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355A -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 Google Patents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355A
KR20190074355A KR1020170175631A KR20170175631A KR20190074355A KR 20190074355 A KR20190074355 A KR 20190074355A KR 1020170175631 A KR1020170175631 A KR 1020170175631A KR 20170175631 A KR20170175631 A KR 20170175631A KR 20190074355 A KR20190074355 A KR 20190074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air supply
pip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309B1 (ko
Inventor
조승연
이형순
김선홍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3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6
    • F24F2003/166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overpressure in a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8Rad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Abstract

본 발명은 급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오염을 감지하면 실외 공기를 급기하여 실내 공기압의 양압화(陽壓化)를 통해 외부에서 유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실내에서 유해 물질을 밀어내어 유해 물질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실외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등의 구성을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배관 모듈에 설치하여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장치의 크기와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SMART AIR SUPPLYING DEVICE WITH SENSOR}
본 발명은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공기의 오염을 감지하면 실외 공기를 급기하여 실내 공기압의 양압화(陽壓化)를 통해 외부에서 유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실내에서 유해 물질을 밀어내어 유해 물질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생활하는 공간인 실내 또는 지하실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 물질과 초미세먼지가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오염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오염원에는 미립자의 자연 방사능인 라돈이 포함되어 있다.
오염된 실내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하고, 신선한 실외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환기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개구부(일반적으로, 창호 시스템)를 통해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에 따른 공기의 비중량 차, 또는 풍력 등을 원동력으로 하여 실내의 환기가 행해지는 자연환기와, 송풍기를 설치하여 강제로 실내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또는 실내 공기를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환기를 하는 강제환기(또는 기계환기)가 있다.
그러나 창문을 통해 환기를 시키는 자연환기는, 강한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거나, 빗물이나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더불어 황사 또는 대기오염에 의해 오염된 외기가 직접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 위생환경에 영향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환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박스형태의 하우징(1) 내부에 실외공기가 실내로 안내되는 급기덕트(10)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10)와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며 실내공기가 실외로 안내되는 배기덕트(20)가 구비된다.
상기 급기덕트(10)와 배기덕트(20)가 교차하는 지점에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열 교환하는 전열교환기(5)가 구비된다.
상기 급기덕트(10)의 일단에 실외와 연통(連通)되는 급기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타단에 실내와 연통되는 급기 배출구(13)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덕트(20)의 일단에 실내와 연통되는 배기 흡입구(21)가 형성되고 타단에 실외와 연통되는 배기배출구(23)가 형성된다.
상기 급기덕트(10)의 급기 배출구(13) 측에 실외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급기팬(15)이 구비되고, 상기 배기덕트(20)의 배기 흡입구(21) 측에 실내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배기팬(25)이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는 별도의 급기덕트(10)와 배기덕트(20)를 설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 유로를 구비한 벽걸이용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벽걸이용 공기청정기(30)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구비되고, 벽에 부착가능토록 제공된 벽걸이 하우징(31)과, 상기 벽걸이 하우징(31)의 상부에 구비되어, 실외 공기를 벽걸이 하우징 내부로 공급토록 제공된 환기유로부(40)와, 흡입구에 인접하게 벽걸이 하우징에 내장되어, 벽걸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기청정필터와, 송풍팬을 통해 공기를 흡힙 및 토출하는 교환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벽걸이용 공기청정기는 벽을 관통하는 환기 유로를 구성하여 외부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복잡한 급기덕트와 배기덕트 없이 실외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실외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등의 구성이 벽걸이 하우징에 설치됨으로써, 벽면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의 크기와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공기 순환 및 환기형으로, 주변의 근거리에만 환기 효과가 있어 실내 전체에 환기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16901호(환기유로를 구비한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오염을 감지하면 실외 공기를 급기하여 실내 공기압의 양압화(陽壓化)를 통해 외부에서 유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실내에서 유해 물질을 밀어내어 유해 물질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급기장치로서,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필터 카트리지부가 설치되어 실외 공기를 필터링하여 급기 모듈로 공급하는 배관 모듈; 및 상기 벽면의 실내측에 부착되고, 미리 설정된 실내 공간의 유해 물질 농도를 검출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을 감지하면 상기 배관 모듈을 통해 실외 공기를 급기하여 실내 공기압이 양압화(陽壓化)되도록 동작하는 급기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관 모듈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외 공기에 포함된 유해 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카트리지부; 및 상기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부 및 필터 카트리지부와 상기 급기 모듈이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급기 모듈이 벽면 측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관 모듈은 상기 플랜지부와 급기 모듈 사이에 설치한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관부는 일정 크기의 직경을 형성한 배관부 몸체; 및 상기 배관부 몸체의 내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관부는 실외측 말단에 설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는 배관부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카트리지부 몸체; 및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에 포함된 유해 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살균 동작을 수행하는 UV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 몸체의 외부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필터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 몸체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를 잡아당겨 배관부에 인출되도록 구성한 인출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일정 크기의 플랜지부 관통공을 형성한 플랜지부 몸체; 및 상기 플랜지부 몸체에 상기 급기 모듈과 치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급기 모듈이 상기 플랜지부 몸체에 밀착 고정되도록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일정 크기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급기 모듈은 일측에 급기 토출구를 형성한 급기 모듈 하우징; 상기 급기 모듈 하우징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동작신호를 입력받는 스위치 입력부; 상기 급기 모듈 하우징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유해 물질의 농도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급기 제어 판단용 기준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실외 공기가 실내에 급기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분석된 유해 물질의 농도에 따른 오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실외 공기를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급기모듈은 상기 송풍되는 실외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부는 미세먼지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라돈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부는 배관 모듈에서 공급되는 실외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상기 배관 모듈을 통과한 실외 공기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오염을 감지하면 실외 공기를 급기하여 실내 공기압의 양압화(陽壓化)를 통해 외부에서 유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실내에서 유해 물질을 밀어내어 유해 물질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등의 구성을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배관 모듈에 설치하여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장치의 크기와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환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 유로를 구비한 벽걸이용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의 배관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의 급기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의 배관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의 급기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는 배관 모듈(100)과 급기 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관 모듈(100)은 벽면(30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필터 카트리지부(120)가 설치되어 실외 공기를 필터링하여 급기 모듈(200)로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배관부(110)와, 필터 카트리지부(120)와, 플랜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관부(110)는 건물의 벽면(300)에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는 관통공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배관부 몸체(111)와, 가이드부(112)와, 차단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관부 몸체(111)는 배관부(110)의 외형으로서, 일정 크기의 직경을 형성하고, 건물의 벽면(300) 두께에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112)는 상기 배관부 몸체(111)의 내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필터 카트리지부(120)와 치합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배관부 몸체(111)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12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배관부 몸체(111)에 삽입되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120)가 일정한 위치에 삽입되도록 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12)는 가이드부(112)의 임의의 위치에 걸림돌기(112a)를 형성하여 결합된 필터 카트리지부(120)가 배관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차단부(113)는 상기 배관부 몸체(111)의 실외측 말단에 설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배관부 몸체(111)와 벽면(300) 사이를 통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PE 등의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차단부(113)는 배관부 몸체(111)의 말단부 둘레를 따라 원뿔대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관부 몸체(111)가 벽면(300)을 통과하는 동안 가요성 재질의 특성상 오므려진 상태로 통과하고, 상기 배관부 몸체(111)가 벽면(300)을 통과하면 펼쳐짐으로써, 상기 배관부 몸체(111)와 벽면(300) 사이의 공간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120)는 배관부(110)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외 공기에 포함된 유해 물질을 필터링하는 구성으로서, 카트리지부 몸체(121)와, 필터부(122)와, UV 살균부(123)와, 필터 가이드 홈(124)과, 인출선(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 몸체(121)는 상기 배관부 몸체(111)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부(122)는 카트리지부 몸체(1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에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유해 물질을 필터링하는 구성으로서, 일정 크기의 필터부재를 권취하여 롤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유해 물질이 상기 필터부(1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여과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122)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고분자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집진된 세균이 번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방부 및 향균이 가능한 은 나노 입자, 구리 나노 입자, 산화아연 나노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혼합하여 구성되며, 활성탄, 제오라이트 등의 다공성 탈취제를 추가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122)는 표면에 전하가 대전된 전하층을 형성하여 정전기에 의한 집진 효율이 더욱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10㎸ ~ 40㎸의 코로나 방전을 통해 전하가 필터부(122)의 표면에 대전되도록 함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먼지 및 세균의 포집이 더욱 증가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필터부(122)의 일측은 (+)의 극성을 가지게 되고, 상기 필터부(122)의 타측은 (-)의 극성을 가지게 되며, 상기 필터부(122)를 권취하게 되면 (+)와 (-)의 극성이 교대로 쌓여 강한 정전기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전압 발생에 의해 필터부(122)를 대전한 다음, 상기 필터부(122)의 표면에 부도체 피막층(미도시)을 형성하여 정전기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122)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말단부에 메쉬망(122a)을 추가 구성함으로써,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링한다.
상기 UV 살균부(123)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 몸체(1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실외에서 유입되는 유해 세균의 살균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UV 램프, UV LED 등의 자외선을 발광하는 광출력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UV 살균부(123)는 카트리지부 몸체(121)의 일측 말단에 설치된 단자부(123a)를 통해 급기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기 모듈(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터 가이드 홈(124)은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 몸체(121)의 외부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홈부로서, 배관부(110)의 내부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12)와 치합됨으로써,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120)가 상기 배관부(11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터 가이드 홈(124)은 가이드부(112)의 걸림돌기(112a)와 치합하여 상기 필터부(122)가 배관부(110)에 고정되도록 형성한 걸림홈(124a)을 구비한다.
상기 인출선(125)은 필터 카트리지부 몸체(121)의 말단부에 연결된 일정 길의 끈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배관부(110)에 고정된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120)의 교환 등을 위해 분리할 경우, 상기 인출선(125)을 잡아당겨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120)가 배관부(110)에서 분리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130)는 벽면(300)에 볼트(미도시)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고, 상기 급기 모듈(200)과 결합하여 벽면(300) 측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배관부(110) 및 필터 카트리지부(120)가 상기 급기 모듈(200)에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플랜지부 몸체(131)와, 고정부(132)와 보강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 몸체(131)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벽면(300)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는 일정 크기의 플랜지부 관통공(131a)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 관통공(131a)의 직경은 배관부 몸체(111)의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 몸체(131)는 복수의 결합공(131b)이 형성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플랜지부(130)가 벽면(3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132)는 플랜지부 몸체(131)에 설치되어 급기 모듈(200)에 상기 고정부(132)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급기 모듈(200)이 플린지부(130)를 통해 벽면(300)과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132)는 걸쇠 형상으로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멍 등의 결합공으로 형성하여 급기 모듈(200)의 일부를 끼움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보강부(133)는 플랜지부 몸체(131)의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일정 크기 돌출된 구성으로서, 상기 플랜지 몸체(131)에 결합공(131b)이 형성될 경우 상기 결합공(131b)으로 인한 플랜지 몸체(131)의 면적이 감소하여 상기 플랜지 몸체(131)의 강성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개스킷(140)은 플랜지부(130)와 급기 모듈(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랜지부(130)와 급기 모듈(200) 사이가 밀폐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스킷(140)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직경은 카트리지부 몸체(121)의 직경과 동일하게나 또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130)와 급기 모듈(200) 사이가 더욱 견고하게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 급기 모듈(200)은 벽면(300)의 실내측에 부착되고, 미리 설정된 실내 공간의 유해 물질 농도를 검출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을 감지하면 상기 배관 모듈(100)을 통해 실외 공기를 급기하여 실내 공기압이 양압화(陽壓化)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급기 모듈 하우징(210)과, 스위치 입력부(220)와, 센서부(230)와, 제어부(240)와, 표시부(250)와, 송풍팬(260)과, 히터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기 모듈 하우징(210)은 사각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스위치 입력부(220)와, 센서부(230)와, 제어부(240)와, 표시부(250)와, 송풍팬(260)과, 히터부(270)가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급기 모듈 하우징(210)은 일측이 배기 모듈(100)과 연결되고, 타측은 급기 토출구(211)가 형성되어 상기 배기 모듈(100)을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실내에 급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 입력부(220)는 급기 모듈 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전원의 온/오프 제어, 각종 센서들의 온/오프 제어, 히터부(270)의 온/오프 제어 등을 포함한 임의의 동작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센서부(230)는 급기 모듈 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센서부(230)는 미세먼지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라돈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유해 물질 정보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230)는 배관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실외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배관 모듈(100)을 통과한 실외 공기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추가 구성한다.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한 온도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온도차를 개선할 수 있도록 히터부(270)의 동작 제어용 신호로 사용하고, 압력 센서는 필터 카트리지부(120)를 통과한 실외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120)의 교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스위치 입력부(220)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동작 설정 신호 또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급기 모듈(200)이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센서부(230)에서 검출된 유해 물질의 측정 정보로부터 농도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급기 제어 판단용 기준값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분석된 유해 물질의 농도값이 상기 급기 제어 판단용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240)는 표시부(250)로 측정된 유해 물질의 종류와 농도값이 표시되도록 하고, 실외 공기가 실내에 급기되도록 송풍팬(260)으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실외 공기의 온도와 실내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여 일정 온도차 이상이면, 상기 실외 공기의 온도가 가열되도록 히터부(270)로 온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센서부(230)에서 검출된 유해 물질의 측정 정보가 급기 제어 판단용 기준값 이하가 되면, 송풍팬(260)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송풍팬(260)이 일정 시간 동안 추가 구동된 다음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250)는 급기 모듈 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제어부(240)에서 분석된 유해 물질의 농도에 따른 오염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LED LCD 등의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팬(260)은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실외 공기를 실내에 송풍하는 구성으로서, 배관 모듈(100)에서 유해 물질이 여과된 실외 공기가 실내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히터부(270)는 송풍팬(260)을 통해 실내로 송풍되는 실외 공기를 일정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실내 공기의 오염을 감지하면 실외 공기를 급기하여 실내 공기압의 양압화(陽壓化)를 통해 외부에서 유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실내에서 유해 물질을 밀어내어 유해 물질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실외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등의 구성을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배관 모듈에 설치하여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 모듈의 크기와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배관 모듈 110 : 배관부
111 : 배관부 몸체 112 : 가이드부
112a : 걸림돌기 113 : 차단부
120 : 필터 카트리지부 121 : 카트리지부 몸체
122 : 필터부 122a : 메쉬망
123 : UV 살균부 123a : 단자부
124 : 필터 가이드 홈 124a : 걸림홈
125 : 인출선 130 : 플랜지부
131 : 플랜지 몸체 131a : 플랜지부 관통공
131b : 보강부 131c : 결합공
132 : 고정부 140 : 개스킷
200 : 급기 모듈 210 : 급기 모듈 하우징
211 : 급기 토출구 220 : 스위치 입력부
230 : 센서부 240 : 제어부
250 : 표시부 260 : 송풍팬
270 : 히터부 300 : 벽면

Claims (15)

  1. 벽면(30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필터 카트리지부(120)가 설치되어 실외 공기를 필터링하여 급기 모듈(200)로 공급하는 배관 모듈(100); 및
    상기 벽면(300)의 실내측에 부착되고, 미리 설정된 실내 공간의 유해 물질 농도를 검출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을 감지하면 상기 배관 모듈(100)을 통해 실외 공기를 급기하여 실내 공기압이 양압화(陽壓化)되도록 동작하는 급기 모듈(200)을 포함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모듈(100)은 건물의 벽면(300)에 설치되는 배관부(110);
    상기 배관부(110)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외 공기에 포함된 유해 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카트리지부(120); 및
    상기 벽면(300)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부(110) 및 필터 카트리지부(120)와 상기 급기 모듈(200)이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급기 모듈(200)이 벽면(300) 측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플랜지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모듈(100)은 상기 플랜지부(130)와 급기 모듈(200) 사이에 설치한 개스킷(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110)는 일정 크기의 직경을 형성한 배관부 몸체(111); 및
    상기 배관부 몸체(111)의 내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가이드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110)는 실외측 말단에 설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120)는 배관부 몸체(111)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카트리지부 몸체(121); 및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 몸체(1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에 포함된 유해 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120)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 몸체(1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살균 동작을 수행하는 UV 살균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120)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 몸체(121)의 외부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필터 가이드 홈(1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120)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 몸체(121)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카트리지부(120)를 잡아당겨 배관부(110)에 인출되도록 구성한 인출선(1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30)는 상기 벽면(300)에 고정 설치되고, 일정 크기의 플랜지부 관통공(131a)을 형성한 플랜지부 몸체(131); 및
    상기 플랜지부 몸체(131)에 상기 급기 모듈(200)과 치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급기 모듈(200)이 상기 플랜지부 몸체(131)에 밀착 고정되도록 결합하는 고정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30)는 상기 플랜지부 몸체(131)의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일정 크기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 보강부(1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모듈(200)은 일측에 급기 토출구(211)를 형성한 급기 모듈 하우징(210);
    상기 급기 모듈 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동작신호를 입력받는 스위치 입력부(220);
    상기 급기 모듈 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센서부(230);
    상기 센서부(230)에서 검출된 유해 물질의 농도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급기 제어 판단용 기준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실외 공기가 실내에 급기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40);
    상기 분석된 유해 물질의 농도에 따른 오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50); 및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실외 공기를 실내에 송풍하는 송풍팬(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모듈(200)은 상기 송풍되는 실외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30)는 미세먼지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라돈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30)는 배관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실외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상기 배관 모듈(100)을 통과한 실외 공기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KR1020170175631A 2017-12-20 2017-12-20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KR102091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631A KR102091309B1 (ko) 2017-12-20 2017-12-20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631A KR102091309B1 (ko) 2017-12-20 2017-12-20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355A true KR20190074355A (ko) 2019-06-28
KR102091309B1 KR102091309B1 (ko) 2020-03-19

Family

ID=6706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631A KR102091309B1 (ko) 2017-12-20 2017-12-20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223A (ko) * 2019-09-20 2021-03-30 정 흠 한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청정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011B1 (ko) * 2020-09-11 2021-03-22 김진수 친환경 및 고효율 공기조화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625U (ja) * 1991-11-06 1993-05-28 大井 正雄 空気清浄用フイルタユニツト
JPH0673628U (ja) * 1993-03-29 1994-10-18 三洋電機株式会社 換気扇
KR100540694B1 (ko) * 2004-04-13 2006-01-10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실내공기질 제어를 위한 창호 일체형 환기장치
JP2006284113A (ja) * 2005-04-01 2006-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扇取付装置
JP2010196941A (ja) * 2009-02-24 2010-09-09 Panasonic Corp 換気扇取付装置
KR20120016901A (ko) 2010-08-17 2012-02-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환기유로를 구비한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KR20150146313A (ko) * 2014-06-23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625U (ja) * 1991-11-06 1993-05-28 大井 正雄 空気清浄用フイルタユニツト
JPH0673628U (ja) * 1993-03-29 1994-10-18 三洋電機株式会社 換気扇
KR100540694B1 (ko) * 2004-04-13 2006-01-10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실내공기질 제어를 위한 창호 일체형 환기장치
JP2006284113A (ja) * 2005-04-01 2006-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扇取付装置
JP2010196941A (ja) * 2009-02-24 2010-09-09 Panasonic Corp 換気扇取付装置
KR20120016901A (ko) 2010-08-17 2012-02-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환기유로를 구비한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KR20150146313A (ko) * 2014-06-23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223A (ko) * 2019-09-20 2021-03-30 정 흠 한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청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309B1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864958B (zh) 具有智能传感器和气流的空气净化器
US7338358B2 (en) Apparatus for air purifying and ventilating
KR101797204B1 (ko) 실시간 환경 감응형 공동주택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US11788754B2 (en)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KR101895978B1 (ko) 미세먼지 정화기능이 구비된 천장용 조명등
KR101860904B1 (ko) 청정 공기 공급기,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설치되는 창틀
US10139119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2914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biological Organisms in Commercial Icemakers and Coolers
CN105180296A (zh) 用于降低空气传播污染物的系统和方法
CN104089382B (zh) 一种新风系统
CN103298494A (zh) 空气净化系统
KR20190074355A (ko) 센서와 연동한 스마트 급기장치
KR20190115785A (ko) 전기집진필터가 적용된 열회수형 환기장치
CA2676654C (en) Air decontamination system
KR20210048156A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JP2018110689A (ja) 互換性を有する通気継手で連結した清浄・浄化システム
US11859842B2 (en) Indoor ai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cooling system of a building
JP2014009823A (ja) 空気調和装置
JP2006105408A (ja) 空気清浄化システム
KR102147799B1 (ko) 천장 매립형 공기청정기
CN106016481A (zh) 一种空气净化装置
JP2020076548A (ja) 外部空気の室内供給装置
KR102031650B1 (ko) 전열교환기 무선 연동으로 오염표시 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JP2023071590A (ja) 気象情報に連動したエネルギー節減型空気清浄クリーン換気システム
JP2019199989A (ja)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