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417A -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417A
KR20190074417A KR1020170175746A KR20170175746A KR20190074417A KR 20190074417 A KR20190074417 A KR 20190074417A KR 1020170175746 A KR1020170175746 A KR 1020170175746A KR 20170175746 A KR20170175746 A KR 20170175746A KR 20190074417 A KR20190074417 A KR 20190074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olant
sensor unit
broken
inle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252B1 (ko
Inventor
수하이브
허재석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75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2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핫레그메인파이프,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 콜드레그메인파이프, 핫레그스패어파이프,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 및 메인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파단되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하면 파단된 메인파이프의 유로를 폐쇄하고 매칭되는 스패어파이프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냉각재 상실 사고 시 냉각재의 상실을 즉각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 SYSTEM FOR RESPONDING TO LOSS OF COOLANT ACCIDENT }
본 발명은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력발전소의 1차 계통에서 파이프의 파단에 의해 발생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에 즉각적으로 대응함으로써 냉각재의 상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의 1차 계통은 원자로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증기발생기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핫레그메인파이프, 증기발생기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원자로 냉각 펌프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 및 원자로 냉각 펌프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상기 원자로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콜드레그메인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냉각재 상실 사고(LOCA; LOSS OF COOLANT ACCIDENT)는 핫레그메인파이프,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 및 콜드레그메인파이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파단되어 파단 부위를 통하여 냉각재가 상실되는 사고이다.
냉각재 상실 사고(LOCA; LOSS OF COOLANT ACCIDENT)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면 냉각재의 순환에 이상이 생겨 원자로의 노심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더 나아가, 냉각재의 순환 이상은 심한 경우 노심의 용융, 원자로 긴급 정지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소는 냉각재 상실 사고 발생 시 비상 노심 냉각재를 투입하여 노심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비상 노심 냉각 장치(ECCS;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를 갖추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71415호(특허문헌 1) 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비상 냉각재를 투입하기 위한 측면에서 개발이 집중되고 있으나, 냉각재 상실 사고 발생 시 순환 중인 냉각재가 상실되는 것을 즉각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71415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력발전소의 1차 계통에서 파이프의 파단에 의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즉각적으로 냉각재의 상실을 차단할 수 있게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냉각재의 순환을 유지하면서도 파단된 파이프를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은, 원자력발전소의 1차 계통에 설치되고 원자로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증기발생기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며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핫레그메인파이프, 원자력발전소의 1차 계통에 설치되고 상기 증기발생기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원자로 냉각 펌프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며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 원자력발전소의 1차 계통에 설치되고 상기 원자로 냉각 펌프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상기 원자로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며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콜드레그메인파이프,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원자로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상기 증기발생기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며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는 핫레그스패어파이프,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증기발생기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원자로 냉각 펌프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며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는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원자로 냉각 펌프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상기 원자로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며,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는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 및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와,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와,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파단되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하면 파단된 메인파이프의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와,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와,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 중 파단된 메인파이프에 매칭되는 스패어파이프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은 원자력발전소의 1차 계통에서 메인파이프가 파단되는 경우 해당 메인파이프의 유로를 폐쇄 매칭되는 스패어파이프의 유로를 개방시켜 즉각적으로 냉각재의 상실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은 메인파이프가 파단되는 경우 스패어파이프의 유로를 개방시켜 즉각적으로 냉각재의 상실을 차단함과 동시에 스패어파이프로 기존 냉각재의 순환을 유지하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은 기존 냉각재의 순환을 유지하면서 파단된 메인파이프를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100)은 핫레그메인파이프(110),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150),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100)은 제1유입밸브(111), 제1배출밸브(112), 제2유입밸브(121), 제2배출밸브(122), 제3유입밸브(131), 제3배출밸브(132), 제4유입밸브(141), 제4배출밸브(142), 제5유입밸브(151), 제5배출밸브(152), 제6유입밸브(161), 및 제6배출밸브(16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100)은 제1감지센서부(113), 제2감지센서부(123), 제3감지센서부(133), 제4감지센서부(143), 제5감지센서부(153), 및 제6감지센서부(16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는 원자력발전소의 1차 계통에 설치되고, 원자로(10)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증기발생기(20)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 경우, 고온으로 가열된 냉각재는 상기 증기발생기(20) 내부에서 열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다. 일 예로, 도 1에서는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는 4개 설치된다.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하나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파단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불가능하므로, 하나의 파이프를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파이프로 대체하여 파단되는 파이프 이외의 나머지 파이프는 냉각재의 순환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는 원자력발전소의 1차 계통에 설치되고, 상기 증기발생기(20)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원자로 냉각 펌프(30)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 경우, 냉각재는 상기 증기발생기(20) 내부에서 열원으로 작용하면서 열교환을 통해 저온의 상태로 바뀌게 된다.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다. 일 예로, 도 1에서는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는 4개 설치된다.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하나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파단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불가능하므로, 하나의 파이프를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파이프로 대체하여 파단되는 파이프 이외의 나머지 파이프는 냉각재의 순환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는 원자력발전소의 1차 계통에 설치되고, 상기 원자로 냉각 펌프(30)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상기 원자로(10)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 경우, 냉각재는 냉각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온도에서 설정된 압력 범위 내에서 상기 원자로(10)로 공급된다.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다. 일 예로, 도 1에서는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는 4개 설치된다.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하나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파단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불가능하므로, 하나의 파이프를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파이프로 대체하여 파단되는 파이프 이외의 나머지 파이프는 냉각재의 순환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는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원자로(10)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상기 증기발생기(20)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는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된다. 파이프의 파단 사고가 크게 일어나는 경우에는 메인파이프 복수개가 파단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에서는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는 1개 설치되어 있으나 그 이상의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의 직경은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와 동일하게 하여,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가 1개소 파단되는 경우 그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 1개소의 유로를 개방하여 기존 냉각수 순환을 대체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직경을 다르게 하여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가 1개소 파단되는 경우 그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 2개소의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기존 냉각수 순환을 대체하게 구성하는 등의 방식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150)는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증기발생기(20)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상기 원자로 냉각 펌프(30)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150)는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된다. 파이프의 파단 사고가 크게 일어나는 경우에는 메인파이프 복수개가 파단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에서는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150)는 1개 설치되어 있으나 그 이상의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150)의 직경은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와 동일하게 하여,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가 1개소 파단되는 경우 그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150) 1개소의 유로를 개방하여 기존 냉각수 순환을 대체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직경을 다르게 하여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가 1개소 파단되는 경우 그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150) 2개소의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기존 냉각수 순환을 대체하게 구성하는 등의 방식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160)는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원자로 냉각 펌프(30)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상기 원자로(10)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160)는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된다. 파이프의 파단 사고가 크게 일어나는 경우에는 메인파이프 복수개가 파단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에서는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160)는 1개 설치되어 있으나 그 이상의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160)의 직경은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와 동일하게 하여,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가 1개소 파단되는 경우 그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160) 1개소의 유로를 개방하여 기존 냉각수 순환을 대체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직경을 다르게 하여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가 1개소 파단되는 경우 그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160) 2개소의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기존 냉각수 순환을 대체하게 구성하는 등의 방식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와,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와,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파단되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하면 파단된 메인파이프의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와,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150)와,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160) 중 파단된 메인파이프에 매칭되는 스패어파이프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70)는 원자력발전소의 정상 가동 시,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와,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와,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의 유로를 모두 개방 유지시키고, 만일,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 중 하나가 파단되는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해당 메인파인프의 유로를 폐쇄함과 동시에 냉각재 순환이 가능하도록 매칭되는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의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에 대해서는 냉각재 상실 사고를 감지하고, 그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유입밸브(111), 상기 제1배출밸브(112), 상기 제2유입밸브(121), 상기 제2배출밸브(122), 상기 제3유입밸브(131), 및 상기 제3배출밸브(132)는 메인파이프의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수단으로,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하여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제1유입밸브(111)는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 각각의 냉각재 배출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유입밸브(111)는 상기 원자로(10)에서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로 냉각재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불허한다.
상기 제1배출밸브(112)는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 각각의 냉각재 배출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배출밸브(112)는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에서 상기 증기발생기(20)로 냉각재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불허한다.
상기 제2유입밸브(121)는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 각각의 냉각재 유입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유입밸브(121)는 상기 증기발생기(20)에서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로 냉각재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불허한다.
상기 제2배출밸브(122)는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 각각의 냉각재 배출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유입밸브(121)는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에서 상기 원자로 냉각 펌프(30)로 냉각재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불허한다.
상기 제3유입밸브(131)는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 각각의 냉각재 유입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3유입밸브(131)는 상기 원자로 냉각 펌프(30)에서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로 냉각재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불허한다.
상기 제3배출밸브(132)는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 각각의 냉각재 배출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3배출밸브(132)는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에서 상기 원자로(10)로 냉각재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불허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원자력발전소의 정상 가동 시, 상기 제1유입밸브(111)와, 상기 제1배출밸브(112)와, 상기 제2유입밸브(121)와, 상기 제2배출밸브(122)와, 상기 제3유입밸브(131)와, 상기 제3배출밸브(132)를 열린 상태로 유지시키고,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하면, 즉, 메인파이프의 파단 사고가 발생하면, 상기 제1유입밸브(111)와, 상기 제1배출밸브(112), 상기 제2유입밸브(121)와, 상기 제2배출밸브(122)와, 상기 제3유입밸브(131)와, 상기 제3배출밸브(132) 중 파단된 메인파이프에 설치된 유입밸브 및 배출밸브를 닫힌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 중 하나가 파단되는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해당 메인파인프에 설치된 상기 제1유입밸브(111)와 상기 제1배출밸브(112)를 닫히게 하고,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의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유입밸브(141), 상기 제4배출밸브(142), 상기 제5유입밸브(151), 상기 제5배출밸브(152), 상기 제6유입밸브(161), 및 제6배출밸브(162)는 스패어파이프의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수단으로,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하여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제4유입밸브(141)는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 각각의 냉각재 배출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4유입밸브(141)는 상기 원자로(10)에서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로 냉각재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불허한다.
상기 제4배출밸브(142)는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 각각의 냉각재 배출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4배출밸브(142)는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에서 상기 증기발생기(20)로 냉각재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불허한다.
상기 제5유입밸브(151)는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150) 각각의 냉각재 유입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5유입밸브(151)는 상기 증기발생기(20)에서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150)로 냉각재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불허한다.
상기 제5배출밸브(152)는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150) 각각의 냉각재 배출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5유입밸브(152)는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150)에서 상기 원자로 냉각 펌프(30)로 냉각재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불허한다.
상기 제6유입밸브(161)는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160) 각각의 냉각재 유입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6유입밸브(161)는 상기 원자로 냉각 펌프(30)에서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160)로 냉각재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불허한다.
상기 제6배출밸브(162)는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160) 각각의 냉각재 배출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6배출밸브(162)는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160)에서 상기 원자로(10)로 냉각재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불허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원자력발전소의 정상 가동 시, 상기 제4유입밸브(141), 상기 제4배출밸브(142), 상기 제5유입밸브(151), 상기 제5배출밸브(152), 상기 제6유입밸브(161), 및 제6배출밸브(162)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고,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하면, 즉, 메인파이프의 파단 사고가 발생하면, 상기 제4유입밸브(141), 상기 제4배출밸브(142), 상기 제5유입밸브(151), 상기 제5배출밸브(152), 상기 제6유입밸브(161), 및 제6배출밸브(162) 중 파단된 메인파이프에 매칭되는 스패어파이브에 설치된 유입밸브 및 배출밸브를 열린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 중 하나가 파단되는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해당 메인파인프에 설치된 상기 제1유입밸브(111)와 상기 제1배출밸브(112)를 닫히게 하고,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의 유로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제4유입밸브(141)와 상기 제4배출밸브(142)를 열리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센서부(113), 상기 제2감지센서부(123), 및 상기 제3감지센서부(133)는 냉각재 상실 사고의 발생, 즉, 메인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이다.
상술하면, 상기 제1감지센서부(113)는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 각각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1감지센서부(113)는, 도 1에서와 같이, 1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감지센서부(123)는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 각각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2감지센서부(123)는, 도 1에서와 같이, 1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감지센서부(133)는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 각각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3감지센서부(133)는, 도 1에서와 같이, 1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감지센서부(113), 상기 제2감지센서부(123), 및 상기 제3감지센서부(133)는 각각 냉각재의 유동 상 압력 강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토대로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감지센서부(113)와, 상기 제2감지센서부(123)와, 상기 제3감지센서부(133)로부터 메인파이프의 파단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냉각재 상실 사고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감지센서부(143), 상기 제5감지센서부(153), 및 상기 제6감지센서부(163)는 또다른 냉각재 상실 사고의 발생, 즉, 스패어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이다. 이는, 최초의 냉각재 상실 사고에 의해 메인파이프가 중 일부가 파단되어 이를 폐쇄하고 스패어파이프로 대체한 경우에, 파단된 메인파이프의 교체 또는 수리 이전에 다시 대체된 서프파이프의 파단 가능성도 염두에 둔 구성이다.
상술하면, 상기 제4감지센서부(143)는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 각각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4감지센서부(143)는, 도 1에서와 같이, 1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5감지센서부(153)는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150) 각각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5감지센서부(153)는, 도 1에서와 같이, 1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6감지센서부(163)는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60) 각각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6감지센서부(163)는, 도 1에서와 같이, 1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감지센서부(143), 상기 제2감지센서부(153), 및 상기 제3감지센서부(163)는 각각 냉각재의 유동 상 압력 강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토대로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4감지센서부(143)와, 상기 제5감지센서부(153)와, 상기 제6감지센서부(163)로부터 스패어파이프의 파단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또다른 냉각재 상실 사고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100)은 상기 제어부(170)를 통해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110)와,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120)와,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파단되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하면 파단된 메인파이프의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140)와,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150)와,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160) 중 파단된 메인파이프에 매칭되는 스패어파이프의 유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즉각적으로 냉각재의 상실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100)은 냉각재의 상실을 차단함과 동시에 스패어파이프로 기존 냉각재의 순환을 유지하게 하면서 파단된 메인파이프를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100)은 2차적인 냉각재 상실 사고, 즉, 스패어파이프의 파단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실시예
도 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200)은 핫레그메인파이프(210),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220), 콜드레그메인파이프(230), 핫레그스패어파이프(240),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250),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200)은 제1유입밸브(211), 제1배출밸브(212), 제2유입밸브(221), 제2배출밸브(222), 제3유입밸브(231), 제3배출밸브(232), 제4유입밸브(241), 제4배출밸브(242), 제5유입밸브(251), 제5배출밸브(252), 제6유입밸브(261), 및 제6배출밸브(26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200)은 제1감지센서부(213), 제2감지센서부(223), 제3감지센서부(233), 제4감지센서부(243), 제5감지센서부(253), 및 제6감지센서부(26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간명한 설명을 위하여 제1실시예에서와의 차이점만은 부각시켜 설명한다. 그 이외의 부분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제1감지센서부(213)는 복수개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부(223)는 복수개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감지센서부(233)는 복수개의 제3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제1감지센서부(213)가 복수개, 즉, 2개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2개 이상의 감지센서 중 적어도 50% 이상에서 파이프 파단이 감지되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제2감지센서부(223)가 복수개, 즉, 2개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2개 이상의 감지센서 중 적어도 50% 이상에서 파이프 파단이 감지되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제3감지센서부(233)가 복수개, 즉, 2개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2개 이상의 감지센서 중 적어도 50% 이상에서 파이프 파단이 감지되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감지센서부(213)는 각각 제1유입감지센서(213a), 제1중앙감지센서(213b), 및 제1배출감지센서(213c) 3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감지센서부(223)는 각각 제2유입감지센서(223a), 제2중앙감지센서(223b), 및 제2배출감지센서(223c) 3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감지센서부(233)는 각각 제3유입감지센서(233a), 제3중앙감지센서(233b), 및 제3배출감지센서(233c)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70)는 개별적인 메인파이프에서 2 개 이상의 감지센서로부터 파이프 파단이 감지되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감지센서의 오작동을 고려하여 냉각재 상실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4감지센서부(243)는 복수개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5감지센서부(253)는 복수개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6감지센서부(263)는 복수개의 제6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제4감지센서부(243)가 복수개, 즉, 2개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2개 이상의 감지센서 중 적어도 50% 이상에서 파이프 파단이 감지되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제5감지센서부(253)가 복수개, 즉, 2개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2개 이상의 감지센서 중 적어도 50% 이상에서 파이프 파단이 감지되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제6감지센서부(263)가 복수개, 즉, 2개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2개 이상의 감지센서 중 적어도 50% 이상에서 파이프 파단이 감지되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4감지센서부(243)는 각각 제4유입감지센서(243a), 제4중앙감지센서(243b), 및 제4배출감지센서(243c) 3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5감지센서부(253)는 각각 제5유입감지센서(253a), 제5중앙감지센서(253b), 및 제5배출감지센서(253c) 3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6감지센서부(263)는 각각 제6유입감지센서(263a), 제6중앙감지센서(263b), 및 제6배출감지센서(263c)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70)는 개별적인 스패어파이프에서 2 개 이상의 감지센서로부터 파이프 파단이 감지되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감지센서의 오작동을 고려하여 냉각재 상실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은, 주발명자의 성명 이니셜을 따라 SAAS(Suhib Amer Abu-Seini)로 최초 명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원자로의 설계, 유지, 및 정비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 원자로 20: 증기발생기
30: 원자로 냉각 펌프
100, 200: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110, 210: 핫레그메인파이프 120, 220: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
130, 230: 콜드레그메인파이프 140, 240: 핫레그스패어파이프
150, 250: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 160, 260: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
170, 270: 제어부 111, 211: 제1유입밸브
112, 212: 제1배출밸브 113, 213: 제1감지센서부
213a: 제1유입감지센서 213b: 제1중앙감지센서
213c: 제1배출감지센서 121, 221: 제2유입밸브
122, 222: 제2배출밸브 123, 223: 제2감지센서부
223a: 제2유입감지센서 223b: 제2중앙감지센서
223c: 제2배출감지센서 131, 231: 제3유입밸브
132, 232: 제3배출밸브 133, 233: 제3감지센서부
233a: 제3유입감지센서 233b: 제3중앙감지센서
233c: 제3배출감지센서 141, 241: 제4유입밸브
142, 242: 제4배출밸브 143, 243: 제4감지센서부
243a: 제4유입감지센서 243b: 제4중앙감지센서
243c: 제4배출감지센서 151, 251: 제5유입밸브
152, 252: 제5배출밸브 153, 253: 제5감지센서부
253a: 제5유입감지센서 253b: 제5중앙감지센서
253c: 제5배출감지센서 161, 261: 제6유입밸브
162, 262: 제6배출밸브 163, 263: 제6감지센서부
263a: 제6유입감지센서 263b: 제6중앙감지센서
263c: 제6배출감지센서

Claims (15)

  1. 원자력발전소의 1차 계통에 설치되고, 원자로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증기발생기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며,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핫레그메인파이프;
    원자력발전소의 1차 계통에 설치되고, 상기 증기발생기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원자로 냉각 펌프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며,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
    원자력발전소의 1차 계통에 설치되고, 상기 원자로 냉각 펌프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상기 원자로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며,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콜드레그메인파이프;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원자로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상기 증기발생기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며,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는 핫레그스패어파이프;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증기발생기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상기 원자로 냉각 펌프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며,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는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원자로 냉각 펌프에서 배출되는 냉각재를 상기 원자로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며,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는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 및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와,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와,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파단되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하면, 파단된 메인파이프의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와,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와,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 중 파단된 메인파이프에 매칭되는 스패어파이프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 각각의 냉각재 유입 측에 설치되는 제1유입밸브;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 각각의 냉각재 배출 측에 설치되는 제1배출밸브;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 각각의 냉각재 유입 측에 설치되는 제2유입밸브;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 각각의 냉각재 배출 측에 설치되는 제2배출밸브;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 각각의 냉각재 유입 측에 설치되는 제3유입밸브; 및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 각각의 냉각재 배출 측에 설치되는 제3배출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자력발전소의 정상 가동 시, 상기 제1유입밸브와, 상기 제1배출밸브와, 상기 제2유입밸브와, 상기 제2배출밸브와, 상기 제3유입밸브와, 상기 제3배출밸브를 열린 상태로 유지시키고,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하면, 상기 제1유입밸브와, 상기 제1배출밸브, 상기 제2유입밸브와, 상기 제2배출밸브와, 상기 제3유입밸브와, 상기 제3배출밸브 중 파단된 메인파이프에 설치된 유입밸브 및 배출밸브를 닫힌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 각각의 냉각재 유입 측에 설치되는 제4유입밸브;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 각각의 냉각재 배출 측에 설치되는 제4배출밸브;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 각각의 냉각재 유입 측에 설치되는 제5유입밸브;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 각각의 냉각재 배출 측에 설치되는 제5배출밸브;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 각각의 냉각재 유입 측에 설치되는 제6유입밸브; 및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 각각의 냉각재 배출 측에 설치되는 제6배출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자력발전소의 정상 가동 시, 상기 제4유입밸브와, 상기 제4배출밸브와, 상기 제5유입밸브와, 상기 제5배출밸브와, 상기 제6유입밸브와, 상기 제6배출밸브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고,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하면, 상기 제4유입밸브와, 상기 제4배출밸브, 상기 제5유입밸브와, 상기 제5배출밸브와, 상기 제6유입밸브와, 상기 제6배출밸브 중 파단된 메인파이프에 매칭되는 스패어파이브에 설치된 유입밸브 및 배출밸브를 열린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레그메인파이프 각각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부;
    상기 인터미디어트메인파이프 각각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부; 및
    상기 콜드레그메인파이프 각각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센서부와, 상기 제2감지센서부와, 상기 제3감지센서부로부터 메인파이프의 파단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냉각재 상실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센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감지센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센서부가 2개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2개 이상의 제1감지센서 중 적어도 50% 이상에서 파이프 파단이 감지되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부가 2개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2개 이상의 제2감지센서 중 적어도 50% 이상에서 파이프 파단이 감지되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3감지센서부가 2개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2개 이상의 제3감지센서 중 적어도 50% 이상에서 파이프 파단이 감지되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센서부와, 상기 제2감지센서부와, 상기 제3감지센서부는 각각 냉각재의 유동 상 압력 강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토대로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레그스패어파이프 각각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하는 제4감지센서부;
    상기 인터미디어트스패어파이프 각각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하는 제5감지센서부; 및
    상기 콜드레그스패어파이프 각각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하는 제6감지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감지센서부와, 상기 제5감지센서부와, 상기 제6감지센서부로부터 스패어파이프의 파단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냉각재 상실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감지센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5감지센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6감지센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센서부가 2개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2개 이상의 제1감지센서 중 적어도 50% 이상에서 파이프 파단이 감지되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부가 2개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2개 이상의 제2감지센서 중 적어도 50% 이상에서 파이프 파단이 감지되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3감지센서부가 2개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2개 이상의 제3감지센서 중 적어도 50% 이상에서 파이프 파단이 감지되면 냉각재 상실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감지센서부와, 상기 제5감지센서부와, 상기 제6감지센서부는 각각 냉각재의 유동 상 압력 강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토대로 파이프의 파단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KR1020170175746A 2017-12-20 2017-12-20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KR10200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746A KR102007252B1 (ko) 2017-12-20 2017-12-20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746A KR102007252B1 (ko) 2017-12-20 2017-12-20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417A true KR20190074417A (ko) 2019-06-28
KR102007252B1 KR102007252B1 (ko) 2019-08-06

Family

ID=6706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746A KR102007252B1 (ko) 2017-12-20 2017-12-20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2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9986A (ja) * 1991-02-04 1993-08-20 Framatome Et Cogema <Fragema> 加圧水型原子炉の炉心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
JPH0713669B2 (ja) * 1985-04-02 1995-0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常用炉心冷却方法及び装置
KR20050022413A (ko) * 2003-08-30 2005-03-08 한국원자력연구소 가압 경수로형 원자로의 비상노심냉각계통
KR101071415B1 (ko) 2011-04-15 2011-10-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bo와 loca 대처 피동 고압안전주입탱크 시스템
KR101748143B1 (ko) * 2016-02-18 2017-06-1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의 저온과압사고 완화대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69B2 (ja) * 1985-04-02 1995-0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常用炉心冷却方法及び装置
JPH05209986A (ja) * 1991-02-04 1993-08-20 Framatome Et Cogema <Fragema> 加圧水型原子炉の炉心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
KR20050022413A (ko) * 2003-08-30 2005-03-08 한국원자력연구소 가압 경수로형 원자로의 비상노심냉각계통
KR101071415B1 (ko) 2011-04-15 2011-10-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bo와 loca 대처 피동 고압안전주입탱크 시스템
KR101748143B1 (ko) * 2016-02-18 2017-06-1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의 저온과압사고 완화대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252B1 (ko)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9993C2 (ru) Электромонтаж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защиты от перегрева установки для подачи воздуха, отбираемого от двигателя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дачи отбираемого воздуха, содержащая эту систему
EP2592318B1 (en) Pipeline protection systems
US20130025546A1 (en) Combustion apparatus
US10541059B2 (en) Digital protection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EP3646343A1 (en) Flow mixing t-unit of reactor volume control system
JP2020098599A (ja) 減圧弁
US20110249784A1 (en) Driving system of relief safety valve
KR20190074417A (ko) 냉각재 상실 사고 대응 시스템
CN206946957U (zh) 用于防止压水堆放射性物质释放的管路系统
KR101997638B1 (ko)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 시스템
KR101444840B1 (ko) 플레어 라인 시스템 및 플레어 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44838B1 (ko) 플레어 라인 시스템 및 플레어 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99892B1 (ko)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 시스템
KR101748143B1 (ko) 원자력발전소의 저온과압사고 완화대체장치
KR101501457B1 (ko) 원자로 수조의 사이펀 효과 차단장치 및 이를 위한 제어방법
US20150013343A1 (en) Method and device for safely operating a gas turbine plant
US10337356B2 (en) Steam power installation comprising valve-stem leakage steam line
JP2007187543A (ja) 残留熱除去系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7107735A (ja) 水冷設備及び水冷方法
KR101070560B1 (ko) 원자로의 노심 보호 연산장치 및 방법
BR102017026123A2 (pt) Sistema de proteção digital para usina nuclear
WO2017063615A1 (en) Passively actuated cross-flow valve for a coaxial tubing
KR101692134B1 (ko) 유지보수 대상물의 성능 유지 장치
JP2012229959A (ja) 原子力プラント
CN116110631A (zh) 一种小型压水堆的事故处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