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439A - 빔 기반의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성 기준 신호의 재사용 - Google Patents

빔 기반의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성 기준 신호의 재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439A
KR20190073439A KR1020197013882A KR20197013882A KR20190073439A KR 20190073439 A KR20190073439 A KR 20190073439A KR 1020197013882 A KR1020197013882 A KR 1020197013882A KR 20197013882 A KR20197013882 A KR 20197013882A KR 20190073439 A KR20190073439 A KR 20190073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beamformed reference
rlm
subset
sub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725B1 (ko
Inventor
우무트 우구르루
루이 판
클래스 타이드스타브
프라디파 라마찬드라
실바 이카로 엘. 제이. 다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90073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04W72/08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액세스 노드는 사용자 단말, UE가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도록, 그리고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액세스 노드는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제1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고, 빔 포밍된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전송된다. UE는, 빔 포밍된 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수신한다. UE는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고,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 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빔 기반의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성 기준 신호의 재사용
본 명세서는 전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러한 시스템에서의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에 관한 것이다.
LTE 에서의 무선 링크 모니터링 (RLM)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가 개발한 LTE 무선 시스템은 널리 보급된 4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LTE 및 선행 시스템에서, 3GPP 문서에서 "사용자 단말" 또는 "UE"로 지칭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RLM 기능의 목적은 RRC_CONNECTED 모드에서 서빙셀의 하향 링크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이 모니터링은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s)를 기반으로 하며, CRS는 항상 주어진 LTE 셀과 연결되며 PCI(Physical Cell Identifier)로부터 도출된다. RLM은 RRC_CONNECTED 모드일 때, 3GPP TS 36213, v1400에 기술된 바와 같이, UE가 자신의 서빙셀에 대하여 인씽크(in-sync)인지 또는 아웃오브씽크(out-of-sync)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CRS 측정에 기반한 하향 링크 무선 링크 품질의 UE 추정치는, RLM의 목적으로, 아웃오브씽크 와 인씽크의 임계치 및 Qout와 Qin과 각각 비교된다. 이러한 임 계치는 서빙셀로부터 의 가상의 물리적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 전송의 블록 에러 레이트(BLER)으로 표준화된다. 특히 Qout은 10% BLER에 대응하고, Qin은 2% BLER에 대응한다. 불연속 수신(DRX) 사용 여부와 상관 없이 동일한 임계치 레벨이 적용 가능하다.
CRS 기반 하향 링크 품질과 가상의 PDCCH BLER 간의 매핑은 UE의 구현에 달려있다. 다만, 성능은 3GPP TS 36.521-1, v14.0.0에 기술된대로 다양한 환경에 대해 규정한 적합성 시험에 의해 검증된다. 또한, PDCCH가 전체 대역에 걸쳐 전송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링크 품질은 전체 대역에 걸쳐 CRS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에 기반하여 계산된다.
DRX가 구성되지 않은 경우, 마지막 200밀리초 기간 동안 추정한 하향 링크 무선 링크 품질이 Qout 임계치보다 나빠지면, 아웃오브씽크가 발생한다. 유사하게, DRX 없이, 마지막 100밀리초 기간동안 추정한 하향 링크 무선 링크 품질이 Qin 임계치보다 좋아지면, 인씽크가 발생한다. 아웃오브씽크를 검출하면, UE는 인씽크 평가를 개시한다. 아웃오브씽크와 인씽크의 발생이 UE의 물리적 계층에 의해 상위 계층으로 내부적으로 보고되고, 이로써 RLF(Radio Link Failure) 평가를 위해 계층 3 (즉, 상위 계층)에 필터링을 적용할 수 있다. 상위 계층 RLM 절차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DRX 사용 시, 충분한 UE 전력 절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구성된 DRX 사이클 길이에 따라 아웃오브씽크 및 인씽크 평가 기간이 연장된다. UE는 아웃오브씽크가 발생할 때마다 인씽크 평가를 시작한다. 따라서, 아웃오브씽크 및 인씽크의 평가에 동일한 기간(TEvaluate_Qout_DRX)이 사용된다. 그러나 RLF 타이머(T310)가 만료될 때까지 시작하면, 인씽크 평가 기간은 100밀리초로 단축되며 이는 DRX 없이도 동일하다. 만약 N311의 연속적 인씽크 표시로 인해 타이머 T310이 정지되면, UE는 DRX를 기반한 기간(TEvaluate_Qout_DRX)에 따라 인씽크 평가를 수행한다.
LTE에서 RLM에 사용되는 전체 방법(즉, CRS를 측정하여 PDCCH 품질을 "추정")은 UE가 PDCCH와 CRS를 모두 전송하는 단일 연결 엔티티인 LTE 셀에 연결된다고 가정한다.
5세대 개발
New Radio(NR)로 이름 붙여진 새로운 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 항목에서 기업들은 NR에 대한 초희박 설계(ultra-lean design) 및 빔 포밍(beamforming)의 방대한 사용의 설계 원칙에 대한 초기 합의에 도달했다.
기업들은 RLM을 설계할 때 빔 포밍을 고려해야한다는 견해를 표명했는데, LTE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또한, UE가 어떻게 셀의 품질을 측정해야하는지에 관한 우려가 표명되었다.
이하는 LTE의 기존 솔루션과 비교하여 RLM에 대한 새로운 솔루션의 필요성을 촉진할 수 있는 NR의 원칙 중 일부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비동기화된 및/또는 동일한 기저 대역을 공유하지 않는 및/또는 비이상적인 백홀(backhaul)을 통해 연결된 송신점(transmission receiving points, TRP)에 걸쳐 시그널링하는 RRC를 사용하는 NR에 대한 빔 기반의 이동성 솔루션의 일부 양태이다.
5G NR의 초희박 설계
NR은 초희박 시스템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올웨이즈 온(always-on) 전송의 최소화를 의미하며, 에너지 효율적인 미래 보장 시스템을 목표로 한다. 3GPP의 초기 합의는 이 원칙을 지지하고 NR이 희박 시스템이어야한다는 공통된 이해가 있음을 보여준다. RAN1#84bis에서, RAN1은 초희박 설계에 관해, NR이 미래에 하위 호환성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유연하게 활용되거나 공백으로 남겨질 수 있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의 양을 최대화하기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 공백 자원은 나중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NR은 구성/할당 가능한 시간/주파수 자원 내에서, 올웨이즈 온 신호를 최소화하도록, 그리고 물리적 계층 기능(신호, 채널, 시그널링)에 대한 신호 및 채널을 제한하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5G NR에서의 빔 포밍
NR은 주파수 범위를 최대 100GHz로 간주할 것이라고 공통된 이해가 있다. LTE에 할당된 현재 주파수 대역과 비교하여, 일부 새로운 대역은 예를 들어, 보다 낮은 회절 및 보다 높은 실외/실내 관통 손실과 같은 훨씬 까다로운 전파 특성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신호가 모서리 주변에 전파하거나 벽을 관통하는 능력이 떨어질 것이다. 또한, 고주파수 대역에서 대기/강우 감쇠와 보다 높은 본체 손실은 NR 신호의 커버리지에 더 많은 오점을 만든다. 다행히, 보다 높은 주파수에서의 동작은 더 작은 안테나 소자를 사용 가능하게 하여, 많은 안테나 소자가 있는 안테나 배열(array)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안테나 배열은 빔 포밍을 용이하게 하며, 여기서 다중 안테나 소자는 좁은 빔(narrow beam)을 포밍하는데 사용되고, 이로써 까다로운 전파 특성을 보상한다. 이러한 이유로, NR은 빔 포밍에 의존하여 커버리지를 제공할 것이라고 보편적으로 이해되므로, NR은 종종 빔 기반의 시스템(beam-based system)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서로 다른 안테나 아키텍처, 즉 아날로그, 하이브리드 및 디지털이 NR에서 지원되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특히 아날로그/하이브리드 빔 포밍의 경우, 얼마나 많은 방향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일부 제한을 의미한다. 주어진 송신점(TRP)/액세스 노드/안테나 배열에서, 양호한 빔 방향을 찾기 위해, 통상적으로 빔 스위프 절차(beam-sweep procedure)가 이용된다. 빔 스위프 절차의 전형적인 예로, 노드가 동기화 신호 및/또는 빔 식별 신호를 포함하는 빔을 여러 가능한 방향 각각에서, 한 번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방향으로, 가리키는 것이다. 이는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도시된 각 로브(lobe)는 빔을 나타내고, 여기서 빔은 스위핑 방식으로, 또는 동시에, 또는 어떠한 조합으로, 연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동일한 커버리지 특성이 각 빔에서 동기화 신호 및 빔 식별 신호 모두에 적용되는 경우, UE는 TRP와 동기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어진 위치에서 최상의 빔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에서의 공통 신호 및 채널은 무지향성(omnidirectional) 방식으로, 즉 빔 포밍 없이, 전송된다. NR에서, 기지국에서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 가능하고, 이들이 빔 포밍 신호 및 채널에 결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므로, LTE에서와 같이, 이러한 가정이 더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NR의 빔 포밍 설계 원리의 주요 결과는, LTE에서 CRS 품질이 PDCCH의 품질을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꽤나 명백했지만, NR에서는 채널 및 기준 신호가 다른 방식으로 빔 포밍될 수 있으므로 이것이 불분명해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임의의 특정 기준 신호가 PDCCH가 전송되는 동일한 방식으로 전송될 것이라는 것을 일반적인 사항으로서 가정할 수 없다. UE의 관점에서의 이러한 모호함은 기준 신호 및 채널이 통상적으로 실시간 네트워크 요구 사항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빔 포밍 체계를 통해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러한 요구 사항은, 예를 들어, 기준 신호 대 제어 채널로 인한 무선 오버헤드에 대한 서로 다른 허용 레벨 또는 기준 신호 대 제어 채널에 대한 서로 다른 커버리지 요구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NR 설계 원리로 인한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연결 모드의 NR UE는 RLM을 수행하여 셀 품질이 여전히 충분히 양호한지 검증하여, UE가 네트워크에 의해 도달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위 계층에 통보해야하며, UE의 자율 동작이 트리거되어야 한다.
NR에서의 이동성 기준 신호: 3GPP 합의
3GPP 논의에서, 특정 양태는 이동성에 관련된 측정(예를 들어, 핸드오버, HO)을 위해 NR에서 UE가 사용하는 이동성 기준 신호(MRS)에 대해 합의되어 왔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및 빔와 관련한 RRC_CONNECTED 모드에서의 하향 링크 기반의 이동성에 대하여, UE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빔을 측정하고, gNB(NR 기지국에 대한 3GPP 용어)는 이들 빔이 HO를 수행하는지 고려하는 메커니즘을 가져야 한다. 이는 적어도 gNB간에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고 HO 핑퐁/HO 실패를 피하기 위해 필요하다. UE가 다중 빔의 품질의 개별 및/또는 이들의 결합을 보고할 것인지가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UE는 능동 이동성(active mobility)에서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을 위해 빔을 서빙셀로부터 그리고 논서빙셀(non-serving cell)로부터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UE는 빔이 자신의 서빙셀로부터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서빙셀/논서빙셀이 "서빙/논서빙 빔 세트"로 지칭될 수 있는지 여부와, UE가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통지받는지, 아니면 일부 방송 신호에 기반하여 UE에 의해 암묵적으로 검출되는지 여부와, 연결된 셀이 어떻게 셀이 아이들(idle) 상태인 셀과 연결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개별 빔에서의 측정을 기반으로 셀의 품질을 도출하는지 아직 결정된 바 없다.
MRS의 특정 설계에 대한 여러 솔루션이 고려되고 있지만, 이들 솔루션 모두에서, UE는 MRS 세트를 통해 서빙셀 내에서 RRM 측정을 수행한다. UE는 자신의 서빙셀에 속하는 특정 MRS를 인지하여, UE가 검출할 수 있는 모든 다른 기준 신호가 이웃(neighbors)으로 간주된다.
MRS와 같은 기준 신호에 대한 전송 전략은 시간 및/또는 주파수 및/또는 코드/시퀀스 차원에서의 자유를 활용할 수 있다. 직교 자원 내 서로 다른 빔에 대한 기준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는 직교 기준 신호에 대응하는 UE로부터의 이들 신호에 대응하는 별개의 측정 보고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에서 RLM은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광대역 신호가 전송되는 CRS에 기반한다. NR에서의 RLM 설계에 있어 희박형 설계의 주요 결과는 모든 서브프레임에 전송되는 광대역 신호의 설계를 피하고 싶은 바람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희박형 설계는 NR에서 RLM에 대해 동일한 LTE 솔루션의 사용을 금지할 것이다.
초박형 설계에서의 빔 포밍 방식에서, 즉, 전체 대역과 모든 서브프레임에 걸쳐 전송되는 올웨이즈 온 기준 신호 없이, 셀은 전송 신호인, 무선 디바이스 (예를 들어, UE)가 자신의 서빙셀 품질을 측정하는 기술이 이하 자세히 설명된다.
본 기술의 실시 예는 연결된 모드 이동성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동일 기간 기준 신호(MRS)에 기초하여 RRM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빔 포밍을 갖는 시스템에서 RLM을 수행하는 UE 및 네트워크 무선 액세스 노드에서의 방법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측에서, 일부 실시 예에서, 무선 액세스 노드는 RLM 목적을 위해 재사용되는 이러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정보(예를 들어, PDCCH)를 전송한다.
본 명세서의 내용에서, "RLM 수행"은 RRM 측정을 수행하고, 주어진 메트릭의 값, 예를 들어,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NR)를 하향 링크 제어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 때 제어 채널이 동일한 방식으로, 즉 유사한 빔 포밍 특성 및/또는 유사하거나 대표적인 주파수 자원으로 전송될 것이라고 가정한다.
실시 예가 갖는 이점은 네트워크가 전용적이고 고정적인/올웨이즈 온 기간 기준 신호(RS)를 네트워크에 도입하지 않고, UE가 넓은 범위의 시간-주파수 자원에 걸쳐 정확한 RLM 측정을 할 수 있음을 보장가능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특히 데이터 비활성 동안, RLM 측정의 정확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낮은 레벨에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어 채널은 높은 캐리어 주파수에서의 개선된 커버리지를 위해, 좁은 UE 특정 빔으로 전송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RLM 기능이 더 넓은 빔으로 돌아가지 않고 그러한 제어 채널 설계에 있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라, UE에서의 방법은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모든 하향 링크 신호의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수신된다. 방법은 또한,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동일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즉,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RLM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하향 링크 신호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와 동일한 방식으로 빔 포밍된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노드에서의 방법은,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제1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전송된다. 방법은 또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고,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도록 UE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성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전송하는 단계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빔 포밍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1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UE는 트랜시버 회로 및 트랜시버 회로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는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수신된다. 프로세싱 회로는 또한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RLM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노드는 트랜시버 회로 및 트랜시버 회로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는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제1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빔 포밍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전송된다. 프로세싱 회로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고,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도록 UE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프로세싱 회로는 빔 포밍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빔 포밍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1제어 채널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요약된 방법들에 대응하는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상기 요약된 장치 및 UE의 기능적 구현에 관한 것이다.
당연히, 본 발명은 상기 특징 및 이점에 국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그리고 첨부 도면을 볼 때,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을 인식할 것이다.
도 1은 어떻게 PDCCH가 전체 하향 링크 전송 대역폭에 걸쳐 어디에서든 스케줄링될 수 있는지 도시한다.
도 2는 LTE에서의 상위 계층 RLM 절차를 도시한다.
도 3은 빔 스위핑 절차를 도시한다.
도 4는 단일 MRS 발생을 도시한다.
도 5는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MRS 설계를 도시한다.
도 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본 명세서에 기술된 RLM 절차를 용이하게 하는 기준 신호 전송의 원리를 도시한다.
도 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UE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UE에서의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이동성에 사용된 RS가 매 5번째 서브프레임에서 6개의 인접한 PRB를 통해 전송될 수 있음을 도시하는 도식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서빙 MRS 세트에 대한 6개의 상이한 물리적 자원 블록(PRB) 할당의 구성이 상이한 액세스 노드에 대해 상이할 수 있고, 상이한 액세스 노드 ID에 매칭될 수 있음을 도시하는 도식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적 구현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UE의 기능적 구현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개념들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는 이하에서 UE 및 액세스 노드로 지칭되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링크 모니터링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LTE RAT 또는 3GPP NR의 진화와 같은 5G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기반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개념은 다른 RAT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부 실시 예와 관련하여, 네트워크가 서빙셀 MRS의 품질과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품질의 상관을 어떻게 보장하는지가 설명된다. 이는 그 UE에 대해 구성된 MRS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빔 포밍 구성(예를 들어, 방향, 빔 폭, 전력 분배, 동일한 안테나 패널 등)으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정보를 빔 포밍함으로써 네트워크 측에서 행해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MRS” 및 "이동성 기준 신호"는 연결 모드 이동성을 지원하도록, 즉, 다른 빔 및/또는 셀로의 핸드오버 시 결정을 위한 UE에 의한 측정을 위해, 구성 및/또는 사용되는 기준 신호를 지칭한다. 이들 기준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다른 목적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 신호는 다른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하나 또는 일부의 빔으로 전송된 MRS에 대해, 상이한 실시 예는 신호가 전달하는 정보를, 예를 들어, 식별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서로 다른 RS가 각 빔에 전송되고, 각 RS는 자신의 빔 식별자(BID)를 전달한다. 이 경우에, 기준 신호는 빔 특정 RS(BRS)로 지칭될 수 있고, UE는 빔 단위로 RLM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즉, 그 특정 빔에서의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품질과 동일한 개별 빔당 RSRP를 측정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RS가 각 빔에 전송될 수 있으며, 각 RS는 동일한 식별자를 전달한다. 이 식별자는 BID, 셀 식별자 셀 ID(CID) 또는 빔 ID+셀 ID가 될 수 있는 그룹 식별자일 수 있다. 이들 실시 예에서, UE는 시간 도메인에서 빔을 구별, 및/또는 단순히 동일한 식별자를 전달하는 빔에 대해 일부 에버리징(averaging)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RLM 절차를 용이하게 하는 기준 신호 전송의 원리를 도시한다. 도 6의 왼측에서 볼 수 있듯이, 각 빔은 이동성의 목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예: UE)에 구성된 RS를 전달한다. 이들 기준 신호는 본 명세서에서 이동성 기준 신호 또는 MRS로 지칭되지만, 반드시 그 이름으로 사용될 필요는 없다. "UE에 대해 구성된"이란 의미는 RRC 연결 모드인 UE가 서빙셀/빔 신호 및/ 또는 논서빙셀/빔 신호에 관한 측정 및 보고 조건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는 것이다. 이들 RS는 여러 실시 예에서, BID, 빔 ID 및 그룹 ID (예를 들어, 셀 ID로서 이해될 수 있음) 또는 단순히 그룹 ID를 전달할 수 있다. 도 6의 우측에서 볼 수 있듯이,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DCCH는 이동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RS와 동일한 빔 포밍 특성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이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서로 다른 시간에 전송된다고 하더라도, RS와 "동일한 빔"에서 전송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은 채널 추정 및 채널 디코딩 목적으로 서로 다른 RS를 전달할 수(또는 연결될 수) 있다. 이들은 여러 실시 예에서, 반드시는 아니지만, 이동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과 완전히 독립적이고, 셀 특정적, UE 특정적, 및/또는 빔 특정적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방식을 고려하면, RLM이 MRS, 즉, RS, RS-1 내지 RS-N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인데, 이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이 MRS와 동일한 방식으로 빔 포밍되고, MRS의 측정된 품질은 직접적으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품질에 대응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LTE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인씽크 및 아웃오브씽크의 임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의 일부 실시 예의 또 다른 양태는 네트워크가 DL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과 상관하는 주파수 자원에서 RLM에 대해 재사용되는 이들 MRS를 전송하여, 추가적인 시간 에버리징이 발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RS 품질이 방향 도메인(빔 도메인으로 지칭될 수 있음) 및 주파수 도메인 모두에 상관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관됨"은 RS에 대한 주파수 자원이 가능한 대역폭 전체 내에서 하향 링크 채널에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와 겹치거나 매우 가깝다는 것을 나타낸다. "재사용"이란 특정 기준 신호가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뿐만 아니라 MRS와 같은 이동성 측정에 사용됨을 의미한다.
도 7은 하나 이상의 개시된 기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30)의 도식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노드(30)는 기지국, 무선 기지국, 기지국 트랜시버, eNodeB, nodeB 또는 중계 노드와 같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를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후술될 비제한적인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30)는 NR 네트워크에서 셀룰러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당업자는,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32)에 의한 실행을 위한 적절한 프로그램 명령의 변경 및/또는 추가를 통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방법 및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각 노드 유형이 어떻게 적응될 수 있는지 쉽게 이해할 것이다.
네트워크 노드(30)는 무선 단말기,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네트워크 노드(30)는 코어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회로 및/또한 데이터 및/또는 셀룰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네트워크의 다른 유형의 노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38)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30)는 안테나(34) 및 트랜시버 회로(36)를 사용하여 UE와 통신한다. 셀룰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트랜시버 회로(36)는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집합적으로 구성된 전송기 회로, 수신기 회로 및 연결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30)는 또한 트랜시버 회로(36)와, 경우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38)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32)를 포함한다. 논의를 쉽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32)를 이하 "프로세싱 회로(32)"로 지칭한다. 프로세싱 회로(3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 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s(CPLD),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ASIC)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싱 회로(32)는 고정된 회로 또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명령의 실행을 통해 특별히 구성된 프로그래밍 가능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거나, 고정된 및 프로그래밍된 회로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2)는 멀티코어, 즉 성능 강화, 전력 소비 감소 및 효율적인 다수의 작업의 동시 처리를 위해 활용되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 코어를 가지는, 멀티코어일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32)는 또한 메모리(4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메모리(44)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46)과 선택적으로 구성 데이터(48)를 저장한다. 메모리(44)는 컴퓨터 프로그램(46)에 대한 비일시적인 저장을 제공하며, 디스크 저장 장치, 고체 상태의 메모리 저장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메모리(44)는 프로세싱 회로(32) 내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32)와 독립적일 수 있는, SRAM, DRAM, EEPROM 및 FLASH 메모리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메모리(44)는 컴퓨터 프로그램(46)의 비일시적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30)에 의해 사용되는 임의의 구성 데이터(48)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32)는, 예를 들어, 메모리(44)에 저장된 적절한 프로그램 코드의 사용을 통해,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 및/또는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30)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가 자신의 서빙셀의 셀 품질을 측정하도록 제공하는 액세스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셀은 빔 포밍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프로세싱 회로(32)는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제1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시그널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전송된다. 프로세싱 회로(32)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고, 이동성 관리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도록 UE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들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MRS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프로세싱 회로(32)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빔 포밍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1제어 채널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리적 구현에 상관 없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회로(3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노드에서 방법(800)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방법(800)은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제1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빔 포밍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전송된다 (블록 804). 방법은 또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도록, 그리고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도록 UE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블록 802). 일부 실시 예에서, 전송하는 단계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빔 포밍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1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800)은 제1제어 채널을 위한 채널을 추정 및/또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달하는 주파수 자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주파수 자원의 제1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UE가 사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제1빔에 대한 빔 특정 기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빔 특정 기준 신호는 빔 식별자를 전달할 수 있고, 방법(800)은 빔 특정 기준 신호로부터 빔 식별자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의 또 다른 양태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가 시간에 있어 주기적이고 희박하게(sparsely), 즉 모든 서브프레임에서가 아니게, 전송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RLM에 요구되는 주기는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기 위해 RRM 측정에 요구되는 주기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 예에서, UE는 RLM을 위해 전송된 기준 신호 중 일부 특정 샘플만을 선택할 수 있고, 이들 샘플/서브프레임은 네트워크에 의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부 경우에서, 예를 들어, UE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로 구성되고, 표준에서 미리 정의된 RLM 주기에 기반하여, RLM에 대해 RRM 측정을 수행한다. 나머지 다른 경우에서, UE는 두 개의 주기, 즉 신호가 전송되는 주기 및 자신의 DRX 주기와 매칭되는 RLM에 사용될 주기 모두를 통지받는다.
따라서, 일부 실시 예에서, 방법(800)은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를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파라미터를 UE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성 파라미터는 이동성 관리 측정을 위해 사용될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를 직접 특정할 수 있고, 이로써 RLM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를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로부터 결정된다.
도 9는 무선 디바이스(50)로서 도시되는, 대응하는 UE의 도식을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50)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UE와 같은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임의의 무선 단말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통신 장치, 타깃 장치, 장치 대 장치(D2D) UE, 기계 타입 UE 또는 기계 대 기계 통신(M2M)이 가능한 UE, UE가 장착된 센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폰, LEE(laptop embedded equipped), LME(laptop mounted equipment), USB 동글,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50)는 안테나(54) 및 트랜시버 회로(56)를 통해 광역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노드 또는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셀룰러 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트랜시버 회로(56)는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집합적으로 구성된 전송기 회로, 수신기 회로 및 연결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논의를 목적으로, 무선 액세스 기술은 NR이다.
무선 디바이스(50)는 또한 무선 트랜시버 회로(56)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52)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52)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DSPs, FPGAs, CPLDs, ASICs,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디지털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싱 회로(52)는 고정된 회로 또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명령의 실행을 통해 특별히 적응된 프로그래밍 가능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거나, 고정된 및 프로그래밍된 회로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52)는 멀티코어일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52)는 또한 메모리(6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메모리(64)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66)과 선택적으로 구성 데이터(68)를 저장한다. 메모리(64)는 컴퓨터 프로그램(66)에 대해 비일시적인 저장 장치를 제공하며, 디스크 저장 장치, 고체 상태의 메모리 저장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일시적"은 영구적, 반영구적, 또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지속적인 저장을 의미하며, 비휘발성 메모리에서의 장기 저장과 작업 메모리에서의 저장(예를 들어, 프로그램 실행을 위함) 모두를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메모리(64)는 프로세싱 회로(52) 내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52)와 독립적일 수 있는, SRAM, DRAM, EEPROM 및 FLASH 메모리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메모리(64)는 컴퓨터 프로그램(66)의 비일시적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사용자 단말(50)에 의해 사용되는 임의의 구성 데이터(68)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52)는, 예를 들어, 메모리(64)에 저장된 적절한 프로그램 코드의 사용을 통해,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 및/또는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50)는 서빙셀 품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셀은 신호를 빔 포밍 방식에 따라 전송한다. 따라서, 프로세싱 회로(52)는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수신된다. 프로세싱 회로(52)는 또한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RLM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싱 회로(52)는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 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수신되는 방법(1000)을 수행한다. 방법(1000)은 또한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블록 1004),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RLM을 수행하는 단계(블록 1006)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서, RLM을 수행하는 단계는 무선 신호 메트릭(metric)을 얻기 위해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미리 결정된 제어 채널 품질에 대응하는 가상의 제어 채널은 빔 포밍된 기준 신호에 적용되는 동일한 빔 포밍의 특성을 사용하여 전송된다는 것을 가정하여, 무선 신호 메트릭을 미리 결정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1000)은 또한 제1제어 채널에 대한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추가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제1제어 채널을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 채널은 RLM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빔 포밍 기준 신호를 전달하는 주파수 자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주파수 자원에서 수신될 수 있다.
RLM을 수행하는 단계는 또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의 측정에 기반하여, UE가 인씽크인지 또는 아웃오브씽크인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방법(1000)은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제1빔에 대한 신호 품질을 측정함으로써, 그리고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 중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하여 제2빔에 대한 신호 품질을 측정함으로써,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는 제1빔에 대한 빔 특정 기준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RLM을 수행하는 단계는 빔 특정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제1빔에 대해 RLM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빔 특정 기준 신호는 빔 식별자를 전달할 수 있고, 방법(1000)은 빔 특정 기준 신호로부터 빔 식별자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방법(1000)은 RLM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를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파라미터를, 상기 RLM 수행 단계 이전에,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성 파라미터는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를 직접적으로 특정할 수 있고, RLM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가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성에서 볼 수 있듯이, 이동성에 사용되는 RS 측정은 RRM 및 동기화 기능에서 DL 제어 채널 품질을 매칭하기 위해 희박하게(sparsely)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성에 사용되는 RS, 즉 MRS 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 5번째 서브프레임마다 6개의 인접한 PRB에서 전송될 수 있다. 서빙 MRS 세트에 대한 서로 다른 6개의 PRB 할당의 구성은 서로 다른 액세스 노드에 대해 상이할 수 있고, 일부 실시 예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액세스 노드 ID에 매칭될 수 있다. 이 예시에서, 3개의 서로 다른 액세스 노드 또는 서빙셀은 노드 식별자 노드 ID-1, 노드 ID-2 등을 가지며, MRS에 대한 서로 다른 PRB 할당 세트를 활용하며, 특정 할당은 노드 식별자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주어진 UE에 대한 이동성 측정을 위해 구성된 MRS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서빙 MRS 세트에 대한 이러한 시간-주파수 자원 할당의 양은 LTE PSS/SSS에 상당하며, 이들은 모두 매 5번째 서브프레임마다 6개의 PRB에서 전송된다. 물론, 주파수 도메인에서, 구성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듯이, 주기가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서빙 MRS 세트에서의 MRS의 그러한 시간-주파수 자원 세분성(granularity)은 자원 그리드에서의 PDCCH 경우만큼 풍부하지 않다. RLM 절차 동안 측정 샘플의 수는 충분해야 하며, 샘플은 하향 링크 전송 대역폭에 걸쳐 많은 서브캐리어에서 취해져야 한다. 서빙 MRS 세트의 서브캐리어 할당을 위한 재구성은 DL 제어 채널에 대한 국부화된(localized) 또는 분산된(distributed) 체계에 기반할 수 있다. 국부화된 체계는 더 적은 UE의 계산을 요구할 수 있는 반면, 분산된 체계는 주파수 선택성 채널에 있어 더 나은 정확도를 제공할 수 있다.
RLM 기능을 위한 MRS 세트의 주기적 RS 사용은 네트워크 무선 자원에 최소의 시그널링 부담을 주는 해결책인데, 이는 이들 MRS는 이미 이동성 측정과 동기화의 목적으로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은 3GPP 5G NR의 희박한(lean) 시그널링 원리들을 위반하지 않으면서, UE에서 RLM 기능을 위해 기준 신호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가능하고 동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로 가능하게 되는 중요한 이점은 네트워크가 상이한 배치(예를 들어, 빔 수) 및 트래픽(예를 들어, 사용자 수, 데이터 활성/비활성) 시나리오에 대해 제한된 수의 희박한(sparse) 기준 신호를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율성 향상이다.
상세하게 상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8 및 도 10의 프로세스 흐름도에 도시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기술의 기능적 구현은 기능 모듈의 관점에서 나타날 수 있고, 각 기능 모듈은 적절한 프로세서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 유닛 또는 기능적 디지털 하드웨어 회로, 또는 이 둘의 일부 조합에 대응한다.
도 1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노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3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기능 모듈 또는 회로 아키텍쳐를 도시한다. 기능적 구현은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제1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듈(1304)을 포함하고,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전송된다. 구현은 또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도록, 그리고 이동성 관리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도록 UE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모듈(130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전송하는 단계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빔 포밍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1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을 위해 적응된 무선 디바이스(5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기능 모듈 또는 회로 아키텍쳐를 도시한다. 구현은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1402)을 포함하며,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수신된다. 구현은 또한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성 관리 모듈(1404) 및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링크 모니터링 모듈(1406)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은,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이상, 본 명세서에 특정하게 제시한 방법 외 다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50)

Claims (40)

  1. 사용자 단말, UE(50)에서 방법(1000)으로서,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1002)로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수신되는 단계(1002);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1004);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는 단계(1006)를 포함하는, UE(50).
  2. 제1항에 있어서,
    RLM을 수행하는 단계(1006)는 무선 신호 메트릭(metric)을 얻기 위해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미리 결정된 제어 채널 품질에 대응하는 가상의 제어 채널은 빔 포밍된 기준 신호에 적용되는 동일한 빔 포밍의 특성을 사용하여 전송된다는 것을 가정하여, 무선 신호 메트릭을 미리 결정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1000).
  3. 제2항에 있어서,
    제1제어 채널에 대한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추가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제1제어 채널을 복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1000).
  4. 제3항에 있어서,
    제1제어 채널은 RLM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빔 포밍 기준 신호를 전달하는 주파수 자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주파수 자원에서 수신되는, 방법(10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LM을 수행하는 단계(1006)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의 측정에 기반하여, UE(50)가 인씽크인지 또는 아웃오브씽크인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10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1004)는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하나 이상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제1빔에 대한 신호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와,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하나 이상의 제1서브세트 중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하여 제2빔에 대한 신호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10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는 제1빔에 대한 빔 특정 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RLM을 수행하는 단계(1006)는 빔 특정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제1빔에 대해 RLM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1000).
  8. 제7항에 있어서,
    빔 특정 기준 신호는 빔 식별자를 전달하고,
    방법(1000)은 빔 특정 기준 신호로부터 빔 식별자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10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LM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를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파라미터를, 상기 RLM 수행 단계 이전에,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1000).
  10. 제9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구성 파라미터는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를 직접 특정할 수 있고,
    RLM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가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로부터 결정되는, 방법(1000).
  11.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노드에서의 방법(800)으로서,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제1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804)로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전송되는 단계;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도록, 그리고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 UE를 구성하는 단계(802)를 포함하는, 방법(800).
  12. 제11항에 있어서,
    UE가 제1제어 채널에 대한 채널을 추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800).
  13. 제12항에 있어서,
    빔 포밍 기준 신호를 전달하는 주파수 자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주파수 자원에서 제1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800).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제1빔에 대해 빔 특정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방법(800).
  15. 제14항에 있어서,
    빔 특정 기준 신호는 빔 식별자를 전달하고,
    방법은 빔 특정 기준 신호로부터 빔 식별자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800).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를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파라미터를 UE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800).
  17. 제1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구성 파라미터는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될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를 직접 특정하고, 이로써 RLM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가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로부터 결정되는, 방법(800).
  18.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을 위해 구성된 사용자 단말, UE(50)로서,
    트랜시버 회로(56);
    트랜시버 회로(56)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싱 회로(52)로서: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수신되고;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회로(52)를 포함하는, UE(50).
  19. 제18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52)는 무선 신호 메트릭(metric)을 얻기 위해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그리고 미리 결정된 제어 채널 품질에 대응하는 가상의 제어 채널은 빔 포밍된 기준 신호에 적용되는 동일한 빔 포밍의 특성을 사용하여 전송된다는 것을 가정하여, 무선 신호 메트릭을 미리 결정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RLM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UE(50).
  20. 제19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52)는 제1제어 채널에 대한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추가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제1제어 채널을 복조하도록 구성된, UE(50).
  21. 제20항에 있어서,
    제1제어 채널은 RLM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달하는 주파수 자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주파수 자원에서 수신되는, UE(50).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52)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의 측정에 기반하여, UE(50)가 인씽크인지 또는 아웃오브씽크인지 결정함으로써 RLM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UE(50).
  23.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52)는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하나 이상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제1빔에 대한 신호 품질을 측정함으로써, 그리고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 중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하여 제2빔에 대한 신호 품질을 측정함으로써,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UE(50).
  24.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는 제1빔에 대한 빔 특정 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52)는 빔 특정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제1빔에 대해 RLM을 수행함으로써 RLM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UE(50).
  25. 제24항에 있어서,
    빔 특정 기준 신호는 빔 식별자를 전달하고,
    프로세싱 회로(52)는 빔 특정 기준 신호로부터 빔 식별자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UE(50).
  26.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52)는 RLM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를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파라미터를, 상기 RLM을 수행 단계 이전에,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UE(50).
  27. 제2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구성 파라미터는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를 직접 특정하고,
    RLM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가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로부터 결정되는, UE(50).
  28.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노드(30)로서,
    트랜시버 회로(36);
    트랜시버 회로(36)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싱 회로(32)로서: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제1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전송되고;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도록, 그리고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 UE(50)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32)를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30).
  29. 제28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32)는 UE(50)가 제1제어 채널에 대한 채널을 추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추가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노드(30).
  30. 제28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32)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달하는 주파수 자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주파수 자원에서 제1제어 채널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노드(30).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제1빔에 대한 빔 특정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30).
  32. 제31항에 있어서,
    빔 특정 기준 신호는 빔 식별자를 전달하고,
    프로세싱 회로(32)는 빔 특정 기준 신호로부터 빔 식별자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노드(30).
  33. 제2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32)는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를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파라미터를 UE(50)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노드(30).
  34. 제3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구성 파라미터는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될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를 직접 특정하여, 이로써 RLM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가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주기로부터 결정되는, 액세스 노드(30).
  35.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UE(50)로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1000)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UE(50).
  36. 컴퓨터 프로그램(66)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64)로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고, 프로그램 명령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해 구성된 UE(5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회로(52)에서 실행될 때, UE(50)가: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하고,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수신되고;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64).
  37.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노드(30)로서,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800)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액세스 노드(30).
  38.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4)로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고, 프로그램 명령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노드(3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회로(32)에서 실행될 때, 액세스 노드(30)가: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제1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하고,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전송되고;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도록, 그리고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도록 UE(50)를 구성하도록 구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44).
  39. 사용자 단말, UE(50)로서,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1402)로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수신되는, 수신 모듈(1402);
    수신된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성 관리 모듈(1404);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링크 모니터링 모듈(1406)을 포함하는, UE(50).
  40. 액세스 노드(30)로서,
    일련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제1하향 링크 신호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듈(1304)로서, 빔 포밍된 기준 신호는 하향 링크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게 전송되는, 전송 모듈(1304);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 측정을 수행하도록, 그리고 이동성 관리 측정에 사용되는 빔 포밍된 기준 신호의 제1서브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 UE(50)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모듈(1302)을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30).
KR1020197013882A 2016-11-04 2017-11-03 빔 기반의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성 기준 신호의 재사용 KR102186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6/104755 2016-11-04
CNPCT/CN2016/104755 2016-11-04
PCT/SE2017/051100 WO2018084798A1 (en) 2016-11-04 2017-11-03 Reuse of mobility reference signals to perform radio link monitoring in a beam-base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439A true KR20190073439A (ko) 2019-06-26
KR102186725B1 KR102186725B1 (ko) 2020-12-04

Family

ID=6032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882A KR102186725B1 (ko) 2016-11-04 2017-11-03 빔 기반의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성 기준 신호의 재사용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64800B2 (ko)
EP (1) EP3536080A1 (ko)
JP (1) JP6889257B2 (ko)
KR (1) KR102186725B1 (ko)
CN (2) CN109891977B (ko)
MA (1) MA45750B1 (ko)
MX (1) MX2019005229A (ko)
RU (1) RU2723064C1 (ko)
WO (1) WO2018084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3165A1 (en) 2017-03-24 2021-09-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lm and beam failure detection based on a mix of different reference signals
CN110603737B (zh) 2017-06-02 2022-04-01 苹果公司 用于新无线电(nr)的波束成形测量
US11469834B2 (en) * 2017-10-13 2022-10-11 Apple Inc. Radio link monitoring (RLM) evaluation mechanism for new radio (NR) systems
WO2019242015A1 (en) * 2018-06-22 2019-12-26 Nokia Shanghai Bell Co., Ltd.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allocating measurement resources
US20200092034A1 (en) * 2018-09-18 2020-03-19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control channel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3827530B1 (en) * 2018-09-27 2023-05-10 Apple Inc. Radio link monitoring and failure for new radio-unlicensed operation
CN111586621A (zh) * 2019-02-15 2020-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侧行链路管理方法及装置
US11990973B2 (en) * 2020-04-20 2024-05-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management for a radio transceiver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5692A (ko) * 2012-07-11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측정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9882B1 (en) * 2009-12-22 2013-03-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a termina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241916B1 (ko) 2010-02-07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2378703A1 (en) 2010-04-13 2011-10-19 Panasonic Corporation Mapping of control information to control channel elements
US8712401B2 (en) 2010-04-16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monitoring (RLM) and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measurement for heterogeneous networks
PL2569973T3 (pl) 2010-05-10 2018-10-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posoby i urządzenia do obsługi pomiarów między-częstotliwościowych
US20120182895A1 (en) * 2011-01-13 2012-07-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PL2919545T3 (pl) 2011-02-11 2017-12-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rządzenie oraz sposób dla rozszerzonego kanału sterowania (e-pdcch)
WO2012177203A1 (en) * 2011-06-21 2012-12-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measurements in a wireless network
EP2777187A1 (en) * 2011-11-11 2014-09-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asurements in adaptive downlink power transmission
US8982693B2 (en) * 2012-05-14 2015-03-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Radio link monito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14007512A1 (ko) 2012-07-02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US10645599B2 (en) 2012-07-02 2020-05-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86240B1 (ko) 2012-08-31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JP6105257B2 (ja) 2012-11-02 2017-03-29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011995B1 (ko) 2012-11-23 2019-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빔 패턴 변경에 따른 빔 이득 보상 운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6047668B2 (ja) 2013-01-09 2016-12-2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測定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177919B2 (en) 2013-01-18 2021-11-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for energy-efficient unicast and multicas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73109B2 (en) 2013-03-15 2015-10-27 Blackberry Limited Radio link quality monitoring
WO2014157867A1 (en) 2013-03-25 2014-10-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down link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CN104469945B (zh) * 2013-09-12 2019-01-25 索尼公司 Nct scc的激活控制装置和方法、管理方法、以及基站装置
WO2015089303A1 (en) 2013-12-12 2015-06-18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cell association and beamforming training with a mmwave capable small cell
CN107211303B (zh) 2015-01-22 2020-05-08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的装置和方法
WO2016121730A1 (ja) 2015-01-30 2016-08-04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WO2016168985A1 (en) 2015-04-21 2016-10-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adio link quality
US10111123B2 (en) * 2015-04-30 2018-10-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laxed measurement reporting with control plane dual connectivity
US9749103B2 (en) 2015-07-31 2017-08-2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eamformed reference/control signals
CN111030743B (zh) * 2015-09-11 2023-08-11 苹果公司 5g系统中用于初始获取的参考信号
TWI767306B (zh) 2015-11-10 2022-06-11 美商Idac控股公司 波束成形系統下行控制頻道設計及傳訊
US10524150B2 (en) 2016-01-14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ell measuremen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219259B2 (en) * 2016-05-13 2019-02-26 Qualcomm Incorporated Uplink-based cell selection
US20180049204A1 (en) 2016-08-12 2018-02-1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One or More Parameters for Defining a More Flexible Radio Communication
US10383073B2 (en) 2016-09-29 2019-08-1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based mobility without downlink zone signals
EP3603201A1 (en) * 2017-03-23 2020-0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irst network node, third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by for facilitating cell sel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5692A (ko) * 2012-07-11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측정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 WG2 Meeting #94, R2-163995, 2016.05.14. *
3GPP TSG-RAN WG2 Meeting #94, R2-164000, 2016.05.14. *
3GPP TSG-RAN WG2 Meeting #94, R2-164001, 2016.05.1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00452A (ja) 2020-01-09
EP3536080A1 (en) 2019-09-11
CN109891977B (zh) 2023-06-20
MA45750B1 (fr) 2019-11-29
US10764800B2 (en) 2020-09-01
MX2019005229A (es) 2019-08-05
CN109891977A (zh) 2019-06-14
WO2018084798A1 (en) 2018-05-11
US20190380075A1 (en) 2019-12-12
KR102186725B1 (ko) 2020-12-04
JP6889257B2 (ja) 2021-06-18
MA45750A1 (fr) 2019-07-31
CN116782386A (zh) 2023-09-19
RU2723064C1 (ru)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0296B2 (en) RLM and beam failure detection based on a mix of different reference signals
KR102186725B1 (ko) 빔 기반의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성 기준 신호의 재사용
US20200412418A1 (en) Enhancements to Mobility Reference Signals for Radio Link Monitoring in a Beam-Based System
EP2719216B1 (en) Signal quality measurements of a user equipment on a subset of radio resource elements
US20200092141A1 (en) Rrm measurement and channel estimation based on reference signals of coexisting communication systems
US20190363910A1 (en) Use of Mobility Reference Signals to Perform Radio Link Monitoring in a Beam-Based System
EP3036961A1 (en) Coordination for pbch
EP4008122A1 (en) Positioning-specific beam refinement for neighbor cell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transmission
CN108738038B (zh) 消息处理方法及装置、第一无线接入网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