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882A -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882A
KR20190067882A KR1020197014326A KR20197014326A KR20190067882A KR 20190067882 A KR20190067882 A KR 20190067882A KR 1020197014326 A KR1020197014326 A KR 1020197014326A KR 20197014326 A KR20197014326 A KR 20197014326A KR 20190067882 A KR20190067882 A KR 20190067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h resources
control signaling
available
rach
networ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579B1 (ko
Inventor
친이엔 지앙
후아 저우
리엔하이 우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7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4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using feedback from receiver for adjusting OFDM transmission parameters, e.g. transmission tim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한다. 사용자 장비(UE)가 RACH 리소스를 선택한 다음 RACH 리소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며; 제어 시그널링 수신에 따라, 선택된 RA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할 때, UE는 RACH 리소스에 매칭하는 랜덤 액세스 요청을 직접적으로 전송하며; 그리고 선택된 RACH 리소스기 이용 불가할 때, UE는 추가로 기지국의 구성 또는 표시에 따라 RACH 리소스를 선택하고, 특정한 RA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것이 확인되기까지 RACH 리소스에 매칭하는 랜덤 액세스 요청을 전송한다. 이런 식으로, UE의 정상 랜덤 액세스는 보장될 수 있고, 다른 UE들에 대한 간섭은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본 개시내용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리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가 두 개의 듀플렉싱 모드들인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requency division duplexing)(FDD) 및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duplexing)(TDD)을 지원하며, 이들 두 개의 듀플렉싱 모드들은 쌍형(paired) 스펙트럼 및 비쌍형(non-paired) 스펙트럼을 각각 지원한다. TDD 동작에서, 셀이 개개의 캐리어 주파수에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을 시분할 방식으로 성취한다. 상이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흐름 비율에 적응되기 위하여, LTE는 일곱 개의 업링크(uplink) 및/또는 다운링크(downlink)(UL/DL) 구성들을 지원하고, 셀이 선택된 UL/DL 구성을 제1 시스템 정보 블록(SIB1)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에 알린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UL/DL 구성은 비교적 정적이고, UL/DL 구성은, 변경된 트래픽 모델들에 적응되기 위해서, 비교적 긴 시구간들에서만 변경되도록 허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픽 모델들의 동적 변경들에 적응되기 위하여, LTE는 릴리스 12(Rel-12)에서 향상된 간섭 관리 및 트래픽 적응(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eIMTA)을 도입하여, 프레임 기반 UL/DL 동적 구성을 지원한다. 기지국(base station)이, UE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eIMTA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eIMTA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eIMTA-RNTI),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모니터링 시간 및 기준 UL/DL 구성으로 eIMTA를 지원하는 UE(간단히 eIMTA UE라 지칭됨)를 구성한다. eIMTA UE는 eIMTA-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PDCCH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현재 기간에 실제 UL/DL 구성을 학습하고, eIMTA를 지원하지 않는 UE(간단히 비-eIMTA UE라 지칭됨)는 SIB1에 구성되는 UL/DL 구성을 추종한다.
위의 배경 설명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분명하고 완벽한 설명과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한 용이한 이해를 위해서만 제공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위의 기술적 해법은 본 개시내용의 배경에서 설명되어 있다고 해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고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미래의 새로운 라디오(new radio)(NR)의 연구 과정에서,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는 복수의 트래픽 유형들과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들, 이를테면 울트라 신뢰가능 저 레이턴시 통신(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URLLC)을 정의하고, 트래픽 모델들의 동적 변경들에 더 적합하게 될 동적 TDD을 제안하고 통신들에 대한 상이한 트래픽 유형들의 요구들을 충족시킨다. 동적 TDD는 슬롯(또는 미니슬롯 또는 서브슬롯)에 기초하여 UL/DL 송신 방향들을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UL/DL 송신 방향들을 유연하게 구성하기 위한 이러한 방식은 셀에서 정적으로 또는 반정적으로 구성되는 업링크 리소스들의 가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로드캐스트 신호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들 및/또는 다른 채널들을 통해 사전구성되는 정적 또는 반정적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RACH)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포지션들은 다운링크 송신물들 내로 아마도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고, 기지국은, 대응하는 RACH 리소스들 상에서, UE에 의해 송신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수신할 수 없다. UE가 이들 포지션들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여전히 송신하면, 랜덤 액세스 요청은 확실히 실패할 것이고, 가외의 액세스 레이턴시가 아마도 도입될 수 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UE의 업링크 송신물이 아마도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른 UE들과 아마도 간섭할 수 있다.
위의 시나리오들 때문에, 그리고 UE의 정상 랜덤 액세스를 보장하고 다른 UE들에 대한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리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랜덤 액세스 채널(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그 방법은,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선택된 UE에 의한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UE에 의해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가 제공되며, 그 장치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랜덤 액세스 채널(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가 제공되며, 그 장치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부; 및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부를 포함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제3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제4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UE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7 양태에 따르면, 제5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6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UE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8 양태에 따르면,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9 양태에 따르면,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0 양태에 따르면,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또는 UE에서 실행될 때,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또는 UE로 하여금 제2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1 양태에 따르면,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또는 UE로 하여금 제2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장점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방법, 장치 및 시스템으로, UE의 정상 랜덤 액세스는 보장될 수 있고, 다른 UE들에 대한 간섭은 감소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다음의 설명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이 상세히 개시되고,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사용 방식들이 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그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첨부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많은 대체예들, 변형예들 및 동등물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되는 그리고/또는 예시되는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조합하여 또는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 대신 사용될 수 있다.
"포함한다/포함하는/구비한다/구비하는"이란 용어들은 이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블록들, 단계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기 위해 취해지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블록들, 단계들, 컴포넌트들 또는 그것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도면 또는 실시예에서 묘사되는 엘리먼트들 및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도면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묘사되는 엘리먼트들 및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더구나,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여러 도면들의 전체에 걸쳐 대응 부분들에 지정되고 하나를 초과하는 실시예에서 비슷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들을 지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출원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언급하는데 사용된다. 다음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이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의 경우, 다른 첨부 도면들이 발명적 노력을 하는 일 없이 이들 첨부 도면들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도면들 중:
도 1은 TDD eIMTA UL/DL 구성들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동적 TDD에서 RACH 리소스들의 비가용성의 문제의 개략도이며;
도 3은 실시예 1의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의 개략도이며;
도 4a는 프리앰블들만을 송신하는 RACH 리소스들의 일 예이며;
도 4b는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RACH 리소스들의 일 예이며;
도 5a는 정적 또는 반정적 RACH 리소스 세트의 구성의 개략도이며;
도 5b는 정적 또는 반정적 RACH 리소스 세트의 구성의 다른 개략도이며;
도 6은 RACH 리소스 가용성 표시의 개략도이며;
도 7은 RACH 리소스 가용성 표시의 다른 개략도이며;
도 8은 RACH 리소스 가용성 표시의 추가의 개략도이며;
도 9는 RACH 리소스 배정의 개략도이며;
도 10은 RACH 리소스 배정의 다른 개략도이며;
도 11은 RACH 리소스 배정의 추가의 개략도이며;
도 12는 실시예 2의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의 개략도이며;
도 13은 실시예 2에서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UE에 의해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하는 구현예의 개략도이며;
도 14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UE 사이의 정보 교환의 개략도이며;
도 15는 실시예 3의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16은 실시예 4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며;
도 17은 실시예 5의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18은 실시예 5의 제1 결정부의 개략도이며;
도 19는 실시예 6의 UE의 개략도이며; 그리고
도 20은 실시예 7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추가의 양태들과 특징들이 다음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서,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이 개시내용의 원리들이 채용될 수 있는 방법들 중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세히 개시되어 있지만, 그 개시내용이 범위에서 상응하게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된다. 오히려, 본 개시내용은 첨부의 청구항들 내에 드는 모든 변경들, 수정들 및 동등물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들은, 이름들에 관하여 상이한 엘리먼트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되고, 이들 엘리먼트들의 공간적 배열 또는 시간적 순서들을 표시하지 않고, 이들 엘리먼트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및/또는"이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있게 열거된 항들 중 임의의 하나 및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담고있는", "포함하는" 및 "가지는"이란 용어들은 언급된 특징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또는 어셈블리들의 존재를 말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또는 어셈블리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단일 형태들인 "a", 및 "the" 등의 사용에 해당하는 용어들은, 복수 형태들을 포함하고, 넓은 의미에서의 "종류의 ~" 또는 "유형의 ~"로서 이해되어야 하지만,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정의되지 않아야 하고; "the"의 사용에 해당하는 용어는, 그렇지 않다고 명시되지 않는 한, 단일 형태 및 복수 형태 둘 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그렇지 않다고 명시되지 않는 한, "에 따라"라는 용어는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따라"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에 기초하여"라는 용어는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다음의 통신 표준들 중 어느 하나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 및 고속 패킷 액세스(high-speed packet access)(HSPA) 등을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은, 예를 들어, 다음의 통신 규약들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스테이지에서의 통신 규약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1G(세대), 2G, 2.5G, 2.75G, 3G, 4G, 4.5G, 및 5G와 장래의 새로운 라디오(NR) 등, 및/또는 현재 알려지거나 또는 장래에 개발될 다른 통신 규약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단말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비제한적으로 다음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BS),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송신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TRP), 브로드캐스트 송신기, 모바일 관리 엔티티(mobile management entity)(MME), 게이트웨이, 서버,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RNC),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BSC) 등.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노드 B(NodeB 또는 NB), 진화형 노드 B(eNodeB 또는 eNB), 및 5G 기지국(gNB)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더욱이, 그것은 원격 라디오 헤드(remote radio head)(RRH), 원격 라디오 유닛(remote radio unit)(RRU), 릴레이, 또는 저 전력 노드(이를테면 펨토, 및 피코)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이란 용어는 그것의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기지국은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셀"이란 용어는 용어의 맥락에 의존하는 기지국 및/또는 그것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UE)" 또는 "단말 장비(terminal equipment)(TE)"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수신하는 장비를 지칭한다. 사용자 장비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일 수 있고, 이동국(mobile station)(MS), 단말, 가입국(subscriber station)(SS),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AT), 또는 스테이션 등이라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다음의 디바이스들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머신 유형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 랩톱, 무선 전화기, 스마트 셀 폰, 스마트 워치, 및 디지털 카메라 등.
다른 예를 위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 등의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장비는 또한 모니터링 또는 측정을 수행하는 머신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비제한적으로 머신 유형 통신(MTC) 단말, 차량 장착형 통신 단말, 디바이스 간(device to device)(D2D) 단말, 및 사물통신(machine to machine)(M2M) 단말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한다. 사용자 장비(UE)는 RACH 리소스들을 선택하고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다.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상황들에 따르면,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할 때, UE는 RACH 리소스들과 매칭되는 랜덤 액세스 요청을 직접적으로 송신하고;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불가능할 때, UE는 추가로 기지국의 구성 또는 표시에 따라 RACH 리소스들을 선택하고, RA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기까지, UE는 RACH 리소스와 매칭되는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한다. 그런고로, UE의 정상 랜덤 액세스는 보장될 수 있고, 다른 UE들에 대한 간섭은 감소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은 메시지 1(msg1)에 의해 운반될 수 있고, 프리앰블들, 또는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 이를테면 UE_I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이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그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블록 30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랜덤 액세스 채널(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구성되는 RACH 리소스 세트 및/또는 프리앰블 세트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하고, UE는,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기 위해서, 동적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RACH 리소스들을 선택함으로써, 시간 도메인 포지션들의 전체 또는 부분에서 다운링크로서 스케줄링되는 RACH 리소스들에 대해 UE에 의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는 것으로 인한 랜덤 액세스의 실패의 문제를 회피하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UE에 대한 간섭을 회피하며, UE의 정상 랜덤 액세스를 보장하고, 다른 UE들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E의 랜덤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트 신호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들 및/또는 다른 채널들을 통해 RACH 리소스 세트 및/또는 프리앰블 세트를 정적으로 또는 반정적으로 구성하는 바와 같이 RACH 리소스 세트 및/또는 프리앰블 세트를 사전구성할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은 동기화 신호들, 이를테면 일차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PSS) 및/또는 이차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SSS), 새로운 라디오 일차 동기화 신호(new radio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NR-PSS) 및/또는 새로운 라디오 이차 동기화 신호(new radio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NR-SSS)일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트 채널들은, 예를 들어,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 새로운 무선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new radio physical broadcast channel)(NR-PBCH), 새로운 무선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 1(new radio physical broadcast channel 1)(NR-PBCH_1), 및 새로운 무선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 2(new radio physical broadcast channel 2)(NR-PBCH_2) 등일 수 있고; 다른 채널들은, 예를 들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과, 새로운 무선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new radio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NR-PDSCH) 등 일 수 있지만, 실시예는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위의 프리앰블들(또는 프리앰블 세트)과 RACH 리소스들(또는 RACH 리소스 세트) 사이에는 고정 매핑 관계가 있을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프리앰블들(또는 프리앰블 세트)만을 구성할 때, 그것들이 대응하는 RACH 리소스들(또는 RACH 리소스 세트)은 디폴트로 암시적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단일 유형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할 수 있고,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복수의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을 또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은 상이한 시간 길이들 및/또는 주파수-도메인 폭들 및/또는 서브캐리어들의 개수들을 점유할 수 있거나, 상이한 수비학들을 채용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프리앰블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 이를테면 UE_ID 등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a는 프리앰블들을 송신하는 RACH 리소스들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4b는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 이를테면 UE_ID 등을 송신하는 RACH 리소스들의 일 예를 도시하지만, 실시예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구조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은 시간 도메인에서 중첩될 때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 위치된 것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슬롯 기반 자체 포함 구조를 일 예로서 취하면, 셀에서 정적으로/반정적으로 구성되는 RACH 리소스 세트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자체 포함 구조는 단일 리소스 스케줄링 유닛(이를테면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슬롯, 또는 서브슬롯)이 업링크/다운링크 제어 영역들과 데이터 영역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실시예는 자체 포함 구조로 제한되지 않으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자체 포함 구조에서 영역들의 상대 포지션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5a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단일 유형의 RACH 리소스들만을 구성한다.
도 5b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 #0에 대응하는 RACH 리소스들 및 구성 #1에 대응하는 RACH 리소스들과 같은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의 복수의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을 지원 또는 구성할 수 있으며; 구성 #0 및 구성 #1에 기초한 RACH 리소스들의 점유된 서브캐리어들의 시간 길이와 숫자들은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은 아마도 상이한 프리앰블 구성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길이들 또는 상대적으로 적은 점유된 서브캐리어들을 갖는 RACH 리소스들은 상대적으로 짧은 프리앰블 시퀀스들 및/또는 상대적으로 적은 반복 송신 횟수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아마도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위해, 프리앰블들만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그리고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 이를테면 UE_ID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RACH 리소스들은 상이한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대응하며 그리고/또는 상이한 반복 송신 횟수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대응한다. 여기서, 상이한 프리앰블 시퀀스들은, 예를 들어, 상이한 루트 시퀀스들, 순환 시프트 길이, 시퀀스 길이들 등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복수의 심볼들(리소스 스케줄링 유닛의 일부)을 점유하는 RACH 리소스들은 일 예로서 취해진다. 그러나, 실시예는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RACH 리소스들은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또는 복수의 슬롯들(또는 미니슬롯들 또는 서브슬롯들)을 점유하는 것과 같이, 실제 요구되는 바와 같은 복수의 리소스 스케줄링 유닛들을 점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래픽 모델들의 동적 변화들과, 통신들을 위한 상이한 트래픽 유형들의 수요들과 같은 요인들에 적응되기 위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업링크/다운링크 송신 방향들을 아마도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전구성되는 정적 또는 반정적 RACH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포지션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다운링크 송신으로 동적으로 조정되게 하여, RACH 리소스들이 랜덤 액세스 요청들의 송신을 위해 정상적으로 사용될 수 없게 할 수 있다. 블록 301에서, 랜덤하게 액세스될 모든 UE들의 정상 랜덤 액세스를 보장하고 다른 UE들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PDCCH와, NR-PDCCH 같은)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서, RACH 리소스들을 선택한 후, UE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상황(제어 시그널링이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또는 (제어 시그널링이 수신되는 경우에)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어 시그널링"은 집합적 이름이고,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모든 콘텐츠들, 이를테면 신호, 채널, 및 메시지를 포함하며, 다시 말하면,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어 시그널링은, 설명의 편이를 위해, 제어 시그널링으로서 총칭되는 제어 채널 또는 제어 신호 또는 제어 메시지를 또한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랜덤하게 액세스될 위의 UE는 RRC_IDLE, RRC_CONNECTED 상태들에 있을 수 있으며; RRC_CONNECTED 상태는 RRC_ACTIVE 상태와, RRC_INACTIVE 상태 등을 포함한다.
블록 301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구현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함으로써,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표시, 즉, UE가 위의 RACH 리소스 세트에서 비가용 리소스들 이외의 RACH 리소스들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구현의 일 예에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는 송신 구성을 통해 암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송신 구성은, 예를 들어, 송신 방향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RACH 리소스들의 시간 도메인 포지션들의 송신 방향들이 표시된다. 송신 방향 표시 정보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의 RA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UE에 암시적으로 알릴 수 있다. 실시예는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일 예에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는 송신 구성에서의 다른 표시 정보를 통해 암시적으로 또한 표시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송신 방향이 제어 시그널링 포맷, 제어 시그널링 존재, 및 제어 시그널링 콘텐츠 등을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송신 방향 표시 정보는 제어 시그널링 포맷, 제어 시그널링 존재, 및 제어 시그널링 콘텐츠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시간 도메인 포지션이 DCI 포맷 1을 통한 다운링크 송신임을 표시할 수 있고, 대응하는 시간 도메인 포지션이 DCI 포맷 0을 통한 업링크 송신임을 표시할 수 있다. UE에 의해 검출된 제어 시그널링 포맷이 DCI 포맷 1일 때, 대응하는 시간 도메인 포지션이 다운링크 송신이라고 학습할 수 있고, UE는 RACH 리소스 세트에서 다른 시간 도메인 포지션의 RACH 리소스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구현의 다른 예에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는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가 랜덤 액세스 요청으로 송신되는 것이 허용되는지의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이 표시 정보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의 송신을 지원하는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의 RA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UE에 암시적으로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그널링이 랜덤 액세스 요청에서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UE가 검출할 때, UE는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RACH 리소스들이 이용 불가능하고, 프리앰블들을 송신하는 RACH 리소스들만이 재선택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학습할 수 있다.
구현의 추가의 예에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는 RACH 리소스 표시 정보를 통해 명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ACH 리소스들이 RACH 리소스 표시 정보를 통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직접적으로 표시한다.
이 예에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는 제어 시그널링 포맷, 제어 시그널링 존재, 및 제어 시그널링 콘텐츠 등을 통해 비슷하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RACH 리소스 표시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것은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함을 나타낸다. 그리고 RACH 리소스들이 이용 불가능하다고 표시될 때, UE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RACH 리소스 세트에서 다른 RACH 리소스들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구현예를 통해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하는 세 개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슬롯 #1에서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이 시구간 내의 RACH 리소스들이 이용 불가능함을 표시하며, 다시 말해서, 이 시구간 내에 가용 RACH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고, 슬롯 3에서의 RACH 리소스들이 옵션적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슬롯 #1에서 비가용 RACH 리소스들(도 8의 슬롯 #1에서의 상대적으로 긴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하고, 슬롯 #1에서, 이용 가능한 RACH 리소스(도 8의 슬롯 #1에서의 상대적으로 짧은 RACH 리소스)가 존재하고; 슬롯 3에서의 RACH 리소스들이 옵션적이다.
구현예에서, 블록 301은 송신 방향 또는 비가용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실시예는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특정 구현예에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의 RA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는 다른 표시 정보를 통해 암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블록 301의 다른 구현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가용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함으로써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표시한다. 다시 말하면, 일 구현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가용 RACH 리소스들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함으로써,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랜덤하게 액세스될 UE에 의해 사용되어야 하는 RACH 리소스들(배정된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배정된 RACH 리소스들을 UE에 알릴(명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고 RACH 리소스들에 매칭된 프리앰블들을 표시함으로써 RACH 리소스들과 프리앰블들 사이의 대응관계들에 따라 가용 RACH 리소스들을 표시(암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가용 RACH 리소스들은 프리앰블들의 동적 구성 정보에 의해 암시적으로 표시된다. 추가의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요청에서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이 허용되는지의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가용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이 구현예를 통해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하는 세 개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9에서, UE는 사전구성되는 RACH 리소스 세트에서의 다른 RACH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배정되며, 도 10에서, UE는 사전구성되는 RACH 리소스 세트 외부의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도록 배정되고, 도 11에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의 어떤 RACH 리소스의 유형이 사용되는지가 배정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1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슬롯 #3 내의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하며; 그 다음에, 슬롯 #3 내의 RACH 리소스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배정된 RACH 리소스들로서 취해지고, 랜덤하게 액세스될 UE는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함으로써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1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슬롯 #1에서 사전구성되는 RACH 리소스 세트 밖의 상대적으로 짧은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며; 그 다음에, 상대적으로 짧은 RACH 리소스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배정된 RACH 리소스들로서 취해지고, 랜덤하게 액세스될 UE는 그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함으로써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1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상대적으로 긴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하며; 그 다음에, 상대적으로 긴 RACH 리소스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배정된 RACH 리소스들로서 취해지고, 랜덤하게 액세스될 UE는 상대적으로 긴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함으로써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비슷하게, 슬롯 #3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상대적으로 짧은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하며; 그 다음에, 상대적으로 짧은 RACH 리소스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배정된 RACH 리소스들로서 취해지고, 랜덤하게 액세스될 UE는 그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함으로써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사전구성되는 또는 디폴트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전구성되는 또는 디폴트 RACH 리소스들이 가용 RACH 리소스들이라는 것이 암시적으로 표시된다.
구현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배정된 RACH 리소스들과 매칭된 프리앰블들을 추가로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위의 브로드캐스트 신호/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위의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UE가 처음에 선택된 또는 재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UE가 자신에 의해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추가로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런고로, UE는 제어 시그널링이 모니터링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 제어 시그널링이 수신되는지의 여부, 및/또는 제어 시그널링의 콘텐츠들(표시 정보)에 따라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으로, UE의 정상 랜덤 액세스는 보장될 수 있고, 다른 UE들에 대한 간섭은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UE에 적용 가능하고, 실시예 1의 방법에 대응하는 UE 측에서 프로세싱하고 있는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실시예 1의 콘텐츠들과 동일한 콘텐츠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2는 이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블록 1201: UE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며; 그리고
블록 1202: UE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위의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하며, 표시하는 방식은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랜덤하게 액세스될 UE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구성되는 RACH 리소스 세트에서 RACH 리소스들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RACH 리소스 세트 및 그것의 콘텐츠들을 재구성하는 방식에 대해 실시예 1이 참조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블록 1201에서, UE는 기지국의 표시 또는 구성에 따라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결정되면, UE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RACH 리소스들을 직접적으로 사용함으로써 RACH 리소스들에 매칭되는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고;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UE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고,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할 수 있다.
블록 1202에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위의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하므로, UE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은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UE에 의해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하는 구현예의 개략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블록 1301: UE는 제어 시그널링에 따라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다면 블록 1302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블록 1303을 실행하며;
블록 1302: UE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가용 RACH 리소스들이라고 결정하며; 그리고
블록 1303: UE는 RACH 리소스들을 재선택하여,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한다.
구현예에서, 실시예 1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어 시그널링은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또는 가용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함으로써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표시하고, UE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자신에 의해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할 때, UE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직접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리소스들에 매칭되는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불가능할 때, UE는, 선택된 RACH 리소스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할 때까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어 시그널링에 따라 RACH 리소스들을 재선택하고(실시예 1의 도 3의 블록 301), RACH 리소스들에 매칭되는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RACH 리소스들을 재선택한 후, UE는 다시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다시 결정할 수 있고, 도 13의 프로세스는 반복되며, 이는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구현예에서, UE가 RACH 리소스들을 재선택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위의 RACH 리소스 세트에서의 비가용 리소스들 이외의 RACH 리소스들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위의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된 가용 RACH 리소스들을 재선택할, 다시 말하면, 위의 배정된 RACH 리소스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으로, UE의 정상 랜덤 액세스는 보장될 수 있고, 다른 UE들에 대한 간섭은 감소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은 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 및 UE 측에서 각각 설명되어 있다. 도 14는 이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UE 사이의 정보 교환의 개략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블록 140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ACH 리소스 세트 및/또는 프리앰블 세트를 포함하는 RACH 구성을 브로드캐스트하며;
블록 1402: UE는 RACH 리소스들을 선택하며;
블록 1403: UE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그렇다면 블록 1404를 실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블록 1406을 실행하며;
블록 1404: UE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며;
블록 1405: UE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그렇다면 블록 1406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블록 1402로 되돌아가며;
블록 1406: UE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함으로써 RACH 리소스들에 매칭되는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그런고로, UE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할지의 여부에 따라 또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함으로써, UE의 정상 랜덤 액세스를 보장하고, 다른 UE들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이 실시예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들이 실시예 1의 방법의 그것과 유사하므로, 실시예 1의 방법의 구현예는 장치의 구현예에 대해 참조될 수 있으며, 동일한 콘텐츠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5는 이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1500)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표시부(1501)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RACH 리소스 세트 및/또는 프리앰블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방식들은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며, 이는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표시부(1501)는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는 제어 시그널링에서 송신 모드 표시 정보에 의해 암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거나, 또는 제어 시그널링에서 RACH 리소스 표시 정보에 의해 명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거나, 또는 랜덤 액세스 요청에서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는지의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암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는 제어 시그널링에서 다른 정보에 의해 또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표시부(1501)는 가용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함으로써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또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용 RACH 리소스들은 프리앰블들의 동적 구성 정보에 의해 암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표시부(1501)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가용 RACH 리소스들과 매칭되는 프리앰블들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500)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UE가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표시부(15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500)는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단일 유형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거나, 또는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복수의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15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은 상이한 시간 길이들 및/또는 주파수-도메인 폭들 및/또는 서브캐리어들의 개수들을 점유하거나, 또는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이 상이한 수비학들을 채용하거나, 또는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이 상이한 프리앰블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이 상이한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은 상이한 프리앰블 구성들에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부(1503)는 프리앰블 세트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로, UE의 정상 랜덤 액세스는 보장될 수 있고, 다른 UE들에 대한 간섭은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 4
이 실시예는 실시예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15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도 16은 이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600)는 프로세서(1601)와 메모리(16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1602)는 프로세서(1601)에 커플링되어 있다. 메모리(1602)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더욱이, 정보처리를 위한 프로그램(1603)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601)의 제어 하에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UE에 의해 송신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고, 다양한 정보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1500)의 기능들은 프로세서(1601)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1)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601)는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는 제어 시그널링에서 송신 모드 표시 정보에 의해 암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거나, 또는 제어 시그널링에서 RACH 리소스 표시 정보에 의해 명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거나, 또는 랜덤 액세스 요청에서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는지의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암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601)는 가용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함으로써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용 RACH 리소스들은 프리앰블들의 동적 구성 정보에 의해 암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1601)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가용 RACH 리소스들에 매칭하는 프리앰블들을 구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601)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UE가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1500)와 프로세서(1601)는 따로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1500)는 프로세서(1601)에 접속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그것의 기능들은 프로세서(1601)의 제어 하에 실현된다.
더욱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600)는 트랜시버(1604)와, 안테나(1605)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위의 컴포넌트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분야에서의 그것들과 비슷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600)는 도 16에 도시된 모든 부분들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고, 더욱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600)는 도 16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관련 기술이 언급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이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UE의 정상 랜덤 액세스는 보장될 수 있고, 다른 UE들에 대한 간섭은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 5
이 실시예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들이 실시예 2의 방법의 그것과 유사하므로, 실시예 2의 방법의 구현예는 장치의 구현예에 대해 참조될 수 있으며, 동일한 콘텐츠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7은 이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1700)는 모니터링부(1701)와 제1 결정부(1702)를 포함한다.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 모니터링부(1701)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고; 제1 결정부(1702)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한다.
이 실시예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700)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표시 또는 구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판단부(1703)를 포함한다. 제1 판단부(1703)에 의해 예라고 결정될 때,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모니터링부(1701)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다.
이 실시예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700)는, 제1 판단부(1703)에 의해 아니오라고 결정될 때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가용 RACH 리소스들이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부(170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정부(1702)는 제2 판단부(1801), 제3 결정부(1802) 및 선택부(1803)를 포함한다. 제2 판단부(1801)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제3 결정부(1802)는 제2 판단부(1801)에 의해 예라고 결정될 때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가용 RACH 리소스들이라고 결정하고; 선택부(1803)는, 제2 판단부(1801)에 의해 아니오라고 결정될 때, RACH 리소스들을 재선택하여,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한다.
일 구현예에서, 선택부(1803)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RACH 리소스 세트로부터 비가용 RACH 리소스들 이외의 RACH 리소스들을 선택하거나, 또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가용 RACH 리소스들로서 선택한다.
일 구현예에서, 제어 시그널링은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또는 가용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함으로써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로, UE의 정상 랜덤 액세스는 보장될 수 있고, 다른 UE들에 대한 간섭은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 6
이 실시예는 실시예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1700)를 포함하는 UE를 제공한다.
도 19는 이 실시예의 UE(1900)의 개략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900)는 프로세서(1901)와 메모리(19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1902)는 프로세서(1901)에 커플링되어 있다. 이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유형들의 구조들이 이 구조를 보충 또는 대체하고 원거리통신 기능 또는 다른 기능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1700)의 기능들은 프로세서(1901)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901)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고;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901)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표시 또는 구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그것이 예일 때,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고; 그것이 아니오일 때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가용 RACH 리소스들이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901)는 다음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그것이 예일 때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가용 RACH 리소스들이라고 결정하며; 그리고
그것이 아니오일 때,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하기 위해, RACH 리소스들을 재선택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시그널링은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또는 가용 RACH 리소스들을 표시함으로써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901)는 다음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RACH 리소스 세트로부터 비가용 RACH 리소스들 이외의 RACH 리소스들을 선택하거나, 또는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된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가용 RACH 리소스들로서 선택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1700)와 프로세서(1901)는 따로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1700)는 프로세서(1901)에 접속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그것의 기능들은 프로세서(1901)의 제어 하에 실현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900)는 통신 모듈(1903), 입력부(1904), 디스플레이(1905), 및 전력 공급부(19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E(1900)는 도 19에 도시된 모든 부분들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고, 더욱이, UE(1900)는 도 19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관련 기술이 언급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901)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 디바이스들 및/또는 로직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제어기 또는 컨트롤을 때때로 지칭하고, 프로세서(1901)는 입력을 수신하고 UE(1900)의 모든 컴포넌트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902)는, 예를 들어, 버퍼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모바일 매체,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더욱이, 관련 정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901)는 정보 저장 또는 프로세싱 등을 실현하기 위해서, 메모리(190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부분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의 것들과 유사하며, 이는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UE(1900)의 부분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특정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UE로, UE의 정상 랜덤 액세스는 보장될 수 있고, 다른 UE들에 대한 간섭은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 7
이 실시예는 실시예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실시예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UE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20은 이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UE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일 예로서 취해지는 경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20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2001)와 UE(2002)를 포함할 수 있다(단순화를 위해, 도 20은 하나의 UE만을 일 예로서 취하여 설명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장래에 구현될 수 있는 현존 트래픽들 또는 트래픽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2001)와 UE(2002)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트래픽들은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band)(eMBB), 대용량 머신 유형 통신(MTC), 및 울트라 신뢰가능 및 저 레이턴시 통신(URLLC)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UE(2002)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2001)에, 이를테면 허가 없는(grant-free) 송신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2001)는 하나 이상의 UE들(2002)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이를테면 확인응답(ACK)/비확인응답(NACK) 정보)를 UE(2002)에 피드백할 수 있고, 피드백 정보에 따라, UE(2002)는 송신 프로세스를 종료하기로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데이터의 새로운 송신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데이터의 재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으로, UE의 정상 랜덤 액세스는 보장될 수 있고, 다른 UE들에 대한 간섭은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 8
이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S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단일 유형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거나, 또는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복수의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은 상이한 시간 길이들 및/또는 주파수-도메인 폭들 및/또는 서브캐리어들의 개수들을 점유할 수 있거나, 상이한 수비학들을 채용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프리앰블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이를테면 UE_ID)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은 상이한 프리앰블 구성들에 대응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는 방식이 실시예 1에서 상세히 설명되므로, 그 콘텐츠들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의 방법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9
이 실시예는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들이 실시예 8의 방법의 그것과 유사하므로, 실시예 8의 방법의 구현예는 장치의 구현예에 대해 참조될 수 있으며, 동일한 콘텐츠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그 장치는,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단일 유형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거나, 또는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복수의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은 상이한 시간 길이들 및/또는 주파수-도메인 폭들 및/또는 서브캐리어들의 개수들을 점유할 수 있거나, 상이한 수비학들을 채용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프리앰블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이를테면 UE_ID)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은 상이한 프리앰블 구성들에 대응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는 방식이 실시예 1에서 상세히 설명되므로, 그 콘텐츠들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의 장치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10
이 실시예는 실시예 9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이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위의 장치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와 조합되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프로그램이 로직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로직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 또는 컴포넌트들을 수행하게 하거나, 또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들 또는 블록들을 수행하게 하는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 DVD, 및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위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방법/장치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그것들의 조합으로서 직접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도들 및/또는 기능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들(이를테면 제1 표시부)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절차들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에 대응하거나, 또는 하드웨어 모듈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도 3에 도시된 블록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하드웨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를 사용하여 소프트 모듈들을 고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및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ROM,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형태의 임의의 메모리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메모리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 있어서, 프로세서는 메모리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정보를 메모리 매체에 기입할 수 있거나; 또는 메모리 매체는 프로세서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 매체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위치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모바일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플러그가능 모바일 단말의 메모리 카드에 또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비(이를테면 모바일 단말)가 비교적 대용량의 MEGA-SIM 카드 또는 대용량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를 채용하면, 소프트 모듈들은 MEGA-SIM 카드 또는 대용량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첨부 도면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기능성 블록들 및/또는 기능성 블록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들은 본 출원서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유니버셜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들,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들로서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첨부 도면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도들 및/또는 기능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들은 컴퓨팅 장비의 조합, 이를테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프로세서들, DSP와 통신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또한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되지는 않았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개조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따라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개조들 및 수정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속한다.
위의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의 구현예들의 경우, 다음의 보충예들이 추가로 개시된다.
보충예 1.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단일 유형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거나, 또는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복수의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보충예 2. 보충예 1에 있어서,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은 상이한 시간 길이들 및/또는 주파수-도메인 폭들 및/또는 서브캐리어들의 개수들을 점유하거나, 또는 상이한 수비학들을 채용하거나, 또는 상이한 프리앰블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이한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보충예 3. 보충예 1에 있어서,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은 상이한 프리앰블 구성들에 대응하는, 방법.
보충예 4.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단일 유형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거나, 또는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복수의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를 포함하는, 장치.
보충예 5. 보충예 4에 있어서,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은 상이한 시간 길이들 및/또는 주파수-도메인 폭들 및/또는 서브캐리어들의 개수들을 점유하거나, 또는 상이한 수비학들을 채용하거나, 또는 상이한 프리앰블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이한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보충예 6. 보충예 4에 있어서,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은 상이한 프리앰블 구성들에 대응하는, 장치.
보충예 7.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보충예 4 내지 6 중 어느 한 보충예에 기재된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Claims (17)

  1.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로서,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랜덤 액세스 채널(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표시부를 포함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RACH 리소스들의 상기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표시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는 상기 제어 시그널링에서 송신 구성에 의해 암시적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제어 시그널링에서 RACH 리소스 표시 정보에 의해 명시적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랜덤 액세스 요청에서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는지의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암시적으로 표시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가용 RACH 리소스들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RACH 리소스들의 상기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표시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RACH 리소스들은 프리앰블들의 동적 구성 정보에 의해 암시적으로 표시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가용 RACH 리소스들과 매칭하는 프리앰블들을 추가로 구성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UE가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단일 유형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거나, 또는 동일한 시간 도메인 포지션에서 복수의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이 상이한 시간 길이들 및/또는 주파수-도메인 폭들 및/또는 서브캐리어들의 개수들을 점유하거나, 또는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이 상이한 수비학들을 채용하거나, 또는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이 상이한 프리앰블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이 상이한 프리앰블들 및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이한 유형들의 RACH 리소스들이 상이한 프리앰블 구성들에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11.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로서,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상기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부를 포함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RACH 리소스들의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표시 또는 구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판단부에 의해 예라고 결정될 때,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을 사용하기 전에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선택된 RACH 리소스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판단부에 의해 아니오라고 결정될 때 상기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가용 RACH 리소스들이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부는,
    상기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판단부;
    상기 제2 판단부에 의해 예라고 결정될 때 상기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가용 RACH 리소스들이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4 결정부; 및
    상기 제2 판단부에 의해 아니오라고 결정될 때,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결정하기 위해, RACH 리소스들을 재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RACH 리소스 세트로부터 비가용 RACH 리소스들 이외의 RACH 리소스들을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가용 RACH 리소스들을 가용 RACH 리소스들로서 선택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선택된 RACH 리소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또는 상기 가용 RACH 리소스들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RACH 리소스들의 상기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표시하는,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
  17. 통신 시스템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UE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업링크 송신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97014326A 2016-12-23 2016-12-23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102198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111799 WO2018112918A1 (zh) 2016-12-23 2016-12-23 上行传输控制方法及其装置、通信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882A true KR20190067882A (ko) 2019-06-17
KR102198579B1 KR102198579B1 (ko) 2021-01-06

Family

ID=6262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326A KR102198579B1 (ko) 2016-12-23 2016-12-23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34523B2 (ko)
EP (1) EP3562229B1 (ko)
JP (1) JP6988894B2 (ko)
KR (1) KR102198579B1 (ko)
CN (1) CN109891965B (ko)
MX (1) MX2019007085A (ko)
WO (1) WO20181129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745A1 (en) * 2016-11-28 2018-05-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two or more preambles per rach attempt
CN108391313B (zh) * 2017-02-03 2022-11-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资源的指示方法、基站及终端
EP3406100B1 (en) * 2017-03-24 2023-05-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386856B2 (ja) * 2018-11-02 2023-11-27 富士通株式会社 ランダムアクセス構成方法、信号送信方法、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20200288506A1 (en) * 2019-02-15 2020-09-1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co-existence between 2-step random access and 4-step random access
CN112087762B (zh) * 2019-06-12 2022-11-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及装置
JP7226123B2 (ja) * 2019-06-19 2023-02-21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21164544A1 (en) * 2020-02-17 2021-08-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e and network device
WO2021258364A1 (zh) * 2020-06-24 2021-12-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户直连通信方法及装置、用户设备、存储介质
CN116889074A (zh) * 2021-03-24 2023-10-13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随机接入处理方法以及用户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1463A (ja) * 2009-08-06 2013-01-10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ンダムアクセスチャネル構成の動的な選択
KR20140141575A (ko) * 2012-02-29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이중(half duplex)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과 관련된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50016312A1 (en) * 2013-07-10 2015-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age enhancement for a random access process
KR20150113187A (ko) * 2013-02-05 2015-10-07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통신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50358138A1 (en) * 2013-08-09 2015-12-10 Mediatek Inc. 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UL Control Channels in Adaptive TDD Systems
CN105682232A (zh) * 2016-01-08 2016-06-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资源配置方法、资源配置装置和基站
JP2016536866A (ja) * 2013-10-10 2016-11-2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上りリンク送信リソースを管理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43727A (zh) * 2007-06-20 2010-06-16 诺基亚公司 提供rach响应的有效信令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存储介质
CN102612162B (zh) * 2008-01-07 2015-09-09 三星电子株式会社 传输随机接入前导信号的设备和方法
CN101547510B (zh) * 2008-03-25 2010-08-25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及系统
CN101841922B (zh) * 2009-03-16 2015-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选择随机接入资源的方法及终端
KR102451341B1 (ko) * 2012-09-26 2022-10-06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동적 tdd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위한 방법들
US9794803B2 (en) 2013-01-18 2017-10-17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s of dynamic TDD configurations
JP6425891B2 (ja) * 2014-01-14 2018-11-21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5117275A1 (en) * 2014-02-10 2015-08-13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into dynamic tdd ul/dl configuration enabled cells and/or comp cells
EP3110034B1 (en) * 2014-02-18 2019-06-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receiving signals using user-specific flexible tdd technolo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9775071B2 (en) * 2014-02-24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TDD configurations and eIMTA in LTE
US9867187B2 (en) * 2014-08-04 2018-01-0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figuring uplink channel transmissions using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9999053B2 (en) * 2014-11-25 2018-06-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resources of random access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67606A1 (ko) * 2015-04-15 2016-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피드백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6453182B (zh) * 2015-08-07 2020-06-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前导发送方法和装置
US20180263059A1 (en) * 2015-09-18 2018-09-1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resources
US20180368105A1 (en) * 2015-12-08 2018-12-2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utonomous Determination of Uplink Resources by User Equipment
US10568081B2 (en) * 2016-03-21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s
JPWO2017170678A1 (ja) * 2016-03-31 2019-02-1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7191964A2 (ko) * 2016-05-04 201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축 tti 지원를 위한 harq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371242B (zh) * 2016-05-12 2020-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网络设备及用户设备
KR101880523B1 (ko) * 2016-12-01 2018-07-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1463A (ja) * 2009-08-06 2013-01-10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ンダムアクセスチャネル構成の動的な選択
KR20140141575A (ko) * 2012-02-29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이중(half duplex)전송을 지원하는 단말과 관련된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50023231A1 (en) * 2012-02-29 2015-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channel related to terminal that supports half duplex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50113187A (ko) * 2013-02-05 2015-10-07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통신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6510560A (ja) * 2013-02-05 2016-04-07 電信科学技術研究院 通信処理方法及び装置
US20150016312A1 (en) * 2013-07-10 2015-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age enhancement for a random access process
KR20160030252A (ko) * 2013-07-10 201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 대한 커버리지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50358138A1 (en) * 2013-08-09 2015-12-10 Mediatek Inc. 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UL Control Channels in Adaptive TDD Systems
JP2016536866A (ja) * 2013-10-10 2016-11-2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上りリンク送信リソースを管理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105682232A (zh) * 2016-01-08 2016-06-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资源配置方法、资源配置装置和基站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12158 *
3GPP R2-16756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88894B2 (ja) 2022-01-05
MX2019007085A (es) 2019-08-16
CN109891965A (zh) 2019-06-14
KR102198579B1 (ko) 2021-01-06
CN109891965B (zh) 2023-05-02
EP3562229A4 (en) 2020-07-29
US11134523B2 (en) 2021-09-28
EP3562229A1 (en) 2019-10-30
WO2018112918A1 (zh) 2018-06-28
EP3562229B1 (en) 2024-02-07
US20190223214A1 (en) 2019-07-18
JP2020502918A (ja)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4523B2 (en) Uplink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064527B2 (en)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6797651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系统、通信方法及集成电路
CN109728890B (zh) 载波切换方法、基站和用户设备
EP3089490B1 (en) Efficient signaling of capabilities of a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cell groups
CN108292980B (zh) 业务传输的方法和装置
EP35718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indication information of time domain resource allocation
US89953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ssignment during control channel ambiguity
JP2016219896A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10637600B2 (en)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in unlicensed band, and device using same
EP3476073B1 (en) Split symbol control for aligned numerology
WO2016117645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7113077A1 (zh) 一种上行紧急业务传输方法、基站、用户设备及系统
US20230156779A1 (en) Uplink signal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US11013018B2 (en) Data multiplex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JP6290458B2 (ja) ユーザ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3169159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ssignment during control channel ambiguity
CN113273259A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JP2023544762A (ja) データ受信方法及び装置
JP7347664B2 (ja) 無線通信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7416206B2 (ja) 上りリンク信号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KR20230034516A (ko) 사이드링크 단말 전송자원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
CN116391427A (zh) 发送接收下行信息的方法、装置以及可读存储介质
OA18276A (en) Base station and us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