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454A - 다수의 공동을 가진 수축가능한 슬리브와 이 슬리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공동을 가진 수축가능한 슬리브와 이 슬리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454A
KR20190069454A KR1020197012444A KR20197012444A KR20190069454A KR 20190069454 A KR20190069454 A KR 20190069454A KR 1020197012444 A KR1020197012444 A KR 1020197012444A KR 20197012444 A KR20197012444 A KR 20197012444A KR 20190069454 A KR20190069454 A KR 20190069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wall
sleeve
yarn
heat shrinkable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누아 로랑
패트릭 토마스
장 미셸 무나로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filed Critical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69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6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43Protective fabrics for elongated members, i.e. sleev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03D15/04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 F16L47/2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using shrink-down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06Heat shrinkable slee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1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rmoplastic; thermoset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1Piped openings (pocke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2Reinforcing materials; Prepreg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복수의 기다란 부재를 서로 이격된 관계로 경로를 정하고 보호하는 직물 슬리브를 제공한다. 상기 직물 슬리브는 상기 직물 슬리브의 양 단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섞어 짜여진 실로 된 단편의 일체식 벽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벽은 상기 양 단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인접한 관형상 벽 부분들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에 의해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 내의 상기 실의 적어도 일부가 열수축가능한 실로 제공되어 있어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은 직경방향으로 확대되어 조립된 제1 상태로부터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에 수용된 상응하는 기다란 부재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수축된 제2 상태로 열수축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수의 공동을 가진 수축가능한 슬리브와 이 슬리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대체로 기다란 부재를 보호하는 직물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직물 슬리브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공동을 가진 수축가능한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와이어, 와이어 하네스, 케이블 그리고 도관과 같은 기다란 부재를 충격과 마모, 유체 영향과 열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기다란 부재를 직물 슬리브와 편물 슬리브에 수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복수의 기다란 부재를 서로 나란하게 경로를 배정하는 경우, 테이프, 타이 스트랩(tie strap) 등을 별개의 슬리브 둘레에 감아서, 한 다발의 별개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 속에 수용된 기다란 부재를 서로 고정된 관계로 유지시키는 것과 같은 방식에 의해서 별개의 슬리브를 서로 고정시키는 것이 보통이다. 이것은 상기 슬리브/기다란 부재를 서로 묶는데는 대체로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될 수 있지만, 상기 슬리브/기다란 부재를 서로 묶기 위해서 가외의 노력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또한, 테이프, 타이 스트랩 등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파손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잠재적으로 별개의 슬리브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타이 스트랩 등이 헐거워지거나 및/또는 보기 흉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다란 부재의 경로를 정하고 보호하는 직물 슬리브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양 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섞어 짜여진 실로 된 단편의 일체식 벽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벽은 상기 양 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인접해 있는 관형상 벽 부분들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에 의해서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상기 관형상 벽 부분 내의 상기 실의 적어도 일부가 열수축가능한 실로 제공되어 있어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이 직경방향으로 확대되어 조립된 제1 상태로부터 각각의 상기 관형상 벽 부분에 수용된 상응하는 기다란 부재의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수축된 제2 상태로 열수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의 각각 또는 일부가 양 단부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위에 놓인 관계/아래에 놓인 관계/서로 나란한 관계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별개의 공동을 가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별개의 공동은 섞어 짜여진 필라멘트로 된 벽에 의해서 서로 분리된 두 개 이상의 별개의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는 복수의 기다란 부재를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고정시키는 별개의 고정 기구(예를 들면, 테이프, 타이 스트랩, 와이어, 끈)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의 기다란 부재를 서로 이격된 관계로 경로를 정하고 보호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를 제공한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양 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날실과 이 날실을 대체로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씨실로 직조된 단편의 일체식 벽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벽은 양 단부 사이에서 서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관형상 벽 부분들이 서로 정확하게 평행한 상태로부터 벗어날 수 있지만, 당업자에 의해서 서로 평행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대체로 인식되도록, 정확하게 평행한 상태로부터 약간 벗어난 상태를 의미한다고 생각된다) 관계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인접한 관형상 벽 부분들은 사이에 놓인 직조된 단일 층 부분에 의해서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사이에 놓인 직조된 단일 층 부분은 상기 씨실과 직조된 복수의 날실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 내의 씨실의 적어도 일부가 열수축가능한 실(상기 열수축가능한 실은 적절한 열원에 노출되면 자신의 길이에 걸쳐서 약 10% 내지 60% 또는 그 이상 수축될 수 있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대체로 알려져 있다)로 제공되어 있어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이 직경방향으로 확대되어 조립된 제1 상태로부터 각각의 상기 관형상 벽 부분에 수용된 상응하는 기다란 부재의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수축된 제2 상태로 열수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 내의 씨실의 전부가 열수축가능한 실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 내의 씨실의 일부가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멀티필라멘트 사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슬리브의 적용 범위(coverage), 부드러움 그리고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날실의 전부가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멀티필라멘트 및/또는 모노필라멘트로 제공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슬리브의 길이가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직물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사용된 물질에 따라서, 상기 슬리브에게 내마모성, 적용 범위, 부드러움, 유연성, 강성과 같은 향상된 물리적인 특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날실이 PET, 나일론, PP, PE, PPS, PEEK, 그리고 노멕스(Nomex)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기다란 부재를 서로 이격된 관계로 경로를 정하고 보호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가 웨프트 니트 스티치(weft knit stitch)로 된 단편의 일체식 벽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벽은 양 단부 사이에서 서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인접한 관형상 벽 부분들은 사이에 놓인 편물식으로 짠 단일 층 부분(intervening knit single layer section)에 의해서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서로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 내의 웨프트 니트 스티치의 적어도 일부가 열수축가능한 실로 형성되어 있어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이 직경방향으로 확대되어 조립된 제1 상태로부터 각각의 상기 관형상 벽 부분에 수용된 상응하는 기다란 부재의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수축된 제2 상태로 열수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 내의 니트 스티치의 적어도 일부가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멀티필라멘트 및/또는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직물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사용된 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내마모성, 적용 범위, 부드러움, 유연성, 강성과 같은 물리적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니트 스티치의 적어도 일부가 PET, 나일론, PP, PE, PPS, PEEK, 그리고 노멕스(Nomex)로 된 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한 직조된 슬리브나 편물식으로 짠 슬리브에서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의 각각 또는 일부가 양 단부 사이에서 서로 위에 놓인 관계/아래에 놓인 관계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별개의 공동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별개의 공동은 상응하는 직조된/편물식으로 짠 벽에 의해서 서로 분할된 두 개 이상의 별개의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기다란 부재를 서로 이격된 관계로 경로를 정하고 보호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슬리브의 양 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날실과 이 날실을 대체로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씨실로 상기 슬리브를 단편의 일체식 벽으로 직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양 단부 사이에서 서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벽을 직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인접한 관형상 벽 부분을 미리 정해진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인접한 관형상 벽 부분들 사이에, 복수의 날실을 포함하는, 사이에 놓인 직물 단일 층 부분을 직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이 직경방향으로 확대되어 조립된 제1 상태로부터 각각의 상기 관형상 벽 부분에 수용된 상응하는 기다란 부재의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수축된 제2 상태로 열수축될 수 있도록,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 내의 씨실의 적어도 일부를 열수축가능한 실로 직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씨실의 전부를 열수축가능한 실로 직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멀티필라멘트 및/또는 모노필라멘트 사를 포함하는 씨실의 일부를 직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날실을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멀티필라멘트 및/또는 모노필라멘트로 직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날실을 PET, 나일론, PP, PE, PPS, PEEK, 그리고 노멕스(Nomex)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직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기다란 부재를 서로 이격된 관계로 경로를 정하고 보호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이 상기 슬리브를 단편의 일체식 벽으로 가로뜨기(weft knitting)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양 단부 사이에서 서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벽을 편물식으로 짜는(knitting) 것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인접한 관형상 벽 부분을 미리 정해진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인접한 관형상 벽 부분들 사이에 단일 층 부분을 편물식으로 짜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이 직경방향으로 확대되어 조립된 제1 상태로부터 각각의 상기 관형상 벽 부분에 수용된 상응하는 기다란 부재의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수축된 제2 상태로 열수축될 수 있도록,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 내의 실의 적어도 일부를 열수축가능한 실로 편물식으로 짜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양 단부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위에 놓인 관계/아래에 놓인 관계/서로 나란한 관계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별개의 공동을 가진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의 각각 또는 일부를 직조하거나 편물식으로 짜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별개의 공동은 두 개 이상의 별개의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례와 최적의 방식의 아래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범위 및 도면을 고려하면 상기 실시형태, 특징 및 장점과 다른 실시형태, 특징 및 장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 될 것이다.
도 1은 열수축되지 않은 확장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관형상의 직조된 슬리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a는 상기 슬리브가 열수축된 수축 상태로 도시된 도 1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직조된 실을 보여주는 도 1의 슬리브의 벽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직조된 실을 보여주는 도 1의 슬리브의 벽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열수축되지 않은 확장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관형상의 편물 슬리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a는 상기 편물 슬리브가 열수축된 수축 상태로 도시된 도 4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5는 열수축되지 않은 확장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슬리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a는 상기 슬리브가 열수축된 수축 상태로 도시된 도 5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6은 열수축되지 않은 확장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슬리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a는 상기 슬리브가 열수축된 수축 상태로 도시된 도 6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7은 열수축되지 않은 확장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슬리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7a는 상기 슬리브가 열수축된 수축 상태로 도시된 도 7과 유사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보다 상세하게 참고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이하에서 슬리브(10)라고 칭하는, 직조된 보호 슬리브로 도시된, 섞어 짜여진 실(멀티필라멘트 및/또는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여, 필라멘트라고도 한다)로 이루어진 일체식 단편 슬리브(monolithic, single piece sleeve)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슬리브(10)는 상기 슬리브(10)의 양 단부(14, 16) 사이에서 길이방향의 축(17)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날실(13)과 이 날실(13)을 대체로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씨실(15)로 직조된 단편의 일체식 벽(12)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10)를 직조하는데 사용된 직조 패턴(weave pattern)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 3에 평직 패턴(plain weave pattern)이 도시되어 있지만,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다. 당업자는 평직(plain), 능직(twill), 수자직(satin), 면수자직(sateen), 바스켓(basket)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직조 패턴의 의미를 이해하고 있으므로, 날실(13)과 씨실(15)이 서로 어떤 방식으로 위아래로 물결모양으로 짜이는지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상기 슬리브(10)는 보호할 복수의 기다란 부재(18)가 양 단부(14, 16) 사이에서 길이방향의 축(17)과 평행한 관계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별개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격리된 관형상 벽 부분(20, 22, 24)의 공동(19, 21, 23)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인접해 있는 관형상 벽 부분(20, 22)은 폭 W1을 가진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single layer intervening section)(26)에 의해서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고정되어 있고, 인접해 있는 관형상 벽 부분(22, 24)은 폭 W2를 가진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28)에 의해서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20, 22, 24) 내의 씨실(15)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열수축가능한 실(heat-shrinkable yarn)로 제공되어 있어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20, 22, 24)은 직경방향으로 확대되어 조립된 제1 상태(도 1)로부터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에 수용된 상응하는 기다란 부재(18)의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수축된 제2 상태(도 1a)로 열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확대된 조립 상태에서는, 와이어, 케이블, 도관 등과 같은 기다란 부재(18)가 확대된 공동(19, 21, 23)을 통하여 쉽게 배치될 수 있지만, 열수축가능한 씨실(15)을 열수축시키면, 상기 기다란 부재는 수축된 공동(19, 21, 23) 내에 유지되어 상기 공동과의 축방향의 상대 이동이 되지 않게 실질적으로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슬리브(10)와 기다란 부재(18)의 비교적 꽉 조이는 축소 외피 조립체(reduced envelop assembly)가 형성된다.
날실(13)은 PET, 나일론, PP, PE, PPS, PEEK, 그리고 노멕스(Nomex) 실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된 멀티필라멘트 및/또는 모노필라멘트로 제공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로 제공되는 경우, 날실(13)의 데니어(denier)가 50 내지 10000의 범위에 걸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1200 데니어의 PET와 같은, 비교적 부피가 큰 멀티필라멘트는 상기 슬리브(10)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충격력을 약화시키는 것을 더욱 촉진시키기 위해서 증가된 로프트(loft)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날실 밀도(warp density), 다시 말해서, 날실(13)의 가닥수는 의도하는 용도에 따라 원하는 대로 조정될 수 있는데, 고밀도는 증가된 내충격성을 제공하지만, "직조된 대로의 조립 상태(as woven assembly state)"로부터 "조립된" 수축 상태로의 직경방향의 수축비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씨실(15)은 전적으로 열수축가능한 실로 제공되어, 상기 벽(12)의 수축비 능력(shrink ratio capacity)을 최대화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열수축가능한 실과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실로 제공되어, 특히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실이 비교적 부피가 큰 멀티필라멘트 사로 제공되면, 상기 벽(12)의 보호 차폐성(protective shielding), 유연성 및 충격 약화성(impact dampening properties)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수축가능한 실과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실은, 제공되는 경우, 모노필라멘트 및/또는 멀티필라멘트 사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열수축가능한 씨실(15)을 열수축시키면, 이차적인 고정 메카니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슬리브(10)와 기다란 부재(18)를 서로 상대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개개의 관형상 벽 부분(20, 22, 24)이 기다란 부재(18)를 조이고 바람직하게는 기다란 부재(18)와 결합되어, 기다란 부재(18)를 상기 슬리브(10)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해서 클램프, 스트랩, 테이프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직조된 벽(12)은 수축되면 밀도가 증가되므로, 무엇보다도, 내충격성, 내마모성, 불침투성과 같은 상기 벽(12)의 보호 특성이 크게 강화된다. 게다가, 관형상 벽 부분(20, 22, 24)이 기다란 부재(18)의 둘레에 긴밀하게 꼭 끼워맞춤(close, snug fit)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리브(10)의 두께와 외측 크기가 최소화되어, 좁은 지역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 슬리브(10)는 단지 한 쌍의 별개의 관형상 벽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용도에 따라, 원하는 갯수 만큼의 별개의 관형상 벽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사이에 놓인 부분(26, 28)을 동일한 갯수의 날실(13)을 가지게 제공하는 것에 의해, 사이에 놓인 부분(26, 28)의 폭(W1, W2)이 동일한 크기로 될 수 있어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20, 22, 24)이 서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될 수 있고, 및/또는 예를 들면, 각각의 사이에 놓인 부분(26, 28)을, 의도한 용도에 맞게 필요에 따라, 다른 갯수의 날실(13)을 가지게 제공하는 것에 의해, 사이에 놓인 부분(26, 28)의 폭(W1, W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르게 될 수 있는 것도 알 수 있고, 이것은,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을 고려하면,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관형상 벽 부분(20, 22, 24)은, 이차적인 고정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서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거나 서로 다른 거리로 이격되거나 간에, 원하는 만큼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10)는, 기다란 부재(18)를, 서로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거나 그렇지 않거나 간에, 단일 슬리브(10)의 사용을 통하여, 정확하게 서로 이격된 관계로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용도에 맞게 특별히 맞춤제작될 수 있다.
도 4 및 도 4a에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이하에서 슬리브(110)라고 칭하는, 일체식 단편 편물 보호 슬리브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4a에서는 유사한 부분을 식별하기 위해서 위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참고 번호에 100을 더한 참고 번호가 사용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110)는 웨프트 스티치(weft stitch)(115)로 짠 단편의 일체식 벽(112)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110)는 보호할 복수의 기다란 부재(118)가 양 단부(114, 116)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별개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격리된 관형상 벽 부분(120, 122, 124)의 공동(119, 121, 123)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인접해 있는 관형상 벽 부분(120, 122)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126)에 의해서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격리된 관계로 고정되어 있고, 인접해 있는 관형상 벽 부분(122, 124)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128)에 의해서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격리된 관계로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120, 122, 124) 내의 웨프트 스티치(115)를 형성하는 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열수축가능한 실로 제공되어 있어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120, 122, 124)은 직경방향으로 확대되어 조립된 제1 상태(도 4)로부터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에 수용된 상응하는 기다란 부재(118)의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수축된 제2 최종 조립 상태(도 4a)로 열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확대된 조립 상태에서는, 와이어, 케이블, 도관 등과 같은 기다란 부재(118)가 확대된 공동(119, 121, 123)을 통하여 쉽게 배치될 수 있지만, 열수축가능한 웨프트 스티치(115)를 열수축시키면, 상기 기다란 부재는 공동(119, 121, 123) 내에 유지되어 실질적으로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슬리브(110)와 기다란 부재(118)의 비교적 꽉 조이는 축소 외피 조립체가 형성된다. 상기 사이에 놓인 부분(126, 128)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사이에 놓인 부분(126, 128) 내에 형성된 웨프트 니트 스티치(weft knit stitch)(115)의 사이즈 및/또는 갯수를 변화시키는 것과 같은 방식에 의해서, 의도한 용도에 맞게 원하는 대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120, 122, 124)의 사이에 뻗어 있는 동일한 폭(W1, W2) 또는 다른 폭(W1, W2)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경우, 기다란 부재(118)를 서로 다르게 이격시키기 위해서, 상기 사이에 놓인 부분(126, 128) 중의 하나는 상기 사이에 놓인 부분(126, 128) 중의 다른 하나보다 많거나 적은 갯수의 웨프트 니트 스티치(115) 및/또는 크거나 작은 웨프트 니트 스티치(115)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5a에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이하에서 슬리브(210)라고 칭하는, 일체식 단편 보호 슬리브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및 도 5a에서는 유사한 부분을 식별하기 위해서 위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참고 번호에 200을 더한 참고 번호가 사용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210)는 상기 벽(12)에 대해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직조된 벽 구조(woven wall structure) 또는 상기 벽(112)에 대해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편물식으로 짜여진 벽 구조(knitted wall structure) 중의 하나를 가지는 단편의 일체식 벽(212)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210)는 보호할 복수의 기다란 부재(218)가 양 단부(214, 216)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별개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220, 220', 222)의 공동(219, 219', 221)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관형상 벽 부분(220, 220')과 관형상 벽 부분(222)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226)에 의해서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고정되어 있고, 바로 인접해 있으며 겹쳐져 있는 관형상 벽 부분(220, 220')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27)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격리되어 있다. 상기 관형상 벽 부분(220, 220', 222)을 형성하는 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열수축가능한 실로 제공되어 있어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220, 220', 222)은 직경방향으로 확대되어 조립된 제1 상태(도 5)로부터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에 수용된 상응하는 기다란 부재(218)의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수축된 제2 상태(도 5a)로 열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확대된 조립 상태에서는, 와이어, 케이블, 도관 등과 같은 기다란 부재(218)가 개개의 공동(219, 219', 221)을 통하여 쉽게 배치될 수 있지만, 열수축가능한 실을 열수축시키면, 상기 기다란 부재는 개개의 격리된 공동(219, 219', 221) 내에 유지되어 실질적으로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슬리브(210)와 기다란 부재(218)의 비교적 꽉 조이는 축소 외피 조립체가 형성된다.
도 6 및 도 6a에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이하에서 슬리브(310)라고 칭하는, 일체식 단편 보호 슬리브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및 도 6a에서는 유사한 부분을 식별하기 위해서 위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참고 번호에 300을 더한 참고 번호가 사용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310)는 상기 벽(12)에 대해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직조된 벽 구조 또는 상기 벽(112)에 대해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편물식으로 짠 벽 구조 중의 하나를 가지는 단편의 일체식 벽(312)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310)는 보호할 복수의 기다란 부재(318)가 양 단부(314, 316)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별개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320, 320', 322, 322', 324, 324')의 공동(319, 319', 321, 321', 323, 323')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관형상 벽 부분(320, 320')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326)에 의해서 관형상 벽 부분(322, 322')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격리된 관계로 고정되어 있고 관형상 벽 부분(322, 322')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328)에 의해서 관형상 벽 부분(324, 324')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격리된 관계로 고정되어 있다. 바로 인접해 있으며 겹쳐져 있는 관형상 벽 부분(320, 320')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327)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고; 바로 인접해 있으며 겹쳐져 있는 관형상 벽 부분(322, 322')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29)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고; 그리고 바로 인접해 있으며 겹쳐져 있는 관형상 벽 부분(324, 324')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31)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관형상 벽 부분(320, 320', 322, 322', 324, 324')을 형성하는 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열수축가능한 실로 제공되어 있어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320, 320', 322, 322', 324, 324')은 직경방향으로 확대되어 조립된 제1 상태(도 6)로부터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에 수용된 상응하는 기다란 부재(318)의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수축된 제2 상태(도 6a)로 열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확대된 조립 상태에서는, 와이어, 케이블, 도관 등과 같은 기다란 부재(318)가 상기 공동(319, 319', 321, 321', 323, 323')을 통하여 쉽게 배치될 수 있지만, 열수축가능한 실을 열수축시키면, 상기 기다란 부재(318)는 상기 공동(319, 319', 321, 321', 323, 323') 내에 유지되어 실질적으로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슬리브(310)와 기다란 부재(318)의 비교적 꽉 조이는 축소 외피 조립체가 형성된다.
도 7 및 도 7a에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이하에서 슬리브(410)라고 칭하는, 일체식 단편 보호 슬리브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및 도 7a에서는 유사한 부분을 식별하기 위해서 위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참고 번호에 400을 더한 참고 번호가 사용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410)는 상기 벽(12)에 대해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직조된 벽 구조 또는 상기 벽(112)에 대해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편물식으로 짠 벽 구조 중의 하나를 가지는 단편의 일체식 벽(412)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410)는 보호할 복수의 기다란 부재(418)가 양 단부(414, 416)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별개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격리된 관형상 벽 부분(420, 422, 422', 422", 424)의 공동(419, 421, 421', 421", 423)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관형상 벽 부분(420)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426)에 의해서 관형상 벽 부분(422, 422', 422")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격리된 관계로 고정되어 있고 관형상 벽 부분(422, 422', 422")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428)에 의해서 관형상 벽 부분(424)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이격되어 격리된 관계로 고정되어 있다. 바로 인접해 있으며 겹쳐져 있는 관형상 벽 부분(422, 422')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429)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고 바로 인접해 있으며 겹쳐져 있는 관형상 벽 부분(422', 422")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429')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관형상 벽 부분(420, 422, 422', 422", 424)을 형성하는 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열수축가능한 실로 제공되어 있어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420, 422, 422', 422", 424)은 직경방향으로 확대되어 조립된 제1 상태(도 7)로부터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에 수용된 상응하는 기다란 부재(418)의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수축된 제2 상태(도 7a)로 열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확대된 조립 상태에서는, 와이어, 케이블, 도관 등과 같은 기다란 부재(418)가 상기 공동(419, 421, 421', 421", 423)을 통하여 쉽게 배치될 수 있지만, 열수축가능한 실을 열수축시키면, 상기 기다란 부재(418)는 상기 공동(419, 421, 421', 421", 423) 내에 유지되어 실질적으로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슬리브(410)와 기다란 부재(418)의 비교적 꽉 조이는 축소 외피 조립체가 형성된다.
명백히, 상기 내용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의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하다. 모든 청구항과 모든 실시례의 모든 특징은 이들 특징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 이들 특징들 서로 간에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결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기술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20)

  1. 기다란 부재의 경로를 정하고 보호하는 직물 슬리브로서,
    상기 슬리브의 양 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섞어 짜여진 실로 된 단편의 일체식 벽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벽이 상기 양 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인접해 있는 관형상 벽 부분들은 사이에 놓인 단일 층 부분에 의해서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고정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관형상 벽 부분 내의 상기 실의 적어도 일부가 열수축가능한 실이어서, 각각의 상기 관형상 벽 부분이 직경방향으로 확대되어 조립된 제1 상태로부터 각각의 상기 관형상 벽 부분에 수용된 상응하는 기다란 부재의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수축된 제2 상태로 열수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이 상기 슬리브의 양 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날실과 이 날실을 대체로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씨실로 직조되어 있고, 상기 씨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열수축가능한 실로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씨실의 전부가 열수축가능한 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씨실이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멀티필라멘트 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실이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멀티필라멘트 및/또는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실의 전부가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멀티필라멘트 및/또는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양 단부 사이에서 서로 나란한 관계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별개의 공동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별개의 공동이 상기 섞어 짜여진 실로 된 벽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이 웨프트 니트 스티치로 된 웨프트 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 내의 웨프트 니트 스티치의 적어도 일부가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10.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 내의 웨프트 니트 스티치의 전부가가 열수축가능한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11. 복수의 기다란 부재를 서로 이격된 관계로 경로를 정하고 보호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으로서,
    단편의 일체식 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실을 섞어짜는 것;
    양 단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벽을 형성하는 것;
    인접한 관형상 벽 부분들을 서로 측면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인접한 관형상 벽 부분들의 사이에 단일 층 부분을 형성하는 것; 그리고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이 직경방향으로 확대되어 조립된 제1 상태로부터 각각의 상기 관형상 벽 부분에 수용된 상응하는 기다란 부재의 둘레에 직경방향으로 수축된 제2 상태로 열수축될 수 있도록,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 내의 실의 적어도 일부를 열수축가능한 실로 섞어짜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양 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날실과 이 날실을 대체로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씨실로 직조하는 것에 의해서 섞어짜기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씨실의 전부를 열수축가능한 실로 직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멀티필라멘트 사를 포함하는 씨실을 직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날실을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실로 직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가로뜨기 방법으로 섞어짜기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 내의 니트 스티치의 적어도 일부를 열수축가능하지 않은 실로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관형상 벽 부분 내의 니트 스티치의 각각을 열수축가능한 실로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양 단부 사이에서 서로 나란한 관계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별개의 공동을 포함하는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관형상 벽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별개의 공동을 섞어 짜여진 실로 된 벽에 의해서 서로 분리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다란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KR1020197012444A 2016-10-28 2017-10-30 다수의 공동을 가진 수축가능한 슬리브와 이 슬리브의 제조 방법 KR201900694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4518P 2016-10-28 2016-10-28
US62/414,518 2016-10-28
US15/796,333 2017-10-27
US15/796,333 US10393307B2 (en) 2016-10-28 2017-10-27 Multi-cavity, shrinkab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PCT/US2017/058927 WO2018081669A1 (en) 2016-10-28 2017-10-30 Multi-cavity, shrinkab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454A true KR20190069454A (ko) 2019-06-19

Family

ID=6202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444A KR20190069454A (ko) 2016-10-28 2017-10-30 다수의 공동을 가진 수축가능한 슬리브와 이 슬리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93307B2 (ko)
EP (1) EP3533122B1 (ko)
JP (1) JP7109434B2 (ko)
KR (1) KR20190069454A (ko)
CN (1) CN109937513B (ko)
WO (1) WO2018081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151396U (zh) * 2018-12-20 2020-07-31 美利肯公司 多空腔内导管结构体
KR20210139442A (ko) * 2019-03-26 2021-11-22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가요성 내마모성 직물 슬리브 및 그 제작 방법
EP4028589A1 (en) 2019-09-10 2022-07-20 Federal-Mogul Powertrain LLC Corrugated woven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1401631B2 (en) * 2019-10-28 2022-08-02 Federal-Mogul Powertrain Llc Impact resistant, wrappable multilayered woven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1643758B2 (en) 2020-03-13 2023-05-09 Shenzhen Jdd Tech New Material Co., Ltd. Protective tub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4881A (en) 1981-03-24 1983-02-22 Eaton Corporation Heat recoverable connector
GB8423219D0 (en) 1984-09-14 1984-10-17 Raychem Ltd Shaped woven fabrics
DE4020931C2 (de) 1990-06-30 1994-01-27 Stewing Nachrichtentechnik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wärmerückstellbaren Werkstoffbahn
BR9710852A (pt) * 1996-06-18 1999-08-17 Raychem Ltd Prote-Æo contra a abrasÆo
US5843542A (en) * 1997-11-10 1998-12-01 Bentley-Harris Inc. Woven fabric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nd conformability
BR0212239A (pt) * 2001-08-31 2004-10-26 Federal Mogul Powertrain Inc Portador flexìvel, e, método para fazer o mesmo
WO2008145766A1 (es) 2007-05-28 2008-12-04 Relats, S. A. Funda protectora termorretráctil
JP2012082529A (ja) * 2008-12-27 2012-04-26 Seiren Co Ltd 被覆保護材
WO2010144653A2 (en) * 2009-06-11 2010-12-16 Federal-Mogul Powertrain, Inc. Flexible, abrasion resistant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0132012B2 (en) * 2013-03-14 2018-11-20 Federal-Mogul Powertrain Llc End-fray resistant heat-shrinkable woven sleeve, assembly therewith and methods of construction thereof
GB201420029D0 (en) 2014-11-11 2014-12-24 Marathon Belting Ltd A protective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33773A (ja) 2019-11-21
EP3533122B1 (en) 2022-02-16
CN109937513A (zh) 2019-06-25
JP7109434B2 (ja) 2022-07-29
US10393307B2 (en) 2019-08-27
CN109937513B (zh) 2020-11-27
WO2018081669A1 (en) 2018-05-03
US20180119869A1 (en) 2018-05-03
EP3533122A1 (en)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2015B2 (en) Non-kinking wrappable knit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0196766B2 (en) Non-kinking self-wrapping woven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20190069454A (ko) 다수의 공동을 가진 수축가능한 슬리브와 이 슬리브의 제조 방법
EP2250304B1 (en) Protective textile sleeve having high edge abrasion resistance and method of construction
CN109844196B (zh) 抗冲击、可收缩的编织管状套筒及其构造方法
CN109863657B (zh) 抗冲击、可收缩的编织的管状套筒及其构造方法
US11168415B2 (en) Circumferentially continuous and constrictable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111742090B (zh) 耐冲击的管状纺织套筒及其构造方法
CN113710839A (zh) 柔性抗磨损的编织套管及其构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