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629A -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629A
KR20190069629A KR1020170143238A KR20170143238A KR20190069629A KR 20190069629 A KR20190069629 A KR 20190069629A KR 1020170143238 A KR1020170143238 A KR 1020170143238A KR 20170143238 A KR20170143238 A KR 20170143238A KR 20190069629 A KR20190069629 A KR 20190069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earner
schedule
lecture
learning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로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로티
Priority to KR102017014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9629A/ko
Publication of KR2019006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자 정보에 따른 맞춤형 수업을 제공하고, 학습 데이터로부터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학습자의 학습 스케줄을 관리하는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학습 스케줄, 달성률, 및 학습 데이터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학습 스케줄을 조율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능력 및 학습진도에 적합한 강의, 교재, 학습량 및 주기 등의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NAGING THE STUDYING SCHEDUL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 정보에 따른 맞춤형 수업을 제공하고, 학습 데이터로부터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학습자의 학습 스케줄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과 개인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학습분야에서도 원격학습이나 화상학습 등과 같은 전자 기기를 이용한 학습방법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은 중고생, 직장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매우 다양한 학습프로그램으로 보급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가입자의 수 또한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이러한 온라인 학습은 동영상 강의 제공과 같이 일방향의 학습방식이 대부분이므로, 학습자의 참여도와 관심이 적어 학습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온라인 학습의 경우, 혼자서 진행하므로 누군가가 전문적으로 지도해주지 않으면 학습과정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심도있는 학습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온라인 학습방법과 병행하여 학습 모니터링 및 플랜 시스템에 대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온라인 학습 모니터링 및 플랜 시스템은 학습자가 선택한 강의에 대한 수강 현황을 모니터링하거나, 학습자가 선택한 교재에 대한 학습 또는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률의 성적 현황을 수치화하여 제공하는 기술에 불과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30487호(2010.12.13. 공개), "학습플래너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28783호(2014.03.10. 공개), "강의 큐레이터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 데이터에 따른 학습성취도 데이터에 기반하여 학습자에게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 스케줄, 달성률, 및 학습 데이터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학습 스케줄을 조율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능력 및 학습진도에 적합한 강의, 교재, 학습량 및 주기 등의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은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학습자 정보를 수신하는 학습자 정보부, 상기 학습자 정보에 맞춤형 과목별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학습 스케줄을 설정하는 스케줄 설정부,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학습 스케줄에 따라 제공되는 수업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학습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학습 데이터에 따른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상기 학습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결과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학습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상기 학습자에게 맞춤형 상기 학습 스케줄을 추천하며, 상기 학습 스케줄에 따른 수업의 추가, 조율, 삭제 및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자 정보부는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학습자에 대한 학년, 성적, 학습능력, 학습진도, 성취도, 목표 점수 및 목표 대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학습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 설정부는 상기 학습자 정보에 따른 맞춤형 과목과, 과목별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요일별 또는 주별 목표 학습량, 및 주기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결과 관리부는 상기 제공되는 수업에 따른 상기 학습 데이터로부터 강의 출석, 학습시간, 달성률, 반복주기 및 교재수행 등의 상기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상기 학습자에 따른 개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되는 수업에 대한 미완료된 강의 또는 교재 발생 시, 상기 미완료된 강의 또는 교재의 특성에 따라 상기 수업을 누적, 삭제 또는 이월하며, 기 설정된 기간을 벗어나는 경우 알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취약한 과목, 강의, 교재 또는 카테고리를 추출하고, 추출된 취약 부분에 대한 상기 학습 스케줄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요일별, 주별, 월별에 따라 상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능력 및 학습진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상기 학습 스케줄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학습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정보에 맞춤형 과목별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학습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학습 스케줄에 따라 제공되는 수업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학습 데이터에 따른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상기 학습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학습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상기 학습자에게 맞춤형 상기 학습 스케줄을 추천하며, 상기 학습 스케줄에 따른 수업의 추가, 조율, 삭제 및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데이터에 따른 학습성취도 데이터에 기반하여 학습자에게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스케줄, 달성률, 및 학습 데이터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학습 스케줄을 조율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능력 및 학습진도에 적합한 강의, 교재, 학습량 및 주기 등의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학습자, 학부모 및 교육자 간 학습 스케줄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학습자 정보에 따른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설정하여 수업을 제공하고, 수업에 따른 학습 데이터로부터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학습자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학습자별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학습자에게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진단문제를 통해 동급별, 교과 영역별 학습자의 강점과 약점을 진단하고, 학습자별 진단결과, 학습습관, 학습량, 학습방법 등을 파악하여 학습 전략 수립 및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1:1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학습자 역량에 따른 연간 학습계획 및 월간, 주간 학습 분량을 설계하여 학습자 스스로 일일 학습 플로우 및 시간을 설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효율적인 자기주도학습을 제공하며, 학습 시간의 적절성, 학습량, 학습집중도, 계획성취도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기존 학습 스케줄의 효용성 판단을 통해 약점 보완을 위한 학습전략 및 계획을 재설계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학습 스케줄링을 설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100)은 학습자 정보에 따른 맞춤형 수업을 제공하고, 학습 데이터로부터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학습자의 학습 스케줄을 관리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100)은 학습자 정보부(110), 스케줄 설정부(120), 학습 데이터 수신부(130) 및 결과 관리부(140)를 포함한다.
학습자 정보부(110)는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학습자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100)은 학습자의 학습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학습자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며, 학습자 정보부(110)는 학습자가 소지하는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데이터베이스부(160)로부터 학습자 정보를 수신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부(160)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학습자 정보 또한,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학습자 정보부(110)는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학습자에 대한 학년, 성적, 학습능력, 학습진도, 성취도, 목표 점수 및 목표 대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학습자는 선호하는 학습 주제(예를 들면, 과목, 과목별 강의, 단원 또는 교재)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학습자 정보부(110)는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학습자의 선호에 따른 학습자 정보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의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 장치로,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일컫을 수 있으며, 유무선망을 경유하여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와 같은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는 유무선망을 경유하여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학습할 수업을 수신하고, 학습자는 터치입력, 키입력, 버튼입력, 음성입력, 펜입력 등의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수업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며, 학습 후, 학습자의 선택입력에 따른 전송명령에 의해 학습 데이터는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업은 과목에 따른 강의, 교재 및 학습자료일 수 있으며, 학습자료는 예습 또는 복습을 위한 자료일 수 있고, 학습자를 평가하기 위하여 제출된 평가문제(시험문제 또는 기출문제 등)일 수도 있다.
스케줄 설정부(120)는 학습자 정보에 맞춤형 과목별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설정된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학습 스케줄을 설정한다.
스케줄 설정부(120)는 학습자 정보에 기초하여 맞춤형 과목과, 과목별 강의, 교재 또는 강의 및 교재를 설정하며, 강의, 교재를 시간별, 요일별, 주별, 월별과 주기에 따라 스케줄링하여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케줄 설정부(120)는 학습자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수학 과목에 대한 강의를 배정하고, 고등학교 2학년 수학 과목의 전 단원(예를 들면, 1~9단원)에 대해 월요일에 1단원, 2단원, 3단원 강의, 수요일에 4단원, 5단원, 6단원 강의, 금요일에 7단원, 8단원, 9단원의 강의 각각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 설정부(120)는 9월 첫째 주의 1주 동안 수학 과목의 전 단원에 대한 강의를 수강하고, 9월 둘째 주에는 수학 과목 전 단원에 대한 시험 문제 및 기출 문제를 풀이하며, 9월 셋째 주 및 넷째 주의 2주 동안 수학 과목의 강의를 복습 및 오답 풀이하는 등의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고등학교 2학년 수학 과목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전술한 학년 및 과목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케줄 설정부(120)는 학습자의 학년, 내신 성적, 모의고사 성적, 취약과목, 선호과목, 목표 점수, 목표 대학에 따라 개별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고, 기말고사, 중간고사, 여름방학 및 겨울방학 등의 학습자의 세부 일정에 따라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스케줄 설정부(120)는 교육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설정 정보에 따라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교육자는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에서 학습자를 케어(care)하는 선생님일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학습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 수신부(130)는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학습 스케줄에 따라 제공되는 수업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수신한다.
학습 데이터 수신부(130)는 학습자에게 제공된 수업에 대하여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응답된 학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결과 관리부(140)는 수신된 학습 데이터에 따른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학습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결과 관리부(140)는 제공되는 수업에 따른 학습 데이터로부터 강의 출석, 학습시간, 달성률, 반복주기 및 교재수행 등의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학습자에 따른 개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과 관리부(140)는 9월 첫째 주의 월요일에 1단원, 2단원, 3단원 강의, 수요일에 4단원, 5단원, 6단원 강의, 금요일에 7단원, 8단원, 9단원의 강의를 수강하고, 9월 둘째 주에는 수학 과목 전 단원에 대한 시험 문제 및 기출 문제를 풀이하며, 9월 셋째 주 및 넷째 주의 2주 동안 수학 과목의 강의를 복습 및 오답 풀이하는 등의 학습 스케줄에 따른 학습 데이터로부터 출석, 완료 강의, 미완료 강의, 달성률, 풀이 점수, 오답률, 취약 단원 등의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를 데이터화하여 데이터베이스부(160)에 구축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부(160)는 학습자 각각에 대한 학습자 정보 및 평가 결과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100)은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학습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학습자에게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추천하며, 학습 스케줄에 따른 수업의 추가, 조율, 삭제 및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100)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각 학년에 따른 교과서, 학습교재, 학습지, 문제집에 대한 강의 및 교재와 과목별, 단원별 강의 및 교재를 빅데이터로 구축하고 있으며, 각 강의 또는 교재에 대한 속성을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강의마다, '스킵(skip)', '삭제', '중요', '반복', '변경'의 속성이 포함되므로, 해당 강의의 미완료 시, 속성에 따라 강의를 조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학습자가 월요일에 스케줄링된 수학 과목에 대한 1단원, 2단원, 3단원의 강의 중 1단원 및 2단원은 완료하고, 3단원은 미완료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미완료된 3단원의 속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미완료된 3단원의 속성이 '스킵(skip)'인 경우, 수요일에 스케줄링된 수학 과목에 대한 4단원, 5단원, 6단원의 강의와 금요일에 스케줄링된 수학 과목에 대한 7단원, 8단원, 9단원의 강의에 대한 학습 스케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미완료된 3단원의 속성이 '중요'인 경우, 미완료된 3단원의 강의를 화요일에 배치하거나, 수요일에 스케줄링된 수학 과목에 대한 3단원, 4단원, 5단원, 6단원의 강의로 재설정할 수 있다.
즉, 강의 및 교재의 각 속성에 따라 미완료 시, 수업의 추가, 변경, 삭제 및 이동을 조율할 수 있으며, 상기 속성은 학습자, 교육자 또는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속성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각 학년에 따른 교과서, 학습교재, 학습지, 문제집에 대한 강의 및 교재와 과목별, 단원별 강의 및 교재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150)는 학습자의 학습 진도를 고려하여 고등학교 2학년 수학 과목 외에 고등학교 1학년 수학 과목 또는 고등학교 3학년 수학 과목의 일부 단원에 대한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업을 추가할 수 있으며, 영어 과목, 국어 과목, 과학 과목 등을 추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150)는 미완료된 3단원의 성격에 따라 누적, 삭제 또는 이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완료된 3단원은 학습자가 완벽하게 이해한 단원이거나, 앞/뒤 단원과 연관되는 단원 또는 시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단원인 경우, 제어부(150)는 미완료된 3단원을 학습 스케줄에서 삭제할 수 있으며, 다음 달로 이월하거나, 다음 학기 스케줄에 추가 또는 누적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제공되는 수업에 대한 미완료된 강의 또는 교재 발생 시, 미완료된 강의 또는 교재에 대한 알람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기간을 벗어나는 경우 알람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오디오 모듈, 스피커 모듈 또는 부저를 이용하여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여 경고등을 점멸할 수 있으며, 진동 모듈을 이용하여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미완료된 강의 또는 교재에 대한 벌점을 부과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점수 이상의 벌점이 부과되는 경우, 학습자의 보호자 또는 교육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학습자에게 취약한 과목, 강의, 교재 또는 카테고리를 추출하고, 추출된 취약 부분 또는 오답 평가문제(시험문제 또는 기출문제 등)에 대한 학습 스케줄을 반복, 추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50)는 요일별, 주별, 월별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학습자의 학습능력 및 학습진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학습 스케줄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요일별, 주별, 월별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강의 또는 교재에 대한 완료, 미완료의 학습진도와, 평가문제(시험문제 또는 기출문제 등)의 결과에 따른 학습능력으로부터 학습자에게 설정된 학습 스케줄의 적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에 따라 학습 스케줄을 조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일 수 있으며,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20)에 설치되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교육자는 교육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30)로부터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을 통해 복수의 학습자에 대한 학습 현황, 학습 능력, 학습 진도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으며, 학습자 별로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20) 및 교육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30)는 단일의 단말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복수의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220) 및 복수의 교육자 모바일 디바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은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20)로부터 학습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학습자 정보에 따른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은 교육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30)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하여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학습자는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20)를 통해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으로부터 설정된 학습 스케줄에 따른 수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수업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은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20)로부터 수신된 학습 데이터에 따른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학습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교육자는 모바일 디바이스(230)을 이용하여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 현황, 학습 능력, 학습 진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때, 교육자는 복수의 학습자에 대한 학습 스케줄을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으며, 학습자 개인별 학습 스케줄을 설정 및 조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학습자는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20)를 통해 학년, 성적, 학습능력, 학습진도, 성취도, 목표 점수 및 목표 대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자 정보를 입력하고, 선호하는 학습 주제(예를 들면, 과목, 과목별 강의, 단원 또는 교재)를 추가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은 학습자 정보 및 학습 주제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학습능력 및 학습진도에 따른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수업에 대한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은 기말고사, 중간고사, 여름방학, 겨울방학, 개인 행사 등의 학습자의 세부 일정을 고려하여 요일별, 주별, 월별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오늘의 공부 가능 시간에 적합한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은 학습 스케줄에 따른 수업을 제공하며, 학습자는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10)를 통해 수업 진행에 따른 학습 데이터를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에 전송할 수 있다.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은 학습 데이터에 따른 강의 출석, 학습시간, 달성률, 반복주기 및 교재수행 등의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고려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에 기초하여 다음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때 과목, 강의, 교재, 일정을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20)로 제공되는 수업에 대해 미완료된 강의 또는 교재가 발생하는 경우,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은 학습 주제에 대한 '스킵(skip)', '삭제', '중요', '반복', '변경'의 속성에 따라 학습 스케줄을 조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어 과목에 대한 학습 주제를 지연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설정된 학습 스케줄을 진행하고, 수학 과목에 대한 학습 주제를 지연하는 경우에는 학습 스케줄을 조율할 수 있다.
학습자는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20)를 통해 요일별, 주별, 월별 학습 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학습 현황 및 달성률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설정된 학습 스케줄 외에 선호하는 학습 주제를 더 추가할 수 있고, 학습 스케줄을 조율할 수 있으며, 자신의 약점 및 목표 대학을 위한 보완점 등의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교육자는 복수의 학습자에 대한 출결 및 학습 현황을 확인하고, 학습진단 및 상담을 수행하며, 학습자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조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학습자의 보호자는 보호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교육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30)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현황, 학습 능력, 학습 진도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210)은 학습자 개인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우수 학습자에 대한 학습 히스토리(history) 및 학습자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의 각 교과 과정에서의 학습 히스토리를 바탕으로 적합한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학습자, 학부모 및 교육자 간 학습 스케줄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은 복수의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320), 교육자 모바일 디바이스(330) 및 학부모 모바일 디바이스(340)와 통신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보다 명확한 설명을 기재하기 위해 단수의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320), 교육자 모바일 디바이스(330) 및 학부모 모바일 디바이스(340)로 설명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일 수 있으며,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20)에 설치되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교육자 또는 학부모는 각 모바일 디바이스(330, 340)를 이용하여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 현황, 학습 능력, 학습 진도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과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320), 교육자 모바일 디바이스(330) 및 학부모 모바일 디바이스(340) 사이의 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320)는 학습자 정보를 등록한다(단계 301). 이 때, 상기 학습자 정보는 학년, 성적, 학습능력, 학습진도, 성취도, 목표 점수 및 목표 대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계 302 및 303에서,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은 교육자 모바일 디바이스(330)로 학습자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자는 모바일 디바이스(330)를 통해 학습자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설정하여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은 교육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3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와, 학습자 정보에 따라 학습자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설정한다(단계 304). 예를 들면,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은 교육자의 선택 입력과, 학습자의 학년, 내신 성적, 모의고사 성적, 취약과목, 선호과목, 목표 점수, 목표 대학, 그리고 기말고사, 중간고사, 여름방학 및 겨울방학 등의 세부 일정에 따라 학습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305에서,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은 설정된 학습 스케줄에 따른 수업을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20)로 제공하고,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20)는 학습자에 의해 수행된 수업에 따른 학습 데이터를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단계 306).
이후, 단계 307에서,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은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20)로부터 수신된 학습 데이터로부터 강의 출석, 학습시간, 달성률, 반복주기 및 교재수행 등의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학습자에 따른 개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다음 학습 스케줄을 설정할 때, 과목, 강의, 교재, 일정을 추천한다(단계 308).
이후, 단계 309 및 단계 310에서,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은 추천된 학습 스케줄에 따른 수업을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20)로 제공하고,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20)는 학습자에 의해 수행된 수업에 따른 학습 데이터를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 즉,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은 설정 또는 추천된 학습 스케줄에 대한 수업을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20)로 제공하고,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20)로부터 수업에 따른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여 학습 스케줄을 조율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단계 311 및 단계 312에서, 교육자는 교육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30)를 이용하여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 현황, 학습 능력, 학습 진도를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른 학습 스케줄 조율, 상담 신청, 문제 풀이 해석 등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학부모는 학부모의 모바일 디바이스(340)를 이용하여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 현황, 학습 능력, 학습 진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서의 교육자 및 학부모는 모바일 디바이스(330, 340)를 통해 단계에 무관하게 실시간으로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300)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단계 311 및 단계 312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학습 스케줄 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학습자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단계 410은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학습자에 대한 학년, 성적, 학습능력, 학습진도, 성취도, 목표 점수 및 목표 대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학습자는 선호하는 학습 주제(예를 들면, 과목, 과목별 강의, 단원 또는 교재)를 선택할 수 있으며, 단계 410은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학습자의 선호에 따른 학습자 정보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의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 장치로,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일컫을 수 있으며, 유무선망을 경유하여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와 같은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단계 420에서, 학습자 정보에 맞춤형 과목별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설정된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학습 스케줄을 설정한다.
단계 420은 학습자 정보에 기초하여 맞춤형 과목과, 과목별 강의, 교재 또는 강의 및 교재를 설정하며, 강의, 교재를 시간별, 요일별, 주별, 월별과 주기에 따라 스케줄링하여 학습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430에서,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학습 스케줄에 따라 제공되는 수업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430은 학습자에게 제공된 수업에 대하여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응답된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440에서, 수신된 학습 데이터에 따른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학습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단계 440은 제공되는 수업에 따른 학습 데이터로부터 강의 출석, 학습시간, 달성률, 반복주기 및 교재수행 등의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학습자에 따른 개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방법은 단계 450에서, 학습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학습자에게 맞춤형 학습 스케줄을 추천하며, 학습 스케줄에 따른 수업의 추가, 조율 삭제 및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학습자 정보를 수신하는 학습자 정보부;
    상기 학습자 정보에 맞춤형 과목별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학습 스케줄을 설정하는 스케줄 설정부;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학습 스케줄에 따라 제공되는 수업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학습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학습 데이터에 따른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상기 학습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결과 관리부
    를 포함하는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상기 학습자에게 맞춤형 상기 학습 스케줄을 추천하며, 상기 학습 스케줄에 따른 수업의 추가, 조율, 삭제 및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정보부는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학습자에 대한 학년, 성적, 학습능력, 학습진도, 성취도, 목표 점수 및 목표 대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학습자 정보를 수신하는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설정부는
    상기 학습자 정보에 따른 맞춤형 과목과, 과목별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요일별 또는 주별 목표 학습량, 및 주기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 스케줄을 설정하는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관리부는
    상기 제공되는 수업에 따른 상기 학습 데이터로부터 강의 출석, 학습시간, 달성률, 반복주기 및 교재수행 등의 상기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상기 학습자에 따른 개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되는 수업에 대한 미완료된 강의 또는 교재 발생 시, 상기 미완료된 강의 또는 교재의 특성에 따라 상기 수업을 누적, 삭제 또는 이월하며, 기 설정된 기간을 벗어나는 경우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취약한 과목, 강의, 교재 또는 카테고리를 추출하고, 추출된 취약 부분에 대한 상기 학습 스케줄을 추천하는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요일별, 주별, 월별에 따라 상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능력 및 학습진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상기 학습 스케줄을 추천하는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9.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학습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정보에 맞춤형 과목별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강의 및 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학습 스케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학습 스케줄에 따라 제공되는 수업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학습 데이터에 따른 학습성취도 데이터를 평가하여 상기 학습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학습 스케줄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상기 학습자에게 맞춤형 상기 학습 스케줄을 추천하며, 상기 학습 스케줄에 따른 수업의 추가, 조율, 삭제 및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학습 스케줄 관리 방법.
  11.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143238A 2017-10-31 2017-10-31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69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238A KR20190069629A (ko) 2017-10-31 2017-10-31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238A KR20190069629A (ko) 2017-10-31 2017-10-31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660A Division KR20190107637A (ko) 2019-09-09 2019-09-09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629A true KR20190069629A (ko) 2019-06-20

Family

ID=6710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238A KR20190069629A (ko) 2017-10-31 2017-10-31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962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1126A (zh) * 2020-06-19 2020-10-30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教学计划的评估方法、装置及设备
KR102210649B1 (ko) * 2019-11-15 2021-02-01 박중규 교육 프로그램 진행 시스템 및 방법
CN112632393A (zh) * 2020-12-30 2021-04-09 北京博海迪信息科技有限公司 课程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541960B1 (ko) * 2022-08-29 2023-06-14 박준현 건곤감리 태권도 교육을 위한 순환식 커리큘럼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러한 교육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
KR102572443B1 (ko) * 2022-03-03 2023-09-06 성규종 학생과 교육업체를 연결하는 플랫폼 시스템
WO2024025225A1 (ko) * 2022-07-27 2024-02-01 주식회사 에이블에듀테크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487B1 (ko) 1988-03-29 1998-04-03 고오다 시게루 기어 변속기의 클러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487B1 (ko) 1988-03-29 1998-04-03 고오다 시게루 기어 변속기의 클러치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649B1 (ko) * 2019-11-15 2021-02-01 박중규 교육 프로그램 진행 시스템 및 방법
CN111861126A (zh) * 2020-06-19 2020-10-30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教学计划的评估方法、装置及设备
CN111861126B (zh) * 2020-06-19 2024-01-23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教学计划的评估方法、装置及设备
CN112632393A (zh) * 2020-12-30 2021-04-09 北京博海迪信息科技有限公司 课程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572443B1 (ko) * 2022-03-03 2023-09-06 성규종 학생과 교육업체를 연결하는 플랫폼 시스템
WO2024025225A1 (ko) * 2022-07-27 2024-02-01 주식회사 에이블에듀테크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41960B1 (ko) * 2022-08-29 2023-06-14 박준현 건곤감리 태권도 교육을 위한 순환식 커리큘럼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러한 교육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rshad et al.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enhanced with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KR20190069629A (ko)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khtar et al. The use of an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system for monitoring computer aided design student participation and predicting student success
Khanlari Teachers’ perceptions of the benefits and the challenges of integrating educational robots into primary/elementary curricula
Hotle et al. Effects of the traditional and flipped classrooms on undergraduate student opinions and success
Baydas et al. Influential factors on preservice teachers' intentions to use ICT in future lessons
Cathcart et al. Learner-focused evaluation cycles: Facilitating learning using feedforward, concurrent and feedback evaluation
Fuad et al. Mobile response system: a novel approach to interactive and hands-on activity in the classroom
Parry Big data on campus
KR20190107637A (ko)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385471A1 (en) Assessment-based assignment of remediation and enhancement activities
US11694564B2 (en) Maze training platform
Rompelman et al. The engineering of engineering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from a designer's point of view
Parry College degrees, designed by the numbers
Mothukuri et al. Improvisation of learning experience using learning analytics in eLearning
Li et al. Individual learning vs. interactive learning: A cognitive diagnostic analysis of MOOC students’ learning behaviors
Lacasse et al. Expectations of clinical teachers and faculty regarding development of the CanMEDS-family medicine competencies: Laval developmental benchmarks scale for family medicine residency training
Peterson et al. Lessons from a one-to-one laptop pilot
Lin et al. Test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continuance model on a mandatory SMS-based student response system
Pagano et al. Using systems thinking to evaluate formative feedback in UK higher education: the case of classroom response technology
Xu et al. System design of Pintrich's SRL in a supervised-PLE platform: a pilot test in higher education
Alvarado et al. Teaching simulation to generation Z engineering students: lessons learned from a flipped classroom pilot study
Ziegenfuss et al. Beyond the Click: Rethinking Assessment of an Adult Professional Development MOOC.
Vogel et al. Prototyping for internet of things with web technologies: A case on project-based learning using scrum
Peña-Ayala et al. A landscape of learning analytics: An exercise to highlight the nature of an emergent f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