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699A - 차량 단말기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단말기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699A
KR20190070699A KR1020170171475A KR20170171475A KR20190070699A KR 20190070699 A KR20190070699 A KR 20190070699A KR 1020170171475 A KR1020170171475 A KR 1020170171475A KR 20170171475 A KR20170171475 A KR 20170171475A KR 20190070699 A KR20190070699 A KR 20190070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terior
light
controlling
commun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1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0699A/ko
Publication of KR2019007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 B60W30/165Automatically following the path of a preceding lead vehicle, e.g. "electronic tow-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60W2550/3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1Later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60Y230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 B60Y2300/165Automatically following the path of a preceding lead vehicle, e.g. "electronic tow-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무드등(실내등)을 활용하여 군집주행 차량 간 통신 및 차량과 외부 기기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단말기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등,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차량의 상황을 감지하는 차량 센서,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군집주행을 수행하는 중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단말기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무드등(실내등)을 활용하여 군집주행 차량 간 통신 및 차량과 외부 기기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단말기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군집주행(platooning)은 차량간 실시간 통신을 통해 선두 차량의 움직임 및 상황 정보를 교환하고 이에 따라 선두 차량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여러 차량이 함께 주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군집주행 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 전달 경로가 미비하다. 차량 외부에 디스플레이를 부착할 수 있으나, 차량의 미관을 해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무드등을 활용하여 군집주행 차량 간 통신 및 차량과 외부 기기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단말기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무드등을 활용하여 차량 정보를 차량 외부의 사람이나 다른 차량에 통지할 수 있는 차량 단말기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는 차량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등,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차량의 상황을 감지하는 차량 센서,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군집주행을 수행하는 중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등은, 차량 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등은, 상이한 색상의 광원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은,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네온 램프, 및 방전등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차량과 전방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방향전환 정보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군집 내 차량 대수, 상기 차량의 호스트 설정여부 및 군집주행 목적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군집주행 목적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실내등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등의 색상, 표시시간, 밝기, 점멸, 점멸 패턴, 리듬 및 점등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군집주행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군집주행 중 차량의 상황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라 차량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차량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차량과 전방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방향전환 정보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군집 내 차량 대수, 상기 차량의 호스트 설정여부 및 군집주행 목적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군집주행 목적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실내등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등의 색상, 표시시간, 밝기, 점멸, 점멸 패턴, 리듬 및 점등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차량 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무드등을 활용하여 군집주행 차량 간 통신 및 차량과 외부 기기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무드등을 활용하여 차량 정보를 차량 외부의 사람이나 다른 차량에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내 실내등의 설치 예.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군집주행 설정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군집주행 시 실내등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차량 내 무드 램프가 점등되면 차량의 유리창을 통해 무드 램프에 의한 내부 색상을 차량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을 이용하여 차량 간, 차량과 외부기기 간, 및 차량과 외부 사람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내 실내등의 설치 예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군집주행 설정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단말기(100)는 실내등(110), 사용자 입력부(120), 차량 센서(130), 저장부(140), 통신부(150), 내비게이션(160), 표시부(170), 오디오 출력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실내등(110)은 차량 내 설치되는 무드등으로, 차량 외부에서 잘 보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등(110)은 차량의 전방, 측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된다. 실내등(110)은 상이한 색상의 광원들로 구성된다. 광원으로는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네온 램프, 또는 방전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패드(key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등의 입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센서(in-vehicle sensors)(130)는 차량 내 탑재된 각종 센서들을 이용하여 차량 상태 정보(차량 상황)를 검출한다. 차량 센서(130)는 거리 센서, 이미지 센서, 속도 센서, 위치 센서, 및 조향각 센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거리 센서는 라이더(LiDAR), 레이더(radar), 및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CPD(charge priming device) 이미지 센서 및 CID(charge injection device) 이미지 센서 등과 같은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현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로,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차량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둘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90)가 기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 및 각종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군집주행 설정정보 및 실내등 동작관련 정보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9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착탈형 디스크 및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등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차량에 탑재된 전자제어장치(ECU: Electric Control Unit), 타 차량 내 차량 단말기, 이동단말(예: 스마트폰, 컴퓨터, 노트북, 및 태블릿 등) 및 텔레매틱스 서버(telematics server) 등의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하게 한다.
통신부(150)는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지도, 도로 정보, 군집주행 관련 정보 및 교통상황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차량 통신,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이동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차량 통신으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또는 X-by-Wire(Flexray)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V2X 통신은 V2V(Vehicle to Vehicle) 통신,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 및/또는 IVN(In-Vehicle Networking)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Evolution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무선 인터넷(예: wi-fi),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지그비 및 적외선 통신) 및 이동통신 등의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160)은 출발지(차량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를 산출하고 산출한 주행경로를 토대로 차량 위치에 따른 길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내비게이션(160)는 방향전환(Turn By Turn, TBT) 정보를 제어부(190)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비게이션(160)과 제어부(190)가 직접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통신부(150)을 통해 상호간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내비게이션(160)과 제어부(190)는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차량 단말기(100)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한다. 표시부(170)는 주행 속도, 연료 잔량, 길 안내 정보, 지도 및 군집주행 관련 정보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17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디스플레이,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 및 클러스터(clust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출력부(180)는 길 안내 정보 및 경보 등을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및/또는 버저(buzz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차량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군집주행(Group Driving, Platooning)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군집 내 차량 대수, 군집주행 목적(예: 투어, 긴급상황, 및 재미 등), 및 군집 내 포지션(예: 호스트(host) 및 게스트(guest)) 등을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군집주행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군집주행을 설정하거나 또는 군집주행을 해제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군집주행을 실시하면 군집주행 설정정보를 군집 내 타차량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90)는 V2V 통신을 이용하여 군집주행 설정정보 및 실내등 환경설정 정보(실내등을 이용한 통신 설정/해제 등)를 타차량에 전달한다.
제어부(190)는 차량의 상황에 따라 차량 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실내등(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차량 센서(130)를 통해 차량 상황을 감지(인식)하거나 또는 내비게이션(160)을 통해 차량 상황을 인식(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실내등(110)의 색상, 표시시간, 밝기, 점멸, 점멸 패턴, 리듬 및 점등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차량 센서(130)를 통해 획득한 자차량과 전방차량 간의 거리(차간 거리)에 따라 실내등(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90)는 차간 거리가 가까워지면 실내등(110)에서 발하는 색상을 옅게 처리하고, 차간 거리가 멀어지면 해당 색상을 진하게 처리한다. 여기서는 제어부(190)가 차량 센서(130)를 통해 차간 거리를 확인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텔레매틱스 서버가 차간 거리를 계산하여 자차량의 제어부(190)에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토대로 군집 내 차량 대수 및 호스트 설정 여부에 따라 실내등(110)의 점멸을 제어한다. 예컨대, 군집 내 차량이 1대이며 자차량이 호스트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90)는 실내등(110)을 제어하여 해당 차량 및 사용자 선택 조합을 표시한다. 한편, 군집 내 차량이 2대 이상이며 자차량이 호스트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90)는 실내등(110)을 제어하여 혼합된(mixed) 색상을 표시한다.
제어부(190)는 내비게이션(160)으로부터 수신한 TBT 정보(방향전환 정보)에 근거하여 실내등(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내비게이션(160)으로부터 좌회전 정보를 수신하면 좌회전 전 차량을 기준으로 왼쪽 무드램프를 점멸시킨다. 한편, 제어부(190)는 내비게이션(160)으로부터 우회전 정보를 수신하면 우회전 전 차량의 오른쪽 무드램프를 점멸시킨다.
제어부(190)는 차량 상황이 긴급(Emergency) 상황이면, 실내등(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군집주행 설정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군집주행 목적이 '긴급(Emergency)'이면 사전에 정의된 바에 따라 실내등(110)의 빨간색 광원을 제어하여 특정 점멸 패턴으로 동작시킨다. 제어부(190)는 차량이 일반 군집주행(tour) 나 엔터테인먼트(fun) 등의 목적으로 군집주행을 하는 경우, 실내등(190)의 빨간색 램프의 동작을 제한한다.
제어부(190)는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의 이동단말 또는 텔레매틱스 서버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실내등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그 수신한 제어 명령에 따라 실내등(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이동단말을 통해 여러 차량에 대해 실내등 색상을 선택한 후 이동단말을 통해 실내등 색상 제어명령을 여러 차량으로 전송한다. 차량 단말기(100)의 제어부(190)는 수신한 실내등 색상 제어명령에 따라 특정 색상을 발하도록 실내등(110)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군집주행 시 실내등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군집주행 관련 정보를 설정한다(S110).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군집 내 차량 대수, 군집주행 목적 및 군집 내 포지션 등을 설정한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군집주행을 실시한다(S120).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부(120)에 마련된 군집주행 설정 및 해제가 부여된 스위치를 조작하면 해당 조작에 따라 군집주행을 실시하거나 정지한다.
제어부(190)는 군집주행을 실시하며 군집주행 관련 설정정보를 군집 내 타차량에 전송한다(S130). 제어부(190)는 통신부(150)를 통해 군집주행 관련 설정정보 및 실내등 동작제어와 관련한 설정정보 등을 타차량에 전송한다.
제어부(190)는 차량 상황을 인식하고 인식한 차량 상황에 따라 실내등(110)의 동작을 제어한다(S140). 제어부(190)는 차량 센서(130)를 통해 획득한 자차량과 전방차량 간의 거리(차간 거리)에 따라 실내등(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토대로 군집 내 차량 대수 및 호스트 설정 여부에 따라 실내등(110)의 점멸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내비게이션(160)으로부터 수신한 TBT 정보(방향전환 정보)에 근거하여 실내등(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설정정보에 근거하여 차량 상황이 긴급(Emergency) 상황이면, 해당 차량 상황에 따른 실내등(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자차량이 군집 내 선두 차량이면 차량 상황을 파악하고 그 차량 상황에 따라 실내등(110)의 동작을 제어하여 후행하는 차량(들) 및/또는 외부에 알린다.
제어부(190)는 군집주행의 종료여부를 확인한다(S150).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군집주행 종료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군집주행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군집주행을 종료한다. 한편,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군집주행 종료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S140으로 돌아가 차량 상황을 파악하여 차량 상황에 따라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 단말기
110: 실내등
120: 사용자 입력부
130: 차량 센서
140: 저장부
150: 통신부
160: 내비게이션
170: 표시부
180: 오디오 출력부
190: 제어부

Claims (18)

  1. 차량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등,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차량의 상황을 감지하는 차량 센서,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군집주행을 수행하는 중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등은,
    차량 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은,
    상이한 색상의 광원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네온 램프, 및 방전등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차량과 전방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방향전환 정보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군집 내 차량 대수, 상기 차량의 호스트 설정여부 및 군집주행 목적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군집주행 목적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실내등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등의 색상, 표시시간, 밝기, 점멸, 점멸 패턴, 리듬 및 점등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
  11.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군집주행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군집주행 중 차량의 상황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라 차량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차량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상기 차량과 전방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방향전환 정보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군집 내 차량 대수, 상기 차량의 호스트 설정여부 및 군집주행 목적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군집주행 목적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실내등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등의 색상, 표시시간, 밝기, 점멸, 점멸 패턴, 리듬 및 점등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차량 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1020170171475A 2017-12-13 2017-12-13 차량 단말기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 KR20190070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475A KR20190070699A (ko) 2017-12-13 2017-12-13 차량 단말기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475A KR20190070699A (ko) 2017-12-13 2017-12-13 차량 단말기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699A true KR20190070699A (ko) 2019-06-21

Family

ID=6705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475A KR20190070699A (ko) 2017-12-13 2017-12-13 차량 단말기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06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939A (ko) * 2021-02-01 2022-08-09 이대희 차량 사고 예방 유턴 표시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939A (ko) * 2021-02-01 2022-08-09 이대희 차량 사고 예방 유턴 표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6262B2 (en) Smart vehicle
JP6832284B2 (ja) 車両状態表示システム
KR102479493B1 (ko) 자율 주행 차량을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068825B (zh) 用于无人驾驶车辆(adv)的视觉通信系统
CN110461675B (zh) 用于基于感测信息控制驾驶的方法和设备
US9024787B2 (en) Controlling vehicular traffic on a one-way roadway
RU2706506C1 (ru) Бор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US20180293888A1 (en) Directional traffic notifications of approaching priority vehicles
JP6255002B2 (ja) 車両用標識表示装置及び方法
US20160357262A1 (en) Smart vehicle
US10909853B2 (en) System for identifying driving intention of surrounding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446025B2 (en) Traffic light control system
CN107599966A (zh) 将车辆中平视显示器的驾驶员注意力分散最小化的系统和方法
US10446035B2 (en) Collision avoidance device for vehicle, collision avoidance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40032098A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guiding high-occupancy vehicles
JP2017117039A (ja) 標識情報表示装置及び方法
US201601939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sual communication of vehicle drive information using a light set
CN108694837A (zh) 错误路径车辆检测
US20180361916A1 (en) Display system to display outside the vehicle
US20200211379A1 (en) Roundabout assist
JP2005242526A (ja) 車両用危険情報提示システム及びその表示装置
KR101944478B1 (ko) 자율주행자동차가 시스템우선모드로 구동됨을 외부 차량으로 알리기 위한 자율주행표시장치 및 방법
KR20190070699A (ko) 차량 단말기 및 그의 정보 표시 방법
JP2019185629A (ja) 車高検知装置および車高検知方法
KR20210140816A (ko) 차량의 조명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