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517A - 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속 신규 균주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가축분뇨 악취저감 조성물 - Google Patents

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속 신규 균주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가축분뇨 악취저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517A
KR20190067517A KR1020170167536A KR20170167536A KR20190067517A KR 20190067517 A KR20190067517 A KR 20190067517A KR 1020170167536 A KR1020170167536 A KR 1020170167536A KR 20170167536 A KR20170167536 A KR 20170167536A KR 20190067517 A KR20190067517 A KR 20190067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strain
oceanobacillus
livestock
st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0330B1 (ko
Inventor
이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앤아이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앤아이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앤아이미트
Priority to KR102017016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3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95Specific microorganisms
    • C12R1/0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분뇨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감소시키는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Oceanobacillus) 속 신규 균주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가축분뇨 악취저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돈분(豚糞)과 계분(鷄糞)이 혼합된 축산분뇨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오시아노바실러스 치로노미(Oceanobacillus chironomi) SE-1-L 균주(기탁번호; KCCM 12148P)와 오시아노바실러스 인디시레두센스(Oceanobacillus indicireducens) SE-2-L 균주(기탁번호; KCCM 12149P) 및 오시아노바실러스 루테오루스(Oceanobacillus luteolus) NO-2-L 균주(기탁번호; KCCM 12150P)와, 이들을 포함하는 축산분뇨 악취저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속 신규 균주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가축분뇨 악취저감 조성물{Novel strains of Oceanobacillus species having activity to reduce foul smell from livestock excretions and a composition containing them}
본 발명은 축산분뇨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감소시키는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Oceanobacillus) 속 신규 균주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가축분뇨 악취저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돈분(豚糞)과 계분(鷄糞)이 혼합된 축산분뇨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오시아노바실러스 치로노미( Oceanobacillus chironomi ) SE-1-L 균주와 오시아노바실러스 인디시레두센스(Oceanobacillus indicireducens ) SE-2-L 균주 및 오시아노바실러스 루테오루스(Oceanobacillus luteolus ) NO-2-L 균주와 이들을 포함하는 축산분뇨 악취저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축산분뇨는 COD(chemical oxygen demand), BOD(biological oxygen demand), SS(suspended solids), T-N(total nitrogen) 및 T-P(total phosphate)가 매우 높은 오염 수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환경처리 방식의 수 처리 방식으로 쉽게 정화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다. 더구나 축산분뇨는 유기물 함량이 높고 저장용량이 많아 심한 악취가 발생하며, 이러한 악취는 생활환경을 오염시켜 민원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가축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켜서 폐사율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축산분뇨에서 악취를 발생하는 원인 성분으로는 암모니아 태 질소, 황화수소를 포함한 황 화합물, 카르보닐 화합물, 아민류, 지방산, 탄화수소 및 케톤류 등이 있으며, 이중에서 암모니아 태 질소와 황화수소를 포함한 황 화합물 및 지방산이 악취의 주된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다. 특히 돈분(豚糞)에는 요소(urea)가 많고, 계분(鷄糞)에는 요산(uric acid)이 많아 혐기상태에서 암모니아로 전환됨으로써 악취를 발생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축산분뇨의 악취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유기산제 살포, 생균제 급여 및 살포, 광합성 균의 사용, 식물 추출물 급여 및 살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축산분뇨의 악취를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축산분뇨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알카리 조건에서 성장이 우수하고, 영양원의 구성, 염도내성, 온도 등 여러 측면에서 미생물 성장조건을 충족해야만 그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종래에 알려진 미생물을 이용한 축산분뇨의 처리방법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34474호(2014년 03월 20일)에는 무코 서시넬로이드스(Mucor circinelloids),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와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Stenotrophomonas maltophilia)를 1 : 0.9~1.2 : 0.9~1.2의 수량비로 구성한 분뇨 악취제거 미생물 조합균 및 그 유기비료의 생산방법이 공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10-2014-0114564호(2014년 09월 29일)에는 신규한 질화균인 니트로박터 속(Nitrobacter sp. H2S1)의 균주를 포함하는 고농도 오폐수 중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미생물제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의 처리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7448호(2016년 08월 04일)에는 누룩곰팡이(Aspergillus)를 이용한 분뇨 제거용 미생물 제조방법 및 분뇨소멸 악취제거제가 소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10-2017-0074308호(2017년 06월 30일)에서는 맥반석, 천매암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암석분말 및 효모, 유산균, 바실러스, 광합성균 및 방선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배양균을 포함하며, 가축축사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스, 특히 암모니아, 황화합물, 카르보닐 화합물, 아민류, 탄화수소 및 케톤류와 같은 복합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악취제거용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이외에도, 곰팡이균인 Candida rugosa , Candida maris 균주는 휘발성 지방산과 암모니아태 질소의 BOD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고(Asian-Aust. J. Anim. Sci. 2004. Vol. 17, No. 9 : 1286~1290), Bacillus pallidus , Bacillus coagulans , Bacillus badius 균주는 고온성 암모니아 내성 세균을 분리하고 동물분변의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태 질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며(Biosci. Biotechnol. Biochem., 68(2), 286~292, 2004), Bacillus subtilis sub, spizizenii LOCK 0272, Bacillus megaterium LOCK 0964, Pseudomonas sp. LOCK 0961, Psychro bacterfascalis LOCK 0965, Leucono syocmesenteroides LOCK 0964, Streptomyces violaceoruber LOCK 0967, Candida inconspicua LOCK 0272 균주는 계분의 휘발성 악취성분인 암모니아, 황화수소,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이소부틸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41, 70~76, 2014).
공개특허 제10-2014-0034474호(2014년 03월 20일) 공개특허 제10-2014-0114564호(2014년 09월 29일) 등록특허 제10-1647448호(2016년 08월 04일) 공개특허 제10-2017-0074308호(2017년 06월 30일)
Asian-Aust. J. Anim. Sci. 2004. Vol. 17, No. 9 : 1286~1290 Biosci. Biotechnol. Biochem., 68(2), 286~292, 2004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41, 70~76, 2014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산분뇨 내에서 성장력이 우수하고, 축산분뇨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에 대한 분해 및 탈질작용으로 우수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Oceanobacillus) 속의 신규한 미생물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오시아노바실러스( Oceanobacillus ) 속의 미생물 조합균 또는 이들 균주들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축산분뇨 악취제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규의 미생물은, 돈분(豚糞)과 계분(鷄糞)이 혼합된 축산분뇨로부터 유래되고, 상기 축산분뇨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에 대한 분해 및 탈질작용으로 우수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치로노미(Oceanobacillus chironomi) SE-1-L 균주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규의 미생물은, 돈분(豚糞)과 계분(鷄糞)이 혼합된 축산분뇨로부터 유래되고, 상기 축산분뇨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에 대한 분해 및 탈질작용으로 우수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인디시레두센스(Oceanobacillus indicireducens) SE-2-L 균주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규의 미생물은, 돈분(豚糞)과 계분(鷄糞)이 혼합된 축산분뇨로부터 유래되고, 상기 축산분뇨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에 대한 분해 및 탈질작용으로 우수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루테오루스(Oceanobacillus luteolus) NO-2-L 균주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 악취제거 조성물은, 돈분(豚糞)과 계분(鷄糞)이 혼합된 축산분뇨로부터 유래된 오시아노바실러스 치로노미 SE-1-L 균주, 오시아노바실러스 인디시레두센스 SE-2-L 균주 또는 오시아노바실러스 루테오루스 NO-2-L 균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시아노바실러스 치로노미 SE-1-L 균주와 오시아노바실러스 인디시레두센스 SE-2-L 균주 및 오시아노바실러스 루테오루스 NO-2-L 균주는 각각 2017년 11월 06일자로 (사)한국종균협회(KCCM)에 기탁번호 KCCM 12148P와 KCCM 12149P 및 KCCM 12150P로 기탁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미생물 균주들은 돈분과 계분이 혼합된 축산분뇨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각각 내열성, 내염성이 우수하고 균학적으로 호알카리성 및 호기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축산분뇨 내에서 성장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규 균주들은 축산분뇨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에 대한 분해 및 탈질작용이 우수하여 결과적으로 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배양 및 분리한 신규 균주 7종에 대한 전기영동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치로노미 SE-1-L 균주의 계통수,
도 3은 오시아노바실러스 인디시레두센스 SE-2-L 균주의 계통수,
도 4는 오시아노바실러스 루테오루스 NO-2-L 균주의 계통수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이며,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보다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신규 균주들의 분리 및 동정 방법을 설명한다. 돈분과 계분이 7:3의 중량비로 혼합된 분뇨(이하,‘복합분뇨시료’라 한다)를 제조하고, 여기에 동일량의 멸균수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5리터 발효기에 넣고 150rpm 교반 하에 95% 산소를 공급하면서 35℃에서 5일간 배양한 다음, 고온에서 안정성이 있는 미생물을 얻기 위하여 65℃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한 분뇨시료를 제조하였다.
ISP6 배지(15g Peptic digest animal tissue, 5g Proteose peptone, 1g Yeast extract, 0.5g Ferric ammonium citrate, 1g Dipotassium phosphate, 0.08g Sodiumthiosulphate, 15g Agar)에 상기 복합분뇨시료 10중량%를 혼합하고, 여기에 앞서 열처리 한 분뇨시료를 도말하여 35℃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ISP6 배지에서 106~107 정도 우점으로 나타나는 박테리아 코로니(colony)를 분리하고, 이를 상기 복합분뇨시료 10중량%가 혼합된 TSA(15g Tryptone, 5g enzymatic digest of soybean meal soytone, 5g Sodium chloride 15g Agar) 한천배지에서 순수 배양하여 1차 미생물을 선발하였다.
상기 복합분뇨시료에 한천 1.5중량%가 포함된 분뇨배지를 제조하고, 이 한천분뇨배지에다 상기 1차 미생물을 배양하여 상기 분뇨배지에서 잘 성장하는 미생물을 2차 미생물로 선발하였다.
상기 2차 미생물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15㎖ 시험관에 멸균수 1㎖를 넣고 상기 2차 미생물의 코로니를 동일량으로 현탁시킨 다음, 여기에 상기 복합분뇨시료 3㎖를 투입하고, 35℃에서 배양하면서 복합악취 측정기(MultiRAE lite, RAE System Inc., USA)로 24시간 마다 황화수소와 암모니아의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2차 미생물 중에서 황화수소와 암모니아의 제거능력이 우수한 미생물을 선별하고, 16s rRNA 분석을 통하여 균주동정을 실시하였다. 16s rRNA 유전자 추출은 상기 복합분뇨시료 10중량%가 첨가된 TSA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균주를 이용하였고, 균주의 배양은 상기 TSA 액체배지에서 30 ℃, 170 rpm의 조건에서 5일 동안 배양하여 미생물 세포를 회수한 다음, genomic DNA를 확보하였다. 상기 genomic DNA는 TE(Tris-EDTA) buffer를 이용하여 4 ℃에서 보관 하였다.
상기 16s rRNA 유전자 추출은 세균 동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universal primer인 27F 와 1492R을 사용하여 PCR을 진행하였으며, Tm value는 56.4 ℃에서 30 cycle로 수행하였다.
16s rRNA 유전자 추출에 사용한 universal primer
Oligo Sequence Length
27F AGAGTTTGATCMTGGCTCAG 20 mer
1492R CGGTTACCTTGTTACGACTT 20 mer
상기 16s rRNA 유전자의 PCR product에 대하여 fragment DNA 정제키트(iNtRON Biotechnology)로 gel extraction을 수행하여 fragment DNA를 확보하였다. 이렇게 하여 16s rRNA 유전자를 추출한 결과, 약 1.4 ~ 1.8 kb 크기의 밴드를 확인하였고 이후 각 균주들에 대한 동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E.coli Top10 균주에 t-vector cloning을 진행하고, 50 μ농도의 암피실린(Thermo Fisher Scientific)이 첨가된 LB agar 배지에 IPTG와 X-gal을 첨가하여 블루 화이트 스크리닝 방법으로 균주를 선별하였다. 클로닝(cloning)된 E.coli Top 10 균주 선별하고, 50 μ농도의 암피실린이 첨가된 LB 액체배지에서 전배양(preculture)을 실시한 다음, plasmid DNA 정제키트(iNtRON Biotechnology)를 이용하여 plasmid DNA를 확보하였다. 상기 plasmid DNA와 universal primer인 27F, 1492R, M13F, M13R-pUC을 이용하여 유전체분석 전문기업인 MACROGEN사(korea)에 시퀀싱(sequencing)을 의뢰하였다.
Sequencing에 사용한 universal primer
Oligo Sequence Length
27F AGAGTTTGATCMTGGCTCAG 20 mer
1492R CGGTTACCTTGTTACGACTT 20 mer
M13F GTAAAACGACGGCCAGT 17 mer
M13R-pUC CAGGAAACAGCTATGAC 17 mer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16s rRNA sequencing을 실시하여 7종의 신규 균주에 대한 16s rRNA 유전자를 확보하고, 이들을 각각 SE-1-L, SE-2-L, SE-2-S-L, HA-3-S, HA-5-L, DO-1, NO-2-L 균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블라스트(blast)를 통하여 상기 7종의 신규 균주에 대한 동정을 수행한 결과, SE-1-L 균주와 DO-1 균주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치로노미(Oceanobacillus chironomi), SE-2-L 균주와 SE-2-S-L 균주 및 3-S 균주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인디시레두센스(Oceanobacillus indicireducens), HA-5-L 균주는 오시아노바실러스속(Oceanobacillus sp .), NO-2-L 균주는 오시아노바실러스 루테오루스(Oceanobacillus luteolus)에 각각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7종의 균주로부터 16s RNA 유전자를 추출하여 PCR 증폭을 한 다음, 전기영동분석을 통하여 약 1.4~1.8kb 크기의 유전자 밴드를 확인하였다. 첨부 도 1 은 이러한 전기영동분석의 결과를 수록한 것이다.
[ 실험예 1] 각 균주별 암모니아 분해능력 시험
TSA 배지에다 상기 복합분뇨시료 10중량%를 혼합하고, 여기에서 상기 신규 균주 7종을 각각 배양한 후, 이들 균주를 각각 15㎖ 시험관에 1㎖씩 분주하였다. 여기에 상기 복합분뇨시료를 3㎖씩 넣고 35℃에서 4일간 배양하면서 복합악취 측정기(MultiRAE lite, RAE System Inc., USA)를 사용하여 24시간 마다 악취성분인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한 다음,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수록 하였다.
각 균주별 암모니아 악취저감 시험결과(단위 ppm)
균주명 24hr 48hr 72hr 96hr 120hr 144hr
DO-1 12 13 10 10 8 4
SE-1-L 21 12 8 5 2 2
SE-2-L 19 12 9 8 4 2
SE-2-S-L 24 22 14 10 9 6
HA-3-S 15 9 10 8 6 4
HA-5-L 18 18 13 7 5 6
NO-2-L 17 13 8 5 3 1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균주의 종류에 따라 암모니아 악취를 감소시키는 경향은 조금씩 다르지만, SE-1-L, SE-2-L, HA-3-S 균주가 48시간 동안 우수한 암모니아 감소를 보였으며, 144시간이 경과 후에는 SE-1-L, SE-2-L 및 NO-2-L균주가 전체적으로 악취를 감소시키는 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각 균주별 황화수소 및 암모니아 분해능력 시험
상기 복합분뇨시료 10중량%가 혼합된 TSA 배지에다 상기 신규 균주 7종을 각각 배양하고, 15㎖ 시험관에 각 균주를 1㎖씩 분주하였다. 여기에 상기 복합분뇨시료를 3㎖씩 넣고, 35℃에서 4일간 배양하면서 악취성분인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다음 표 4에 수록하였다.
균주명 24hr 48hr 72hr 96hr
H2S NH3 H2S NH3 H2S NH3 H2S NH3
DO-1 0 20 >100 13 90.7 4 61.9 6
SE-1-L 0 23 0.6 14 0 5 0 2
SE-2-L 8 22 0.6 14 0 7 0 3
SE-2-S-L 5 22 0.6 15 0.5 7 0 3
HA-3-S 0 23 0 14 0 3 0 1
HA-5-L 0 25 0 15 0 0 0 2
NO-2-L 0 21 0 13 0 8 0 2
상기 신규 균주 7종은 모두 시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암모니아 악취를 줄이는 결과가 있었으나, 일부 균은 황화수소가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결과가 있었다. 이중 SE-1-L, SE-2-L, HA-3-S, HA-5-L 균주 및 NO-2-L 균주는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제거에 특히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조합균주별 악취저감 능력 시험
다음 표 5와 같이 상기 신규 균주들을 3종 또는 4종씩 동일한 비율로 조합하여 모두 6종의 조합균주를 분류하고, 이들 조합균주를 각각 상기 복합분뇨시료 10중량%가 혼합된 TSA 배지에 접종한 다음, 5L 발효기에서 배양용량 2.5L, 35℃, 0.1vvm, 150rpm 조건에서 2일간 배양하면서 황화수소와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5에 수록하였다.
조합균주별 악취저감 능력 시험결과(단위 : ppm)
No.
조합균주
0hr 24hr 48hr
H2S NH3 H2S NH3 H2S NH3
1 DO-1, SE-2-L, SE-2-S-L, NO-2-L 4.7 74 2.8 30 0.0 22
2 DO-1, HA-3-S, HA-5-L, NO-2-L 6.4 80 1.7 21 0.0 11
3 SE-1-L, SE-2-L, SE-2-S-L, NO-2-L 4.5 70 2.6 27 0.0 16
4 SE-1-L, HA-3-L, HA-5-L, NO-2-L 5.1 77 0.0 12 0.0 7
5 SE-1-L, SE-2-L, NO-2-L 5.0 82 0.0 10 0.0 4
6 HA-3-S, HA-5-L, NO-2-L 4.8 80 0.0 18 0.0 10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SE-1-L 균주와 SE-2-L 균주 및 NO-2-L 균주가 동일한 비율로 혼합된 조합균주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3종의 신규 균주들, 즉 오시아노바실러스 치로노미(Oceanobacillus chironomi) SE-1-L 균주와, 오시아노바실러스 인디시레두센스(Oceanobacillus indicireducens) SE-2-L 균주, 및 오시아노바실러스 루테오루스(Oceanobacillus luteolus) NO-2-L 균주를 본 발명의 신규 균주로 특정하고, 11월 06일자로 (사)한국종균협회(KCCM)에 미생물 기탁을 완료 하였다.
[ 실험예 4] 신규 균주들에 대한 유전자 서열 분석 및 균학적 특성
상기 SE-1-L 균주와 SE-2-L 균주 및 NO-2-L 균주에 대하여 각각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동정과 계통분류도(dendrogram)을 완성하여 연관 미생물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였다. 첨부 서열목록 1~3 및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SE-1-L 균주와 SE-2-L 균주 및 NO-2-L 균주에 대한 16s rRNA 유전자 서열과 계통수(phylogenetic tree)를 수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균주인 SE-1-L 균주와 SE-2-L 균주 및 NO-2-L 균주는 모두 그람양성균으로서 운동성이 있고, 내생포자(endo-spore)를 가지며, 염내성(halo-tolerant)이 있고, 알카리 환경조건을 좋아하는 중온성 미생물이다.
또한 상기 신규 균주들은 암모니아태 질소의 탈질작용(denitrification)을 통한 질소 제거능력이 우수하고, 카탈라제(catalase), 옥시다제(oxidase) 양성균으로서, 특히 축산분뇨의 물리화학적 조건인 알카리 조건과 높은 염류 조건 및 유기물 함량 조건에서 성장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110> UNIMEAT <120> Novel strains of Oceanobacillus species having activity to reduce foul smell from livestock excretions and a composition containing them <130> IS17P050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08 <212> RNA <213> Unknown <220> <223> Oceanobacillus chironomi SE-1-L(KCCM 12148P) <400> 1 gttaccccac cgacttcggg tgttaccgac tctcgtggtg tgacgggcgg tgtgtacaag 60 acccgggaac gtattcaccg tggcatgctg atccacgatt actagcgatt ccggcttcat 120 gcaggcgagt tgcagcctgc aatccgaact gagaatggtt ttatgggatt tgcttgacct 180 cgcggttttg ctcccctttg ttccatccat tgtagcacgt gtgtagccca ggtcataagg 240 ggcatgatga tttgacgtca tccccacctt cctccggttt gtcaccggca gtcaccttag 300 agtgcccaac taaatgctgg caactaagat caagggttgc gctcgttgcg ggacttaacc 360 caacatctca cgacacgagc tgacgacaac catgcaccac ctgtcaccac tgtccccgaa 420 gggaaagcta tgtctccata gcggccagtg ggatgtcaag acctggtaag gttcttcgcg 480 ttgcttcgaa ttaaaccaca tgctccaccg cttgtgcggg tccccgtcaa ttcttttgag 540 tttcagcctt gcggccgtac tccccaggcg gagtgcttaa tgcgttaact tcagcactaa 600 ggggcggaaa ccccctaaca cctagcactc atcgtttacg gcgtggacta ccagggtatc 660 taatcctgtt tgctccccac gctttcgctc ctcagcgtca gttacagacc agagagtcgc 720 cttcgccact ggtgttcctc cacatctcta cgcatttcac cgctacacgt ggaattccac 780 tctcctcttc tgtactcaag tcctccagtt tccaatgacc gcttacggtt gagccgtaag 840 atttcacatc agacttaaaa gaccgcctgc gagcgcttta cgcccaataa ttccggacaa 900 cgcttgccac ctacgtatta ccgcggctgc tggcacgtag ttagccgtgg ctttctggtt 960 aggtaccgtc aaggtacgag cagttactct cgtacttgtt cttccctaac aacagagttt 1020 tacgatccga aaaccttcat cactcacgcg gcgttgctcc gtcagacttt cgtccattgc 1080 ggaagattcc ctactgctgc ctcccgtagg agtctgggcc gtgtctcagt cccagtgtgg 1140 ccgatcaccc tctcaggtcg gctacgcatc gtcgccttgg taggccatta ccccaccaac 1200 tagctaatgc gccgcgggcc catctgtaag tgacagcaaa accgtctttc attcttttac 1260 caggaggtaa aagacattat ccggtattag ctcacgtttc cgcaagttat cccgatctta 1320 caggcaggtt gcccacgtgt tactcacccg tccgccgctc gatccacaat tcgtcactcc 1380 gaagagatct gaaaagtttc acgcgctc 1408 <210> 2 <211> 1231 <212> RNA <213> Unknown <220> <223> Oceanobacillus indicireducens SE-2-L(KCCM 12149P) <400> 2 gtgtgacggg cggtgtgtac aagacccggg aacgtattca ccgtggcatg ctgatccacg 60 attactagcg attccggctt catgcaggcg agttgcagcc tgcaatccga actgagaatg 120 gttttatggg atttgctaca cctcgcggct tcgctcccct ttgttccatc cattgtagca 180 cgtgtgtagc ccaggtcata aggggcatga tgatttgacg tcatccccac cttcctccga 240 tttgtcaccg gcagtcacct tagagtgccc aactgaatgc tggcaactaa gattaagggt 300 tgcgctcgtt acgggactta acccaacatc tcacgacacg agctgacgac aaccatgcac 360 cacctgtcac cactgtcccc gaagggaaag ttatgtctcc ataacggtca gtgggatgtc 420 aagacctggt aaggttcttc gcgttgcttc gaattaaacc acatgctcca ccgcttgtgc 480 gggtccccgt caattctttt gagtttcagc cttgcggccg tactccccag gcggagtgct 540 taatgcgtta actgcagcac taaggggcgg aaacccccta acacctagca ctcatcgttt 600 acgacgtgga ctaccagggt atctaatcct gtttgctccc cacgctttcg ctcctcagcg 660 tcagttacag accagagagt cgccttcgcc actggtgttc ctccacatct ctacgcattt 720 caccgctaca cgtggaattc cactctcctc ttctgtactc aagtcctcca gtttccaatg 780 accgcttacg gttaagccgc aagatttcac atcagactta aaagaccgcc tgcgagcgct 840 ttacgcccaa taattccgga caacgcttgc cacctacgta ttaccgcggc tgctggcacg 900 tagttagccg tggctttctg gtcaggtacc gtcaaggtct gagcagttac tctcaaactt 960 gttcttccct gacaacagag ttttacgatc cgaaaacctt catcactcac gcggcgttgc 1020 tccgtcagac tttcgtccat tgcggaagat tccctactgc tgcctcccgt aggagtctgg 1080 gccgtgtctc agtcccagtg tggccgatca ccctctcagg tcggctacgc atcgtcgcct 1140 tggtaggcca ttaccccacc atctagctaa tgcgccgcgg gcccatctgt aagtgacagc 1200 atagccgtct ttcatcaaca catcaggaga t 1231 <210> 3 <211> 1384 <212> RNA <213> Unknown <220> <223> Oceanobacillus luteolus NO-2-L(KCCM 12150P) <400> 3 gttacctcac cgacttcggg tgttaccaac tctcgtggtg tgacgggcgg tgtgtacaag 60 acccgggaac gtattcaccg tggcatgctg atccacgatt actagcgatt ccggcttcat 120 gcaggcgagt tgcagcctgc aatccgaact gagaatggtt ttatgggatt tgcttcacct 180 cgcggcttcg ctcccctttg ttccatccat tgtagcatgt gtgtagccca ggtcataagg 240 ggcatgatga tttgacgtca tccccacctt cctccggttt gtcaccggca gtcaccttag 300 agtgcccaac tgaatgctgg caactaagat caagggttgc gctcgttgcg ggacttaacc 360 caacatctca cgacacgagc tgacgacaac catgcaccac ctgtcaccgc tgtccccgaa 420 gggaaagtca tgtctccatg acggtcagcg ggatgtcaag acctggtaag gttcttcgcg 480 ttgcttcgaa ttaaaccaca tgctccaccg cttgtgcggg tccccgtcaa ttcttttgag 540 tttcagcctt gcggccgtac tccccaggcg gagtgcttaa tgcgttaact gcagcactaa 600 ggggcggaaa ccccctaaca cctagcactc atcgtttacg gcgtggacta ccagggtatc 660 taatcctgtt tgctccccac gctttcgctc ctcagcgtca gttacagacc agagagtcgc 720 cttcgccact ggtgttcctc cacatctcta cgcatttcac cgctacacgt ggaattccac 780 tctcctcttc tgtactcaag tcctccagtt tccaatgacc gcttacggtt aagccgcaag 840 atttcacatc agacttagaa gaccgcctgc gagcccttta cgcccaataa ttccggacaa 900 cgcttgccac ctacgtatta ccgcggctgc tggcacgtag ttagccgtgg ctttctggtt 960 aggtaccgtc aaggtgcgag cagttactct cgcacttgtt cttccctaac aacagagctt 1020 tacgatccga agaccttcat cgctcacgcg gcgttgctcc gtcagacttt cgtccattgc 1080 ggaagattcc ctactgctgc ctcccgtagg agtctgggcc gtgtctcagt cccagtgtgg 1140 ccgatcaccc tctcaggtcg gctacgcatc gtcgccttgg taggccatta ccccaccaac 1200 tagctaatgc gccgcgggcc catctgtaag tgacagcaaa accgtctttc atctccacac 1260 caggaggtgt ggagcattat ccggtattag ctcacgtttc cgcaagttat cccgatctta 1320 caggcaggtt gcccacgtgt tactcacccg tccgccgctc gttccacaga cgtcaccccg 1380 aagg 1384

Claims (5)

  1. 돈분(豚糞)과 계분(鷄糞)이 혼합된 축산분뇨로부터 유래되고, 상기 축산분뇨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에 대한 분해 및 탈질작용으로 우수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치로노미(Oceanobacillus chironomi) SE-1-L 균주(기탁번호; KCCM 12148P).
  2. 돈분(豚糞)과 계분(鷄糞)이 혼합된 축산분뇨로부터 유래되고, 상기 축산분뇨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에 대한 분해 및 탈질작용으로 우수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인디시레두센스(Oceanobacillus indicireducens) SE-2-L 균주(기탁번호; KCCM 12149P).
  3. 돈분(豚糞)과 계분(鷄糞)이 혼합된 축산분뇨로부터 유래되고, 상기 축산분뇨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에 대한 분해 및 탈질작용으로 우수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루테오루스(Oceanobacillus luteolus) NO-2-L 균주(기탁번호; KCCM 12150P).
  4. 돈분(豚糞)과 계분(鷄糞)이 혼합된 축산분뇨로부터 유래된 오시아노바실러스 치로노미(Oceanobacillus chironomi) SE-1-L 균주, 오시아노바실러스 인디시레두센스(Oceanobacillus indicireducens) SE-2-L 균주 또는 오시아노바실러스 루테오루스(Oceanobacillus luteolus) NO-2-L 균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의 악취저감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시아노바실러스 치로노미SE-1-L 균주와 상기 오시아노바실러스 인디시레두센스 SE-2-L 균주 및 상기 오시아노바실러스 루테오루스 NO-2-L 균주 또는 이들 각각의 배양물은 각각 동일한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의 악취저감 조성물.
KR1020170167536A 2017-12-07 2017-12-07 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속 신규 균주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가축분뇨 악취저감 조성물 KR102150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536A KR102150330B1 (ko) 2017-12-07 2017-12-07 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속 신규 균주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가축분뇨 악취저감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536A KR102150330B1 (ko) 2017-12-07 2017-12-07 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속 신규 균주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가축분뇨 악취저감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517A true KR20190067517A (ko) 2019-06-17
KR102150330B1 KR102150330B1 (ko) 2020-09-01

Family

ID=6706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536A KR102150330B1 (ko) 2017-12-07 2017-12-07 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속 신규 균주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가축분뇨 악취저감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3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783A (ko) 2019-10-31 2021-05-11 (주)진바이오텍 축산 악취 저감용 조성물
KR102350413B1 (ko) 2020-10-22 2022-01-13 (주)진바이오텍 축산 악취 저감 분무용 조성물
KR102368580B1 (ko) * 2021-10-07 2022-02-25 박한용 고온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고온성 바실러스 속의 신규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축산분뇨 악취저감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401B1 (ko) 2022-11-10 2023-06-14 우림바이오 주식회사 악취 저감 효과를 갖는 신규한 저온성 사이크로바실러스 사이크로듀란스 ub-153 균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1355A (ja) * 2008-03-17 2009-10-01 Suzuki Farm:Kk 家畜の糞を固形燃料にする方法
KR20140034474A (ko) 2012-09-12 2014-03-20 이재두 일종의 분뇨악취제거 미생물 조합균 및 그 유기비료의 생산방법
KR20140114564A (ko) 2013-03-19 2014-09-29 황선호 고농도 오폐수 중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미생물제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처리 시설의 처리방법
KR101647448B1 (ko) 2015-02-23 2016-08-10 (주)지에스시엔티 분뇨 제거용 미생물 제조방법 및 분뇨 소멸 악취 제거제
KR20170074308A (ko) 2015-12-21 2017-06-30 (주)누리에코 악취 제거용 조성물
KR20170109742A (ko) * 2016-03-21 2017-10-10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플락 유용유기물을 포함하는 해삼 사료와 그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1355A (ja) * 2008-03-17 2009-10-01 Suzuki Farm:Kk 家畜の糞を固形燃料にする方法
KR20140034474A (ko) 2012-09-12 2014-03-20 이재두 일종의 분뇨악취제거 미생물 조합균 및 그 유기비료의 생산방법
KR20140114564A (ko) 2013-03-19 2014-09-29 황선호 고농도 오폐수 중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미생물제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처리 시설의 처리방법
KR101647448B1 (ko) 2015-02-23 2016-08-10 (주)지에스시엔티 분뇨 제거용 미생물 제조방법 및 분뇨 소멸 악취 제거제
KR20170074308A (ko) 2015-12-21 2017-06-30 (주)누리에코 악취 제거용 조성물
KR20170109742A (ko) * 2016-03-21 2017-10-10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플락 유용유기물을 포함하는 해삼 사료와 그 생산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sian-Aust. J. Anim. Sci. 2004. Vol. 17, No. 9 : 1286~1290
Biosci. Biotechnol. Biochem., 68(2), 286~292, 2004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2017.01.09., Vol. 81, No. 5, pp. 1018-1025.* *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2007, vol. 57, pp. 255-259.* *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41, 70~76, 2014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783A (ko) 2019-10-31 2021-05-11 (주)진바이오텍 축산 악취 저감용 조성물
KR102350413B1 (ko) 2020-10-22 2022-01-13 (주)진바이오텍 축산 악취 저감 분무용 조성물
KR102368580B1 (ko) * 2021-10-07 2022-02-25 박한용 고온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고온성 바실러스 속의 신규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축산분뇨 악취저감 조성물
KR102380358B1 (ko) * 2021-10-07 2022-03-30 박한용 고온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고온성 바실러스 속의 신규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축산분뇨 악취저감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330B1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330B1 (ko) 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속 신규 균주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가축분뇨 악취저감 조성물
CN108977399B (zh) 一株粪产碱杆菌及其应用
WO2007114324A1 (ja) バイオマス処理方法、堆肥、畜産用敷料、及びバイオマス用処理剤
CN107384817B (zh) 具有酶活性、减少氨及硫化氢的功效的枯草芽孢杆菌菌株及其用途
CN112625942B (zh) 一种好氧反硝化菌及其应用
JP6346982B1 (ja) ラウルテラ属の微生物の単離方法及び植物性廃棄物処理剤の製造方法並びに植物性廃棄物処理方法
EP1449814A1 (en) Fungi and their symbiotic bacterial group suitable for treating organic waste, and uses thereof
CN107345213B (zh) 一种降解奶牛粪便酸臭物的赖氨酸芽孢杆菌及其应用
CN108977398B (zh) 一株巨大芽孢杆菌及其应用
JP2008230919A (ja) 肥料、土壌改良剤又は下水処理調整剤の製造方法
CN112551692A (zh) 具有好氧反硝化和异养硫氧化功能的盐单胞菌及其应用
EP1210407B1 (en) Bacterial consortium ebc1000 and a method using the bacterial consortium ebc1000 for remedying biologically recalcitrant toxic chemicals contained in industrial wastewater, waste materials and soils
Zhao et al. Isolation and application of a thermotolerant nitrifying bacterium Gordonia paraffinivorans N52 in sewage sludge composting for reducing nitrogen loss
Liu et al. Paecilomyces variotii: a fungus capable of removing ammonia nitrogen and inhibiting ammonia emission from manure
KR20080013839A (ko) 복합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슬러지를 전처리 공정 없이지렁이 처리하는 방법
Feng et al. Screening and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a tylosin-degrading strain
KR102368580B1 (ko) 고온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고온성 바실러스 속의 신규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축산분뇨 악취저감 조성물
CN113293111B (zh) 一种具有脱氮功能的居海杆状菌及其应用
Sumathi et al. Impact of organic rich diet on gut enzymes, microbes and biomass of earthworm, Eudrilus eugienea
CN1177034C (zh) 能降解动物排泄物的称作jsb98.0的混合微生物群
Fitriyanto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caligenes sp. LS2T from poultry farm at Yogyakarta city and the growth ability in animal’s urine medium
CN108441437B (zh) 一种复合菌剂及其应用
KR101898660B1 (ko)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 sn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음식물쓰레기처리제제
JP5557209B2 (ja) 高温性アンモニア酸化細菌およびそれを用いる堆肥の製造方法
KR102551904B1 (ko)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bs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감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