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073A -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073A
KR20190071073A KR1020170171802A KR20170171802A KR20190071073A KR 20190071073 A KR20190071073 A KR 20190071073A KR 1020170171802 A KR1020170171802 A KR 1020170171802A KR 20170171802 A KR20170171802 A KR 20170171802A KR 20190071073 A KR20190071073 A KR 20190071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cylindrical portion
cover
cover por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호 filed Critical 이영호
Priority to KR102017017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1073A/ko
Publication of KR2019007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원기둥 형상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이격되어 상기 원통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방으로 볼록하고,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원통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기둥으로 상기 원통부에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원통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커버부와, 상기 덮개부와 상기 커버부가 상기 원통부에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A Duct Protecting Cover Assembly}
본 발명은 보호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되고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덕트는 가스 등을 포함하는 유체가 소정이 위치까지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덕트의 말단은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단을 통하여 토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덕트의 상단에 단순하게 커버만을 사용하여 덕트에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이물질만 차단할 뿐 측면으로 유입되는 공기 등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 제 10-2006-30589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의 배기가스는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되고, 외부의 이물질 및 공기는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덕트용 보호 커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덕트용 보호 커버 조립체는, 내부에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원기둥 형상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이격되어 상기 원통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방으로 볼록하고,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원통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기둥으로 상기 원통부에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원통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커버부와, 상기 덮개부와 상기 커버부가 상기 원통부에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원통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를 차단하는 원통형상의 측면커버부와, 상기 측면커버부의 상단에 상기 원통부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면경사커버부와, 상기 측면커버부의 하단에 상기 원통부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하면경사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곡면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방에 마련되어 하방으로 볼록하게 곡면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하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의 하방에는 상기 원통부의 내측 방향으로 요입되는 요입홈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면경사커버부의 말단은 상기 연통부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하면경사커버부의 말단에는 상기 연통부 방향으로 절곡된 롤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롤부에는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덕트용 보호 커버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측면커버부가 측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하단의 경사커버부가 측면을 따라 이동한 공기가 다시 덕트로 재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아래의 상면커버에 의해 이물질이 직접 덕트 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덕트용 보호 커버 조립체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덕트용 보호 커버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덕트용 보호 커버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인 덕트용 보호 커버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원기둥 형상의 원통부(10)과, 상기 원통부(10)의 상단에 이격되어 상기 원통부(10)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방으로 볼록하고,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덮개부(20)와, 상기 원통부(1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기둥으로 상기 원통부(10)에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원통부(10)와 상기 덮개부(20)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커버부(30)와, 상기 덮개부(20)와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원통부(10)에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프레임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에는 원통부(10)가 마련된다. 상기 원통부(10)는 덕트의 말단에 연결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통부(10)의 상단에는 덮개부(20)가 마련된다. 상기 덮개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부(10)의 상단에 지붕모양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원통부(10)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원통부(10)를 통하여 덕트 내로 이물질이 이물질 자중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덮개부(2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곡면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상판부(22)와, 상기 상판부(22)의 하방에 마련되어 하방으로 볼록하게 곡면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하판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로 떨어지는 이물질이 상기 상판부(22)를 통하여 원통부(10)의 외부로 떨어지고, 상기 덕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는 상기 하판부(24)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부(10)의 외측에는 커버부(30)가 마련된다. 상기 커버부(30)는, 상기 원통부(1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기둥으로 상기 원통부(10)에 이격되어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30)는, 상기 원통부(10)와 상기 덮개부(20)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부(30)는 상술한 커버부(30)의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0)는, 상기 원통부(10)와 상기 덮개부(20) 사이를 차단하는 원통형상의 측면커버부(32)와, 상기 측면커버부(32)의 상단에 상기 원통부(10)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면경사커버부(34)와, 상기 측면커버부(32)의 하단에 상기 원통부(10)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하면경사커버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경사커버부(34)의 끝단은 상기 덮개부(20)의 가장자리보다 더 상기 원통부(10)의 중심에 가깝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상면경사커버부(34)에 의해 이물질이 커버부(20) 내의 원통부(10)로 유입될 수 있는 경우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하면경사커버부(36)의 끝단은 상기 연통부(10)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하면경사커버부(36)의 끝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면경사커버부(36)의 말단에는 상기 연통부(10) 방향으로 절곡된 롤부(38)가 더 마련된다. 이는 상기 롤부(38)에 의해 상기 연통부(10)에 접촉되어 공간이 형성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롤부(38)에는 통공(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덮개부(20)를 통하여 떨어지는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20)와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원통부(10)에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프레임부(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부(10)의 하방에는 상기 원통부(10)의 내측 방향으로 요입되는 요입홈(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원통부(10)에 고정되는 덕트와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원통부 20: 덮개부
22: 상면덮개부 24: 하면덮개부
30: 커버부 32: 측면커버부
34: 상면경사커버부 36: 하면경사커버부

Claims (5)

  1. 내부에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원기둥 형상의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이격되어 상기 원통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방으로 볼록하고,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덮개부;
    상기 원통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기둥으로 상기 원통부에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원통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커버부; 및
    상기 덮개부와 상기 커버부가 상기 원통부에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원통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를 차단하는 원통형상의 측면커버부;
    상기 측면커버부의 상단에 상기 원통부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면경사커버부; 및
    상기 측면커버부의 하단에 상기 원통부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하면경사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곡면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방에 마련되어 하방으로 볼록하게 곡면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하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하방에는 상기 원통부의 내측 방향으로 요입되는 요입홈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경사커버부의 말단은 상기 연통부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하면경사커버부의 말단에는 상기 연통부 방향으로 절곡된 롤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롤부에는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KR1020170171802A 2017-12-14 2017-12-14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KR20190071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802A KR20190071073A (ko) 2017-12-14 2017-12-14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802A KR20190071073A (ko) 2017-12-14 2017-12-14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109U Division KR20190002625U (ko) 2019-10-10 2019-10-10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073A true KR20190071073A (ko) 2019-06-24

Family

ID=6705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802A KR20190071073A (ko) 2017-12-14 2017-12-14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10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589A (ko) 2004-10-06 2006-04-11 동양공조(주) 건물용 배기덕트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589A (ko) 2004-10-06 2006-04-11 동양공조(주) 건물용 배기덕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7140B2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US20070169423A1 (en) Cover with drip edge channel
JP6004304B2 (ja) 煙感知器
CA2894244A1 (en) Lighted rail for a false wall with a stretched canvas and false wall comprising such a rail
EP2682687A2 (en) Vent protector
US20220143559A1 (en) Dust and splash-proof filter
KR101981337B1 (ko) 휴대식 가스 풍로
US8656663B2 (en) Cover structure for outdoor casing
DE602004029502D1 (de) Abdeckung zum schweissen eines drahtbehälters
JP2012102963A (ja)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KR101437934B1 (ko) 변압기용 호흡기
KR20190071073A (ko)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KR20190002625U (ko)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RU2012113725A (ru) Волокнистый слой в сборе для туманоуловителя с волокнистым слоем
US2790377A (en) Wall cap for ventilating duct
JP2017214201A (ja) レール油引戻し装置
JP5808283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US11313565B2 (en) Cooker hood and filtering device thereof
ES2317489T3 (es) Valvula de cierre.
US10787947B2 (en) Fluid sensor protection assembly
JP6058092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870009176A (ko) 연소장치
KR102512080B1 (ko) 잠수함의 세일 유동소음 감소를 위한 가이드라인 장치
CN110274369A (zh) 阀门支架、空调外机排水装置和空调外机以及空调器
US11805346B1 (en) Pilot microphone cover for reducing ambient no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