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836A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trunk lock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trunk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836A
KR20190073836A KR1020170175033A KR20170175033A KR20190073836A KR 20190073836 A KR20190073836 A KR 20190073836A KR 1020170175033 A KR1020170175033 A KR 1020170175033A KR 20170175033 A KR20170175033 A KR 20170175033A KR 20190073836 A KR20190073836 A KR 20190073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trunk
lock
control
au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0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4447B1 (en
Inventor
박만금
Original Assignee
제이와이커스텀(주)
박만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와이커스텀(주), 박만금 filed Critical 제이와이커스텀(주)
Priority to KR102017017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447B1/en
Publication of KR2019007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8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4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system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trunk lock apparatus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lo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trunk lock apparatus comprises: a pol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which, when an automatic trunk opening/closing control is started, detects a hole count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pole motor for each unit of time; a striker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which detects a hole count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a striker motor for each unit of time; a control module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trunk lock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hole counts detected by the pol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and the striker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and a lock signal detection unit which detects an automatic trunk lock signal including a type of operation of the lock apparatus, driving range, and operating time in accordance with the lock apparatus operatio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The control module receives an automatic trunk lock signal from the lock signal detection unit to control the lock apparatus based on the transmitted lock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trunk 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ock apparatus, which are able to detect an automatic trunk lock signal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a latch and a striker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lock signal.

Description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잠금장치 동작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TRUNK LOCK}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runk lock control system,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잠금장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폴모터의 홀 카운트와 래치 및 스트라이커의 잠금신호를 센싱하여 오토트렁크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 trunk lock by sensing a hole count of a pole motor and a lock signal of a latch and a striker.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s set forth in this section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prior art to be included in this sec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 후면을 이루는 트렁크에는 소화물 및 비상용 작업공구, 스페어 타이어 등이 보관되고, 또한 사고 발생시를 대비하여 구급상자 등이 보관되어 있고, 이러한 트렁크 룸을 덮고 있는 것을 트렁크 리드라고 부른다. 트렁크 리드는 트렁크 잠금장치(예컨대, 래치, 스트라이커 등)에 의하여 단속되는데, 이러한 잠금장치를 해제하기만 하면 적은 힘으로도 쉽게 트렁크 리드가 올라가도록 한다. 최근에는 운전석에 트렁크 락킹 스위치가 구비되고, 운전자가 이 스위치를 조작하면, 트렁크용 락장치가 트렁크 리드를 잠금 해제하여 트렁크 리드의 개방한다. 최근에는 트렁크 여닫음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오토트렁크 기능이 대부분의 차량에 탑재 되어 있다. Generally, a trunk that forms the back of a car stores parcels, emergency tools, and spare tires. In addition, emergency boxes are kept in case of an accident. The trunk lid is called a trunk lid. The trunk lid is interrupted by a trunk lid (for example, a latch, a striker, etc.), which simply raises the trunk lid with less force. In recent years, a trunk locking switch is provided in the driver's seat, and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switch, the trunk locking device unlocks the trunk lid to open the trunk lid. In recent years, most vehicles have an auto-trunk function that automatically controls closing by trunk.

스트라이커는 트렁크 룸 후면에 구비되고, 래치는 트렁크 리드에 구비되는 잠금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스트라이커와 래치가 맞물려 트렁크가 잠기고, 래치가 오픈 되며 트렁크가 열리게 된다. 스트라이커와 래치는 트렁크의 완전한 잠금(locking)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오토트렁크가 안전하게 닫히고 열리기 위해서는 트렁크 리드의 위치 및 동작에 따라 스트라이커와 래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The striker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luggage compartment, and the latch is provided on the luggage compartment lid. Generally, the striker and the latch are engaged to lock the trunk, open the latch and open the trunk. The striker and latches are essential components for the complete locking of the trunk. Therefore, a system is requi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riker and the latch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luggage compartment lid in order to securely close and open the auto luggage compartment.

1. 한국특허공개 제 10-2001-0043692 (2001.07.20)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43692 (July 20, 2001) 2. 한국특허등록 제 10-0821150 (2008.04.03)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21150 (April 4, 2008)

홀 센서로 폴 모터, 스트라이커 모터의 홀 카운트를 감지하고, 래치와 스트라이커를 포함하는 잠금장치의 동작종류, 구동범위 및 동작시간 등 오토트렁크 잠금신호(lock signal)를 감지하여, 감지된 잠금신호에 따라 래치와 스트라이커의 동작을 제어하는 오토 트렁크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The Hall sensor senses the hall count of the pole motor and the striker motor and detects the auto trunk lock signal such as the operation type of the lock device including the latch and the striker, the driving range and the operation time, There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tch and the striker.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can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실시예에 따른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은 오토트렁크 여닫음 제어가 시작되면, 단위시간 마다 폴 모터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홀 카운트(hole count)를 감지하는 폴 모터 회전 감지부; 단위시간 마다 스트라이커 모터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홀 카운트를 감지하는 스트라이커 모터 회전 감지부; 폴 모터 회전감지부 및 스트라이커 모터 회전 감지부에서 센싱된 홀 카운트에 따라 오토 트렁크 잠금장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제어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잠금장치 동작 제어신호에 따른 잠금장치의 동작종류, 구동범위 및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신호(lock signal)를 감지하는 잠금신호 감지부; 를 포함한다. 제어모듈은 잠금신호 감지부로부터 오토트렁크 잠금신호를 전달받아, 전달된 잠금신호를 기반으로 잠금장치를 제어한다. The auto-trunk lock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wl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hole count generated by a pawl motor rotation per unit time when a shut control of an auto trunk is started; A striker motor rot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hole count generated by the striker motor rotation every unit time;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n auto trunk lock operation according to a hole count sensed by a pole motor rotation sensing unit and a striker motor rotation sensing unit; A lock signal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auto trunk lock signal including an operation type, a driving range, and an operation time of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a lock device operatio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 The control module receives the auto-trunk lock signal from the lock signal detector and controls the lock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lock signal.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의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방법은 (A) 폴모터 회전 감지부에서 오토트렁크 여닫음 제어가 시작되면, 단위시간 마다 폴 모터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홀 카운트(hole count)를 감지하는 단계; (B) 스트라이커 모터 회전 감지부에서 단위시간 마다 스트라이커 모터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홀 카운트를 감지하는 단계; (C) 제어모듈에서 감지된 홀 카운트에 따라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D) 잠금신호 감지부에서 제어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잠금장치 동작 제어신호에 따른 잠금장치의 동작종류, 구동범위 및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신호(lock signal)를 감지하는 단계; 및 (E) 제어모듈에서 잠금신호 감지부로부터 오토트렁크 잠금신호를 전달받아, 전달된 잠금신호를 기반으로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A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 trunk lock device in an auto trunk lock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when the auto motor trunk lock control is started in the pol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detecting a hole count; (B) detecting a hall count generated by the striker motor rotation per unit time in the striker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C) controlling an auto trunk lock operation according to the hall count sensed by the control module; (D) detecting an auto trunk lock signal including an operation type, a driving range, and an operation time of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a lock device operatio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in the lock signal detection unit; And (E) receiving an auto trunk lock signal from the lock signal detector in the control module, and controlling the lock device based on the transmitted lock signal; .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에서는 스트라이커, 래치를 포함하는 트렁크 잠금장치의 동작을 잠금장치의 동작종류, 구동범위 및 동작신호 등 잠금신호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오토트렁크가 자동으로 확실히 닫히고 열릴 수 있도록 한다. In the auto trunk lock control system, the operation of the trunk lock device including the striker and the latch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ock signal such as the operation type of the lock device, the driving range and the operation signal so that the auto trunk can be automatically closed and opened automatically.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오토 트렁크 모식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오토 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블록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데이터 처리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폴 모터 회전 감지부(200)에서 센싱된 홀 카운트 수를 레퍼런스 그래프와 비교하여, 제어모듈(300)에서 모터의 제어조건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닫힘 동작 개시 후 오토트렁크의 잠금장치 제어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열림 동작 개시 후 오토트렁크의 잠금장치 제어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n auto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 processing block of the auto-trunk lock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 processing block of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mparing the number of hall counts sensed by the pole motor rotation sens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th a reference graph and judging the control condition of the motor by the control module 300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lock device control flow of the auto-trunk after starting the trunk clos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flow of a locking device of an auto-trunk after starting the trunk open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오토 트렁크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uto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오토 트렁크는 홀 센서로 폴 모터(10)의 홀 카운트를 감지한다. 홀 센서는 모터 회전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발생하는 홀(hole)을 카운팅 함으로써, 폴 모터의 회전 속도 및 회전량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서는 트렁크 무게의 변화, 차량의 경사 변화, 차량 배터리 전압 변화 및 외부 온도 변화를 포함하는 차량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홀 카운트를 단위 시간 별로 누적 산출한다. 이후, 단위시간 마다 감지된 폴 모터의 홀 카운트를 (Hall Count) 미리 설정한 홀 카운트와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폴 모터 제어 조건을 가속, 감속, 등속 및 정지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서는, 오토 트렁크 동작 중 감지된 홀 카운트 및 래치(5)와 스트라이커의 잠금신호를 통해, 래치(5)와 스트라이커(3)의 정상동작 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래치(5)와 스트라이커(3)를 제어함으로써 오토트렁크의 열림 및 잠금의 오동작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auto trun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enses a hole count of the pole motor 10 by a hall sensor. The hall sensor counts the holes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so that the rotation speed and the rotation amount of the pole motor can be grasped.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the hall counts varying accord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including the change of the trunk weight,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the vehicle battery voltage change, and the external temperature change are cumulatively calculated per unit time. Thereafter, the hall count of the pole motor sensed per unit time is compared with a preset hall count, and the pole motor control condition can be determined as one of acceleration, deceleration, constant speed, and stop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the normal operation of the latch 5 and the striker 3 is determined through the hole count detected during the auto-trunk operation and the lock signal of the latch 5 and the striker, And the striker 3,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opening of the auto trunk and malfunction of the lock.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오토 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블록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 processing block of the auto-trunk lock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은 폴모터(210), 스트라이커모터(220), 폴모터 회전감지부(230), 폴모터 PWM 듀티 제어부(240), 스트라이커 모터 회전 감지부(250), 스트라이커 모터 PWM 듀티 제어부(260), 잠금신호 감지부(270) 및 제어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uto-trunk locking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pole motor 210, a striker motor 220, a pole motor rotation sensing unit 230, a pole motor PWM duty control unit 240, A striker motor PWM duty controller 260, a lock signal detector 270, and a control module 300.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 control unit 300, The term " module ", as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depending on the context in which the term is used. For example, the software may be machine language, firmware, embedded code, and application software. As another example, the hardware may be a circuit, a processor, a computer, an integrated circuit, an integrated circuit core, a sensor, a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a passive device, or a combination thereof.

폴 모터(pole motor)(210)는 오토 트렁크의 여닫음 제어 시 구동되는 모터이다. 폴 모터 회전 감지부(230)는 홀 센서를 구비하여 폴 모터(210)의 홀 카운트를 감지한다. 폴 모터 회전 감지부(230)는 폴 모터(100) 회전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발생하는 홀(hole)을 카운팅 함으로써, 폴 모터의 회전 속도 등 폴 모터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A pole motor (210) is a motor that is driven in control of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of an auto trunk. The pole motor rotation sensing unit 230 includes a Hall sensor to sense a hole count of the pole motor 210. The pole motor rotation sensing unit 230 can count the holes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pole motor 100 to thereby grasp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le motor such as the rotation speed of the pole motor.

스트라이커 모터(220)는 오토트렁크에 구비된 스트라이커 동작 시 구동되는 모터이다. 스트라이커모터 회전 감지부(250)는 스트라이커 모터(220)회전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발생하는 홀을 카운팅 함으로써, 스트라이커 모터의 회전 속도 등 스트라이커 모터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The striker motor 220 is a motor driven in the striker operation of the auto trunk. The striker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50 can count the holes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triker motor 220, thereby grasp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striker motor such as the rotation speed of the striker motor.

제어모듈(300)은 폴 모터 회전감지부(230) 및 스트라이커 모터 회전 감지부(250)에서 센싱된 홀 카운트에 따라 오토 트렁크 잠금장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300 controls the auto trunk lock operation according to the hole count sensed by the pole motor rotation sensing unit 230 and the striker motor rotation sensing unit 250.

잠금신호(lock signal) 감지부(270)는 스트라이커와 래치 등 잠금장치의 잠금신호를 감지한다. 실시예에서 잠금신호에는 잠금장치의 동작종류, 구동범위, 동작시간, 부하상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부하상태는 장애물이 트렁크의 리드 위에 있거나, 트렁크 리드와 스트라이커 사이에 장애물이 걸려, 스트라이커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는 상태로서, 실시예에서는 모터의 홀 카운트로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부하상태는 모터의 홀 카운트가 프레임 시간 동안의 평균횟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등으로 판단 될 수 있다.The lock signal detecting unit 270 detects a lock signal of a lock device such as a striker and a latch. In the embodiment, the lock signal may include a type of operation of the lock device, a drive range, an operation time, a load state, and the like. The load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obstacle is on the lid of the trunk, or an obstacle is caught between the luggage compartment lid and the striker, and the striker can not operate properly. For example, the load state can be judged as the case where the hole count of the motor does not reach the average number of times during the frame time.

제어모듈(300)은 잠금신호 감지부(270)로부터 오토트렁크 잠금신호를 전달받아, 전달된 잠금신호를 기반으로 오토트렁크 열림 및 닫힘에 필요한 스트라이커와 래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모듈은 스트라이커 모터의 펄스폭 듀티를 조정하여, 스트라이커 모터 동작을 제어하거나, 폴 모터의 펄스폭 듀티를 조정하여 폴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300 receives the auto-trunk lock signal from the lock signal detector 270 and controls the striker and the latch operation requir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uto trunk based on the received lock signal.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striker motor operation by adjusting the pulse width duty of the striker motor, o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le motor by adjusting the pulse width duty of the pole motor.

이를 위해, 폴 모터 PWM 듀티 제어부(240) 및 스트라이커 모터 PWM 듀티 제어부(260)는 제어모듈(300)로부터 감지된 잠금신호에 기반한 모터 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출력함으로써, 폴 모터(210)와 스트라이커모터(220)를 제어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ole motor PWM duty controller 240 and the striker motor PWM duty controller 260 receive and output a motor control signal based on the lock signal sensed by the control module 300 so that the pole motor 210 and the striker motor (220).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데이터 처리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 processing block of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모듈(300)은 설정부(310), 판단부(33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module 300 may include a setting unit 310, a determination unit 330, and a control unit 350.

설정부(310)는 단위시간과 적어도 두개의 단위시간을 포함하는 프레임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인접한 프레임 시간의 중첩구간을 설정한다.The setting unit 310 sets a frame time including a unit time and at least two unit times, and sets an overlapping period of the set adjacent frame time.

판단부(330)는 설정된 프레임 시간에 포함된 각각의 단위시간과 중첩구간을 고려하여, 단위시간 순서대로 모터의 제어 조건을 가속, 감속, 등속, 정지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한다. 예컨대 판단부(330)는 각 단위시간에서 감지된 모터의 홀 카운트가 설정된 홀 카운트 수보다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감속조건으로 판단하고, 각 단위시간에서 감지된 모터의 홀 카운트가 설정된 홀 카운트 수보다 일정 수준 미만인 경우 가속조건으로 판단하고, 각 단위시간에서 감지된 모터의 홀 카운트가 일정수준 이상이고, 감지된 모터의 홀 카운트가 설정된 홀 카운트 수와 일정수준 미만의 차이인 경우, 등속조건으로 판단한다. The determination unit 330 determines whether the control condition of the motor is one of acceleration, deceleration, constant velocity, and stop according to the unit time sequence in consideration of each unit time and the overlap period included in the set frame time. 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330 may determine that the decele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hall count of the motor sensed in each unit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hole counts. If the hall count of the motor sensed in each unit time is constant It is determined that the accele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If the hall count of the motor detected in each unit tim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certain level and the hole count of the sensed motor is different from the set number of holes, .

또한, 판단부(330)는 각 단위시간에서 감지된 모터의 홀 카운트가 일정수준 미만이고, 감지된 홀 카운트 변화량이 감소하는 양상으로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 기설정된 레퍼런스 홀 카운트 수와 감지된 홀 카운트 수의 차이가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 감지된 홀 카운트 수가 일정수치 미만이고, 인접한 단위시간에서 감지된 홀 카운트 수 각각의 차이가 일정수준 미만인 경우 등을 정지조건으로 판단한다.If the detected hall count of the moto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and the sensed hall count variation is decreased to a certain level or more, the determination unit 330 may determine that the number of the reference hall and the sensed hall count When the difference in numb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vel, a case in which the detected number of hole count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hole counts detected in adjacent unit time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is determined as a stop condition.

제어부(350)는 프레임 시간에서 단위시간마다 판단된 제어조건 각각을 누적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제어조건 중 정지조건 누적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폴 모터를 정지시키고, 오토 트렁크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오토 트렁크 동작제어 시작 시점 이전의 상태로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50 cumulatively counts each of the control conditions determined per unit time in the frame time, and stops the pole motor when the accumulated number of times of the stop condition among the counted control condition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number of times, To the state before the start of the auto-trunk operation control.

제어부(350)는 폴 모터의 제어조건이 정지조건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지조건 누적횟수를 증가시키고, 가속, 등속 및 감속조건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되는 경우, 정지조건 누적횟수를 감소시키고, 정지조건 누적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모터를 정지시킨다.If the control condition of the pole motor is determined to be a stop condition, the control unit 350 increases the number of accumulation of the stop condition, decreases the accumulation number of the stop con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o be one of acceleration, constant speed and deceleration condition, If the number of times exceeds the predetermined number, stop the motor.

또한 제어부(350)는 파악된 정지조건 누적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폴 모터PWM 듀티(Pulse Width Modulation Duty)를 조정하여 폴 모터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50 may also control the pole motor drive by adjusting the pulse motor PWM duty (pulse width modulation duty) when the accumulated number of accumulated stop condi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number of times.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폴 모터 회전 감지부(200)에서 센싱된 홀 카운트 수를 레퍼런스 그래프와 비교하여, 제어모듈(300)에서 모터의 제어조건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mparing the number of hall counts sensed by the pawl motor rotation sens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th a reference graph and determining the control condition of the motor in the control module 300. [

도 4에는 시간에 따른 폴 모터의 홀 카운트를 기록한 두 종류의 그래프가 도시된다. Lr은 오토 트렁크가 정상동작을 수행할 때의 시간에 따른 홀 카운트를 기록한 레퍼런스 그래프이고, Ls 는 오토 트렁크 실제 구동 시,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홀 카운트를 시간에 따라 기록한 그래프이다. FIG. 4 shows two kinds of graphs recording the hole count of the pole motor with respect to time. Lr is a reference graph recording a hole count according to the time when the auto trunk operates normally, and Ls is a graph in which the hole count detected by the hall sensor is recorded over time during the auto trunk actual driving.

실시예에서 제어모듈(300)은 각각의 단위시간에서 홀 센서를 이용하여 폴 모터(100)의 홀 카운트를 측정하고, 레퍼런스 그래프에서의 카운트 수와 비교한다. 예컨대, Ls(sensing line) 그래프에 기록된 바와 같이, 단위시간 T0 에서 측정된 폴 모터의 홀 카운트는 a이고, 홀 카운트 a는 레퍼런스 그래프(Lr)의 홀 카운트 수를 초과하는 수치이다. 따라서, T0에서 제어모듈(300)은 모터 제어를 감속조건으로 판단한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300 measures the hole count of the pole motor 100 using a Hall sensor at each unit time and compares it with the count number in the reference graph. For example, as recorded in the Ls (sensing line) graph, the hole count of the pole motor measured at the unit time T 0 is a, and the hole count a is a number exceeding the hole count of the reference graph (L r ). Thus, in T 0 control module 300 judges the motor to control speed reduction conditions.

단위시간 T1에서 측정된 폴 모터의 홀 카운트는 b이고 b는 레퍼런스 그래프의 홀 카운트 수 보다 작은 수치이기 때문에, 제어모듈(300)은 T1에서 폴 모터 제어 조건을 가속조건으로 판단한다.Since the hole count of the pole motor measured at the unit time T 1 is b and b is a value smaller than the hole count of the reference graph, the control module 300 determines the pole motor control condition as the acceleration condition at T 1 .

마찬가지로, T2에서 측정된 폴 모터의 홀 카운트는 c이고 c는 레퍼런스 그래프의 측정값과 동일한 수치이기 때문에, 제어모듈(300)은 T2에서 폴모터 제어조건을 등속조건으로 판단한다. Similarly, since the hole count of the pole motor measured at T 2 is c and c is the same value as the measured value of the reference graph, the control module 300 determines the pole motor control condition as a constant velocity condition at T 2 .

실시예에서는 단위시간에 따라 감지된 홀 카운트를 기준 값과 비교하여 감속, 가속, 등속 또는 정지조건을 판단한다. 특히, 실시예에서는 모터 제어 조건이 일정 수치 이상 누적된 경우, 상기 누적된 제어 조건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타임(Tf1, Tf2, Tf3)에 포함된 각각의 단위시간 순서대로 제어조건을 판단하여, 인접한 프레임타임에 포함된 중첩구간의 단위시간에서 판단된 제어조건을 누적한다. 즉, 실시예에서는 프레임타임에 포함된 중첩구간에서의 누적된 제어조건이 모터 구동 제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In the embodiment, the hall count detected according to the unit time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deceleration, acceleration, constant velocity or stop condition.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when the motor control condition is accumulated over a certain value, the motor is driven according to the accumulated control condition. In the embodiment, the control condi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nit time order included in the frame time ( Tf1 , Tf2 , Tf3 ), and the control condition determined in the unit time of the overlapping period included in the adjacent frame time is accumulated. That is, in the embodiment, the accumulated control condition in the overlapping section included in the frame time affects the motor drive control.

또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프레임 시간에 적어도 두 개의 단위시간이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타임에, 3개의 단위시간이 포함되는 경우, 단위시간 T0 내지 T2(from T0 to T2)가 첫번째 프레임 타임(Tf1)이 되고, 단위시간 T1내지 T3(from T1 to T3)가 두 번째 프레임 타임(Tf2)이 되고, 단위시간 T2 내지 T5 (from T2 to T5)가 세 번째 프레임 타임이 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프레임타임간 세 개의 단위시간이 중첩구간으로 발생한다. 실시예에서는 제어 조건 판단 시, 인접한 프레임타임이 중첩하는 단위시간에서 제어조건 판단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폴 모터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T0, T1, T2, T3) (T1, T2, T3, T4), (T2, T3, T4, T5) 의 프레임 타임 순서대로 모터 구동 제어 조건을 판단한다. 즉, 인접한 프레임 타임의 중첩 구간인, T1, T2, T3 및 T2, T3, T4에서의 제어조건 판단 결과를 누적 사용함으로써, 폴 모터 제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at least two unit times may be set to be included in one frame time. As shown in FIG. 4, when three unit times are included in one frame time, the unit time T 0 to T 2 (from T 0 to T 2 ) becomes the first frame time (T f1 ) T 1 to T 3 (from T 1 to T 3 ) may be a second frame time (T f2 ), and unit times T 2 to T 5 (from T 2 to T 5 ) may be a third frame tim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ree unit times of adjacent frame times occur as overlapping periods. In the embodiment, when the control condition is judged, the control condition judgment is repeatedly performed in a unit time in which adjacent frame times overlap,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trol the pole motor more precisely. 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 0, T 1, T 2, T 3) (T 1, T 2, T 3, T 4), (T 2, T 3, T 4, T 5 ) To determine the motor drive control con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frame time sequence. That 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pole motor control by accumulating the control condition judgment results in the overlapping sections of adjacent frame times T 1 , T 2 , T 3 and T 2 , T 3 and T 4 .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닫힘 동작 개시 후 오토트렁크의 잠금장치 제어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flow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auto-trunk after the start of the trunk clo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오토트렁크의 닫힘 동작이 시작되면, S310 단계에서는 제어모듈(300)에서 감지될 홀 카운트 수에 따라 스트라이커를 올리는 동작을 수행한다. S320 단계에서는 감지부에서 스트라이커의 구동범위(움직인 길이)가 최대인지 확인한다. 스트라이커가 최대 구동범위로 움직인 경우, S340 단계로 진입하여 스트라이커를 정지시킨다.When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auto trunk is started, in step S310, the control module 300 performs an operation of raising the strik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hall counts to be sensed. In step S320, the sens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driving range (moving length) of the striker is the maximum. If the striker has moved to the maximum driving rang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40 to stop the striker.

스트라이커의 구동범위가 최대가 아닌 경우, S330 단계로 진입하여 스트라이커 올림동작 시작 후 최대 시간이 지났는지 확인한다. 최대 시간이 지난 경우, S340 단계에서 스트라이커를 멈추도록 하고, 최대 시간이 지나지 않은 경우, 다시 S320 단계로 진입하여 스트라이커의 구동범위를 확인한다. 스트라이커가 정지한 이후 S350 단계에서는 스트라이커가 멈춘 후 스트라이커 잠금 여부를 확인한다. 스트라이커가 잠긴 경우, S360 단계에서 전동 폴을 멈춘다. S350 단계에서 래치와 스트라이커가 잠기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잠금신호를 확인한다.If the driving range of the striker is not the maximum, it is checked whether the maximum time has passed since the start of the striker lifting operation by entering S330. If the maximum time has elapsed, the striker is stopped in step S340. If the maximum time has not passed, the operation proceeds to step S320 to check the driving range of the striker. After the striker is stopped, in step S350, the striker stops and then checks whether the striker is locked. If the striker is locked, the electric pole is stopped in step S360. If the latch and the striker are not locked in step S350, the lock signal is confirmed again.

S370 단계에서는 전동폴이 정지한 이후, 래치와 잠긴 스트라이커를 내리는 동작을 수행한다. In step S370, after the electric pole is stopped, the latch and the locked striker are lowered.

S380 단계에서는 스트라이커 내림동작 개시 이후 스트라이커 움직임이 최대길이 인지 확인하고, 스트라이커가 최대길이로 움직인 경우 S410 단계로 진입하여 스트라이커를 정지 시킨다. 스트라이커가 최대길이로 움직이지 않은 경우에는 S390 단계에서 스트라이커 하강 동작 이후 동작 최대시간이 지났는지 확인한다. 동작 최대시간이 지난 경우, S410 단계로 진입하여 스트라이커 동작을 정지시킨다. S390 단계에서 스트라이커 하강 동작 시작 후 최대 시간이 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S400 단계에서 스트라이커가 부하상태 인지 감지한다. 실시예에서 부하상태는 스트라이커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는 상태로서, 모터의 홀 카운트로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S400 단계에서는 스트라이커가 올라가는 중 모터의 홀 카운트가 프레임 시간 동안의 평균횟수에 일정 비율이상 미치지 못하거나 초과하는 경우 부하상태로 판단 될 수 있다. 스트라이커가 부하상태인 경우, S410 단계에서 스트라이커를 정지시키고, 부하상태가 아닌 경우, S380 단계로 다시 진입하여, 스트라이커의 구동 범위 및 동작 최대시간을 확인한다.In step S38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riker movement is the maximum length after the striker downward movement starts. If the striker has moved to the maximum length, step S410 is entered to stop the striker. If the striker has not moved to the maximum length, it is checked in step S390 whether the maximum operation time has passed since the striker descending operation. If the maximum operation time has elapsed, the operation proceeds to step S410 to stop the striker opera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90 that the maximum time has not passed after the start of the striker falling operation, it is detected in step S400 whether the striker is in a load state. In the embodiment, the load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striker can not operate properly, and can be determined as a hall count of the motor. For example, in step S400, if the hole count of the motor during the climbing of the striker is less than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ratio with respect to the average number of times during the frame time, the load state may be determined. If the striker is in the load state, the striker is stopped in step S410, and if it is not the load state, the operation goes back to step S380 to check the striker's driving range and operation maximum time.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열림 동작 개시 후 오토트렁크의 잠금장치 제어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flow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auto-trunk after the start of the trunk open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트렁크 열림 동작이 개시되고, S610 단계에서 스트라이커가 올라가면 S620 단계에서 스트라이커의 구동범위가 최대길이인지 확인한다. 최대길이인 경우, S640 단계로 진입하여 스트라이커 작동을 멈추고, 최대길이가 아닌 경우, S630 단계로 진입하여 스트라이커 올림 동작 시작 후 최대시간이 지났는지 확인한다. 최대시간이 지난 경우에는 S640 단계에서 스트라이커 동작을 멈추도록 하고, 최대시간이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S620 단계로 진입한다.The trunk opening operation is started, and if the striker is lifted in step S6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iving range of the striker is the maximum length in step S620. If the maximum length is not reach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40 to stop the striker operation. If no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30 to check whether the maximum time has elapsed since the start of the striker up operation. If the maximum time has elapsed, the striker operation is stopped in step S640, and if the maximum time has not passed, the flow returns to step S620.

스트라이커가 멈춘 이후, S650 단계에서는 래치를 오픈 시켜 S660 단계에서 트렁크가 열리도록 한다.After the striker stops, the latch is opened in step S650 and the trunk is opened in step S660.

S670 단계에서는 트렁크 리드 열림 이후, 스트라이커 내림 동작이 시작된다. 스트라이커 내림 동작 시작 후 S680 단계에서는 스트라이커 구동 범위가 최대길이인지 확인한다. 스트라이커 구동 범위가 최대인 경우, S710 단계로 진입하여 스트라이커 구동을 정지시킨다. In step S670, after the boot lid is opened, the striker downward operation is started. After the striker descending operation is started, in step S68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riker driving range is the maximum length. If the striker driving range is the maximum, the process goes to step S710 to stop the striker driving.

스트라이커 구동 범위가 최대길이가 아닌 경우에는 S690 단계에서 스트라이커 하강 동작 시작 후, 최대시간이 지났는지 확인한다. 최대시간이 지났을 경우에는 S710 단계로 진입하여 스트라이커 동작을 멈추도록 하고, 최대시간이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S700 단계로 진입하여 스트라이커의 부하상태를 확인한다. 스트라이커가 부하상태가 아닌 경우, S680 단계로 다시 진입하고, 부하상태인 경우, S710 단계에서 스트라이커를 멈추도록 한다. If the striker driving range is not the maximum length, it is checked in step S690 whether the maximum time has passed since the start of the striker falling operation. If the maximum time has passed, the flow advances to step S710 to stop the striker operation. If the maximum time has not passed, the flow advances to step S700 to check the load state of the striker. If the striker is not in the load stat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80. If the striker is in the load state, the striker is stopped in step S710.

실시예에서 부하상태는 스트라이커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는 상태로서, 모터의 홀 카운트로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S700 단계에서는 스트라이커가 내려가는 중 모터의 홀 카운트가 프레임 시간 동안의 평균횟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부하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load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striker can not operate properly, and can be determined as a hall count of the motor. For example, in step S700, if the hole count of the motor during the descent of the striker does not reach the average number of times during the frame time, it can be determined as the load state.

실시예에 따른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에서는 스트라이커, 래치를 포함하는 트렁크 잠금장치의 동작을 잠금장치의 동작종류, 구동범위 및 동작신호 등 잠금신호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오토트렁크가 자동으로 확실히 닫히고 열릴 수 있도록 한다. In the auto-trunk lock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trunk lock device including the striker and the latch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lock signal such as the type of operation of the lock device, the drive range and the operation signal so that the auto- .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210: 폴모터
220: 스트라이커모터
230: 폴모터 회전 감지부
240: 폴모터 PWM 듀티 제어부
250: 스트라이커 모터 회전 감지부
260: 스트라이커 모터 PWM 듀티 제어부
270: 잠금신호 감지부
300: 제어모듈
210: Pole motor
220: striker motor
230: Pol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40: Pole motor PWM duty controller
250: striker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60: striker motor PWM duty controller
270: Lock signal detection unit
300: control module

Claims (16)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오토트렁크 여닫음 제어가 시작되면, 단위시간 마다 폴 모터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홀 카운트(hole count)를 감지하는 폴 모터 회전 감지부;
단위시간 마다 스트라이커 모터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홀 카운트를 감지하는 스트라이커 모터 회전 감지부;
상기 폴 모터 회전감지부 및 스트라이커 모터 회전 감지부에서 센싱된 홀 카운트에 따라 오토 트렁크 잠금장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잠금장치 동작 제어신호에 따른 잠금장치의 동작종류, 구동범위 및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신호(lock signal)를 감지하는 잠금신호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잠금신호 감지부로부터 오토트렁크 잠금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달된 잠금신호를 기반으로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
An auto-trunk lock control system comprising:
A pawl motor rot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hole count generated by the pawl motor rotation per unit time when the closing control by the auto trunk is started;
A striker motor rot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hole count generated by the striker motor rotation every unit time;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auto trunk lock device operation according to the hole count sensed by the pole motor rotation sensor and the striker motor rotation sensor; And
A lock signal detector for detecting an auto trunk lock signal including an operation type, a driving range, and an operation time of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a lock device operatio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Lt; / RTI >
The control module
And receives an auto trunk lock signal from the lock signal detecting unit, and controls the lock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lock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신호 감지부는
스트라이커의 올림 및 내림 동작, 래치의 열림 및 닫힘 동작 종류를 감지하고,
스트라이커와 래치의 최대구동범위, 최대동작시간 및 부하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ock signal detector
Detect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striker, the opening and closing type of the latch,
A maximum operating range of the striker and the latch, a maximum operating time, and a load status of the striker and the latc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 은
단위시간과 적어도 두개의 단위시간을 포함하는 프레임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프레임 시간의 중첩구간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설정된 프레임 시간에 포함된 각각의 단위시간에서 제어조건을 판단부; 및
상기 프레임 시간에서 단위시간마다 판단된 제어조건 각각을 누적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 된 제어 조건의 누적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누적된 제어 조건에 따라 폴 모터, 스트라이커 모터 및 래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module; silver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frame time including a unit time and at least two unit times and setting an overlapping period of the set frame time;
Determining a control condition at each unit time included in the set frame tim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awl motor, the striker motor, and the latch in accordance with the accumulated control condition when the cumulative number of the counted control condition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number, ; And an automatic trunk lock device control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 은
오토트렁크 닫힘 동작 개시 후, 폴 모터의 홀 카운트가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스트라이커가 올라가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최대구동범위, 최대구동시간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스트라이커를 정지시키고, 트렁크 잠금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module; silver
After the start of the auto trunk closing operation, if the hole count of the pole motor becomes equal to or more than a certain level,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striker is lifted up, and any one of the maximum driving range and the maximum driving time of the striker is checked and the striker is stopped , And confirms the trunk lock.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트렁크 잠금이 확인된 경우, 폴 모터를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트라이커 내림 동작을 진행 후, 상기 스트라이커의 최대동작범위, 최대동작시간, 중 어느 하나가 확인된 경우, 스트라이커 내림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module
If the trunk lock is confirmed, control is performed so as to stop the pole motor, and when the striker downward operation is performed, if the striker's maximum operation range or maximum operation time is confirmed, the striker downward operation is stopped Wherein the auto-trunk lock control system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 은
오토트렁크 열림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스트라이커가 올라가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최대구동범위, 최대구동시간, 부하상태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한 이후, 스트라이커를 멈추고, 래치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module; silver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triker to be raised when an auto trunk opening operation signal is input and stops the striker and opens the latch after confirming any one of the maximum driving range, the maximum driving time, and the load state of the striker Auto trunk lock control system.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스트라이커 모터의 홀 카운트가 프레임시간 동안의 평균 홀 카운트와 일정비율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스트라이커 모터가 오작동 하는 부하상태인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module
Wherein when the hole count of the striker motor differs by more than a certain ratio from the average hole count during the frame time, the striker motor is found to be in a malfunctioning load sta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래치가 열린 후 트렁크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스트라이커 내림 동작을 진행하고, 상기 스트라이커 내림 동작 이후, 상기 스트라이커의 최대동작범위, 최대동작시간, 부하상태 중 어느 하나가 확인된 경우, 스트라이커 내림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module
When the trunk lock is released after the latch is opened, the striker downward operation is performed. If any one of the maximum operation range, the maximum operation time, and the load status of the striker is confirmed after the striker down operation, the striker down operation is stopped So as to control the automatic trunk lock device.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의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폴모터 회전 감지부에서 오토트렁크 여닫음 제어가 시작되면, 단위시간 마다 폴 모터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홀 카운트(hole count)를 감지하는 단계;
(B) 스트라이커 모터 회전 감지부에서 단위시간 마다 스트라이커 모터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홀 카운트를 감지하는 단계;
(C) 제어모듈에서 상기 감지된 홀 카운트에 따라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D) 잠금신호 감지부에서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잠금장치 동작 제어신호에 따른 잠금장치의 동작종류, 구동범위 및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신호(lock signal)를 감지하는 단계; 및
(E) 제어모듈에서 잠금신호 감지부로부터 오토트렁크 잠금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달된 잠금신호를 기반으로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n auto trunk lock device of an auto trunk lock device control system,
(A) detecting a hole count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pole motor per unit time when the pole motor rotation sensing unit starts to control the closing by the auto trunk;
(B) detecting a hall count generated by the striker motor rotation per unit time in the striker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C) controlling an auto trunk lock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nsed hole count in the control module;
(D) detecting an auto trunk lock signal including an operation type, a driving range, and an operation time of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lock device operatio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in the lock signal detection unit; And
(E) receiving an auto trunk lock signal from the lock signal detecting unit in the control module, and controlling the lock device based on the transmitted lock signal; Wherein the auto trunk lock control method comprise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D)오토트렁크 잠금신호(lock signal)를 감지하는 단계; 는
스트라이커의 올림 및 내림 동작, 래치의 열림 및 닫힘 동작 종류를 감지하고, 스트라이커와 래치의 최대구동범위, 최대동작시간 및 부하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D) sensing an auto trunk lock signal; The
Detecting a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striker, a type of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atch, and detecting a maximum driving range, a maximum operating time and a load state of the striker and the latch.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 제어모듈에서 상기 감지된 홀 카운트에 따라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는
설정부에서 단위시간과 적어도 두개의 단위시간을 포함하는 프레임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프레임 시간의 중첩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판단부에서 상기 설정된 프레임 시간에 포함된 각각의 단위시간에서 제어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에서 상기 프레임 시간에서 단위시간마다 판단된 제어조건 각각을 누적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 된 제어 조건의 누적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누적된 제어 조건에 따라 폴 모터, 스트라이커 모터 및 래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C) controlling an auto trunk lock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nsed hole count in a control module; The
Setting a frame time including a unit time and at least two unit times in a setting unit and setting an overlapping period of the set frame time;
Determining a control condition in each unit time included in the set frame time; And
The control unit cumulatively counts each of the control conditions determined for each unit time in the frame time, and when the cumulative number of the counted control condition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number, controls the pole motor, the striker motor and the latch ;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trunk locking devic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E) 제어모듈에서 잠금신호 감지부로부터 오토트렁크 잠금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달된 잠금신호를 기반으로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는
오토트렁크 닫힘 동작 개시 후, 폴 모터의 홀 카운트가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스트라이커가 올라가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최대구동범위 또는 최대구동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이후, 스트라이커를 멈추고, 트렁크 잠금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E) receiving an auto trunk lock signal from the lock signal detector in the control module, and controlling the lock device based on the transmitted lock signal; The
Controlling the striker to rise when the hole count of the pole motor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after the start of the auto trunk closing operation and confirming the maximum driving range or the maximum driving time of the striker; And
Stopping the striker and determining a trunk lock after the confi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trunk locking devic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E) 제어모듈에서 잠금신호 감지부로부터 오토트렁크 잠금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달된 잠금신호를 기반으로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는
트렁크 잠금이 확인된 경우, 폴 모터를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트라이커 내림 동작을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라이커 내림 동작 이후, 상기 스트라이커의 최대동작범위, 최대동작시간, 부하상태 중 어느 하나가 확인된 경우, 스트라이커 내림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E) receiving an auto-trunk lock signal from the lock signal detector in the control module, and controlling the lock device based on the transmitted lock signal; The
Controlling the pole motor to stop when the trunk lock is confirmed, and advancing the striker downward operation; And
And controlling the striker to stop the striker downward operation if any one of the maximum operation range, the maximum operation time, and the load status of the striker is confirmed after the striker downward operation. Way.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E) 제어모듈에서 잠금신호 감지부로부터 오토트렁크 잠금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달된 잠금신호를 기반으로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는
오토트렁크 열림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스트라이커가 올라가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트라이커의 최대구동범위 또는 최대구동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이후, 스트라이커를 멈추고, 래치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E) receiving an auto trunk lock signal from the lock signal detector in the control module, and controlling the lock device based on the transmitted lock signal; The
Controlling the striker to be raised when the auto trunk opening operation signal is inputted, and confirming the maximum driving range or the maximum driving time of the striker; And
Stopping the striker and controlling the latch to be opened after the confi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trunk locking devic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E) 제어모듈에서 잠금신호 감지부로부터 오토트렁크 잠금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달된 잠금신호를 기반으로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는
래치가 열린 후 트렁크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스트라이커 내림 동작을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라이커 내림 동작 이후, 상기 스트라이커의 최대동작범위, 최대동작시간, 부하상태 중 어느 하나가 확인된 경우, 스트라이커 내림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E) receiving an auto-trunk lock signal from the lock signal detector in the control module, and controlling the lock device based on the transmitted lock signal; The
Advancing the striker downward when the trunk lock is released after the latch is opened; And
Controlling the striker to stop the striker downward operation if any one of the maximum operation range, the maximum operation time, and the load status of the striker is confirmed after the striker downward oper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trunk locking devic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의 최대동작범위, 최대동작시간, 부하상태 중 어느 하나가 확인된 경우, 스트라이커 내림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단계; 는
스트라이커 모터의 홀 카운트가 프레임시간 동안의 평균 홀 카운트와 일정비율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스트라이커 모터가 오작동 하는 부하상태인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트렁크 잠금장치 제어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stopping the striker downward operation if any one of the maximum operation range, the maximum operation time, and the load status of the striker is confirmed; Th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hole count of the striker motor differs from the average hole count during the frame time by more than a certain ratio, it is confirmed that the striker motor is in a malfunctioning load state.
KR1020170175033A 2017-12-19 2017-12-1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trunk lock KR1020144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033A KR102014447B1 (en) 2017-12-19 2017-12-1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trunk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033A KR102014447B1 (en) 2017-12-19 2017-12-1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trunk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836A true KR20190073836A (en) 2019-06-27
KR102014447B1 KR102014447B1 (en) 2019-08-27

Family

ID=6705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033A KR102014447B1 (en) 2017-12-19 2017-12-1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trunk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447B1 (en)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1676A (en) * 1987-12-07 1989-06-14 Honda Motor Co Ltd Door locking device
KR20030008780A (en) 2001-07-20 2003-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runk opening mechanism for vehicle
JP3707390B2 (en) * 2001-01-25 2005-10-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Drive control device for vehicle opening / closing body
KR100534347B1 (en) * 2004-03-19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afty System for Automatic Trunklid Operater
KR100821150B1 (en) 2007-06-22 2008-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er trunk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990809B1 (en) * 2008-11-26 2010-10-2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speed of power tail gate and thereof control method
KR20130066347A (en) * 2011-12-12 2013-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ax opening angle setting of power tail gate
JP5325014B2 (en) * 2009-04-28 2013-10-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Opening and closing body control device
JP5611219B2 (en) * 2008-11-12 2014-10-22 ブローゼ シュリースジュステーメ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Drive system for electrically moving automotive closure parts
KR20150022030A (en) * 2013-07-10 2015-03-04 (주) 모토텍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runk or power tailgate using hall sensor
KR20170115334A (en) * 2016-04-07 2017-10-17 심종욱 System for controlling tailgate of vehicl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1676A (en) * 1987-12-07 1989-06-14 Honda Motor Co Ltd Door locking device
JP3707390B2 (en) * 2001-01-25 2005-10-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Drive control device for vehicle opening / closing body
KR20030008780A (en) 2001-07-20 2003-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runk opening mechanism for vehicle
KR100534347B1 (en) * 2004-03-19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afty System for Automatic Trunklid Operater
KR100821150B1 (en) 2007-06-22 2008-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er trunk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5611219B2 (en) * 2008-11-12 2014-10-22 ブローゼ シュリースジュステーメ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Drive system for electrically moving automotive closure parts
KR100990809B1 (en) * 2008-11-26 2010-10-2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speed of power tail gate and thereof control method
JP5325014B2 (en) * 2009-04-28 2013-10-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Opening and closing body control device
KR20130066347A (en) * 2011-12-12 2013-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ax opening angle setting of power tail gate
KR20150022030A (en) * 2013-07-10 2015-03-04 (주) 모토텍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runk or power tailgate using hall sensor
KR20170115334A (en) * 2016-04-07 2017-10-17 심종욱 System for controlling tailgate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447B1 (en)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71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and regulating the movement of an electrically actuated assembly of a motor vehicle
US10689897B2 (en) Passenger transport vehicle
JP6369595B2 (en) Opening / closing member control device
JP3664316B2 (en) Method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and adjusting the operation of a motorized assembly
KR100671726B1 (en) Closing device with a safety function
JP4218403B2 (en) Vehicle door control device
US8633666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monitoring by a jamming protection function in an electrical closing system
CN201106354Y (en) Clamping-prevent control system
WO1997046781A1 (en) Window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20040091587A (en) Window glass obstruction detector
US20160257249A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open-close member, and vehicle open-close member including the control device
JP2007315069A (en) Vehicular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KR102063267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uto trunk according to vehicle environment
CN110656838A (en) Electric tailgate assembly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1307371B1 (en)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trunk or power tailgate, and method therefor
KR2019007383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trunk lock
KR1019959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 trunk compensation control
CN114901580A (en) Elevator determination device
KR102299494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indow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3304581B2 (en) Power window control device for vehicles
KR20190073832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uto trunk according to vehicle environment
JP6752176B2 (en) Elevator control system
US5144101A (en) Control apparatus for elevator doors using velocity limiting circuits
JP6352860B2 (en) Opening / closing member control device
JP4098961B2 (en) Elevator rescue ope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