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000A -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000A
KR20190075000A KR1020180165620A KR20180165620A KR20190075000A KR 20190075000 A KR20190075000 A KR 20190075000A KR 1020180165620 A KR1020180165620 A KR 1020180165620A KR 20180165620 A KR20180165620 A KR 20180165620A KR 20190075000 A KR20190075000 A KR 20190075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tyrene
layer sheet
weight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4032B1 (ko
Inventor
신지희
남승백
손종석
노형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19007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08F297/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Single layer sheet floor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주로 주거용이나 상업용 건물의 바닥을 마감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시멘트 바닥으로부터의 먼지 및 차가움을 차단하여 위생적인 공간을 제공하고, 다양한 색상의 미려한 무늬가 인쇄되어 있어 고객 취향에 따라 실내 분위기를 아늑하게 바꿔주는 등 장식효과도 가진다.
상기 바닥재로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6629호로 공개된 폴리염화비닐 칩 인레이드 바닥재는 종래 기술로 Homogeneous type의 바닥재, 즉, 폴리염화비닐 칩층으로만 구성된 비발포 시트 타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로서, 폴리염화비닐 칩층 및 폴리염화비닐 칩층의 표면에 도포되는 자외선 경화 도료층을 구비한 구조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폴리염화비닐 소재의 바닥재는 소각 폐기 시 발암 물질인 다이옥신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폴리염화비닐은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통상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다량 첨가하여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 분비교란물질, 소위 환경호르몬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바닥재로 사용 시 용출되어 인체의 안전에 크게 악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폴리염화비닐 소재로 구성되는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0-2013-0026629A (2013.03.14.)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폴리염화비닐 소재로 구성되는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되,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Small Chamber법)이 0.08 mg/m2h 이하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이한 색상을 갖는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합판 카렌더로 압연하여 제 1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제 1 시트를 분쇄하여 제 1 칩을 제조하는 단계(S5); 및 상기 제 1 칩을 압연하는 단계(S7);를 포함하여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제조하되,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고,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Small Chamber법)가 0.08 mg/m2h 이하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이한 색상을 갖는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합판 카렌더로 압연하여 제 1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제 1 시트를 분쇄하여 제 1 칩을 제조하는 단계(S5); 상기 제 1 칩을 압연하여 제 2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7'); 상기 제 2 시트를 분쇄하여 제 2 칩을 제조하는 단계(S9); 및 상기 제 2 칩을 압연하는 단계(S11);를 포함하여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제조하되,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고,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Small Chamber법)가 0.08 mg/m2h 이하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비-폴리염화비닐 소재로 구성되어 친환경적이며, 기타 물성도 개선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상면에 UV 도료층을 더 부가한 시트 바닥재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내오염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내오염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첨부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되,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Small Chamber법)이 0.08 mg/m2h 이하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10)에 관한 것이다(도 1 참조).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단일층 시트 바닥재(10)의 내마모성 및 눌림복원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적어도 스티렌계 단량체 및 부타디엔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및 부타디엔계 단량체 외에 다른 공단량체를 더 이용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일례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2-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4-시클로헥실스티렌, 4-도데실스티렌, 2-에틸-4-벤질스티렌 및 4-(페닐부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일 수 있다.
상기 부타디엔계 단량체는 일례로 1,3-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2,3-디메틸-1,3-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부타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공단량체는 일례로 에틸렌, 프로필렌, 비닐클로라이드, 비닐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와 상기 부타디엔계 단량체의 결합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결합 형태는 일례로 직사슬형, 분기형 및 방사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에 있어서 공중합 형태는 일례로 교대(alternating), 랜덤(random) 및 블록(block)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구체적 일례로 캘린더 가공에 적절한 점탄성을 갖는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 일례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 50-90 중량%, 60-80 중량% 또는 65-75중량% 및 부타디엔 10-50 중량%, 20-40 중량% 또는 25-35중량%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가 다른 공단량체를 더 이용하여 중합된 경우 다른 공단량체 함량은 10중량% 이하, 5중량% 이하 또는 1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용융 체적 속도가 5-20cm3/10min, 또는 7-15cm3/10min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체적 속도는 ISO 1133(200℃, 5kg)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용융 체적 속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경도가 40-80 또는 50-70일 수 있다. 상기 경도는 ISO 868로 측정한 쇼어(Shore D) 경도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경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내마모성 및 눌림복원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비캣 연화점이 20-60℃ 또는 30-50℃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비캣 연화점은 ISO 306(50N, 50℃/h)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굴곡강도가 5-30MPa, 또는 10-25MPa일 수 있다. 상기 굴곡강도는 ISO 178(23℃)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굴곡강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치수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눌림복원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250,000g/mol 또는 150,000-20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가공성 및 경량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중량평균분자량은 분자량 분포가 있는 고분자 화합물의 성분 분자종의 분자량을 중량 분율로 평균하여 얻어지는 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 내에 25-40 중량%, 또는 28-3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눌림복원성 및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난연성,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는 단일층 시트 바닥재(10)의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는 스티렌계 단량체의 단일 중합체, 스티렌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스티렌계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반복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일례로 시안화 비닐 단량체,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단량체 및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 단량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등의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단량체 및 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HIP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 고무-스티렌 수지(AES 수지) 및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AAS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티렌계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는 유화중합, 용액중합, 현탁중합 또는 괴상중합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는 스티렌계 단량체의 단일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는 용융 흐름 지수가 3-15g/10min, 또는 5-10g/10min일 수 있다. 상기 용융 흐름 지수는 ISO 1133(200℃, 5kg)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의 용융 흐름 지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카렌더링 작업 시 분산성이 저하되어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카렌더링 가공 시 시트 성형 불량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는 굴곡강도가 90-110MPa, 또는 95-105MPa일 수 있다. 상기 굴곡강도는 ISO 178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의 굴곡강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치수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눌림복원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는 융점이 180-260℃, 또는 190-250℃일 수 있다. 상기 융점은 ISO 294로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는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 내에 15-40 중량%, 또는 15-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난연성,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눌림복원성 및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은 연화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성형성 및 경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은 일례로 파라핀계, 나프텐계, 및 아로마틱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은 구체적 일례로 내후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파라핀계 오일일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은 40℃에서 동점도가 50-150mm2/s, 또는 70-130mm2/s 일 수 있다. 상기 동점도는 ASTM D 445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의 동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흐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은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 내에 1-9 중량% 또는 2-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유연성이 저하됨에 따라 시공성, 난연성 및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난연성, 눌림복원성,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충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일례로 탄석, 탈크,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등방성일 수 있고, 이 경우, 경제적인 효과 및 물성 향상 효과를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의 입자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구체적 일례로, 가격 및 범용성 측면에서 유리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탄석(CaCO3)일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 내에 30-50 중량% 또는 35-4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충전제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치수안정성, 눌림복원성 및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칩 제조 시 분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내마모성 및 경량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선택적으로 난연제, 산화방지제, 활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난연제는 일례로 수산화 알루미늄 및 수산화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금속수산화물, 인계 난연제, 및 암모늄 피로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일례로 페놀계, 유황계 및 인계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일례로 친환경 활제에 해당하는 탄소수 18의 포화 고급지방산인 스테아린산 또는 이상의 고급 지방산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일례로 백색 안료, 검정색 안료 및 다양한 색상의 유색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 외 상기 열거한 첨가제 외에도 물성 등을 조절하기 위해 필요할 경우,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첨가제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두께가 1.0-5.0mm, 또는 1.5-3.0mm일 수 있다.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의 보행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의 두께가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그 상부에 선택적으로 UV 도료층(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UV 도료층(20)은 UV 경화형 도료(조광페인트)를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 상부에 전면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UV 도료층(20)은 오염물이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 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면 오염 발생시 이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UV 도료층(20)은 두께가 0.001-1.0mm 또는 0.005-0.5mm일 수 있다. 상기 UV 도료층(20)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오염방지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이 0.08 mg/m2h 이하, 또는 0.07 mg/m2h 이하일 수 있다. 상기 TVOC는 Small Chamber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TVOC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mg/m2h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상기 범위의 TVOC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친환경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연기밀도가 330 이하 또는 325 이하(불꽃 존재하에 25kW/m2로 열 조사 하였을 때), 280 이하 또는 275 이하(불꽃 존재없이 25kW/m2), 및 420 이하 또는 415 이하(불꽃 존재하에 50kW/m2로 열 조사 하였을 때)일 수 있다. 상기 연기밀도는 IMO FTP CODE PART 2: 2010 Appendix 1 규격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연기밀도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 이상 또는 100 이상(불꽃 존재하에 25kW/m2로 열 조사 하였을 때), 0 이상 또는 100 이상(불꽃 존재없이 25kW/m2), 0 이상 또는 100 이상(불꽃 존재하에 50kW/m2로 열 조사 하였을 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상기 범위의 연기 밀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난연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잔류압입율이 3.8% 이하, 또는 3.7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잔류압입율은 KS M 3802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잔류압입율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 이상 또는 1.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상기 범위의 잔류압입율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눌림복원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치수변화율이 길이 방향으로 1.4% 이하, 또는 1.35% 이하이고, 너비 방향으로 0.2% 이하, 또는 0.17%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치수변화율은 재단된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80℃에서 6시간동안 방치한 후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또는 너비 방향 치수변화율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상기 범위의 치수변화율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비중이 1.2-1.4, 또는 1.25-1.35일 수 있다. 상기 비중은 KS M ISO 2781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비중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1.10 이상 또는 1.15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상기 범위의 비중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경량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내마모성(Fv)이 3.1mm3 이하, 또는 3.0mm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내마모성(Fv)은 EN 660-2 시험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내마모성(Fv)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mm3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상기 범위의 내마모성(Fv)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내마모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표면이 긁혀지는 데 필요한 하중값이 8N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표면이 긁혀지는 데 필요한 하중값은 KS M3332의 3.15항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하중값의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10N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상기 범위의 하중값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요오드 팅크로 표면을 착색하였을 때, 착색감이 거의 없을 수 있다.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의 착색된 정도는 단일층 시트 바닥재 표면에 요오드 팅크를 10초, 1분, 10분, 및 30분 동안 노출시킨 후 육안으로 관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도 3과 같은 착색된 정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내오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이한 색상을 갖는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합판 카렌더로 압연하여 제 1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제 1 시트를 분쇄하여 제 1 칩을 제조하는 단계(S5); 및 상기 제 1 칩을 압연하는 단계(S7);를 포함하여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를 제조하되,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고,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Small Chamber법)가 0.08 mg/m2h 이하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10)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S1)단계는 일례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55-75 중량% 또는 60-70 중량% 및 폴리스티렌 수지 25-45 중량% 또는 30-40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미네랄 오일 5-15 중량부 또는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40-180℃ 또는 150-17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시트 조성물은 충전제 40-120 중량부 또는 60-10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조성물은 일례로, 난연제, 산화방지제, 활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수지, 미네랄 오일, 충전제, 난연제, 산화방지제, 활제 및 안료는 위에서 설명한 바 반복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상기 (S3)단계는 상기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70-110℃ 또는 80-100℃에서 압연하여 0.1-3.0mm 또는 1.0-2.5mm 두께의 시트를 각각 제조한 후, 상기 시트들을 합판 카렌더로 80-120℃ 또는 90-110℃에서 압연하여 0.1-3.0mm 또는 1.0-2.5mm 두께의 제 1 시트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시트는 복수 개의 색상이 완전히 섞이지 않고 서로 경계를 이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S5)단계는 상기 제 1 시트를 1-50mm 또는 5-20mm의 다양한 크기로 분쇄하여 제 1 칩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7)단계는 상기 제 1 칩을 오븐에서 160-200℃ 또는 170-190℃로 가열한 후, 제 1 카렌더 및 제 2 카렌더에서 80-120℃ 또는 90-110℃로 압연하여 0.1-3.0mm 또는 1.0-2.5mm 두께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의 제조방법은 선택적으로 상기 (S7)단계 이후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의 상면에 UV 경화 도료를 코팅한 후 경화시켜 UV 도료층(20)을 형성하는 단계(S8)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이한 색상을 갖는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합판 카렌더로 압연하여 제 1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제 1 시트를 분쇄하여 제 1 칩을 제조하는 단계(S5); 상기 제 1 칩을 압연하여 제 2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7'); 상기 제 2 시트를 분쇄하여 제 2 칩을 제조하는 단계(S9); 및 상기 제 2 칩을 압연하는 단계(S11);를 포함하여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를 제조하되,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고,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Small Chamber법)가 0.08 mg/m2h 이하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10)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S1)단계, (S3)단계 및 (S5)단계는 위에서 설명한 바, 반복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상기 (S7')단계는 상기 제 1 칩을 오븐에서 160-200℃ 또는 170-190℃로 가열한 후, 제 1 카렌더 및 제 2 카렌더에서 80-120℃ 또는 90-110℃로 압연하여 0.1-3.0mm 또는 1.0-2.5mm 두께의 제 2 시트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시트는 복수 개의 색상이 완전히 섞이지 않고 서로 경계를 이룬 형상이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않다. 따라서,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갖는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S9)단계 및 상기 (S11)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9)단계는 상기 제 2 시트를 1-50mm 또는 5-20mm의 다양한 크기의 제 2 칩으로 분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11)단계는 상기 제 2 칩을 캐리어 벨트에 스캐터링한 후, 150-200℃ 또는 160-190℃에서 압연하여 1.0-5.0mm 또는 1.5-3.0mm 두께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9)단계 및 상기 (S11)단계를 통해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는 복수 개의 색상이 완전히 섞이되, 흐름성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의 제조방법은 선택적으로 상기 (S11)단계 이후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10)의 상면에 UV 경화 도료를 코팅한 후 경화시켜 UV 도료층(20)을 형성하는 단계(S12)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상이한 색상을 갖는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이네오스 스티롤루션, 스티롤루션 SBC KR-40) 60 중량%, 폴리스티렌 수지(이네오스 스티롤루션, 스티롤루션 GPPS 147F) 40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미네랄 오일(현대오일뱅크, LTP 500) 10 중량부, 충전제(렉셈, S1000) 80 중량부,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76) 3 중량부, 활제(LG생활건강, TH100) 2 중량부, 파란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Blu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 1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이한 색상의 흰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Whit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면 상기 시트 조성물 1과 동일한 조성의 시트 조성물 2를 제조하였다.
상기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합판 카렌더로 압연하여 제 1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시트 조성물 1 및 시트 조성물 2를 각각 90℃에서 압연하여 2.0mm 두께 시트를 각각 제조한 후, 상기 두 시트들을 합판 카렌더로 100℃에서 압연하여 1.2 mm 두께의 제 1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 1 시트를 분쇄하여 제 1 칩을 제조하는 단계(S5)
상기 제 1 시트를 5-20mm의 다양한 크기로 분쇄하여 제 1 칩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 칩을 압연하여 제 2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7')
상기 제 1 칩을 오븐에서 180℃로 가열한 후, 제 1 카렌더 및 제 2 카렌더에서 100℃로 압연하여 1.2mm 두께의 제 2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 2 시트를 분쇄하여 제 2 칩을 제조하는 단계(S9)
상기 제 2 시트를 5-20mm의 다양한 크기로 분쇄하여 제 2 칩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2 칩을 압연하는 단계(S11)
상기 제 2 칩을 캐리어 벨트에 스캐터링한 후, 180℃에서 압연하여 2.0mm 두께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S1) 단계에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이네오스 스티롤루션, 스티롤루션 SBC KR-40) 70 중량%, 폴리스티렌 수지(이네오스 스티롤루션, 스티롤루션 GPPS 147F) 30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미네랄 오일(현대오일뱅크, LTP 500) 10 중량부, 충전제(렉셈, S1000) 80 중량부,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76) 3 중량부, 활제(LG생활건강, TH100) 2중량부, 파란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Blu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 3을 제조하고, 상이한 색상의 흰색 안료 (대원색소, DVM NP Whit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면 상기 시트 조성물 3과 동일한 조성의 시트 조성물 4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S1) 단계에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이네오스 스티롤루션, 스티롤루션 SBC KR-40) 60 중량%, 폴리스티렌 수지(이네오스 스티롤루션, 스티롤루션 GPPS 147F) 40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미네랄 오일(현대오일뱅크, LTP 500) 5 중량부, 충전제(렉셈, S1000) 80 중량부,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76) 3 중량부, 활제(LG생활건강, TH100) 2중량부, 파란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Blu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 5를 제조하고, 상이한 색상의 흰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Whit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면 상기 시트 조성물 5와 동일한 조성의 시트 조성물 6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상기 (S1) 단계에서 PVC(LG화학, LS 080) 100중량부, 가소제(LG화학, GL300) 40 중량부, 충전제(렉셈, S1000) 80 중량부, 활제(LG생활건강, TH100) 2 중량부, 열안정제(CNA, BZ-011) 2 중량부, 가공조제(LG화학, PA828) 2 중량부 및 검정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Black)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 7을 제조하고, 상이한 색상의 흰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Whit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면 상기 시트 조성물 7과 동일한 조성의 시트 조성물 8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참조예 1>
상기 (S1) 단계에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네오스 스티롤루션, 스티롤루션 SBC KR-40) 40 중량%, 폴리스티렌 수지(이네오스 스티롤루션, 스티롤루션 GPPS 147F) 60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미네랄 오일(현대오일뱅크, LTP 500) 10 중량부, 충전제(렉셈, S1000) 80 중량부,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76) 3 중량부, 활제(LG생활건강, TH100) 2중량부, 파란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Blu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 9를 제조하고, 상이한 색상의 흰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Whit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면 상기 시트 조성물 9와 동일한 조성의 시트 조성물 10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2>
상기 (S1) 단계에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이네오스 스티롤루션, SBC KR-40) 20 중량%, 폴리스티렌 수지(이네오스 스티롤루션, GPPS 147F) 80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미네랄 오일(현대오일뱅크, LTP 500) 10 중량부, 충전제(렉셈, S1000)80 중량부,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76) 3 중량부, 활제(LG생활건강, TH100) 2중량부, 파란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Blu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 11을 제조하고, 상이한 색상의 흰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Whit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면 상기 시트 조성물 11과 동일한 조성의 시트 조성물 12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3>
상기 (S1) 단계에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이네오스 스티롤루션, SBC KR-40) 80 중량%, 폴리스티렌 수지(이네오스 스티롤루션, GPPS 147F) 20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미네랄 오일(현대오일뱅크, LTP 500) 10 중량부, 충전제(렉셈, S1000) 80 중량부,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76) 3 중량부, 활제(LG생활건강, TH100) 2중량부, 파란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Blu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 13을 제조하고, 상이한 색상의 흰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Whit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면 상기 시트 조성물 13과 동일한 조성의 시트 조성물 14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4>
상기 (S1) 단계에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이네오스 스티롤루션, 스티롤루션 SBC KR-40) 60 중량%, 폴리스티렌 수지(이네오스 스티롤루션, 스티롤루션 GPPS 147F) 40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충전제(렉셈, S1000) 80 중량부,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76) 3 중량부, 활제(LG생활건강, TH100) 2중량부, 파란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Blu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 15를 제조하고, 상이한 색상의 흰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Whit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면 상기 시트 조성물 15와 동일한 조성의 시트 조성물 16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5>
상기 (S1) 단계에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이네오스 스티롤루션, SBC KR-40) 60 중량%, 폴리스티렌 수지(이네오스 스티롤루션, GPPS 147F) 40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미네랄 오일(현대오일뱅크, LTP 500) 20 중량부, 충전제(렉셈, S1000) 80 중량부,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76) 3 중량부, 활제(LG생활건강, TH100) 2중량부, 파란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Blu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 17을 제조하고, 상이한 색상의 흰색 안료(대원색소, DVM NP White)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면 상기 시트 조성물 17과 동일한 조성의 시트 조성물 18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3, 비교예 1 및 참조예 1-5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조성을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참조예 1 참조예 2 참조예 3 참조예 4 참조예 5
SBC 30.48 35.53 31.25 - 20.30 10.15 40.61 32.09 28.99
PS 20.30 15.23 20.83 - 30.46 40.61 10.15 21.39 19.32
PVC - - - 43.86 - - - - -
미네랄 오일 5.08 5.08 2.6 - 5.08 5.08 5.08 0 9.66
가소제 - - - 17.54 - - - - -
충전제 40.61 40.61 41.67 35.09 40.61 40.61 40.61 42.78 38.65
산화방지제 1.52 1.52 1.56 - 1.53 1.53 1.53 1.60 1.45
활제 1.02 1.02 1.04 0.88 1.01 1.01 1.01 1.07 0.97
열안정제 - - - 0.88 - - - - -
가공조제 - - - 0.88 - - - - -
안료 1.02 1.02 1.04 0.88 1.01 1.01 1.01 1.07 0.97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C)(이네오스 스티롤루션, SBC KR-40): 스티렌 및 1,3-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 용융 체적 속도 (ISO 1133(200℃, 5kg)) 9cm3/10min, 경도(Shore D(ISO 868)) 55, 비캣 연화점(ISO 306(50N, 50℃/h)) 40℃, 굴곡강도(ISO 178(23℃)) 17MPa, 중량평균분자량 180,000g/mol
-폴리스티렌 수지(PS)(이네오스 스티롤루션, GPPS 147F): 스티렌계 단량체의 단일 중합체, 용융 흐름 지수(ISO 1133, 200℃, 5kg) 6.5g/10min, 굴곡강도(ISO 178) 98.0MPa, 융점(ISO 294) 180-260℃
-미네랄 오일(현대오일뱅크, LTP 500): 동점도(ASTM D445) 95mm2/s
-충전제(렉셈, S1000): 탄석
-산화방지제(송원산업, songnox 1076): 옥타데실-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활제(LG생활건강, TH100): 스테아린산
-안료(대원색소, DVM NP Blue 또는 DVM NP White 또는 DVM NP Black): 파란색 안료 또는 흰색 안료 또는 검정색 안료
-가소제(LG화학, GL300): Non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열안정제(CNA, BZ-0110): 바륨-아연계 열안정제
-가공조제(LG화학, PA828): 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 스티렌(MBS)
[ 시험예 ]
<친환경성>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165mmⅹ165mmⅹ2mm(가로ⅹ세로ⅹ두께)의 크기로 재단한 후, TVOC 측정기를 사용하여 Small Chamber법에 의해 TVOC를 측정하였다.
상기 TVOC 값이 작을수록 친환경성은 증가한다.
<난연성>
IMO FTP CODE PART2: 2010 Appendix 1 규격에 따라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밀폐된 캐비닛에서 열 조사하여 그 연기밀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열 조사는 불꽃 존재 하에 25kW/m2, 불꽃 존재없이 25kW/m2, 및 불꽃 존재 하에 50kW/m2의 조사 강도로 진행하였다.
상기 연기밀도가 작을수록 난연성이 우수하다.
<눌림복원성>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KS M 3802에 명기된 바와 같이 지름 19mm의 반구형 강봉으로 222N의 하중을 가하고 5분 경과후 해제한 다음, 6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시편의 두께 변화를 통해 아래와 같이 잔류압입율을 구하였다.
잔류압입율 = (T0 - T1)/T0 X 100%
T0: 가압 전 두께, T1: 가압 후 두께
상기 잔류압입율 값이 작을수록 눌림복원력이 우수하다.
<치수안정성>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225mmⅹ50mmⅹ2mm(가로ⅹ세로ⅹ두께)의 크기로 재단한 후, 약 25℃의 상온에서 상기 재단된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길이 및 너비의 초기 치수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재단된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80℃에서 6시간동안 방치한 후, 상기 재단된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길이 및 너비의 치수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하기 <식 1>에 의하여 치수 변화율(%)을 도출하였다.
상기 치수 변화율(%) 값이 작을수록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다.
<식 1>
치수 변화율(%) = (후기 치수-초기 치수)/초기 치수ⅹ100
<경량성>
KS M ISO 2781에 따른 시험방법으로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비중을 측정하였다.
상기 비중이 작을수록 경량성이 증가한다.
<내마모성>
100초 당 35g의 알루미늄 옥사이드를 단일층 시트 바닥재에 뿌려주면서 가죽휠(S-39 leather wheel)로 EN 660-2의 시험방법에 따라 5000회 마모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Fv =
Figure pat00001
(Fv: 100회 마모 테스트 후 마모된 부피(mm3), Fm: 100회 마모 테스트 후 마모된 질량의 평균(mg), ρ: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밀도(g/cm3)
상기 Fv 값이 작을수록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내스크래치성>
에릭슨 볼펜팁 스크래치 시험법을 이용하여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표면을 긁은 후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표면이 긁혀지는 데 필요한 하중값(N)을 KS M3332의 3.15항 방법에 의해 측정한 후, 그 하중값(N)을 기재하였다.
상기 하중값(N)이 높을수록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다.
<내오염성>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 표면에 요오드 팅크를 10초, 1분, 10분, 및 30분 동안 노출시킨 후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 표면의 착색된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 표면의 착색 정도가 진할수록 내오염성이 작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친환경성(TVOC,mg/m2h) 난연성(연기밀도) 눌림복원성(잔류압입율, %) 치수안정성(치수변화율, %) 경량성(비중) 내마모성(Fv, mm3) 내스크래치성(하중값, N) 내오염성
25(kW/m2)
불꽃 有
25(kW/m2)
불꽃 蕪
50(kW/m2)
불꽃 有
길이 너비
실시예 1 0.056 315 265 402 3.71 1.23 0.17 1.28 3.0 8 우수
실시예 2 0.058 322 258 414 3.75 1.35 0.15 1.28 2.7 8 우수
실시예 3 0.061 311 274 413 3.52 1.10 0.14 1.34 2.8 8 우수
비교예 1 0.1-0.2 782 385 924 4.57 1.42 0.14 1.46 3.0 8 미흡
참조예 1 0.052 328 271 400 3.85 1.08 0.15 1.28 3.2 8 우수
참조예 2 0.055 310 279 415 3.98 0.86 0.09 1.28 3.7 9 우수
참조예 3 0.049 328 266 423 3.71 1.56 0.19 1.28 2.4 7 우수
참조예 4 0.052 341 284 411 3.74 0.63 0.16 1.38 3.9 9 우수
참조예 5 0.058 325 291 425 3.96 1.64 0.14 1.23 2.0 5 우수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친환경성, 난연성, 눌림복원성, 치수안정성, 경량성,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실시예 1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도 3을 통해 내오염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PVC와 가소제 등을 포함하여 친환경성, 난연성, 눌림복원성, 치수안정성, 경량성 및 내오염성이 실시예에 비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비교예 1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도 4를 통해 내오염성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참조예 1 및 참조예 2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가 함량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어 눌림복원성 및 내마모성이 실시예에 비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참조예 3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가 함량 범위 초과로 포함되어 난연성,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실시예에 비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참조예 4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지 않아 난연성 및 내마모성이 실시예에 비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참조예 5의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미네랄 오일이 함량 범위 초과로 포함되어 난연성, 눌림복원성,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실시예에 비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단일층 시트 바닥재 20: UV 도료층

Claims (15)

  1.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되,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Small Chamber법)이 0.08 mg/m2h 이하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불꽃 존재하에 25kW/m2로 열 조사 하였을 때의 연기밀도가 330 이하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불꽃 존재없이 25kW/m2로 열 조사 하였을 때의 연기밀도가 280 이하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불꽃 존재하에 50kW/m2로 열 조사 하였을 때의 연기밀도가 420 이하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잔류압입율(KS M 3802)이 3.8% 이하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치수변화율이 길이 방향으로 1.4% 이하, 너비 방향으로 0.2% 이하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 및 1,3-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는 스티렌계 단량체의 단일 중합체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미네랄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오일은 파라핀계 오일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25-40 중량%, 폴리스티렌 수지 15-40 중량% 및 미네랄 오일 1-9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
  12. 상이한 색상을 갖는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합판 카렌더로 압연하여 제 1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제 1 시트를 분쇄하여 제 1 칩을 제조하는 단계(S5); 및
    상기 제 1 칩을 압연하는 단계(S7);를 포함하여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제조하되,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고,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Small Chamber법)가 0.08 mg/m2h 이하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제조방법.
  13. 상이한 색상을 갖는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합판 카렌더로 압연하여 제 1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제 1 시트를 분쇄하여 제 1 칩을 제조하는 단계(S5);
    상기 제 1 칩을 압연하여 제 2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7');
    상기 제 2 시트를 분쇄하여 제 2 칩을 제조하는 단계(S9); 및
    상기 제 2 칩을 압연하는 단계(S11);를 포함하여 단일층 시트 바닥재를 제조하되, 상기 단일층 시트 바닥재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고,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Small Chamber법)가 0.08 mg/m2h 이하인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제조방법.
  14. 제 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55-75 중량% 및 폴리스티렌 수지 25-45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미네랄 오일 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40-18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제조방법.
  15. 제 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S3)단계는 상기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70-110℃에서 압연하여 0.1-3.0mm 두께의 시트를 각각 제조한 후, 상기 시트들을 합판 카렌더로 80-120℃에서 압연하여 0.1-3.0mm 두께의 제 1 시트를 제조하는 것인 단일층 시트 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20180165620A 2017-12-20 2018-12-19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4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76569 2017-12-20
KR1020170176569 2017-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000A true KR20190075000A (ko) 2019-06-28
KR102244032B1 KR102244032B1 (ko) 2021-04-26

Family

ID=6706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620A KR102244032B1 (ko) 2017-12-20 2018-12-19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0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202A (ko) * 2019-07-16 2021-01-26 (주)엘지하우시스 타일 바닥재
KR20210054260A (ko) 2019-11-05 2021-05-13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용 칩과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4622A (ko) * 2019-11-05 2021-05-14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바닥재
DE112022000117T5 (de) 2022-02-10 2023-09-28 Daesung Hi-Tech Co., Ltd. Mehrachsiges bearbeitungszentrum für die unabhängige bearbeitung mehrerer te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232A (ko)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및 이의 연속공법에 의한 제조방법
KR100645184B1 (ko) * 2004-11-18 2006-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탄성체를 이용한 탈pvc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125025A (ko) * 2009-10-26 2009-12-03 마명열 천연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탄성 칩 제조
KR20130026629A (ko) 2011-09-06 2013-03-14 (주)엘지하우시스 폴리염화비닐 칩 인레이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184B1 (ko) * 2004-11-18 2006-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탄성체를 이용한 탈pvc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070232A (ko)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및 이의 연속공법에 의한 제조방법
KR20090125025A (ko) * 2009-10-26 2009-12-03 마명열 천연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탄성 칩 제조
KR20130026629A (ko) 2011-09-06 2013-03-14 (주)엘지하우시스 폴리염화비닐 칩 인레이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202A (ko) * 2019-07-16 2021-01-26 (주)엘지하우시스 타일 바닥재
KR20210054260A (ko) 2019-11-05 2021-05-13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용 칩과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4622A (ko) * 2019-11-05 2021-05-14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바닥재
DE112022000117T5 (de) 2022-02-10 2023-09-28 Daesung Hi-Tech Co., Ltd. Mehrachsiges bearbeitungszentrum für die unabhängige bearbeitung mehrerer te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032B1 (ko)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5000A (ko)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10737473B2 (en) Transparent film for flooring and flooring comprising same
EP3092125B1 (en) Surface covering with a bio-based plasticizer
JP4770771B2 (ja) 化粧シート
CN101668808B (zh) 烯烃基组合物和包含其地面覆盖物
KR101790382B1 (ko)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및 수지 개질제 그리고 성형체
KR101444054B1 (ko) 무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6005760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15104972A1 (ja) 床材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
KR102365690B1 (ko) 합성목재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되는 합성목재
KR20160093192A (ko) 바닥재용 투명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KR102443375B1 (ko)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605850A (zh) 低表面光泽度的苯乙烯树脂组合物及用其制备的低表面光泽度的板材和复合制品
KR102624900B1 (ko)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7220B1 (ko) 타일 바닥재
KR102536836B1 (ko)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60208086A1 (en) Recyclable synthetic flooring
JP5347883B2 (ja) 化粧シート
KR102017912B1 (ko) 표면층으로 탄성층을 구비한 쿠션바닥재
KR101104149B1 (ko)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하이드록시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바닥재
KR101931756B1 (ko) 친환경 데코시트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데코시트
KR101931839B1 (ko) Uv 개시제를 이용한 폴리아크릴레이트 시트의 제조방법
KR102443379B1 (ko)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
EP3056543B1 (en)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polycarbonate resin for window frames
KR101241102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수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