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923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923A
KR20190073923A KR1020170175177A KR20170175177A KR20190073923A KR 20190073923 A KR20190073923 A KR 20190073923A KR 1020170175177 A KR1020170175177 A KR 1020170175177A KR 20170175177 A KR20170175177 A KR 20170175177A KR 20190073923 A KR20190073923 A KR 20190073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ist
base frame
gantry
turr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274B1 (ko
Inventor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2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선박을 제공한다. 선박은 터렛과, 상기 터렛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갠트리, 및 호이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갠트리의 지지 기둥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는 부유식 오일 생산 저장 하역 설비로서, 해양 플랜트(plant) 또는 드릴쉽(drill ship)에서 채굴한 오일을 정제 및 저장하여, 셔틀 탱커(shuttle tanker) 또는 기타 이송 장소에 하역하는 특수 선박이다.
저장 능력에 따라 100만 배럴 미만의 소형 FPSO, 100~150만 배럴의 중형 FPSO, 150~200만 배럴의 대형 FPSO, 및 200만 배럴 이상의 초대형 FPSO로 구분될 수 있다. FPSO는 주요 석유업체들이 심해저 유전에 눈길을 돌리면서 각광 받게 되었다.
FPSO의 경우, 해상에 정박하여 해저로부터 오일(oil) 또는 가스(gas)를 추출하기 위해 터렛 터미널(turret terminal)을 선박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한다. 터렛 터미널을 통해 채굴한 오일 또는 가스는 FPSO로 이송되어 정제 및 저장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2692호 (2015.04.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의 일 면(aspect)은 터렛과, 상기 터렛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갠트리, 및 호이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갠트리의 지지 기둥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장치는 일측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갠트리에서 외부로 돌출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호이스트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호이스트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호이스트 지지대는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상기 지지 기둥의 특정 지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의 지지 기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가 갠트리의 지지 기둥을 따라 승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지지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지지대를 따라 호이스트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승강 장치에 구비된 호이스트 지지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0)은 터렛(20), 갠트리(30) 및 승강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렛(20)은 선박(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터렛(20)은 계류선(MC)에 연결될 수 있다. 계류선(MC)의 일측은 터렛(20)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해저지반(SB)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터렛(20)은 해상의 특정 지점에 위치 및 자세가 고정될 수 있다.
선박(10)은 터렛(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터렛(20)의 위치 및 자세가 고정됨에 따라 선박(10)은 터렛(20)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 이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갠트리(30)는 터렛(20)을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다. 터렛(20)의 상측 부분 일부가 갠트리(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갠트리(30)는 터렛(20)에 대한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는 갠트리(30)에 구비된 발판을 따라 이동하면서 터렛(20)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승강 장치(40)는 중량물의 운반을 위한 호이스트를 구비할 수 있다. 호이스트가 이용되어 갠트리(30)의 내부에서 중량물의 운반이 수행될 수 있다. 승강 장치(40)는 갠트리(30)의 지지 기둥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갠트리(30)의 내부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각 층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승강 장치(40)가 갠트리(30)의 지지 기둥을 따라 승강함에 따라 작업자는 각 층에서 중량물에 대한 운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승강 장치(40)는 베이스 프레임(100), 호이스트 지지대(200), 호이스트(300), 슬라이드 구동부(400), 승강 구동부(500) 및 고정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일측이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 기둥(31)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지지 기둥(31)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은 관통 홀(H)을 구비할 수 있다. 관통 홀(H)을 통하여 지지 기둥(31)이 관통하고, 베이스 프레임(100)이 지지 기둥(31)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갠트리(30)에서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갠트리(30)의 내부는 터렛(20)을 포함한 다양한 자재가 구비되기 때문에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이 갠트리(30)에서 외부로 돌출 배치됨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00)은 구조물에 대한 간섭 없이 자유롭게 지지 기둥(31)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호이스트 지지대(20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호이스트(30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호이스트 지지대(200)의 지지 몸체(210)의 하단에는 호이스트(30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지지 레일(212)(도 8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호이스트 지지대(200)는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호이스트 지지대(20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지지 몸체(210)의 외측 방향으로 복수의 수평 지지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수평 지지대(220)의 말단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슬라이드 홈(SG)에 삽입되어 호이스트 지지대(200)가 베이스 프레임(100)에 지지될 수 있다. 수평 지지대(220)의 말단에는 롤러(221)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221)에 의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한 호이스트 지지대(200)의 수평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2개의 호이스트 지지대(200)를 포함하여 승강 장치(40)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승강 장치(40)에 구비되는 호이스트 지지대(200)의 개수가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드 구동부(40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한 호이스트 지지대(200)의 수평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슬라이드 구동부(400)의 구동력에 의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하여 호이스트 지지대(200)가 수평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지지 몸체(210)의 상부에는 랙 기어(211)가 구비될 수 있다. 랙 기어(211)는 슬라이드 구동부(400)와 기어 결합하여 슬라이드 구동부(400)의 구동력을 지지 몸체(210)에 전달할 수 있다.
승강 구동부(500)는 갠트리(30)의 지지 기둥(31)에 대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 기둥(31)의 표면에는 랙 기어(32)(도 4 참조)가 구비되는데, 승강 구동부(500)가 랙 기어(32)에 기어 결합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베이스 프레임(100)에 전달할 수 있다.
고정부(6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을 지지 기둥(31)의 특정 지점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부(600)는 실린더(610) 및 피스톤(6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620)의 적어도 일부는 실린더(6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피스톤(620)의 나머지 일부는 실린더(61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실린더(61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방출된 피스톤(620)은 지지 기둥(31)에 구비된 고정 홀(33)(도 4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피스톤(620)이 고정 홀(33)에 삽입됨에 따라 지지 기둥(31)에 대한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강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갠트리의 지지 기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가 갠트리의 지지 기둥을 따라 승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갠트리(30)는 적어도 2개의 지지 기둥(31)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장치(40)는 갠트리(30)에 구비된 적어도 2개의 지지 기둥(3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 기둥(31)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승강 장치(40)는 지지 기둥(31)을 따라 수직 이동할 수 있다.
지지 기둥(31)은 랙 기어(32)를 포함할 수 있다. 랙 기어(32)는 지지 기둥(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랙 기어(32)는 승강 구동부(500)와 기어 결합하여 승강 구동부(500)의 구동력이 승강 장치(4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승강 장치(40)는 자세가 유지된 상태에서 지지 기둥(31)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기둥(31)은 고정 홀(3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홀(33)은 승강 장치(40)를 지지 기둥(3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600)의 피스톤(620)이 고정 홀(33)에 삽입됨에 따라 승강 장치(40)는 지지 기둥(31)의 해당 지점에 고정되어 하강이 방지될 수 있다.
승강 장치(40)를 갠트리(30)의 특정 층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고정부(600)를 이용한 승강 장치(40)의 고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은 실린더(610) 및 피스톤(6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부(600)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고정부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고정부는 레일 브레이크(rail brake)일 수 있다. 레일 브레이크의 형태로 고정부가 구비된 경우 고정부는 마찰력 또는 자기력으로 승강 장치(40)를 지지 기둥(31)의 특정 지점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실린더(610) 및 피스톤(6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부(60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지지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호이스트 지지대(20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하여 수평 이동할 수 있다.
호이스트 지지대(200)의 지지 몸체(210)를 따라 복수의 수평 지지대(22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수평 지지대(220) 중 적어도 2개가 베이스 프레임(100)에 지지됨에 따라 호이스트 지지대(200)는 자세가 유지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하여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지지 몸체(210)의 상부에는 랙 기어(211)가 구비되는데, 슬라이드 구동부(400)의 구동력이 랙 기어(211)를 통해 호이스트 지지대(200)로 전달되어 호이스트 지지대(200)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지지대를 따라 호이스트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호이스트(300)는 호이스트 지지대(200)를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에서 외부로 방출된 호이스트 지지대(200)는 갠트리(3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호이스트 지지대(200)가 갠트리(30)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호이스트(300)는 호이스트 지지대(200)를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갠트리(30)의 해당 층에서 호이스트(300)를 이용한 중량물이 운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승강 장치에 구비된 호이스트 지지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승강 장치(50)는 베이스 프레임(1100, 호이스트 지지대(1200), 호이스트(1300), 슬라이드 구동부(1400), 승강 구동부(1500) 및 고정부(1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100은 일측이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 기둥(31)에 결합되어 지지 기둥(31)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승강 구동부(1500)는 베이스 프레임(110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 구동부(1400)는 베이스 프레임(1100에 대한 호이스트 지지대(1200)의 수평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고정부(1600)는 베이스 프레임(1100을 지지 기둥(31)의 특정 지점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베이스 프레임(1100, 슬라이드 구동부(1400), 승강 구동부(1500) 및 고정부(1600)의 형태 및 기능은 전술한 베이스 프레임(100), 슬라이드 구동부(400), 승강 구동부(500) 및 고정부(600)의 형태 및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호이스트 지지대(1200)는 지지 몸체(1210) 및 지지 레일(1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 몸체(1210)는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몸체(1210)는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지지 몸체(1210)의 외측 표면에는 롤러(1221)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1221)에 의하여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호이스트 지지대(1200)의 수평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지지 레일(1220)은 호이스트(130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호이스트(1300)는 지지 레일(1220)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레일(1220)은 전체적으로 "C"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지지 레일(1220)은 일측이 개방된 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지지 레일(1220)이 "C"자의 형상을 가짐에 따라 호이스트(1300)는 곡선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갠트리(30)의 내부에는 터렛(20)의 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 호이스트 지지대(1200)가 갠트리(30)의 내부에 진입한 경우 지지 레일(1220)은 터렛(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호이스트(1300)를 이용하여 터렛(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중량물을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선박 20: 터렛
30: 갠트리 31: 지지 기둥
32: 랙 기어 33: 고정 홀
40, 50: 승강 장치 100, 1100: 베이스 프레임
200, 1200: 호이스트 지지대 210, 1210: 지지 몸체
211: 랙 기어 212, 1220: 지지 레일
220: 수평 지지대 300, 1300: 호이스트
400, 1400: 슬라이드 구동부 500, 1500: 승강 구동부
600, 1600: 고정부 610: 실린더
620: 피스톤 H: 관통 홀
SG: 슬라이드 홈

Claims (5)

  1. 터렛;
    상기 터렛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갠트리; 및
    호이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갠트리의 지지 기둥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일측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갠트리에서 외부로 돌출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호이스트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호이스트 지지대를 포함하는 선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 지지대는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선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상기 지지 기둥의 특정 지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170175177A 2017-12-19 2017-12-19 선박 KR102027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177A KR102027274B1 (ko) 2017-12-19 2017-12-19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177A KR102027274B1 (ko) 2017-12-19 2017-12-19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923A true KR20190073923A (ko) 2019-06-27
KR102027274B1 KR102027274B1 (ko) 2019-10-01

Family

ID=6705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177A KR102027274B1 (ko) 2017-12-19 2017-12-19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2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734A (ko) * 2008-03-21 2010-11-29 사이뼁 소시에떼아노님 분리 가능한 바닥부/표면 연결 덕트용의 도킹 부표를 갖는 릴을 포함하는 지지물
KR20120097746A (ko) * 2011-02-25 2012-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렛장치
KR20140005356U (ko) * 2013-04-08 2014-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탑사이드 모듈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20140135356A (ko) * 2013-05-16 2014-1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쐐기 형상의 터릿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1512692B1 (ko) 2013-12-20 2015-04-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터렛 지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20160001236U (ko) * 2014-10-06 2016-04-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걸이 형 모노레일 직렬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734A (ko) * 2008-03-21 2010-11-29 사이뼁 소시에떼아노님 분리 가능한 바닥부/표면 연결 덕트용의 도킹 부표를 갖는 릴을 포함하는 지지물
KR20120097746A (ko) * 2011-02-25 2012-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렛장치
KR20140005356U (ko) * 2013-04-08 2014-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탑사이드 모듈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20140135356A (ko) * 2013-05-16 2014-1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쐐기 형상의 터릿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1512692B1 (ko) 2013-12-20 2015-04-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터렛 지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20160001236U (ko) * 2014-10-06 2016-04-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걸이 형 모노레일 직렬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274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3105B1 (en) An offshore system comprising a rig and a cantilever
JP2021508792A (ja) 杭保持システム
WO2017222389A1 (en) Jack-up rig for performing multiple independent operations simultaneously
US20060032850A1 (en) Adjustable basket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cargo
KR200492496Y1 (ko) 드릴 파이프 핸들링 시스템
KR101487298B1 (ko) 멀티 라이저 크레인
KR20190073923A (ko) 선박
KR101531577B1 (ko) 블록 전도 및 블록 의장품 간섭 방지용 장치
US201501397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elf-contained lifting device
KR101540288B1 (ko) 선박 구조물 지지체
CN111936382A (zh) 用于例如恶劣环境下的半潜式钻井船
KR101608060B1 (ko) 시추용 선박
KR101690752B1 (ko) 크레인 붐 레스트
KR101487499B1 (ko) 복수의 라이저를 이송하는 라이저 이송장치
KR101778379B1 (ko) 라이저 핸들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이저 핸들링 방법 및 이를 포함한 시추선
KR101498209B1 (ko) 컨테이너 선박
EP3829967B1 (en) Semi-submersible
KR101722245B1 (ko) 사다리형 작업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0492200Y1 (ko) 라이저 캡쳐 장치
KR101826130B1 (ko) 시추선
KR102138948B1 (ko) 라이저 핸들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한 시추선
NO20151748A1 (en) Riser handling on a drilling rig and a flip and service machine for riser handling on a drilling rig
KR102138947B1 (ko) 라이저 핸들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한 시추선
KR20170049676A (ko) 라이저 핸들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한 시추선
KR20140122051A (ko) 크리스마스 트리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