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321A -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 Google Patents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321A
KR20190067321A KR1020170167133A KR20170167133A KR20190067321A KR 20190067321 A KR20190067321 A KR 20190067321A KR 1020170167133 A KR1020170167133 A KR 1020170167133A KR 20170167133 A KR20170167133 A KR 20170167133A KR 20190067321 A KR20190067321 A KR 20190067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upper plate
piece
fixing piec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927B1 (ko
Inventor
이윤경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디자인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디자인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디자인랜드
Priority to KR1020170167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9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데크의 상판 사이마다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접촉 고정하여 상판 자체적인 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면서 상판 간의 조립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을 제공하도록, 목재 데크 중 측면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상판을 서로 연결하는 데크 클립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전후 배치방향을 향해 전후방 영역을 구분한 채 연장 형성되어 상부에 상판을 접촉 지지하고, 전후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나사홀을 형성하는 베이스고정편과; 상기 베이스고정편의 전후방 영역을 구분 구획하며 상기 베이스고정편의 상부에 수직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상판의 슬라이딩 홈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연장형성되는 연장지지편과; 상기 연장지지편의 상단에 전후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지지편을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는 상판의 슬라이딩 홈에 대응하여 삽입 고정되는 상부고정편;을 포함하는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Deck Clip for Assembling Upper Plate of Wood Deck}
본 발명은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 데크의 상판 사이마다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접촉 고정하여 상판 자체적인 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면서 상판 간의 조립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호수, 산 등의 산책로나 등산로에는 주변의 자연 경관에 맞춰 자연친화적인 미려한 환경을 조성하며 보행자의 보행이 어려운 지형에서 보행자의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보행자들에게 최적의 보행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 다양한 형태의 목재 데크(Deck)를 시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최근 들어 주변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여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추구한다는 현상과 맞물리면서 목조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목재 데크의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택, 펜션 등과 같은 개인적인 건축물에도 적용하여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목재 데크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들을 살펴보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좌우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하부받침목을 설치하고, 하부받침목의 상부에 목재데크의 상판을 조립형태로 끼워 맞춘 후, 상판에 나사, 못,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하부받침목에 상판이 결합고정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목재 데크의 상판을 고정하는데 나사나 못,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적용하기 때문에 그 시공성이 낮아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목재 데크의 상판에 고정수단이 노출되게 시공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고정수단에 녹이나 부식 현상이 발생하여 시각적으로 지저분해 지며, 외부 기후변화에 따른 고정수단이 돌출되는 경우 시설이용자의 부주의에 따른 신체손상 및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목재데크의 상판과 하부받침목 사이에 결합고정하기 위한 데크 클립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데크 클립과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374호(2013.01.16.)에는 저면 양측의 가장자리가 각각 데크 부재의 양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된 수용홈의 하면과 접촉하고,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편; 상기 본체편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상기 수용홈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데크 부재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날개편; 및 상기 본체편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대면되게 하향 절곡되고 상기 데크 부재와 인접한 데크 부재를 이격시키는 이격편;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편은 상기 데크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복수로 장착되게 구성함에 따라 구조적 취약성에 노출되는 개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데크 클립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368호(2012.02.29.)에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와, 상기 각각의 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와, 상기 각각의 날개부로부터 원형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원형 절곡부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에는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멍이 형성되게 구성함에 따라 제조가 용이하며 데크 상판과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는 데크 클립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모두 목재 데크의 상판 연결지점에서 데크 클립의 설치로 인해 상판 간에 틈새가 발생하기 때문에 틈새로 이물이 침투하여 미관을 해치며 지속적인 이물제거에 어려움이 있어 유지관리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목재 데크의 폭 만큼 상판이 길게 연장되는 반면 종래 데크 클립의 경우 상판의 극히 일부만을 접촉 고정하기 때문에 상판을 조립 연결하는 상호 결속력이 매우 약하여 고정효율이 미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목재 데크의 상판에 형성된 홈에 단순히 수용결합하는 구조로 구성하기 때문에 상호 결속력이 매우 약하여 고정효율 및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0374호 (2013.01.16.) KR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1368호 (2012.02.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재 데크의 상판을 면 접촉상태로 조립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상판 간에 연결 결속력을 높임과 동시에 목재 데크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상판 간의 연결지점에서 서로 접촉상태로 연속배치하여 미노출상태로 미관상 미려함을 도모하면서 이물침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목재 데크의 적용규모 및 형태에 따라 상판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감싸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상판의 조립유형을 탄력적으로 적용가능하면서 조립 영역 및 방식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는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은 목재 데크 중 측면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상판을 서로 연결하는 데크 클립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전후 배치방향을 향해 전후방 영역을 구분한 채 연장 형성되어 상부에 상판을 접촉 지지하고, 전후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나사홀을 형성하는 베이스고정편과; 상기 베이스고정편의 전후방 영역을 구분 구획하며 상기 베이스고정편의 상부에 수직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상판의 슬라이딩 홈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연장형성되는 연장지지편과; 상기 연장지지편의 상단에 전후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지지편을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는 상판의 슬라이딩 홈에 대응하여 삽입 고정되는 상부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크 클립은 목재 데크 중 하부받침목의 폭 내에 설치가능한 길이로 형성하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적용배치될 수 있게 단편형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데크 클립은 목재 데크 중 상판의 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게 상판의 전체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장편형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고정편 및 상부고정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판과의 접촉방향을 향하여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절개되어 돌출 형성되고, 끝단이 상판과의 접촉면 상에 걸림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사접촉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고정편 및 상부고정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판과 대면하는 접촉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톱니요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에 의하면 목재 데크의 상판에 면 접촉에 따른 결속상태로 조립 연결하므로, 상판 간에 연결 결속력을 유지하고, 상판 간의 연결지점에 외부와의 미노출상태를 이루게 틈새를 제거하여 외관상 심미감을 향상시키면서 이물침투를 차단하여 불순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면서 전반적인 유지관리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은 목재 데크의 상판에 대응하여 단편형 또는 장편형으로 선택적용하므로, 상판 조립유형의 다양성과 함께 조립유형별 기능에 따라 시공편의성 또는 결속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은 상판과의 면 접촉력을 가중하면서 걸림접촉력이 복합 작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상판 간에 연결 결속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은 상판의 조립과정에서 상판을 강제 압입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구현하므로, 상판과의 구조적 일체화를 도모하면서 결속력 및 전체적인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목재의 특성에 따른 팽창 및 수축 작용에도 상호 결속력을 유지하여 조립상태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목재 데크 상판에 조립 적용하는 전체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데크 클립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데크 클립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톱니요철부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목재 데크 중 측면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상판을 서로 연결하는 데크 클립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전후 배치방향을 향해 전후방 영역을 구분한 채 연장 형성되어 상부에 상판을 접촉 지지하고, 전후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나사홀을 형성하는 베이스고정편과; 상기 베이스고정편의 전후방 영역을 구분 구획하며 상기 베이스고정편의 상부에 수직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상판의 슬라이딩 홈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연장형성되는 연장지지편과; 상기 연장지지편의 상단에 전후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지지편을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는 상판의 슬라이딩 홈에 대응하여 삽입 고정되는 상부고정편;을 포함하는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100)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재 데크 중 측면에 슬라이딩 홈(15)이 형성된 복수 개의 상판(10)을 서로 연결하는 데크 클립(100)에 있어서, 베이스고정편(110)과, 연장지지편(120)과, 상부고정편(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1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재 데크를 조립 고정하기 위한 하나의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목재 데크의 구성 중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좌우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부받침목(2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부받침목(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판(10)을 서로 연결 조립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고정편(1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재 데크 중 복수 개의 상판(10)이 배치되는 방향을 향해 전후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고정편(110)은 상기 연장지지편(120)을 기준으로 전후방 영역을 구분하여 전후 횡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므로, 상부에 서로 다른 2개의 상판(10)이 전후로 연결 조립될 수 있게 접촉 지지한다.
상기 베이스고정편(110)은 하부받침목(20)의 상면에 면 접촉상태로 위치하여 기초적인 설치균형을 유지하고, 상기 하부받침목(20) 상에 별도의 고정나사(30)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상기 베이스고정편(110)에는 전후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나사홀(115)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나사(30)를 수용한 채 하부받침목(20) 상에 설치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상판(10) 간의 연결과 더불어 하부받침목(20) 상에 고정하는 설치작업을 원활하면서도 신속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장지지편(120)은 상기 베이스고정편(110)의 전후방 영역을 구분토록 구획하여 2개의 상판(10)을 서로 구분한 채 조립가능한 경계 벽면을 조성토록 구성한다.
상기 연장지지편(1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고정편(110)의 상부에 수직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판(10)의 측면을 접촉지지토록 형성한다.
상기 연장지지편(120)은 상기 베이스고정편(110)과 상기 상부고정편(130)을 수직 종 방향으로 연장하여 연결하되 상기 상판(10)의 슬라이딩 홈(15)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연장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상부고정편(130)은 전후로 배치되는 상기 상판(10)의 상면에 대응하여 면 접촉상태로 구속할 수 있게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고정편(13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장지지편(120)의 상단에 직각방향으로 굽어지되 전후 직선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편(130)은 상기 연장지지편(120)을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는 상판(10)의 슬라이딩 홈(15)에 대응하여 삽입 고정되게 형성한다. 즉 상기 상부고정편(130)은 상기 슬라이딩 홈(15) 내 삽입 고정되면서 상기 상판(10)의 슬라이딩 홈(15)을 기준으로 상판(10)의 하부영역을 수용상태로 감싸게 접촉 지지한다.
상기에서 상부고정편(130)은 상기 상판(10)의 슬라이딩 홈(15)에 면 접촉상태를 이루며 끼움 결합하되 상기 상부고정편(130)은 상기 슬라이딩 홈(15)의 높이에 상응하는 두께를 이루거나 미세한 공차(0.3~1.0㎜)만을 둔 두께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상부고정편(130)을 전후 직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직선형으로만 나타내었지만, 상기 상부고정편(130)은 상기 연장지지편(120)을 기준으로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완만한 곡면을 형성하는 곡선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상부고정편(130)을 곡선형으로 적용하여 구성하면, 슬라이딩 홈(15) 내 접촉면과의 탄력적인 접촉으로 상판(10)과의 강한 결속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100)은 상기 상판(10)에 대응하여 측부를 부분적으로 수용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단편형으로 구성하거나, 상기 상판(10)에 대응하여 측부를 전체적으로 수용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장편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크 클립(100)의 제1실시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처럼, 목재 데크의 상판(10)을 기준으로 한쪽 측부를 부분적으로 접촉 지지하는 단편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데크 클립(100)은 상기 베이스고정편(110) 및 연장지지편(120), 상부고정편(130)으로 이루어진 전체적인 길이가 목재 데크 중 하부받침목(20)의 폭 내에 설치가능한 길이로 형성한다.
상기 데크 클립(100)은 상판(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를 적용하여 배치하되 해당 목재 데크에 적용되는 하부받침목(20)의 개수만큼 동일한 개수를 적용하여 상판(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구성하는 것이 상판(10)에 대한 적정 결속효율을 도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데크 클립(100)을 단편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상판(10)과의 조립이 용이하여 현장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면서, 데크 클립(100)의 생산자재비용을 상대적으로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크 클립(100)의 제2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처럼, 목재 데크의 상판(10)을 기준으로 한쪽 측부를 전체적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게 상판(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편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데크 클립(100)은 상기 베이스고정편(110) 및 연장지지편(120), 상부고정편(130)으로 이루어진 전체적인 길이가 목재 데크 중 상판(10)의 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게 상판(10)의 전체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데크 클립(100)을 장편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상판(10)과의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결속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에 의하면 목재 데크의 상판에 면 접촉에 따른 결속상태로 조립 연결하므로, 상판 간에 연결 결속력을 유지하고, 상판 간의 연결지점에 외부와의 미노출상태를 이루게 틈새를 제거하여 외관상 심미감을 향상시키면서 이물침투를 차단하여 불순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면서 전반적인 유지관리에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목재 데크의 상판에 대응하여 단편형 또는 장편형으로 선택적용하므로, 상판 조립유형의 다양성과 함께 조립유형별 기능에 따라 시공편의성 또는 결속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100)의 다른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고정편(110) 및 상부고정편(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외측 경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사접촉편(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접촉편(140)은 상기 베이스고정편(110) 및 상부고정편(130) 상에 돌출 형성되되 상판(10)과의 접촉방향을 향하여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한다. 즉 상기 베이스고정편(110) 및 상부고정편(130)에 면 접촉상태로 진입하는 상판(10)에 대응하여 상기 경사접촉편(140)의 경사면에 재차 면 접촉함에 따라 상판(10)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밀어주는 힘이 작용하므로, 상판(10)과의 강한 면 접촉에 따른 상호 우수한 결합력을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사접촉편(140)은 상향 또는 하향 돌출된 끝단이 상기 연장지지편(120)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되, 상기 경사접촉편(140)은 상기 베이스고정편(110) 및 상기 상부고정편(130) 상에 일단이 뾰족한 "∨"단면형상으로 절개되어 돌출 형성되게 구성하므로, 상기 연장지지편(120)을 기준으로 상판(10)에 외측을 향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경사접촉편(140)의 끝단이 상판(10)의 접촉 면에 걸림 접촉하여 상판(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찍힘 결합력을 가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사접촉편(140)은 상기 베이스고정편(110)을 펀칭작업공정으로 절개하여 상향 또는 하향 돌출되게 구성하므로, 경사접촉편(140)을 형성하기 위한 제품의 원활한 제작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사접촉편(140)은 상기 베이스고정편(110)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각도가 5~15°를 이룬다.
상기에서 경사접촉편(140)의 경사각도가 5°미만인 경우에는 상판과 접촉 결합하는 과정에서 결합력이 미흡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이 떨어지고, 상기 경사접촉편(140)의 경사각도가 15°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면 마찰력으로 인해 상판(10)과의 연결결합하는 조립작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상판(10)과의 면 접촉력을 가중하면서 걸림접촉력이 복합 작용하므로, 상판(10) 간에 연결 결속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10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고정편(110) 및 상부고정편(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판과 대면하는 접촉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톱니요철부(1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톱니요철부(150)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되 "∧"단면형상으로 반복해서 돌출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에서 상부고정편(130)에는 상판(10)의 슬라이딩 홈(15)에 대응하여 결합 고정된다는 특성상 상기 상부고정편(130)의 상하면 중 어느 하나의 면 또는 양면에 모두 상기 톱니요철부(150)를 형성토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톱니요철부(150)는 상기 데크 클립(100)의 상기 베이스고정편(110) 및 상부고정편(130) 사이에 마련된 설치공간을 향해 상기 상판(10)이 끼움 결합할 때, 상기 상판(10)이 상기 톱니요철부(150)와의 접촉으로 강제 압입되면서 상기 톱니요철부(150)와 접하는 상판(10)의 접촉면을 파고들어 강력한 결속력을 구현토록 구성한다.
상기 톱니요철부(150)는 상기 베이스고정편(110) 및 상기 상부고정편(130) 상에 직접적으로 톱니가공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고정편(110) 및 상기 상부고정편(130) 상에 분리 결합가능한 구조를 갖는 별도의 톱니요철부(150)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톱니요철부(150)의 제1실시예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처럼, 상기 베이스고정편(110) 및 상기 상부고정편(130) 상에 직접적으로 톱니가공된 구조로 구성하므로, 상판(10)을 항시 강제 압입시켜 결속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톱니요철부(150)의 제2실시예는 도 7의 (b)에 나타낸 바처럼, 상기 베이스고정편(110) 및 상기 상부고정편(130) 상에 별도의 끼움홈(151)을 형성토록 구성하고, 상기 끼움홈(151) 상에 분리 결합가능한 구조의 톱니요철부(150)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한 제2실시예와 같이 톱니요철부(150)를 구성하면, 목재 데크의 조립상황에 맞춰 톱니요철부(150)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결속구조의 탄력적인 조립유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상판의 조립과정에서 상판을 강제 압입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구현하므로, 상판과의 구조적 일체화를 도모하면서 결속력 및 전체적인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목재의 특성에 따른 팽창 및 수축 작용에도 상호 결속력을 유지하여 조립상태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상판 15 : 슬라이딩 홈
20 : 하부받침목 30 : 고정나사
100 : 데크 클립 110 : 베이스고정편
115 : 나사홀 120 : 연장지지편
130 : 상부고정편 140 : 경사접촉편
150 : 톱니요철부 151 : 끼움홈

Claims (5)

  1. 목재 데크 중 측면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상판을 서로 연결하는 데크 클립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전후 배치방향을 향해 전후방 영역을 구분한 채 연장 형성되어 상부에 상판을 접촉 지지하고, 전후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나사홀을 형성하는 베이스고정편과;
    상기 베이스고정편의 전후방 영역을 구분 구획하며 상기 베이스고정편의 상부에 수직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상판의 슬라이딩 홈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연장형성되는 연장지지편과;
    상기 연장지지편의 상단에 전후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지지편을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는 상판의 슬라이딩 홈에 대응하여 삽입 고정되는 상부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 클립은, 목재 데크 중 하부받침목의 폭 내에 설치가능한 길이로 형성하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적용배치될 수 있게 단편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 클립은, 목재 데크 중 상판의 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게 상판의 전체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장편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고정편 및 상부고정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판과의 접촉방향을 향하여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절개되어 돌출 형성되고, 끝단이 상판과의 접촉면 상에 걸림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사접촉편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고정편 및 상부고정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판과 대면하는 접촉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톱니요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KR1020170167133A 2017-12-07 2017-12-07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KR102029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33A KR102029927B1 (ko) 2017-12-07 2017-12-07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33A KR102029927B1 (ko) 2017-12-07 2017-12-07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321A true KR20190067321A (ko) 2019-06-17
KR102029927B1 KR102029927B1 (ko) 2019-10-08

Family

ID=6706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133A KR102029927B1 (ko) 2017-12-07 2017-12-07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9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275B1 (ko) * 2010-04-08 2010-11-09 에코시티 주식회사 데크플레이트의 고정구조
KR20120001368U (ko) 2010-08-19 2012-02-29 주식회사 동양씨엠아이 데크 클립
KR20130000374U (ko) 2011-07-07 2013-01-16 (주)휴그린하이테크 데크 클립
KR20130030939A (ko) * 2011-09-20 2013-03-2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목재데크
KR101751184B1 (ko) * 2016-05-17 2017-06-28 윤진한 레일 데크
KR101754110B1 (ko) * 2016-11-07 2017-07-06 이윤경 목재데크 상판 결합용 클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275B1 (ko) * 2010-04-08 2010-11-09 에코시티 주식회사 데크플레이트의 고정구조
KR20120001368U (ko) 2010-08-19 2012-02-29 주식회사 동양씨엠아이 데크 클립
KR20130000374U (ko) 2011-07-07 2013-01-16 (주)휴그린하이테크 데크 클립
KR20130030939A (ko) * 2011-09-20 2013-03-2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목재데크
KR101751184B1 (ko) * 2016-05-17 2017-06-28 윤진한 레일 데크
KR101754110B1 (ko) * 2016-11-07 2017-07-06 이윤경 목재데크 상판 결합용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927B1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672B1 (ko) 트림 클립과 경계되는 그리드 런너
US20070107359A1 (en) Panel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rough a locking element
HU224932B1 (en) Skirting board with finishing elements
CA2909961C (en) Auxiliary securing support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101754110B1 (ko) 목재데크 상판 결합용 클립
KR20180013630A (ko) 나사못 없이 원터치 탄성 결합이 가능한 목재 데크 판재
KR101773040B1 (ko) 목재데크 상판 연결용 클립 브라켓
JP4414743B2 (ja) テーブル
KR101898941B1 (ko)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KR20190067321A (ko)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JP6364145B2 (ja) デッキ材取付金具およびデッキ材取付構造
US20170198480A1 (en) Sheet Fixing Frame
CA2968860C (en) Fence bracket
KR101754112B1 (ko) 목재데크 상판 측부 결합용 클립
JP5203840B2 (ja) 什器用仕切りパネル
KR100769114B1 (ko) 가구용 선반 설치장치
KR20140036922A (ko) 바닥재 패널 조립체 및 이에 이용되는 클립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JP2005344371A (ja) 床構造体及びテラスデッキ
KR20210048672A (ko) 목재데크의 인접상판 측면부 결합용 슬라이드 삽입 데크 클립
KR200394182Y1 (ko) 벽걸이형 장식선반
EP1580347B1 (en) Set of skirting profiles
ATE474108T1 (de) Boden
JP4293930B2 (ja) グレーチング
CN101984201A (zh) 踢脚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