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749A - Apparatus for electro deposition coating reducing the use of rinsing wa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lectro deposition coating reducing the use of rinsing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749A
KR20190067749A KR1020190066356A KR20190066356A KR20190067749A KR 20190067749 A KR20190067749 A KR 20190067749A KR 1020190066356 A KR1020190066356 A KR 1020190066356A KR 20190066356 A KR20190066356 A KR 20190066356A KR 20190067749 A KR20190067749 A KR 20190067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tank
water
tank
main tank
was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3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8381B1 (en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김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수 filed Critical 김봉수
Priority to KR102019006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381B1/en
Publication of KR20190067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7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3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5D13/22Servicing or operating apparatus or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An electro deposition co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main tank provided with a first washing nozzle for spraying washing water; a first sub tank integrally provided outside the first main tank, and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main tank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first washing nozzle; a first underwater pump disposed inside the first sub tank and connected to the first washing nozzle; a second main tank provided with a second washing nozzle for spraying washing water; a second sub tank integrally provided outside the second main tank, and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main tank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second washing nozzle; a second underwater pump disposed inside the second sub tank and connected to the second washing nozzle; and a flowing pip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b tank and the second sub tank, and flowing the washing water received in the second sub tank to the first sub tank. Thus, maintenance of the electro deposition coating apparatus can be easily performed by an operator.

Description

수세수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전착도장장치{Apparatus for electro deposition coating reducing the use of rinsing wat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착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세수를 유동시키는 펌프의 고장 시에도 작업장에 수세수가 유출되지 않고, 유로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수세수의 사용이 절약되는 전착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which does not leak water to a work site even when a pump for flowing wash water flows, To an electrodeposition painting apparatus.

전착도장(electro deposition coating)은 도장의 대상이 되는 피도물을 전착 도료에 담가 내부 및 외부를 균일하게 일정한 피막으로 도장하는 공정으로, 금속 제품의 하도(primer)에 많이 쓰이며, 전기영동도장((electrophoresis coating)이라고도 한다.Electrodeposition coating is a process to coat the inside and outside of a coated film with a uniform film by immersing the object to be painted in electrodeposition paint. It is widely used for primer of metal products, and electrophoresis (electrophoresis) coating.

전착도장의 원리는 수용성 도료를 넣은 탱크 속에 금속재질의 피도물을 넣고 전류를 인가하여, 양이온 입자는 음극으로, 음이온 입자는 양극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기적으로 도막을 석출하는 방법으로, 피도물을 양극에 연결하는 음이온(anionic) 전착도장과 피도물을 음극에 연결하는 양이온(cationic) 전착도장 방식으로 구별된다.The principle of electrodeposition coating is to deposit a metallic coating material in a tank containing a water-soluble coating material and to deposit a coating electrically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material by applying a current, using cation particles as a cathode and anion particles as an anode Anionic electrodeposition coating that connects the substrate to the anode, and a cationic electrodeposition coating that connects the substrate to the cathode.

전착도장은 다수의 공정을 거쳐 진행되는데, 크게 피도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방청유나 가공유 등을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알칼리성 탈지제로 제거하는 예비탈지, 피도물에 잔존하는 방청유나 먼지 등을 제거하는 본탈지, 본탈지를 마친 피도물의 표면에 잔존하는 탈지제를 제거하는 복수회의 수세(水洗) 공정, 피도물의 표면의 산화막 등을 제고하고 균일한 피막을 얻기 위한 피도물의 표면에 대한 표면조정 및 화성피막처리, 피도물의 표면에 잔존하는 화성피막액 등을 세척하는 복수회의 수세 공정, 수용성 도료에 피도물을 침적시키고 피도물과 대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여 피도물에 도막을 형성하는 전착 공정, 전착 공정에서 석출된 도막의 표면장력에 의해 부착된 도료를 세척하여 제거하는 UF(Ultra filtration) 수세 공정, UF 수세 공정을 거친 도장 제품을 탈이온수(순수, DI water)로 수세하여 도막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순수세 공정, 완성도막을 위해 전착된 도막을 건조하는 건조 공정 순으로 진행된다.Electrodeposition coating is carried out through a number of processes including preliminary degreasing which removes rust-preventive oil and processing oil, which are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with an alkaline degreasing agent to which a surfactant is added, this degreasing to remove rust- A plurality of rinsing steps for removing the degreasing agent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fter completion of the degreasing, a surface adjustment of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for obtaining an even coating film by improving the oxide film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 washing step of washing the chemical conversion coating liquid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or the like, an electrodeposition step of depositing the coating material on the water-soluble coating material and applying a current between the coating material and the counter electrode to form a coating film on the coating material, A UF (Ultra filtration) water washing process for washing and removing the paint adhered by the tension, a coating agent DI water, pure water proceeds in three process, the drying process in order to dry the electrodeposited coating for a film which is washed with water to complete (true, DI water) improves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coating.

이러한 전착도장은 탈지액, 수세수, 피막액, UF여액 등이 각각 저수된 복수개의 탱크가 일렬로 배치된 전착도장장치에서 수행되는데, 각 공정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되는 수세수 등을 다수의 공정에서 연동시켜 복수회 사용되도록 배관이 구성되어 있어, 통상적으로 복잡한 배관 구조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This electrodeposition coating is performed in an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tanks in which a degreasing liquid, a wash water, a coating liquid, a UF filtrate, and the like are respectively stored are arranged in a line. Each process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iping is constituted so as to be used a plurality of times in cooperation with the process of the piping, and a flow path of a complicated piping structure is usually formed.

특히, 복수회 실시되는 수세 공정, UF 수세 공정에서 1차적으로 사용된 수세수, UF여액이 각각 다음 공정으로 순환되지 않게 되면, 수세수나 UF여액의 사용량이 많아져 낭비가 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고, 외부로부터 수세수나 UF여액을 공급받는 배관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잡한 배관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Particularly, if the washing water and the UF filtrate, which are used in the water washing process, the UF washing process, and the UF washing process, respectively, are not circulated to the next process, the amount of washing water or the UF filtrate is increased, Since the piping is supplied separately from the outside and supplied with the UF filtrate, it is designed with a complicated piping structure, which makes maintenance difficult.

또한, 수세 탱크의 외부에 설치된 순환펌프는 수세수 등을 순환시키는 중요한 장치로서 전착도장장치의 가동시간 내내 작동되는 장치로, 야간작업 중에 순환펌프가 고장 나는 경우 수세수 등이 작업장으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유로구성이 단순하게 설계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펌프의 고장시에도 수세수 등의 유출이 방지되는 구조의 전착도장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circulation pump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lushing tank is an important device that circulates flushing water and is operated throughout the operation time of the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When the circulation pump fails during the nighttime operation, the flushing water flows out to the workpl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path structure is simply designed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the leakage of wash water and the like even when the pump fail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세수를 유동시키는 펌프의 고장 시에도 작업장에 수세수가 유출되지 않고, 유로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수세수의 사용이 절약되는 전착도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in which water and water are not discharged to a work site even when a pump for flowing wash water is flown, the flow path is simple and maintenance is easy, and use of wash water is saved .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장치는, 수세수를 분사하는 제1세척노즐이 구비된 제1메인탱크; 상기 제1메인탱크 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수세수를 배출하는 제1드레인; 상기 제1메인탱크의 외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메인탱크와 개구부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세척노즐에서 분사된 상기 수세수가 수용되는 제1서브탱크; 상기 제1서브탱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세척노즐과 연결된 제1수중펌프; 수세수를 분사하는 제2세척노즐이 구비된 제2메인탱크; 상기 제2메인탱크 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수세수를 배출하는 제2드레인; 상기 제2메인탱크의 외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메인탱크와 개구부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세척노즐에서 분사된 상기 수세수가 수용되는 제2서브탱크; 상기 제2서브탱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세척노즐과 연결된 제2수중펌프; 상기 제1서브탱크와 상기 제2서브탱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서브탱크에 수용된 수세수를 상기 제1서브탱크로 유동시키는 유동배관; 상기 제1서브탱크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메인탱크와 상기 제1수중펌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서브탱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거름망; 상기 제1서브탱크의 내측면에 사선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거름망의 양측을 지지하는 거름망 가이드; T자로 분기되어 일측이 상기 제1서브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서브탱크에 연결되고, 외부의 공업용수를 상기 제2서브탱크로 공급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과 상기 제2서브탱크 사이에 구비되는 주밸브; 및 상기 공급배관과 상기 제1서브탱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의 공업용수가 상기 제1서브탱크로 직접 공급되도록 개폐되는 예비밸브;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including a first main tank having a first cleaning nozzle for spraying wastewater; A first drain disposed at one side of a lower end of the first main tank and discharging wastewater to the outside; A first sub tank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outside the first main tank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main tank through the opening to receiv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washing nozzle; A first submerged pump disposed inside the first sub tank and connected to the first cleaning nozzle; A second main tank having a second cleaning nozzle for spraying wash water; A second drai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ain tank for discharging wastewater to the outside; A second sub tank integrally provided outside the second main tank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main tank through the opening to receiv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leaning nozzle; A second submerged pump disposed inside the second sub tank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leaning nozzle; A flow pip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b tank and the second sub tank for flowing wash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sub tank to the first sub tank; A filter disposed in the first sub tank and provided between the first main tank and the first submerged pump to block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first sub tank; A sieve guide provided in an oblique direction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 tank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sieve; A supply pipe for branching into T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ub tank and the other side to the second sub tank and supplying external industrial water to the second sub tank; A main valve disposed between the supply pipe and the second sub tank; And a reserve valve provided between the supply pipe and the first sub tank and opened or closed such that the external industrial wate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first sub tank; .

또한, 상기 제1수중펌프는 상기 제1서브탱크의 내에 수용된 상기 수세수에 침수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수중펌프의 하단에 형성된 입수공으로 상기 수세수를 공급받아 상기 제1수중펌프의 상단에 구비된 출수관으로 상기 수세수를 배출하여 상기 제1세척노즐로 상기 수세수를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submerged pump is disposed so as to be submerged in the wash water contained in the first sub tank and is suppli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bmerged pump with the water intake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bmerged pump, The water washing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washing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washing nozzle.

또한, 상기 제1서브탱크 내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수세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제1디스펜서; 및 상기 제1디스펜서에 연통되고 상기 제1서브탱크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디스펜서에 유입된 수세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예비드레인관; 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dispenser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ub tank and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to allow the water to flow therein; And a first preliminary drai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penser and disposed outside the first sub tank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dispenser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유동배관은 상기 제1서브탱크 내에서 상기 거름망 가이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수중펌프 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pipe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sub tank on the first underwater pump side with respect to the drawing guide.

또한, 상기 유동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서브탱크의 수세수가 상기 제2서브탱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heck valve provided in the flow pipe to prevent the water in the first sub tank from flowing back to the second sub tank.

또한, 상기 수세수는 UF여액이며, 상기 제1서브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UF여액을 전착 공정이 수행되는 전착본조로 공급시키는 배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washing water may be a UF filtrate and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module provided in the first sub tank to supply the UF filtrate to an electrodeposition tank in which an electro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또한, 상기 배출모듈은 상기 UF여액을 상기 전착본조로 유동시키는 배출배관; 및 상기 배출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UF여액을 유동시키는 배출펌프; 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ipe for flowing the UF filtrate to the electrodeposition vessel; And a discharge pump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to flow the UF filtrate; . ≪ / RTI >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착도장장치에 따르면, 수세수를 공급하는 펌프가 수중펌프로 실시되어, 기존의 수세탱크 외부에 펌프를 설치하는 경우보다 유로가 단순하게 구성되어 작업자가 전착도장장치를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mp for supplying the wash water is implemented by an underwater pump, so that the flow path is made simpler than the case where the pump is installed outside the conventional water storage tank, Can be easily maintained.

또한, 제1수중펌프의 고장 시에도 제1서브탱크가 수세수를 수용하게 되므로, 작업장으로 수세수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Further, even when the first submerged pump fails, the first sub tank receives the wash water, so that the wash wa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work place.

또한, 유동배관을 통해 제2서브탱크의 수세수가 제1서브탱크로 유동되어, 제2수세 공정에 사용한 수세수를 제1수세 공정에 사용되도록 별도의 유로를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전체적인 유로 구성이 간소화된다.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flushes of the second sub tank is flowed to the first sub tank through the flow pipe, it becomes unnecessary to constitute a separate flow path for the flush water used in the second flushing process to be used in the first flushing process, Th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또한, 공급배관으로 공급받은 외부의 공업용수를 제2수세 공정에 사용한 후 상대적으로 낮은 청정도가 필요한 제1수세 공정에 곧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경우 1회 공정 싸이클 동안 2ton의 공업용수를 사용하는데 비하여 본 발명의 전착도장장치는 0.5ton의 공업용수를 사용함에 따라 1.5ton의 공업용수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xternal industrial water supplied to the supply pipe is used in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it can be immediately used in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requiring a relatively low degree of cleanliness. In the conventional case, 2ton of industrial water is used for one processing cycle The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1.5 tons of industrial water by using industrial water of 0.5ton.

또한, UF여액을 회수하는 유로 구성이 제2서브탱크, 유동배관, 제1서브탱크, 배출모듈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flow path configuration for recovering the UF filtrate is simply constituted by the second sub tank, the floating pipe, the first sub tank, and the discharge module,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maintain the maintenan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메인탱크 및 제1서브탱크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착도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을 탈거한 제1서브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착도장장치로 실시되는 전착도장공정의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lectrodeposition pa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chematic view of a first main tank and a first sub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deposition painting apparatus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sub tank in which a filtering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5 is a schematic view of an electrodeposition pa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n electrodeposition coating process carried out by the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Even if the terms are the same, it is to be noted that when the portions to be displayed differ, the reference signs do not coincide.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메인탱크(110) 및 제1서브탱크(130)의 측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착도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131)을 탈거한 제1서브탱크(130)의 사시도이다.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first main tank 110 and a first sub tank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first main tank 110 and the first sub tank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lectrodeposition pa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sub tank 130 removing a sieve 1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장치는, 수세수를 분사하는 제1세척노즐(140)이 구비된 제1메인탱크(110), 제1메인탱크(110)의 외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제1메인탱크(110)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제1세척노즐(140)에서 분사된 수세수가 수용되는 제1서브탱크(130), 제1서브탱크(1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세척노즐(140)과 연결된 제1수중펌프(150), 수세수를 분사하는 제2세척노즐(240)이 구비된 제2메인탱크(210), 제2메인탱크(210)의 외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제2메인탱크(210)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제2세척노즐(240)에서 분사된 수세수가 수용되는 제2서브탱크(230), 제2서브탱크(2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세척노즐(240)과 연결된 제2수중펌프(250), 및 제1서브탱크(130)와 제2서브탱크(230) 사이에 구비되어 제2서브탱크(230)에 수용된 수세수를 제1서브탱크(130)로 유동시키는 유동배관(310)을 포함한다.1 to 4, an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ain tank 110 having a first cleaning nozzle 140 for spraying wastewater, a second main tank A first sub tank 130 and a second sub tank 130 which ar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irst main tank 110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main tank 110 to receiv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cleaning nozzle 140, A second main tank 210 having a first submerged pump 150 disposed inside the first submerged nozzle 140 and connected to the first submerged nozzle 140 and a second submerged nozzle 240 injecting the submerged water, A second sub tank 230 integrally provided outside the first sub tank 210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main tank 210 to receiv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leaning nozzle 240, A second submerged pump 250 disposed inside the first sub tank 230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leaning nozzle 240 and a second sub tank 250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 tank 130 and the second sub tank 230,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And a flow pipe (310) for flowing the fluid to the tank (130).

여기서, 본 발명의 제1메인탱크(110) 및 제2메인탱크(210)는 전착도장공정에서 실시하는 수세 공정 중 후술하는 제1수세 공정(S40) 및 제2수세 공정(S50) 세트, 제3수세 공정(S80) 및 제4수세 공정(S90) 세트 중 어느 한 세트의 공정에 실시될 수 있다.Here, the first main tank 110 and the second main tank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a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set, and a second water washing step 3 wash (S80) and the fourth wash (S90) set.

만약, 제1메인탱크(110)가 제1수세 공정(S40)에 실시되는 경우 제2메인탱크(210)는 제2수세 공정(S50)에 실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메인탱크(110)가 제3수세 공정(S80)에 실시되는 경우 제2메인탱크(210)는 제4수세 공정(S90)에 실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메인탱크(110)는 제1수세 공정(S40)에 실시되며, 제2메인탱크(210)는 제2수세 공정(S50)에 실시되는 것으로 설명한다.If the first main tank 110 is subjected to the first water washing process S40, the second main tank 210 is subjected to the second water washing process S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main tank 110 is subjected to the third water washing process (S80), the second main tank 210 is subjected to the fourth water washing process (S9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first main tank 110 is subjected to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and the second main tank 210 is performed for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피도물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1차적으로 제1메인탱크(110)에서 제1수세 공정(S40)에 의해 수세된 후 제2메인탱크(210)에서 제2수세 공정(S50)에 투입된다. 피도물은 제1수세 공정(S40)에서 이물질이 1차적으로 제거된 후, 제2수세 공정(S50)에서 다음 공정을 위해 2차적으로 제1수세 공정(S40)보다 더 청정하게 세척된다. 이 경우, 제2수세 공정(S50)에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1수세 공정(S40)의 수세수(水洗水) 보다 상대적으로 청정한 수세수로 피도물이 수세된다.The substrate is initially washed in the first main tank 110 by the first water washing process (S40), then in the second main tank 210 to the second washing process (S50), as described later. After the foreign matters are primarily removed in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the substrate is cleaned more cleanly than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secondarily for the next step in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In this case, in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the object is washed with wash water relatively cleaner than the wash water in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as described later.

제1메인탱크(110)는 내부에 수세수가 저수된다. 제1메인탱크(110)의 내부에는 수세수를 분사하는 제1세척노즐(140)이 구비된다. 제1세척노즐(140)은 수세수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스프레이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메인탱크(110) 하단의 일측에는 필요 시 외부로 수세수를 배출하는 제1드레인(120)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main tank 110 is filled with water. In the first main tank 110, a first cleaning nozzle 140 for spraying wash water is provided. The first cleaning nozzle 14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for spraying wash water.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in tank 110, a first drain 120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제1메인탱크(110)의 내부로 피도물이 인입된다. 피도물은 컨베이어에 연결된 지그에 의해 이송되어 제1메인탱크(110) 내부로 인입된다. 피도물은 전착도장이 실시될 수 이는 금속재질로 실시된다. 피도물의 표면에는 방청유, 가공유, 먼지, 탈지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The object is drawn into the first main tank 110. The workpiece is conveyed by the jig connected to the conveyor and introduced into the first main tank 110. The substrate is made of a metal that can be electro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foreign matter of at least one of anti-corrosive oil, processing oil, dust, and degreasing agent may be present.

제1서브탱크(130)는 제1메인탱크(1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제1서브탱크(130)는 제1메인탱크(110)와 일체로 구비되며, 제1메인탱크(11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ub tank 130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main tank 110. The first sub tank 13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first main tank 110 and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in tank 110.

제1서브탱크(130)는 제1메인탱크(110)에 저수된 수세수가 유동되도록 제1메인탱크(110)와 연통되게 구비된다. 제1서브탱크(130)와 제1메인탱크(110)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구부(S)가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수세수가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서브탱크(130)에는 제1세척노즐(140)에서 분사된 수세수가 수용된다.The first sub tank 130 is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main tank 110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main tank 110 flows. 4, an opening S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b tank 130 and the first main tank 110 so that water can be flowed through the opening. Accordingly, the first sub tank 130 receives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cleaning nozzle 140.

제1수중펌프(150)는 제1서브탱크(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수중펌프(150)는 수중에서 작동하는 전동식 펌프로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한다.The first submerged pump (15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sub tank (130). The first submerged pump 150 is an electric pump that operates underwater and operates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제1수중펌프(150)는 제1서브탱크(130)의 내에 저수된 수세수에 침수되게 배치된다. 제1수중펌프(150)는 하단에 형성된 입수공(151)으로 수세수를 공급받으며, 제1수중펌프(150)의 상단에 구비된 출수관(153)으로 수세수를 배출한다.The first submerged pump (150) is disposed so as to be submerged in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first sub tank (130). The first submerged pump 150 is supplied with wash water through the inlet hole 151 formed at the lower end and discharges the wash water through the drain pipe 153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bmerged pump 150.

제1수중펌프(150)는 제1메인탱크(110) 내에 구비된 제1세척노즐(140)과 연결된다. 이 경우, 출수관(153)과 제1세척노즐(140)은 배관이나 호스(l)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수중펌프(150)는 제1세척노즐(140)로 수세수를 공급하여, 제1세척노즐(140)에서 수세수가 분사되게 한다.The first submerged pump 150 is connected to the first cleaning nozzle 140 provided in the first main tank 110. In this case, the water pipe 153 and the first washing nozzle 14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pe or a hose l. The first submerged pump 150 supplies wash water to the first wash nozzle 140 so that the wash water is sprayed from the first wash nozzle 140.

본 발명의 전착도장장치는 수세수를 공급하는 펌프가 수중펌프로 실시되어, 기존의 수세탱크 외부에 펌프를 설치하는 경우보다 유로가 단순하게 구성되어 작업자가 전착도장장치를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게 되며, 펌프의 고장 시에도 제1서브탱크(130)가 수세수를 수용하게 되므로, 작업장으로 수세수가 흘러 넘치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mp for supplying wash water is implemented by an underwater pump, so that the flow path is made simpl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pump is installed outside the existing wash tank,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maintain the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And the first sub tank 130 receives the wash water even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the pump, so that the wash wa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ver the work site.

도 2 내지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탱크(130) 내에는 거름망(131)이 구비될 수 있다. 거름망(131)은 제1메인탱크(110)과 제1수중펌프(15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거름망(131)은 중앙이 메쉬(mesh) 구조로 형성되어 제1메인탱크(110)에서 피도물을 수세한 후 수세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제1서브탱크(130)로 유동되어 제1수중펌프(15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거름망(131)에는 중공(132)이 형성되어, 제1수중펌프(150)와 제1세척노즐(140)을 연결하는 호스(l)가 관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to 4, the first sub tank 130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ing net 131. The water line 13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main tank 110 and the first submerged pump 150. The filter 131 is formed in a mesh structure at the center so that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h water flows to the first sub tank 130 after the water is washed in the first main tank 110, 150). A hollow 132 is formed in the sieve 131 so that the hose 1 connecting the first submerged pump 150 and the first cleaning nozzle 140 can be passed through.

제1서브탱크(130)의 내부에는 거름망 가이드(133)가 구비될 수 있다. 거름망 가이드(133)는 제1서브탱크(130)의 내측면에 사선방향으로 구비된다. 거름망 가이드(133)는 제1서브탱크(130) 내부에서 거름망(131)의 양측을 지지한다.A sieve guide 133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ub tank 130. The filtering guide 133 is provided in an oblique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 tank 130. The sieve guide 133 supports both sides of the sieve 131 in the first sub tank 130.

제1서브탱크(130)의 상단에는 제1예비드레인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예비드레인부(170)는 제1수중펌프(150)의 고장이나, 예비밸브(430)의 고장으로 공업용수가 과다 공급되어 제1서브탱크(130)에 수세수가 가득 차서 넘치게 될 경우, 제1서브탱크(130)의 상단에 배치된 제1예비드레인부(170)가 수세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수세수가 작업장으로 넘치지 않게 한다.A first preliminary drain portion 17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ub tank 130. When the first sub tank 130 is overfilled with the water for the first sub tank 130 due to a failure of the first submergible pump 150 or a failure of the reserve valve 430 and the first sub tank 130 is filled with industrial water, The first preliminary drain portion 170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sub tank 130 discharges the wash water to the outside so that the water wash water does not flood into the work pl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예비드레인부(170)는 제1서브탱크(130) 내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수세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제1디스펜서(171), 제1디스펜서(171)에 연통되고 제1서브탱크(130)의 외부에 설치되어 제1디스펜서(171)에 유입된 수세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예비드레인관(173)을 포함한다.The first preliminary drain portion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enser 171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b tank 130 and having an upper opening to allow water to be inflow, a first dispenser 171 And a first preliminary drain pipe 173 connected to the first sub tank 130 and discharging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dispenser 171 to the outside.

제1디스펜서(171)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서브탱크(130) 내부에 배치되며 상단에 배치된다. 제1디스펜서(171)는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수세수가 제1서브탱크(130) 내에 가득 찰 경우 개구된 상부로 수세수를 유입시킨다.The first dispenser 171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sub tank 130 and disposed at the upper end, as shown in FIG. The first dispenser 171 is formed to ope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when water is filled in the first sub-tank 130,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opened upper portion.

제1예비드레인관(173)은 제1디스펜서(171)에 연통되게 구비된다. 제1예비드레인관(173)은 일단이 제1서브탱크(130)의 외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수세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라인(미도시)에 연결된다. 제1예비드레인관(173)은 제1디스펜서(171)를 통해 유입된 수세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제1서브탱크(130)로부터 수세수가 작업장에 넘치지 않게 한다.The first preliminary drain pipe 173 is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dispenser 171. One end of the first preliminary drain pipe 173 is provided outside the first sub tank 13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line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to the outside. The first preliminary drain pipe 173 discharges the wash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dispenser 171 to the outside so that the water from the first sub tank 130 does not flood the work site.

상술한 것과 같이 제1메인탱크(110)가 제1수세 공정(S40)에 사용되면, 제2메인탱크(210)는 제1수세 공정(S40) 이후의 제2수세 공정(S50)에 사용되고, 피도물은 제1메인탱크(110)에서 수세된 후 제2메인탱크(210)에서 제2수세 공정(S50)에 투입된다. 이 경우, 제2수세 공정(S50)에서는 제1수세 공정(S40)의 수세수 보다 상대적으로 청정한 수세수로 피도물이 수세된다.When the first main tank 110 is used in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ain tank 210 is used in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after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The substrate is flushed in the first main tank 110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second flushing process (S50) from the second main tank 210. In this case, in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the object water is washed with wash water relatively cleaner than the washing water in the first washing step (S40).

제2메인탱크(210), 제2서브탱크(230), 제2세척노즐(240), 제2수중펌프(250), 제2예비드레인부(270), 제2디스펜서(271), 제2예비드레인관(273), 제2거름망(231) 및 제2드레인(220)은 상술한 제1메인탱크(110), 제1서브탱크(130), 제1세척노즐(140), 제1수중펌프(150), 제1예비드레인부(170), 제1디스펜서(171), 제1예비드레인관(173), 제1거름망(131), 제1드레인(12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The second sub tank 230, the second cleaning nozzle 240, the second submerged pump 250, the second preliminary drain portion 270, the second dispenser 271, the second sub tank 230, The preliminary drain pipe 273, the second filtering net 231 and the second drain 220 are connected to the first main tank 110, the first sub tank 130, the first cleaning nozzle 140, The first preliminary drain portion 170, the first dispenser 171, the first preliminary drain pipe 173, the first filtering net 131 and the first drain 12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explain the difference.

제2메인탱크(210)는 내부에 수세수가 저수된다. 제2메인탱크(210)의 내부에는 수세수를 분사하는 제2세척노즐(240)이 구비된다. 제2세척노즐(240)은 수세수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스프레이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메인탱크(210) 하단의 일측에는 필요 시 외부로 수세수를 배출하는 제2드레인(220)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main tank 210 is filled with water. A second cleaning nozzle 240 for spraying wash water is provided in the second main tank 210. The second cleaning nozzle 24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for spraying the wash water. A second drain 22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ain tank 210 to discharge water from the outside if necessary.

제2서브탱크(230)는 제1서브탱크(130)와 동일하게 제2메인탱크(2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제2서브탱크(230)는 제2메인탱크(21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메인탱크(21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sub tank 230 is disposed outside the second main tank 21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ub tank 130. The second sub tank 2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main tank 210 and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ain tank 210.

제2서브탱크(230)는 제2메인탱크(210)에 저수된 수세수가 유동되도록 제2메인탱크(210)와 연통되게 구비된다. 제2서브탱크(230)와 제2메인탱크(210) 사이에는 제1서브탱크(130)와 제1메인탱크(110)의 사이와 마찬가지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수세수가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서브탱크(230)에는 제2세척노즐(240)에서 분사된 수세수가 수용된다.The second sub tank 230 is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main tank 210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main tank 210 flows.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ub tank 230 and the second main tank 210 in the same manner as between the first sub tank 130 and the first main tank 110 so that water can be flowed through the opening . Accordingly, the second sub tank 230 receives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leaning nozzle 240.

제1서브탱크(130)과 제2서브탱크(230) 사이에는 유동배관(310)이 구비된다. 유동배관(310)은 제1서브탱크(130)과 제2서브탱크(230)를 연통시킨다. 유동배관(310)은 제2서브탱크(230)에 수용된 수세수를 제2서브탱크(230)에 연통된 제1서브탱크(130)로 유동시킨다.A flow pipe 31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b tank 130 and the second sub tank 230. The flow pipe 310 allows the first sub tank 130 and the second sub tank 23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flow pipe 310 allows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sub tank 230 to flow to the first sub tank 130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sub tank 230.

즉, 피도물을 제1수세 공정(S40) 처리한 후 제2수세 공정(S50) 처리할 때, 유동배관(310)은 제2서브탱크(230)에 수용된 제2수세 공정(S50)에서 사용된 오염도가 낮은 수세수를 제1서브탱크(130)로 유동시켜, 제1서브탱크(130)에서 수세수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That is, when the object is subjected to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and then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the flow pipe 310 is used in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accommodated in the second sub tank 230 Water with low contamination level flows into the first sub tank 130 so that it can be used as wash water in the first sub tank 130. [

이 경우, 수세수의 유동경로를 기준으로, 수세수를 상대적으로 높은 청정도가 필요한 제2수세 공정(S50)에 사용한 후 상대적으로 낮은 청정도가 필요한 제1수세 공정(S40)에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공업용수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 wash water can be used in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which requires a relatively low degree of cleanliness after the water washing step is used in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which requires a relatively high degree of cleanlines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dustrial water is saved.

또한, 유동배관(310)을 통해 제2서브탱크(230)의 수세수가 제1서브탱크(130)로 유동되어, 제2수세 공정(S50)에 사용한 수세수를 제1수세 공정(S40)에 사용되도록 별도의 유로를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전체적인 유로 구성이 간소화된다.The water in the second sub tank 230 flows to the first sub tank 130 through the flow pipe 310 and the water used in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is discharged to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There is no need to construct a separate flow path for use, and the overall flow path configuration is simplified.

유동배관(310)에는 체크밸브(320)가 구비될 수 있다. 체크밸브(320)는 수세수가 제2서브탱크(230)에서 제1서브탱크(130)로 유동되는 경우만 개폐되고, 제1서브탱크(130)에서 제2서브탱크(230)로 수세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서브탱크(130)의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높은 수세수가 제2서브탱크(23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flow pipe 310 may be provided with a check valve 320. The check valve 320 is opened or closed only when the water wash water flows from the second sub tank 230 to the first sub tank 130 and the water from the first sub tank 130 to the second sub tank 230 flows backward In order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ly, the relatively high-contaminated water of the first sub tank 130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sub tank 230.

제2서브탱크(230)에서 제1서브탱크(130)로 유동배관(310)을 통해 수세수를 원활히 유동시키기 위해, 필요 시 보조펌프(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서브탱크(230)에 공급되는 외부의 공급용수에 의해 제2메인탱크(210) 및 제2서브탱크(230)에 저수된 수세수의 양의 제1메인탱크(110) 및 제1서브탱크(130)에 저수된 수세수의 양보다 많게 유지되어, 수세수가 제1서브탱크(130)로 유동될 수도 있다.An auxiliary pump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f necessary in order to smoothly flow wash water from the second sub tank 230 to the first sub tank 130 through the flow pipe 310. The amount of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second main tank 210 and the second sub tank 230 by the external supply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sub tank 23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main tank 110, 1 sub tank 130, and the water wash water may flow to the first sub tank 130. [0053] As shown in FIG.

공급배관(410)은 외부의 공업용수를 전착도장장치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배관(410)은 외부와 연결된 배관이 T자로 분기되어 일측이 제1서브탱크(13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서브탱크(230)에 연결된다. The supply pipe 410 supplies external industrial water to the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In the supply pipe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is branched into T-shaped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sub tank 13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b tank 230.

공급배관(410)은 외부의 공업용수를 제2서브탱크(230)로 공급한다. 즉, 외부의 청정한 공업용수가 제1수세 공정(S4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청정도의 수세를 실시하는 제2수세 공정(S50)에 먼저 사용되도록 제2서브탱크(230)에 공급된다. 이 경우, 제2서브탱크(230) 측에 연결된 배관에는 개폐 가능한 주밸브(420)가 구비되어, 공업용수의 공급양을 조절할 수 있다.The supply pipe 410 supplies external industrial water to the second sub tank 230. That is, the clean external industrial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sub tank 230 so as to be used first in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in which the water is washed with a relatively high degree of cleanliness than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In this case, the piping connected to the second sub tank 230 side is provided with a main valve 42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supply amount of the industrial water can be adjusted.

공급배관(410)에는 외부의 공업용수가 제1서브탱크(130)로 직접 공급되도록 개폐되는 예비밸브(4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비밸브(430)는 제1서브탱크(130) 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supply pipe 410 may be provided with a preliminary valve 430 that is opened or closed so that external industrial wate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first sub tank 130. In this case, the reserve valve 43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sub tank 130 side.

제1수세 공정(S40)에서 사용되는 수세수의 오염도가 증가하여 수세 품질이 떨어질 경우, 예비밸브(430)를 개방하여 외부의 청정한 공업용수를 제1서브탱크(130)로 직접 공급시키고, 공급된 공업용수에 의해 수세수를 희석시켜 오염도를 감소시킨 후 제1수세 공정(S40)의 수세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ollution degree of the wash water used in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increases and the washing quality deteriorates, the reserve valve 430 is opened to supply clean external industrial water directly to the first sub tank 130, It is possible to dilute the wash water with the industrial water to reduc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use it as wash water in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유동배관(31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름망 가이드(133)를 기준으로 제1수중펌프(150) 측에 배치된다. 유동배관(310)은 제1메인탱크(110)의 개구부(S)로부터 최대한 이격되고, 제1수중펌프(151)와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도 4에는 유동배관(310)의 일측 개구부(311)가 제1수중펌프(150) 측에 연통되게 배치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The flow pipe 310 is disposed on the first submerged pump 150 side with respect to the sieve guide 133 as shown in Fig. The fluid pipe 310 is spaced from the opening S of the first main tank 110 as far as possible and dispos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first submerged pump 151. 4, an opening 311 at one side of the flow pipe 310 is dispos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submerged pump 150 side.

즉, 유동배관(310)은 제1수세 공정(S40)의 수세수보다 청정한 제2수세 공정(S50)의 수세수가 제1서브탱크(130)로 공급되는 통로로서, 제1서브탱크(130)의 여러 위치 중에서 제1수중펌프(150)로 수세수가 바로 공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That is, the flow pipe 310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lean water of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which is cleaner than the wash water in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is supplied to the first sub tank (130) The first submerged pump 150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water can be supplied immediately.

이에 따라, 유동배관(310)을 통해 공급된 수세수가 제1메인탱크(110) 내의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높은 수세수와 최대한 분리되어 제1수중펌프(150)로 바로 공급되어 제1세척노즐(140)로 공급될 수 있게 되고, 상대적으로 오염이 덜 된 상태에서 피도물을 세척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water rins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low pipe 310 is separated as much as possible from the relatively contaminated water in the first main tank 110 and is directly supplied to the first submerged pump 150, ), And can be used to clean the object in a relatively less polluted stat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장치의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of an electrodeposition pa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구성요소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고,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설명으로 대체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re mainly described,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description shown in Figs. 1 to 4 is replaced.

도 5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메인탱크(110) 및 제2메인탱크(210)는 UFⅠ 수세 공정(S110) 및 UFⅡ 수세 공정(S120) 세트의 공정에 실시되는 것으로, 제1메인탱크(110)가 UFⅠ 수세 공정(S110)에 실시되고, 제2메인탱크(210)는 UFⅡ 수세 공정(S120)에 실시된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main tank 110 and the second main tank 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bjected to the processes of the UF I washing process (S 110) and the UF II washing process (S 120) set process The first main tank 110 is subjected to the UFI washing process S110 and the second main tank 210 is subjected to the UFII washing process S120

이 경우, 수세수는 UF여액으로 실시된다. UF여액은 한외여과(ultra filtration, UF)를 실시한 액체로서, UF모듈을 통과한 액체로 실시될 수 있다. UF모듈 및 한외여과는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is case, the wash water is carried out in the UF filtrate. The UF filtrate is a liquid with ultrafiltration (UF), which can be carried out with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UF module. The UF module and the ultrafiltration are well known techniques and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제2서브탱크(230)에는 UF여액이 공급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공급배관(410)은 공업용수 대신 UF여액을 제2서브탱크(230)에 공급할 수 있고, 공급배관(410)에는 UF여액을 공급하는 UF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The UF filtrate is supplied to the second sub tank 230. In this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pipe 410 can supply the UF filtrate to the second sub tank 230 instead of the industrial water, and the UF module that supplies the UF filtrate to the supply pipe 410 Can be connected.

제2서브탱크(230)로 공급된 UF여액은 제2수중펌프(250)에 의해 제2세척노즐(240)로 공급되고 피도물에 분사되어, 피도물의 UFⅡ 수세 공정(S120)에 사용된다. UFⅡ 수세 공정(S120)에 사용된 UF여액은 피도물 표면에 형성된 완성 도막을 제외한 잔존 도료를 회수하여 제2메인탱크(210) 하부에 수용된다.The UF filtrate supplied to the second sub tank 230 is supplied to the second cleaning nozzle 240 by the second submerged pump 250 and is sprayed onto the substrate to be used in the UFII wash process S120 of the substrate. The UF filtrate used in the UF II water washing process (S120) is collec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ain tank 210 by collecting the remaining coating material except for the finished coating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material.

도료를 회수한 UF여액은 개구부를 통해 제2서브탱크(230)로 유동된 후 유동배관(310)에 의해 제1서브탱크(130) 내부로 유동된다. 제1서브탱크(130)로 유동된 UF여액은 제1수중펌프(150)에 의해 제1세척노즐(140)로 공급된 후 전착 공정(S100)을 마친 피도물에 분사되어 UFⅠ 수세 공정(S110)에 사용된다.The UF filtrate recovering the paint flows to the second sub tank 230 through the opening and then flows into the first sub tank 130 by the flow pipe 310. The UF filtrate that has flowed into the first sub tank 130 is supplied to the first cleaning nozzle 140 by the first underwater pump 150 and then sprayed onto the workpiece after the electrodeposition process S100, .

UFⅠ 수세 공정(S110)에 사용된 UF여액은 피도물의 잔존 도료를 회수하여 제1메인탱크(110) 하부에 수용된다. 이 경우, 제1메인탱크(110) 하부에 수용된 UF여액은 UFⅡ 수세 공정(S120)을 마친 경우보다 더 많은 도료를 함유하게 된다.The UF filtrate used in the UF I washing process (S110) is collec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ain tank 110 by collecting the remaining paint of the object. In this case, the UF filtrate contain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ain tank 110 contains more paint than the UF II water-washing process (S120).

제1서브탱크(130)에는 배출모듈(500)이 구비된다. 배출모듈(500)은 UFⅠ 수세 공정(S110)의 이전 공정인 전착 공정(S100)이 수행되는 전착본조(600)에 연결된다.The first sub tank 13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module 500. The discharging module 500 is connected to the electroplating bath 600 where the electrodepositing process S100, which is a previous process of the UF I washing process S110, is performed.

전착본조(600)는 피도물의 전착 공정(S100)이 수행되는 탱크로, 전착 본조 내에는 전착 도료가 혼합된 도료액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전착본조(600)에는 도료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부(610), 외부로부터 새로운 도료액을 전착본조(600)로 공급받기 위한 도료공급관(620)이 구비될 수 있다.The electrodeposition base 600 is a tank in which an electrodeposition process (S100) of the substrate is performed, and a coating fluid containing electrodeposition paint is contained in the electrodeposition base. The electrodeposition base 600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ortion 610 for discharging the paint liquid to the outside and a paint supply pipe 620 for supplying a new paint liquid to the electroplating main body 600 from the outside.

전착 공정(S100)에서는 전착본조(600)로 침수된 피도물에 대해 음이온 또는 양이온 전착 공정(S100) 중 어느 하나가 실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electrodeposition process S100, an anion or a cation electrodeposition process (S100) may be performed on the substrate immersed in the electrodeposition substrate 600,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배출모듈(500)은 UFⅠ 수세 공정(S110)에 실시된 UF여액을 전착 공정이 수행되는 전착본조(600)로 공급시킨다. 이 경우, 배출모듈(500)은 UF여액을 전착본조(600)로 유동시키기 위한 배출배관(520)과, UF여액을 유동시키는 배출펌프(510)로 구성될 수 있다. 배출모듈(500)을 통해 전착본조(600)로 공급된 UF여액에 함유된 도료는 전착본조(600) 내에서 도료로 재사용된다.The discharging module 500 supplies the UF filtrate to the electroplating bath 600 where the electro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drain module 500 may comprise a drain pipe 520 for flowing the UF filtrate to the electroplating bath 600 and a drain pump 510 for flowing the UF filtrate. The coat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UF filtrate supplied to the electrodeposition base 600 through the discharge module 500 is reused as a coating material in the electrodeposition base 600.

UFⅡ 수세 공정(S120) 및 UFⅠ 수세 공정(S110)에 사용된 후 전착 본조로 공급된 UF여액은 많은 양의 전착 도료를 함유하여 전착 본조로 공급되어 재사용되므로, 전착 도료의 절약이 가능해지며, UF여액을 회수하는 유로 구성이 제2서브탱크(230), 유동배관(310), 제1서브탱크(130), 배출모듈(500)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UF filtrate supplied to the electrodeposition bath used in the UFII water washing process (S120) and the UF I water washing process (S110) contains a large amount of electrodeposition coating and is supplied to the electrodeposition bath and reused, the electrodeposited coating can be saved, The flow path for recovering the filtrate is simply constituted by the second sub tank 230, the flow pipe 310, the first sub tank 130 and the discharge module 500,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maintain the flow structure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서브탱크(130), 제1수중펌프(150), 제2서브탱크(230), 제2수중펌프(250), 유동배관(310)을 포함하는 구조로, 작업자가 유지 보수하기 용이한 구조로 구성되며, 비상 시 작업장으로 UF여액이 넘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first sub tank 130, the first submerged pump 150, the second sub tank 230, the second submerged pump 250, and the flow pipe 310 ar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tructur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maintain it, and overflow of the UF filtrate to the workplace in an emergency can be prevented.

도 6은 본 발명의 전착도장장치로 실시되는 전착도장공정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n electrodeposition coating process carried out by the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착도장장치로 실시되는 전착도장공정은 탕세 공정(S10), 예비탈지 공정(S20), 본탈지 공정(S30), 제1수세 공정(S40), 제2수세 공정(S50), 표면조정(S60), 화성피막(S70), 제3수세 공정(S80), 제4수세 공정(S90), 전착 공정(S100), UFⅠ 수세 공정(S110), UFⅡ 수세 공정(S120), 건조 공정(S130)을 포함한다.6, the electrodeposition coating process carried out by the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le process S10, a preliminary degreasing process S20, a main degreasing process S30, a first washing process S40, (S50), surface adjustment (S60), chemical conversion coating (S70), third water washing step (S80), fourth water washing step (S90), electrodeposition step (S100), UFI washing step (S110) S120), and a drying step (S130).

탕세 공정(S10)은 피도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방청유, 가공유, 먼지의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이다. 탕세 공정(S10)은 탕세조 내의 탕세액에 피도물을 침지시켜(dipping) 피도물의 표면을 세척하며, 탕세액에는 가성소다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온도는 40 ~ 50℃로 실시될 수 있다.The bubbling step S10 is a step of primari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rust-preventive oil, processing oil, and dust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n the boiling step S10, the substrate is dipped in the bath liquid in the bath bath to clea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bath liquid may contain caustic soda and the like, and the temperature may be 40 to 50 ° C.

예비탈지 공정(S20)은 탕세 공정(S10) 후 피도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방청유, 가공유, 먼지 등을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알칼리성 탈지제로 제거하는 공정이다. 예비탈지 공정(S20)은 스프레이 노즐로 탈지제가 첨가된 탈지액을 피도물에 분사하는 공정으로 실시될 수 있다.The preliminary degreasing step (S20) is a step of removing rust preventive oil, processing oil, dust, and the like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fter an electrolysis (S10) with an alkaline degreasing agent to which a surfactant is added. The preliminary degreasing step (S20) can be carried out by spraying a degreasing solution to which a degreasing agent is added with a spray nozzle onto the substrate.

본탈지 공정(S30)은 피도물의 표면조정(S60) 전에 최종적으로 피도물의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피도물을 본탈지 공정(S30)의 탈지조 내에 침지시켜 실시한다. 본탈지 공정(S30)은 2회 이상 실시될 수도 있으며, 본탈지 공정(S30)을 완료한 피도물의 표면은 방청유, 가공유,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이나, 탈지제가 잔존하게 된다.The degreasing step (S30) is a step of finally removing foreign matters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before the surface adjustment (S60) of the substrate. The substrate is immersed in the degreasing bath of the present degreasing step (S30). The degreasing step (S30) may be performed two or more times, and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degreasing step (S30) has been completed is left in a state in which foreign substances such as anti-rust oil, processing oil and dust have been removed, but the degreasing agent remai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탈지 공정(S30) 이후 제1메인탱크(110)에서 제1수세 공정(S40)이 실시되고 제2메인탱크(210)에서 제2수세 공정(S50)이 실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is performed in the first main tank 110 and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is performed in the second main tank 210 after the main degassing step S30 .

제1수세 공정(S40)은 제1세척노즐(140)로 수세수를 피도물에 분사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잔존하는 탈지제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수세 공정(S40)의 수세수는, 제2수세 공정(S50)에서 사용된 후 유동배관(310)을 통해 제1서브탱크(130)으로 유동된 수세수가 사용된다.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is a step of spraying washed water with the first washing nozzle (140) to remove the degreasing agent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The wash water in the first water washing step S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washing water flowing in the first sub tank 130 through the fluid pipe 310 after being used in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Is used.

제1서브탱크(130)로 유동된 수세수는 제1수중펌프(150)에 의해 제1수세 공정(S40)의 수세수로 사용된다. 이 경우, 제1서브탱크(130) 내의 수세수는 유동배관(310)에 설치된 체크밸브(320)에 의해 제2서브탱크(230)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sub tank 130 is used as wash water in the first wash step (S40) by the first underwater pump 150. In this case, the water in the first sub tank 13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second sub tank 230 by the check valve 320 installed in the flow pipe 310.

제2수세 공정(S50)은 제1수세 공정(S40)과 동일하게 수세수를 피도물에 분사하여 피도물을 세척하는 공정이다. 제2수세 공정(S50)의 수세수는 외부의 공업용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1수세 공정(S40)의 수세수 보다 높은 청정도로 실시된다.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is a step of spraying wash water onto the substrate to wash the substrate, as in the first washing step (S40). An external industrial water can be used as the wash water in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and is performed at a degree of cleanliness higher than that of the wash water in the first washing step (S40).

제2수세 공정(S50)에서 사용된 수세수는 상술한 것과 같이 유동배관(310)을 통해 제1서브탱크(130)로 유동되며, 실시예에 따라 보조펌프(미도시)가 수세수를 유동 시킬 수도 있다. The wash water used in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flows into the first sub tank 130 through the fluid pipe 310 as described above and the auxiliary pump (not shown) .

제2수세 공정(S50)이 완료된 피도물은 표면조정 공정(S60)을 거쳐 균질한 표면이 형성되고, 화성피막 공정(S70)을 거쳐 균질한 인산아연 피막이 형성된다. 표면조정 공정(S60)과 화성피막 공정(S70)을 공지된 기술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fter the second water washing step (S50) is completed, a uniform surface is formed through the surface adjusting step (S60), and a homogeneous zinc phosphate coating is formed through the chemical coating step (S70). The surface adjusting step S60 and the chemical conversion coating step S70 are not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known art.

화성피막 공정(S70) 이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메인탱크(110)에서 제3수세 공정(S80)이 실시되고 제2메인탱크(210)에서 제4수세 공정(S90)이 실시된다.After the chemical coating step S70, a third water washing step S80 is performed in the first main tank 110 and a fourth water washing step S90 is performed in the second main tank 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제3수세 공정(S80) 및 제4수세 공정(S90)에서는 피도물에 잔존하는 이물질인 약산성의 화성피막액을 세척한다. 제3수세 공정(S80) 및 제4수세 공정(S90)의 상세 공정은 상술한 제1수세 공정(S40) 및 제2수세 공정(S5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third water washing step (S80) and the fourth water washing step (S90), the weakly acidic chemical liquor remaining on the substrate is washed. Detailed processes of the third water washing step (S80) and the fourth water washing step (S9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washing step (S40) and the second washing step (S50), and therefore thei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필요에 따라 제4수세 공정(S90) 이후에 순수세 공정이 실시될 수도 있다. 순수세 공정은 제4수세 공정(S90) 이후 피도물에 잔존하는 수세수에 함유된 잡이온들을 제거하도록 순수(탈이온수)로 피도물을 세척하는 공정이다. 순수세 공정이 실시되면 피도물에 잔존하는 잡이온들이 제거되어, 전착 공정(S100)에서의 도장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If necessary, three pure water steps may be performed after the fourth water washing step (S90). The pure water washing step is a step of washing the object with pure water (deionized water) so as to remove the object ions contained in the wash water remaining in the object after the fourth water washing step (S90). When the pure water treatment is carried out, the incident ions remaining on the workpiece are removed, and the coating efficiency in the electrodeposition process (S100) is increased.

전착 공정(S100)은 전착본조(600)에 저수된 도료액에 피도물을 침수시키고, 피도물 및 전착본조(600)에 구비된 대극에 전류를 인가하여 피도물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음이온 또는 양이온 전착 공정 중 어느 하나가 실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electrodeposition process S100 is a process for submerging a workpiece in a coating solution stored in the electrodeposition base 600 and applying a current to the base and the counter electrode provided in the electrodeposition base 600 to form a coating film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cation electrodeposi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a known technique.

UF(Ultra filtration) 수세 공정은 전착 공정(S100)에서 석출된 도막의 표면장력에 의해 부착된 도료를 세척하여 제거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메인탱크(110)는 UFⅠ 수세 공정(S110)에 실시되고, 제2메인탱크(210)는 UFⅡ 수세 공정(S120)에 실시된다The ultrafiltration (UF) water washing process is a process of washing and removing the paint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coated film deposited in the electrodeposition process (S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in tank 110 is carried out in the UFI flushing process (S110), and the second main tank 210 is carried out in the UF II flushing process (S120)

UFⅠ 수세 공정(S110) 및 UFⅡ 수세 공정(S120)을 통해 피도물에 잔류된 도료가 UF여액을 통해 회수된 후 배출모듈(500)에 의해 전착본조(600)로 회수되어, 도료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The paint remaining on the workpiece is recovered through the UF I water washing process (S110) and the UF II water washing process (S120) through the UF filtrate and then recovered to the electro-deposition main body 600 by the discharge module 500, .

UFⅡ 수세 공정(S120)이 완료된 피도물은 건조(S130)되어 완성된 도막을 형성한다.The substrate on which the UF II water washing process (S120) is completed is dried (S130) to form a finished coating film.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10 : 제1메인탱크 130 : 제1서브탱크
150 : 제1수중펌프 210 : 제2메인탱크
230 : 제2서브탱크 250 : 제2수중펌프
W : 수세수 또는 UF여액 M : 피도물
110: first main tank 130: first sub tank
150: first submerged pump 210: second main tank
230: Second sub tank 250: Second submerged pump
W: Wash water or UF filtrate M: Coating material

Claims (7)

수세수를 분사하는 제1세척노즐이 구비된 제1메인탱크;
상기 제1메인탱크 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수세수를 배출하는 제1드레인;
상기 제1메인탱크의 외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메인탱크와 개구부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세척노즐에서 분사된 상기 수세수가 수용되는 제1서브탱크;
상기 제1서브탱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세척노즐과 연결된 제1수중펌프;
수세수를 분사하는 제2세척노즐이 구비된 제2메인탱크;
상기 제2메인탱크 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수세수를 배출하는 제2드레인;
상기 제2메인탱크의 외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메인탱크와 개구부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세척노즐에서 분사된 상기 수세수가 수용되는 제2서브탱크;
상기 제2서브탱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세척노즐과 연결된 제2수중펌프;
상기 제1서브탱크와 상기 제2서브탱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서브탱크에 수용된 수세수를 상기 제1서브탱크로 유동시키는 유동배관;
상기 제1서브탱크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메인탱크와 상기 제1수중펌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서브탱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거름망;
상기 제1서브탱크의 내측면에 사선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거름망의 양측을 지지하는 거름망 가이드;
T자로 분기되어 일측이 상기 제1서브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서브탱크에 연결되고, 외부의 공업용수를 상기 제2서브탱크로 공급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과 상기 제2서브탱크 사이에 구비되는 주밸브; 및
상기 공급배관과 상기 제1서브탱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의 공업용수가 상기 제1서브탱크로 직접 공급되도록 개폐되는 예비밸브;
를 포함하는 전착도장장치.
A first main tank having a first cleaning nozzle for spraying wash water;
A first drain disposed at one side of a lower end of the first main tank and discharging wastewater to the outside;
A first sub tank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outside the first main tank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main tank through the opening to receiv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washing nozzle;
A first submerged pump disposed inside the first sub tank and connected to the first cleaning nozzle;
A second main tank having a second cleaning nozzle for spraying wash water;
A second drai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ain tank for discharging wastewater to the outside;
A second sub tank integrally provided outside the second main tank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main tank through the opening to receiv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leaning nozzle;
A second submerged pump disposed inside the second sub tank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leaning nozzle;
A flow pip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b tank and the second sub tank for flowing wash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sub tank to the first sub tank;
A filter disposed in the first sub tank and provided between the first main tank and the first submerged pump to block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first sub tank;
A sieve guide provided in an oblique direction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 tank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sieve;
A supply pipe for branching into T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ub tank and the other side to the second sub tank and supplying external industrial water to the second sub tank;
A main valve disposed between the supply pipe and the second sub tank; And
A preliminary valve provided between the supply pipe and the first sub tank and opened or closed such that the external industrial wate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first sub tank;
And an electrodeposited co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중펌프는 상기 제1서브탱크의 내에 수용된 상기 수세수에 침수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수중펌프의 하단에 형성된 입수공으로 상기 수세수를 공급받아 상기 제1수중펌프의 상단에 구비된 출수관으로 상기 수세수를 배출하여 상기 제1세척노즐로 상기 수세수를 공급하는 전착도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ubmerged pump is disposed so as to be submerged in the wash water contained in the first sub tank, and the wash water is supplied to the inlet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bmerged pump, And discharging the wash water to a water outlet pipe to supply the wash water to the first wash nozz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탱크 내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수세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제1디스펜서; 및
상기 제1디스펜서에 연통되고 상기 제1서브탱크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디스펜서에 유입된 수세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예비드레인관;
을 더 포함하는 전착도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dispenser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ub tank and having an upper opening to allow water to flow therein; And
A first preliminary drai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penser and disposed outside the first sub tank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dispens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배관은 상기 제1서브탱크 내에서 상기 거름망 가이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수중펌프 측에 배치되는 전착도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pipe is disposed in the first sub tank with respect to the first submerged pump with respect to the drawing gu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서브탱크의 수세수가 상기 제2서브탱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전착도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heck valve provided on said flow pipe to prevent water flushing of said first sub tank from flowing back to said second sub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수는 UF여액이며,
상기 제1서브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UF여액을 전착 공정이 수행되는 전착본조로 공급시키는 배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착도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sh water is a UF filtrate,
And a discharge module provided in the first sub tank for supplying the UF filtrate to an electrodeposition tank where an electro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모듈은 상기 UF여액을 상기 전착본조로 유동시키는 배출배관; 및
상기 배출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UF여액을 유동시키는 배출펌프;
를 포함하는 전착도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ischarge module comprising: a discharge pipe for flowing the UF filtrate into the electrodeposition bath; And
A discharge pump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to flow the UF filtrate;
And an electrodeposited coating device.
KR1020190066356A 2019-06-05 2019-06-05 Apparatus for electro deposition coating reducing the use of rinsing water KR1020083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356A KR102008381B1 (en) 2019-06-05 2019-06-05 Apparatus for electro deposition coating reducing the use of rinsing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356A KR102008381B1 (en) 2019-06-05 2019-06-05 Apparatus for electro deposition coating reducing the use of rinsing wat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80U Division KR20190001395U (en) 2019-06-04 2019-06-04 Apparatus for electro deposition co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749A true KR20190067749A (en) 2019-06-17
KR102008381B1 KR102008381B1 (en) 2019-08-07

Family

ID=6706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356A KR102008381B1 (en) 2019-06-05 2019-06-05 Apparatus for electro deposition coating reducing the use of rinsing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38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4299A (en) * 1990-03-23 1991-12-05 Trinity Ind Corp Method for supplying cleaning water to spray-type multistage washing device
JPH0593297A (en) * 1991-09-30 1993-04-16 Trinity Ind Corp Device for preventing secondary dripping of electrodeposition coating film
JP2012106246A (en) * 2008-01-31 2012-06-07 Yokogawa Denshikiki Co Ltd Substrate wash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4299A (en) * 1990-03-23 1991-12-05 Trinity Ind Corp Method for supplying cleaning water to spray-type multistage washing device
JPH0593297A (en) * 1991-09-30 1993-04-16 Trinity Ind Corp Device for preventing secondary dripping of electrodeposition coating film
JP2012106246A (en) * 2008-01-31 2012-06-07 Yokogawa Denshikiki Co Ltd Substrate wash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381B1 (en)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4193B1 (en) Electroplating process including pre-wetting and rinsing
US8453655B2 (en) Surface treatment apparatus
JP5146841B2 (en) Plating equipment
KR101102328B1 (en) Wafer plating apparatus
CN112663119A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conductive roller from being plated with copper
US6716334B1 (en) Electroplating process chamber and method with pre-wetting and rinsing capability
KR20190001395U (en) Apparatus for electro deposition coating
KR200489454Y1 (en) Apparatus for electro deposition coating
CN207918989U (en) Zinc-plated automatic barrel plating production line
KR20190067749A (en) Apparatus for electro deposition coating reducing the use of rinsing water
CN210117435U (en) Production system for electrophoretic coating
JP2019519688A (en) How to wash plastic surfaces
JP4751419B2 (en) Electrodeposition water washing system
CN213977941U (en) Auxiliary groove for preventing copper plating of conductive roller on upper side of coating film
CN214142549U (en) Formed foil cleaning device
KR910007161B1 (en) Systeme for producing electroplated and treated metal foil
CN210117431U (en) Silane pretreatment system for electrophoretic coating
JP3165521B2 (en) Washing method of electrodeposition coating
CN110699718A (en) Method for electroplating alkali copper on gravure roller
JP3253831B2 (en) Pretreatment method for electrodeposition coating
JPS6226456Y2 (en)
CN220665491U (en) Electroplating device
CN220643302U (en) Flushing device for automobile electrophoresis
KR100682544B1 (en) The apparatus for electro chemical deburring
JPH0419320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