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085A -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 - Google Patents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085A
KR20190070085A KR1020170170573A KR20170170573A KR20190070085A KR 20190070085 A KR20190070085 A KR 20190070085A KR 1020170170573 A KR1020170170573 A KR 1020170170573A KR 20170170573 A KR20170170573 A KR 20170170573A KR 20190070085 A KR20190070085 A KR 20190070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guide
hole
cover l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김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희 filed Critical 김진희
Priority to KR102017017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0085A/ko
Publication of KR2019007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믹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야외 등에서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력으로 각종 채소류나 과일류 등을 갈아 주스 또는 과즙을 만들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에 따르면, 사용자가 노브를 밀고 당기는 직선운동을 반복함에 따라 용기 내부의 커터가 어느 한 방향으로 또는 양쪽 방향으로 번갈아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으깨거나 갈아서 분쇄하게 된다. 즉, 전기등의 동력원을 이용하지 않고 충전의 원리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하므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장소에서도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사의 편익을 증대시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용 컵과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기능 및 구실을 입체로 겸비 및 병치하여 사용은 물론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 및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등 하나의 물품으로 두가지 물품기능으 겸용하여 사용 및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하며 그에 따른 경제성 및 제품의 차별화로 상품성을 제고하는 등 사용상의 편익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Drink cup with mixer on cover lid}
본 발명은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용 컵의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수분이 많은 고체 물질을 포함하는 음용가능한 모든 물질을 음용 액체와 쉽게 섞음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커버 리드가 부착된 음용 컵은 머그컵이나 일회용 컵에 비해 보온성이나 휴대성이 좋고 쓰레기가 배출되지 않아 일상생활에서는 물론 등산, 낚시, 트레킹, 캠핑 등과 같은 야외활동에 있어 필수용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텀블러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5070호에 개시된 간이 컵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개구된 중공을 갖는 외통과,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테두리에는 외통의 상부가 끼워지는 끼임 부가 형성된 내통 및 외통의 하측 테두리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 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간이 컵은 단순히 커피 등의 음용가능 한 액체를 마실 수 있는 용도로 한정되어 컵 고유의 기능 외에 별다른 부가기능이 없기 때문에 활용도가 그다지 높지 않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한편, 채소나 과일을 만드는 것 비롯하여 곡물, 마늘, 고추 따위 의 각종 음식물을 잘게 다지거나 혼합, 교반 또는 절단, 분쇄하는데 사용하는 푸드 프로세서(food processor)로는 음식물을 갈아 고체성분을 가진 입자와 액체성분을 가진 즙으로 분리하여 즙을 짜내는 주스기(juicer), 음식물을 용기 내에 갈아 혼합하는 등록특허 10-1490099 믹서기(mixer), 액체성분이 거의 없는 음식물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만드는 분쇄기(crusher) 등이 있다.
이하에는 주스기, 믹서기, 분쇄기 등과 같이 동력원과 분쇄 날(cutting blade/cutter)을 구비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하는 푸드 프로세서를 믹스장치(Mix device)로 통칭한다.
이러한 믹스장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전동기)과 동력원으로부터 회전력에 의해 음식물을 미세하게 갈거나 분쇄하는 분쇄 날이 필수로 구비되어 있으며, 음식물을 형태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분쇄 날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갈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괴고 있다.
예컨대, 믹스장치 중에서도 특히 가정이나 소형 업소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소형 믹스장치는 동력원인 전동기를 내장한 본체와, 전동기의 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쇄 날과, 본체와 나사결합 또는 잠금되는 투명한 재질의 용기(cup)으로 구성되어 전동기의 구동에 따른 축의 회전에 의해 분쇄 날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용기 내의 음식물을 전단 또는 으깨거나 갈아서 분쇄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믹스장치는 전동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분쇄 날이 공회전하는 것과 같은 상태가 종종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음식물이 고르게 절단 및 분쇄되지 않고 전동기의 부하만 많이 걸려 고장이 잦아지고 전력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등산, 낚시, 트래킹, 캠핑 등과 같이 야외에서 일시적인 생활을 즐기는 다양한 여가 활동시 전동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에너지와 같은 동력원 없이는 사용할 수 없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전기를 동력원으로 이용하지 않고 각종 음식물을 용이하게 믹싱 또는 갈거나 분쇄할 수 있고 이를 별도의 용기에 옮겨 담지 않고도 바로 마시거나 먹을 수 있고, 아울러 작동 효율을 높여 사용의 편리성 및 실용성이 매우 우수한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을 발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전원의 공급 없이 음식물을 갈거나 분쇄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음식물을 갈거나 분쇄 시 작동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를 넣는 음용 컵 본체에 하단이 나사결합하도록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기밀을 위한 O링이 삽입되는 음용 컵 커버 리드에 있어서, 상기 음용 컵 커버 리드는 저면은 개방되고 상면은 막혀 있으며, 하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는 O링과, O링이 장착된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 상면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반원의 형상으로 함몰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를 제외한 반원형의 미끄럼부;
상기 함몰부의 미끄럼부의 반대 반향에 관통 형성되며 상단은 함몰부의 바닥면보다 돌출되는 음용홀;
상기 미끄럼부에서 함몰부 반대 방향으로 함몰 연장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 단턱지게 양측 폭이 축소되는 걸림단턱부;
상기 걸림단턱의 마주보는 끝단이 절개 형성되는 2 ~ 4개의 가이드돌기 삽입 홈;
가이드홈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좌우로 연장되는 닫힘돌출부와 열림돌출부 및 걸림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버 리드 본체와 일측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의 상부를 덮도록 하고 타측은 미끄럼부의 상면에 밀착하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의 상부를 덮을 때 상기 음용홀의 상부에 하단이 밀착하여 막도록 저면에 장착되는 탄성복원력을 가진 음용홀 마개;
저면에 한 쌍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턱부의 내측으로 밀착하여 삽입되는 가이드벽체와, 상기 가이드벽체의 하단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 삽입 홈을 통하여 삽입된 후 수평 이동하도록 하는 여러 개의 가이드돌기;
상기 가이드벽체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함몰부와 인접한 가이드 홈의 끝단과 닫힘돌출부의 사이에 안착되었을 때 음용 홀 마개가 음용 홀을 막도록 하고 열림돌출부와 걸림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였을 때 음용 홀이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딩 캡;
상면에 인포멀 홀이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하부에 형성되되, 양쪽 측면으로 관통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바디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커터 상기 커터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
상기 바디의 내부에 위치된 피니언기어 상기 바디의 내부에 대칭으로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각각 맞물리는 제1 및 제2링기어 상기 제1링기어의 회전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한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일방향기어와 상기 제2링기어의 회전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일방향기어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 가이드홀;
상기 제1일방향기어 와 맞물려 직선운동으로 상기 커터를 회전시키는 제1랙기어 및 상기 바디의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일방향기어와 맞물려 직선 운동으로 상기 커터 를 회전시키는 제2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이다.
본 발명의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에 따르면, 사용자가 노브를 밀고 당기는 직선운동을 반복함에 따라 용기 내부의 커터가 어느 한 방향으로 또는 양쪽 방향으로 번갈아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으깨거나 갈아서 분쇄하게 된다. 즉, 전기등의 동력원을 이용하지 않고 충전의 원리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하므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장소에서도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사의 편익을 증대시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용 컵과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기능 및 구실을 입체로 겸비 및 병치하여 사용은 물론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 및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등 하나의 물품으로 두가지 물품기능으 겸용하여 사용 및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하며 그에 따른 경제성 및 제품의 차별화로 상품성을 제고하는 등 사용상의 편익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의 을 도시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실시례 1번)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은 크게 용기, 바디, 커터, 피니언기어, 제1링기어, 제2링기어, 제1일방향기어, 제2일방향기어, 제1랙기어 및 제2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는 음식물 및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면에 아가리가 형성된 마치 원통과 같은
통형이나 컵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수납공간의 중심부에 커터를 위치시킨 상태로 바디의 상부
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에는 그 아가리를 개폐하는 별도의 리드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드의 회전 방향에 따라 조여지거나 풀리도록 용기의 상부 테두리 안쪽 면 둘레와 리드의
하부 바깥쪽 면 둘레에 서로 대응 결합되는 암수나사부(미도시)가 각각 형성될 수 있고, 또 리드를 완전히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기내부에 담긴 음식물이나 커피 등의 음료를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그 리
드의 일부만이 개폐 가능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용기와 리드사이에는 용기 내부에 담긴 음식물이나 음료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수분이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오링이나 패킹 등이 장착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용기는 음식물 등에 의해 표면이 쉽게 긁히거나 손상되지 않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내열성과 강도가 크고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록특허 10-1490099
또한, 용기는 내부에 담기는 음식물이나 음료를 외부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가 투영되어
보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는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밑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고, 양쪽 측면으로 관통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의 가이드홀 한쪽 단부의 테두리 양측에는 요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요크들의 동일 축선 상으로는 핀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핀홀들에는 가이드핀이 나사결합방식으로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바디의 일측에는 사용 시나 휴대 시 등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노브가 구비되어 있다.
즉, 노브는 바디의 가이드홀 내부로 일부가 원활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그 폭 및 두께가 가이드홀의 내경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고, 그 양쪽 측면에는 가이드핀의 단부가 삽입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핀은 요크의 내부로 돌출된 상태로 노브의 레일홈에 삽입되도록 요크의 두께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브는 바디에 대하여 나란히 세워진 상태를 유지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레일홈의 하단부 벽면에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돌기와 끼워맞춤 방식으로 대응 결합되도록 가이드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다.
즉, 노브를 바디에 대하여 나란히 세울 경우에는 가이드핀을 기준으로 노브를 최대한 상승시켜 그 고정돌기가 가이드핀의 고정홈에 삽입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노브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텀블러로 사용하거나 휴대 시 등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그리고 노브의 한쪽 단부에는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손가락 걸림부 중 바디와 마주하는 단부에는 바디와 접촉 시 충격을 탄력적으로 완화 및 완충하기 위한 패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노브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 시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논슬립부(미도
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커터는 용기의 내부 중심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즉, 커터의 회전축 양단이 용기와 바디의 내부로 돌출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그 회전축의 상단에 음식물을 으깨거나 갈아서 분쇄하는 커터의 분쇄 날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에 피니언기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커터는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리스 소재를 이용하여 단일품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티타늄과 같은 특수소재로 표면을 코팅 처리하거나 음식물을 갈거나 분쇄 시 발생되는 열을 흡수 및 분산시켜 영양분의 파괴를 최소화하는 소재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커터는 상부 및 하부 분쇄 날이 복수로 적층되는 이중 구조의 커터를 채용할 수 있고, 또는 칼날 부
분에 톱니를 갖는 커터나 휘거나 구부러진 칼날을 갖는 커터 등 다양한 형상의 커터를 채용할 수 있다.
아울러 커터의 회전축과 용기 및 바디의 장착부 사이에는 커터의 자중과 회전축(121)
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축의 회전 시 마찰 저항을 적게 하여 더욱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베어링
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니언기어는 바디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도록 커터의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피니언기어는 제1랙기어가 이동하는 바디의 가이드홀 상에서 그 제1랙기어와 접촉 간섭이 일어나는 위치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등록특허 10-1490099
제1링기어는 피니언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즉, 제1링기어는 제1랙기어(160)가 이동하는 바디의 가이드홀 상에서 그 제1랙기어와 접촉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위치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피니언기어와 제1링기어는 그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교차하는 베벨 기어(bevel gear)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교차하는 두 축을 엇갈리게 하여 맞물림률도 크고 매끄러운 회전으로 큰 속도비를 얻을 수 있는 하이포이드 기어(hypoid gear)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더욱 자연스럽게 연동할 수 있다.
제2링기어는 커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링기어와 대칭적 또는 점대칭적으로 배치되고, 피니
언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즉, 제2링기어는 제1랙기어가 이동하는 바디의 가이드홀상에서 그 제1랙기어와 기어 맞물림이 일어나지 않고, 가이드홀의 축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
되어 있다.
여기서, 피니언기어와 제2링기어는 제1링기어와 마찬가지로 그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교차하는 베벨 기어(bevel gear)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교차하는 두 축을 엇갈리게 하여 맞물림률도 크
고 매끄러운 회전으로 큰 속도 비를 얻을 수 있는 하이포이드 기어(hypoid gear)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더욱 자연스럽게 연동할 수 있다.
제1일방향기어는 어느 한 방향만의 회전력을 제1링기어에 전달하도록 그 제1링기어의 회전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일방향기어는 제1랙기어가 이동하는 바디의 가이드홀 상에서 그 제1랙기어와 기어
맞물림이 일어나는 위치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1일방향기어는 일 방향 클러치(one-way clutch)처럼 한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고 역방향으
로 공회전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제2일방향기어는 제1일방향기어와 반대 방향만의 회전력을 제2링기어에 전달하도록 그 제2링기어의회전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일방향기어는 제2랙기어가 이동하는 바디의 가이드홀상에서 그 제2랙기어와 기어맞물림이 일어나는 위치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2일방향기어는 제1일방향기어와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고 정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일 방향 클러치(one-way clutch)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제1랙기어는 제1일방향기어와 맞물려 직선 운동으로 커터를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키기 위해 바디의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즉, 제1랙기어는 제2랙기어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노브의 바디와 대
향하는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랙기어는 제2일방향기어와 맞물려 직선 운동으로 커터를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키기 위해
바디의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즉, 제2랙기어는 제1랙기어와 인접하는 노브의 바디와 대향하는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등록특허 10-1490099
여기서, 바디의 가이드홀과 노브는 삽입 및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정 곡선을 갖는 호형으
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에 과일이나 채소 등의 음식물을 담고 리드로 밀폐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용기와 바디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노의 한쪽 단부를 바디의 가이드홀로 삽입하면서 가압하면 그 양쪽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과 바디의 요크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핀의 안내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노브의 한쪽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랙기어가
제2일방향기어와 맞물려 그와 동일한 회전축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링기어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와 연동하여 피니언기어가 회전하면서 결과적으로 그 회전축의 상단에 고정된 커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1일방향기어는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공회전하므로 이와 동일축 상에 형성된 제1링기어는
피니언기어에 의해 연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를 바디의 가이드홀에서 빼내듯이 잡아당기면 그 양쪽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과 바디의 요크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핀의 안내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노브의 다른 한쪽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랙기어가 제1일방향기어와 맞물려 그와 동일한 회전축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링기어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와 연동하여 피니언기어가 회전하면서 결과적으로 그 회전축의 상단에 고정된 커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2일방향기어는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공회전하므로 이와 동일축 상에 형성된 제2링기어는
피니언기어에 의해 연동하게 된다.
이처럼 노브를 바디의 가이드홀을 따라 밀고 당기는 동작을 일정 시간 동안 수회 반복하면 노브에 형성된 제1 및 제2랙기어, 제1 및 제2일방향기어, 제1 및 제2링기어및 커터의 회전축에 형성된 피니언기어 간의 상호 연동하는 작동 관계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인해 커터가 고속으로 정회전만을 반복하면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으깨거나 갈아서 분쇄하므로 작업 및 작동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노브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바디와 나란하도록 세운 상태에서 그 레일홈 내부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가이드핀에 형성된 고정홈과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바디에 대하여 나란히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용기와 바디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파지 및 들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로의 기능 및 구실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간편하게 음식물을 으깨거나 갈아서 쇄할 수 있고, 아울러 분쇄된 음식물을 별도의 용기에 옮겨 담지 않고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마실 수 있으며, 나아가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아 유용성과 실용성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 및 전력 소비를 줄이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100:용기 101:리드
110:바디 111:가이드홀
112:요크 113:핀홀
114:가이드핀 115:고정홈
117:제1슬롯 118:제2슬롯
120:커터 121:회전축
130:피니언기어 135:제1기어
140:제1링기어 145:제2기어
141:제1방향기어 142:제1래칫기어
150:제2링기어 151:제2방향기어
152:제2래칫기어 155:제3기어
160:제1랙기어 165:제3기어
170:제2랙기어 180:노브
181:레일홈 182:고정돌기
185:손가락 걸림부

Claims (2)

  1.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를 넣는 음용 컵 본체에 하단이 나사결합하도록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기밀을 위한 O링이 삽입되는 음용 컵 커버 리드에 있어서,
    상기 음용 컵 커버 리드는 저면은 개방되고 상면은 막혀 있으며, 하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는 O링과, O링이 장착된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
    상면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반원의 형상으로 함몰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를 제외한 반원형의 미끄럼부;
    상기 함몰부의 미끄럼부의 반대 반향에 관통 형성되며 상단은 함몰부의 바닥면보다 돌출되는 음용홀;
    상기 미끄럼부에서 함몰부 반대 방향으로 함몰 연장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 단턱지게 양측 폭이 축소되는 걸림단턱부;
    상기 걸림단턱의 마주보는 끝단이 절개 형성되는 2 ~ 4개의 가이드돌기 삽입 홈;
    가이드홈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좌우로 연장되는 닫힘돌출부와 열림돌출부 및 걸림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버 리드 본체와 일측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의 상부를 덮도록 하고 타측은 미끄럼부의 상면에 밀착하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의 상부를 덮을 때 상기 음용홀의 상부에 하단이 밀착하여 막도록 저면에 장착되는 탄성복원력을 가진 음용홀 마개;
    저면에 한 쌍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턱부의 내측으로 밀착하여 삽입되는 가이드벽체와, 상기 가이드벽체의 하단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 삽입 홈을 통하여 삽입된 후 수평 이동하도록 하는 여러 개의 가이드돌기;
    상기 가이드벽체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함몰부와 인접한 가이드 홈의 끝단과 닫힘돌출부의 사이에 안착되었을 때 음용 홀 마개가 음용 홀을 막도록 하고 열림돌출부와 걸림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였을 때 음용 홀이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딩 캡;
    상면에 인포멀 홀이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하부에 형성되되, 양쪽 측면으로 관통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바디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커터 상기 커터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
    상기 바디의 내부에 위치된 피니언기어 상기 바디의 내부에 대칭으로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각각 맞물리는 제1 및 제2링기어 상기 제1링기어의 회전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한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일방향기어와 상기 제2링기어의 회전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일방향기어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 가이드홀;
    상기 제1일방향기어 와 맞물려 직선운동으로 상기 커터를 회전시키는 제1랙기어 및 상기 바디의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일방향기어와 맞물려 직선 운동으로 상기 커터 를 회전시키는 제2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그 인포멀 홀을 개폐하는 리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

KR1020170170573A 2017-12-12 2017-12-12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 KR20190070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573A KR20190070085A (ko) 2017-12-12 2017-12-12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573A KR20190070085A (ko) 2017-12-12 2017-12-12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085A true KR20190070085A (ko) 2019-06-20

Family

ID=6710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573A KR20190070085A (ko) 2017-12-12 2017-12-12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00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099B1 (ko) 텀블러형 블렌더
US9549639B2 (en) Manual blender device and methods
US9039274B1 (en) Compact, portable blender system
KR102090500B1 (ko) 식품 가공기
CN103957757B (zh) 混合系统和可旋转刀片组件
US7066640B2 (en) Blender and mugs
EP1880648B1 (en) Food cutting device
US20140301155A1 (en) Portable Battery Operated Blender
US7302887B1 (en) Kitchen hand tool
WO2012120425A1 (zh) 小型食物处理器
CN102133055B (zh) 小型食物处理器
TW201336583A (zh) 按壓式攪拌容器結構
US20060158958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Integrated Mixing Device
CA2967623A1 (en) Container with locking lid
TWM258697U (en) Drink bottle with integrated mixing blades
KR101449698B1 (ko) 가정용 수동식 쌀 세척장치
KR20190070085A (ko) 커버 리드에 믹스장치가 달린 음용 컵
US20050254341A1 (en) Food and drink blender
KR101497218B1 (ko) 수동 블렌더
KR20190058016A (ko) 휴대용 충전 믹서 물병
KR20080090219A (ko) 믹서기용 배출구조
KR101667870B1 (ko) 수동 믹서기
JP2004016572A (ja) 手動食品加工機
CN110192789A (zh) 调理机
KR20150141849A (ko) 자동회전 머그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