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140A -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 - Google Patents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140A
KR20190070140A KR1020170170669A KR20170170669A KR20190070140A KR 20190070140 A KR20190070140 A KR 20190070140A KR 1020170170669 A KR1020170170669 A KR 1020170170669A KR 20170170669 A KR20170170669 A KR 20170170669A KR 20190070140 A KR20190070140 A KR 20190070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memory
memory alloy
extension member
concret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986B1 (ko
Inventor
정치영
우태련
이종한
정진환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9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12Discrete reinforcing elements, e.g.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은, 길쭉하게 형성되고, 인장재 또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연장 부재; 및 상기 연장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장 부재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되는 형상기억합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부재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가 하나의 번들로 마련되어 콘크리트 내에 매립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UNIT FOR REPAIRING/REINFORCING STRUCTURES}
본 발명은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 연장 부재(예를 들어, 인장재 또는 보강재) 및 형상기억합금 부재를 포함하여, 형상기억합금 부재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에 관한 것이다.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SMA)은 저온상인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재료에 응력을 가하여 변형시킨 후 고온상의 오스테나이트 상태가 되도록 가열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재료이다. 현재까지 항공, 우주 분야뿐만 아니라 의료, 의류, 건설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건설분야에서는 SMA 와이어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콘크리트에 매립한 후, 구조부재의 균열복원 및 내하성능 향상을 위한 보수/보강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SMA는 오스테나이트 상태에서 복원되는 형상기억효과(Shape Memory Effect: SME)를 갖고 있는데, SMA의 종류에 따라서 특정 온도조건 및 전기적 혹은 전자기적 자극이 가해지면 변형된 형상을 복원하는 특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온도에 도달하도록 가열하여, SME를 발현하도록 한 SMA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서 형상복원상태(오스테나이트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설계온도를 설정하게 되는데, 건설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대기온도 보다 높은 온도(60도 이상)를 설계온도로 결정한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변형된 SMA는 특정한 온도 조건 하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SMA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을 위해서는 SMA를 가열하는 것이 기술실현의 핵심적인 사항이다.
종래에는 비연속적으로 배치된 형상기억 합금을 가열하기 위해서 콘크리트의 수화열을 이용한 방법과 콘크리트 외부에 존재하는 열원으로부터 콘크리트를 매질로 한 전도열을 이용한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상기억합금을 가열하기 위해서 외부 전원장치와 연결하여 Joule heating 방법을 사용하는 방법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형상기억합금까지 열이 전달되기까지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전원장치의 연결 및 전원공급 시스템의 신뢰성과 내구성에 대한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기존 SMA는 전기저항이 낮기 때문에 Joule heating을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전기저항이 큰 재료로 SMA 와이어를 코팅하여 제작한 사례가 있다. 하지만 코팅부의 내구성에 따라 전도성이 결정되는데, 이러한 특성은 반복적인 변형이 장기간 발생되는 구조부재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추가적인 절연처리가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KR10-1684904B1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전기를 이용한 직접가열방법 및 전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한 가열방법을 모두 적용하여,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 형상기억합금 부재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전기저항 또는 자기투자율이 높은 연장 부재(예를 들어, 인장재 또는 보강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형상기억합금 부재의 낮은 전기저항 및 자기투자율을 개선하여 인덕션 히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신속한 가열 및 높은 전력 효율을 확보할 수 있고, 인덕션 히팅 유닛에 의해서 콘크리트가 아닌 연장 부재(예를 들어, 인장재 또는 보강재)만 가열하게 되므로 구조물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인덕션 히팅을 이용함으로써, 형상기억합금 부재가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있어도 가열할 수 있고,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되지 않아도 되므로 형상기억합금 부재를 원거리에서 가열할 수 있는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전류의 흐름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내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상기억합금 부재뿐만 아니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형상기억합금 부재에 대해서도 가열할 수 있고, 복수 개의 형상기억합금을 동시에 빠른 속도로 가열할 수 있는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은, 길쭉하게 형성되고, 인장재 또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연장 부재; 및 상기 연장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장 부재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되는 형상기억합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부재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가 하나의 번들로 마련되어 콘크리트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보다 자기투자율 또는 전기저항이 큰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연장 부재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는 서로 접촉하여, 상기 연장 부재로부터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에 전도에 의해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복수 개의 형상기억합금 부재가 상기 연장 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형상기억합금 부재가 상기 연장 부재에 의해 동시에 가열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연장 부재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 사이에는 열전달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열전달 부재의 일부는 상기 연장 부재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열전달 부재의 다른 일부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연장 부재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콘크리트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인덕션 히팅 유닛이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션 히팅 유닛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 상기 연장 부재가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보다 더 빨리 가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에 의하면, 전기를 이용한 직접가열방법 및 전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한 가열방법을 모두 적용하여,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 형상기억합금 부재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에 의하면, 전기저항 또는 자기투자율이 높은 연장 부재(예를 들어, 인장재 또는 보강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형상기억합금 부재의 낮은 전기저항 및 자기투자율을 개선하여 인덕션 히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에 의하면, 신속한 가열 및 높은 전력 효율을 확보할 수 있고, 인덕션 히팅 유닛에 의해서 콘크리트가 아닌 연장 부재(예를 들어, 인장재 또는 보강재)만 가열하게 되므로 구조물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에 의하면, 인덕션 히팅을 이용함으로써, 형상기억합금 부재가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있어도 가열할 수 있고,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되지 않아도 되므로 형상기억합금 부재를 원거리에서 가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에 의하면, 전류의 흐름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내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상기억합금 부재뿐만 아니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형상기억합금 부재에 대해서도 가열할 수 있고, 복수 개의 형상기억합금을 동시에 빠른 속도로 가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도 3은 연장 부재 및 형상기억합금 부재 사이에 열전달 부재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a) 및 (b)는 콘크리트 외측에 배치된 인덕션 히팅 유닛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에서 열이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을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도 3은 연장 부재 및 형상기억합금 부재 사이에 열전달 부재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a) 및 (b)는 콘크리트 외측에 배치된 인덕션 히팅 유닛를 도시하고, 도 5(a) 내지 (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에서 열이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10)은 연장 부재(100) 및 형상기억합금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부재(100)는 길쭉하게 형성되고, 철근, 텐돈(tendon), 강선, 또는 강봉과 같은 보강재 또는 인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부재(100)는 자기투자율 및 전기저항이 큰 재질, 예를 들어 철 함량이 많은 재질 또는 전도체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연장 부재(100)는 형상기억합금 부재(200)에 비해서 자기투자율 및 전기저항이 큰 재질로 마련되어, 동일한 전자기장 환경 내에서 연장 부재(100)가 형상기억합금 부재(300)보다 더 빨리 가열될 수 있다.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200)는 예를 들어 와이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니켈 또는 티타늄과 같은 전기저항 및 자기투자율이 낮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형상기억효과는 임의의 형상을 기억하고 있는 합금을 냉각하여 마르텐사이트로 만든 후, 형상을 변화시키고,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로 만들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형상기억효과에 의해서 형상기억합금 부재(200)가 인가되는 열에 의해서 특정 온도에서 형상 변화가 일어나고, 이러한 형상기억합금 부재(200)의 형상 변화에 의해서 구조물의 보강 또는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형상기억합금 부재(200)는 연장 부재(1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기억합금 부재(200)는 연장 부재(100)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연장 부재(100)에서 발생된 열이 열전도에 의해서 형상기억합금 부재(200)에 전달될 수 있다.
전술된 연장 부재(100) 및 형상기억합금 부재(200)는 하나의 번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장 부재(100) 및 형상기억합금 부재(200)가 하나의 번들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하이브리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 부재(100)가 중앙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형상기억합금 부재(200)가 연장 부재(1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서 연장 부재(100)가 가열되는 경우 연장 부재(100)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복수 개의 형상기억합금 부재(200)가 동시에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연장 부재(100) 및 형상기억합금 부재(200)의 배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연장 부재(100)에서 발생된 열이 형상기억합금 부재(200)에 전달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 부재(200)가 중앙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연장 부재(100)가 형상기억합금 부재(2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도 3을 참조하여, 연장 부재(100) 및 형상기억합금 부재(200) 사이에는 열전달 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부재(300)는 연장 부재(100) 및 형상기억합금 부재(200) 사이에서 열 전달이 효과적으로 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열전달 부재(300)의 일부는 연장 부재(100)의 외주면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열전달 부재(300)의 다른 일부는 형상기억합금 부재(200)의 외주면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연장 부재(100) 및 형상기억합금 부재(2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열전달 부재(300)는 연장 부재(100) 및 형상기억합금 부재(200) 사이의 효과적인 열 전달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 또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번들 형태로 마련된 연장 부재(100) 및 형상기억합금 부재(200)는 구조물의 콘크리트 내에 매립될 수 있다.
특히, 도 4(a) 및 (b)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콘크리트(C) 내에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10)이 매입되고, 콘크리트(C)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션 히팅 유닛(A)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10)은 짧은 섬유 형태 또는 긴 섬유 형태로 콘크리트(C) 내에 고르게 매립될 수 있다. 또한,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10)은 콘크리트(C)의 내부에 규칙적인 방향성을 가지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거나 방향성이 없는 불연속적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히팅 유닛(A)은 현재 상용화된 다양한 제품 가운데 현장 여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사양의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 제품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인덕션 히팅 유닛(A)은 구조물의 표면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 설치되어, 콘크리트(C) 내에 배치된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10)을 가열하게 되는데, 연장 부재 및 형상기억합금 부재를 함께 가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인덕션 히팅 유닛(A)은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제외한 금속 부분만 가열됨으로써 콘크리트(C) 전체를 가열하는 것에 비해서 가열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인덕션 히팅 유닛(A)은 콘크리트(C)의 폭 방향을 따라서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 배치되어 동시에 다방향에서 콘크리트(C)를 가열할 수 있고, 구조물의 일측에만 설치된 인턱션 히팅 유닛(A)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구조물을 순차적으로 가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인덕션 히팅 유닛(A)은 콘크리트(C) 내에 매립된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10)에 고르게 열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 내지 (c)를 참조하여, 콘크리트(C) 내에 매립된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10)의 형상기억합금 부재에서 형상기억효과(SME) 발현이 필요한 경우, 인덕션 히팅 유닛(A)이 도입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부재(100)가 중앙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형상기억합금 부재(200)가 연장 부재(1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션 히팅 유닛(A)에 의해서 연장 부재(100)가 먼저 가열된다. 그런 다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부재(100)가 하나의 열원으로 활용되어, 연장 부재(100)에서 발생된 열이 복수 개의 형상기억합금 부재(200)에 전달되어, 복수 개의 형상기억합금 부재(200)가 가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10)에서는 낮은 전기저항 및 자기투자율을 가진 형상기억합금 부재(200)에 높은 전기저항 및 자기투자율을 가진 연장 부재(100)를 하나의 번들 형태로 마련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형상기억합금 부재(200)를 가열할 수 있고, 인덕션 히팅 유닛(A)에 의한 전자기장이 약한 경우에도 형상기억합금 부재(200)를 가열할 수 있어, 인덕션 히팅 유닛(A)에 의한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10)은 형상기억합금 부재(200)가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있거나 별도의 전원 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인덕션 히팅 유닛(A)과 형상기억합금 부재(200)의 연결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신뢰성과 내구성에 대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인덕션 히팅 유닛(A)에 의해서 연장 부재(100)를 가열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연장 부재(100)를 가열하는 방법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부재(100)의 단부가 콘크리트(C)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노출된 연장 부재(100)의 단부를 직접 가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
100: 연장 부재
200: 형상기억합금 부재
300: 열전달 부재
A: 인덕션 히팅 유닛
C: 콘크리트

Claims (6)

  1. 길쭉하게 형성되고, 인장재 또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연장 부재; 및
    상기 연장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장 부재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되는 형상기억합금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부재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가 하나의 번들로 마련되어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는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보다 자기투자율 또는 전기저항이 큰 재질로 마련되는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는 서로 접촉하여, 상기 연장 부재로부터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에 전도에 의해서 열이 전달되는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복수 개의 형상기억합금 부재가 상기 연장 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형상기억합금 부재가 상기 연장 부재에 의해 동시에 가열되는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 사이에는 열전달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열전달 부재의 일부는 상기 연장 부재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열전달 부재의 다른 일부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연장 부재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인덕션 히팅 유닛이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션 히팅 유닛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 상기 연장 부재가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보다 더 빨리 가열되는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
KR1020170170669A 2017-12-12 2017-12-12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 KR102055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669A KR102055986B1 (ko) 2017-12-12 2017-12-12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669A KR102055986B1 (ko) 2017-12-12 2017-12-12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140A true KR20190070140A (ko) 2019-06-20
KR102055986B1 KR102055986B1 (ko) 2019-12-13

Family

ID=6710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669A KR102055986B1 (ko) 2017-12-12 2017-12-12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595B1 (ko) 2021-04-26 2023-04-1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냉간인발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874A (ja) * 1994-06-13 1996-03-05 Takenaka Komuten Co Ltd 自己診断部材並びに自己修復部材及びこれらの機能を 備えた構造鋼材並びに構造体の損傷検知システム
JP2008138469A (ja) * 2006-12-04 2008-06-19 Takenaka Komuten Co Ltd プレストレス導入用の自己収縮性横筋、この横筋を用いた外郭プレキャスト材、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
KR20110006072A (ko) * 2009-07-13 2011-01-20 최은수 콘크리트 수화열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의 균열제어 구조
KR101684904B1 (ko) 2015-10-13 2016-12-12 한국기계연구원 저항재료가 코팅된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874A (ja) * 1994-06-13 1996-03-05 Takenaka Komuten Co Ltd 自己診断部材並びに自己修復部材及びこれらの機能を 備えた構造鋼材並びに構造体の損傷検知システム
JP2008138469A (ja) * 2006-12-04 2008-06-19 Takenaka Komuten Co Ltd プレストレス導入用の自己収縮性横筋、この横筋を用いた外郭プレキャスト材、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
KR20110006072A (ko) * 2009-07-13 2011-01-20 최은수 콘크리트 수화열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의 균열제어 구조
KR101684904B1 (ko) 2015-10-13 2016-12-12 한국기계연구원 저항재료가 코팅된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986B1 (ko)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6000341B1 (pt) Sistema para aquecer um atuador em liga,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um sistema de aquecimento por indução
BR112012025950A2 (pt) linha para transporte de um fluido contendo um hidrocarboneto, e método para produção de tal linha
JP2012526705A5 (ko)
KR20190070140A (ko) 구조물 보수/보강용 유닛
Oguro et al. Mechanical and superconducting properties of Nb3Sn wires with Nb-rod-processed CuNb reinforcement
CN103438330B (zh) 一种超高温绝热保温装置
CN203884010U (zh) 一种管道电伴热保温的恒功率电热带
Sun et al. A study on thermomechanical deformation of elastic beam with embedded shape memory alloy wires
DK2339593T3 (da) Superledende kablesystem
Swenson et al. Progress of the insert coil for the US-NHMFL 100T multi-shot pulse magnet
BR112014005655A2 (pt) conexão de barra de distribuição
CN202364399U (zh) 可包覆加热的履带式陶瓷加热器
Barakati et al. Influence of the electric current waveform on the dynamic response of the electrified composites
KR20190047394A (ko) 인덕션 히팅용 나선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 구조물
Li et al. Spring model for mechanical–electrical properties of CICC in cryogenic–electromagnetic environments
CN211019300U (zh) 新型电磁发热装置
CN105603168A (zh) 一种金属材料韧化处理方法
CN203109114U (zh) 钢筋电热拉直器
KR20190047393A (ko) 형상기억합금이 포함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가열방법
CN105323883A (zh) 一种高功率辐射管
CN103857079A (zh) 碳纤维加热管
CN203533091U (zh) 超高温绝热保温装置
JP5894632B2 (ja) 加熱装置
CN108563811A (zh) 一种基于光伏输电电缆温度分析
Charan et al. Design of Heating Coils Based on Space-Filling Fractal Curves for Highly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