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539A -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과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과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539A
KR20190074539A KR1020170175976A KR20170175976A KR20190074539A KR 20190074539 A KR20190074539 A KR 20190074539A KR 1020170175976 A KR1020170175976 A KR 1020170175976A KR 20170175976 A KR20170175976 A KR 20170175976A KR 20190074539 A KR20190074539 A KR 20190074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meal
eat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742B1 (ko
Inventor
민경필
박정운
최인수
박철영
Original Assignee
(주)휴레이포지티브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레이포지티브,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휴레이포지티브
Priority to KR1020170175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7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서버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알람신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과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Method for healthcare according to analysis of eating-out pattern, and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사와 관련하여 주의가 요구되는 대상자에 대한 식사 패턴을 분석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만성질병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수단으로 유헬스가 등장하였고, 나아가 언제 어디서나 건강관리 콘텐츠를 통하여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이처럼 유헬스 개념의 확대로 인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획일적인 서비스가 아닌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의 제공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특히, 당뇨병을 포함한 만성질환자는 어떤 음식이 자신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지 아는게 중요하다. 당뇨와 관련하여, 당뇨병 치료의 목표는 당뇨병의 진행을 정지시키는 것과 당뇨병에 동반하는 합병증의 발생 및 진전을 예방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식사요법, 운동요법, 인슐린 요법과 내복약 치료 등을 실시하게 되며, 특히 실제 치료시에는 공복시의 혈당 데이터, 당부하시험 데이터 및 요당 데이터 등을 항상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당뇨병 치료관리의 최우선은 혈당관리이지만 혈압, 체중, 지질수치도 당뇨병과 그에 동반하는 합병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되며, 상기의 요소들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건강관리방법으로 식사요법이 행해지고 있다.
종래에 당뇨환자의 개별적인 당뇨관리방법은 병원에서의 진료후에 당뇨수첩 을 이용하여 혈당, 혈압, 체중 및 지질수치 등을 기입한 후 그 변화 추이를 관찰하는 것으로, 당뇨관리의 중요한 요소인 혈당, 혈압, 체중 및 지질수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그에 따라 당뇨환자의 건강관리방법인 식사요법이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진행되지 못하여 당뇨병의 치료는 물론, 그에 동반되는 합병증이 효과적으로 예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현대인의 불규칙한 식습관은 영양상태의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외식의 경우 평소 섭취하는 열량보다 더 많은 열량을 섭취하거나 건강에 해로운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아 영양상태 불균형에 차지하는 영향이 크다. 많은 현대인들이 자신의 식습관의 어떤 부분이 잘못되어 건강에 영향을 주는지 구체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알기 위해 영양상담을 받기 위한 병원 방문은 사실상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가정 내에서 식사하는 것이 아닌 외식을 하는 경우에는 체계적인 식사요법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관리 대상자가 행하는 식사 행태가 외식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관리 대상자의 외식 패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과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서버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알람신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사설정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식사시점설정정보 및 식사장소설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식사장소설정정보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음식점목록이 존재한다면, 상기 서버가 상기 음식점목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음식점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음식점 및 상기 선택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목록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관한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사메뉴 타입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주간, 월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식패턴정보의 생성 후에, 상기 서버가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혈당정보, 혈압정보, 활동량정보, 복약정보, 체중정보, 체지방정보 및 심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강관리 분석정보는 상기 혈당정보 또는 상기 혈압정보에 따른 이상혈당 및 이상혈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식사메뉴, 식사 시간대, 식사 요일, 식사 장소 및 식품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알람신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식사장소설정정보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주간, 월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식패턴정보의 생성 후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를 위한 서버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제어하고,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 상기 알람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식사응답신호, 상기 현재위치정보 및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식사설정정보, 상기 현재위치정보,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 상기 외식패턴정보 및 외식 여부 판단을 위한 프로그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식사장소설정정보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고,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단말기 자신의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제어하고,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위한 정보를 인터페이스하는 단말 통신부; 및 상기 식사설정정보, 상기 현재위치정보,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 상기 외식패턴정보 및 외식 여부 판단을 위한 프로그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식사장소설정정보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고,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외식패턴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외식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외식에 따른 건강 관리를 위한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정 내에서 식사하는 것이 아닌 외식을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당뇨와 관련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이렇게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건강 관리 시스템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버와 휴대용 단말기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건강 관리 시스템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강 관리 시스템은 서버(10), 통신망(20) 및 휴대용 단말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알람신호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기(30)에 대한 현재위치정보와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고,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서버(10)는 휴대용 단말기(30)와 통신망(2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서버(1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신망(20)은 서버(10)와 휴대용 단말기(3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통신망(20)은 서버(10)와 휴대용 단말기(30) 간에 식사설정정보,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 알람신호,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 외식패턴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망(20)은 유선 통신망으로서 유선 인터넷, LA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20)은 무선 통신망로서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30)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식사설정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식사설정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30)는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현재위치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30)는 서버(10)로부터 제공된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 목록을 출력하고, 출력된 음식점 목록 중에서 선택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휴대용 단말기(30)는 출력되는 정보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30)는 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 (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 (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 (appcessory),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 (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3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는 서버 제어부(100), 서버 통신부(110) 및 서버 데이터베이스(DB: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람신호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식사설정정보는 서버(10)와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30) 또는 사용자 PC 등의 전자기기(미도시)를 통해 서버(1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서버(10)에제공된 식사설정정보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사용자별 식사설정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알람신호를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식사설정정보는 사용자의 식사시점 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사시점 설정정보는 하루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식사하는 식사 횟수 및 식사 시작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사시점 설정정보는 아침식사정보(오전 7시 30분), 점심 식사정보(정오 12시 30분), 저녁 식사정보(오후 6시 30분) 등의 설정값일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식사시점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식사시점 예를 들어, 점심 식사정보에 해당하는 12시 30분이 도래하는 경우에 알람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식사설정정보는 사용자의 식사장소 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사장소 설정정보는 가정식 식사패턴에 의해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식사하는 식사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식사장소 설정정보는 인공위성 좌표정보, 통신 기지국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리적 위치정보일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30)에 대한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제어한다. 서버(10)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30)는 알람 신호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식사를 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 신호 즉, 식사응답신호를 휴대용 단말기(30)에 입력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30)는 입력된 식사응답신호를 서버(10)로 전송한다. 그후, 서버 통신부(110)가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식사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서버 제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30)로 현재위치정보를 요청한다. 휴대용 단말기(30)는 서버 제어부(100)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기 저장된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식사설정정보 중의 식사장소 설정정보와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 식사장소 설정정보가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현재위치정보와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예를 들어, 20[m]) 이상인 경우에는, 서버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음식점목록 중에서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반경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이 추출되면, 추출된 음식점목록을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30)는 서버 통신부(110)로부터 음식점목록을 수신하면, 음식점목록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사용자가 음식점목록 중 어느 하나의 음식점을 선택하고, 또한, 선택 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 즉 외식선택메뉴를 선택하면, 휴대용 단말기(30)는 입력된 선택음식점 및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서버 통신부(11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음식점 및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 제어부(100)는 수신된 선택 음식점 및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서버 제어부(100)는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음식점목록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사용자에 관한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식사메뉴 타입목록은 사용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식사메뉴가 우선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리스트화된 것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30)는 서버 통신부(110)로부터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수신하면,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사용자가 식사메뉴 타입목록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즉 외식선택메뉴를 선택하면, 휴대용 단말기(30)는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버 통신부(11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 제어부(100)는 수신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수집된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대한 주간, 월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에 대응하는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외식패턴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 패턴 및 빈도 등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100)는 4주간 동안 식사 장소(식당명, 가정식/매식 여부), 식사 종류, 섭취량, 시각, 함께 먹은 사람(가족, 친구, 동료, 업무 미팅), 섭취 후 혈당 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서의 다빈도 섭취 메뉴 세트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균 식사 시각 30분 전후에 특정 GPS 내에 5분 이상 머무는 경우 해당 식당을 유추하여 제시하고, 해당 식당에서 제시하는 순위 메뉴, 평균 섭취 칼로리, 섭취 후 혈당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100)는 평균 식사 시각 내의 GPS 정보를 항시 수집하다가 기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와 일정 비율(예를 들어, 30%) 이상 달라지는 경우, 활동 반경이 달라진 것으로 판단하여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외식패턴정보와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한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혈당정보, 혈압정보, 활동량정보, 복약정보, 체중정보, 체지방정보, 심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생체 정보일 수도 있고, 의료 기관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수집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단위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외식패턴정보의 시간 정보와 생체 정보의 시간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외식패턴정보와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의 식사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매일 일정한 시각에 먹기 2) 적당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비율로 적정 칼로리 만큼 먹기(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율은 5:3:2) 3) 식이섬유 섭취하기 4) 동물성 지방 적게 먹기 5) 소금 섭취 줄이기 6) 절주하기
외식의 경우 상기 2), 3), 4), 5)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교정하거나 최대한 손실을 방지해야 한다. 즉, 외식은 설탕과 기름이 많고 섬유소가 적은 경우가 많아 이를 잘 컨트롤 해야 한다.
따라서, 서버 제어부(100)는 한식과 일식 위주로 식당을 선택하고 메뉴는 다양한 식품군(우리나라 음식은 탄수화물 위주이므로 주로 단백질, 섬유질 중심의 메뉴 선택)이 포함된 메뉴를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100)는 국물 음식에 대해서 국물을 남기도록 유도하거나 과식한 경우에 다음 번의 식사량을 줄여 하루의 권장 섭취량을 달성하도록 유도하거나, 권장 식품군을 골고루 먹지 못했다면 다음 번의 식사에 해당 권장 식품군을 먹도록 유도하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100)는 당뇨병 환자의 직업군에 따라 필요한 권장량을 포함하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무직의 경우 하루 필요 열량은 표준체중(=적정체중=키의 제곱*22) * 30kcal, 노동직의 경우 표준체중 * 40kcal이므로, 서버 제어부(100)는 이를 기준으로 외식 칼로리에 대한 권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170cm, 80kg의 사무직 남성 당뇨병 환자의 표준 체중은 63.6kg이며, 하루 총 권장 섭취 칼로리는 63.6kg * 30kcal로 1,908kcal이다. 아침 식사를 가정식으로 600kcal를 섭취하였다면 점심과 저녁 식사 권장 섭취량은 1,308kcal로 두 끼로 나누면 654kcal가 된다. 따라서 해당 식당의 메뉴 중 가장 근접한 메뉴를 추천하고 다음 식사에서 보완할 부분을 건강관리 분석정보로서 제공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100)는 같은 식당의 같은 메뉴를 먹은 후 식후 혈당을 측정하도록 유도하여 식사-복약(인슐린 포함)-활동량-식후 혈당 데이터 셋을 확보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식사의 경우에 혈당 측정 바로 전 식사, 활동량은 식사 시작 시점부터 혈당 측정 시점까지, 복약은 식전 및 식후 약물 복용 데이터를 활용한다. 복약 상태는 동일해야 하고 활동량은 평균 측정치의 +-20% 내에 들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동일 메뉴 섭취 후의 식후 혈당을 비교하여 피드백한다.
그 후, 서버 제어부(100)는 외식패턴정보와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라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110)을 제어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10)는 서버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해, 서버 통신부(110)는 통신망(2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서버 통신부(110)는 서버 제어부(100)에서 생성된 알람신호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 그 후, 서버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식사응답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서버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서버 통신부(110)는 음식점목록 또는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며, 휴대용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서버 통신부(110)는 생성된 외식패턴정보 또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서버 데이터베이스(120)는 사용자에 관한 식사설정정보,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 사용자의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 외식패턴정보 또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서버 데이터베이스(120)는 서버 제어부(100)의 외식패턴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데이터베이스(120)는 서버 제어부(100)의 액세스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서버 제어부(100)에 제공하거나, 서버 제어부(100)의 저장 요청에 따라, 해당 저장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30)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30)는 단지 서버(10)의 동작에 의해 식사응답신호의 입력, 외식선택메뉴의 입력, 외식패턴정보의 출력, 건강관리 분석정보의 출력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서버(1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휴대용 단말기(3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는 단말 제어부(200), 단말 통신부(210), 단말 메모리(220),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단말기 자신의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제어하고,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람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식사설정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된 식사설정정보는 단말 메모리(22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단말 메모리(220)에 저장된 사용자별 식사설정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식사설정정보는 사용자의 식사시점 설정정보 또는 사용자의 식사장소 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식사시점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식사시점이 도래하는 경우에 알람 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30)에 대한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제어한다. 알람 신호의 출력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식사를 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 신호 즉, 식사응답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입력된 식사응답신호에 따라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GPS 좌표정보 또는 통신 기지국의 위치정보 등을 참조하여 자신의 지리적 현재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단말 메모리(2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기 저장된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식사설정정보 중의 식사장소 설정정보와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 식사장소 설정정보가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현재위치정보와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예를 들어, 20[m]) 이상인 경우에는, 단말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단말 메모리(220)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단말 메모리(220)에 저장된 음식점목록 중에서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이 추출되면, 추출된 음식점목록을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가 음식점목록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면, 사용자가 음식점목록 중 어느 하나의 음식점을 선택한다. 그 후, 사용자가 선택 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 즉 외식선택메뉴를 선택하면, 단말 제어부(200)는 입력된 선택 음식점 및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단말 메모리(2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단말 제어부(200)는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음식점목록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사용자에 관한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가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면, 사용자가 식사메뉴 타입목록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즉 외식선택메뉴를 선택한다. 그 후, 단말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단말 메모리(2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수집된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대한 주간, 월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에 대응하는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외식패턴정보와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고, 외식패턴정보와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단위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외식패턴정보의 시간 정보와 생체 정보의 시간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외식패턴정보와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라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210)는 단말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서버(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단말 통신부(210)는 기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서버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통신부(210)는 통신망(2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단말 통신부(210)는 휴대용 단말기(30)에 대한 현재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기타의 서버로부터 현재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210)는 음식점목록 또는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서버(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210)는 생성된 외식패턴정보 또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서버(10) 또는 외부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메모리(220)는 사용자에 관한 식사설정정보,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 사용자의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 외식패턴정보 또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단말 메모리(220)는 단말 제어부(200)의 외식패턴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메모리(220)는 단말 제어부(200)의 액세스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단말 제어부(200)에 제공하거나, 단말 제어부(200)의 저장 요청에 따라, 해당 저장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단말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단말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른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식사설정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알람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 또는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예를 들면, 키 보드(key board), 패널 (touch panel), 스캐닝 펜(scanning pen), 또는 초음파 (ultrasonic)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 보드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스캐닝 펜은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 (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디바이스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마이크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단말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영상 출력을 위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발광 다이오드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 (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 (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을 위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예를 들면, 스피커, 리시버, 이어폰, 또는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버와 휴대용 단말기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식사설정정보를 등록한다(S400). 그 후, 서버(10)는 사용자별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S402). 휴대용 단말기(30)는 수신된 알람 신호를 출력하며, 그 후, 사용자로부터 식사응답신호를 입력받는다(S404). 휴대용 단말기(30)는 입력된 식사응답신호를 서버(10)로 전송한다(S406). 서버(10)는 수신된 식사응답신호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를 휴대용 단말기(30)에 요청한다(S408). 휴대용 단말기(30)는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검출하고(S410), 검출된 현재위치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S412). 서버(10)는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30)의 현재위치정보와 기 저장된 식사설정정보 중 식사장소 설정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S414).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는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 또는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S416). 휴대용 단말기(30)는 수신된 음식점목록 또는 식사메뉴 타입목록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식선택메뉴를 입력받는다(S418). 휴대용 단말기(30)는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S420). 서버(10)는 수신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한다(S422). 그 후, 서버(10)는 생성된 외식패턴정보와 사용자의 기 수집된 생체 정보를 매핑하여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한다(S424). 서버(10)는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S426). 그 후, 휴대용 단말기(30)는 수신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S428).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서버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S500 단계). 식사설정정보는 휴대용 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일반 PC 등의 전자기기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별 식사설정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알람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식사설정정보는 사용자의 식사시점 설정정보 또는 식사장소 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사시점 설정정보는 하루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식사하는 식사 횟수 및 식사 시작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식사장소 설정정보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가정식 식사패턴으로 식사하는 식사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버는 식사시점 설정정보에 해당하는 식사시점 예를 들어, 점심식사정보에 해당하는 12시 30분이 도래하는 경우에 알람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S500 단계 후에, 서버는 알람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의 수신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한다(S502 단계). 서버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는 알람 신호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식사를 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 신호 즉, 식사응답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된 식사응답신호를 서버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현재 식사의향이 있다는 식사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로 현재위치정보를 요청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서버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S502 단계 후에, 서버는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S504 단계). 서버는 식사설정정보 중의 식사장소 설정정보와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일정 거리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며, 예를 들어, 반경 20[m]를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사장소 설정정보가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현재위치정보와의 거리 차이가 20[m] 이상인 경우에는, 서버는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S506 단계). 외식선택메뉴는 사용자가 외식을 위해 선택한 음식물의 종류를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506)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서버는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S600 단계). 서버는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식점목록 중에서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반경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S600 단계 후에,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이 추출되면, 서버는 추출된 음식점목록을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S602 단계). 휴대용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음식점목록을 수신하면, 음식점목록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S602 단계 후에, 서버는 음식점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음식점 및 선택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S604 단계). 사용자가 출력된 음식점목록 중 어느 하나의 음식점을 선택하고, 또한, 선택 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 즉 외식선택메뉴를 선택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된 선택음식점 및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음식점 및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S600 단계에서,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서버는 사용자에 관한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S606 단계).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이 추출되지 않는다면, 서버는 사용자가 외식 메뉴로 선택할 수 있는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식사메뉴 타입목록은 사용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식사메뉴가 우선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리스트화된 것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수신하면,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 사용자가 식사메뉴 타입목록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즉 외식선택메뉴를 선택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음식점 및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S506 단계 후에, 서버는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한다(S508 단계). 서버는 사용자에 대한 주간, 월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에 대응하는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한다. 외식패턴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 패턴 및 빈도 등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508 단계 후에, 서버는 외식패턴정보와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한다(S510 단계). 여기서,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혈당정보, 혈압정보, 활동량정보, 복약정보, 체중정보, 체지방정보 및 심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생체 정보일 수도 있고, 의료 기관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수집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외식패턴정보와 생체 정보의 매핑은 단위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외식패턴정보의 시간 정보와 생체 정보의 시간 정보를 매핑하는 것일 수 있다.
S510 단계 후에, 서버는 외식패턴정보와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한다(S512 단계). 건강관리 분석정보는 혈당정보, 혈압정보, 활동량정보, 복약정보, 체중정보, 체지방정보 및 심박정보에 따른 이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식사 메뉴, 식사 시간대, 식사 요일, 식사 장소 및 식품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혈당은 정상 범위를 초과한 혈당의 발생 빈도가 일정 빈도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이상혈압은 정상 범위를 초과한 혈압의 발생 빈도가 일정 빈도 이상인 것일 수 있다.
S512 단계 후에, 서버는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S514 단계).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출력한다(S700 단계). 식사설정정보는 이전에 휴대용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와 접속하여 식사설정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별 식사설정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알람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오디오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S700 단계 후에, 알람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한다(S702 단계). 알람 신호의 출력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식사를 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 신호 즉, 식사응답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된 식사응답신호에 따라,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GPS 좌표 정보 또는 통신용 기지국의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S702 단계 후에, 휴대용 단말기는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S704 단계). 휴대용 단말기는 식사설정정보 중의 식사장소 설정정보와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일정 거리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식사장소 설정정보가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현재위치정보와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704 단계 후에,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S706 단계).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 메모리에 저장된 음식점목록 중에서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반경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이 추출되면, 추출된 음식점목록을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오디오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음식점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음식점 및 선택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음식점목록이 추출되지 않는다면,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외식 메뉴로 선택할 수 있는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출력한다. 여기서, 식사메뉴 타입목록은 사용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식사메뉴가 우선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리스트화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가 식사메뉴 타입목록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즉 외식선택메뉴를 선택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선택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S706 단계 후에, 휴대용 단말기는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한다(S708 단계).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 대한 주간, 월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에 대응하는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외식패턴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자의 외식 패턴 및 빈도 등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708 단계 후에, 휴대용 단말기는 외식패턴정보와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한다(S710 단계). 생체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생체 정보일 수도 있고, 의료 기관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수집되는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외식패턴정보와 생체 정보의 매핑은 단위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외식패턴정보의 시간 정보와 생체 정보의 시간 정보를 매핑하는 것일 수 있다.
S710 단계 후에, 휴대용 단말기는 외식패턴정보와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 및 출력한다(S712 단계). 건강관리 분석정보는 혈당정보 또는 혈압정보에 따른 이상혈당 및 이상혈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식사 메뉴, 식사 시간대, 식사 요일, 식사 장소 및 식품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휴대용 단말기는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매체에 기록해 둠으로써 다양한 재생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재생장치는 PC, 노트북, 휴대용 단말 등일 수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각 재생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서버
20: 통신망
30: 휴대용 단말기
100: 서버 제어부
110: 서버 통신부
120: 서버 DB
200: 단말 제어부
210: 단말 통신부
220: 단말 메모리
230: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Claims (19)

  1.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서버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알람신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사설정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식사시점설정정보 및 식사장소설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식사장소설정정보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음식점목록이 존재한다면, 상기 서버가 상기 음식점목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음식점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음식점 및 상기 선택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목록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음식점목록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관한 식사메뉴 타입목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사메뉴 타입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주간, 월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식패턴정보의 생성 후에, 상기 서버가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혈당정보, 혈압정보, 활동량정보, 복약정보, 체중정보, 체지방정보 및 심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분석정보는 상기 혈당정보 또는 상기 혈압정보에 따른 이상혈당 및 이상혈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식사메뉴, 식사 시간대, 식사 요일, 식사 장소 및 식품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10.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알람신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식사 의향에 대한 식사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식사장소설정정보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주간, 월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식패턴정보의 생성 후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생성된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
  14.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제어하고,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
    상기 알람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식사응답신호, 상기 현재위치정보 및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식사설정정보, 상기 현재위치정보,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 상기 외식패턴정보 및 외식 여부 판단을 위한 프로그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를 위한 서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식사장소설정정보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를 위한 서버.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고,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를 위한 서버.
  17. 사용자가 등록한 식사설정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단말기 자신의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제어하고, 상기 수집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식사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식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수집을 위한 정보를 인터페이스하는 단말 통신부; 및
    상기 식사설정정보, 상기 현재위치정보, 상기 외식선택메뉴에 대한 정보, 상기 외식패턴정보 및 외식 여부 판단을 위한 프로그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 .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식사장소설정정보와 상기 현재위치정보의 거리 차이가 일정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생체정보에 대해 시간을 기준으로 매핑하고, 상기 외식패턴정보와 상기 생체정보의 매핑에 따른 건강관리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식 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170175976A 2017-12-20 2017-12-20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과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055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976A KR102055742B1 (ko) 2017-12-20 2017-12-20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과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976A KR102055742B1 (ko) 2017-12-20 2017-12-20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과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539A true KR20190074539A (ko) 2019-06-28
KR102055742B1 KR102055742B1 (ko) 2019-12-13

Family

ID=6706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976A KR102055742B1 (ko) 2017-12-20 2017-12-20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과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7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1431A (ja) * 2009-10-02 2011-04-21 Sony Corp 行動パターン解析システム、携帯端末、行動パターン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20783A (ko) * 2011-04-25 2012-11-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음식점 검색 시스템
KR20170048921A (ko) * 2015-10-27 2017-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식습관 패턴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1911A (ko) * 2016-01-05 201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의 기능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1431A (ja) * 2009-10-02 2011-04-21 Sony Corp 行動パターン解析システム、携帯端末、行動パターン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20783A (ko) * 2011-04-25 2012-11-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음식점 검색 시스템
KR20170048921A (ko) * 2015-10-27 2017-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식습관 패턴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1911A (ko) * 2016-01-05 201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의 기능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742B1 (ko)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2780B2 (ja) 位置ベースのワイヤレス糖尿病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EP2715583B1 (en) Location enabled food database
KR102549216B1 (ko)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Zhou et al. Applying a user-centered approach to building a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 app: development and usability study
JP2020184349A (ja) ヘルストラッキングデバイス
JP2023116568A (ja) 分析物データを用いた健康及び栄養の監視及び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方法
KR101500673B1 (ko)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이동 통신 기기 및 건강 관리 방법
US20170358020A1 (en) Informed food selection in a particular eating environment
US20190006040A1 (en) Cognitive diabetic regulator
US10049598B1 (en) Passive tracking and prediction of food consumption
JP2016173658A (ja) 健康管理システム、健康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A3193444A1 (en) Meal and activity logging with a glucose monitoring interface
JP7457986B2 (ja) 制御方法、情報端末、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情報提供方法
JP6990861B1 (ja) 情報提供方法
US20230245251A1 (en) Method, information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093542B1 (ko)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KR102055742B1 (ko) 외식패턴의 분석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과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JP201618433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8276472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Dorman et al. Nutrition monitor: a food purchase and consumption monitoring mobile system
KR102395631B1 (ko) 스마트 트레이 기반의 개인 섭생 관리 시스템
KR20240005255A (ko) 사용자 위치 정보에 기반한 정보제공 방법
JP6882746B1 (ja)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20145A (ja) 食生活支援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319279B1 (ko) 식사기록 분석을 통한 건강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