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552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552A
KR20190066552A KR1020180148901A KR20180148901A KR20190066552A KR 20190066552 A KR20190066552 A KR 20190066552A KR 1020180148901 A KR1020180148901 A KR 1020180148901A KR 20180148901 A KR20180148901 A KR 20180148901A KR 20190066552 A KR20190066552 A KR 20190066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iping
pipe
out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2240B1 (en
Inventor
김문섭
서형준
이형진
정두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8210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EP3495752B1/en
Priority to PCT/KR2018/015274 priority patent/WO2019112307A1/en
Priority to CN201811482348.3A priority patent/CN110017545B/en
Priority to US16/210,783 priority patent/US11326786B2/en
Publication of KR20190066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5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2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0Refrigerant piping for use inside the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25B41/003
    • F25B41/04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onditioner comprises: a compressor having an inlet into which a refrigerant is sucked, and an outlet to discharge a compressed refrigerant; a four-way valve switching a flow passage during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s, and including a valve body, a D port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in a first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outlet, and an S port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inlet; and a compressor pipe including a discharge pipe to connect the outlet and the D port, and a suction pipe to connect the inlet and the S port. One between the discharge pipe and the suction pipe has two curved portions and the other one has one curved portion. By such structure, pipe stress reliability is secured, material costs are reduced, and a compressor chamber can have a compact size.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ing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 송풍팬 등을 구비하고,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등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is equipped with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a blowing fan, and the like,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humidity, air flow and the like of the room by using a refrigeration cycle.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n indoor unit disposed indoors and an outdoor unit disposed outdoors.

실외기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송풍기, 팽창 기구, 사방 밸브 등을 포함하며, 사방 밸브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모드와 난방 모드에서 유로를 전환시킨다.The outdoor unit includes a compressor, an outdoor heat exchanger, a blower, an expansion mechanism, a four-way valve and the like, and the four-way valve switches the flow path in the cooling mode and the heating mode of the air conditioner.

사방 밸브는 4개의 포트를 가지며, 각 포트는 압축기의 인렛 및 아웃렛과, 실내 열교환기 및 실외 열교환기에 배관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압축기의 가동 시에 압축기에서 발생한 진동이 배관에 전달되며, 배관의 길이, 형상, 밀도 등에 따라 배관의 진동이 저감되거나 증폭될 수 있다. 특히,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와 배관의 고유 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 공진이 발생하여 배관의 진동이 크게 상승하고 크랙 등이 발생할 수 있다.The four-way valve has four ports, and each port is connected to the inlet and outlet of the compressor,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through piping. In this structure, vibrations generated in the compressor are transmitted to the piping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vibration of the piping can be reduced or amplified depending on the length, shape, and density of the piping. Particularly, whe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pressor and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pipe coincide with each other, resonance occurs and the vibration of the pipe increases greatly, and cracks may occur.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배관 진동을 저감하여 배관 구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 및 이를 갖는 공기 조화기를 개시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iping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reducing piping vibration and ensuring reliability of piping structure and an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배관 길이를 최소화하여 재료비를 절감하고 압축기실을 컴팩트화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 및 이를 갖는 공기 조화기를 개시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iping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minimizing a pipe length and reducing a material cost and making a compressor chamber compact, and an air conditioner having the pipe structur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냉매가 흡입되는 인렛과,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아웃렛을 갖는 압축기;와, 냉방 및 난방 운전 시에 유로를 전환시키는 사방 밸브로서, 밸브 몸체와, 상기 아웃렛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에서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D 포트와, 상기 인렛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S 포트를 갖는 사방 밸브; 및 상기 아웃렛과 상기 D 포트를 연결하는 토출 배관과, 상기 인렛과 상기 S 포트를 연결하는 흡입 배관을 갖는 압축기 배관; 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배관과 상기 흡입 배관 중에 어느 하나는 2 개의 곡선부를 갖고 나머지 하나는 1개의 곡선부를 갖는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refrigerant is suck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compressed refrigerant is discharged; a four-way valve for switching the flow path during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A four-way valve having a D port protru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valve body to connect to the inlet and an S port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inlet; And a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let and the D port, and a suction pip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S port; Wherein one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suction pipe has two curved portions and the other has one curved portion.

상기 D 포트의 중심축과 상기 S 포트의 중심축은 상기 인렛의 중심축과 상기 아웃렛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포함될 수 있다.The center axis of the D port and the center axis of the S port may be included in a plane including the center axis of the inlet and the center axis of the outlet.

상기 D 포트의 중심축과 상기 S 포트의 중심축은 상기 인렛의 중심축과 상기 아웃렛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center axis of the D port and the center axis of the S por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plane including the center axis of the inlet and the center axis of the outlet.

상기 인렛의 중심축과 상기 아웃렛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The central axis of the inlet and the central axis of the outlet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D 포트의 중심축과 상기 S 포트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The central axis of the D port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 port may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밸브 몸체는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D 포트와 상기 S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수 있다.상기 D 포트와 상기 S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의 중심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The D port and the S port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valve body. The D port and the S port may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valve body have.

상기 D 포트가 상기 S 포트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사방 밸브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four-way valve may be disposed at an angle so that the D por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 port.

상기 토출 배관은 상기 D 포트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아웃렛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2배관 직선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3배관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1배관 곡선부와, 상기 제2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3배관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2배관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pipe includes a first piping straight portion coupled to the D port, a second piping straight portion coupled to the outlet, and a third piping straight line extending between the first piping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piping straight portion, A first piping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ipe straight portion and the third pipe straight portion and a second pipe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and the third pipe straight portion.

상기 흡입 배관은 상기 S 포트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인렛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2배관 직선부를 연결하는 배관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pipe may include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coupled to the S port, a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coupled to the inlet, and a pipe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ipe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have.

상기 S 포트가 상기 D 포트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사방 밸브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four-way valve may be disposed at an angle so that the S por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D port.

상기 S 포트와 상기 D 포트가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And the S port and the D port may be located at corresponding heights.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냉매가 흡입되는 인렛과,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아웃렛을 갖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 및 냉방 및 난방 운전 시에 유로를 전환시키는 사방 밸브로서, 상기 아웃렛에 연결되는 D 포트와, 상기 인렛에 연결되는 S 포트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C 포트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E 포트를 갖는 사방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D 포트가 상기 아웃렛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S 포트가 상기 인렛에 직접 연결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ompressor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 refrigerant is suck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compressed refrigerant is discharged;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n indoor heat exchanger; And a four-way valve for switching a flow path during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the four-way valve comprising: a D port connected to the outlet; an S port connected to the inlet; a C port connect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 four-way valve having a port; Wherein the D por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let or the S por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let.

상기 S 포트는 상기 인렛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S port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let.

상기 사방 밸브는 원통 형상을 갖는 밸브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D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밸브 몸체의 축 방향에 수직한 제1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S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제1방향에 반대인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인렛에 결합되는 제2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2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포트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our-way valve includes a valve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D port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valve body, A second port rectilinear portion coupled to the inlet, and a port curvilinear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ort rectilinear portion and the second port rectilinear portion to each other, .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2포트 직선부 사이의 각은 20 ~ 90 도일 수 있다.The angle between the first port linear portion and the second port linear portion may be 20 to 90 degrees.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C 포트를 연결하는 실외 열교환기 배관을 더 포함하고,상기 C 포트는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평행한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배관에 결합되는 제5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5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2포트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포트 곡선부는 상기 포트 곡선부와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further includes an outdoor heat exchanger pipe connecting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C port. The C port includes a fourth port straight portion parallel to the first port rectilinear portion, and a fourth port straight portion coupl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pipe And a second port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fourth port rectilinear portion and the fifth port rectilinear portion and the second port curved portion may b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ort curved portion.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E포트를 연결하는 실내 열교환기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E 포트는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평행한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배관에 결합되는 제5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5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2포트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포트 곡선부는 상기 포트 곡선부와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Wherein the E port further comprises: a fourth port rectilinear portion parallel to the first port rectilinear portion; and a fifth port coupl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pipe, And a second port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fourth port rectilinear portion and the fifth port rectilinear portion, and the second port curved portion may b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ort curved portion.

상기 D 포트는 상기 아웃렛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D port may be inserted into the outlet and coupled thereto.

상기 사방 밸브는 원통 형상을 갖는 밸브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D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밸브 몸체의 축 방향에 수직한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아웃렛에 결합되는 제2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2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포트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our-way valve includes a valve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D port includes a first port rectilinea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axial direction of the valve body, And a port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ort rectilinear portion and the second port rectilinear portio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방 밸브가 압축기에 근접 또는 직접 연결됨으로써 압축기의 운전 시에 압축기와 사방 밸브가 실질적으로 일체화되어 진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의 고유 주파수가 압축기의 운전 영역 바깥으로 이동하고, 배관 응력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ur-way valve is connected to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ressor, the compressor and the four-way valve can be substantially integrated and vib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s a result,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pipe moves outside the operating range of the compressor, and the reliability of the piping stress can be ensured.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배관의 길이가 최소화되어 재료비가 절감되고, 압축기실이 컴팩트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piping is minimized, the material cost is reduced, and the compressor chamber can be made comp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방 밸브와 압축기의 일체화 거동 특성을 가지면서도 컨트롤 박스나 리액터 등 주변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사방 밸브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rrange the four-way valv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eripheral structures such as the control box and the reactor, while having the unifie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four-way valve and the compresso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냉방 운전 시, 도 2는 냉방 운전 시의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1 and 2 are views showing a refrigerant circu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view showing a refrigerant circuit in a cooling operation, and Fig. 2 is a refrigerant circuit in a cooling opera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showing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de view showing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ide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structure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ide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lan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will be understoo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element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though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Used for identification purposes on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냉방 운전 시, 도 2는 냉방 운전 시의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 refrigerant circu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shows a refrigerant circuit during a cooling operation, and FIG. 2 shows a refrigerant circuit during a cooling operation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는 실내기(2)와, 실외기(5) 및 이를 연결하는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2, the air conditioner 1 includes an indoor unit 2, an outdoor unit 5, and a pipe connecting the indoor unit 2 and the outdoor unit 5.

실내기(2)는 실내 열교환기(3)와, 송풍팬(4)을 포함하고, 실외기(5)는 실외 열교환기(6)와, 송풍팬(7)과, 압축기(10)와, 팽창 기구(8)와, 사방 밸브(20) 및 서비스 밸브(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2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3 and a blowing fan 4. The outdoor unit 5 includes an outdoor heat exchanger 6, a blowing fan 7, a compressor 10, (8), a four-way valve (20) and a service valve (9).

압축기(10)는 입력 주파수에 따라 압축 용량이 가변되는 하나의 인버터 압축기로 구성되거나, 압축 용량이 일정한 복수개의 정속 압축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pressor 10 may be constituted by one inverter compressor whose compression capacity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input frequency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constant speed compressors whose compression capacity is constant.

압축기(10)는 구동부와 압축부를 구비하는 압축기 본체(11)와, 압축기 본체(11)를 향하는 냉매에서 액상의 냉매를 걸러내기 위한 어큐뮬레이터(1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본체(11)는 로터리 압축기일 수 있다. 압축기(10)는 냉매가 흡입되는 인렛(15)과, 흡입된 냉매가 압축되어 토출되는 아웃렛(16)을 구비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12)는 사방 밸브(20)에서 압축기(10)로 유입되는 냉매 중에 액체 상태의 냉매를 걸러낸 냉매, 즉 기체 상태의 냉매 만을 압축기 본체(11)로 제공할 수 있다.The compressor 10 may include a compressor main body 11 having a driving portion and a compression portion and an accumulator 12 for filtering the liquid refrigerant from the refrigerant directed toward the compressor main body 11. The compressor main body 11 may be a rotary compressor. The compressor 10 may include an inlet 15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sucked and an outlet 16 through which the sucked refrigerant is compressed and discharged. The accumulator 12 can supply only the refrigerant in the liquid state to the compressor body 11, that is, the gaseous refrigerant in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mpressor 10 from the four-way valve 20.

실내 열교환기(3)는 도 1의 냉방 모드일 시에 증발기로 작용하며, 도 2의 난방 모드일 시에 응축기로 작용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6)는 도 1의 냉방 모드일 시에 응축기로 작용하며, 도 2의 난방 모드일 시에 증발기로 작용할 수 있다. The indoor heat exchanger 3 acts as an evaporator in the cooling mode of FIG. 1 and can act as a condenser in the heating mode of FIG. The outdoor heat exchanger 6 acts as a condenser in the cooling mode of FIG. 1 and can act as an evaporator in the heating mode of FIG.

팽창 기구(8)는 실내 열교환기(3)와 실외 열교환기(6) 사이를 통과하는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팽창 기구(8)는 냉매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도 값이 가변하는 전자 팽창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pansion mechanism (8) can expand the refrigerant passing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3)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6). The expansion mechanism (8) may be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whose opening value is variable so as to control the amount of refrigerant.

서비스 밸브(9)는 실내기(2) 측 배관과 실외기(5) 측 배관을 연결하고 냉매를 충전할 수 있도록 배관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rvice valve 9 can be installed in the pipe so as to connect the indoor pipe 2 side pipe and the outdoor pipe 5 side pipe and to fill the refrigerant.

사방 밸브(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바꾸도록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즉, 사방 밸브(20)는 압축기(10)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3) 또는 실외 열교환기(6)로 안내할 수 있다. The four-way valve 20 can switch the flow path so as to chang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at is, the four-way valve 20 can guide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3 or the outdoor heat exchanger 6.

이러한 사방 밸브(20)는 밸브 몸체(21)와, 밸브 몸체(21)에서 돌출되는 4 개의 포트(25, 26, 27, 28)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포트(25, 26, 27, 28)은 압축기(10)의 아웃렛(1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D 포트(25)와, 압축기(10)의 인렛(15)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S 포트(26)와, 실외 열교환기(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C 포트(27)와, 실내 열교환기(3)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E 포트(28)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ur-way valve 20 may include a valve body 21 and four ports 25, 26, 27 and 28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21. The four ports 25, 26, 27 and 28 include a D port 25 connected to the outlet 16 of the compressor 10 and an S port 25 connected to the inlet 15 of the compressor 10, A C port 27 connect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6 and an E port 28 connect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3.

사방 밸브(20)는 도 1의 냉방 모드 시에 D 포트(25)와 C 포트(27)가 연결됨과 동시에 S 포트(26)와 E 포트(28)가 연결되고, 도 2의 난방 모드 시에 D 포트(25)와 E 포트(28)가 연결됨과 동시에 S 포트(26)와 C 포트(27)가 연결됨으로써, 냉매의 흐름을 전환시킬 수 있다.The four-way valve 20 is connected to the S port 26 and the E port 28 while the D port 25 and the C port 27 are connected in the cooling mode of FIG. 1, The D port 25 and the E port 2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S port 26 and the C port 2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low of the refrigerant can be switched.

즉, 도 1의 냉방 모드 시에 D 포트(25)와 C 포트(27)가 연결됨과 동시에 S 포트(26)와 E 포트(28)가 연결되면, 압축기(10)에서 사방 밸브(20)로 유입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6)로 유출되게 되며 실내 열교환기(3)에서 사방 밸브(20)로 유입된 냉매는 압축기(1)로 유출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D port 25 and the C port 27 are connected and the S port 26 and the E port 28 are connected in the cooling mode of FIG. 1, the compressor 10 is connected to the four-way valve 20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our-way valve 20 flows out to the compressor 1.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6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3,

또한, 도 2의 난방 모드 시에 시에 D 포트(25)와 E 포트(28)가 연결됨과 동시에 S 포트(26)와 C 포트(27)가 연결되면, 압축기(10)에서 사방 밸브(20)로 유입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3)로 유출되게 되며 실외 열교환기(6)에서 사방 밸브(20)로 유입된 냉매는 압축기(1)로 유출되게 된다.When the D port 25 and the E port 28 are connected and the S port 26 and the C port 27 are connected at the time of the heating mode of FIG. 2, the four-way valve 20 Flows out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3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our-way valve 20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6 flows out to the compressor 1.

공기 조화기(1)의 배관은 압축기(2)와 사방 밸브(20)를 연결하는 압축기 배관(30)과, 실외 열교환기(6)와 사방 밸브(20)를 연결하는 실외 열교환기 배관(60)과, 실내 열교환기(3)와 사방 밸브(20)를 연결하는 실내 열교환기 배관(7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배관(30)은 압축기(10)의 아웃렛(16)과 사방 밸브(20)의 D 포트(25)를 연결하는 토출 배관(40)과, 압축기(10)의 인렛(15)과 사방 밸브(20)의 S 포트(26)를 연결하는 흡입 배관(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iping of the air conditioner 1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piping 30 connecting the compressor 2 and the four-way valve 20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pipe 60 connecting the outdoor heat exchanger 6 and the four- And an indoor heat exchanger pipe 70 for connecting the indoor heat exchanger 3 and the four-way valve 20 to each other. The compressor piping 30 has a discharge piping 40 connecting the outlet 16 of the compressor 10 and the D port 25 of the four-way valve 20 and a discharge pipe 40 connecting the inlet 15 of the compressor 10 and the four- 20 connected to the S port 26 of the suction pipe 50. [

압축기(10) 가동 시의 배관의 진동을 완화하기 위해 압축기 배관(30)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는 시도가 있으나, 이러한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재료비가 상승하고, 배관 구조가 복잡하여 압축기실의 공간이 크게 잠식당할 수 있다. 나아가, 근래 공기 조화기에는 운전 영역이 가변하는 인버터 압축기를 주로 사용하므로, 상기와 같은 구조로는 배관의 고유 주파수가 인버터 압축기의 넓은 운전 영역을 벗어나도록 설계하는 것이 곤란하다.There is an attempt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compressor pipe 30 or to form the shape of a loop in order to alleviate vibration of the pipe when the compressor 10 is operated. However, when such a structure is applied, the material cost rises and the piping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space of the yarn can be largely eroded. Further, since the inverter compressor having a variable operating region is mainly used for the air conditioner in recent years, it is difficult to design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piping so as to deviate from the wide operating range of the inverter compress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배관 구조는 사방 밸브(20)를 압축기(10)에 근접 또는 직접 연결하여 배관의 고유 주파수를 압축기(10) 운전 영역의 바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배관 응력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재료비를 절감하고, 압축기실의 컴팩트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배관 및 사방 밸브(2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piping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uch that the four-way valve 20 is connected to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0 to move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piping out of the operating range of the compressor 10, Th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and the compressor chamber can be made compact.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iping and the four-way valve 2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다만, 도 4 내지 도 5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외 열교환기 배관(60) 및 실내 열교환기 배관(70)은 생략하였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the outdoor heat exchanger pipe 60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pipe 70 are omitted.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0)는 지지대(18) 위에 올려 놓이며, 압축기(10)는 평행한 상면(17)을 가질 수 있다. 압축기(10)는 냉매가 흡입되는 인렛(15)과, 흡입된 냉매가 압축되어 토출되는 아웃렛(16)을 가지며, 인렛(15)과 아웃렛(16)은 각각 상면(17)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3 to 5, the compressor 10 is mounted on a support 18, and the compressor 10 can have a parallel upper surface 17. The compressor 10 has an inlet 15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sucked and an outlet 16 through which the sucked refrigerant is compressed so that the inlet 15 and the outlet 16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17 It can have a protruding shape.

또한,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즉,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평면(P)에 포함될 수 있다.The center axis Li of the inlet 15 and the center axis Lo of the outlet 16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That is, the center axis Li of the inlet 15 and the center axis Lo of the outlet 16 may be included in one plane P substantially.

사방 밸브(20)는 밸브 몸체(21)와, 밸브 몸체(21)에서 돌출되는 4 개의 포트(25, 26, 27, 28)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포트(25, 26, 27, 28)는 압축기(10)의 아웃렛(1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D 포트(25)와, 압축기(10)의 인렛(15)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S 포트(26)와, 실외 열교환기(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C 포트(27)와, 실내 열교환기(3)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E 포트(28)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ur-way valve 20 may include a valve body 21 and four ports 25, 26, 27, 28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21. The four ports 25, 26, 27 and 28 include a D port 25 connected to the outlet 16 of the compressor 10 and an S port 25 connected to the inlet 15 of the compressor 10, A C port 27 connect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6 and an E port 28 connect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3.

밸브 몸체(21)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밸브 몸체(21)는 축 방향(A1)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D 포트(25)는 밸브 몸체(21)에서 밸브 몸체(21)의 축 방향(A1)에 수직한 제1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S 포트(26)는 밸브 몸체(21)에서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은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은 일치할 수 있다.The valve body 2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The valve body 21 can be elongated in the axial direction A1. The D port 25 may protrude from the valve body 21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A1 of the valve body 21. [ The S port 26 may protrude from the valve body 21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refore, the center axis Ld of the D port 25 and the center axis Ls of the S port 26 can be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That is, the center axis Ld of the D port 25 and the center axis Ls of the S port 26 can coincide with each other.

D 포트(25)와 S 포트(26) 사이의 길이(L1)는 인렛(15)과 아웃렛(16) 사이의 수평 거리(L2) 보다 크거나 대응될 수 있다.The length L1 between the D port 25 and the S port 26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horizontal distance L2 between the inlet 15 and the outlet 16. [

D 포트(25)와 S 포트(26)는 밸브 몸체(21)의 축 방향(A1)을 기준으로 밸브 몸체(21)의 중심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C 포트(27)와 E 포트(28)는 S 포트(26)의 양 옆에 돌출될 수 있다. C 포트(27)와 E 포트(28)는 S 포트(26)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D port 25 and the S port 26 can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valve body 21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A1 of the valve body 21. [ The C port 27 and the E port 28 may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S port 26. [ The C port 27 and the E port 28 may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 port 26. [

사방 밸브(20)는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our-way valve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enter axis Ld of the D port 25 and the center axis Ls of the S port 26 are aligned with the center axis Li of the inlet 15 and the center axis Lo of the outlet 16 (P).

즉, 압축기(10)의 위에서 압축기(10)를 향해 내려다 볼 때, 사방 밸브(20)의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과 일치할 수 있다.The center axis Ld of the D port 25 of the four-way valve 20 and the center axis Ls of the S port 26 are positioned on the inlet 10 side of the compressor 10, 15 of the outlet 16 and the plane P of the outlet 16 including the central axis Lo thereof.

또한,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은 D 포트(25)가 S 포트(26)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압축기(10)의 상면(17)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토출 배관(40)과 흡입 배관(50)은 각각 2 개 이하의 곡선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enter axis Ld of the D port 25 and the center axis Ls of the S port 26 ar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17 of the compressor 10 such that the D port 25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 port 26. [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discharge pipe 40 and the suction pipe 50 may be formed to have two or less curved portions, respectively.

일례로, 토출 배관(40)은 2개의 곡선부(44, 4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배관(40)은 D 포트(25)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41)와, 아웃렛(16)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42)와, 제1배관 직선부(41)와 제2배관 직선부(4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배관 직선부(43)와, 제1배관 직선부(41)와 제3배관 직선부(43)를 연결하는 제1배관 곡선부(44)와, 제2배관 직선부(42)와 제3배관 직선부(43)를 연결하는 제2배관 곡선부(45)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discharge pipe 40 may include two curved portions 44, 45. 4, the discharge pipe 40 includes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41 coupled to the D port 25, a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42 coupled to the outlet 16, A third piping straight portion 43 extending between the first piping straight portion 41 and the second piping straight portion 42 and a third piping straight portion 43 extending between the first piping straight portion 41 and the third piping straight portion 43, And a second piping curved portion 45 connecting the second piping straight portion 42 and the third piping straight portion 43 to each other.

이때, 냉매의 흐름에 유리하도록 제1배관 직선부(41)와 압축기의 상면(17) 사이의 각도(θ1)는 20 ~ 70 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1 between the first pipe straight portion 41 and the upper surface 17 of the compressor is in the range of 20 to 70 degrees so as to facilitat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토출 배관이 하나의 곡선부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도 8 등 참조).Howev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pipe may have one curved portion (see FIG. 8, etc.).

또한, 흡입 배관(50)은 1 개의 곡선부(53)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배관(50)은 S 포트(26)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51)와, 인렛(15)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52)와, 제1배관 직선부(51)와 제2배관 직선부(52)를 연결하는 배관 곡선부(53)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suction pipe 50 may be formed so as to have one curved portion 53. 4, the suction pipe 50 includes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51 coupled to the S port 26, a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52 coupled to the inlet 15, And a pipe curved portion 53 connecting the first pipe straight portion 51 and the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52.

토출 배관(40)의 제1배관 직선부(41)와 흡입 배관(50)의 제1배관 직선부(51)는 서로 같은 경사를 가지므로, 흡입 배관(50)의 제1배관 직선부(51)의 압축기의 상면(17)의 각도(θ1)는 20 ~ 70 도 일 수 있다.The first pipe straight portion 41 of the discharge pipe 40 and the first pipe straight portion 51 of the suction pipe 50 have the same inclination with each other and therefore the first pipe straight portion 51 of the suction pipe 50 1) of the upper surface 17 of the compressor of the compressor may be 20 to 70 degrees.

상기와 같이, 사방 밸브(20)가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에 포함되도록 배치되고, 사방 밸브(20)가 D 포트(25)가 S 포트(26)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압축기(10)의 상면(17)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토출 배관(40)과 흡입 배관(50)은 각각 2 개 이하의 곡선부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방 밸브(20)와 압축기(10)를 연결하는 압축기 배관(40, 50)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고 사방 밸브(20)가 압축기(10)에 근접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배관(40, 50)의 길이가 최소화되고 사방 밸브(20)가 압축기(10)에 근접함으로써, 배관의 고유 주파수가 압축기(10)의 운전 영역의 주파수 보다 높은 수치를 갖게 되어 공진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ur-way valve 20 is positioned so that the center axis Ld of the D port 25 and the center axis Ls of the S port 26 are aligned with the center axis Li of the inlet 15 and the center axis Ls of the outlet 16 And the four-way valve 2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17 of the compressor 10 such that the D port 25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 port 26 And the discharge piping 40 and the suction piping 50 are formed so as to have two or less curved portions so that the compressor piping 40 and 50 connecting the four-way valve 20 and the compressor 10 The length can be minimized and the four-way valve 20 can be close to the compressor 10. [ Further, since the length of the compressor piping 40, 50 is minimized and the four-way valve 20 is close to the compressor 10,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piping has a value higher than the frequency of the operation region of the compressor 10, It may not occur.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외 열교환기 배관 및 실내 열교환기 배관은 생략하였다.6 is a side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utdoor heat exchanger piping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piping are omitted.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의 배관 구조에서, 사방 밸브(20)가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에 포함되도록 배치되는 것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6, the four-way valve 20 is disposed between the center axis Ld of the D port 25 and the center axis Ld of the S port 26. In the piping structure of the compressor and the four-way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o as to be included in the plane P including the center axis Li of the inlet 15 and the center axis Lo of the outlet 16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다만, 압축기(10)의 압축기 본체(11)와 어큐뮬레이터(12)의 높이 차이 또는 실외기(5) 내부의 공간 배치에 따라,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사방 밸브(20)는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은 S 포트(26)가 D 포트(25)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압축기(10)의 상면(17)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four-way valve 20 is connected to the D port (not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ompressor main body 11 and the accumulator 12 of the compressor 10 or the space arrangement inside the outdoor unit 5 25 and the center axis Ls of the S port 26 ar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17 of the compressor 10 such that the S port 26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D port 25 .

토출 배관(240)은 2개의 곡선부(244, 245)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배관(240)은 D 포트(25)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241)와, 아웃렛(16)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242)와, 제1배관 직선부(241)와 제2배관 직선부(24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배관 직선부(243)와, 제1배관 직선부(241)와 제3배관 직선부(243)를 연결하는 제1배관 곡선부(244)와, 제2배관 직선부(242)와 제3배관 직선부(243)를 연결하는 제2배관 곡선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pipe 240 may include two curved portions 244 and 245. The discharge pipe 240 includes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241 coupled to the D port 25, a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242 coupled to the outlet 16,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241, A third piping straight portion 243 extending between the second piping straight portion 242 and a first piping curved portion 244 connecting the first piping straight portion 241 and the third piping straight portion 243 And a second piping curved portion 245 connecting the second piping straight portion 242 and the third piping straight portion 243.

이때, 냉매의 흐름에 유리하도록 제1배관 직선부(241)와 압축기의 상면(17) 사이의 각도(θ1)는 20 ~ 70 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1 between the first pipe straight portion 241 and the upper surface 17 of the compressor is in the range of 20 to 70 degrees so as to facilitat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흡입 배관(250)은 1 개의 곡선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배관(250)은 S 포트(26)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251)와, 인렛(15)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252)와, 제1배관 직선부(251)와 제2배관 직선부(252)를 연결하는 배관 곡선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pipe 250 may include one curved portion 253. The suction pipe 250 includes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251 coupled to the S port 26, a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252 coupled to the inlet 15,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251, And a piping curved portion 253 connecting the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252.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외 열교환기 배관 및 실내 열교환기 배관은 생략하였다.7 is a side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utdoor heat exchanger piping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piping are omitted.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의 배관 구조에서, 사방 밸브(20)가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에 포함되도록 배치되는 것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In the piping structure of the compressor and the four-way val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way valve 20 connects the center axis Ld of the D port 25 and the center axis Ls of the S port 26 to the inlet 15 are disposed so as to be included in the plane P including the center axis Li of the outlet 16 and the center axis Lo of the outlet 16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다만, 압축기(10)의 압축기 본체(11)와 어큐뮬레이터(12)의 높이 차이 또는 실외기(5) 내부의 공간 배치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압축기(10)의 상면(17)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고, S 포트(26)와 D 포트(25)가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However,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epending o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ompressor body 11 and the accumulator 12 of the compressor 10 or the space arrangement inside the outdoor unit 5, the center axis Ld of the D port 25 And the center axis Ls of the S port 26 are formed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17 of the compressor 10 and the S port 26 and the D port 25 are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have.

토출 배관(340)은 2개의 곡선부(344, 345)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배관(340)은 D 포트(25)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341)와, 아웃렛(16)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342)와, 제1배관 직선부(341)와 제2배관 직선부(34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배관 직선부(343)와, 제1배관 직선부(341)와 제3배관 직선부(343)를 연결하는 제1배관 곡선부(344)와, 제2배관 직선부(342)와 제3배관 직선부(343)를 연결하는 제2배관 곡선부(3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pipe 340 may include two curved portions 344 and 345. The discharge pipe 340 includes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341 coupled to the D port 25, a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342 coupled to the outlet 16,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341, A third piping straight portion 343 extending between the second piping straight portion 342 and a first piping straight portion 344 connecting the first piping straight portion 341 and the third piping straight portion 343, And a second piping curved portion 345 connecting the second piping straight portion 342 and the third piping straight portion 343.

흡입 배관(350)은 1 개의 곡선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배관(350)은 S 포트(26)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351)와, 인렛(15)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352)와, 제1배관 직선부(351)와 제2배관 직선부(352)를 연결하는 배관 곡선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pipe 350 may include one curved portion 353. The suction pipe 350 includes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351 coupled to the S port 26, a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352 coupled to the inlet 15,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351, And a piping curved portion 353 connecting the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352.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다만, 도 8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외 열교환기 배관 및 실내 열교환기 배관은 생략하였다.8 is a side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showing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outdoor heat exchanger piping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piping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FIG.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사방 밸브(420)의 S 포트(426)는 인렛(15)에 직접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8 to 10, the S port 426 of the four-way valve 4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let 15,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즉, 사방 밸브(420)는 밸브 몸체(421)와, 밸브 몸체(421)에서 돌출되는 4 개의 포트(425, 426, 427, 428)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포트(425, 426, 427, 428)은 압축기(10)의 아웃렛(1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D 포트(425)와, 압축기(10)의 인렛(15)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S 포트(426)와, 실외 열교환기(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C 포트(427)와, 실내 열교환기(3)에 연결되는 E 포트(428)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four-way valve 420 may include a valve body 421 and four ports 425, 426, 427 and 428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421. The four ports 425, 426, 427 and 428 include a D port 425 connected to the outlet 16 of the compressor 10 and an S port 425 connected to the inlet 15 of the compressor 10, A C port 427 connect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6 and an E port 428 connect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3.

S 포트(426)는 밸브 몸체(421) 돌출되는 제1포트 직선부(426a)와, 인렛(15)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포트 직선부(426b)와, 제1포트 직선부(426a)와 제2포트 직선부(426b)를 연결하는 포트 곡선부(42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포트 직선부(426a)와 제2포트 직선부(426c) 사이의 각도(θ3)는 20 ~ 90 도일 수 있다. 제2포트 직선부(426b)는 인렛(15)에 삽입되어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포트 직선부(426b)의 단부에는 인렛(15)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의 반경이 확장된 확관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S port 426 includes a first port rectilinear section 426a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421, a second port rectilinear section 426b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inlet 15, a first port rectilinear section 426a, And a port curved portion 426c connecting the second port rectilinear portion 426b. The angle? 3 between the first port rectilinear section 426a and the second port linear section 426c may be 20 to 90 degrees. The second port rectilinear section 426b can be inserted into the inlet 15 and coupled through welding or the like. The second port rectilinear section 426b may be provided at the end thereof with an expansion section whose radiu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enlarged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inlet 15. [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다만, 도 11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외 열교환기 배관 및 실내 열교환기 배관은 생략하였다.11 is a side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de view showing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outdoor heat exchanger piping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piping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FIG.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사방 밸브(520)의 S 포트(526)는 벤딩되어 인렛(15)에 직접 연결되도록 마련되고, 사방 밸브(520)의 C 포트(527) 및 E 포트(528)은 S 포트(526)와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11 to 13, the S port 526 of the four-way valve 520 is bent so as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let 15, and the C port 527 and the E port 528 of the four- May be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 port 526. [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 포트(525)의 중심축(Ld)를 기준으로 S 포트(526)는 아래로 소정 각도(θ4)만큼 벤딩되고, C 포트(527) 및 E 포트(528)은 위로 소정 각도(θ4) 만큼 벤딩될 수 있다. 이것은 배관들의 용접 시에 포트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용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13, the S port 526 is bent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4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Ld of the D port 525, and the C port 527 and the E port 528 may be bent upward at an angle? 4. This is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the ports at the time of welding the pipes, thereby facilitating the welding.

사방 밸브(520)는 밸브 몸체(521)와, 밸브 몸체(521)에서 돌출되는 4 개의 포트(525, 526, 527, 528)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포트(525, 526, 527, 528)은 압축기(10)의 아웃렛(1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D 포트(525)와, 압축기(10)의 인렛(15)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S 포트(526)와, 실외 열교환기(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C 포트(527)와, 실내 열교환기(3)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E 포트(528)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ur-way valve 520 may include a valve body 521 and four ports 525, 526, 527, 528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521. The four ports 525, 526, 527 and 528 include a D port 525 connected to the outlet 16 of the compressor 10 and an S port 525 connected to the inlet 15 of the compressor 10, A C port 527 connect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6 and an E port 528 connect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3.

S 포트(526)는 밸브 몸체(521)에서 돌출되는 제1포트 직선부(526a)와, 인렛(15)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포트 직선부(526b)와, 제1포트 직선부(526a)와 제2포트 직선부(526b)를 연결하는 포트 곡선부(52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포트 직선부(526b)는 인렛(15)에 삽입되고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S port 526 includes a first port rectilinear section 526a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521, a second port rectilinear section 526b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inlet 15, a first port rectilinear section 526a And a port curved portion 526c connecting the second port rectilinear portion 526b. The second port rectilinear section 526b can be inserted into the inlet 15 and coupled through welding or the like.

C 포트(527)는 제1포트 직선부(526a)와 평행한 제4포트 직선부(527a)와, 실외 열교환기 배관(6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5포트 직선부(527b)와, 제4포트 직선부(527a)와 제5포트 직선부(527b)를 연결하는 제2포트 곡선부(527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포트 곡선부(527c)는 포트 곡선부(526c)와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The C port 527 has a fourth port rectilinear section 527a parallel to the first port rectilinear section 526a, a fifth port rectilinear section 527b coupl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piping 60, And a second port curved portion 527c connecting the 4-port rectilinear section 527a and the fifth port rectilinear section 527b. The second port curved portion 527c may be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ort curved portion 526c.

E 포트(528)는 제1포트 직선부(526a)와 평행한 제4포트 직선부(528a)와, 실내 열교환기 배관(7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5포트 직선부(528b)와, 제4포트 직선부(528a)와 제5포트 직선부(528b)를 연결하는 제2포트 곡선부(52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포트 곡선부(528c)는 포트 곡선부(526c)와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The E port 528 includes a fourth port rectilinear section 528a parallel to the first port linear section 526a, a fifth port rectilinear section 528b coupl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piping 70, And a second port curved portion 528c connecting the fourth port rectilinear portion 528a and the fifth port rectilinear portion 528b. The second port curved portion 528c may b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ort curved portion 526c.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사방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도 14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외 열교환기 배관 및 실내 열교환기 배관은 생략하였다.FIG. 14 is a side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outdoor heat exchanger piping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piping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FIG.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사방 밸브(620)의 D 포트(625)는 아웃렛(16)에 직접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14 and 15, the D port 625 of the four-way valve 620 may be form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let 16.

즉, 사방 밸브(620)는 밸브 몸체(621)와, 밸브 몸체(621)에서 돌출되는 4 개의 포트(625, 626, 627, 628)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포트(625, 626, 627, 628)은 압축기(10)의 아웃렛(1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D 포트(625)와, 압축기(10)의 인렛(15)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S 포트(626)와, 실외 열교환기(6)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C 포트(627)와, 실내 열교환기(2)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E 포트(628)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four-way valve 620 may include a valve body 621 and four ports 625, 626, 627, and 628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621. The four ports 625, 626, 627 and 628 include a D port 625 connected to the outlet 16 of the compressor 10 and an S port 625 connected to the inlet 15 of the compressor 10, A C port 627 connect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6 and an E port 628 connect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2.

D 포트(625)는 밸브 몸체(621)에서 돌출되는 제1포트 직선부(625a)와, 아웃렛(16)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포트 직선부(625b)와, 제1포트 직선부(625a)와 제2포트 직선부(625b)를 연결하는 포트 곡선부(62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포트 직선부(625b)의 단부에는 아웃렛(16)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의 반경이 확장된 확관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D port 625 includes a first port rectilinear section 625a projecting from the valve body 621, a second port rectilinear section 625b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outlet 16, a first port rectilinear section 625a And a port curved portion 625c connecting the second port linear portion 625b and the second port rectilinear portion 625b. The second port rectilinear section 625b may be provided at the end thereof with an expansion section having a radiu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xpanded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outlet 16. [

제2포트 직선부(626b)는 아웃렛(16)에 삽입되어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port rectilinear section 626b can be inserted into the outlet 16 and coupled via welding or the like.

도 14 및 도 15에는 D 포트(625)가 아웃렛(16)에 직접 연결되고, S 포트(626)가 인렛(15)에 직접 연결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D 포트(625)만 아웃렛(16)에 직접 연결되고, S 포트(626)는 배관을 통해서 인렛(15)에 연결되는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14 and 15 show that the D port 625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let 16 and the S port 626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inlet 15. However, And the S port 626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15 through a pipe.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ide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lan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17 to 19, a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mpressor and a four-way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사방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 구조는 전술한 도 3의 배관 구조와 동일하며, 다만,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piping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compressor and the four-way valv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piping structure of FIG. 3, except that the center axis Ld of the D port 25, The center axis Ls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lane P including the center axis Li of the inlet 15 and the center axis Lo of the outlet 16. [

즉,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에 포함되지 않도록 사방 밸브(20)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토출 배관(740)은 2개의 곡선부(744, 74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토출 배관(740)은 D 포트(25)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741)와, 아웃렛(16)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742)와, 제1배관 직선부(41)와 제2배관 직선부(42)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배관 직선부(743)와, 제1배관 직선부(741)와 제3배관 직선부(743)를 연결하는 제1배관 곡선부(744)와, 제2배관 직선부(742)와 제3배관 직선부(743)를 연결하는 제2배관 곡선부(745)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center axis Ld of the D port 25 and the center axis Ls of the S port 26 include the center axis Li of the inlet 15 and the center axis Lo of the outlet 16 The four-way valve 20 may be inclined so as not to be included in the plane P. The discharge pipe 740 may include two curved portions 744 and 745. That is, the discharge pipe 740 includes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741 coupled to the D port 25, a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742 coupled to the outlet 16,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74 A third pipe straight portion 743 extending between the first pipe straight portion 741 and the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42 and a third pipe straight portion 743 extending between the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42 and the first pipe straight portion 743, And a second piping curved portion 745 connecting the second piping straight portion 742 and the third piping straight portion 743.

흡입 배관(750)은 1 개의 곡선부(753)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 배관(750)은 S 포트(26)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751)와, 인렛(15)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752)와, 제1배관 직선부(751)와 제2배관 직선부(752)를 연결하는 배관 곡선부(7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pipe 750 may be formed to have one curved portion 753. That is, the suction pipe 750 includes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751 coupled to the S port 26, a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752 coupled to the inlet 15,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751 And a pipe line curve portion 753 connecting the second pipe straight line portion 752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사방 밸브(20)와 압축기(10)를 연결하는 압축기 배관(740, 750)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고 사방 밸브(20)가 압축기(10)에 근접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배관(740, 750)의 길이가 최소화되고 사방 밸브(20)가 압축기(10)에 근접함으로써, 배관의 고유 주파수가 압축기(10)의 운전 영역의 주파수 보다 높은 수치를 갖게 되어 공진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압축기(10)와 사방 밸브(20)가 일체화된 거동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compressor pipes 740 and 750 connecting the four-way valve 20 and the compressor 10 can be minimized and the four-way valve 20 can be positioned close to the compressor 10.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compressor pipes 740 and 750 is minimized and the four-way valve 20 is close to the compressor 10,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pipe becomes higher than the frequency of the operation region of the compressor 10, It may not occur. That is,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compressor 10 and the four-way valve 20 are integrated can be exhibited.

또한, D 포트(25)의 중심축(Ld)과 S 포트(26)의 중심축(Ls)이 인렛(15)의 중심축(Li)과 아웃렛(16)의 중심축(Lo)을 포함하는 평면(P)에 포함되지 않도록 사방 밸브(20)가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사방 밸브(20)와 압축기(20)의 일체화된 거동 특성이 유지되면서 컨트롤 박스나 리액터 등 주변 구조물과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The central axis Ld of the D port 25 and the center axis Ls of the S port 26 include the center axis Li of the inlet 15 and the center axis Lo of the outlet 16 The four-way valve 20 is inclined so as not to be included in the plane P, so that the integrat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four-way valve 20 and the compressor 20 can be maintained and interference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s such as the control box and the reactor can be avoided .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 공기 조화기 2 : 실내기
3 : 실외기 4 : 실내 열교환기
5 : 송풍팬 6 : 팽창 기구
8, 9 : 서비스 밸브 10 : 압축기
11 : 압축기 본체 12 : 어큐뮬레이터
15 : 인렛 16 : 아웃렛
20 : 사방 밸브 21 : 밸브 몸체
25 : D 포트 26 : S 포트
27 : C 포트 28 : E 포트
30 : 압축기 배관 40 : 토출 배관
50 : 흡입 배관 60 : 실외 열교환기 배관
70 : 실내 열교환기 배관
1: air conditioner 2: indoor unit
3: outdoor unit 4: indoor heat exchanger
5: blower fan 6: expansion device
8, 9: Service valve 10: Compressor
11: compressor body 12: accumulator
15: inlet 16: outlet
20: Four-way valve 21: Valve body
25: D port 26: S port
27: C port 28: E port
30: Compressor piping 40: Discharge piping
50: Suction piping 60: Outdoor heat exchanger piping
70: Indoor heat exchanger piping

Claims (20)

냉매가 흡입되는 인렛과,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아웃렛을 갖는 압축기;
냉방 및 난방 운전 시에 유로를 전환시키는 사방 밸브로서, 밸브 몸체와, 상기 아웃렛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에서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D 포트와, 상기 인렛에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S 포트를 갖는 사방 밸브; 및
상기 아웃렛과 상기 D 포트를 연결하는 토출 배관과, 상기 인렛과 상기 S 포트를 연결하는 흡입 배관을 갖는 압축기 배관; 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배관과 상기 흡입 배관 중에 어느 하나는 2 개의 곡선부를 갖고, 나머지 하나는 1개의 곡선부를 갖는 공기 조화기.
A compressor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suck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discharged;
A four-way valve for switching a flow path during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comprising: a valve body; a D port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in a first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outlet; A four-way valve having an S port protrud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outlet and the D port, and a suction pip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S port; / RTI >
Wherein one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suction pipe has two curved portions and the other has one curv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포트의 중심축과 상기 S 포트의 중심축은 상기 인렛의 중심축과 상기 아웃렛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er axis of the D port and the center axis of the S port are included in a plane including a center axis of the inlet and a center axis of the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포트의 중심축과 상기 S 포트의 중심축은 상기 인렛의 중심축과 상기 아웃렛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ral axis of the D port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 port ar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plane including the central axis of the inlet and the central axis of the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의 중심축과 상기 아웃렛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한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ral axis of the inlet and the central axis of the outlet are parallel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포트의 중심축과 상기 S 포트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enter axis of the D port and the center axis of the S port coincide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는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D 포트와 상기 S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lve body has a cylindrical shape,
Wherein the D port and the S port are protru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axial direction of the valve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포트와 상기 S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의 중심부에서 돌출되는 공기 조화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 port and the S port protrude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valv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포트가 상기 S 포트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사방 밸브는 경사지게 배치된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ur-way valve is disposed in an inclined manner such that the D por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배관은 상기 D 포트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아웃렛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2배관 직선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3배관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1배관 곡선부와, 상기 제2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3배관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2배관 곡선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pipe includes a first piping straight portion coupled to the D port, a second piping straight portion coupled to the outlet, and a third piping straight line extending between the first piping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piping straight portion, And a second piping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iping straight portion and the third piping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piping straight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piping straight portion and the third piping straight por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배관은 상기 S 포트에 결합되는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인렛에 결합되는 제2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1배관 직선부와 상기 제2배관 직선부를 연결하는 배관 곡선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pipe includes a first pipe straight portion coupled to the S port, a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coupled to the inlet, and a pipe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ipe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pipe straight portion, Harmonic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 포트가 상기 D 포트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사방 밸브는 경사지게 배치된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wherein the four-way valve is disposed at an inclination so that the S por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D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 포트와 상기 D 포트가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 port and the D port are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냉매가 흡입되는 인렛과,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아웃렛을 갖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 및
냉방 및 난방 운전 시에 유로를 전환시키는 사방 밸브로서, 상기 아웃렛에 연결되는 D 포트와, 상기 인렛에 연결되는 S 포트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C 포트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E 포트를 갖는 사방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D 포트가 상기 아웃렛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S 포트가 상기 인렛에 직접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
A compressor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suck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discharged;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n indoor heat exchanger; And
A four-way valve for switching a flow path during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comprising: a D port connected to the outlet; an S port connected to the inlet; a C port connect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an E port connect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Respectively; Lt; / RTI >
Wherein the D por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let or the S por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le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S 포트는 상기 인렛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S port is inserted into the inle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 밸브는 원통 형상을 갖는 밸브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D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밸브 몸체의 축 방향에 수직한 제1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S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제1방향에 반대인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인렛에 결합되는 제2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2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포트 곡선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our-way valve includes a valve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D port protrudes from the valve body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valve body,
Wherein the S port includes: a first port rectilinea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port rectilinear portion coupled to the inlet; And a port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port rectilinear por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2포트 직선부 사이의 각은 20 ~ 90 도인 공기 조화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n angle between the first port linear portion and the second port straight portion is 20 to 90 degre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C 포트를 연결하는 실외 열교환기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C 포트는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평행한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배관에 결합되는 제5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5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2포트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포트 곡선부는 상기 포트 곡선부와 반대 방향으로 벤딩된 공기 조화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n outdoor heat exchanger pipe connecting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C port,
The C port includes a fourth port rectilinear section parallel to the first port rectilinear section, a fifth port rectilinear section coupl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piping, and a fourth port rectilinear section coupled to the fourth port rectilinear section and the fifth port rectilinear section A second por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port curved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ort curved por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E포트를 연결하는 실내 열교환기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E 포트는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평행한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배관에 연결되는 제5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4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5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제2포트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포트 곡선부는 상기 포트 곡선부와 반대 방향으로 벤딩된 공기 조화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n indoor heat exchanger pipe connecting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E port,
The E port includes a fourth port rectilinear section parallel to the first port rectilinear section, a fifth port rectilinear section connect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piping, and a fourth port rectilinear section connected to the fourth port rectilinear section and the fifth port rectilinear section A second por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port curved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ort curved por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포트는 상기 아웃렛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D port is inserted into the outle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 밸브는 원통 형상을 갖는 밸브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D 포트는 상기 밸브 몸체에서 상기 밸브 몸체의 축 방향에 수직한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아웃렛에 결합되는 제2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1포트 직선부와 상기 제2포트 직선부를 연결하는 포트 곡선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four-way valve includes a valve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D port includes a first port rectilinea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valve body, a second port rectilinear portion coupled to the outlet, And a port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port rectilinear portion.



KR1020180148901A 2017-12-05 2018-11-27 Air conditioner KR1026522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10263.2A EP3495752B1 (en) 2017-12-05 2018-12-04 Air conditioner
PCT/KR2018/015274 WO2019112307A1 (en) 2017-12-05 2018-12-04 Air conditioner
CN201811482348.3A CN110017545B (en) 2017-12-05 2018-12-05 Air conditioner
US16/210,783 US11326786B2 (en) 2017-12-05 2018-12-05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5910 2017-12-05
KR1020170165910 2017-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552A true KR20190066552A (en) 2019-06-13
KR102652240B1 KR102652240B1 (en) 2024-03-29

Family

ID=6684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901A KR102652240B1 (en) 2017-12-05 2018-11-27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24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992B1 (en) * 2020-05-27 2020-12-02 함용한 Air conditioner for industrial machine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934A (en) * 1985-02-26 1986-09-02 Mitsubishi Electric Corp Ventilation device
KR20050086273A (en) * 2004-02-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pip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KR20060080191A (en) * 2003-09-30 2006-07-07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and compressor unit
JP2010112667A (en) * 2008-11-10 2010-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934A (en) * 1985-02-26 1986-09-02 Mitsubishi Electric Corp Ventilation device
KR20060080191A (en) * 2003-09-30 2006-07-07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and compressor unit
KR20050086273A (en) * 2004-02-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pip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JP2010112667A (en) * 2008-11-10 2010-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992B1 (en) * 2020-05-27 2020-12-02 함용한 Air conditioner for industrial machin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240B1 (en)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0162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KR101647908B1 (en) Air conditioner
CN110476026B (en) Heat exchanger unit
EP2597384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593084B1 (en) The suction pip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KR20190066552A (en) Air conditioner
CN110017545B (en) Air conditioner
KR20030062872A (en) Accumulator/receiver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US20230024725A1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KR100441101B1 (en) The lead mounting of an air-conditioner
KR102388389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9797658B2 (en) Subcoole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101899824B1 (en) An outdoor unit and airconditioner having it
CN113423951B (en) Compressor
US20230221049A1 (en) Air conditioner
CN211650468U (en)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JP2014037895A (e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system
US20220397318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7158593B2 (en) Blowout grill an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KR100548281B1 (en) Out 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low pressure type compressors
JP7229348B2 (en) refrigerator
JP2016133273A (en) Refrigerator outdoor unit
KR100539769B1 (en) Distributor for multi-air conditioner capable of heating and cooling simultaneously
JP2005049043A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KR200333273Y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electronic expansion valve of air-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