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225A -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225A
KR20190069225A KR1020170169731A KR20170169731A KR20190069225A KR 20190069225 A KR20190069225 A KR 20190069225A KR 1020170169731 A KR1020170169731 A KR 1020170169731A KR 20170169731 A KR20170169731 A KR 20170169731A KR 20190069225 A KR20190069225 A KR 20190069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handle
clamp
fastening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6101B1 (ko
Inventor
문성원
Original Assignee
문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원 filed Critical 문성원
Priority to KR1020170169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1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2011/005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가 내리면 신속하게 설치하여 주행을 속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견고하게 설치되어 임의로 꺾이거나 또는 접히지 않도록 하여 빠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차양장치의 장착부를 핸들의 분기점에서 3방향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자전거의 핸들에서 견고하게 직립될 수 있도록 하고, 차양부를 비대칭으로 구현하여 운전자는 물론 뒤에 동승한 동승자 또한 비에 젖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the apparatus of blocking off sunshine and rain forbicycles}
본 발명은 자전거용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가 내리면 신속하게 설치하여 주행을 속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견고하게 설치되어 주행중 임의로 꺾이거나 또는 접히지 않도록 하여 차양이 펼쳐진 상태에서 빠른 주행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근거리를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이동 도중에 비가 내리거나 따가운 햇살과 비를 피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따가운 햇살은 빠르게 달리면서 시원함을 느낄 수 있지만 내리는 비나 눈은 피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행중에 비를 피할 수 있을 경우에는 잠시 멈추고 피할 수 있지만 자전거를 대부분 야외에서 타는 점을 감안하면 비나 눈에는 속수무책인 것이다.
따라서 우산을 휴대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한손으로 우산을 들고 한손으로 핸들로 방향을 조절한다는 것이 자전거의 구조상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 자전거의 핸들을 양손으로 잡고 타면서도 비나 눈은 물론 햇살도 피할 수 있는 자전거용 차양장치(등록특허 10-0774974)가 개시된 바 있다.
그 구조는 비를 차단하는 우산형상의 차양부와, 상기 차양부를 운전자의 상단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자전거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장착부가 구비된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차양장치의 지지프레임은 자전거를 주행하는 동안 운전자를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비를 막아줄 수 있도록 운전자의 뒤편에 설치되는데 상기 차양장치의 큰 사이즈로 인하여 별도로 휴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가 내리지 않을 때에도 차양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자전거를 타게 되는데, 이럴 경우 차양장치의 무게로 인해 주행이 불편하여 차양장치를 탈거시킨 후 주행하게 됨으로써 급작스럽게 비가 내릴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휴대가 용이한 자전거용 우산(등록실용 20-0410945)이 개시된 바 있다.
그 구조는 우산대를 다수개로 형성하여 힌지에 의해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콤팩트한 사이즈로 이루도록 하여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통에 넣어 휴대하고, 비가 내리면 휴대중이던 자전거용 우산을 핸들에 설치하여 비 맞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휴대의 용이성을 위한 자전거용 우산은 절첩구조가 단순 연결나사에 의해 힌지 구조로 이루어져 자전거의 속도가 조금만 빨라져도 바람에 의해 쉽게 접히면서 비를 맞게 되어 실질적으로 운전자는 우산대를 잡은 상태로 주행을 하거나 또는 아주 천천히 주행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그 구조의 특성상 자전거용 우산이 뒷좌석에 동승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자전거용 우산을 보관통에 수납할 수 있도록, 짧아진 우산대로 인하여 핸들바에 설치되는데 이때 단순 고정나사의 조임에 의해 설치됨으로써 그 설치된 부분으로 빗물이 스며들 경우 저하된 마찰력으로 인하여 자전거용 우산은 바람에 의해 쉽게 젖혀지게 됨은 물론 좁아진 차양부로 인하여 동승한 동승자는 비에 젖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하도록 콤팩트해진 차양장치를 자전거에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빠른 주행에도 임의로 꺾이거나 접혀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뒷좌석에 동승한 동승자 또한 비에 젖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양장치가 자전거에 탈부착될 때 장착부가 핸들의 분기점에서 3방향을 감싸도록 설치되면서 직립도록 하고, 동시에 직립되었을 때에는 치차에 치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선회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자전거의 핸들에서 견고하게 직립될 수 있도록 하고, 차양부를 후방으로 연장된 비대칭으로 구현하여 운전자는 물론 뒤에 동승한 동승자 또한 비에 젖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급작스럽게 비가 내릴 때 휴대중이던 차양부가 구비된 직립대를 자전거의 핸들에 미연에 장착된 클램프로 인하여 신속하게 설치하여 주행을 속행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클램프가 핸들을 분기점을 감싸면서 직립되게 설치됨에 따라 차양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빠르게 주행할 경우에도 직립대가 임의로 꺾이거나 접혀지지 않고,
또한, 상기 차양부는 후방향으로 연장된 비대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는 물론 뒤에 동승한 동승자 또한 비에 젖지 않게 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우산 겸용 자전거 우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전거용 차양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양장치가 자전거에 설치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양장치의 분해도.
도 5는 클램프의 분해도.
도 6a 및 도 6d는 클램프가 핸들에 설치되는 상태도.
도 7은 자전거 핸들에 클램프가 설치된 사시도.
도 8은 자전거에 설치된 클램프에 직립대가 결합되는 상태도.
도 9는 차양부의 사시도.
도 10은 차양부의 단면도.
도 11은 고정캡과 고정체 사이로 방수천이 구비되는 분해도.
도 12는 차양부의 평면도.
도 13은 차양부가 접혀지는 측면도.
도 14는 관절구의 분해도.
도 15는 관절구에 의해 직립대가 각도조절되는 상태도.
도 16은 관절구에 스프링이 구비되는 또 다른 일 실시 예.
도 17은 관절구의 스프링에 의해 직립대가 각도조절되는 상태도.
도 18은 차양장치가 자전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양장치(1)는 필요에 따라서 햇빛 또는 내리는 비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면서도 안전하게 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햇빛이나 비를 차단할 수 있도록 일정면적을 갖는 우산형태의 차양부(20)와, 상기 차양부(20)를 운전자의 상단에 위치토록 일정길이를 갖는 직립대(30)와 상기 직립대(30)를 자전거(2)의 핸들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클램프(1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클램프(10)는 핸들의 분기점 즉, 핸들바(2a)와 핸들스템(2b)이 연결된 "T"자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핸들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여 차양장치(1)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클램프(10)는 핸들의 분기점의 3방향을 감쌀 수 있도록 "Y"자 형상의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선단 양측으로 힌지축에 의해 절첩되는 제1조립구(12)와, 후단 밑면으로 조립되는 "U"자 형상의 제2조립구(13)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제1조립구(12)와 제2조립구(13)는 조립나사(17)에 의해 바디(11)에 조립되는 것으로써 핸들에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바디(11)의 상면에는 직립대(30)의 체결구(32)가 결합되는 체결돌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32)와 체결돌부(14)에는 동일축상의 고정홀과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과 관통홀에 고정볼트(40)가 체결됨으로써 체결구(32)와 체결돌부(14)를 견고히 연결토록 한 것이다.
또한, 직립대(30)는 고정볼트(40)를 축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하여 차양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구(32)와 체결돌부(14)가 서로 맞닿는 면에는 각각 치차가 형성되고, 상기 치차는 고정볼트(40)의 조임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합되도록 하여 직립대(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선회되거나, 조절된 상태에서는 임의로 선회되지 않게 고정토록 한 것이다.
또한, 체결구(32)의 하단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체결돌부(14)가 체결구(3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고정볼트(40)의 조임에 의해 체결돌부(14)의 양측면을 잡아주도록 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토록 한 것이다.
또한, 클램프(10)가 장착되는 핸들에 완충제(18)를 더 구비하여 완충제(18)의 외측으로 클램프(10)가 장착되거나 탈착될 때 흠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차양부(20)는 직립대(3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직립대(30)의 샤프트(31) 상단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캡(22)과, 상기 고정캡(22)의 외주연으로 다수 개의 리브살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리브살(24)은 고정캡(22)의 하단에 위치된 직립대(30)의 샤프트(31)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체(27)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브살(24)의 외측으로 바수천(21)이 구비되고, 상기 리브살(24)이 펴졌을 때 우산의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햇빛이나 비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방수천(21)의 중앙을 고정캡(22)에 고정하여 임의로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캡(22)의 상면에 위치된 방수천(21)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방수천(21)의 외측에서 고정체(23)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캡(22)과 체결됨으로써 방수천(21)을 견고히 고정토록 한 것이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방수천(21)의 중앙에 개구홀(21a)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21a)을 통해 고정체(23)의 축이 삽입되어 고정캡(22)의 중앙홀에 체결되어 방수천(21)을 고정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축의 외면과 중앙홀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브살(24)은 지지살(25)에 의해 이동체(27)와 연동되어 밀리거나 당겨지게 되면서 차양부를 펼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리브살(24)의 개수는 우산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참고하여 상기 차양부(20)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일단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직립대(30)의 샤프트(31) 상단에 고정캡(22)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샤프트(31)의 끝 부분을 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샤프트(31)가 관체로 제작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끝 부분이 날카로워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고정캡(22)이 샤프트(31)의 상단을 커버하여 안전사고는 물론 방수천이 찢어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고정캡(22)의 외주연으로 후렌지가 형성되고, 상기 후렌지에는 다수개의 리브살(24)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선회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방수천(21)이 고정되어 리브살(24)의 접힘에 따라 방수천(24)이 펴지거나 접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리브살(24)은 샤프트(31)에 구비된 이동체(27)의 이동에 따라 펴지거나 접혀지도록 한 것으로써, 이동체(27)가 샤프트의 상측으로 이동할 때 리브살(24)은 지지살(25)에 의해 밀려 올라가면서 펼쳐지고, 하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지지살(25)에 의해 리브살(24)이 당겨지면서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동체(27)의 이동에 따라 접히거나 펴질 수 있는 다양한 구조들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살(24)은 1단리브살(24a)과 2단리브살(24b)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차양부(20)의 후방은 1단리브살(24a)과 2단리브살(24b)이 절첩가능하게 다단 연결되어 리브살(24)이 활짝 펴졌을 때 상부에서 내려다본 차양부(20)는 비대칭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때, 2단리브살(24b)은 샤프트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체(27)에 의해 펴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1단리브살(24a)과 연결된 지지살(25)에는 2단리브살(24b)과 연결된 보조살(26)이 구비된 것이다.
이때, 2단리브살(24b)과 연결된 보조살(26)의 끝단에는 링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에 의해 1단리브살(24a)이 직립대(30)와 밀착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접혀질 때 2단리브살(24b)은 외측방향으로 밀리면서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샤프트(31)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핀(36)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핀(36)은 탄성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샤프트(31)의 내측으로 내입되는 것이다.
이때, 돌출핀(36)의 하변은 만곡되거나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변은 수평을 이루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돌출핀은 경사변에 의해 차양부(20)를 펼칠 때에는 이동체가 샤프트의 상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자동으로 눌려지면서 샤프트(31) 내측으로 내입되고, 이동체(27)가 완전히 돌출핀(36)의 상측으로 이동된 이후에는 돌출핀은 탄성부재에 의해 다시 돌출됨으로써 이동체(27)의 밑단을 받침되도록 하여 차양부(20)는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동체(27)를 받치고 있는 돌출핀(36)을 인위적으로 가압하여 샤프트(31) 내측으로 내입되도록 하여 이동체(27)를 샤프트(31)의 하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펼쳐진 차양부(20)를 접혀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직립대(30)는 샤프트(31)의 중단에는 관절구(33)에 의해 절첩될 수 있는 것으로, 보관의 용이성은 물론 차양부(20)의 각도를 더욱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관절구(33)는, 상부관절구(34)와 하부관절구(35)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관절구(34)와 하부관절구(35)는 샤프트(31)의 일단이 결합되는 몸체(34a,35a)와 각도조절을 위한 조절판(34b,35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판(34b,35b)의 측면에는 치차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조절판(34b,35b)은 몸체(34a,35a)의 끝단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접혀진 직립대(30)가 펴질 때 하부관절구(35)의 몸체(35a) 상면과 상부관절구(34)의 몸체(34a) 밑면이 서로 맞닿으면서 직립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부관절구(34)와 하부관절구(35)의 조절판(34b,35b)의 중심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는 고정볼트(40)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볼트(40)를 축으로 상부관절구(34)는 선회되면서 보관을 위하여 접거나 내리는 비 방향에 맞춰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절구(33)의 조절판(34b,35b)의 측면에 형성된 치차는 고정볼트(40)의 조임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합되면서 관절구(3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선회되거나 조절된 상태에서는 임의로 선회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관절구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고정볼트는 관절구가 선회될 수 있을 정도로 살짝 풀린 상태에서 하부관절구의 치차와 상부관절구의 치차가 치합된 상태는 유지되도록 하여 인위적인 힘이 작용될 경우에만 치합된 치차가 서로 이격되어 선회되도록 하고, 가해진 힘을 제거할 경우 이격된 치차가 자동적으로 치합될 수 있도록 고정볼트의 헤드와 상부관절구의 조절판 사이로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급작스럽게 비가 내릴 경우에 휴대중이던 차양장치를 신속하게 설치하여 주행을 속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빠르게 주행할 경우에도 임의로 꺾이거나 접혀지지 않도록 하고, 운전자는 물론 뒤에 동승한 동승자 또한 비에 젖지 않게 된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차양장치 2:자전거
2a:핸들바 2b:핸들스템
10:클램프 11:바디
12:제1조립구 13:제2조립구
14:체결돌부 15:고정홀
16:치차 17:조립나사
18:완충제
20:차양부 21:방수천
21a:개구홀 22:고정캡
23:고정체 24:리브살
24a:1단리브살 24b:2단리브살
25:지자살 26:보조살
27:이동체
30:직립대 31:샤프트
32:체결구 33:관절구
34:상부관절구 35:하부관절구
34a,35a:몸체 34b,35b:조절판
36:돌출핀
40:고정볼트

Claims (15)

  1. 햇빛이나 비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면서도 자전거를 안전하게 탈 수 있도록 한 자전거용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양장치는 일정면적을 갖는 우산 형태의 차양부와, 상기 차양부를 운전자의 상단에 위치토록 일정길이를 갖는 직립대와, 상기 직립대를 자전거의 핸들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클램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램프는 핸들의 분기점인 핸들바와 핸들스템이 연결된 "T"자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핸들과 결합되어 견고히 직립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핸들의 분기점의 3방향을 감쌀 수 있도록 "Y"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Y"자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선단 양측으로 힌지축에 의해 절첩되는 제1조립구와, 후단 밑면으로 조립되는 "U"자 형상의 제2조립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면에는 직립대의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와 체결돌부에는 동일축상의 고정홀과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과 관통홀에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체결구와 체결돌부를 연결토록 함으로써 직립대는 고정볼트를 축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선회되면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와 체결돌부가 서로 맞닿는 면에는 각각 치차가 형성되고, 상기 치차는 고정볼트의 조임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합되면서 직립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선회되거나, 조절된 상태에서는 임의로 선회되지 않게 고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하단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체결돌부가 체결구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고정볼트의 조임에 의해 체결돌부의 양측면을 잡아주도록 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클램프가 장착되는 핸들에 완충제를 결합하고, 상기 완충제의 외측으로 클램프를 장착하거나 탈거할 때 흠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차양부는 직립대의 샤프트 상단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의 외주연에는 일정간격으로 선회되는 다수의 리브살이 구비되고, 상기 리브살은 고정캡의 하단에 위치된 직립대의 샤프트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체에 의해 연결된 지지살로 인하여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의 후방의 리브살은 1단리브살과 2단리브살로 이루어지고, 상기 1단리브살의 끝단에 구비된 2단리브살은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리브살이 활짝 펴졌을 때 상부에서 내려다본 차양부는 비대칭형상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브살은 이동체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펴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1단리브살과 연결된 지지살에는 2단리브살과 연결된 보조살이 구비되어 이동체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펴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직립대의 중단에는 관절구가 구비되고, 상기 관절구에 의해 직립대는 절첩되어 차양부의 각도를 더욱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관의 용이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구는, 상부관절구와 하부관절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관절구와 하부관절구는 샤프트의 일단이 결합되는 몸체와 각도조절을 위한 조절판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몸체의 끝단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접혀진 샤프트가 펼쳐질 때 하부관절구의 몸체 상면과 상부관절구의 몸체 밑면이 서로 맞닿으면서 직립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절구와 하부관절구의 조절판이 맞닿는 측면에는 치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치차는 관절구가 선회될 수 있을 정도로 고정볼트가 살짝 풀린 상태에서 치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인위적인 힘이 작용하였을 때만 치합된 치차가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직립대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의 헤드와 상부관절구의 조절판 사이로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뒤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KR1020170169731A 2017-12-11 2017-12-11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KR102456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731A KR102456101B1 (ko) 2017-12-11 2017-12-11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731A KR102456101B1 (ko) 2017-12-11 2017-12-11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225A true KR20190069225A (ko) 2019-06-19
KR102456101B1 KR102456101B1 (ko) 2022-10-19

Family

ID=6710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731A KR102456101B1 (ko) 2017-12-11 2017-12-11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40A (ko) 2019-07-29 2021-02-08 김영준 상단 기울임 우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533U (ko) * 1997-07-31 1999-02-25 김진웅 낚시대 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KR20060021736A (ko) * 2004-09-04 2006-03-08 주식회사 동방테크라인 자전거용 우산 조종대
KR20100033301A (ko) * 2008-09-19 2010-03-29 홍재성 자전거용 우산 장착기
WO2014083024A2 (de) * 2012-11-27 2014-06-05 Henning Schnurr Halterung für ein mobiles kommunikationsgerät
KR20160002728U (ko) * 2015-01-28 2016-08-05 안정호 우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533U (ko) * 1997-07-31 1999-02-25 김진웅 낚시대 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KR20060021736A (ko) * 2004-09-04 2006-03-08 주식회사 동방테크라인 자전거용 우산 조종대
KR20100033301A (ko) * 2008-09-19 2010-03-29 홍재성 자전거용 우산 장착기
WO2014083024A2 (de) * 2012-11-27 2014-06-05 Henning Schnurr Halterung für ein mobiles kommunikationsgerät
KR20160002728U (ko) * 2015-01-28 2016-08-05 안정호 우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40A (ko) 2019-07-29 2021-02-08 김영준 상단 기울임 우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101B1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732B1 (ko) 프리 암 차양막
US4433699A (en) Sunshade
EP3930530B1 (en) Wind-lift-eliminating umbrella
US20130069400A1 (en) Chair canopy
US20100192997A1 (en) Umbrella
CA2397172A1 (en) Canopy tent with automatic umbrella-type collapsible frame
CN114222510A (zh) 关节炎辅助三帆风转伞
US4846524A (en) Frame for fold down top for vehicles
KR20190069225A (ko)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JP3139263U (ja) 自転車用幌装置
KR101407657B1 (ko) 파라솔
KR102290709B1 (ko) 킥보드 및 자전거용 간이 햇빛가리개
KR20180020837A (ko) 스쿠터용 접이식 차양막
KR200408061Y1 (ko) 파라솔 각도조절장치
CN112918594A (zh) 一种多功能雨伞
KR100750509B1 (ko)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
AU724718B3 (en) Car shelter
KR200372047Y1 (ko) 우산 및 양산 고정스탠드
CN215649594U (zh) 一种连接机构、伞骨及多功能篷
JPH0223511Y2 (ko)
CN208264424U (zh) 治具和自行车
CN203078665U (zh) 即调式全天候二轮车用遮护篷
KR102343714B1 (ko) 안전우산
KR200280421Y1 (ko) 자전거용 우산
KR20100097485A (ko) 거치형 파라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