directors_cut_id를 갖는 메타데이터들은 하나의 3D 공간에서의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 시퀀스를 이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EI message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다른 필드들에 대해서는 도 34을 통해 설명한 spherical_vcdi_descriptor()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36을 통해 설명한 VCL(Video Coding Layer)을 통해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 및 시그널링하는 방법과 관련된 수신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컨텐트 파서(network client/content parser, H37020),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 H37030), DIRC 파서(DIRC parser, H37040), 및/또는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37050)를 포함할 수 있다.
VR 컨텐츠 및/또는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는 컨텐트/네트워크 서버 (H37010)로부터 제공되어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컨텐트 파서(H37020)가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기의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컨텐트 파서(H37020)는 네트워크 패킷 또는 파일 형태의 비디오 데이터를 컨텐트/네트워크 서버 (H370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컨텐트 파서(H37020)는 수신된 네트워크 패킷 또는 파일을 해석하여 비디오 스트림(Video bitstream)을 생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컨텐트 파서(H37020)는 비디오 스트림(Video bitstream)을 비디오 디코더(H37030)로 전달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H37030)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H37030)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비디오 데이터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DIRC metadata)를 획득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H37030)는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350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디코더(H37030)는 수신기의 캐패빌리터(capability), 및/또는 컨텐트의 사용 목적에 따라 DIRC 파서(H37040)를 활성화하고,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DIRC metadata)를 DRIC 파서(H3704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가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거나, 목적에 따라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영역 정보 또는 시점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skip).
DIRC 파서(H37040)는 DIRC metadata를 파싱하여 파싱된 정보(DIRC info.)를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3705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37050)는 비디오 디코더(H37030)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전달받을 수 있고, DIRC Parser(H37040)는 DIRC metadata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37050)는 DIRC 정보를 사용하여 Video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젝터/렌더러/센서(projector/renderer/sensors, H37050)가 DIRC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VR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DIRC가 가리키는 제작자 의도 시점을 사용자에게 자동 조종(auto navigation)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VR 컨텐트를 보여 주되 제작자 의도 시점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 표시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은,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H38100),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하는 단계(SH38200),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를 2차원 프레임에 패킹하는 단계(SH38300),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단계(SH38400) 및 인코딩된 이미지 및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H38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H38100)에서,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는 전방향 카메라(360도 카메라, VR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캡쳐하여 얻어지거나, 전방향 비디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H38100)는 도 1의 캡쳐과정(t1010)과 대응될 수 있고, 도 2의 데이터 입력부에서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며, 도 4의 획득(acquisition)과 대응될 수 있다.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하는 단계(SH38200)는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프로젝션 구조(3D projection structure) 또는 3차원 모델(3D model)에 프로젝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3차원 프로젝션 구조(3D projection structure) 또는 3차원 모델(3D model)은 구형(Sphere), 큐브(Cube), 실린더(Cylinder) 또는 피라미드(Pyramid) 일 수 있다.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하는 단계(SH38200)는, 도 1의 준비과정(t1010)의 프로젝션과 대응될 수 있고, 도 2의 프로젝션 처리부에서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며, 도 4의 프로젝션(projection)과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은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H38100) 와,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하는 단계(SH38200) 사이에,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들을 연결하는 단계인 스티칭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들은 스티칭을 통해 연결되고, 연결된 이미지가 3차원 프로젝션 구조(3D projection structure)에 투영(projection)될 수 있다.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를 2차원 프레임에 패킹하는 단계(SH38300)는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3차원 이미지를 2차원 프레임에 맵핑하는 단계일 수 있다.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3차원 이미지는 3차원 영역 정보를 통해 표현될 수 있고,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packed image)는 2차원 영역 정보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이때, 2차원 영역 정보와 3차원 영역 정보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즉, 2차원 영역 정보가 지시하는 2차원 프레임 상의 영역 또는 지점은 3차원 영역 정보가 지시하는 3차원 프로젝션 구조 상의 영역 또는 지점과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의 2차원 영역 정보는 도 12, 도 13, 도 33 및 도 36을 통해 설명한 정보일 수 있고, 3차원 영역 정보는 도 14, 도 15, 도 34 및 도 36을 통해 설명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2차원 영역 정보 및 3차원 영역 정보는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를 2차원 프레임에 패킹하는 단계(SH38300)는 도 1의 준비과정(t1010)의 2D 이미지 맵핑과 대응될 수 있고, 도 2의 프로젝션 처리부의 2D 프로젝션 동작에 대응될 수 있으며, 도 4의 프로젝션 및 맵핑(projection and mapping)의 맵핑 과정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를 2차원 프레임에 패킹하는 단계(SH38300)는,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를 소정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 및 소정 영역별로 구획된 서브-이미지들을 2차원 프레임에 패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를 소정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 및 소정 영역별로 구획된 서브-이미지들을 2차원 프레임에 패킹하는 단계는 도 1의 리전별 패킹 과정에 대응될 수 있고, 도 2의 리전별 팩킹부의 동작에 대응될 수 있으며, 도 4의 리전별 패킹 과정(region-wise packing)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리전별 패킹이 수행된 경우, 소정 영역별로 구획된 서브-이미지들은 각각 패킹된 프레임과 대응될 수 있다. 리전별 패킹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2차원 프레임은 패킹된 프레임과 동일할 수 있다.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단계(SH38400)는 패킹된 이미지를 소정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는(encoding) 단계일 수 있다.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단계(SH38400)는 도 1의 준비과정(t1010)의 인코딩 과정에 대응될 수 있고, 도 2의 데이터 인코더의 동작에 대응될 수 있으며, 도 4의 비디오 인코딩 또는 이미지 인코딩 과정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전별 패킹이 수행된 경우,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단계(SH38400)는 각 리전에 대응하는 패킹된 이미지(packed image) 별로 인코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각 패킹된 이미지에 대한 부호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인코딩된 이미지 및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H38500)는 인코딩된 이미지 및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인코딩된 이미지 및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H38500)는 도 1의 전송과정과 대응될 수 있고, 도 2의 전송부에서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며, 도 4의 전달(delivery)과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신호는 방송 신호일 수 있으며, 방송 신호를 통해 인코딩된 이미지 및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인코딩된 이미지는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고,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인코딩된 이미지는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전송되고,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방송망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으며, 인코딩된 이미지 및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모두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수신 장치가 전방향 비디오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일체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도 8의 메타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에 해당할 수 있고, 도 12 내지 도 19, 도 21, 도 23 내지 도 24, 도 26 내지 도 34 및/또는 도 36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에 대한 3차원 영역 정보 또는 상기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에 대한 2차원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차원 영역 정보는 도 12, 도 13, 도 33 및 도 36을 통해 설명한 정보일 수 있고, 3차원 영역 정보는 도 14, 도 15, 도 34 및 도 36을 통해 설명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2차원 영역 정보 및 3차원 영역 정보는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3차원 영역 정보는, 구형의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프로젝션된 3차원 이미지의 영역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3차원 영역 정보는 구면의 영역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도 14, 도 15, 도 34 및 도 36). 이러한 실시예에서, 3차원 영역 정보는 수평 시야 범위를 지시하는 수평 시야 정보 및 수직 시야 범위를 지시하는 수직 시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영역 정보는 수평 시야 범위 및 수직 시야 범위의 중심을 지시하기 위한 요(yaw) 축 각도 및 피치(pitch) 축 각도를 각각 지시하는 요 정보 및 피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시야 정보 및 수직 시야 정보는, 도 14 및 도 15의 field_of_view, min_field_of_view, max_field_of_view, horizontal_field_of_view 및/또는 vertical_ field_of_view 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수평 시야 범위 및 수직 시야 범위의 중심을 지시하기 위한 요(yaw) 축 각도 및 피치(pitch) 축 각도를 각각 지시하는 요 정보 및 피치 정보는 도 14 및 도 15의 center_yaw, yaw 및 center_pitch, pitch일 수 있다.
또한,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전방향 비디오 제작자가 의도한 시점에 관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ISOBMFF 파일 포맷, DASH MPD/segment, MPEG-2 TS의 PES 패킷 또는 adaptaion field, 및/또는 VCL의 SEI message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의 어댑테이션 셋(adaptation set)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8 내지 도 25과 해당 도면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MPEG-2 TS의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 또는 TS(Transport Stream)의 어댑테이션 필드(adaptaion field)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6 내지 도 35와 해당 도면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VCL(Video Coding layer)의 SEI message(Supplemental Enhancement Layer)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6 내지 도 37와 해당 도면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장치는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H39100),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하는 프로젝션부(H39200), 상기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를 2차원 프레임에 패킹하는 패킹부(H39300), 상기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인코더(H39400) 및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및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H39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H39100)의 동작은 도 38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의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H38100)에서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해당 단계에 관련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프로젝션부(H39200)의 동작은 도 38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의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하는 단계(SH38200)에서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해당 단계에 관련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패킹부(H39300)의 동작은 도 38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의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를 2차원 프레임에 패킹하는 단계(SH38300)에서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해당 단계에 관련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인코더(H39400)의 동작은 도 38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의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단계(SH38400)에서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해당 단계에 관련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전송부(H39500)의 동작은 도 38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의 인코딩된 이미지 및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H38500)에서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해당 단계에 관련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장치는 스티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티쳐는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들을 연결할 수 있다. 스티쳐의 동작은 도 38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의 스티칭 단계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고, 해당 단계에 관련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패킹부(H39300)는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를 소정 영역으로 구획한 다음 소정 영역별로 구획된 서브-이미지들을 2차원 프레임에 패킹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의 리전별 패킹 동작은 도 38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의 리전별 패킹 단계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고, 해당 단계에 관련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수신 장치가 전방향 비디오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일체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대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에서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은,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 및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H40100),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파싱하는 단계(SH40200),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디코딩하는 단계(SH40300), 및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모델에 리프로젝션하는 단계(SH40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응하는 수신 측면의 방법일 수 있다.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 및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H40100)는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 및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 신호는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송신하는 방법에서의 인코딩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여기서의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는 도 38의 SH38100 단계, SH38200 단계, SH38300 단계 및 SH38400 단계를 거쳐 생성된 인코딩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 및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H40100) 도 1의 수신과정과 대응될 수 있고, 도 3의 수신부에서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며, 도 4의 수신과정과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신호는 방송 신호일 수 있으며, 방송 신호를 통해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 및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 는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고,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는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전송되고,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방송망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으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 및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모두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수신 장치가 전방향 비디오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일체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도 8의 메타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에 해당할 수 있고, 도 12 내지 도 19, 도 21, 도 23 내지 도 24, 도 26 내지 도 34 및/또는 도 36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에 대한 3차원 영역 정보 또는 상기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에 대한 2차원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차원 영역 정보는 도 12, 도 13, 도 33 및 도 36을 통해 설명한 정보일 수 있고, 3차원 영역 정보는 도 14, 도 15, 도 34 및 도 36을 통해 설명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2차원 영역 정보 및 3차원 영역 정보는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3차원 영역 정보는, 구형의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프로젝션된 3차원 이미지의 영역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3차원 영역 정보는 구면의 영역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도 14, 도 15, 도 34 및 도 36). 이러한 실시예에서, 3차원 영역 정보는 수평 시야 범위를 지시하는 수평 시야 정보 및 수직 시야 범위를 지시하는 수직 시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영역 정보는 수평 시야 범위 및 수직 시야 범위의 중심을 지시하기 위한 요(yaw) 축 각도 및 피치(pitch) 축 각도를 각각 지시하는 요 정보 및 피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시야 정보 및 수직 시야 정보는, 도 14 및 도 15의 field_of_view, min_field_of_view, max_field_of_view, horizontal_field_of_view 및/또는 vertical_ field_of_view 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수평 시야 범위 및 수직 시야 범위의 중심을 지시하기 위한 요(yaw) 축 각도 및 피치(pitch) 축 각도를 각각 지시하는 요 정보 및 피치 정보는 도 14 및 도 15의 center_yaw, yaw 및 center_pitch, pitch일 수 있다.
또한,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전방향 비디오 제작자가 의도한 시점에 관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ISOBMFF 파일 포맷, DASH MPD/segment, MPEG-2 TS의 PES 패킷 또는 adaptaion field, 및/또는 VCL의 SEI message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의 어댑테이션 셋(adaptation set)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8 내지 도 25과 해당 도면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MPEG-2 TS의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 또는 TS(Transport Stream)의 어댑테이션 필드(adaptaion field)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6 내지 도 35와 해당 도면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VCL(Video Coding layer)의 SEI message(Supplemental Enhancement Layer)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6 내지 도 37와 해당 도면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파싱하는 단계(SH40200)는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파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ISOBMFF 파일 포맷, DASH MPD/segment, MPEG-2 TS의 PES 패킷 또는 adaptaion field, 및/또는 VCL의 SEI message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므로,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각 레벨에서 파싱될 수 있다.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디코딩하는 단계(SH40300)는 인코딩된 이미지를 부호화한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디코딩하는 단계(SH40300)는 도 1의 프로세싱 과정의 디코딩 과정에 대응될 수 있고, 도 3의 데이터 디코더의 동작에 대응될 수 있으며, 도 4의 비디오 디코딩 또는 이미지 디코딩 과정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전별 패킹이 수행된 경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디코딩하는 단계(SH40300)는 각 리전에 대응하는 패킹된 이미지(packed image) 별로 디코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각 패킹된 이미지에 대한 복호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한편,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VCL의 SEI message를 통해 전송되는 실시예의 경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본 단계(SH40300)에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모델에 리프로젝션하는 단계(SH40400)는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를 3차원 모델에 리프로젝션하는 단계일 수 있다. SH40300을 통해 디코딩된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는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를 의미하므로, 본 단계(SH40400)는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를 3차원 모델에 리프로젝션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모델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에서 말하는 3차원 프로젝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모델에 리프로젝션하는 단계(SH40400)는 도 1의 렌더링 과정(t1030)에 대응될 수 있고, 도 3의 리-프로젝션 처리부의 동작에 대응될 수 있으며, 도 4의 비디오 렌더링 과정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은 피드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 단계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뷰포트 정보 또는 회전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뷰포트 정보 또는 회전 정보를 기초로 시청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뷰포트 정보 또는 회전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는 리프로젝션 단계 또는 렌더링 단계 이전에 제공될 수 있고, 이미지 디코딩 단계 이전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전송 파일 또는 세그먼트를 디캡슐레이션하는 단계 이전에 제공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피드백 정보는 송신측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피드백 단계는, 도 1의 피드백 과정과 대응될 수 있고, 도 3의 피드백 처리부에서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며, 도 4의 VR 어플리케이션의 트래킹 과정과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장치는,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 및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H41100),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파싱하는 메타데이터 파서(H41200),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디코딩하는 디코더(H41300),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모델에 리프로젝션하는 렌더링부(H4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H41100)의 동작은 도 40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의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 및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H40100)에서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해당 단계에 관련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메타데이터 파서(H41200)의 동작은 도 40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의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파싱하는 단계(SH40200)에서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해당 단계에 관련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디코더(H41300)의 동작은 도 40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의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디코딩하는 단계(SH40300)에서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해당 단계에 관련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렌더링부(H41400)의 동작은 도 40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의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모델에 리프로젝션하는 단계(SH40400)에서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해당 단계에 관련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장치는 피드백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 처리부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뷰포트 및/또는 회전을 트래킹하여 뷰포트 정보 및/또는 회전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수신 장치가 전방향 비디오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일체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대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에서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장치의 내부 컴포넌트들은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이거나, 그 외의 하드웨어로 구성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일 수 있다. 이 들은 장치 내/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듈들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되거나, 유사/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다른 모듈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파트, 모듈 또는 유닛은 메모리(또는 저장 유닛)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이거나 하드웨어 파트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술된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 또는 하드웨어 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술된 각 모듈/블락/유닛들은 하드웨어/프로세서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방법들은 코드로서 실행될 수 있다. 이 코드는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쓰여질 수 있고, 따라서 장치(apparatus)가 제공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방법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제공되는 본 발명의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 및 방법 발명이 모두 언급되고, 장치 및 방법 발명 모두의 설명은 서로 보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일련의 방송 신호 제공 분야에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제공되는 본 발명의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5)

  1.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하는 단계;
    상기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를 2차원 프레임에 패킹하는 단계;
    상기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및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방향 비디오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에 대한 3차원 영역 정보 또는 상기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에 대한 2차원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비디오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는, 구(sphere)이고,
    상기 3차원 영역 정보는, 상기 구의 면의 영역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비디오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역 정보는 수평 시야 범위를 지시하는 수평 시야 정보 및 수직 시야 범위를 지시하는 수직 시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비디오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역 정보는, 상기 수평 시야 범위 및 상기 수직 시야 범위의 중심을 지시하기 위한 요(yaw) 축 각도 및 피치(pitch) 축 각도를 각각 지시하는 요 정보 및 피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비디오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 정보, 상기 피치 정보, 상기 수평 시야 범위 및 상기 수직 시야 범위에 의해 3차원 영역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비디오 전송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영역 정보는 상기 3차원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2차원 프레임 내 영역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비디오 전송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전방향 비디오 제작자가 의도한 시점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비디오 전송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의 어댑테이션 셋(adaptation set)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비디오 전송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MPEG-2 TS의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 또는 TS(Transport Stream)의 어댑테이션 필드(adaptaion field)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비디오 전송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VCL(Video Coding layer)의 SEI message(Supplemental Enhancement Layer)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비디오 전송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를 2차원 프레임에 패킹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를 소정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영역별로 구획된 서브-이미지들을 2차원 프레임에 패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비디오 전송 방법.
  13.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하는 프로젝션부;
    상기 3차원 프로젝션 스트럭쳐에 투영된 이미지를 2차원 프레임에 패킹하는 패킹부;
    상기 2차원 프레임에 패킹된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인코더; 및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및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전방향 비디오 전송 장치.
  14.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 및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모델에 리프로젝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방향 비디오 수신 방법.
  15.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 및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전방향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파싱하는 메타데이터 파서;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및
    상기 전방향 비디오를 위한 이미지를 3차원 모델에 리프로젝션하는 렌더링부; 를 포함하는 전방향 비디오 수신 장치.
KR1020197000648A 2016-08-25 2017-08-23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 전송 장치, 전방향 비디오 수신 장치 KR102264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79740P 2016-08-25 2016-08-25
US62/379,740 2016-08-25
PCT/KR2017/009185 WO2018038520A1 (ko) 2016-08-25 2017-08-23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 전송 장치, 전방향 비디오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040A true KR20190075040A (ko) 2019-06-28
KR102264028B1 KR102264028B1 (ko) 2021-06-11

Family

ID=6124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648A KR102264028B1 (ko) 2016-08-25 2017-08-23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 전송 장치, 전방향 비디오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687043B2 (ko)
EP (1) EP3503546A4 (ko)
KR (1) KR102264028B1 (ko)
CN (1) CN109644262A (ko)
WO (1) WO2018038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9003605A2 (pt) * 2016-08-25 2019-05-21 Lg Electronics Inc. método para transmitir vídeo omnidirecional, método para receber vídeo omnidirecional, aparelho para transmitir vídeo omnidirecional, e aparelho para receber vídeo omnidirecional
US10404960B2 (en) * 2016-10-10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to prevent boundary artifacts
US11197040B2 (en) * 2016-10-17 2021-12-07 Mediatek Inc. Deriving and signaling a region or viewport in streaming media
US10999602B2 (en) 2016-12-23 2021-05-04 Apple Inc. Sphere projected motion estimation/compensation and mode decision
WO2018131813A1 (en) * 2017-01-10 2018-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etadata for 3d images
US11259046B2 (en) 2017-02-15 2022-02-22 Apple Inc. Processing of equirectangular object data to compensate for distortion by spherical projections
US10924747B2 (en) 2017-02-27 2021-02-16 Apple Inc. Video coding techniques for multi-view video
CN108537721B (zh) * 2017-03-02 2021-09-07 株式会社理光 全景图像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532128B2 (en) 2017-03-23 2022-12-20 Qualcomm Incorporated Advanced signaling of regions of interest in omnidirectional visual media
US10979663B2 (en) * 2017-03-30 2021-04-13 Yerba Buena Vr,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age processing to optimize image resolution and for optimizing video streaming bandwidth for VR videos
US10506255B2 (en) * 2017-04-01 2019-12-10 Intel Corporation MV/mode prediction, ROI-based transmit, metadata capture, and format detection for 360 video
RU2019137581A (ru) * 2017-05-30 2021-05-24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й,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файлов и программа
US11093752B2 (en) 2017-06-02 2021-08-17 Apple Inc. Object tracking in multi-view video
US20190005709A1 (en) * 2017-06-30 2019-01-03 Apple Inc. Techniques for Correction of Visual Artifacts in Multi-View Images
US10754242B2 (en) 2017-06-30 2020-08-25 Apple Inc. Adaptive resolution and projection format in multi-direction video
US10567734B2 (en) * 2017-08-29 2020-02-18 Qualcomm Incorporated Processing omnidirectional media with dynamic region-wise packing
EP3496388A1 (en) * 2017-12-05 2019-06-12 Thomson Licensing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point cloud representing three-dimensional objects
CN109996069B (zh) * 2018-01-03 2021-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视频图像编解码方法及设备
US10939086B2 (en) 2018-01-17 2021-03-02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virtual reality content
WO2019151798A1 (ko) * 2018-01-31 2019-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미지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181493A1 (ja) * 2018-03-19 2019-09-26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CN111937397B (zh) * 2018-04-03 2024-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媒体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7692661A (zh) 2018-04-03 2024-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子图像码流视角相关视频编码中的误差抑制的文件格式指示
US11343510B2 (en) * 2018-04-03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otation angle for spherical multimedia content
US10944977B2 (en) 2018-04-03 2021-03-09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overlay compositions
CN117499686A (zh) * 2018-04-05 2024-02-02 Vid拓展公司 用于全向视频的视点元数据
US10869016B2 (en) * 2018-04-12 2020-12-15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virtual reality content
WO2019203456A1 (ko) * 2018-04-15 2019-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뷰포인트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29241B1 (ko) * 2018-06-01 2022-08-04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전방향성 콘텐츠에 대한 오버레이에서 사용자 상호작용을 시그널링하고 백그라운드에 오버레이를 그루핑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245303A1 (en) * 2018-06-22 2019-12-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360-degree video, method for receiving 360-degree video, apparatus for transmitting 360-degree video, and apparatus for receiving 360-degree video
KR102491939B1 (ko) * 2018-08-24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방향 이미지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876051B (zh) * 2018-08-29 2023-04-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视频数据的处理,传输方法及装置,视频数据的处理系统
WO2020068935A1 (en) * 2018-09-27 2020-04-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Virtual reality viewpoint viewport center point correspondence signaling
WO2020071632A1 (ko) 2018-10-02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360 비디오 시스템에서 오버레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112148115A (zh) * 2019-06-28 2020-12-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媒体处理方法、装置、系统和可读存储介质
CN112423108B (zh) * 2019-08-20 2023-06-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码流的处理方法、装置、第一终端、第二终端及存储介质
CN111083395A (zh) * 2019-12-27 2020-04-28 卓望数码技术(深圳)有限公司 全景视频处理方法及系统
KR102373833B1 (ko) * 2020-01-09 2022-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송신 장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송신 방법,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수신 장치 및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수신 방법
EP4092625A4 (en) * 2020-04-08 2023-04-19 LG Electronics, Inc. POINT CLOUD DATA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KR102406845B1 (ko) 2020-04-13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송신 장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송신 방법,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수신 장치 및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수신 방법
CN112055263B (zh) * 2020-09-08 2021-08-13 西安交通大学 基于显著性检测的360°视频流传输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32178A (ja) * 2013-06-08 2016-10-13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において、透過モードと非透過モードとの間を移行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7142353A1 (ko) * 2016-02-17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360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360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360 비디오 전송 장치, 360 비디오 수신 장치
WO2017204491A1 (ko) * 2016-05-26 201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360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360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360 비디오 전송 장치, 360 비디오 수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6960B1 (en) * 1999-09-20 2007-02-13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System and methods for generating spherical mosaic images
US8319825B1 (en) * 2008-06-16 2012-11-27 Julian Urbach Re-utilization of render assets for video compression
EP2408196B1 (en) * 2010-07-14 2017-01-11 Alcatel Lucent A method, server and terminal for generating a composite view from multiple content items
US9055277B2 (en) * 2011-03-31 2015-06-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rendering device, image rendering method, and image rendering program for rendering stereoscopic images
CN102971770B (zh) * 2011-03-31 2016-02-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进行全周围立体图像的描绘的图像描绘装置、图像描绘方法
US9043849B2 (en) * 2011-11-25 2015-05-26 Humax Holdings Co., Ltd. Method for linking MMT media and DASH media
US9451162B2 (en) * 2013-08-21 2016-09-20 Jaunt Inc. Camera array including camera modules
US9838697B2 (en) * 2014-06-25 2017-12-05 Qualcomm Incorporated Multi-layer video coding
US10750153B2 (en) * 2014-09-22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Camera system for three-dimensional video
WO2016077057A2 (en) * 2014-10-24 2016-05-19 Bounce Imaging, Inc. Imaging systems and methods
US10104361B2 (en) * 2014-11-14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ding of 360 degree videos using region adaptive smoothing
CN104735464A (zh) * 2015-03-31 2015-06-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全景视频交互传输方法、服务器和客户端
CN105898339A (zh) * 2016-04-12 2016-08-2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全景视频转码的方法及装置
CN105898254B (zh) * 2016-05-17 2018-10-23 北京金字塔虚拟现实科技有限公司 节省带宽的vr全景视频布局方法、装置及展现方法、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32178A (ja) * 2013-06-08 2016-10-13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において、透過モードと非透過モードとの間を移行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7142353A1 (ko) * 2016-02-17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360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360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360 비디오 전송 장치, 360 비디오 수신 장치
WO2017204491A1 (ko) * 2016-05-26 201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360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360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360 비디오 전송 장치, 360 비디오 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4262A (zh) 2019-04-16
EP3503546A4 (en) 2020-01-22
KR102264028B1 (ko) 2021-06-11
US10687043B2 (en) 2020-06-16
US20200280712A1 (en) 2020-09-03
US11115641B2 (en) 2021-09-07
EP3503546A1 (en) 2019-06-26
WO2018038520A1 (ko) 2018-03-01
US20180063505A1 (en)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4028B1 (ko)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 전송 장치, 전방향 비디오 수신 장치
KR102358757B1 (ko) 전방향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전방향 비디오 전송 장치, 전방향 비디오 수신 장치
US10666922B2 (en) Method of transmitting 360-degree video, method of receiving 360-degree video, device for transmitting 360-degree video, and device for receiving 360-degree video
KR102157655B1 (ko) 360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360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360 비디오 전송 장치, 360 비디오 수신 장치
KR102208129B1 (ko) 360 비디오 시스템에서 오버레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157659B1 (ko) 360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360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360 비디오 전송 장치, 360 비디오 수신 장치
US2019014131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360-degree video, method for receiving 360-degree video, apparatus for transmitting 360-degree video, apparatus for receiving 360-degree video
KR102082707B1 (ko) 360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360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360 비디오 전송 장치, 360 비디오 수신 장치
KR20190039669A (ko) 360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360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360 비디오 전송 장치, 360 비디오 수신 장치
US202003896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360-degree video by using metadata related to hotspot and roi
CN110637463B (zh) 360度视频处理方法
KR102243666B1 (ko) 360도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360도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