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05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052A
KR20190067052A KR1020170167052A KR20170167052A KR20190067052A KR 20190067052 A KR20190067052 A KR 20190067052A KR 1020170167052 A KR1020170167052 A KR 1020170167052A KR 20170167052 A KR20170167052 A KR 20170167052A KR 20190067052 A KR20190067052 A KR 20190067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ircuit
external devic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421B1 (ko
Inventor
민현기
이선기
이정훈
임태훈
홍민화
남천종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7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421B1/ko
Priority to PCT/KR2018/008567 priority patent/WO2019112136A1/ko
Priority to US15/733,189 priority patent/US11088742B2/en
Publication of KR2019006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00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9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sectors, i.e. sector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통해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배터리, 지향성의 무선 통신을 위한 빔포밍을 위해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통해 제1 커버리지의 제1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제1 커버리지보다 큰 제2 커버리지를 가지는 제2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작동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배터리,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작동적으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 중 전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인에이블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인에이블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METHOD THEREOF}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빔포밍 기술과 관련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무선 데이터의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최근에는 5G 시스템 또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ad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 시스템에서 폭발적 데이터 트래픽의 수용, 사용자당 전송률의 획기적인 증가, 대폭 증가된 연결 전자 장치의 개수 수용, 저 단대단 지연(end-to-end latency), 고에너지 효율을 기술적 목표로 종래에 비해 높은 mmWave 대역의 주파수의 신호 송수신을 지원하고 있다.
mmWave는 일반적으로 30~300GHz의 초고주파수를 가리키며, 이와 같이 초고주파수를 사용할 경우 전파 경로 손실이 심각하게 발생함에 따라 송수신 전력을 좁은 공간에 집중하여 안테나 송수신 효율을 높이는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의 적용이 필요할 수 있다.
2.4GHz 및 5GHz 대역을 사용하는 WLAN 시스템 등에서는 cm 단위의 안테나 장착으로 인해 안테나 실장 공간이 부족하여 빔포밍을 적용하더라도 빔 폭 및 빔 방향을 세밀하게 조절하기 어려웠다.
mmWave 대역(예: 60GHz)의 신호는 2.4GHz 및 5GHz에 비해 직진성이 강하고, 주파수 특성으로 인해 경로 손실이 매우 크기 때문에 mmWave 대역을 사용하는 60GHz 시스템 등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수의 안테나를 장착하여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타겟하는 장치와의 연결을 위해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빔 트레이닝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특정 이벤트나 상황에 대해서는 요구되는 빔 패턴이 단순할 수 있어서, 상기 빔 트레이닝 과정을 모두 거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전자 장치의 특정 이벤트 또는 상태를 반영하여, 효율적으로 빔포밍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로서, 제1 주파수 및 제1 커버리지를 가지는 무지향성의 제1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 및 상기 제1 커버리지보다 큰 제2 커버리지를 가지는 지향성의 제2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에 연관된 이벤트를 획득하고, 상기 이벤트에 기초하여 빔 패턴을 설정하고,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되, 상기 제2 무선 통신 연결 시 상기 설정된 빔 패턴을 고정적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통해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배터리, 지향성의 무선 통신을 위한 빔포밍을 위해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통해 제1 커버리지의 제1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제1 커버리지보다 작은 제2 커버리지를 가지는 제2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작동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배터리,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작동적으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 중 전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인에이블하고,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인에이블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특정 이벤트 또는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효율적인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의도를 반영하여 효율적으로 장치 간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안테나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안테나의 빔 패턴을 2차원으로 도시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P2P 연결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빔포밍 트레이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SLS 구간에서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빔포밍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빔포밍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VSIE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SLS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빔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근접 연결 이후 빔포밍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빔 패턴의 일 예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특정 방향 빔 모드에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 환경(1000)에서 외부 장치(200, 피어 장치)와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전력을 수신 받을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충전을 지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2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01)을 통하여 전자 장치(100)에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장치(200)는 그것의 기구적 구조에 의하여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탈/부착 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200)에 포함되어 있는 자석에 의하여, 외부 장치(200)는 상기 전자 장치(100)와 탈/부착 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의 전력 송신 장치로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0)는 각각 복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0)는 근접 통신 및 상기 근접 통신 이외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와 근접 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근접 통신 방식은 코일을 이용한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상기 근접 통신 방식은 전자기 유도 또는 공진 현상을 이용한 통신 방식 예를 들어,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방식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일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Wi-Fi 다이렉트와 같이 커버리지가 짧은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 내지 외부 장치(200)는 mmWave 대역 통신(예: 60GHz)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Wave 대역으로서 비면허 대역 또는 면허 대역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면허 대역에서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 전자 장치(100) 내지 외부 장치(200)는 IEEE 802.11ad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면허 대역에서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 전자 장치(100) 내지 외부 장치(200)는 3GPP 등 셀룰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자 장치(100)는 mmWave 대역을 지원하는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예: 도 1의 외부 장치(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제1 통신 회로(130) 및 제2 통신 회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프로세서(110) 및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회로(130)는 제1 주파수 및 제1 커버리지를 가지고 제1 네트워크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회로(130)는 무지향성 또는 전방향성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통신 회로(130)는 근접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통신 회로(130)는 근접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 회로(130)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방식, 및/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의 통신을 제공하거나 및/또는 무선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통신 회로(130)는 이를 위해, MST, NFC, 또는 무선 충전(예: WPC(wireless power charging), PMA(power matters alliance) 등)을 위한 서로 다른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회로(13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wireless-fidelity) 다이렉트와 같이 짧은 커버리지 이내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Wi-Fi 다이렉트는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에서의 신호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통신 회로(130)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고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장치(200)와 전자 장치(100)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외부 장치(200)의 전송 코일과 전자 장치(100)의 수신 코일 사이의 전자기 유도 또는 공진 현상에 의하여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통신 회로(140)는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통신 회로(140)는 초고파주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통신 회로(140)는 mmWave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 회로(140)는 대용량의 신호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mWave 대역은 25GHz 내지 100GHz의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Wave 대역은 60GHz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은 60GHz 통신으로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통신 회로(140)는 상기 제2 커버리지를 가지는 제2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커버리지는 상기 제1 커버리지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회로(140)가 상기 근접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 커버리지는 제2 커버리지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커버리지는 상기 제1 커버리지보다 클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회로(11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2 커버리지는 제1 커버리지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회로(130)는 무지향성 또는 전방향성(omni direction)이고, 제2 통신 회로(140)는 지향성일 수 있다. 제2 통신 회로(140)는 특정 방향을 가지도록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제1 통신 회로(130) 및 제2 통신 회로(140)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제1 통신 회로(130) 및 제2 통신 회로(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이 외에도, 이벤트에 따른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성들,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제1 통신 회로(130), 제2 통신 회로(140)는 하우징(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01)은 전자 장치(100)를 둘러싸고 있는 프레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01)을 통하여, 전자 장치(100)와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200)는 하우징(201),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제1 통신 회로(230) 및 제2 통신 회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장치(200)의 하우징(201),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제1 통신 회로(230) 및 제2 통신 회로(240)는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01),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제1 통신 회로(130) 및 제2 통신 회로(14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통신 회로(230)는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코일을 통해 전자 장치(1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을 위해 외부 장치(200)는 전력 생성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200)는 하우징(201)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안테나(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와의 통신을 위해 안테나(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10) 및 안테나(20)는 지향성, 무지향성 또는 전방향성의 안테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10) 및 안테나(20)는 제1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안테나(10) 및 안테나(20)는 예컨대, 제1 주파수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10) 및/또는 안테나(20)는 어레이 안테나일 수 있다. 안테나(10) 및/또는 안테나(20)는 안테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101)),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예: 도 2의 제1 통신 회로(130) 또는 제2 통신 회로(140))로서, 제1 주파수 및 제1 커버리지를 가지는 무지향성의 제1 무선 통신 회로(예: 도 2의 제1 통신 회로(130)) 및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 및 상기 제1 커버리지보다 큰 제2 커버리지를 가지는 지향성의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도 2의 제2 통신 회로(14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10)),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에 연관된 이벤트를 획득하고, 상기 이벤트에 기초하여 빔 패턴을 설정하고,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장치(예: 도 2의 외부 장치(200))와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되, 상기 제2 무선 통신 연결 시 상기 설정된 빔 패턴을 고정적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안테나에 연관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에 연관된 파라미터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중 활성화 안테나의 수, 활성화 안테나, 섹터 식별자 또는 안테나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서 상기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안테나에 연관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하드웨어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무선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는 NFC 태깅(tagging) 또는 무선 충전 인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외부 장치와의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해 SLS(sector level sweep)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SLS 동작 동안 상기 빔 패턴을 고정적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용되는 빔 패턴은 하나의 빔 패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의 빔 패턴은 하나의 섹터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101)), 상기 하우징을 통해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배터리, 지향성의 무선 통신을 위한 빔포밍을 위해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예: 도 3의 안테나 엘리먼트(11, 12)),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통해 제1 커버리지의 제1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통신 회로(예: 제1 통신 회로(130)), 상기 제1 커버리지보다 큰 제2 커버리지를 가지는 제2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통신 회로(예: 제2 통신 회로(140)),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작동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배터리,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연결된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10)),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작동적으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예: 도 2의 외부 장치(200))가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 중 전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인에이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인에이블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에이블된 안테나 엘리먼트는 지향성 또는 무지향성의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는 25GHz에서 100GHz까지의 주파수의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는 60GHz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NFC 프로토콜의 리더(reader)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하는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배터리의 무선 충전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거리를 결정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결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개수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안테나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10)(예: 도 2의 안테나(10))는 초고주파, 예를 들어, mmWave 대역(예: 60GHz)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10)는 어레이 안테나로 구현되고, 복수의 패치 안테나(11) 및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안테나(10)는 조준 방향(boresight)을 위한 패치 안테나(11) 및 사이드 방향에 대한 빔 포밍을 위해 안테나(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안테나(10)는 16개의 패치 안테나(11) 및 16개의 다이폴 안테나(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안테나(10)의 구성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는 안테나 별로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들을 적용하고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세트의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들은 하나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세트 내의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들은 위상 벡터(phase vector)로 참조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위상 벡터(phase vector)를 이용하여 안테나 별로 활성화 여부 및/또는 위상 쉬프트(shift) 값을 적용하고,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안테나(10)를 예시하였으나, 도 3에 관한 설명은 도 2의 안테나(20)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안테나의 빔 패턴을 2차원으로 도시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0도는 우측 방향, 90도는 정면(또는 조준 방향)이고 180도는 좌측 방향을 의미한다.
도 4의 (a) 및 (b)는 안테나(예: 도 3의 안테나(10))에 적용된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에 따른 빔 패턴을 나타낸다. 도 4의 (a)는 조준 방향의 패치 안테나에 대하여 위상 쉬프트 값을 0으로 적용하고, 활성(active) 안테나 수를 4개로 설정한 경우이고, 도 4의 (b)는 상기 위상 쉬프트 값을 0으로 적용하고, 활성화 안테나 수를 2개로 설정한 경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활성화 안테나 수를 줄이면 빔 폭은 늘어나고, 커버리지는 짧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빔 폭이 늘어나고 커버리지가 짧은 빔 패턴을 이하의 설명에서 제1 빔 패턴으로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빔 패턴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는 이하의 설명에서, 근접 모드로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전자 장치들은 빔 방향의 세밀한 조정이 없어도 되며, 적은 수의 활성화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어 소모 전력이 낮을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근접 모드의 전자 장치를 정의하여 빔 패턴 설정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들을 하나의 세트 또는 복수개의 세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들을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20))에 저장해둘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 간 통신을 위한 연결 동작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802.11 표준 프로토콜을 따르는 2.4GHz 및 5GHz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또는 Wi-Fi) 및 60GHz WiGig 시스템에서 2 이상의 전자 장치 간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한다. 다만, 이 외에도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는 다양한 전자 장치 간 연결 과정이 적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 간 링크 셋업 과정은 스캔(scan), 발견(find),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 그룹 형성(group formation), 프로비젼(provision) 및 (P)BSS((personal) basic service set) 셋업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단계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는,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전자 장치를 스캔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모든 채널에 대해 스캔할 수 있다.
발견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청취(listen) 상태 및 탐색(search) 상태를 임의로 오가면서 주변에 연결할 피어 장치(예: 외부 장치(200))를 찾을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탐색 상태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피어 장치의 응답을 기다릴 수 있다. 청취 상태는 전자 장치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상태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게 되면,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피어 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다. 두 전자 장치는 동일한 채널에서 하나의 전자 장치는 탐색 상태에, 다른 하나는 청취 상태에 있어야 상기 두 전자 장치가 서로 디스커버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디스커버리 단계에서 상기 두 전자 장치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쿼리(query)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응답을 교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는 서비스의 상호 호환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그룹 형성 단계에서 두 전자 장치는 GO(group owner) 또는 GC(group client) 중 하나의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비젼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보안에 사용할 수 있는 개인 키(private key)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BSS 셋업 단계에서는 상기 프로비젼 단계에서 생성된 개인 키를 이용하여 보안이 형성된 연결이 완료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P2P 연결 동작을 나타낸다.
도 5는 전자 장치(100)(예: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0)(예: 도 1 또는 도 2의 외부 장치(200))의 P2P 연결 동작의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연결 동작은 도 2의 제2 통신 회로(140, 24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스캔 동작(5010)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캔 동작은 802.11 프로토콜을 따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모든 채널에 대해 스캔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SME(station management entity),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또는 밴더(vendor)로부터 다른 전자 장치를 디스커버리 또는 WSC(Wi-Fi simple configuration) 프로비져닝 명령을 획득하면, 디스커버리 과정을 시작하고, 스캔 동작(5010)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캔 동작(5010)을 수행한 후 채널들에 대해 청취 동작(5020)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들로부터 프로브 요청 또는 비콘의 전송이 있는지 청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채널들(예: 채널 1(ch 1))에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의 프로브 요청 등을 획득하지 않으면, 탐색 동작(5030)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채널 별로 탐색 동작(5030)을 수행할 수 있고, 이 경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비콘(beacon)을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2.4GHz 대역의 채널들(예: CH 1, CH 6 또는 CH 11)에서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60GHz 대역의 채널(예: CH 2)에서는 비콘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P2P IE(information element), WSC IE, RSN(robust security network) IE 및/또는 Supported regulatory I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채널 6(ch 6)에서 프로브 요청에 대한 프로브 응답을 외부 장치(200)로부터 획득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SME,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또는 밴더에게 P2P 장치를 찾았음을 알리고, 외부 장치(200)와의 나머지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 입장에서는 SME(station management entity),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또는 밴더(vendor)로부터 다른 전자 장치를 디스커버리 또는 WSC(Wi-Fi simple configuration) 프로비져닝 명령을 획득하면, 디스커버리 과정을 시작하고, 스캔 동작(5110)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는 청취 동작(5120)을 수행하고, 전자 장치(100)가 탐색 동작(5030)을 수행하는 동안 채널 6을 통해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획득하고,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응답하여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P2P IE(information element), WSC IE, RSN(robust security network) IE 및/또는 Supported regulatory class I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0)는 채널 6을 통해 P2P 연결을 하고,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빔포밍 트레이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는 IEEE 802.11ad 프로토콜에 따른 빔포밍 트레이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동작은 mmWave 대역에서의 연결 동작일 수 있다.
mmWave 대역의 신호는 2.4GHz 및 5GHz에 비해 직진성이 강하고, 주파수 특성으로 인해 경로 손실이 크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에서는 많은 수의 안테나를 장착하여 빔포밍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ad 표준에서는 여러가지 빔포밍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SLS(sector level sweep), BRP(beam refinement protocol), 또는 BT(beam tracking) 방법 등과 같은 다양한 빔포밍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있다. 전자 장치는 연결 및/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각각의 프로토콜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빔포밍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빔포밍 트레이닝은 크게 전송을 할 섹터를 대략적으로 설정하는 SLS 구간 및 안테나 섹터 구성을 개선하는 BRP 구간으로 나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비콘 인터벌(beacon interval) 내의 SLS 구간에서 BTI(beacon transmission interval)에서 SLS 프로토콜에 기초해서 섹터 별로 빔 방향을 바꾸면서 비콘을 전송하고, A-BFT(association beamforming training) 동안 SSW(series of sector sweep) 프레임을 이용해서 SLS 빔포밍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SLS 프로토콜을 통한 링크 검출(link detection)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는 BRP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ATI(announcement transmission interval)에서 BRP를 이용하여 요청-응답 기반의 프레임을 교환할 수 있다. DTI(data transfer interval)에서 전자 장치는 BRP를 이용하여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접속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는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고, 데이터 송수신 중에는 B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SLS 구간에서의 동작을 나타낸다.
SLS 동작 시 전자 장치 중 먼저 전송을 개시하는 쪽을 개시자(initiator)라 지칭하고, 전송을 받은 이후에 두번째로 전송하는 쪽을 응답자(responder)라 지칭한다. 여기서, 개시자는 예를 들어, 도 5의 전자 장치(100)일 수 있고, 응답자는 도 5의 외부 장치(200)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개시자는 각 섹터의 식별자를 담은 SSW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보낼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응답자는 각각의 경우에 수신한 SSW 프레임의 SNR(signal to noise ratio) 값에 기반하여 가장 높은 SNR 값을 가지는 섹터를 선정하고, 선정 결과를 개시자에게 알리는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응답자는 동일한 피드백을 포함하는 SSW 프레임을 각 섹터별로 반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응답자의 피드백을 포함한 SSW 프레임을 수신한 개시자는 수신한 SSW 프레임의 SNR 값에 기반하여 가장 높은 SNR 값을 가지는 섹터를 선정하고, 선정 결과를 응답자에게 알리는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개시자와 응답자가 각각의 빔포밍 섹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은 개시자와 응답자가 역할을 바꾸어 한 번 더 수행할 수도 있다.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SLS 과정에서 전자 장치는 피어 장치의 디스커버리를 위해 빔을 섹터 별로 나누어 동일한 패킷을 반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 검출 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많은 수의 안테나를 사용해야 하므로 전력 소모가 증가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빔포밍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동작들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10) 또는 외부 장치(200)의 프로세서(210)에 의해 수행(혹은,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 또는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 8의 설명에서는 전자 장치의 동작으로 통칭하여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아래 동작의 주체로서의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도 2의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모두 가능하다. 또한, 외부 장치라 함은 상기 전자 장치의 피어 장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는 도 2의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모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상황에 기초해서 빔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빔 패턴을 고정적으로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의 제2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는특정 이벤트를 감지하고, 특정 빔패턴을 고정적으로 사용하여 제2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외부 장치와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동작의 시작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의 제2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 있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전자 장치는 특정 이벤트를 획득하고, 상기 특정 이벤트에 기초해서 빔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이벤트는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이벤트일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의 근접, 무선 충전의 인식, NFC 태깅(tagging), 외부 장치와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전력이 특정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특정 입력 값을 획득하는 경우, 또는 미리 정의된 특정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등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특정 이벤트는 근접 모드의 인지, 또는 특정 빔 방향 모드의 인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는 하나의 이벤트 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특정 이벤트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특정 이벤트를 제1 통신 회로(예: 도 2의 제1 통신 회로(130))에 기초해서 또는 제1 통신 방식에 기초해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근접 통신 방식 또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기초해서 상기 특정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근접 통신 방식에 기초해서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근접(예: NFC 태깅 인식)을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에 기초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근접(예: 수신 신호 세기 지시자(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가 특정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특정 이벤트에 기초해서 빔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특정 이벤트에 기초해서 빔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빔 패턴을 제2 통신 연결을 위한 빔 패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빔 패턴 및 상기 특정 이벤트는 서로 연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정 이벤트 획득(혹은, 감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동작 803에서 설정된 빔 패턴을 고정적으로 이용하여 제2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통신 회로(예: 도 2의 제2 통신 회로(140))를 통하여 고정된 빔 패턴을 사용하여 제2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연결 수행 시, 상기 특정 이벤트에 기초해서 결정된 빔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특정 이벤트에 기초해서 빔 패턴을 결정한 후, 상기 빔 패턴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2 통신 연결 수행 시 결정된 빔 패턴을 고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고정된 빔 패턴을 사용하는 제2 통신 연결을 트리거링하고, 상기 빔 패턴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빔 패턴을 위해 상기 전자 장치는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는 활성화 안테나(또는 안테나 별 활성화 여부), 안테나 별 위상 쉬프트(shift) 값, 활성화 안테나 개수, 또는 안테나 별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패턴을 적용한다는 것은,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는 위상 벡터로 참조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이벤트와 상기 빔 패턴 또는 상기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는 서로 연관 관계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에는 상기 연관 관계가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 빔 패턴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빔 패턴 중 특정 빔 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하여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 값으로 하나가 미리 지정되거나 복수개가 미리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이벤트가 복수개인 경우 이벤트 별로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가 다른 값으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빔 패턴을 고정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특정 동작에 대해서 동일한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 값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도 6 내지 도 7의 SLS 구간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안 동일한 빔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제2 통신으로 연결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mmWave 대역의 지원하는 WiGig 통신 방식이거나 셀룰러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와의 근접 상태를 인지한 경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빔 패턴을 고정적으로 사용하면 외부 장치 스캔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유용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와 근접 상태를 인지한 경우 전자 장치가 빔포밍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빔포밍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동작들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10) 또는 외부 장치(200)의 프로세서(210)에 의해 수행(혹은,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 또는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 9의 설명에서는 전자 장치의 동작으로 통칭하여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전자 장치라 함은 도 2의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라 함은 상기 전자 장치의 피어 장치로서 도 2의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모두일 수 있다.
동작 901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의 근접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1 통신을 통해서 외부 장치와의 근접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은 근거리 또는 근접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NFC 태깅을 인지하거나 무선 충전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의 근접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통신은 NFC 통신, 무선 충전, 또는 MST 통신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근거리 통신의 신호 수신 세기를 이용해서 외부 장치와의 근접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통신은 블루투스, 또는 Wi-Fi 다이렉트일 수 있다.
동작 903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제1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가 제2 통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및/또는 제1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의 제2 통신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외부 장치와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와의 제2 통신을 위한 정보는 외부 장치의 하드웨어(hardware, HW) 식별자(identification, ID) 등의 정보 또는 외부 장치의 지원 가능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VSIE(vendor specific information element)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동작 905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가 제2 통신을 지원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가 60GHz 대역의 통신을 지원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외부 장치가 상기 제2 통신을 지원하면, 동작 907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2 통신 회로(140)를 인에이블(enable)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2 통신 방식에 기초해서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전에, 상기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간의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작 909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가 WSB(wireless serial bus), WSE(WiGig serial extension)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over IP(internet protocol)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을 지원한다면, 동작 911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의 관계에서 USB 역할을 결정하고, 동작 913에서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빔 패턴의 형성시 상기 동작 901에 연관된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근접 상태에 적합한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빔 패턴은 특정 동작에 대해서 고정된 빔 패턴일 수 있다.
동작 915에서, 전자 장치는 생성된 빔 패턴에 기초하여 WSB, WSE 또는 USB 관련 디스커버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커버리 동작은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디스커버리 동작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고정된 빔 패턴을 SLS 동작 동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고, 동작 917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의 USB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동작 909에서, 외부 장치가 상기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동작 919에서 전자 장치는 STA(station), 소프트(soft) AP(access point), 또는 P2P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921에서, 전자 장치는 고정된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923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빔 패턴에 기초하여 디스커버리 및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 및 외부 장치 간의 근접에 의해 연결이 수행되면, 전자 장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폰 환경을 데스크탑 화면으로 전환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도 1의 하우징(101)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하, 도 9의 각각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통신이라는 용어는 mmWave 또는 60GHz의 통신과 구분하기 위해 NFC 또는 무선 충전 등에서 사용하는 근접 통신 방법으로 정의한다.
(a)동작 901의 근접 상태를 인지하는 동작
상기 동작은, NFC 태깅 또는 무선 충전을 인식하는 동작일 수 있다. NFC 태깅 또는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이 실행된 경우에는, 전자 장치의 NFC 코일 또는 무선 충전 코일이 외부 장치의 코일과 수 cm 이내의 범위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이 실행된 경우에는, 수 m 이내에서 무선 충전 코일과 외부 장치의 코일이 일직선으로 정렬이 되는 경우에(만) 근접 상태로 인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코일의 위치에 기초해서 상기 외부 장치와의 근접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신호 수신 세기에 기초해서 상기 근접 상태를 인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른 외부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신호의 수신 세기에 기초해서 외부 장치와의 근접 상태를 인식할 수도 있다.
(b)동작 903의 제2 통신을 위한 정보 획득 또는 교환 동작
NFC 태깅,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저속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NFC의 경우 수백 kbps 수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전자 장치들은 WLAN의 패스프레이즈(passphrase)까지 교환하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충전의 경우 수 kbps 수준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며, 아웃풋 전압 요청(output voltage request) 등에 무선 충전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간 NFC 태깅 혹은 무선 충전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는 지정된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외부 장치가 예를 들어, 60GHz 통신을 지원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에 따른 신호 수신 세기가 특정 임계값을 만족하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가 근접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가 60GHz 통신을 지원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2 통신을 위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하거나 상기 외부 장치와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을 위한 정보는 60GHz 통신을 지원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제1 통신을 위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 시에 상기 제2 통신을 위한 정보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가 전자 장치로 무선 충전에 관한 정보(예: 지원 전압 또는 제조사 등)를 전송 시에 상기 60GHz 통신을 지원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 및 외부 장치 간에는 제2 통신을 위한 정보가 교환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을 위한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HW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W ID는 VSIE를 통해 교환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HW ID에 기초해서 독(dock), 키오스크(kiosk), 또는 모바일 장치 등 전자 장치를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을 위한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지원 가능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외부 장치가 WSB 또는 WSB 표준을 포함하며 USB over IP 기반의 무선 USB 연결이 가능한 장치임을 상기 전자 장치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장치는 USB over IP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60GHz 통신에 관련하여 STA, P2P 또는 AP 모드 중 어느 한가지를 지원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VSIE를 통해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제2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전달하는 VSIE 포맷에 관한 설명은 도 10을 참조할 수 있다.
(c)동작 907의 제2 통신 인에이블 동작(60GHz 통신 인에이블 동작)
외부 장치가 60GHz 통신을 지원하고, 전자 장치의 60GHz 통신 칩(예: 도 2의 제2 통신 회로(140))이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인 경우 전자 장치는 60GHz 통신 칩을 인에이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가 60GHz 통신을 지원하나 외부 장치의 60GHz 통신 칩(예: 도 2의 제2 통신 회로(240))이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인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의 60GHz 통신 칩의 인에이블을 요청할 수 있다.
(d)동작 909의 WSB/WSE 또는 USB over IP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전자 장치는 제1 통신을 통해 WSB/WSE 등을 포함한 USB over IP 기반의 무선 USB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STA, Soft AP, 또는 P2P 모드를 포함한 일반적인 무선 연결 방법으로 연결할 것인지, 무선 USB 연결을 수행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USB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STA, Soft AP 또는 P2P 모드를 포함한 일반적인 무선 연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무선 USB를 지원하는 경우, WSB/WSE를 포함한 특정 USB over IP 기법을 이용한 USB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e)동작 913의 USB 역할 결정 동작
2개의 전자 장치 간 USB 연결을 수행 시 각 전자 장치는 연결에 대한 정보 및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는 호스트(host)의 역할과 호스트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디바이스'(device)의 역할로 구분될 수 있다.
외부 장치가 전자 장치로 무선 USB 방식(또는 USB over IP)을 지원한다고 알리는 경우에 해당 장치의 역할을 함께 알릴 수 있다. 외부 장치가 자신의 역할을 '디바이스'로 알린 경우, 전자 장치는 자신의 역할을 호스트로 설정할 수 있고, 외부 장치가 자신의 역할을 호스트로 알린 경우 전자 장치는 자신의 역할을 '디바이스'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동작은 전자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로 무선 USB(또는 USB over IP)을 지원한다고 알리는 경우, 전자 장치의 역할을 함께 알릴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자신의 역할을 '디바이스'로 설정하고, 알린 경우, 외부 장치의 역할은 호스트일 수 있다.
(f)동작 919의 STA, Soft AP 또는 P2P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
외부 장치가 제1 통신을 통해 STA 모드로 동작한다고 알리면, 전자 장치는 Soft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외부 장치가 AP 모드로 동작한다고 알리면, 전자 장치는 STA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외부 장치가 P2P 모드로 동작한다고 알리면, 전자 장치도 P2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의 동작 모드에 기초해서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가 HW ID는 전송하였으나, 60GHz 통신 관련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는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해당 HW ID에 따라서 상대적인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HW ID에 따른 상대적인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것이 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가 독(dock) 장치에 대한 HW ID를 전자 장치로 전달하고,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가 독 장치일 경우 STA 모드로 동작한다고 지정된 경우에는 제1 전자 장치는 STA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외부 장치는 소프트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g)동작 913 또는 동작 921의 빔 패턴 생성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는 이벤트 및/또는 제2 통신에 관한 정보에 기초해서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를 별도로 메모리에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는 HW ID에 기초해서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는 HW ID에 따라서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를 메모리에 관리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HW ID를 확인하였을 때, NFC 또는 자기 유도식 무선 충전에 의해 60GHz 통신이 트리거된 경우에는 더 적은 수의 안테나(예: 1~4개)를 활성화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거리가 긴 자기 공진식 무선 충전에 의해 60GHz 통신이 트리거된 경우에는 상기 NFC 또는 자기 유도식 무선 충전에 비해 많은 수의 안테나(예: 4~8개)를 활성화하여 빔폭은 좁지만 커버리지는 상대적으로 긴 빔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된 패턴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는 다수의 방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각 방향에 해당하는 위상 벡터를 실험적으로 결정하고, 복수의 위상 벡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된 빔 패턴은 상황에 따라 위상 벡터들이 다른 빔 패턴일 수 있지만, 상기 동작 901에 대응하는 빔 패턴의 특성은 제1 빔 패턴 범위 내일 수 있다.
(h)동작 913의 고정된 빔 패턴에 기초하여 WSB/WSE 또는 USB 관련 디스커버리 수행 동작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제1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가 WSB/WSE 등을 포함한 USB over IP 기반의 무선 USB를 지원하는 것을 확인하고, 외부 장치의 USB 역할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상기 고정된 빔 패턴에 기반하여 특정 USB 역할을 가지고 WSB/WSE 또는 USB 관련 디스커버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WSB/WSE 방법을 수행할 경우, P2P 기반의 디스커버리 및 연결을 수행하고 WSB/WSE 세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비표준 기반의 무선 USB 방법을 수행할 경우, 전자 장치는 장치 간 사전에 약속된 모드와 USB 역할로 동작하고, 디스커버리 및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가 AP 모드로 USB 디바이스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가정하면, 전자 장치는 STA 모드로 USB 호스트 역할을 수행하고, 외부 장치를 디스커버리 하고, 사전에 약속된 특정 TCP 포트에 한정하여 무선 USB 관련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i) 동작 917의 USB 연결 수행 동작
WSB/WSE를 지원하는 외부 장치에서 WSB/WSE 세션 셋업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는 무선 USB가 연결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비표준 기반의 무선 USB 방법을 이용할 경우, 전자 장치는 TCP 특정 포트를 이용한 통신으로 세션 셋업을 하고, 상기 특정 포트로 통신을 수행하는 패킷들을 모두 무선 USB 패킷으로 처리하고, USB 연결이 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j)동작 923의 고정된 빔 패턴에 기초하여 디스커버리 및 연결 수행 동작
동작 901에 따른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외부 장치와의 근접 상태 인지), 상기 제1 빔 패턴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고정된 빔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섹터에 걸친 SLS 동작에 따른 시간 소요를 줄이기 위해 제한된 수의 섹터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SLS 동작은 IEEE 802.11ad 프로토콜에 따르는 동작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또는 위상 벡터)를 저장하고, 여러 섹터 방향에 대하여 SLS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하나의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섹터 방향에 대하여 SLS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가 제1 빔 패턴을 사용하고, 위상 벡터의 수가 1개일 경우 전자 장치는 하나의 섹터만 사용하여 SLS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11의 SLS 프로토콜 수행에 관한 동작을 참조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SLS를 통해 외부 장치를 발견하면, 이전에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기존의 방법(예: WLAN 시스템에 따른 방법)으로 전자 장치 및 외부 장치 간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VSIE(vendor specific identifier element)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SIE는 매니지먼트 프레임(예: 비콘, 프로브, 또는 액션 프레임들)에 포함될 수 있다. VSIE는 예를 들어, IEEE 802.11 관련 규격에서 정의하지 않는 정보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SIE 포맷은 타입(type) 필드(field), 길이(length) 필드, OUI(organization unique identifier)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입 필드는 이더넷(ethernet) 타입을 나타내는 필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입 필드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이 IP(internet protocol)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길이 필드는 특정 정보(예: 특정 식별자)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OUI 필드는 제조자(manufacturer), 사업자(operator), 또는 밴더(vendor) 식별자(identity)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VSIE 포맷은 수 바이트(bytes) 정도의 데이터에 HW ID, WSB/WSE 지원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실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HW ID, WSB/WSE 지원 여부는 OUI(organization unique identifier) 필드의 뒤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통신이 수 kbps~수백 kbps의 속도를 지원하므로, 전자 장치들은 수십 ms 내외로 VSIE 데이터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SLS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의 (a) 및 (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SLS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전자 장치는 SLS 수행 시 사용하는 섹터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1의 (a)는 사용하는 섹터의 수가 1개인 경우를 예시한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전송 섹터 스윕(transmit sector sweep) 및/또는 응답 섹터 스윕(responder sector sweep) 시에 첫 번째 섹터 스윕(SSW) 패킷에 CDOWN 값을 0으로 설정하고,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자 장치는 다른 섹터에 대한 링크 검출은 수행하지 않으므로, SLS 동작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11의 (b)는 전자 장치가 사용하는 섹터 1개에 대하여 SSW 패킷을 복수개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전자 장치는 하나의 섹터를 사용하되 같은 섹터에 대하여 SSW 패킷을 복수 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2개의 중복된 SSW 패킷을 동일한 섹터 ID로 송수신할 경우 첫 번째 SSW 패킷은 CDOWN=1로 설정하고, 2개의 동일한 섹터 ID 정보를 실은 패킷을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피어 장치인 외부 장치에서 SSW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다음 BTI 시간을 기다려서 다시 링크 검출을 수행해야 한다. 만약 도 11의 (b)와 같이 동일한 SSW 패킷을 반복하여 송수신하면, 링크 검출의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다음 BTI 시간에 다시 SLS를 수행하는 것에 비해 링크 검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802.11ad 시스템의 경우 섹터의 수가 많아서 하나의 섹터에 대하여 동일한 SSW 패킷을 반복적으로 보내면, SLS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정된 빔 패턴을 사용하는 경우 제한된 또는 1개의 섹터에 대해서만 SLS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동일한 SSW 패킷을 반복적으로 보내도, SLS 시간이 기존에 비해 짧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전자 장치와의 이벤트를 고려하므로 모든 빔 패턴을 사용하지 않아도 효율적으로 장치 간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접 모드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면, 기존의 전자 장치의 연결 동작의 경우에 비해 활성화 안테나 수가 예를 들어, 8개에서 4개로 줄어들 수 있다. 대략 1개의 활성화 안테나를 턴-오프 하는 경우 약 40mW 정도의 소비 전력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활성화 안테나 수를 줄이면 소비 전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근접 모드로 동작 시 섹터 개수를 줄이면, 전자 장치 간의 검출(detection) 시간이 섹터 개수의 역수만큼 줄어들 수 있다. 예컨대, 도킹(docking)의 경우 장치 간 검출 시간의 감소로 인해 첫 연결 시 전자 장치의 스크린을 외부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파워 레벨이 높아질수록 전송 시 EVM(error vector magnitude) 성능이 나빠질 수 있는데, 근거리에서 전력 레벨을 낮출 경우 EVM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빔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전자 장치는 제1 빔 패턴은 기준 방향(예: 도 12의 후면 커버 방향)으로 고정하고, 활성화 안테나 개수를 줄여서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각 안테나 별 송신 전력도 줄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활성화 안테나 개수가 줄어들면, 제1 빔 패턴은 기준 방향으로 활성화 안테나 개수가 많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빔 폭을 가질 수 있고, 제1 빔 패턴에 대응하는 커버리지는 활성화 안테나 개수가 많거나 송신 전력이 더 높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 cm~수 m 이내의 제한된 커버리지를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 9와 같이 전자 장치 간 근접이라는 이벤트에 따라서 고정된 빔 패턴으로 서로 연결된 이후에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와 멀어지면, 전자 장치 및/또는 외부 장치는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 및 외부 장치 간의 상태에 따라 빔 패턴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자 장치들은 거리 및/또는 무선 상태에 기초한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들은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에 따른 모드가 정의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활성화 안테나 수, SLS 섹터의 수, 및 안테나 별 전력 레벨 등의 파라미터 등에 따른 속성에 따라 근접 모드, 근거리 모드, 및 기본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모드들을 근접 빔 모드로 참조할 수 있다.
근접 모드는 활성화 안테나 수 및/또는 SLS 섹터의 수가 가장 적고, 안테나 별 전력 레벨이 가장 낮은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근거리 모드는 수 미터 이내에서의 60GHz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근거리 모드는 근접 모드 대비 활성화 안테나 수 및/또는 SLS 섹터의 개수가 근접 모드의 수 이상이고, 안테나 별 전력 레벨도 근접 모드의 전력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본 모드는 일반적인 60GHz 통신을 위해 디폴트로 설정된 활성화 안테나의 수, SLS 섹터의 수, 및 전력 레벨을 사용하는 모드일 수 있다.
활성화 안테나의 수는, 예를 들어, 근접 모드에서는 2개, 근거리 모드에서는 4개, 기본 모드에서는 8개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SLS 섹터의 수는, 예를 들어, 근접 모드에서는 1개, 근거리 모드 및 기본 모드에서는 3차원 공간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수의 섹터 수를 사용할 수 있다.
전력 레벨은, 예를 들어, 근접 모드의 경우 50cm 이내의 거리를 커버할 수 있는 값, 근거리 모드에서는 1~3m 이내의 거리를 커버할 수 있는 값, 기본 모드에서는 디폴트로 설정된 근거리 모드에서 사용하는 전력 레벨 이상의 전력 레벨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근접 연결 이후 빔포밍 동작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도 9에 따른 근접 연결 이후에, 근접 통신이 끊어지는 등의 상황에도 상기 도 9에서 결정된 고정된 패턴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은, 60GHz 통신에 있어서 비효율적이거나 데이터 송수신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근접 통신 연결 이후에도 외부 장치와의 연결 상황 등을 고려하여 60GHz 통신을 위해 적합한 빔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60GHz 통신을 위한 빔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상태 및/또는 거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외부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동작들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혹은,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 또는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의 설명에서는 전자 장치의 동작으로 통칭하여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아래 동작의 주체로서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도 2의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라 함은 상기 전자 장치의 피어 장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서 도 2의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 모두일 수 있다.
동작 1301에서, 전자 장치는 근접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근접 통신이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NFC 또는 무선 충전 상태가 중지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다가 외부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1303에서, 상기 확인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현재 설정된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근접 모드로 동작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근접 모드로 동작하고 있었다면, 동작 1301과 같이 NFC 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거리를 벗어난 것으로 인지했으므로 동작 1305에서 전자 장치는 근거리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근거리 모드에 대해 설정된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60GHz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현재 빔 동작 모드가 적합한지 무선 상태 정보 및/또는 거리 정보에 기초해서 확인하고 필요시 빔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동작 1307에서 전자 장치는 무선 상태 정보 및/또는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무선 상태 정보 또는 거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SNR(signal to noise ratio)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309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획득한 정보가 기본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조건(제1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특정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SNR이 제1 임계값보다 작은지(또는 작거나 같은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거리가 제2 임계값보다 큰지(또는 크거나 같은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획득한 정보가 상기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는 여전히 근거리 모드에서 동작 1307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획득한 정보가 상기 임계값을 만족하면, 동작 1311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기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기본 모드에 따라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외부 장치와 60GHz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313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무선 상태 정보 및/또는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무선 상태 정보 또는 거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SNR(signal to noise ratio)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315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획득한 정보가 근접 거리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조건(제2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특정 임계값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SNR이 제3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지(또는 큰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임계값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값(예: 제1 임계값 + a)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거리 정보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또는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동작 1305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근거리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는 기본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동작 1315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303에서 근접 모드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동작 1317에서 전자 장치는 근거리 모드로 동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근거리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동작 1307을 수행하고, 근거리 모드로 동작하고 있지 않다면, 동작 1319에서 기본 모드로 동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미 기본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면, 전자 장치는 동작 1313을 수행할 수 있다.
기본 모드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동작 1321에서 전자 장치는 기본 모드로 동작 모드를 변경하고, 동작 1313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는 SNR 또는 거리에 따라 근접 모드, 근거리 모드, 기본 모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고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는 도 9와 같이 장치 간 근접 통신을 사용할 수 있는 근접 연결이 발생한 경우 이외에도 빔 패턴을 단순화시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특정 방향 빔 모드를 정의하고, 상기 특정 방향 빔 모드에서 고정된 빔 패턴을 사용해서 피어 장치(예: 외부 장치(200))와의 제2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방향 빔 모드는 상기 제1 빔 패턴과 구분되는 제2 빔 패턴을 사용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빔 패턴의 일 예이다.
상기 제2 빔 패턴은 도 12의 제1 빔 패턴과는 구분되고, 특정 방향으로 고정되고 빔 폭은 좁지만 커버리지는 긴 빔 패턴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특정 빔 방향은 전자 장치(1400)의 상단부 또는 HMD(head mount display) 전자 장치(1410)의 정면부로 설정된 경우를 예시한다. 이 외에도, 상기 특정 빔 방향은 어플리케이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0)는 특정 방향 빔 모드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빔, 빔 방향 및/또는 빔 커버리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빔 패턴을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빔 패턴을 가지는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를 미리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400)는 상기 제2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의 위상 벡터 또는 복수의 위상 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400)는 사용자가 특정 방향의 빔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장치(1400)는 상기 빔이 특정 시나리오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또는 서비스)과 연계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방향 빔 모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400)는 사용자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특정 방향 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400)는,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빔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빔 패턴으로 피어 장치를 탐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400)는 상기 특정 방향 빔 모드에서 동작 시 소정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400)는 제2 빔 패턴에 대한 자동 연결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400)는 제2 빔 패턴에 대한 자동 연결 조건을 판단하고, 상기 자동 연결 조건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피어 장치를 전자 장치(1400)의 UI에 표시하거나, 자동으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400)는 피어 장치와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획득한 서비스 목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장치(14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연결은 상기 도 2의 제2 통신 회로(140)를 이용한 통신 연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연결은 60GHz 통신 연결일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특정 방향 빔 모드에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동작들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10) 또는 외부 장치(200)의 프로세서(210)에 의해 수행(혹은,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 또는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5의 설명에서는 전자 장치의 동작으로 통칭하여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동작 1501에서, 전자 장치는 특정 방향 기반의 60GHz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방향 기반의 60GHz 서비스는 상기 특정 방향 빔 모드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특정 방향 빔 모드에 연관된 서비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방향 빔 모드에서 60GHz 연결을 전제로 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제공 시 60GHz 통신의 연결이 필요할 수 있다.
동작 1503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서비스의 실행에 응답하여, 제2 빔 패턴(예: 도 14의 제2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빔 패턴의 생성을 위해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505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제2 빔 패턴에 기초해서 디스커버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커버리 동작 동안 상기 제2 빔 패턴을 고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커버리 동작을 통해서 피어 장치(예: 외부 장치)를 찾을 수 있다.
동작 1507에서, 전자 장치는 자동 연결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조건을 만족 시 동작 1509에서 상기 제2 빔 패턴에 기초해서 피어 장치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509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수행하고, 동작 1511에서 서비스를 자동 실행하거나 서비스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자동 연결 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전자 장치는 자동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15의 각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동작 1501 이전의 빔 패턴 설정 동작
도 15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동작 1501의 실행 이전에 전자 장치는 제2 빔 패턴을 선택할 수 있는 UI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빔 패턴을 연계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에 대하여 특정 각도의 방향을 제2 빔 패턴으로 선택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고, 60GHz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시 제2 빔 패턴을 사용하도록 연계할 수 있다.
(b) 동작 1501의 특정 방향 기반 60GHz 서비스 실행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연계된 제2 빔 패턴을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빔 패턴은 상기 빔 패턴 설정 동작에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연계된 빔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파라미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는 제2 빔 패턴을 생성하고, 도 15의 순서도에 따라서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서비스까지 포함할 경우, 연결 수행 후 상기 특정 서비스까지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미디어 재생을 수행할 수 있으면, 상기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다.
(c)동작 1503의 제2 빔 패턴 생성 동작
전자 장치는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고, 상기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특정 빔 폭 및 상기 특정 방향을 향하는 제2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들은 활성화 안테나 수, 위상 쉬프트 값 또는 활성화 안테나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빔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안테나 관련 파라미터들을 미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빔 패턴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방향, 특정 폭을 가지는 빔 패턴일 수 있다.
(d)동작 1505의 제2 빔 패턴으로 디스커버리 수행
상기 전자 장치는 60GHz 통신을 수행하고, SLS 동작을 수행하되 제2 빔 패턴에 기초해서 피어 장치를 찾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SLS 동작은 도 9에서 설명한 디스커버리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제한된 섹터에 대하여 CDOWN 값을 설정하고, SSW 패킷을 교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일한 섹터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SSW 패킷을 교환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빔 패턴 방향을 피어 장치에 대하여 제2 빔 패턴 방향으로 세팅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빠른 탐색을 할 수 있고, 다른 섹터에 존재하는 전자 장치는 검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빔 패턴을 설정하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상당부가 가리키는 방향 또는 사용자가 HMD 디바이스를 통해 바라보는 방향에 위치하는 피어 장치만 검색할 수 있다.
(e)동작 1507의 자동 연결 조건을 판단하는 동작
전자 장치가 제2 빔 패턴을 사용하여 피어 장치의 탐색에 성공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자동 연결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 지시자(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피어 장치의 각도, 거리 등 무선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는 값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한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 연결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색된 피어 장치에 대하여, RSSI 또는 SINR이 특정 조건 이상이고, 추정된 각도가 선택된 송수신 빔의 방향과 특정 각도 이내이거나, 예를 들어 802.11ac FTM(fine timing measurement) 기법에 의해 추정된 거리가 특정 거리 이내일 경우, 피어 장치를 전자 장치의 UI에 표시할 수 있다.
(f)동작 1509의 제2 빔 패턴 기반으로 연결 수행
상기 전자 장치는 자동 연결 조건이 만족한 경우, 상기 조건을 만족한 피어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 간 이미 접속한 이력이 있거나, 패스프레이즈를 VSIE 등을 통해 교환한 경우, 기 획득한 패스프레이즈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간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미리 획득한 패스프레이즈가 없는 경우, WPS(Wi-Fi protected setup)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캔, 탐색, 디스커버리, 그룹 형성, 프로비전, 또는 (P)BSS 설정 등의 단계를 거쳐서 전자 장치 간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g)동작 1511의 서비스 자동 실행 또는 서비스 목록 제공 동작
전자 장치가 제2 빔 패턴에 기반하여 피어 장치와의 연결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는 해당 연결을 트리거한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서비스 목록을 제공하거나 특정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미디어 재생 서비스까지 연계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컨텐츠를 피어 장치로 미러링하거나 그 반대로 미러링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USB 저장 관련 서비스와 연계된 경우, 전자 장치는 피어 장치의 저장 또는 파일 전송 등에 관련된 서비스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방향의 빔 패턴을 미리 설정하고 이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특정 앱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사용자가 가리키는 동작으로 자동 실행하여,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600) 내의 전자 장치(1601)의 블록도다. 도 16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600)에서 전자 장치(16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제 1 네트워크(1698)(예: 근거리 무선 통신)(예: 도 2의 제1 통신 회로(130)를 통한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602)(예: 도 1의 외부 장치(200))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699)(예: 원거리 무선 통신)(예: 도 2의 제2 통신 회로(140)를 통한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604)(예: 도 1의 외부 장치(200)) 또는 서버(16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601)는 서버(16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6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601)는 프로세서(1620)(예: 도 2의 프로세서(110) 또는 프로세서(210)), 메모리(1630)(예: 도 2의 메모리(120) 또는 메모리(220)), 입력 장치(1650), 음향 출력 장치(1655), 표시 장치(1660), 오디오 모듈(1670), 센서 모듈(1676), 인터페이스(1677), 햅틱 모듈(1679), 카메라 모듈(1680), 전력 관리 모듈(1688), 배터리(1689), 통신 모듈(1690)(예: 도 2의 제1 통신 회로(130) 및 제2 통신 회로(140) 또는 제1 통신 회로(230) 및 제2 통신 회로(240)), 가입자 식별 모듈(1696), 및 안테나 모듈(1697)(예: 도 2의 안테나(10) 또는 안테나(2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6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60) 또는 카메라 모듈(16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6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6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6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6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6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6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676) 또는 통신 모듈(16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6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6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20)는 메인 프로세서(16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6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6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623)는 메인 프로세서(16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6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6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6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6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621)와 함께, 전자 장치(16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60), 센서 모듈(1676), 또는 통신 모듈(16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6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680) 또는 통신 모듈(16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630)는, 전자 장치(16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620) 또는 센서모듈(16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6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30)는, 휘발성 메모리(16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6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640)은 메모리(16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642), 미들 웨어(1644) 또는 어플리케이션(16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650)는, 전자 장치(16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6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6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6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6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60)는 전자 장치(16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6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670)은, 입력 장치(16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655), 또는 전자 장치(16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6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676)은 전자 장치(16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6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677)는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6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6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678)는 전자 장치(1601)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6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6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6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6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6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688)은 전자 장치(16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689)는 전자 장치(16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90)은 전자 장치(1601)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602), 전자 장치(1604), 또는 서버(16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90)은 프로세서(16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690)은 무선 통신 모듈(16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6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6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6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6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6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6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6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6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690)(예: 무선 통신 모듈(16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699)에 연결된 서버(16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6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6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602, 1604) 각각은 전자 장치(16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6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6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6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6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6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636) 또는 외장 메모리(16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6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6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6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로서, 제1 주파수 및 제1 커버리지를 가지는 무지향성의 제1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 및 상기 제1 커버리지보다 큰 제2 커버리지를 가지는 지향성의 제2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무선 통신 회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에 연관된 이벤트를 획득하고,
    상기 이벤트에 기초하여 빔 패턴을 설정하고,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되, 상기 제2 무선 통신 연결 시 상기 설정된 빔 패턴을 고정적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안테나에 연관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연관된 파라미터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중 활성화 안테나의 수, 활성화 안테나, 섹터 식별자 또는 안테나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서 상기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안테나에 연관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하드웨어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NFC 태깅(tagging) 또는 무선 충전 인식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외부 장치와의 제2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해 SLS(sector level sweep)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SLS 동작 동안 상기 빔 패턴을 고정적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용되는 빔 패턴은 하나인 빔 패턴인, 전자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빔 패턴은 하나의 섹터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통해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배터리;
    지향성의 무선 통신을 위한 빔포밍을 위해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통해 제1 커버리지의 제1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제1 커버리지보다 큰 제2 커버리지를 가지는 제2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작동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배터리,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에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작동적으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 중 전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인에이블하고,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인에이블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된 안테나 엘리먼트는 지향성 또는 무지향성의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회로는 25GHz에서 100GHz까지의 주파수의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는 60GHz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NFC 프로토콜의 리더(reader)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근접하는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배터리의 무선 충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와의 거리를 결정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결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개수를 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KR1020170167052A 2017-12-06 2017-12-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450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052A KR102450421B1 (ko) 2017-12-06 2017-12-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CT/KR2018/008567 WO2019112136A1 (ko) 2017-12-06 2018-07-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15/733,189 US11088742B2 (en) 2017-12-06 2018-07-27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052A KR102450421B1 (ko) 2017-12-06 2017-12-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052A true KR20190067052A (ko) 2019-06-14
KR102450421B1 KR102450421B1 (ko) 2022-10-05

Family

ID=6675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052A KR102450421B1 (ko) 2017-12-06 2017-12-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88742B2 (ko)
KR (1) KR102450421B1 (ko)
WO (1) WO201911213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5051B2 (en) 2018-07-04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ans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KR20230001154A (ko) * 2021-06-28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v 수신 장치 및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928195B2 (en) 2018-05-15 2024-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 object in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9947B2 (en) * 2018-11-19 2022-04-19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directional wireless links of motile devices
US10917857B2 (en) * 2019-04-18 2021-02-0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17789665B (zh) * 2024-02-28 2024-05-10 深圳市每开创新科技有限公司 墨水屏的无源驱动电路、其控制方法以及手机壳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016A (ko) * 2009-11-20 2012-08-2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네트워크 발견을 보조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JP2016506152A (ja) * 2012-12-19 2016-02-2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タグ付けによるデバイスの認証
US20160191133A1 (en) * 2014-12-30 2016-06-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ntrol device for multiplexing antenna and beam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6178452A (ja) * 2015-03-19 2016-10-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2017168922A (ja) * 2016-03-14 2017-09-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495A (ko) 2013-01-09 2014-07-17 주식회사 케이티 빔포밍 장치, 및 그의 빔 셀 형성 방법
KR102140753B1 (ko) 2014-07-14 2020-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US20160178560A1 (en) * 2014-12-18 2016-06-23 Lifescan Scotland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nalyte measurement
JP2016144194A (ja) 2015-02-05 2016-08-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無線通信方法
KR101729858B1 (ko) 2015-10-26 2017-04-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Tv 미러링 장치 및 방법
KR102455266B1 (ko) 2017-10-17 2022-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102349598B1 (ko) 2017-10-19 2022-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 대역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016A (ko) * 2009-11-20 2012-08-2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네트워크 발견을 보조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JP2016506152A (ja) * 2012-12-19 2016-02-2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タグ付けによるデバイスの認証
US20160191133A1 (en) * 2014-12-30 2016-06-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ntrol device for multiplexing antenna and beam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6178452A (ja) * 2015-03-19 2016-10-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2017168922A (ja) * 2016-03-14 2017-09-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8195B2 (en) 2018-05-15 2024-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 object in electronic device
US11265051B2 (en) 2018-07-04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ans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KR20230001154A (ko) * 2021-06-28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v 수신 장치 및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863822B2 (en) 2021-06-28 2024-01-02 Lg Electronics Inc. Audio/video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88742B2 (en) 2021-08-10
US20210105051A1 (en) 2021-04-08
KR102450421B1 (ko) 2022-10-05
WO2019112136A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8742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9197095B2 (en) 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harging the apparatus
US1119630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wireless charging
KR20170112934A (ko)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10034270A (ko) LoS 경로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025314A (ko) 충전 방식 가변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500347B1 (ko) Wi-Fi 통신 및 모바일 핫스팟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JP2015233392A (ja) 電子機器
KR20200129853A (ko) 무선 통신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85350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3500021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CN116848836A (zh) 用于执行Wi-Fi直接群组通信的电子设备及其方法
KR20220106531A (ko)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70113007A (ko)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488085B1 (ko) 무선 충전 시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을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
KR20220073352A (ko) 액세서리 장치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2024004861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wi-fi peer to peer (p2p) group
KR20200004601A (ko)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20240056773A1 (en) Locating method using advertisem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EP4366389A1 (en)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230300911A1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EP4391653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canning channels of frequency bands
KR20240045937A (ko) 충전 구역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30052193A (ko)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과의 무선랜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4677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무선 충전 가이드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