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830A -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830A
KR20190074830A KR1020170176484A KR20170176484A KR20190074830A KR 20190074830 A KR20190074830 A KR 20190074830A KR 1020170176484 A KR1020170176484 A KR 1020170176484A KR 20170176484 A KR20170176484 A KR 20170176484A KR 20190074830 A KR20190074830 A KR 20190074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landing page
page
search result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319B1 (ko
Inventor
최진영
윌버 라이언
나라얀 칼틱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31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은, 복수의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 키워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의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여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의 종류 및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의 랜딩 페이지를 변경하거나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를 유지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부 및 상기 키워드 및 상기 랜딩 페이지의 주소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ANDING P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키워드의 특성, 상품 및 웹 페이지의 유효성을 고려하여 키워드에 적합한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키워드 광고란 광고주(또는, 광고대행자)가 자신의 웹 사이트 혹은 회사, 상품을 광고할 수 있는 키워드 검색 엔진 사이트에 등록하고, 검색을 원하는 일반 사용자가 검색어 입력창에 검색어를 입력한 수 검색을 수행하면 상기 검색에어 해당하는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의 광고를 검색 결과로 노출하는 형태의 광고 영역이다.
키워드 광고에 있어서 검색어의 입력 후 검색 수행 결과에 의한 검색 결과를 노출함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에는 검색어에 포함된 광고 키워드와 관련하여, 노출용 광고 정보 및 광고주가 구매한 키워드에 매칭되는 랜딩 페이지 주소 정보가 함께 링크되어 노출된다.
본 발명은 키워드에 따라 최적의 랜딩 페이지를 설정하거나 제공할 수 있는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은, 복수의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 키워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의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여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의 종류 및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의 랜딩 페이지를 변경하거나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를 유지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부 및 상기 키워드 및 상기 랜딩 페이지의 주소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경우, 상기 랜딩 페이지 결정부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개수가 1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상세 페이지를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랜딩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랜딩 페이지 결정부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 중 소정 비율 이상의 상품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조건이 적용된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모바일 기기에 제공되는 랜딩 페이지를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 중 대표 상품의 상세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이고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가 상품의 상세 페이지인 경우, 상기 랜딩 페이지 결정부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재고 상태 및 상기 상세 페이지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상세 페이지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딩 페이지 결정부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1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상세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를 턴-오프(turn-off)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딩 페이지 결정부는,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이고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가 검색 결과 페이지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가 널(NULL)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 ID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의 상세 페이지의 유효 여부를 더 판단하고, 유효한 경우에는 상기 상세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를 턴-오프(turn-off)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딩 페이지 결정부는, 상기 검색 결과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 중 품절로 표시된 상품을 제외한 상품의 개수를 기준으로 널 값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키워드의 개수에 대한 턴-오프된 키워드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작동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은, 랜딩 페이지 결정 장치가 키워드 광고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 키워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의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여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의 종류 및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의 개수를 고려하여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를 유지하거나, 상기 키워드의 랜딩 페이지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키워드 및 상기 랜딩 페이지의 주소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경우, 상기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개수가 1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상세 페이지를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랜딩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 중 소정 비율 이상의 상품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조건이 적용된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모바일 기기에 제공되는 랜딩 페이지를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 중 대표 상품의 상세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이고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가 상품의 상세 페이지인 경우, 상기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재고 상태 및 상기 상세 페이지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상세 페이지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1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상세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를 턴-오프(turn-off)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이고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가 검색 결과 페이지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가 널(NULL)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 ID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의 상세 페이지의 유효 여부를 더 판단하고, 유효한 경우에는 상기 상세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를 턴-오프(turn-off)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검색 결과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 중 품절로 표시된 상품을 제외한 상품의 개수를 기준으로 널 값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이 되는 전체 키워드의 개수에 대한 턴-오프된 키워드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작동 경고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키워드에 따라 최적의 랜딩 페이지를 설정하거나 제공할 수 있는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및 방법은 키워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및 방법은 특정 키워드에 대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랜딩 페이지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키워드는 광고주가 미리 구매한 키워드가 일치하는 키워드일 수 있고, 상기 키워드에 매칭되는 랜딩 페이지의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딩 페이지는 광고주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고,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검색 결과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300)는 키워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광고를 검색 결과에 포함시켜서 제공할 수 있다.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300)는 키워드 및 이에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이에 대응되는 랜딩 페이지 정보를 검색 결과에 포함시켜서 제공할 수 있다.
상품 판매 서버(200)는 광고주가 운영하는 서버이다. 상품 판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전자상거래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전자상거래 웹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 서버(200)는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검색 서비스, 구매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상품 판매 서버(200)는 복수의 상품의 정보를 나열한 페이지를 제공하기도 하고,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상세 페이지를 제공하기도 한다.
광고주는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300)에서 운영되는 키워드 광고 서비스에 요금을 지불하고, 키워드 및 랜딩 페이지 정보를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는 제1 키워드 및 제1 랜딩 페이지를 서로 대응시켜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킬 수 있다.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30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검색 결과에 제1 랜딩 페이지가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1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1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102)이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입력 장치를 구비한다.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버튼,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네트워크(400)는 사용자 단말(100), 상품 판매 서버(200), 및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400)는 사용자 단말(100), 상품 판매 서버(200), 및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300)가 서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10)은 데이터베이스(11), 판단부(12), 랜딩 페이지 결정부(13) 및 키워드 정보 제공부(14)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1)는 복수의 키워드를 저장하고, 판단부(12)는 데이터베이스(11)로부터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 키워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베이스(11)는 복수 개의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 키워드를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1)로부터 순차적으로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 키워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키워드에 대해 랜딩 페이지 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및 방법은, 신규 키워드와 기 등록된 키워드에 대해 서로 다른 방식을 적용하여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며, 따라서 판단부(12)를 통해 상기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특정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지 여부는 해당 키워드에 대하여 기존에 결정된 랜딩 페이지가 존재하는지, 해당 키워드에 대하여 결정된 매칭 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경우에는 새로운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인 경우에는 랜딩 페이지를 유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키워드 정보 제공부(14)는 상기 키워드 및 상기 랜딩 페이지의 주소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를 결정한다.
상기 검색 결과의 개수는, 검색 엔진에 상기 키워드를 입력하였을 때 획득되는 결과의 수를 의미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 정보의 개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개수가 1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상세 페이지를 랜딩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상품의 상세 페이지는 Single Detail Page(SDP)로도 표현될 수 있는데, 해당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가 단 1개인 경우에는 검색 결과를 목록으로 제공하기 보다는 검색된 상품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직접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랜딩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페이지는 Search Result Page(SRP)로도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이 복수 개이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 중 소정 비율 이상의 상품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조건이 적용된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조건은 상품의 특성을 분류하는 필터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특정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상품의 개수가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 해당 상품들로 구성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해당 랜딩 페이지가 모바일 기기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여러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보다는 특정 상품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상세 페이지(SDP)로 랜딩 페이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인 경우에,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가 SDP 또는 SRP 인 경우로 분리하여 새로운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거나 기존의 랜딩 페이지를 유지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이고,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가 SDP(상세 페이지)인 경우,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재고 및 상기 상세 페이지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상세 페이지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상세 페이지에 대한 유효성은 사용자가 상기 페이지를 통해 정상적으로 상품을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세 페이지가 유효함에도 상품의 재고가 `재고 없음`으로 판단되면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해당 키워드를 턴-오프(turn-off) 시킬 수 있다. 키워드를 턴-오프함은 광고주가 해당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턴-오프된 키워드를 검색 엔진에 입력하더라도 상기 광고주가 판매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상기 키워드에 대해 성인상품 등의 결과가 검색되는 경우에도 상기 키워드를 턴-오프 시킬 수 있다.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키워드 턴-오프 기준이 되는 조건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어서 상품의 속성이 성인(adult)이거나, 해당 상품에 해당하는 ID(identification)가 상품 블랙리스트(blacklist)에 포함되거나, 해당 상품이 카테고리 블랙리스트에 속하는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키워드를 턴-오프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키워드 턴-오프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고려될 수 있는데, 상기 상품의 개수가 1개이면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상세 페이지(SDP)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SRP)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를 턴-오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는 `품절`로 표시된 상품은 상품 개수 카운트에서 제외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턴-오프 된 키워드에 대해서 해당 키워드가 턴-오프 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키워드의 유효성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는데, 재차 판단한 결과 상기 키워드가 턴-온(turn-on)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키워드와 중복된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키워드를 턴-온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이고,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가 검색 결과 페이지(SRP)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가 널(NULL)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 ID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의 상세 페이지의 유효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검색 결과 페이지(SRP)는 기본적으로 복수 개의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데, 랜딩 페이지가 SRP로 결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가 널 값으로 판단되면 해당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결정되어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
이때,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해당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 ID를 이용하여 상기 키워드와 매칭될 수 있는 유효한 상세 페이지(SDP)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유효한 상세 페이지가 존재한다면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상기 상세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새롭게 결정할 수 있고, 유효한 상세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키워드를 턴-오프 할 수 있다.
상세 페이지의 유효 여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상품이 품절이거나 성인 상품에 해당하거나, 상품 또는 카테고리 블랙리스트에 포함된다면 상기 상세 페이지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세 페이지에 할당된 URL 주소가 유효하지 않아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정상적으로 확인하거나 정상적으로 구매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상세 페이지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이때에도 랜딩 페이지 결정부(13)는 상기 검색 결과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 중 품절로 표시된 상품을 제외한 상품의 개수를 기준으로 널 값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20)은 데이터베이스(21), 판단부(22), 랜딩 페이지 결정부(23), 키워드 정보 제공부(24) 및 작동 경고부(25)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1), 판단부(22), 랜딩 페이지 결정부(23), 및 키워드 정보 제공부(24)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데이터베이스(11), 판단부(12), 랜딩 페이지 결정부(13), 및 키워드 정보 제공부(14)와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작동 경고부(25)는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된 키워드의 개수에 대한 턴-오프된 키워드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알람을 출력한다. 작동 경고부(25)는 키워드가 대량으로 턴-오프 되는 상황을 대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키워드의 랜딩 페이지 결정이 끝난 뒤, 결정된 결과를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에 반영하기 전에 전체 키워드 대비 턴-오프 되어야 하는 키워드의 비율을 확인하여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 그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멈출 수 있도록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작동 경고부(25)에서 알람이 출력되면 관리자는 상기 알람을 확인하고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2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이후의 작업을 진행할지 결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페이지가 표시된 화면(60)이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되는 화면(60)은 광고주가 자전거라는 키워드를 미리 구매하였고, 사용자가 자전거라는 키워드를 검색 엔진에서 입력한 경우, 자전거에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의 정보가 검색 결과에 제공되고, 검색 결과에 제공된 랜딩 페이지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랜딩 페이지에 접속하였을 때 제공되는 화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랜딩 페이지는 상품 판매 서버(200)에서 자전거라는 키워드를 검색창(61)에 입력하여 상품 검색을 수행하였을 때 제공되는 검색 결과 페이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검색 결과는 자전거라는 키워드와 관련된 제1 상품(621), 제2 상품(622), 제3 상품(623)의 정보를 나열하고 있다.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여, 선택된 상품의 상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색 결과가 복수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품 판매 서버(200)에서 자전거라는 키워드로 상품 검색을 수행하였을 때 제공되는 검색 결과 페이지가 자전거라는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딩 페이지가 표시된 화면(70)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화면(70)은 광고주가 자전거라는 키워드를 미리 구매하였고, 사용자가 자전거라는 키워드를 검색 엔진에서 입력한 경우, 자전거에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의 정보가 검색 결과에 제공되고, 검색 결과에 제공된 랜딩 페이지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랜딩 페이지에 접속하였을 때 제공되는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랜딩 페이지는 상품 판매 서버(200)에서 판매되는 특정 상품의 상세 페이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판매 서버(200)에서 자전거라는 키워드로 상품 검색을 수행하였을 때 제공되는 검색 결과가 하나의 상품만을 포함하는 경우, 검색 결과에 포함된 하나의 상품의 상세 페이지가 자전거라는 키워드의 랜딘 페이지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300)는 `자전거`라는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검색 결과는, 키워드 광고(81)와 일반 검색 결과(82)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자전거`라는 키워드가 광고주가 구매한 키워드에 해당하여 이에 대응하는 키워드 광고(81)가 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키워드 광고(81)에는 `쿠X` 광고주가 구매한 키워드 광고(811)가 포함되어 있으며, 키워드 광고(811)는 자전거라는 키워드에 매칭되는 랜딩 페이지의 주소와, 랜딩 페이지의 주소로 이동 가능한 링크와, 랜딩 페이지에 대한 설명이 텍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쿠X 자전거`라고 표시된 링크를 클릭하여 랜딩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은, 키워드 광고 랜딩 페이지 설정 장치가 키워드 광고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신규 키워드 여부 판단 단계(S10), 랜딩 페이지 결정/변경 단계(S20) 및 광고 정보 전송 단계(S30)를 포함한다.
신규 키워드 여부 판단 단계(S10)에서는,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 키워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키워드는 도 2,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데이터베이스(11, 21)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순차적으로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 키워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키워드에 대해 랜딩 페이지 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은, 신규 키워드와 기 등록된 키워드에 대해 서로 다른 방식을 적용하여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며, 따라서 상기 단계(S10)를 통해 상기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특정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지 여부는 해당 키워드에 대하여 기존에 결정된 랜딩 페이지가 존재하는지, 해당 키워드에 대하여 결정된 매칭 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랜딩 페이지 결정/변경 단계(S20)에서는,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경우에는 새로운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인 경우에는 랜딩 페이지를 유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광고 정보 전송 단계(S30)에서는, 상기 키워드 및 상기 랜딩 페이지의 주소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20)에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인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여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의 종류 및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개수를 고려하여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를 유지하거나, 상기 키워드의 랜딩 페이지를 변경한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S2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단계(S10)에서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1a)에서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단계(S22a)에서 검색 결과 페이지(SRP)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된다.
한편, 단계(S21b)에서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1개의 상품만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만족하면 단계(S22b)에서 상품 상세 페이지(SDP)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S21a)에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2개 이상의 상품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3)에서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 중 소정 비율 이상의 상품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4)에서 상기 조건이 적용된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된다.
상기 특정 조건은 상품의 특성을 분류하는 필터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특정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상품의 개수가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 해당 상품들로 구성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해당 랜딩 페이지가 모바일 기기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여러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보다는 특정 상품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상세 페이지(SDP)로 랜딩 페이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인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S2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S10)에서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로 판단되면, 단계(S21c)에서는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존에 결정된 랜딩 페이지가 상세 페이지(SDP)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키워드에 대해서 상세 페이지가 랜딩 페이지로 결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2c)에서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재고 상태 및 상기 상세 페이지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재공 상태 및 상세 페이지가 유효하지 않으면, 단계(S23b)에서는 상기 검색 결과의 상품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를 새롭게 결정한다.
상기 상세 페이지에 대한 유효성은 사용자가 상기 페이지를 통해 정상적으로 상품을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세 페이지가 유효함에도 상품의 재고가 `재고 없음`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계(S23b)에서는 해당 키워드를 턴-오프(turn-off) 시킬 수 있다. 키워드를 턴-오프함은 광고주가 해당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턴-오프된 키워드를 검색 엔진에 입력하더라도 상기 광고주가 판매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계(S23b)에서는 상기 키워드에 대해 성인상품 등의 결과가 검색되는 경우에도 상기 키워드를 턴-오프 시킬 수 있다. 이때, 키워드 턴-오프 기준이 되는 조건들을 참조할 수 있어서 상품의 속성이 성인(adult)이거나, 해당 상품에 해당하는 ID(identification)가 상품 블랙리스트(blacklist)에 포함되거나, 해당 상품이 카테고리 블랙리스트에 속하는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키워드를 턴-오프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키워드 턴-오프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고려될 수 있는데, 이는 도 1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상품의 개수가 1개이면(S23b) 상기 단계(S24b)에서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상세 페이지(SDP)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S23c) 단계(S24c)에서는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SRP)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S23d) 단계(S24d)에서는 상기 키워드를 턴-오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는 `품절`로 표시된 상품은 상품 개수 카운트에서 제외된다.
마지막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S21c)에서는 키워드에 대해 기 설정된 랜딩 페이지가 검색 결과 페이지(SRP)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해당하는 경우 단계(S22d)에서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가 널(NULL) 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검색 결과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S24e)에서 상기 랜딩 페이지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나, 상기 검색 결과가 널 값인 경우에는 단계(S23e)에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세 페이지가 유효한지 여부를 더 판단한다. 이때, 상기 상세 페이지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1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상세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며,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를 턴-오프(turn-off)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세 페이지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4g)에서는 상기 상세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할 수 있다.
상세 페이지의 유효 여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상품이 품절이거나 성인 상품에 해당하거나, 상품 또는 카테고리 블랙리스트에 포함된다면 상기 상세 페이지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세 페이지에 할당된 URL 주소가 유효하지 않아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정상적으로 확인하거나 정상적으로 구매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상세 페이지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은, 신규 키워드 여부 판단 단계(S10), 랜딩 페이지 결정/변경 단계(S20), 광고 정보 전송 단계(S30) 및 턴-오프 키워드의 비율을 판단하는 단계(S41)와 이에 대응하여 작동 경고를 하는 단계(S42)를 포함한다. 신규 키워드 여부 판단 단계(S10), 랜딩 페이지 결정/변경 단계(S20), 광고 정보 전송 단계(S30)에서는 앞서 설명한 동작들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단계(S41)에서는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이 되는 전체 키워드의 개수에 대한 턴-오프된 키워드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42)에서는 알람을 출력한다.
이러한 단계는 키워드가 대량으로 턴-오프 되는 상황을 대비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키워드의 랜딩 페이지 결정이 끝난 뒤, 결정된 결과를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에 반영하기 전에 전체 키워드 대비 턴-오프 되어야 하는 키워드의 비율을 확인하여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 그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멈출 수 있도록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알람이 출력되면 관리자는 상기 알람을 확인하고 랜딩 페이지 결정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이후의 작업을 진행할지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상품 판매 서버
300: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 400: 네트워크
10, 20: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11, 21: 데이터베이스
12, 22: 판단부
13, 23: 랜딩 페이지 결정부
14, 24: 키워드 정보 제공부
25: 작동 경고부

Claims (17)

  1. 복수의 키워드를 저장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 키워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의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여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의 종류 및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의 랜딩 페이지를 변경하거나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를 유지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부; 및
    상기 키워드 및 상기 랜딩 페이지의 주소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경우, 상기 랜딩 페이지 결정부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개수가 1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상세 페이지를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랜딩 페이지 결정부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 중 소정 비율 이상의 상품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조건이 적용된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모바일 기기에 제공되는 랜딩 페이지를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 중 대표 상품의 상세 페이지로 결정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이고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가 상품의 상세 페이지인 경우, 상기 랜딩 페이지 결정부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재고 상태 및 상기 상세 페이지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상세 페이지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페이지 결정부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1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상세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를 턴-오프(turn-off) 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페이지 결정부는,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이고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가 검색 결과 페이지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가 널(NULL)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 ID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의 상세 페이지의 유효 여부를 더 판단하고, 유효한 경우에는 상기 상세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를 턴-오프(turn-off) 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페이지 결정부는, 상기 검색 결과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 중 품절로 표시된 상품을 제외한 상품의 개수를 기준으로 널 값 여부를 판단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키워드의 개수에 대한 턴-오프된 키워드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작동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9. 랜딩 페이지 결정 장치가 키워드 광고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 키워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의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여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의 종류 및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의 개수를 고려하여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를 유지하거나, 상기 키워드의 랜딩 페이지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키워드 및 상기 랜딩 페이지의 주소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키워드 광고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가 신규 키워드인 경우, 상기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개수가 1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상세 페이지를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 중 소정 비율 이상의 상품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조건이 적용된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모바일 기기에 제공되는 랜딩 페이지를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 중 대표 상품의 상세 페이지로 결정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이고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가 상품의 상세 페이지인 경우, 상기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재고 상태 및 상기 상세 페이지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상세 페이지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1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상품의 상세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를 턴-오프(turn-off) 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키워드가 기 등록된 키워드이고 상기 키워드에 대해 기 결정된 랜딩 페이지가 검색 결과 페이지인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가 널(NULL)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 ID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의 상세 페이지의 유효 여부를 더 판단하고, 유효한 경우에는 상기 상세 페이지를 상기 키워드에 대한 랜딩 페이지로 결정하고,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키워드를 턴-오프(turn-off) 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페이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검색 결과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 중 품절로 표시된 상품을 제외한 상품의 개수를 기준으로 널 값 여부를 판단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랜딩 페이지 결정 대상이 되는 전체 키워드의 개수에 대한 턴-오프된 키워드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작동 경고 단계를 더 포함하는 랜딩 페이지 결정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176484A 2017-12-20 2017-12-20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99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484A KR101999319B1 (ko) 2017-12-20 2017-12-20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484A KR101999319B1 (ko) 2017-12-20 2017-12-20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830A true KR20190074830A (ko) 2019-06-28
KR101999319B1 KR101999319B1 (ko) 2019-07-12

Family

ID=6706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484A KR101999319B1 (ko) 2017-12-20 2017-12-20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3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920B1 (ko) * 2021-04-09 2021-12-30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키워드 관리 방법
KR102367815B1 (ko) * 2021-06-09 2022-02-28 쿠팡 주식회사 키워드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2220320A1 (ko) * 2021-04-13 2022-10-20 쿠팡 주식회사 랜딩 페이지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192U (ko) * 2009-07-01 2011-01-07 주식회사 올인마켓 비투비 연동시스템을 통한 상품관리와 데이터 수집 및 재등록 방법
JP2012234340A (ja) * 2011-04-28 2012-11-29 Tensor Consulting Co Ltd 商品キーワード管理システム
KR20170011070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키워드 광고 랜딩 페이지 설정 방법, 키워드 광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192U (ko) * 2009-07-01 2011-01-07 주식회사 올인마켓 비투비 연동시스템을 통한 상품관리와 데이터 수집 및 재등록 방법
JP2012234340A (ja) * 2011-04-28 2012-11-29 Tensor Consulting Co Ltd 商品キーワード管理システム
KR20170011070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키워드 광고 랜딩 페이지 설정 방법, 키워드 광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920B1 (ko) * 2021-04-09 2021-12-30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키워드 관리 방법
KR102407837B1 (ko) * 2021-04-09 2022-06-13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키워드 관리 방법
WO2022215791A1 (ko) * 2021-04-09 2022-10-13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키워드 관리 방법
US11921801B2 (en) 2021-04-09 2024-03-05 Coupang Corp. Electronic apparatus and keyword management method thereof
WO2022220320A1 (ko) * 2021-04-13 2022-10-20 쿠팡 주식회사 랜딩 페이지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11609965B2 (en) 2021-04-13 2023-03-21 Coupang Corp. Method for managing a landing page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KR102367815B1 (ko) * 2021-06-09 2022-02-28 쿠팡 주식회사 키워드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2260204A1 (ko) * 2021-06-09 2022-12-15 쿠팡 주식회사 키워드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319B1 (ko) 201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093B1 (ko) 접속 중인 고객의 구매행동 패턴 분석을 통한 실시간 판매 촉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8121905B2 (en) Merchandising items of topical interest
US20140074649A1 (en) Grocery recommendation engine
US201303178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mplate-based discount valuation and ranking
US20080004986A1 (en)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of commodity for on-line shopping mall users
US116099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viding personalized search results
US10580026B2 (en) In store upselling
KR101999319B1 (ko) 랜딩 페이지 결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150221023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the program
JP2007286701A (ja) 電子ショッピングモールシステム及び電子ショッピングモールシステム用コンピュータ装置
KR20200101513A (ko)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고객의 행동 패턴에 기초한 추천정보 제공 방법
US112165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viding personalized search results
US20160203540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duct and vendor selection
KR101703919B1 (ko) 키워드 광고 랜딩 페이지 설정 방법, 키워드 광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543576B2 (ja) ユーザの買い物履歴、小売業者のid及び小売業者が販売促進する物品に基づいて、カスタマイズされた検索結果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8061297A1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90005470A (ko)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10342921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geo-location based data analysis
KR102286661B1 (ko) 채팅을 기반으로 한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KR20100037711A (ko) 사용자 참여에 기초한 상품 정보 수집,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37572A (ko) 구매 내역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41823B1 (ko) 정기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84582B1 (ko) 키워드 광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35012B1 (ko)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08102808A (ja) 履歴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履歴情報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