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460A - Up looper system - Google Patents

Up loop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460A
KR20190071460A KR1020170172528A KR20170172528A KR20190071460A KR 20190071460 A KR20190071460 A KR 20190071460A KR 1020170172528 A KR1020170172528 A KR 1020170172528A KR 20170172528 A KR20170172528 A KR 20170172528A KR 20190071460 A KR20190071460 A KR 20190071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uide
disposed
shaft
ki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2552B1 (en
Inventor
권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2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552B1/en
Publication of KR2019007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4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5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21B39/084Loop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Abstract

An uplooper system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plooper system, when a material is transferred on a roller, a position in which the material is in contact with the roller is designed to be asymmetrical about an axial direction of the roller. Therefore, a wear phenomenon of the roller can be prevented for the roller to be reused, and durability of the roller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maintenance costs that are excessively required with short life can be reduced,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by eliminating a load of maintenance work.

Description

업루퍼 시스템{UP LOOPER SYSTEM}Up Looper System {UP LOOPER SYSTEM}

본 발명은 업루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가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소재와 상기 롤러가 접하는 위치를 상기 롤러의 축방향 중심에서 비대칭으로 설계함에 따라,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업루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loop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ploop system capable of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an equipment by designing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contacts the roller when the material is transported on the roller, Lt; / RTI >

일반적으로 제강로에서 제조된 용강은 연주공정 및 압연공정을 거치면서 슬라브(slab)로 제작되고, 슬라브는 압연공정을 거쳐 강재로 제조된다.Generally, the molten steel produced in the steelmaking furnace is manufactured as a slab through a casting process and a rolling process, and the slab is manufactured as a steel material through a rolling process.

압연공정은 금속의 소성을 이용하여 고온 또는 상온의 금속재료를 여러가지 형태의 재료로 가공하는 방법으로, 회전하는 2개의 롤 사이에 형성되는 연속적인 힘을 이용하여 두께와 폭을 감소시키고 길게 늘리는 소성가공을 의미한다.The rolling process is a method of processing a metal material of high or normal temperature into various types of materials by using a sintering of a metal. The continuous process of forming between two rotating rolls is used to reduce the thickness and width, Processing.

압연공정에는 열간 압연공정, 선재 압연공정, 냉간 압연공정 등이 있다. 이 중 선재 압연공정은 빌렛(billet)을 투입하여 가열, 압연, 냉각 및 정정(검사 및 시험)을 거쳐 직경이 5~50mm인 선재를 생산하는 작업이다.The rolling process includes a hot rolling process, a wire rolling process, and a cold rolling process. Among them, the wire rod rolling process is a work to produce wire rod having a diameter of 5 to 50 mm through billet injection, heating, rolling, cooling and correction (inspection and testing).

선재 공장의 압연구간에서는 선재의 텐션(tension)을 제어하고 소재의 진행 및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강제적으로 소재에 루프(loop)를 형성시키는 업루퍼 시스템이 설치된다. In the rolling section of the wire rod factory, an uploop system is provided which controls the tension of the wire rod and forcibly forms a loop in the material to secure the progress and quality of the material.

업루퍼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경우, 소재에 루프가 형성되면서 롤러 상에서 이송되는데, 이때, 소재가 이송되는 경로를 이탈하여 한쪽으로 쏠리게 되어 원활한 업루프 작업을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소재가 롤러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소재가 접하는 롤러의 위치에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롤러의 손상이 빨리 진행되고, 소재가 접하지 않은 부분은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여 짧은 주기로 롤러를 교체하여 정비비의 과소요가 발생하게 된다.When the uploop system is normally operated, a loop is formed on the workpiece, and the workpiece is transferred on the roller. At this time, the workpiece is deviated from the path to be convey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smooth up-loop work. In addition, as the material is continuously conveyed on the roller, abrasion occurs at the position of the roller to which the material contacts. As a result, the damage of the rollers proceeds quickly, and the rollers are replaced in a short period of time even though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portions where the rollers are not in contact with the rollers.

따라서, 원활한 업루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장비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켜 정비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업루퍼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uploop system that can smoothly perform an up-loop operation and extend the replacement period of the equipment to drastically reduce the maintenance cost.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3992호(2010.12.20. 등록)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압연기의 업루퍼장치가 기재되어 있다.A background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03992 (Registered on December 20, 2010), which discloses an uploop device of a rolling mill.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업루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ploop system capable of reusing rollers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equipment.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입측 가이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입측 가이드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되는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loop)를 형성시키는 푸쉬 어셈블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및 상기 푸쉬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가 형성된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측면 가이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및 상기 측면 가이드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출측 가이드; 및 상기 출측 가이드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하부에 일면이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plooper system comprising: a base frame; An inlet guid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work so as to guide a feed path of the introduced work; A push assembly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at a rear end of the guide to form a parabolic loop in the conveyed work; A side guid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ush assemb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work so as to guide a conveying path of the work in which the loops are formed; An exit guid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at a rear end position of the side guide and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work so as to guide a conveying path of the conveyed work; And a guide member disposed at a rear end position of the exit guide and having one surfac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ork so as to guide a conveying path of the conveyed work.

상기 푸쉬 어셈블리는 키커 롤러부; 상기 키커 롤러부에 선단이 결합되는 레버(lever); 및 상기 레버의 후단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키커 롤러부를 상승시켜 회전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sh assembly includes a kicker roller portion; A lever to which a tip of the kicker roller unit is coupled; And a hydraulic cylinder fixed to a rear end of the lever and operating in an up and down direction to rotate the kicker roller unit up and rotate.

상기 키커 롤러부는 샤프트 상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입측 가이드에서 이송되는 소재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를 형성시키는 제1키커 롤러; 상기 샤프트의 양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키커 롤러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키커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레버(lever); 상기 롤러 레버의 끝단에 배치되고, 샤프트 상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포물선 형태의 루프가 형성되는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2키커 롤러; 상기 제2키커 롤러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상기 롤러 레버에 고정시키는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을 포함할 수 있다.A first kicker roller coupled to the kicker roller unit so as to rotate on a shaft and rotating the material conveyed from the inlet guide upward to form a parabolic loop in the material; A roller leve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haf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kicker roller to support the first kicker roller; A second kicker roller disposed at an end of the roller lever and coupled to be rotated on the shaft to convey the material in which the parabolic loop is formed; And a bearing block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haft coupled to the second kicker roller to fix the shaft to the roller lever.

상기 제1키커 롤러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키커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키커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Wherein the first kicker roller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is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being such that the material is moved on the first kicker roller And may be a position at which the material contacts the first kicker roller when it is transported.

상기 제2키커 롤러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키커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키커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kicker roller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is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being such that the material is moved on the second kicker roller And may be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touches the second kicker roller when it is conveyed.

상기 입측 가이드는 상기 소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1입측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소재의 상부 및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2입측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inlet guide includes a first inlet guide roll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orkpiece and feeding the workpiece while rotating; And a second inlet guide roller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terial and at a rear end position of the first inlet guide roller and conveying the material while rotating.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Wherein the first input guide rollers are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by being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 first input guide roll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work.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input guide rollers are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by being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When the second input guide roller is transported on the second input guide roller.

상기 출측 가이드는 상기 소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1출측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소재의 하부 및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2출측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xit guide comprises: a first exit guide roller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orkpiece and conveying the workpiece while rotating; And a second exit guide roll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terial and at a rear end position of the first exit guide roller and conveying the material while rotating.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Wherein the first exit guide rollers are disposed in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exit guide rollers being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 first exit guide roll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work.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exit guide rollers are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r at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by being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 second exit guide roll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work.

본 발명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은 소재가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소재와 상기 롤러가 접하는 위치를 상기 롤러의 축방향 중심에서 비대칭으로 설계함에 따라, 롤러의 마모 현상을 방지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롤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짧은 수명으로 과소요되던 정비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정비작업의 부하해소로 작업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uploop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asymmetrically position the material and the roller at the axial center of the roller when the material is transported on the roller so as to prevent the wear of the roller,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batter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which is negligible due to the short life span, and to improve the working rate by eliminating the load of the maintenance 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기존 롤러에 이송되는 소재가 접하는 위치와 본 발명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에 포함되는 롤러에 이송되는 소재가 접하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에 포함되는 업루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측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n uploop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loop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fed to the conventional roller touches and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fed to the roller included in the uploop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cts.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loaper included in an uploop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Fig. 5. Fig.
Fig. 7 is a plan view of Fig. 5. Fig.
Fig. 8 is a side view of Fig. 5.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uploop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선재공장에서 압연구간에 설치되어 선재의 텐션(tension)을 최소화하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이송되는 소재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내어 강제적으로 포물선 형태의 루프(loop)를 형성시키는 업루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order to minimize the tension of the wire and to maintain a constant tensile for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plooper which is installed in a rolling section in a wire rod factory and pushes a material to be fed upward to form a parabolic loop ≪ / RTI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wire ro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ro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루퍼 시스템(10)은 베이스 프레임(100), 입측 가이드(200), 푸쉬 어셈블리(300), 측면 가이드(400), 출측 가이드(500) 및 가이드 부재(600)를 포함한다.1 and 2, a looper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100, an inlet guide 200, a push assembly 300, a side guide 400, an exit guide 500, Member 600 as shown in FIG.

베이스 프레임(100)은 소재에 루프(loop)를 형성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입측 가이드(200), 상기 푸쉬 어셈블리(300), 상기 측면 가이드(400) 및 상기 출측 가이드(500)를 지지하는 받침대 역할을 한다.The base frame 100 is a space for forming a loop in the material and is a base for supporting the inlet guide 200, the push assembly 300, the side guide 400 and the outlet guide 500. [ It plays a role.

입측 가이드(2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단부 위치에 배치된다.The input guide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0 and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position.

상기 입측 가이드(200)는 유입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재의 일측에는 제1입측 가이드(200a)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소재의 다른 일측에는 제2입측 가이드(200b)가 배치될 수 있다.The inlet guide 2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orkpiece so as to guide the feed path of the introduced workpiece. A first inlet guide 200a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orkpiece, and a second inlet guide 200b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piece.

상기 입측 가이드(200)는 상기 소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 및 상기 소재의 상부 및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는 제2입측 가이드 롤러(12)를 포함한다.The inlet guide 200 includes a first inlet guide roller 11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terial and a second inlet guide roller 11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terial and at a rear end position of the first inlet guide roller 11 12).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 및 제2입측 가이드 롤러(12) 각각은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let guide rollers 11 and 12 is coupled to the shaft and rotates to guide the conveying path of the material and to transfer the material.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로서, 상기 소재가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inlet guide rollers 11 may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Wherei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axial center of the shaft so that when the material is transferred on the first input side guide roller (11), the first input side guide roller (11) It may be a contact position.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에서와 같이,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12)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12)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12)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The second input guide rollers 12 may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as in the first input guide rollers 11. [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may be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contacts the second inlet guide rollers 12 when the material is transported on the second inlet guide rollers 12. [

상기 제1입측가이드 롤러(11)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배치될 때, 제2입측가이드 롤러(12)는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first inlet guide roller 11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inlet guide roller 12 may be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예를 들어, 업루퍼 시스템(10)의 첫 번째 작동 시, 제1입측가이드 롤러(11)가 제1위치에 배치되고, 업루퍼 시스템(10)의 두 번째 작동 시, 제1입측가이드 롤러(11)가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롤러를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롤러에 소재가 접하는 위치를 샤프트의 축방향 중심에서 벗어나도록 비대칭으로 설계함으로써, 롤러를 2회 이상 추가로 사용할 수 있어 롤러의 재사용이 가능하고, 롤러의 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For example, during the first operation of the uplooper system 10, the first inlet guide rollers 11 are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and during the second operation of the uploop system 10, the first inlet guide rollers 11 11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In other words, by designing the roller so as to move away from the center of the shaft in the axial direction by moving the roll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 roller can be used more than twic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wear.

푸쉬 어셈블리(3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입측 가이드(200)의 후단 위치에 배치된다.The push assembly 300 is disposed at an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0 and is disposed at a rear end position of the inlet guide 200.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푸쉬 어셈블리(300)는 상기 이송되는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loop)를 형성시키기 위해, 키커 롤러부, 상기 키커 롤러부에 선단이 결합되는 레버(lever)(4) 및 상기 레버(4)의 후단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키커 롤러부를 상승시켜 회전시키는 유압 실린더(5)를 포함한다. 5 to 8, the push assembly 300 includes a kicker roller unit, a lever coupled to the kicker roller unit to form a loop in a parabolic shape on the conveyed material, (4) and a hydraulic cylinder (5)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lever (4) and operating in an up and down direction to raise and rotate the kicker roller unit.

상기 키커 롤러(kicker roller)부는 제1키커 롤러(13), 롤러 레버(2) 및 제2키커 롤러(14)를 포함한다. 상기 키커 롤러부는 후술할 유압 실린더(5)가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레버(4)의 선단이 상승하면서 상기 키커 롤러부가 상승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를 형성시킬 수 있다.The kicker roller portion includes a first kicker roller 13, a roller lever 2, and a second kicker roller 14. The kicker roller portion can be formed with a parabolic loop in the material as the hydraulic cylinder 5 ope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raise the tip of the lever 4 and rotate the kicker roller portion up and down.

상기 제1키커 롤러(13)는 샤프트 상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입측 가이드(200)에서 이송되는 소재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kicker roller 13 is coupled to rotate on the shaft and rotates the material conveyed from the inlet guide 200 in the upward direction to form a parabolic loop in the work.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에서와 같이, 상기 제1키커 롤러(13)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키커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키커 롤러(13)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The first kicker roller 13 may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as in the first entry guide roller 11. [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may be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contacts the first kicker roller (13) when the material is transported on the first kicker roller.

상기 제1키커 롤러(13)의 상부 및 양측에는 롤러 측면 가이드(1)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키커 롤러(13) 상에 소재가 이송될 때, 이송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키커 롤러(13)의 일측에는 제1롤러 측면 가이드(1a)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키커 롤러(13)의 다른 일측에는 제2롤러 측면 가이드(1b)가 배치될 수 있다.The roller side guides 1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both sides of the first kicker roller 13 so as to guide the conveying path when the material is conveyed on the first kicker roller 13. A first roller side guide 1a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kicker roller 13 and a second roller side guide 1b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kicker roller 13 .

상기 롤러 레버(lever)(2)는 샤프트의 양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키커 롤러(13)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키커 롤러(1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 레버(lever)(2)는 "ㄴ"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그 길이의 끝단은 상기 레버(4)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roller lever 2 is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shaf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kicker roller 13 to support the first kicker roller 13. More specifically, the roller lever (2) has a shape bent in an "? "Shape, and an end of the roller lever (2) is rotatably coupled by the lever (4).

상기 제2키커 롤러(14)는 상기 롤러 레버(2)의 끝단에 배치되고, 샤프트 상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포물선 형태의 루프가 형성되는 소재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키커 롤러(14)는 상기 레버(4)에 의해 상기 제1키커 롤러(13)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키커 롤러(13)가 상승함에 따라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루프가 형성된 소재를 바로 제2키커 롤러(14) 상에 접할 수 있어, 상기 소재가 지면에 하강하면서 받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루프 조정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 소재의 표면 결함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kicker roller 14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roller lever 2 and is coupled to rotate on the shaft to transfer the material in which the parabolic loop is formed. The second kicker roller 14 is connected to the first kicker roller 13 by the lever 4 so that the first kicker roller 14 is simultaneously lifted as the first kicker roller 13 is lif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tact the material on which the loop is formed directly on the second kicker roller 14, thereby relieving the impact of the material as it descends on the ground, and can smoothly perform the loop adjustment, Defects and the lik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에서와 같이, 상기 제2키커 롤러(14)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키커 롤러(14)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키커 롤러(14)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The second kicker roller 14 may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o be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as in the first entry guide roller 11. [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may be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contacts the second kicker roller 14 when the material is transported on the second kicker roller 14. [

상기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3)은 상기 제2키커 롤러(14)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샤프트의 양 끝단에 제1베어링 블록(3a)과 제2베어링 블록(3b)이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상기 롤러 레버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bearing block 3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haft coupled to the second kicker roller 14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bearings 3a and 3b at both ends of the shaft, Blocks 3b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to fix the shaft to the roller lever.

측면 가이드(4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쉬 어셈블리(300)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side guide 40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0 and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ush assembly 300.

상기 측면 가이드(400)는 상기 루프가 형성된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재의 일측에는 제1측면 가이드(400a)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소재의 다른 일측에는 제2측면 가이드(400b)가 배치될 수 있다.The side guides 40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orkpiece so as to guide the feed path of the workpiece in which the loops are formed. A first side guide 400a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terial, and a second side guide 400b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출측 가이드(5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 가이드(400)의 후단 위치에 배치된다.The exit guide 50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0 and is disposed at a rear end position of the side guide 400.

상기 출측 가이드(500)는 상기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재의 일측에는 제1출측 가이드(50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소재의 다른 일측에는 제2출측 가이드(50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exit guides 5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work so as to guide the conveying path of the work to be conveyed. A first exit guide 5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orkpiece, and a second exit guide 50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workpiece.

상기 출측 가이드(500)는 상기 소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출측 가이드 롤러(15), 및 상기 소재의 상부 및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15)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는 제2출측 가이드 롤러(16)를 포함한다.The exit guide 500 includes a first exit guide roller 15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orkpiece and a second exit guide roller 15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workpiece and at a rear end of the first exit guide roller 15 16).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15) 및 제2출측 가이드 롤러(16) 각각은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Each of the first exit guide rollers 15 and the second exit guide rollers 16 is coupled to the shaft and rotates to guide the conveyance path of the material and to transfer the material.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에서와 같이,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15)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15)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15)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As in the first input guide roller 11, the first exit guide roller 15 may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may be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contacts the first exit guide roller (15) when the material is transported on the first exit guide roller (15).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에서와 같이,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16)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16)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16)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As in the first entry guide roller 11, the second exit guide roller 16 may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may be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contacts the second exit guide roller 16 when the material is transported on the second exit guide roller 16.

가이드 부재(600)는 상기 출측 가이드(500)의 후단 위치에 배치된다.The guide member 600 is disposed at the rear end position of the exit guide 500.

상기 가이드 부재(600)는 상기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하부에 일면이 배치될 수 있으며,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600)로부터 이송되는 소재는 상기 업루퍼 시스템(10)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선재 압연 시스템(미도시)으로 이송될 수 있다. The guide member 6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ork so as to guide the conveying path of the conveyed work,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he material conveyed from the guide member 600 can be conveyed to a wire rolling system (not shown)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uploop system 10.

본 발명의 업루퍼 시스템(10)에서 소재에 루프를 형성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forming a loop on a material in the uplooper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소재가 입측 가이드(200)에 배치되는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 상에 이송되면서 제2입측 가이드 롤러(12) 하부를 통과한다. 상기 입측 가이드(200)에는 소재의 업루프 높이를 감지하고, 푸쉬 어셈블리(300)의 유압 실린더(5)를 구동시키는 스캐너(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First, the material is fed on the first inlet guide rollers 11 disposed in the inlet guide 200 and passes under the second inlet guide rollers 12. The inlet guide 200 may be provided with a scanner (not shown) for sensing the up-loop height of the material and driving the hydraulic cylinder 5 of the push assembly 300.

상기 스캐너(미도시)는 상기 입측 가이드(200)를 통과하는 소재를 감지하고, 유압 실린더(5)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켜, 푸쉬 어셈블리(300)의 레버(4)에 장착된 키커 롤러부를 상승 작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키커 롤러(13)를 이용하여 소재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를 형성시키고, 이어서, 제2키커 롤러(14)에 상기 소재가 접하면서 상기 제2키커 롤러(14)의 회전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The scanner senses the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inlet guide 200 and actuates the hydraulic cylinder 5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ove the kicker roller portion mounted on the lever 4 of the push assembly 300 up . More specifically, the material is turned upward by using the first kicker roller 13 to form a parabolic loop in the material, and then the material is contacted to the second kicker roller 14, And can be conveyed by the rotation of the kicker roller 14. [

이와 같이, 키커 롤러부의 상승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를 상부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밀어내어 포물선 형태의 루프를 형성시킴으로써, 소재의 장력을 유지하여 선재 제품의 품질 향상 및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재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루프가 완만하게 형성되고, 상기 소재가 제1키커 롤러(13)를 따라 원활하게 움직여야 안정된 루프 형성이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루프 형성은 상기 소재가 이송되는 롤러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10~50cm의 범위로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s described above, by forcibly pushing the material conveyed by the rise of the kicker roller portion in the upward direction to form a parabolic loop,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material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wire product a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 It can be said that the loops are formed gently while the tension of the material is maintained and the material moves smoothly along the first kicker roller 13 to form a stable loop. The loop formation can be controlled in a range of approximately 10 to 50 cm from the surface of the roller to which the material is f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소재는 상기 제1키커 롤러(13)와 상기 제2키커 롤러(14)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측면 가이드(400)를 통과하게 된다.The material passes through the side guide 400 while being continuously conveyed on the first kicker roller 13 and the second kicker roller 14.

상기 측면 가이드(400)를 통과하는 소재는 직선 상으로 공급되면서 제1출측 가이드 롤러(15) 하부를 통과하고, 제2출측 가이드 롤러(16) 상부를 통과하여, 가이드 부재(600)를 따라 이송된다.The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side guide 400 is fed linearly and passes under the first exit guide roller 15 and passes over the second exit guide roller 16 to be conveyed along the guide member 600 do.

상기 이송하는 소재의 끝단 부분이 입측 가이드를 통과하여 상기 스캐너(미도시)가 오프(off)되면 상기 유압 실린더(5)의 작동이 오프되면서 상기 유압 실린더(5)는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When the end portion of the material to be conveyed passes through the inlet guide and the scanner (not shown) is turned off,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5 is turned off and the hydraulic cylinder 5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 롤러 측면 가이드
1a : 제1롤러 측면 가이드
1b : 제2롤러 측면 가이드
2 : 롤러 레버
3 : 베어링 블록
3a : 제1베어링 블록
3b : 제2베어링 블록
4 : 레버
5 : 유압 실린더
10 : 업루퍼 시스템
11 : 제1입측가이드 롤러
12 : 제2입측가이드 롤러
13 : 제1키커 롤러
14 : 제2키커 롤러
15 : 제1출측가이드 롤러
16 : 제2출측가이드 롤러
100 : 베이스 프레임
200 : 입측 가이드
300 : 푸쉬 어셈블리
400 : 측면 가이드
500 : 출측 가이드
600 : 가이드 부재
1: roller side guide
1a: first roller side guide
1b: second roller side guide
2: Roller lever
3: Bearing block
3a: first bearing block
3b: second bearing block
4: Lever
5: Hydraulic cylinder
10: Upper Loop System
11: first inlet guide roller
12: second inlet guide roller
13: First kicker roller
14: second kicker roller
15: first exit guide roller
16: second outward guide roller
100: base frame
200: Inlet guide
300: push assembly
400: side guide
500: Exit guide
600: guide member

Claims (1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입측 가이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입측 가이드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되는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loop)를 형성시키는 푸쉬 어셈블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및 상기 푸쉬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가 형성된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측면 가이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및 상기 측면 가이드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출측 가이드; 및
상기 출측 가이드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하부에 일면이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A base frame;
An inlet guid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work so as to guide a feed path of the introduced work;
A push assembly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at a rear end of the guide to form a parabolic loop in the conveyed work;
A side guid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ush assemb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work so as to guide a conveying path of the work in which the loops are formed;
An exit guid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at a rear end position of the side guide and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work so as to guide a conveying path of the conveyed work; And
And a guide member disposed at a rear end position of the exit guide and having one sid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ork so as to guide a conveying path of the work to be conve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어셈블리는 키커 롤러부; 상기 키커 롤러부에 선단이 결합되는 레버(lever); 및 상기 레버의 후단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키커 롤러부를 상승시켜 회전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sh assembly includes a kicker roller portion; A lever to which a tip of the kicker roller unit is coupled; And a hydraulic cylinder fixed to a rear end of the lever and operating in an up and down direction to move the kicker roller unit up and ro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커 롤러부는 샤프트 상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입측 가이드에서 이송되는 소재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를 형성시키는 제1키커 롤러; 상기 샤프트의 양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키커 롤러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키커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레버(lever); 상기 롤러 레버의 끝단에 배치되고, 샤프트 상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포물선 형태의 루프가 형성되는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2키커 롤러; 상기 제2키커 롤러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상기 롤러 레버에 고정시키는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kicker roller coupled to the kicker roller unit so as to rotate on a shaft and rotating the material conveyed from the inlet guide upward to form a parabolic loop in the material; A roller leve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haf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kicker roller to support the first kicker roller; A second kicker roller disposed at an end of the roller lever and coupled to be rotated on the shaft to convey the material in which the parabolic loop is formed; And a bearing block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haft coupled to the second kicker roller to fix the shaft to the roller lev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커 롤러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키커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키커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kicker roller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is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Wherei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contacts the first kicker roller when the material is transported on the first kicker roll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키커 롤러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키커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키커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kicker roller is disposed in a second position that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sition or the first position,
Wherei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contacts the second kicker roller when the material is transported on the second kicker 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측 가이드는 상기 소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1입측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소재의 상부 및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2입측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let guide includes a first inlet guide roll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orkpiece and feeding the workpiece while rotating; And a second inlet guide roller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terial and at a rear end position of the first inlet guide roller to feed the material while rotat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input guide rollers ar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are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Wherei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contacts the first inlet guide roller when the material is fed on the first inlet guide roller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input guide rollers ar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are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Wherei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contacts the second inlet guide rollers when the material is fed on the second inlet guide roll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측 가이드는 상기 소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1출측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소재의 하부 및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2출측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it guide comprises: a first exit guide roller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orkpiece and conveying the workpiece while rotating; And a second exit guide roll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terial and at a rear end position of the first exit guide roller and conveying the material while rotat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exit guide rollers are disposed in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position by being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Wherei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contacts the first exit guide roller when the material is transported on the first exit guide roll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exit guide roller is disposed in a second position that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sition or the first position,
Wherei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material contacts the second exit guide roller when the material is transported on the second exit guide rollers.
KR1020170172528A 2017-12-14 2017-12-14 Up looper system KR1020425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28A KR102042552B1 (en) 2017-12-14 2017-12-14 Up loop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28A KR102042552B1 (en) 2017-12-14 2017-12-14 Up loop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460A true KR20190071460A (en) 2019-06-24
KR102042552B1 KR102042552B1 (en) 2019-11-08

Family

ID=6705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528A KR102042552B1 (en) 2017-12-14 2017-12-14 Up loop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55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218A (en)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포스코 Up looper device
KR20220028219A (en)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포스코 Up looper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218A (en)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포스코 Up looper device
KR20220028219A (en)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포스코 Up loop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552B1 (en)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9367C2 (en) Method and device slab forming
KR100758487B1 (en) An apparatus for guiding rolled material having warp or bending part in hot rolling line
KR20190071460A (en) Up looper system
KR200183930Y1 (en) Apparatus for adjusting bad transfer of belt conveyor
KR100961610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late material
CN107921501B (en) Device and method for eliminating flatness defects of a flat metal product
KR102239240B1 (en) Scarfing apparatus and Scarfing method
KR20160079948A (en) Materials charging guide apparatus of reheating furnace
KR101079536B1 (en) Tunner guide apparatus of adjustable type for wire rod rolling mill
KR20030023905A (en) Up-loop apparatus for preventing wire rod from waving
KR101353832B1 (en) Apron apparatus
KR20130046572A (en) Transferring apparatus for fuel and raw material
KR102333687B1 (en) Heat treatment alignment feeder for bearing parts
KR20120122243A (en) Transfer Table Structure for Cooling of Steel
KR100782752B1 (en) An apparatus for guiding rolled wire-rod
KR101091333B1 (en) An Apparatus for Guiding Rolled Workpiece
KR20090067806A (en) Side guiding apparatus for centering rolling material
KR102379572B1 (en) Up looper device
KR840001681B1 (en) An apparatus for guiding and supporting a continously cast slab
US20020121426A1 (en) Method for detecting a roller failure
KR100916059B1 (en) An apparatus for guiding wire rods in rolling line
JP4161453B2 (en) Hot material thickness press machine
KR20020043032A (en) Transfer roller table for work material
KR20240027336A (en) roller device for up looper equipment
KR20200004069A (en) Cutting apparatus and cut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