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572B1 - Up looper device - Google Patents

Up loop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572B1
KR102379572B1 KR1020200108943A KR20200108943A KR102379572B1 KR 102379572 B1 KR102379572 B1 KR 102379572B1 KR 1020200108943 A KR1020200108943 A KR 1020200108943A KR 20200108943 A KR20200108943 A KR 20200108943A KR 102379572 B1 KR102379572 B1 KR 102379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it
guide
base frame
roll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9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8218A (en
Inventor
장백석
장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명광이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명광이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0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572B1/en
Publication of KR2022002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2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5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21B39/084Loop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5/00Forming parameters
    • B21B2265/02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vancing Web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업 루퍼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업 루퍼 자이는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진입되는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입측 안내부와,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입측 안내부를 통해 인입된 소재에 루프를 형성하는 리프터와,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출측 안내부 및 입측 안내부와 출측 안내부 사이에 위치되며 루프가 형성된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 두 수직패널을 포함한 중간 안내부를 포함하고, 출측 안내부는 소재의 배출경로를 따라 출측 수직롤러, 출측 상부롤러, 출측 하부롤러 및 출측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출측 수직롤러는 두 수직패널 사이에서 이동하는 소재의 폭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을 구비한다.An up looper device is disclosed. Up looper gyr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entering material, the lifter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nd forms a loop on the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entrance guide,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and is located between the exit guide and the entrance guide and the exit guid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ischarged material, and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aterial in which the loop is formed. It includes an intermediate guide including two vertical panels, and the exit guide includes an exit vertical roller, an exit upper roller, an exit lower roller and an exit guide member along the material discharge path, and the exit vertical roller moves between the two vertical panels. A pair i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to regulate the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terial.

Description

업 루퍼 장치{UP LOOPER DEVICE }Up looper device {UP LOOPER DEVICE }

본 발명은 업 루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재에 루프를 형성하는 업 루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 loop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p looper device for forming a loop on a wire rod.

일반적으로 제강로에서 제조된 용강은 연주공정 및 압연공정을 거치면서 슬라브(slab)로 제작되고, 슬라브는 압연공정을 거쳐 강재로 제조된다.In general, molten steel manufactured in a steelmaking furnace is manufactured into a slab while undergoing a casting process and a rolling process, and the slab is manufactured as a steel material through a rolling process.

압연공정은 금속의 소성을 이용하여 고온 또는 상온의 금속재료를 여러가지 형태의 재료로 가공하는 방법으로, 회전하는 2개의 롤 사이에 형성되는 연속적인 힘을 이용하여 두께와 폭을 감소시키고 길게 늘리는 소성가공을 의미한다.The rolling process is a method of processing high-temperature or room-temperature metal materials into various types of materials using plasticity of metal. means processing.

압연공정에는 열간 압연공정, 선재 압연공정, 냉간 압연공정 등이 있다. 이 중 선재 압연공정은 빌렛(billet)을 투입하여 가열, 압연, 냉각 및 정정(검사 및 시험)을 거쳐 직경이 5~50mm인 선재를 생산하는 작업이다. The rolling process includes a hot rolling process, a wire rod rolling process, a cold rolling process, and the like. Among them, the wire rolling process is an operation to produce a wire rod with a diameter of 5 to 50 mm through heating, rolling, cooling, and correction (inspection and test) by inserting a billet.

선재 공장의 압연구간에서는 선재의 텐션(tension)을 제어하고 소재의 진행 및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강제적으로 소재에 루프(loop)를 형성시키는 업 루퍼 장치가 설치된다.An up-looper device that forcibly forms a loop in the material is installed between the rolling mills of the wire rod factory to control the tension of the wire rod and to secure the progress and quality of the material.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1460호(2019.06.24 공개)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9-0071460 (published on June 24, 2019)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업 루퍼 장치에서 소재 진행 시 루프가 형성되는 중간 안내부에서 간섭에 따른 소재의 표면 긁힘을 방지할 수 있는 업 루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n up loope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surface of the material from being scratched due to interference in the intermediate guide portion where the loop is formed when the material proceeds in the up looper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진입되는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입측 안내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입측 안내부를 통해 인입된 소재에 루프를 형성하는 리프터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출측 안내부 및 상기 입측 안내부와 상기 출측 안내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루프가 형성된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 두 수직패널을 포함한 중간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측 안내부는 소재의 배출경로를 따라 출측 수직롤러, 출측 상부롤러, 출측 하부롤러 및 출측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출측 수직롤러는 상기 두 수직패널 사이에서 이동하는 소재의 폭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을 구비하는 업 루퍼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frame, an entrance guide par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and guiding the movement of an incoming material, and a loop on the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entrance guide part and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 lifter forming and an intermediate guide including two vertical panel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the exit guide includes an exit vertical roller, an exit upper roller, an exit lower roller and an exit guide member along the discharge path of the material. Installed, the exit vertical roller may be provided with an up-looper device having a pair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 regulate the width direction movement of the material moving between the two vertical panels.

상기 출측 안내부는 상기 출측 수직롤러, 상기 출측 상부롤러, 상기 출측 하부롤러 및 상기 출측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결합되는 출측 베이스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The exit guide part further includes an exit base frame on which the exit side vertical roller, the exit side upper roller, the exit side lower roller and the exit guide member are installed and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상기 출측 베이스 프레임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4개의 수직지주와, 상기 소재의 이송방향 전후로 마주한 두 수직지주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패널을 갖는 수직롤러 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다.A vertical roller frame having four vertical post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exit base frame, and a pair of horizontal panel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two vertical posts fac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material. This can be installed.

상기 출측 수직롤러의 상하 양단은 상기 수평패널과 상기 출측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xit vertical roller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rizontal panel and the exit base frame.

상기 출측 상부롤러는 상기 출측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출측 롤러 프레임에서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exit side upper roller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vertical height of the exit side roller frame installed on the exit side base fram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업 루퍼 장치에서 루프 형성 후 출측 안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소재는 출측 수직롤러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중간 안내부에서 좌우 유동이 억제되어 간섭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exit guide after forming a loop in the up-looper device is guided by the exit vertical roller, so the left and right flow is suppressed in the middle guide, thereby preventing damage due to interfere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업 루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업 루퍼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업 루퍼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측 안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측 안내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측 안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측 안내부의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loop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n up-loop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n up-loop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rance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the entrance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 l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it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of an exit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업 루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업 루퍼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업 루퍼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측 안내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측 안내부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레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측 안내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측 안내부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 loop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n up loop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an up loop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rance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entrance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 l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it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de view of an exit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업 루퍼 장치(10)는 선재공정에서 압연구간에 설치되며 선재의 텐션(tension)을 제어하기 위해 이송되는 소재를 상부 방향으로 밀러내어 강제적으로 소재에 루프(loop)를 형성시키는 장치이다.1 to 3 , the up-looper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rolling centers in the wire rod process and pushes the transferred material upward to control the tension of the wire rod. It is a device that forcibly forms a loop in the material.

업 루퍼 장치(10)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20)과,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입측 안내부(30), 리프터(50), 중간 안내부(70) 및 출측 안내부(80)를 포함한다.The up looper device 10 includes a base frame 20 supported on the floor, and an inlet guide 30 , a lifter 50 , an intermediate guide 70 and an exit guid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20 . (80).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입측 안내부(30)는 업 루퍼 장치(10)로 소재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재의 진입위치를 안내하는 안내홀(31a)이 형성된 입측 가이드부재(31)와, 입측 가이드부재(31)를 통과하는 소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입측 하부롤러(32)와, 입측 가이드부재(31)를 통과하는 소재의 상부를 지지하는 입측 상부롤러(33)를 포함한다.4 and 5, the entrance guide 30 is for guiding the entry of the material into the up-looper device 10, the entrance guide member (31a) is formed to guide the entry position of the material ( 31) and the entrance lower roller 32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guide member 31, and the entrance upper roller 33 for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guide member 31 do.

입측 가이드부재(31)는 입측 베이스 프레임(34)의 중앙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입측 하부롤러(32)는 입측 가이드부재(31)의 하부에서 입측 베이스 프레임(34)의 중앙에 축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The entrance guide member 31 may be fixed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entrance base frame 34, and the entrance lower roller 32 is axial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entrance base frame 34 at the lower part of the entrance guide member 31. can rotate

입측 상부롤러(33)는 레벨 조절이 가능하도록 입측 롤러 프레임(40)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The entrance upper roller 33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entrance roller frame 40 to enable level adjustment.

입측 롤러 프레임(40)은 입측 베이스 프레임(34)에서 좌우로 마주하게 위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41)과,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41)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부(42)를 포함한다.The entrance roller frame 40 includes a pair of vertical frame parts 41 positioned to face left and right in the entry base frame 34 , and an upper frame part coupl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parts 41 . (42).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41)에는 입측 상부롤러(33)의 축이 삽입되는 수평 절개부(43)가 형성될 수 있고, 입측 상부롤러(33)의 축(33a)은 수평 절개부(43)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절나사(44)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축 블록(45)에 결합될 수 있다.A horizontal cutout 43 into which the shaft of the upper entry roller 33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pair of vertical frame parts 41 , and the shaft 33a of the entry top roller 33 is formed by a horizontal cutout 43 ) may be coupled to the shaft block 45 that moves up and down by the adjusting screw 44 in the inserted state.

축 블록(45)의 양단은 수직 프레임부(41)에 서로 마주하게 결합된 복수의 가이드 리브(46)에 의해 형성되는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shaft block 45 may be slidably supported in a groove formed by a plurality of guide ribs 46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part 41 to face each other.

축 블록(45)에는 입측 상부롤러(33)의 축(33a)이 결합되는 축홈(47)이 절개 형성되고, 축홈(47)의 상하에는 축 블록(45)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상호 결속 가능한 상부 및 하부 결속암(48,49)이 마련된다.A shaft groove 47 to which the shaft 33a of the inlet upper roller 33 is coupled is formed in the shaft block 45, and the shaft groove 47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haft block 45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haft block 45 to be mutually bound. Possible upper and lower binding arms 48 and 49 are provid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리프터(50)는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51)의 구동에 의해 푸시 롤러(60)를 들어 올림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의 루프를 형성한다.6 and 7 , the lifter 50 forms a loop of material transferred by lifting the push roller 60 by driving the cylinder 51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20 .

리프터(50)는 일단이 실린더(51)의 로드 단부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링크부(52)와, 링크부(52)의 동작과 연계하도록 결합되어 링크부(5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회전하는 푸시 레버(61)와, 푸시 레버(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푸시 롤러(60)를 포함한다.The lifter 50 has a link part 52 ,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d end of the cylinder 51 , and is coupled to the operation of the link part 52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ink part 52 . It includes a push lever 61 that rotates up and down, and a push roller 60 rotatably coupled to the push lever 61 .

리프터(50)는 입측 안내부(30)를 통해 소재가 진입하여 이동하는 동안 실린더(51)의 구동에 의해 푸시 레버(61)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고, 푸시 레버(61)의 회동에 따라 푸시 레버(61)에 결합된 푸시 롤러(60)가 소재를 들어 올림에 의해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를 형성시킨다.The lifter 50 rotates the push lever 61 upward by driving the cylinder 51 while the material enters and moves through the inlet guide 30 , and push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ush lever 61 . The push roller 60 coupled to the lever 61 forms a parabolic loop on the material by lifting the material.

실린더(51)는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실린더(51)는 상단이 중간 안내부(70)의 일측에 고정된 힌지 브래킷(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실린더(51)의 로드(51a)는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The cylinder 51 may be located on the base frame 20 . The cylinder 51 may be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bracket 71 having an upper end fixed to one side of the intermediate guide 70 , and the rod 51a of the cylinder 51 may extend downward.

실린더(51)의 로드(51a) 단부는 링크부(52)의 일단과 축 결합될 수 있고, 로드(51a)의 상하 이동에 따라 링크부(52)는 타단의 축부(53)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할 수 있다.The end of the rod 51a of the cylinder 51 may be axi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link part 52 , and the link part 52 moves up and down based on the shaft part 53 of the other en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od 51a. can rotate

링크부(52)의 타단에 형성된 축부(53)는 회전축(54)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고, 링크부(52)의 회동에 따라 회전축(54)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The shaft part 53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ink part 52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54 , and the rotation shaft 54 may rotate integrall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ink part 52 .

회전축(54)의 양측은 한 쌍의 베어링블록(55)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어링블록(55)에 의해 지지된 회전축(54)은 푸시 레버(61)의 안정적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54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a pair of bearing blocks 55 . The rotation shaft 54 supported by the pair of bearing blocks 55 enables stable rotation of the push lever 61 .

푸시 레버(61)는 일단이 회전축(54)과 결합되며 타단은 회전축(54)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축(54)을 기준으로 상하 회전할 수 있다.One end of the push lever 61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54 , and the other end can rotate up and down based on the rotation shaft 54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54 .

푸시 레버(61)의 일단은 회전축(54)이 삽입 결합되는 축공(62)이 마련되고, 타단에는 푸시 롤러(60)가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롤러 장착부(63)가 마련된다. 소정간격 이격된 축공(62)과 롤러 장착부(63)는 연결패널(6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push lever 61 is provided with a shaft hole 62 into which the rotary shaft 54 is inserted and coupled,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roller mounting part 63 on which the push roller 60 is rotatably mounted. The shaft hole 62 and the roller mounting part 63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on panel 64 .

롤러 장착부(63)는 푸시 롤러(60)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축 지지홈(65)이 형성되고, 축 지지홈(65)에 푸시 롤러(60)의 축이 안착된 상태에서 커버부재(66)가 상부를 덮도록 결합됨에 따라 푸시 롤러(60)는 롤러 장착부(63)에 설치될 수 있다.The roller mounting part 63 is provided with a shaft support groove 65 with an open upper portion to facilitate mounting and separation of the push roller 60 , and the shaft of the push roller 60 is seated in the shaft support groove 65 . As the cover member 66 is coupl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in the push roller 60 may be installed on the roller mounting unit 63 .

한편, 실린더(51)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고, 유압 실린더(51) 내에는 링크부(52)를 들어 올릴 때 실린더(51)에 내장된 완충밸브 또는 스프링과 같은 완충구조를 통한 속도 조절을 통해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ylinder 51 may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and when lifting the link part 52 in the hydraulic cylinder 51 , the speed is adjusted through a buffer structure such as a buffer valve or a spring built in the cylinder 51 . can reduce the impact.

유압 실린더(51)는 피스톤의 압축 시 피스톤 헤드 커버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구조가 구비된 것으로서, 유압 실린더(51)를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부에 배치시킴에 의해 푸시 롤러(60)를 들어 올리도록 유압 실린더(51)의 피스톤이 압축하는 경우 자체의 쿠션에 의한 속도 제어를 통해 상부 스토퍼(미도시)와 충돌에 따른 푸시 레버(61)의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The hydraulic cylinder 51 is provided with a buffer structure that prevents direct collision with the piston head cover when the piston is compressed, and by placing the hydraulic cylinder 51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20 , the push roller 60 For example, when the piston of the hydraulic cylinder 51 is compressed to lif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mpact of the push lever 61 according to the collision with the upper stopper (not shown) through speed control by its own cushion.

실린더(51)의 로드(51a)가 신장되면 푸시 레버(61)는 하강하여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 When the rod 51a of the cylinder 51 is extended, the push lever 61 moves down to the standby position.

베이스 프레임(20)에는 푸시 레버(61)의 대기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21)(도 1 참조)가 마련되고, 푸시 레버(61)에는 하강 시 스토퍼(21)와 접촉되는 접촉패널(67)이 스토퍼(21)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base frame 20 is provided with a stopper 21 (see FIG. 1) for regulating the standby position of the push lever 61, and the push lever 61 has a contact panel 67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21 when descending. )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21 .

도 8을 참조하면, 스토퍼(21)의 상부에는 푸시 레버(61)가 하강하는 동안 충돌에 따른 충격을 저감할 수 있도록 고무부재(22)가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a rubber member 22 may b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topper 21 to reduce an impact caused by a collision while the push lever 61 is descending.

또한 스토퍼(21)의 몸체(23)는 푸시 레버(61)의 대기위치, 푸시 롤러(60)의 마모 및 사용 조건에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너트(24)의 조작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23 of the stopper 21 can be adjusted in height by manipulating the adjusting nut 24 so that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tandby position of the push lever 61, the wear of the push roller 60, and the conditions of use. may be arranged to do so.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중간 안내부(70)는 입측 안내부(30)를 통해 진입된 후 리프터(50)에 의해 루프 형성된 소재가 출측 안내부(80)로 이동되는 동안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두 수직패널(7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to 3 , the intermediate guide 70 enters through the entrance guide 30 , and then the material looped by the lifter 50 is moved to the exit guide 80 . It may include two vertical panels 72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guide the transport path.

출측 안내부(80)는 중간 안내부(70)를 통해 안내된 소재의 배출경로를 안내하여 소재의 긁힘이나 진행 장애(cobble) 발생이 없도록 유도한다.The exit guide 80 guides the discharge path of the material guided through the intermediate guide 70 so as not to cause scratching of the material or the occurrence of a cobbl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출측 안내부(80)는 소재의 배출경로를 따라 출측 수직롤러(81), 출측 상부롤러(82), 출측 하부롤러(83) 및 출측 가이드부재(84)를 포함한다.9 and 10, the exit guide 80 includes the exit vertical roller 81, the exit upper roller 82, the exit lower roller 83 and the exit guide member 84 along the discharge path of the material. include

출측 수직롤러(81), 출측 상부롤러(82), 출측 하부롤러(83) 및 출측 가이드부재(84)는 베이스 프레임(20) 상부에 결합되는 출측 베이스 프레임(85)에 설치될 수 있다.The exit vertical roller 81 , the exit upper roller 82 , the exit lower roller 83 , and the exit guide member 84 may be installed on the exit base frame 85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20 .

출측 수직롤러(81)는 중간 안내부(70)에서의 소재의 폭방향 이동을 규제하여 중간 안내부(70)에서 소재의 충돌에 따른 긁힘을 방지하도록 소재의 이동을 안내한다.The exit vertical roller 81 regulates the movement of the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intermediate guide 7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aterial to prevent scratching due to the collision of the material in the intermediate guide 70 .

출측 수직롤러(81)는 출측 베이스 프레임(85)에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을 구비할 수 있다.The exiting vertical roller 81 may include a pair of facing each other in the exiting base frame 85 .

출측 수직롤러(81)는 출측 베이스 프레임(85)에 결합된 수직롤러 프레임(8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exit vertical roller 8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vertical roller frame 86 coupled to the exit base frame 85 .

수직롤러 프레임(86)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되,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4개의 수직지주(86a)와, 소재의 이송방향 전후로 마주하는 두 수직지주(86a)의 상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패널(86b)을 포함한다.The vertical roller frame 86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s the upper ends of four vertical posts 86a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two vertical posts 86a facing back and forth in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material. A pair of and a horizontal panel 86b.

수평패널(86b)은 두 수직지주(86a)의 상단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수평패널(86b)의 중앙에는 출측 수직롤러(81)의 축을 지지하기 위한 축지지부(86c)가 마련될 수 있다.The horizontal panel 86b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wo vertical posts 86a by bolting, and a shaft support portion 86c for supporting the shaft of the exit vertical roller 81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panel 86b. can be

출측 수직롤러(81)의 상하 양단은 축지지부(86c)와 출측 베이스 프레임(85)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xit vertical roller 81 may rotat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haft support portion 86c and the exit base frame 85 .

한편, 출측 수직롤러(81)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축지지부(86c)의 조작에 의해 폭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출측 수직롤러(81)의 하단은 출측 베이스 프레임(85)에 링크구조를 통해 고정되고, 출측 수직롤러(81)의 상단은 축지지부(86c)의 회전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피니언 기어와 랙의 구조를 통해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exit vertical roller 81 may be adjustable in width by manipulating the shaft support 86c.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exiting vertical roller 81 is fixed to the exiting base frame 85 through a link structure, and the upper end of the exiting vertical roller 81 is a pinion gear that moves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haft support 86c and It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left and right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rack.

출측 상부롤러(82)는 레벨 조절이 가능하도록 출측 롤러 프레임(90)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The exit side upper roller 82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exit side roller frame 90 to enable level adjustment.

출측 롤러 프레임(90)은 출측 베이스 프레임(85)에서 좌우로 마주하게 위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91)과,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91)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부(92)를 포함한다.The exit roller frame 90 includes a pair of vertical frame parts 91 positioned to face left and right in the exit base frame 85 , and an upper frame part coupled to cover the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parts 91 . (92).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91)에는 출측 상부롤러(82)의 축이 삽입되는 수평 절개부가 형성되고, 출측 상부롤러(82)의 축(82a)은 수평 절개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절나사(94)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축 블록(95)에 결합될 수 있다.A pair of vertical frame parts 91 is formed with a horizontal cutout into which the shaft of the exit side upper roller 82 is inserted, and the shaft 82a of the exit side top roller 82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cutout with an adjustment screw ( It may be coupled to the shaft block 95 that moves up and down by 94).

축 블록(95)의 양단은 수직 프레임부(91)에 서로 마주하게 결합된 복수의 가이드 리브(96)에 의해 형성되는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shaft block 95 may be slidably supported in a groove formed by a plurality of guide ribs 96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portion 91 to face each other.

축 블록(95)에는 출측 상부롤러(82)의 축(82a)이 결합되는 축홈이 절개 형성되고, 축홈의 상하에는 축 블록(95)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되 상호 결속 가능한 상부 및 하부 결속암(98,99)이 마련된다.A shaft groove to which the shaft 82a of the exit upper roller 82 is coupled is cut in the shaft block 95, and upper and lower binding arm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shaft block 95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haft groove and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98,99) is provided.

출측 가이드부재(84)는 출측 베이스 프레임(85)의 중앙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소재의 배출위치를 안내하는 안내홀(84a)이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exit guide member 84 may be fixed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exit base frame 85 , and a guide hole 84a for guiding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material may be form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출측 하부롤러(83)는 출측 가이드부재(84)의 하부에서 출측 베이스 프레임(85)의 중앙에 축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The exit lower roller 83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exit base frame 85 under the exit guide member 84 to rota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업 루퍼 장치에서 소재에 루프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forming a loop on the material in the up-loop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압연 스탠드에서 압연된 소재는 입측 안내부(30)를 통해 진입된 후 중간 안내부(70)를 경유하여 출측 안내부(80)를 통해 다음 압연 스탠드로 이송된다.First, the raw material rolled in the rolling stand enters through the inlet guide 30 and then is transferred to the next rolling stand through the exit guide 80 via the intermediate guide 70 .

출측 안내부(80)를 지나서 다음 압연 스탠드에 소재가 치입되면 압연 스탠드의 압연부하로 모터 전류가 상승하게 되고, 운영 시스템에서는 이 전류 상승을 소재가 치입된 것으로 인식하여 리프터(50)를 작동시킨다.When the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next rolling stand after passing the exit guide 80, the motor current increases as a rolling load of the rolling stand, and the operating system recognizes this current increase as the material is inserted and operates the lifter 50 .

리프터(50)의 작동에 의해 푸시 롤러(60)는 이송되는 소재를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입측 안내부(30)와 출측 안내부(80) 사이에서 소재는 포물선 형태의 완만한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By the operation of the lifter 50, the push roller 60 lifts the transferred material upward, and accordingly, the material forms a parabolic gentle loop between the inlet guide 30 and the outlet guide 80. will form

이때, 리프터(50)의 실린더(51)는 링크부(52)를 들어 올릴 때 실린더(51)에 내장된 완충구조를 통한 속도 조절을 통해 푸시 레버(61)가 상부 스토퍼(미도시)와 충돌에 따른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고, 링크부(52)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푸시 레버(61)를 원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스토퍼(21)에 구비된 고무부재(22)에 의해 충돌에 따른 충격이 저감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ylinder 51 of the lifter 50 lifts the link part 52, the push lever 61 collides with the upper stopper (not shown) through speed control through the buffer structure built into the cylinder 51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and when the push lever 61 is mov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rotating the link part 52 downward, the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is caused by the rubber member 22 provided in the stopper 21 . This can be reduced.

한편, 중간 안내부(70)의 두 수직패널(72) 사이에서 이동하는 소재는 진행하면서 간섭되어 소재의 표면 긁힘을 유발할 수 있으나, 출측 수직롤러(81)에 안내되어 이송하는 소재는 좌우방향의 유동이 규제됨에 따라 간섭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moving between the two vertical panels 72 of the intermediate guide 70 may interfere with the progress and cause scratching of the surface of the material, but the material guided by the exit vertical roller 81 and transferr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the flow is regulated, damage due to interference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10: 업 루퍼 장치, 20: 베이스 프레임,
21: 스토퍼, 22: 고무부재,
30: 입측 안내부, 40: 입측 롤러 프레임,
50: 리프터, 51: 실린더,
60: 푸시 롤러, 70: 중간 안내부,
80: 출측 안내부, 81: 출측 수직롤러,
90: 출측 롤러 프레임.
10: up looper device, 20: base frame,
21: stopper, 22: rubber member,
30: entrance guide part, 40: entrance roller frame,
50: lifter, 51: cylinder,
60: push roller, 70: intermediate guide,
80: exit guide, 81: exit vertical roller,
90: exit roller frame.

Claims (5)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진입되는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입측 안내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입측 안내부를 통해 인입된 소재에 루프를 형성하는 리프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출측 안내부; 및
상기 입측 안내부와 상기 출측 안내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루프가 형성된 소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 두 수직패널을 포함한 중간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측 안내부는
소재의 배출경로를 따라 출측 수직롤러, 출측 상부롤러, 출측 하부롤러 및 출측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결합되는 출측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출측 베이스 프레임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4개의 수직지주와, 상기 소재의 이송방향 전후로 마주한 두 수직지주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출측 수직롤러는
상기 두 수직패널 사이에서 이동하는 소재의 폭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패널은
상기 출측 수직롤러의 축을 지지하며, 상기 출측 수직롤러간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축지지부를 포함하는 업 루퍼 장치.
base frame;
an inlet guide that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incoming material;
a lifter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nd forming a loop on the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entrance guide;
an exit guide part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ischarged material; and
It is located between the entrance guide and the exit guide, and a middle guide including two vertical panels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aterial on which the loop is formed.
The exit guide
An exit vertical roller, an exit upper roller, an exit lower roller and an exit guide member are installed along the discharge path of the material, and include an exit base fram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The exit base frame is
I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pair of horizontal panels detachably connected to four vertical post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o the upper ends of the two vertical posts fac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material,
The exit vertical roller is
and a pair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 regulate the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ving material between the two vertical panels,
The horizontal panel
An up-looper device including a shaft support part that supports the shaft of the exit-side vertical roller, and is provided to enable width adjustment between the exit-side vertical roll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측 수직롤러의 상하 양단은 상기 수평패널과 상기 출측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업 루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and lower both ends of the exit vertical roller is an up-looper device tha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rizontal panel and the exit bas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측 상부롤러는 상기 출측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출측 롤러 프레임에서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업 루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xit upper roller is an up-looper device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vertical height in the exit roller frame installed on the exit base frame.
KR1020200108943A 2020-08-28 2020-08-28 Up looper device KR1023795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943A KR102379572B1 (en) 2020-08-28 2020-08-28 Up loop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943A KR102379572B1 (en) 2020-08-28 2020-08-28 Up loop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218A KR20220028218A (en) 2022-03-08
KR102379572B1 true KR102379572B1 (en) 2022-03-29

Family

ID=8081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943A KR102379572B1 (en) 2020-08-28 2020-08-28 Up loope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572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222Y1 (en) * 1995-12-19 1999-12-15 이구택 Assembling apparatus of up-looper roll
KR19990010262U (en) * 1997-08-28 1999-03-15 이구택 Push-arm roller adjusting device used for intermediate finishing of wire rod rolling
KR20020044621A (en) * 2000-12-06 2002-06-19 이구택 Automatic up-looper control roller device for use in wire products manufacturing process by roll press
KR101079536B1 (en) * 2004-08-24 2011-11-02 주식회사 포스코 Tunner guide apparatus of adjustable type for wire rod rolling mill
KR102042552B1 (en) 2017-12-14 2019-11-08 주식회사 포스코 Up loop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218A (en)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9572B1 (en) Up looper device
JP2500266B2 (en) Standby device for rolled material waiting for cooling time in hot continuous rolling line
KR102379577B1 (en) Up looper device
KR102170940B1 (en) Rest-bar Apparatus for Rolling Mill
EP2697003B1 (en) Feed roll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a feed roll assembly
KR101079536B1 (en) Tunner guide apparatus of adjustable type for wire rod rolling mill
CN215236931U (en) Operation side moving type straightener combined rack
KR100923547B1 (en) Height changable bridge apparatus for guiding plate in a rolling utility
KR101060819B1 (en) Portable guide device for rolled material
KR20190071460A (en) Up looper system
KR100973902B1 (en) An apparatus for guiding hot rolled steel sheet
KR102378284B1 (en) Rest bar apparatus for rolling mill
JP4159456B2 (en) Sheet rolling machine with excellent shape controllability and sheet feeding
JP3451511B2 (en) Rolling machine guide device
JP3646216B2 (en) Billet guideless continuous rolling method
RU2808318C1 (en) Straightening and stretching machine for straightening sheet metal strips
KR200290263Y1 (en) Automatic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entry guide roller of the wire-up rolled-up looper
JP4561614B2 (en) Rolled material holding device
KR102260266B1 (en) Guide device of guiding section shape steel roll
KR100496539B1 (en) buckling
JP4161453B2 (en) Hot material thickness press machine
JPS6333910Y2 (en)
US2768542A (en) Bridle roll assemblage
JPH0824931A (en) Looper for bar rolling mill and rolling mill
CN106061699A (en) Multi-wire frame for cutting blocks of stone material in sla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