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335A -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335A
KR20190067335A KR1020170167168A KR20170167168A KR20190067335A KR 20190067335 A KR20190067335 A KR 20190067335A KR 1020170167168 A KR1020170167168 A KR 1020170167168A KR 20170167168 A KR20170167168 A KR 20170167168A KR 20190067335 A KR20190067335 A KR 20190067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dust
dust suction
safety diagnosi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수
조해창
강현
송진수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7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7335A/ko
Publication of KR20190067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밀폐부(10); 상기 밀폐부의 내부와 연통되어 밀폐부 내부의 분진과 공기가 흡입 배출되는 통로인 흡입관(20); 및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블로워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주름관 형상을 이루는 원통형상의 제1부재(11)와, 상기 제1부재의 말단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되는 제2부재(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부재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dust suction device for concrete safety diagnosis}
본 발명은 건축물 안전진단시에 발생하는 콘크리트 미세분진을 흡입하여 미세분진의 비산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고려하며 또한 작업장에 미세분진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여 불필요한 제품 불량발생을 방지하고 제품생산 지연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 드릴이나 핸드 그라인더 공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안전진단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드릴링이나 핸드 그라이딩 과정에서 많은 비산 분진이 발생한다.
드릴링이나 그라인딩을 실시할 때 발생되는 콘크리트 파편과 분진이 작업을 실시하는 주변에 비산되어지면서 작업주위를 크게 오염시키므로 오염된 분위기에서 작업을 수행해야하는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고, 드릴링작업을 수행할 때 이물질이 작업자의 눈에 까지 침투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작업자와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장기간에 걸쳐 콘크리트의 분진을 마시는 경우 진폐증에 걸릴 확률이 높아져 아주 큰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어 드릴이나 그라인딩 작업에는 분진에 대한 예방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드릴링 또는 그라인딩 과정 중 발생되는 콘크리트 파편, 가루, 분진을 외부와 차단시켜 별도로 포집할 수 있는 분진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밀폐부(10); 상기 밀폐부의 내부와 연통되어 밀폐부 내부의 분진과 공기가 흡입 배출되는 통로인 흡입관(20); 및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블로워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주름관 형상을 이루는 원통형상의 제1부재(11)와, 상기 제1부재의 말단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되는 제2부재(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부재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안전진단 장비는 상기 밀폐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발명은 건축물 안전진단시에 발생하는 콘크리트 미세분진을 흡입하여 미세분진의 비산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고려하고 동시에 반도체 공장과 같이 미세분진 발생이 제품생산일정을 심각하게 지연시키는 현장에서는 생산일정 지연을 방지하여 생산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진흡입장치는 건축물 안전진단시에 콘크리트 면에 드릴이나 핸드 그라인더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콘크리트 미세분진을 흡입하여 미세분진의 비산을 최소화하는 장비이며, 주름관 형태의 흡입 통로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및 이들이 드릴이나 핸드 그라인더(이하, 안전진단 장비)에 결합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진흡입장치는 분진이 발생하는 영역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밀폐부(10)와 분진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흡입관(20) 및 흡입동력을 발생시키는 블로워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폐부는 내부에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를 감싸도록 하면서 원통 형상을 이룬다. 상기 흡입관(20)은 밀폐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이며, 밀폐부 내부의 분진과 공기가 흡입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부(30)는 전기 동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부위이며, 사용하는 드릴이나 그라인더의 용량과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용량의 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는 주름관 형상을 이루는 원통형상의 제1부재(11)와, 상기 제1부재의 말단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되는 제2부재(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부재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면서 내부에 안전진단 장비를 수용하는 부위이며, 상기 제2부재는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되는 부위의 직경이 증가하도록 한 형상으로 제1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여 드릴링이나 그라인딩 작업시 발생하는 미세분진을 충분히 포집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분진흡입 장치는 안전진단 장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을 택한다. 즉, 분진흡입 장치 상기 분진 흡입장치 밀폐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이것은 안전진단 장비를 사용할 때만 본 발명에 따른 분진흡입 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이 끝나면 분진흡입 장치를 안전진단 장비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드릴 작업시 본 발명의 분진흡입 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한 후 그리인더 작업이 필요할 때에는 다시 그라인더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밀폐부(10);
    상기 밀폐부의 내부와 연통되어 밀폐부 내부의 분진과 공기가 흡입 배출되는 통로인 흡입관(20); 및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블로워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주름관 형상을 이루는 원통형상의 제1부재(11)와, 상기 제1부재의 말단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되는 제2부재(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부재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진단 장비는 상기 밀폐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진단 장비는 드릴 또는 핸드그라인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
KR1020170167168A 2017-12-07 2017-12-07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 KR20190067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68A KR20190067335A (ko) 2017-12-07 2017-12-07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68A KR20190067335A (ko) 2017-12-07 2017-12-07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335A true KR20190067335A (ko) 2019-06-17

Family

ID=6706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168A KR20190067335A (ko) 2017-12-07 2017-12-07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73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039B1 (ko) * 2020-12-28 2021-08-30 한신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039B1 (ko) * 2020-12-28 2021-08-30 한신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653B2 (ja) 加工装置
KR970069250A (ko) 집진기구
JP2016052685A (ja) リアルタイムのヒューム曝露警報機能を提供する溶接用ヘルメット、キット及びシステム
KR20190067335A (ko) 콘크리트 안전진단 장비용 분진흡입 장치
JP5432303B2 (ja) 加工装置
KR101168034B1 (ko) 석면시료 채취기
JP2008012686A (ja) 防塵カバー
JP2019085715A (ja) 集塵用アタッチメント
KR100935679B1 (ko) 배관에 뿜칠된 석면 제거용 투명 박스장치와 이를 이용한 석면 제거 방법
CN211193761U (zh) 一种建筑墙体打孔用辅助降尘装置
KR101515583B1 (ko) 석면 집진장치
JP6077261B2 (ja) 被覆材等の除去方法
CN104739587B (zh) 一种医用锯石膏装置
JP2005305577A (ja) 集塵機能付き電動ドリル装置
CN211101701U (zh) 一种建筑材料加工用一体式钻孔设备
CN210231633U (zh) 一种手持电钻
JP6910268B2 (ja) 研削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集塵システム
JPH08142044A (ja) 工具用集塵装置
CN112638610A (zh) 用于岩芯钻机的提取装置
CN101069957A (zh) 一种具有自动吸尘功能的手电磨机
CN112638609A (zh) 用于岩芯钻机的提取装置
CN203579417U (zh) 带有防护罩的砂轮机
KR102053542B1 (ko) 방사능 오염 구조물 제염 장치
JP2004306212A (ja) 集塵アタッチメント
JP6902147B1 (ja) 塗膜試料採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